KR100428018B1 - 현장치기콘크리트파일의파일헤드처리구,파일헤드처리공법및현장치기콘크리트파일공법 - Google Patents

현장치기콘크리트파일의파일헤드처리구,파일헤드처리공법및현장치기콘크리트파일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018B1
KR100428018B1 KR1019970702757A KR19970702757A KR100428018B1 KR 100428018 B1 KR100428018 B1 KR 100428018B1 KR 1019970702757 A KR1019970702757 A KR 1019970702757A KR 19970702757 A KR19970702757 A KR 19970702757A KR 100428018 B1 KR100428018 B1 KR 10042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ap body
reinforcing bar
hol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7350A (ko
Inventor
쇼겐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쇼겐 오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821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719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364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09686A/ja
Application filed by 쇼겐 오가와 filed Critical 쇼겐 오가와
Publication of KR97070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7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66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콘크리트타설용 트레미관 16 이 자유로이 삽입가능한 내부원통 2 을 소정간격을 두고 외부원통 3 으로 둘러싸는 동시에, 양 원통 2, 3의 상단을 환상의 천정판 1 으로 하단을 환상의 밑판 6 으로 각각 끼워 부착하여 이중원통상의 캡본체 A 를 형성하고, 또한, 이 캡본체 A 의 상기 밑판 6 에 소정간격을 두고 여러 개의 철근구멍 8 을 뚫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천정판 1 및 밑판 6 에 유체토출구멍 5 (9)을 개구형성한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 파일헤드 처리공법(pile heaa處理工法) 및 헌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
제 1 도는 캡본체의 사시도이다.
제 2 도는 캡본체의 일부 절취사시도이다.
제 3 도는 외부 원통의 밑판의 절곡전 평면도이다.
제 4 도는 캡본체의 일부 절취종단면도이다.
제 5 도는 캡본체의 사용상태의 설명도이다.
제 6 도는 위의 사용상태의 설명도이다.
제 7 도는 내부 원통의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설명도이다.
제 8 도는 캡본체 A 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취사시도이다.
제 9 도는 캡본체 A 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취사시도이다.
제 10 도는 캡본체 A 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취사시도이다.
제 11 도는 캡본체 A 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 12 도는 시공시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이다.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박아 넣는 콘크리트파일공법(pile工法)의 일실시예로서의 굴삭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4 도는 위 실시예의 철근집(steel cage)의 설치공정에서 최종공정까지를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5 도는 위 실시예에 사용되는 자루체(bag enclosure)의 사시도이다.
제 16 도는 위 실시예의 철근집의 설치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7 도는 위 실시예에서의 철근집의 설치공정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제 18 도는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자루체의 사시도이다.
제 19 도는 종래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주 요 부 호 *
A 캡본체 1 천정판
2 내부원통 3 외부원통
4 상부 트레미구(口) 5 유체토출(누출)구멍
6 밑판 6a 평탄지역
7 상부 트레미구(口) 8 철근꽂이 공(孔)
9 슬릿 9a 슬릿편
10 밑부공간 11 철근
12 그릇가장자리 13 케이싱
14 철근집(鐵筋鏶 또는 steel cage) 15 횡근
16 트레미관 17 굴삭구멍
18 바게트 19 캐리바
23 색조(索條) 23a 체인
23b 체인 1 A 굴삭구멍
2 A 철근엮음부 3 A 자루체
31A 자루체의 통부 32A 절취부
33A 자루체의 밑부 34A 퍼스너
본 발명은 각종의 토목건축공사에 있어, 땅속에서 시공할 공사현장에서 헌장치기 철근콘크리트파일(pile)에서 철근집(鏶)의 파일헤드(pile head)에 관(冠)형상으로 씌워 넣는 파일헤드 처리구(pile head處理具), 파일헤드(pile head) 처리공법 및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토목건축공사에 있어서는 각종 공법으로 기초파일의 매설공사가 행해져 왔지만, 최근에는 주로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cast-is-place concrete piles)에 의하여 시공되고 있다.
이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은 땅속의 지지(支持)지반까지 아스드릴공법(earth drilling technique) 등에 의하여 우선 원형상의 굴삭구멍을 형성하고, 철근을 새집등의 형태로 조립한 철근집를 상기 굴삭구멍에 세워 넣고, 계속해서 트레미관(tremie pipe)을 철근집의 윗쪽에서 삽입하며, 트레미관의 선단에서 콘크리트를 토출하고 굴삭 구멍의 하단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근콘크리트파일을 축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 타설한 콘크리트는 철근집의 상단을 지나 1m 가까운 여분의 콘크리트부를 형성한다. 이 여분의 콘크리트부의 상부 굴삭구멍에 흙모래자갈(土砂碣)을 되메운 후, 콘크리트의 양생을 행한다.
양생 후, 굴삭하여 흙모래자갈을 걷어낸 후, 여분의 콘크리트부를 폴링백(poling back)하여 즉, 걷어 내어 상기 철근집의 철근을 노출시키고, 이 철근을 기초로 하여 건물의 기초공사를 시공한다.
이 나머지 여분의 콘크리트부의 폴링백공사는 종래 소음, 진등, 분진 등의 공해원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또한 철근을 손상시키며, 노동재해와 직업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여분의 콘크리트부의 재료비, 폴링백공사비 및 공사기간의 증대 등 비용이 늘어나는 큰 원인을 만든다.
이 폴링백공사를 생략하는 수단으로서 일본 특개소 61-186616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이 제안되어 있는데, 이 발명은 트레미관을 통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행한 직후 아직 고체화하지 않은 여분의 점성이 강한 콘크리트를 강력한 진공펌프에 연결된 흡인호스로 콘크리트를 흡인 제거하는 공법이다. 물론 이 공법은 굴삭구멍에 끼워 넣는 케이싱이 있어야 가능하므로, 공사현장의 상황에 따라서는 반드시 적용할 수 있는 공법은 아니다. 오히려 굴삭구멍의 붕괴를 초래할 위험성마저 있다.
또한, 상기 공법은 나머지 여분의 콘크리트부가 없어지는 대신에, 되메우기 위하여 흙모래자갈로 철근이 굴곡되거나, 양생 후 여분의 콘크리트부의 폴링백 굴삭에 대형중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철근의 두부가 파손되어 그 수리가 번거롭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고, 실용성이 부족한 점이 있는 공법이다.
따라서, 상술한 여분의 콘크리트부의 폴링백공법에 따른 철근의 손상을 막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일본 특개소 58-153816 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파일헤드 철근캡(reinforcement bar cap)이 개발된 바 있다.
이 캡은 중앙부에 트레미관을 삽입·이탈 자유로이 취부할 수 있는 관통구멍을 갖는 동시에, 이 관통구멍을 중심으로 2구획실 또는 이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도나츠형의 닫혀진 이중구조이며, 환상의 밑판과, 천정판(天板)에는 구멍이 뚫려 있다.
이 캡에 상기 밑판 또는 천정판에 뚫린 구멍을 이용하여 연결볼트를 끼우고, 철근집의 철근 상단부에 후단을 취부한 슬리브조인트를 상기 연결볼트에 연결하여, 캡과 철근집을 확실히 연결하며, 상기 관통구멍에 트레미관을 도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철근집에의 콘크리트타설은 철근집의 상부에 씌운 캡장치를 매입(埋
Figure pct00001
)할 때까지 행한다. 그 후, 이 철근집을 매설한 상부 굴삭구멍에 흙모래자갈을 되메우고, 콘크리트의 양생을 행한다. 양생완료 후, 흙모래자갈을 제거하고, 캡을 덮고 있는 콘크리트를 폴링백하여, 캡의 닫힘상태를 열기위한 여러 곳의 나사제거를 행하고, 다음 슬리브 조인트에서 연결볼트를 빼내어 캡을 벗기고, 이 슬리브조인트에 앙카근(anchor 筋) 하단의 나사부를 끼워서 앙카근을 철근에 연결하여 세우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제안에 의하면, 종전보다 여분의 콘크리트부는 적어지지만, 여전히 폴링백(poling back)공사는 불가피하고, 또한 캡 자체의 구성이 복잡하여 특히, 2구획실 등의 연결작업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캡을 닫기 위한 측판의 붙임과 떼어냄도 당연히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또한 슬리브조인트에 앙카근을 끼우고, 철근을 소정의 높이까지 연장하는 수단은 강도에 문제가 있고 경험상 극히 불안정하여 일반적으로 피하는 공법이며, 예측할 수 없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어 기술적으로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
현장치기 콘크리트의 파일헤드 처리구(이하, 캡본체라 약칭함)의 제안 중에는, 상기 외에 본원 발명자가 먼저 제안한 바 있는 일본 특개평 1-322020 호에 개시된 현장치기 콘크리트의 파일헤드 처리구용 캡이 있다.
이 앞서 제안된 바 있는 캡본체는 상기 특개소 58-153816 호 공보에 기재된 복잡한 2구획실 등으로 이루어지는 얕은 도나츠형의 캡과는 다르고, 트레미관을 자유롭게 삽입가능한 관통구멍으로서의 상하면 개방형의 내부원통(트레미관도입관)과, 그 외측에 천정판과 밑판의 외부주위를 연결하는 외부원통(캡상부)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2중통으로 형성되고, 밑판의 주위가장자리(절단예정면 주위)쪽으로 다수의 철근통과공, 즉 철근구멍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괄호안은 공보기재의 명칭)
즉, 위 제안이 의도하는 캡본체는 특히 여분의 콘크리트부에 해당하는 크기로 설정하므로 상기 일본 특개소 58-153816 호 공보의 얕은 캡(장치)에 비교하면, 깊은 원통상에 형성되고, 이 원통의 천정판까지 철근구멍을 통하여 철근을 삽입케하며, 상기 내부원통에 트레미관(管)을 관통하여 콘크리트타설을 행하는 것으로, 종래 공법의 여분의 콘크리트부를 전혀 생성시키지 않고도 캡상부의 굴삭구멍에 직접 흙모래자갈을 되메우고, 콘크리트를 양생가능하게 한다.
양생 후, 바닥굴삭(
Figure pct00002
)을 하여 흙모래자갈을 제거하면 폴링백 공사없이 곧바로 캡이 노출되므로, 캡의 제거에 주의하면 파일철근의 보호는 충분하다. 단, 내부원통을 채운 슬라임(slime)혼합콘크리트가 남아 있으므로, 캡과 함께 파일철근에 주의하면서 적절한 수단을 강구하여 제거하고, 더불어 퇴적슬라임 등 오물을 세정하므로써 현장파일 장소에 박아 넣는 콘크리트파일공사(concrete pile)를 종료한다.
또한, 종래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은 제 19 도 (A)∼(G)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굴삭한 구멍 7A 에 표층케이싱 7B 및 철근집 7C 을 세워 넣고, 다음에 구멍밑에 고인 슬라임(slime) 7D 을 에어리프트(airlift) 또는 흡입펌프로 빨아올려서 제거한후, 트레미관 7E 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7F 를 타설하도록 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7F의 최상부는 소정의 콘크리트 천정끝높이(天端高)에 대하여 여분 7G 이 쌓아올려지므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슬라임과 퇴적물 등을 포함한 여분 7G 의 불량콘크리트를 폴링백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콘크리트타설 전에 슬라임을 배출하는 것은 슬라임이 콘크리트에 혼입됨에 따른 콘크리트파일의 품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인데, 슬라임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에어리프트 또는 흡입펌프로 슬라임을 빨아올리는 동시에, 슬라임을 빨아올림에 따라서 배출되는 수량(水量)을 구멍내에 보급하여 구멍내 수위저하에 따른 구멍벽붕괴를 막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때문에 슬라임처리공정은 시공효율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슬라임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등의 이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여분 7G 을 쌓아올릴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용 캡은 본 발명자의 개발에 관한 상기 일본의 특개평 1-32202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래의 파일헤드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외에도 종래 공법에 필수적인 여분의 콘크리트부 생성을 배제하므로써, 폴링백공사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데에 큰 의의가 있고, 폴링백공사에 따라 생기는 공해, 위생문제를 해소하고, 아울러 공사기간의 단축, 콘크리트의 절약 등의 경제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 공법에서는 내부원통의 상면까지 콘크리트타설을 한 채로 흙모래자갈의 되메우기양생을 행하므로, 양생 후에는 반드시 내부원통의 슬라임혼합콘크리트를 제거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물론 제거공사는 극히 간단하고, 이 콘크리트의 절단분리예정부에 구멍을 뚫어서 송곳장치 등으로 균열을 일으키든가, 또는 철편 등으로 균열을 일으켜서 로우프로 끌어올리는 것만으로 제거할 수 있었지만, 불필요한 공사는 가능한한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의 밑판이 평면이므로, 콘크리트타설로 밑면아래에 슬라임 등의 퇴적층이 생성되는 일, 또한 굴삭구멍벽의 붕괴방지를 위하여 채우는 안정액과, 여분의 용출수가 콘크리트타설시에 슬라임 등을 포함하여 같이 들어올려져, 캡내 및 캡과 케이싱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여 넘쳐 나오게 되므로, 캡에 대한 압력을 가급적 작게, 또한 순조롭게 통과시키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고, 종래의 철근구멍을 제외한 닫쳐진 밀폐형의 캡에 관한 이들 제반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에 대해서는 슬라임처리공정을 생략할 수가 있고, 또한 슬라임이 콘크리트에 혼입되지 않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유효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청구항 제 1 항 기재의 본 발명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는콘크리트타설용 트레미관 16 이 자유로이 삽입가능한 내부원통 2 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부원통 3 으로 둘러싸게 하는 동시에, 양 원통 2, 3 의 상단을 환상의 천정판 1 으로, 하단을 환상의 밑판 6 으로 각각 끼워 부착하여 이중원통상의 캡본체 A 를 형성하고, 또한, 이 캡본체 A 의 상기 밑판 6 에 소정간격으로 여러 개의 철근구멍 8 을 뚫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천정판 1 및 밑판 6 에 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체토출공 5(9)을 개구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는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갖고, 내부원통 2 과 외부원통 3 과는 동일한 길이로 천정판 1 및 밑판 6 을 수평판상으로 상기 양 원통 2, 3 의 상단 및 하단에 끼워 부착한 구성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헌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는 외부원통 3 의 천정판 1 의 외부가장자리쪽으로, 여러 개의 유체토출공 5 을 뚫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천정판 1 의 중앙에 콘크리트타설용 트레미관 16 이 자유로이 삽입가능한 상부 트레미구(口) 4 를 뚫어 설치하고, 이 상부 트레미구 4 의 하측에 끼워 부착하며, 상기 외부원통 3 으로부터 2% 내지 3% 짧은 상하면 개방형의 내부원통 2을 설치하여 이중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캡본체 A 에서, 상기 외부원통 3 의 밑판 6 의 외부주위가장자리쪽의 평탄지역 6a 에, 거의 같은 간격으로 여러 개의 철근구멍 8을 뚫어 설치한다. 다시 이 밑판 6 의 중앙에 뚫어 설치한 하부 트레미구 7 의 주변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째 놓은(切入) 여러 개의 슬릿 9 을 대략 같은 간격으로 또한 상기 평탄지역 6a 을 남겨서 형성한다. 또한, 각 슬릿9 에 따라서 생긴 슬릿면 9a 를 경사지게 윗쪽으로 절곡하고, 이 슬릿편 9a 의 선단을 상기 내부원통 2 아래가장자리에 고착시켜서 형성한 구성이다.
또한,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한 본 발명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는 상기 청구항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갖고, 천정판 1 및 /또는 밑판 6 을, 망체 또는 펀칭메탈에 의하여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또한,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는 상기 청구항 제 1, 2, 3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구성을 갖고, 철근집 14 에 캡본체 A 를 씌워 부착하는 동시에, 캡본체 A 와 철근집 14 를 자유로이 착탈가능한 체인과 와이어와 끈 등의 색조(索條) 23 로 묶어서 고착하는 것으로 이 철근집 14 등을 굴삭구멍 17 에 세워 넣도록 한 것이 파일헤드 처리공법이다.
또한, 청구항 제 6 항의 본 발명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를 사용하는 파일헤드 처리공법은 상기 청구항 제 1, 2, 3, 4 또는 제 5 항에 기재한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를 사용하고, 철근집 14 에 캡본체 A 를 스터트용접으로 씌워 넣어 고착(固着)하여 굴삭구멍 17 에 세워 넣고, 계속에서 상기 캡본체 A 의 내부원통 2 을 통하여 트레미관 16 을 굴삭구멍 17 에 세워 넣으며, 상기 굴삭구멍 17 의 밑부분보다 상기 내부원통 2 의 천정면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콘크리트타설을 행한 후, 곧 캐리바 19 에 취부한 굴삭바켓트 18 를 회전시키므로써, 내부원통에 충전된 슬라임혼합콘크리트를 제거하도록 한 파일헤드 처리공법이다.
청구항 제 7 항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을 굴삭한 구멍에 철근집을 세워 넣은후, 굴삭구멍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에서 시트재로 형성된 밑판이 있는 통상의 자루체 내에 철근집을 수납한 후, 자루체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특징이다.
청구항 제 8 항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은 청구항 제 7 항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에 있어서, 시트재로 형성된 밑판이 있는 통상으로 통부분을 옆쪽으로 개구하기 위한 절취부가 통부의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이 절취부에 퍼스너가 취부된 자루체를 이용하여 퍼스너의 슬라이더를 잡아내려 통부분을 개구시킨 자루체의 밑부를 굴삭구멍의 구멍입구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굴삭구멍의 구멍입구에 퍼스너의 슬라이더를 고정하고, 철근집의 세워 넣음에 의하여 자루체를 구멍내로 밀어 넣는 동시에, 구멍내 물을 자루체의 통부분의 절취부에서 자루체내로 도입하면서 자루체의 통부분을 퍼스너로 닫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캡본체 A 의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캡본체의 일부 절취사시도, 제 3 도는 외부원통 3 의 밑판 6 의 평면도이고, 제 4 도는 캡본체 A 의 일부절취 종단면도이고, 제 5 도 및 제 6 도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7 도는 콘크리트타설 후의 내부원통의 슬라임이 혼합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 8 도는 본 발명의 캡본체 A 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취사시도이다. 제 9 도는 본 발명의 캡본체 A 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취사시도이고,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캡본체 A 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절취사시도이며,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캡본체 A 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 1 도∼제 7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원통 3 의 천정판 1 의 중앙에, 콘크리트타설용 트레미관 16 을 자유로이 삽입할 수 있는 원형의 상부 트레미구 4 를 뚫어 설치하고, 이 상부 트레미구 4 의 하측에 끼워 부착하여 외부원통 3 보다 약간 짧은 상하 개방형의 내부원통 2 을 설치하면, 이중원통형의 밑면을 제거한 캡본체 A 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원통 3 의 천정판 1 의 주위가장자리쪽으로는 여래 개의 유체도출구멍(氣液拔穴) 5 을 적절하게 뚫어 설치하고, 외부원통 3 의 밑판 6 의 중앙에 상기 상부트레미구 4 와 거의 서로 비슷한 형의 하부트레미구 7 를 뚫어 설치한다.
또한, 밑판 6 의 주위가장자리부에 철근집 14 를 형성하는 철근 11 을 삽입하기 위해 철근구멍 8 을 여러 개 거의 같은 간격으로 뚫어 설치하는 동시에, 각 철근구멍 8 의 중간위치에서 하부 트레미구 7 로부터 바깥쪽 방사상으로 거의 같은 간격과 외부주변가장자리쪽으로의 적절한 폭의 평탄지역 6a 을 남기고, 절단하여 슬릿 9 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생긴 슬릿편 9a 을 경사지게 윗쪽으로 절곡하여 그 선단을 내부원통 2 의 하단주위가장자리에 용착하므로써, 본 발명의 캡본체 A 는 완성된다. 그리고 외관구성상의 특징으로서 캡본체 A 의 밑면에 방사상 빈틈을 갖는 단면이 접시 엎어놓은 접시상(斷面逆血狀)의 밑부공간 10 이 형성되므로써, 그 효과는 콘크리트타설에 있어 슬릿 9 의 틈사이와 천정판 1 의 유체토출구멍 5 에 의하여 외부원통 3 과 내부원통 2 과의 사이에 공기와 흙탕물의 순조로운 유통이 가능하게 되어, 아래쪽으로부터의 압력이 경감하고, 종전의 밑판부근에서 슬라임·퇴적물 등의 불순물이 체류하므로써 발생되는, 퇴적층의 형성 등의 문제점은 본 발명에 의하여 해소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캡본체 A 를 관형상으로 씌워 넣어 고착(冠揷固着)한 철근집 14 을 굴삭구멍 17 에 세워 넣고, 트레미관 16 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굴삭구멍 17 의 밑부에서 연속적으로 타설하여 철근콘크리트파일을 축조하는데, 본 발명자가 반복해서 실험을 거듭한 결과, 내부원통천정면을 지나는 콘크리트타설은 불가피하지만, 타설종료 후 곧 굴삭공정을 이용하여 예컨대 캐리바 19 에 굴삭바켓트 18 또는 슬라임바켓트를 취부하고, 캐리바 19 의 회전에 의하여 용이하게 슬라임혼합콘크리트를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계속하여 캡본체 A 의 상면을 적절한 덮개로 덮고, 케이싱 13 의 끌어올림 등 이후는 통상의 방법으로 흙모래자갈을 되메우고, 양생을 행한다.
양생종료 후, 바닥을 굴삭하여 흙모래자갈을 제거하고, 캡본체 A 를 노출시켜서 가스버너에 의한 용단(溶斷) 및 파워쇼벨 등 적절한 기계적 수단을 강구하여 캡본체 A 는 철근집 14 에서 쉽게 이탈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이상과 같이 처리하면, 폴링백공사는 전혀 필요치 않고, 철근 11 의 보호도 충분하게 해 낼 수가 있어서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은 모두 해소되고, 과대한 경제효과를 발휘한다.
제 1 도∼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본체 A 는 중앙에 상부트레미구 4 를 뚫어 설치한 환상의 천정판 1 과, 이 천정판 1 의 내부 주위가장자리에 접합하는 내부원통 2 과, 천정판 1 의 외부 가장자리에 접합하는 외부원통 3 과, 중앙에하부트레미구 7 를 뚫어 설치한 환상의 밑판 6 으로 이루어지고, 밑판 6 의 내부 주위가장자리는 내부 원통 2 의 내부주위면에 접합되며, 밑판 6 의 외부 주위가장자리는 외부주위를 3 의 밑주위면에 접합된 이중원통형상으로 되어있다.
또한, 내부원통 2 은 외부원통 3 보다 통상 2% 내지 3% 짧게 형성되어 있다. 상부 트레미구 4 와 하부 트레미구 7 와의 직경차와도 관련되게 설정하는데, 슬릿 9 간격의 대소도 더불어 감안한다.
캡본체 A 의 크기는 굴삭구멍 7 (제 6 도 참조)의 규모에 따라 설정되는 철근집 14 의 직경, 철근 11 의 굵기와 본수 등에 의하여 정해진다. 또한 굴착구멍 17 내에 있어서 철근집 14 의 두부노출부 14a (건조물의 기초구축베이스가 됨)는 통상 철근 11 의 적경의 40 배 내지 그 이상으로 하고, 이 두부노출부 14a 가 종래공법의 여분콘크리트부에 상당하므로 본 발명의 캡본체 A 의 높이는 이 두부노출부 14a 의 치수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캡본체에 사용하는 재료는 되메움과 재굴삭에 대한 방호력과 재굴삭 후의 제거수단을 고려하여 두께 1.6mm 내지 3.2mm 의 연강판이 바람직하다. 물론, 강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합성수지재와 다른 금속재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캡본체 A 는 다음의 순서로 작성한다.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같은 직경의 원형천정판 1 및 밑판 6 을 작성하고, 천정판 1 의 중앙에 콘크리트타설용 트레미관 16 (제 6 도 참조)이 자유로이 관입(貫入) 즉, 집어 넣어질 수 있는 원형의 상부 트레미구 4 를 뚫어 설치하고, 위의 천정판 1 의 외부 주위가장자리쪽에 여러 개의 유체토출구멍 5 을 뚫어 설치한다. 이 유체토출구멍 5 은 천정판 1 의 크기에 의하여 적절하게 그 직경, 수를 변경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직경 10mm 내지 20mm, 4개 내지 8개가 적절하다.
또한, 제 3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판 6 의 외부 주위가장자리쪽으로 적절한 쪽(통상 90mm 전후)의 평탄지역 6a 을 설치하고, 이 평탄지역 6a 에 철근집 14 을 형성하는 철근 11 을 삽입하기 위한 철근구멍 8 을 대략 같은 간격으로 뚫어 설치한다. 이 철근구멍 8 의 직경은 삽통하는 철근 11 굵기의 1.3 배 내지 1.5 배정도의 크기로 하여,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밑판 6 의 중앙에 상기 천정판 1 과 같은 하부 트레미구 7 를 뚫어 설치하는데, 이 트레미구의 직경은 상부트레미구 4 보다 2% 내지 5% 작게 한다. 즉, 하부 트레미구 7 에는 그 주위가장자리에 상기 평탄지역 6a 을 남겨 방사상으로 거의 같은 간격으로 째 내어 슬릿 9 을 형성하고, 각 각 슬릿편 9a 을 경사지게 윗쪽으로 절곡하여 평탄지역과의 각도 θ를 25도 내지 30도가 되도록 경사지게 하면, 그 선단가장자리는 상부 트레미구와 거의 같은 동일직경이 되고, 이 선단가장자리를 상기 내부원통 2 의 하단개방구 주위가장자리에 융착시키므로써, 제 4 도에 나타나 있는 방사상 빈큼을 구비한 단면이 얕은 거꾸로 된 접시형상의 공간을 밑면에 형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캡본체 A 는 이중원통형에 일체화되고, 이 캡본체 A 의 밑면은 상기와 같이 얕은 거꾸로 든 접시형상의 공간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슬릿 9 과 철근 8 의 틈사이가 생성되므로 시공 시에 내부원통 2 과 외부원통 3 의 사이에 공기와 흙탕물이 유입되며, 상기 천정판 1 의 유체토출구멍 5 과 아울러 굴삭구멍 17 으로부터 밀려올라오는 기체와 액체의 압력을 제거하는 효과가 크고, 또한 상기 거꾸로 된 접시형상의 밑면에는 종래와 같은 슬라임퇴적층은 생성되지 않는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상기의 캡본체 A 는 상기 기본구성을 토대로 미리 각 주요부를 준비하고, 일반적으로 천정판 1 의 중앙하면에 우선 내부원통 2 을 걸어 설치하고, 이 내부원통 2 의 하단에 밑부의 하부트레미구 7 를 취부하고, 최후로 천정판 1 과 밑판 6 의 외부가장자리에 외부원통 3 을 취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착은 모두 스터트용접을 채용하고, 캡본체 A 에 가능한 한 틈사이를 생성하도록 고려하는 동시에 콘크리트타설 후의 캡본체 A 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였다.
캡본체 A 와 철근집 14 와의 조합은 통상 캡본체 A 의 밑판 6 에 뚫어 설치된 철근 구멍 8 을 통하여 철근 11 을 천정판에 달할 때까지 삽입하고(제 5 도 참조), 이후, 횡근 15 를 철근 11 에 스터트용접으로 권장(卷裝)하면서 철근집 14 를 형성하고, 최후로 캡본체 A 의 밑판 6 에 근접한 횡근 15 을 밑판의 곳곳에 스터트용접하여 고착완성한다.
어쨌든 적절한 수단으로 캡본체 A 를 철근집 14 에 삽입 고착한 후, 제 6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굴삭구멍 17 에 이 철근집 14 을 세워 넣고, 필요에 따라 2차 슬라임 처리 등을 실시한 후, 내부원통 2 을 통하여 트레미관 16 을 세워 넣으며, 굴삭구멍 17 의 밑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콘크리트타설을 행하고, 캡본체 A 의 내부원통 2 의 천정면을 지난 곳에서 콘크리트타설을 마무리한다.
콘크리트타설을 종료한 후, 제 7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곧 캐리바 19 에굴삭바켓트 18, 또는 공사현장의 상황에 따라서는 슬라임바켓트를 취부하고, 캐리바 19 의 회전에 의해 내부원통 2 에 충전되어 있는 슬라임혼합콘크리트를 캡밑부에까지 제거한다. 끝난 후 굴삭구멍 17 을 보호하고 있는 케이싱 13 을 인발하고, 캡본체 A 의 위에 적절한 덮개를 씌워 흙모래자갈을 되메운 후, 소정기간 콘크리트양생을 행한다.
양생을 끝내면, 기초 바닥굴삭을 행하여 재차 흙모래자갈을 제거하고, 그곳에 나타나는 파일헤드 캡본체 A 는 파워쇼벨 등의 기계작업에 의하여 우선 천정판 1 을 벗기고, 계속해서 외부원통 3, 내부원통 2 을 순차적으로 찢어서 벗길 수가 있다. 즉, 상기의 스터트용접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다음에 밑판 6 은 2 내지 3개소의 슬릿부를 가스버너로 용단하여 간단하게 제거할 수가 있다. 캡본체 A 의 제작에 스터트용접을 채용했으므로 제작시간이 단축되고, 아울러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되므로 따라서 경제효과도 그만큼 높일 수가 있다.
이리하여 캡본체 A 에 의하여 보호되는 철근 11 의 두부는 안전하게 노출되어, 소기의 목적에 달성되고, 최후로 콘크리트 잔사와 슬라임, 퇴적물 등의 불필요물을 고압수로 세정하여, 파일헤드 처리공사를 완료한다.
제 8 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캡본체 A 이고, 이 실시예의 천정판 1 은 펀칭메탈에 의해 형성되고, 다수의 구멍 5a 이 뚫려 설치되고, 상기와 같이 시공 시에 내부원통 2 과 외부원통 3 과의 사이에 유입된 공기와 흙탕물을 이 구멍 5a 으로부터 순조롭게 유통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밑판 6 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주근구멍(主筋孔) 8 과 슬릿 9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원통 2 과 외부원통 3과의 길이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내부원통 2 을 외부원통 3 보다 짧게 형성하거나, 혹은 내부원통 2 과 외부원통 3 의 길이를 같은 치수로 하여도 된다. 같은 치수의 경우는 밑판 6 은 수평판상으로 내부원통 2 및 외부원통 3 의 하단에 설치된다. 이 캡본체 A 의 사용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펀칭메탈이외에 망체, 그 외 유체를 유통시키는 가공을 실시한 부재라면 강도적, 안전상, 비용상 문제가 없다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다음에 제 9 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캡본체 A 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천정판 1 에 슬릿 9a 이 형성되어 있고, 시공 시에 내부원통 2 과 외부원통 3 과의 사이에 유입한 공기와 흙탕물을 이 슬릿 9a 으로부터 순조롭게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제 10 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캡본체 A 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천정판 1 에 유체토출구멍 5 이 형성되고, 밑판 6 에는 주근구멍 8 과 함께 상기 슬릿 9 에 상당하는 구멍 5c 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의 각각 실시예의 내부원통 2 과 외부원통 3 과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거나, 혹은 내부원통 2 을 외부원통 3 보다 짧게 하여도 좋다. 또한, 밑판 6 에 주근구멍 8 을 형성하는 것은 각 실시예와도 공통되지만, 천정판 1 및 밑판 6 에 형성하는 슬릿과 구멍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가지 형상, 수로 변경하는 것도 자유이며 유체토출 관련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든 좋다.
제 11 도는 상기의 여러 가지 실시예의 캡본체 A ( 그림은 일례를 나타낸다)의 외부원통 3 의 하단쪽의 외부주위면에 계지부 20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계지부 20 로서 볼트 20a 가 외부원통 3 에 설치된 나사구멍에 나사를 조여 취부한다. 이 각각의 볼트 20a 에는 침금(針金)과 끈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21 의 일단을 결합시킨다.
이 캡본체 A 를 철근집 14 에 씌웠을 때에 상기 연결부재 21 의 타단을 철근집 14 의 횡근 15 에 결합시켜서 캡본체 A 를 철근집 14 에 고정한다. 이에 의하여, 시공 시에 캡본체 A 에 대하여 유체에 의해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여도 상기 슬릿과 유체토출구멍의 작용과 함께 연결부재 21 에 의한 고정에 의하여 캡본체 A 의 윗쪽으로의 들어올림을 더욱 확실하게 막을 수가 있다.
제 12 도는 다른 실시예의 공법을 나타내는 그림이고, 캡본체 A 를 철근집 14 의 두부에 관착하여 고정하는 것에 색조 23 로서 2 개의 체인 23a, 23b 를 이용하여 행한다. 즉, 철근집 14 의 두부에 부착한 캡본체 A 의 외부원통 3 의 외부주위면을 따라서 1 개의 체인 23a 를 늘어뜨리는 동시에, 이 체인 23a 를 철근집 14 의 횡근 15 에 걸치고, 또한 내부원통 2 의 내부주위면을 따라 윗쪽으로 늘려서 이 체인 23a 의 양끝의 훅 24a, 24b 를 동일한 체인 23a 에 계지한다. 위와 같이 하여 또 한쪽의 체인 23b 도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인 23a 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한다. 또한, 색조 23 로서는 체인이외에도 와이어끈, 두꺼운 침금, 그 외, 철근집 14 의 횡근 15 에 걸쳐서 캡본체 A 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캡본체 A 를 철근집 14 에 고정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와 같이 시공 시에 캡본체 A 에 대하여 유체에 의해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여도 상기 슬릿과 유체토출구멍의 작용과 함께 체인 23a, 23b 에 의한 고정에 의하여, 체인본체 A 의 윗쪽으로의 들어올림을 더욱 확실하게 막을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캡본체 A 에서는 콘크리트 타설 후에 케이싱 13 (제 7 도 참조) 을 뽑아내는 경우에 케이싱 13 이 상기 실시예와 같은 다수의 볼트 20a (제 11 도 참조)에 걸려서 들어올리기 어려웠던 점도 없어진다.
다음,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은 굴삭한 구멍 1A 에 철근엮음집 2A 를 세워넣는 동시에 자루체 3A 내에 철근엮음집 2A 를 넣어 수납하고, 다음에 자루체 3A 내에 콘크리트 4A 를 타설하여 콘크리트파일을 형성한다.
철근엮음집 2A 는 제 16 도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또는, 연직방향의 주철근 21A 과 링형상의 띄철근 22A 을 짜서 조립한 것으로, 크레인으로 일괄적으로 굴삭구멍 1A 내에 세워 넣는다.
철근엮음집 2A 의 외측에는 굴삭구멍 1A 의 구멍벽과의 간격을 보지하고, 필요한 철근머리부분을 확보하기 위한 스페이서 23A 가 취부되어 있다.
자루체(
Figure pct00003
) 3A는 제 15 도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재로 윗쪽으로 개구한 밑면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부 31A 의 세로방향으로는 통부 31A 를 개폐하기 위한 절취부 32A 가 설치되고, 이 절취부 32A 는 밑부 33A 가깝게 까지 달하고 있으며, 절취부 32A 의 가장자리부에는 전길이에 걸쳐서 퍼스너 34A 가 취부되어 있다. 퍼스너 34A 는 무치(務齒) 35A 와 슬라이더 36A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슬라이더 36A 의 손잡이 36a 는 열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재는 수건이나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시트재는 합성섬유(나일론)제의 망재료(도시생략)로 보강되어 있다.
또한, 자루체 3A 의 통부 31A 의 내부직경치수는 제 16 도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근엮음집 2A 의 스페이서 23A 부분의 외부직경치수 r 보다도 크고, 자루체체 3A 의 외부직경치수를 굴삭구멍 1A 의 굴삭직경 R 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자루체체 3A 를 이용한 장소에 박아 넣는 콘크리트파일공법을 설명한다.
(1) [굴삭]
우선, 제 13 도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삭바켓트 5A 의 굴삭위치를 정하고 나서 소굴삭(素掘削)를 행하고, 다음에 위 그림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층케이싱 6A 를 세워 넣고, 위 그림(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삭바켓트 5A 가 지지층 B 에 집어 넣어질 때까지 굴삭한다.
(2) [자루체 3 의 배치]
굴삭공정을 완료하면 제 15 도 (A) 및 제 16 도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루체 3A 의 밑부 33A 를 굴삭구멍 1A 의 구멍입구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퍼스너 34A 의 슬라이더 36A 를 끌어내려서 측부가 개구된 자루체체 3A 의 통부 31A 를 위가장자리부에서 아래가장자리부를 향해서 돌려감아서 줄인 상태로 구멍입구의 주위부에 배열설치한다.
또한, 제 17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너 34A 의 슬라이더 36A 의 손잡이 36a 를 굴삭구멍 1A 의 구멍입구의 표층케이싱 6A 에 걸쳐서 고정한다.
(3) [철근엮음집 2A 의 세워 넣음]
다음에 제 14 도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삭이 완료된 구멍 1A 에 철근엮음집 2A 를 세워 넣는다.
철근엮음집 2A 을 건립할 때에는 제 14 도 (B) 및 제 16 도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근엮음집 2A 를 크레인(도시생략)에 의하여 잡아 올려서 굴삭구멍 1A 내에 세워 넣는다.
철근엮음집 2A 이 세워 넣어지면 16 도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근엮음집 2A 의 선단에 의하여 자루체 3A 의 밑부 33A 가 굴삭구멍 1A 의 구멍밑까지 밀어 넣는 동시에, 자루체 3A 의 통부 31A 의 권회부(卷回部) 31a 에서 통부 31A 를 감아내어 굴삭구멍 1A 내로 끌어넣어진다. 또한 통부 31A 의 감아냄이 순조롭게 행해지도록 작업자가 보조하도록 해도 좋다.
한편, 퍼스너 34A 의 슬라이더 36A 는 굴삭구멍 1A 의 구멍입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자루체 3A 의 통부 31A 가 굴삭구멍 1A 내에 끌어넣어지는 동시에 끌어넣어지는 통부 31A 의 절취부 32A 이 퍼스너 34A 로 막혀지고, 또한 구멍내 수분 W 이 자루체 3A 의 절취부 32A 에서 자루체 3A 내로 유입한다.
그리고, 철근엮음집 2A 의 건립이 완료된 때에는 제 14 도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루체 3A 내는 구멍내 수분 W 으로 채워진다.
(4) [콘크리트의 타설]
다음에 제 14 도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미관 7A 을 이용하여 굴삭구멍 1A 내로 콘크리트 4A 를 타설한다.
트레미관 7A 의 선단은 제 14 도 (E) (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4A 의 타설의 진행에 따라 끌어올려진다.
이 공정에서는 자루체체 3A 가 콘크리트 4A 의 형틀로서 기능하고 철근엮음집 4A 을 굴삭구멍 1A 의 구멍벽 및 구멍밑부분에서 격리되므로, 굴삭구멍 1A 의 밑부에 고여있는 슬라임이 콘크리트 4A 에 혼입되지 않아서 양질이며 경도가 높은 콘크리트 4A 를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4A 의 최상부는 슬라임과 퇴적물 등을 포함한 불량의 콘크리트가 되는 일이 없으므로, 여분을 행할 필요가 없고, 콘크리트 4A 의 경화 후에 여분을 폴링백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가 있다.
또한, 표층케이싱 6A 은 제 14 도 (F)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타설 후에 뽑혀내어진다.
여러 개의 철근엮음집 2A 을 계속해서 세워 넣는 경우에는, 제 15 도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루체 3A 의 통부 31A 에 통체 3B 를 덧붙이도록 해도 좋다.
이 통체 3B 는 자루체 3A 와 같은 시트재로 형성되어 있고, 통체 3B 의 세로방향으로는 자루체체 3A 와 동일하게 통체 3B 를 열기위하여 절취부가 설치되고, 이 절취부의 가장자리부에는 전길이에 걸쳐서 통체 3B 를 측방향으로 개폐하기 위한 퍼스너 34B 가 취부되어 있다.
따라서, 철근엮음집 2A 의 덧붙이기 작업이 완료하면 자루체 3A 의 통부 31A의 윗가장자리부에 통체 3B 의 아래 가장자리부를 파스너 34C 로 덧붙인 후에, 자루체체 3A 와 같은 요령으로 통체 3B 가 굴삭구멍 1A 내로 끌어넣어지도록 한다.
또한, 파스너 34C 의 무치 35C 는 통 3B 의 아래가장자리부와 자루체 3A 의 통부 31B 의 윗 가장자리부에 각각 취부된다.
36B 는 퍼스너 34B 의 슬라이더, 36C 는 퍼스너 34C 의 슬라이더이다.
자루체 3A 에 통 3B 을 덧붙이는 수단으로서는 파스너 34C 의에 접착속도가 극히 빠른 접착제 (순간접착제) 등이 생각된다.
제 15 도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 3B 에 통체 3B 를 덧붙이는 경우에도 퍼스너 34C 와 순간접착체 등의 덧붙이는 수단으로 행한다.
또한, 선단에 행할수록 직경이 커진 콘크리트파일을 타설하는 경우에는 제 18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루체체 3A 도 콘크리트파일에 합치한 형상으로 제작하면 된다. 또한, 자루체체 3A 를 굴삭구멍 1 의 구멍입구에 배설하는 경우에는 자루체체 3 의 밑부를 구멍입구에 맞도록 줄이면 된다.
본 발명은 각종의 토목건설공사에 있어서 지중에 시공되는 공사현장에 박아 넣는 철근 콘크리트파일에서 철근울타리의 파일헤드부에 삽입하는 파일헤드 처리구, 파일헤드 처리공법 및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공법으로서 이용된다.

Claims (6)

  1. 콘크리트타설용 트레미관 16 이 자유로이 삽입가능한 내부원통 2 을 소정간격을 두고 외부원통 3 으로 둘러싸는 동시에, 양 원통 2, 3 의 상단을 환상의 천정판 1 으로 하단을 환상의 밑판 6 으로 각각 끼워 부착하여 이중원통상의 캡본체 A 를 형성하고, 또한 이 캡본체 A 의 상기 밑판 6 에 소정간격를 두고 여러 개의 철근구멍 8 을 뚫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천정판 1 및 밑판 6 에 유체도출구멍 5 (9)을 개구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cast-in-place concrete piles)의 파일헤드 처리구(pile head處理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원통 2 과 외부원통 3 은 동일한 길이로 천정판 1 및 밑판 6 을 수평판상으로 상기 양 원통 2, 3 의 상단 및 하단에 끼워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
  3. 외부원통 3 의 천정판 1 의 외부 주위가장자리쪽에 여러 개의 유체토출구멍 5 을 뚫어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천정판 1 의 중앙에 콘크리트타설용 트레미관 16 이 자유로이 삽입가능한 상부 트레미구 4 를 뚫어 설치하고, 이 상부 트레미구 4 의 하측에 끼워 부착하고, 상기 외부원통 3 보다 2% 내지 3% 짧은 상하면 개방형의 내부원통 2 을 관(冠)형상으로 씌워 설치하여 이중원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캡본체 A 에 있어서, 상기 외부원통 3 의 밑판 6 의 외부 주위가장자리쪽으로의 평탄지역 6a 에 철근집 14 을 형성하는 철근 11 을 삽입하기 위해 거의 같은 간격으로 여러 개의 철근구멍 8을 뚫어 설치하고, 또한 이 밑판 6 의 중앙에 뚫어 설치한 하부트레미구 7 의 주위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짼 여러 개의 슬릿 9 을 거의 같은 간격으로 또한 상기 평탄지역 6a 을 남겨서 형성하고, 또한 각 슬릿 9 에 의하여 생긴 슬릿면 9a 을 경사지게 윗쪽으로 절곡하고, 이 슬릿편 9a 의 선단을 상기 내부원통 2 의 아래가장자리에 고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 1 또는 밑판 6 은 망체 또는 펀칭메탈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집 14 에 캡본체 A 를 관착하는 동시에, 캡본체 A 와 철근집 14 을 자유로이 부착·이탈하는 체인과 와이어, 끈 등의 색조 23 로 묶어서 고착하고, 이 철근집 14 을 굴삭구멍 17 에 세워 넣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집 14 에 캡본체 A 를 스타트용접으로 고착하여 굴삭구멍 17 에 세워 넣고, 뒤이어 상기 캡본체 A 의 내부원통 2 에 의해 트레미관 16 을 굴삭구멍 17 에 세워 넣으며, 상기 굴삭구멍 17 의 밑부로부터 상기 내부원통 2 천정면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콘크리트타설을 행한 후, 곧 캐리바 19 에취부한 굴삭바켓트 18 를 회전시키므로써, 내부원통에 충전된 슬라임혼합콘크리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파일의 파일헤드 처리구
KR1019970702757A 1994-12-05 1995-11-27 현장치기콘크리트파일의파일헤드처리구,파일헤드처리공법및현장치기콘크리트파일공법 KR1004280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058394 1994-12-05
JP94-300583 1994-12-05
JP22821595A JPH0971933A (ja) 1995-09-05 1995-09-05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工法
JP95-228215 1995-09-05
JP28364595A JPH08209686A (ja) 1994-12-05 1995-10-31 場所打杭の杭頭処理具及び杭頭処理工法
JP95-283645 1995-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7350A KR970707350A (ko) 1997-12-01
KR100428018B1 true KR100428018B1 (ko) 2004-09-10

Family

ID=2733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757A KR100428018B1 (ko) 1994-12-05 1995-11-27 현장치기콘크리트파일의파일헤드처리구,파일헤드처리공법및현장치기콘크리트파일공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61253A (ko)
EP (1) EP0796948B1 (ko)
KR (1) KR100428018B1 (ko)
CN (1) CN1077942C (ko)
DE (1) DE69528377D1 (ko)
WO (1) WO19960180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366B1 (ko) * 2019-04-12 2019-10-21 정훈식 현장타설 콘크리트파일의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6731A1 (de) * 1997-10-13 1999-05-06 Huang Chia Hsiung C-Profil-Pfahl und Verfahren zum Einbringen von C-Profil-Pfählen
JP3284110B2 (ja) * 1998-12-17 2002-05-20 韓国道路公社 鋼管杭用蓋板
WO2002007499A2 (en) * 2000-07-20 2002-01-31 Smartec Engineering Co., Ltd. Apparatus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head of steel pipe pile and concrete footing
KR200212743Y1 (ko) * 2000-08-09 2001-02-15 배정효 기초공사용 강관의 상단부 보강구조
US6568881B2 (en) 2001-10-15 2003-05-27 Walter Daniel Long Jet head device for sinking pilings
GB2400880A (en) * 2003-04-22 2004-10-27 Cordek Ltd Former for use in removing the tops of piles
US6893598B1 (en) 2003-09-05 2005-05-17 Mark A. March Finishing guide for concrete piers
US8206064B2 (en) * 2005-10-20 2012-06-26 University Of South Florida Voided drilled shafts
US7735273B2 (en) * 2006-01-17 2010-06-15 Morton Buildings Poured concrete column hole
US7360315B2 (en) 2006-01-17 2008-04-22 Morton Buildings Poured concrete column alignment and plumbing tool
KR100742540B1 (ko) * 2006-04-12 2007-07-25 (주) 대호바콘텍 확대기초구조물용 콘크리트 말뚝의 헤드커버
US20080008539A1 (en) * 2006-07-05 2008-01-10 Con-Tech Systems Ltd. Void form for constructing post-tensioned foundation piles
AU2008352042A1 (en) * 2008-03-03 2009-09-11 Daniel Stark Tower foundation system
US20100257794A1 (en) * 2009-04-10 2010-10-14 Stark N Daniel W Lateral support device
US8381479B1 (en) * 2009-09-28 2013-02-26 Felix E. Ferrer Pre-fabricated modular reinforcement cages for concrete structures
CN101812844A (zh) * 2010-02-10 2010-08-25 郭振国 一种桥梁桩基用护筒
US20120042605A1 (en) * 2010-08-17 2012-02-23 Turner Michael L Removable Support Cage For Top Of Drilled Pier
IT1402942B1 (it) * 2010-12-10 2013-09-27 Fondazioni Speciali S P A Palo di fondazione, particolarmente del tipo trivellato
CN102444117A (zh) * 2011-09-16 2012-05-09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黄土地区钢筋混凝土防护桩施工方法
JP6153764B2 (ja) * 2013-04-23 2017-06-28 株式会社サンエイ スライム除去バケ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杭頭処理工法
CN104234038A (zh) * 2014-03-03 2014-12-24 王磊 一种灌注桩免破碎桩头施工工艺
TWI609117B (zh) * 2014-04-07 2017-12-21 Centrifugal pre-tensioned concrete pile with exhaust function
CN104695424B (zh) * 2015-03-18 2016-08-31 建华建材(莱阳)有限公司 复合地基用预制空心桩桩帽及其固定方法
CN106400783B (zh) * 2016-08-12 2018-07-03 武汉志和岩土工程有限公司 采用展开式钢筋笼制成灌注桩的施工方法
JP6909607B2 (ja) * 2017-03-28 2021-07-28 大成建設株式会社 場所打ち杭および基礎の構築方法
CN106996107A (zh) * 2017-05-26 2017-08-01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灌注桩桩头的破除装置及其施工方法
CN107268627B (zh) * 2017-07-14 2019-08-23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大型钻孔灌注桩桩头破除方法
US10808412B2 (en) * 2017-07-31 2020-10-20 Mohammad Reza Ehsani Spacers for repair of columns and piles
US20190311594A1 (en) * 2018-04-10 2019-10-10 Kidde Technologies, Inc. Container for lithium battery
US11415109B2 (en) 2018-06-28 2022-08-16 Beijing Goldwind Science & Creation Windpower Equipment Co., Ltd. Damper and load-bearing enclosure structure having same
CN110630680B (zh) * 2018-06-28 2020-12-18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阻尼器以及具有该阻尼器的承载围护结构
CN109235437A (zh) * 2018-10-30 2019-01-18 中铁北京工程局集团有限公司 一种破除桩头方法
CN110344389A (zh) * 2019-07-03 2019-10-18 深圳市工勘岩土集团有限公司 塔式地下水压力回灌设备
CN110725308A (zh) * 2019-09-17 2020-01-24 中铁大桥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桩基钢筋笼安装平面位置精确定位的施工方法及限位装置
WO2023080774A1 (en) * 2021-11-05 2023-05-11 Will N Well Property Sdn Bhd A system for guiding tremie pipe placement and a method for using thereof
CN115075224B (zh) * 2022-07-12 2023-07-07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钢柔结合的预制管桩多功能挡板及实现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9313A (ja) * 1990-10-11 1992-05-22 Taisei Corp 場所打ち杭構築工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1549A (en) * 1949-06-20 1951-10-16 Luther T Dunning Method of ere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DE1298459B (de) * 1965-09-08 1969-06-26 Pleuger Friedrich Wilhelm Schlauchschalung zum Herstellen von Ortbetonpfaehlen
US3487646A (en) * 1968-08-19 1970-01-06 Paul Henri Gatien Load bearing pile
JPS491007A (ko) * 1972-04-19 1974-01-08
CA1041780A (en) * 1975-03-26 1978-11-07 Pynford Limited Pile
JPS5880020A (ja) * 1981-11-02 1983-05-14 Hasegawa Komuten Co Ltd 場所打ち杭の杭頭処理工法
US4472085A (en) * 1981-12-14 1984-09-18 The Union Metal Manufacturing Co. Caisson cap
JPS6030714A (ja) * 1983-07-27 1985-02-16 Komatsu Ltd 場所打ち杭の杭頭処理装置
JPS60119815A (ja) * 1983-12-03 1985-06-27 Hasegawa Komuten Co Ltd 余盛コンクリ−ト除去用バケツト
JPH01219214A (ja) * 1988-02-26 1989-09-01 Shuzo Tamoto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ぐいのくい頭処理方法
JPH01322020A (ja) * 1988-06-23 1989-12-27 Masaharu Ookawa 場所打杭の杭頭処理用キャップ
CH683197A5 (de) * 1990-12-19 1994-01-31 Eggstein Ag Länglicher Stützkorb, zur Herstellung eines Betonpfahles.
US5359829A (en) * 1992-12-07 1994-11-01 Voita John M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of steel reinforcement cages for pier foundations
US5423633A (en) * 1993-12-23 1995-06-13 Beheersmaatschappij Verstraeten B.V. Piling apparatus adapted to be provided in a tub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9313A (ja) * 1990-10-11 1992-05-22 Taisei Corp 場所打ち杭構築工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366B1 (ko) * 2019-04-12 2019-10-21 정훈식 현장타설 콘크리트파일의 두부정리장치 및 두부정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96948B1 (en) 2002-09-25
CN1168707A (zh) 1997-12-24
DE69528377D1 (de) 2002-10-31
EP0796948A1 (en) 1997-09-24
EP0796948A4 (en) 1999-05-06
KR970707350A (ko) 1997-12-01
WO1996018001A1 (fr) 1996-06-13
CN1077942C (zh) 2002-01-16
US5961253A (en)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018B1 (ko) 현장치기콘크리트파일의파일헤드처리구,파일헤드처리공법및현장치기콘크리트파일공법
JP3453664B2 (ja) 縦坑の構築工法
JPH08209686A (ja) 場所打杭の杭頭処理具及び杭頭処理工法
JP5480744B2 (ja) 構造物用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3827309B2 (ja) 埋め込み杭工法用補助装置及び埋め込み杭工法
JP4137173B1 (ja) 場所打ち杭における鉄筋籠の建て込み工法
JP2693027B2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杭頭処理工法
JP2000192454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ト杭の余盛り部の撤去方法およびその撤去装置
JPH042134B2 (ko)
JPH067068Y2 (ja) 地盤改良装置
JP2980311B2 (ja) コーピング没水型護岸の施工法およびその施工法で用いるバイブロハンマ
JP3726991B2 (ja) 支持力向上杭の施工方法
JP5480745B2 (ja) 構造物用既設基礎の補強方法
JP2964406B1 (ja) 防護柵支柱用打込保護具
JP3084498B2 (ja) 鋼管杭の頭部処理方法
JP4683800B2 (ja) 杭頭処理具および杭頭処理方法
JP3470954B2 (ja) 既設埋設管に対する人孔の割り込み敷設方法
JPH01322020A (ja) 場所打杭の杭頭処理用キャップ
JPH08105041A (ja) 現場打ち基礎杭の杭頭処理方法およびこの処理を行うための工具
JPS62236922A (ja) 矢板壁構造物の補強方法
JP2004332368A (ja) コンクリート基礎の施工方法
JP2000240070A (ja) 中空部を有する基礎杭における杭頭補強筋挿入用スペースの確保方法
JPH10266199A (ja) 先端パッカー付き二重注入管および鋼芯モルタル杭の施工方法
JPH0517958A (ja) 鋼管杭の施工方法
JPS5842336B2 (ja) リバ−ス杭を用いた水中基礎の築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