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317B1 -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317B1
KR100401317B1 KR10-2001-0074081A KR20010074081A KR100401317B1 KR 100401317 B1 KR100401317 B1 KR 100401317B1 KR 20010074081 A KR20010074081 A KR 20010074081A KR 100401317 B1 KR100401317 B1 KR 100401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developing
developing sleeve
sleeve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751A (ko
Inventor
오구마도오루
와따나베가즈시
가라까마도시유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0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with bias volt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 슬리브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플랜지(28)에 부착됨으로써 이용되고, 전자사진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슬리브(12)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 접점 부재(29)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 접점 부재(29)는 상기 전기 접점 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부착될 경우에 상기 플랜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현상 슬리브를 지지하는 프레임(13) 상에 제공되는 프레임측 전극(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코일 스프링부(29b)와, 상기 플랜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기 접점 부재가 부착되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현상 슬리브의 상기 일단부에 부착되는 경우에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측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점부(29a)와, 상기 전기 접점 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부착될 경우에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접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9c)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ELECTRIC CONTACT MEMBER AND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FORMING APPARATUS USING THE ELECTRIC CONTACT MEMBER}
본 발명은 전기 접점 부재와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다음으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예컨대 전자사진 복사 장치, 전자 사진 프린터(예컨대, 레이저 비임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현상 수단 및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 그 안에 일체로 합체되고,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근래에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화상 기록을 수행한다. 즉, 잠상이 화상 신호에 응답하는 광 조사에 의해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되고, 현상제(이하, 토너로 지칭된다)가 현상제 함유 부재의 회전에 의해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공급되고, 현상제 바이어스가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기 위해 공급된다.
이러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그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서 작동하는 프로세스 수단이 카트리지 안쪽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하다. 사용자가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정비원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개인적으로 장치의 보수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작동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널리 사용된다.
도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감광 드럼과 현상제 함유 부재(이하, 현상 슬리브로 지칭된다)의 구조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감광 드럼(5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레임(5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현상제 슬리브(50)는 현상제 슬리브(50)의 양 단부에 끼워맞춤된 스페이서 런너(52, 53)를 갖는 감광 드럼(51)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현상제 슬리브(50)는 알루미늄 파이프의 슬리브 실린더(57), 슬리브 실린더(57) 내에 배치된 자석 롤러(56), 수지로 제조된 슬리브 플랜지(54, 55), 현상제 바어어스를 현상 슬리브(50)에 가하기 위한 슬리브전극(58) 등을 포함한다.
도3은 슬리브 플랜지(54)와 슬리브 전극(58)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슬리브 전극(58)은 슬리브 실린더(57)로 전도하는 접점부(58a)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레임(59) 상에 형성된 현상제 바이어스 전극(60)으로 전도하는 접점부(58b)를 포함하는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의 현상제 바이어스 전압은 접점부(58b)로 가해진다. 슬리브 전극(58)은 슬리브 플랜지(54)에 부착된다. 슬리브 플랜지(54)의 표면 상에서, 홈(54a)은 슬리브 전극(58)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슬리브 전극(58)이 홈(54a)에 끼워 맞춤되고, 슬리브 실린더(57)의 내주연면과 접점부(58a)가 전도되도록 상호 접촉되면서, 슬리브 플랜지(54)는 슬리브 실린더(57)에 끼워 맞춤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성된 현상 슬리브(5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레임(59)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슬리브 전극(58)과 현상제 바이어스 전극(60)이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 보다 향상된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보다 확실히 현상 슬리브에 가할 수 있는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보다 안정적으로 현상 슬리브에 인가할 수 있는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랜지의 원형도를 보다 개선하기 위한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측의 전극으로써 안정적으로 전기 접점을 성취할 수 있는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랜지의 내부에 일부가 배치된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접점 부재를 제공하는 것인데, 그 전기 접점 부재는 다음을 포함한다.
전기 접점 부재가 플랜지에 부착될 때 플랜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하고, 현상 슬리브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에 형성된 프레임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코일 스프링부와,
플랜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전기 접점 부재가 접촉하는 플랜지가 현상 슬리브의 단부 부분에 부착될 때 현상 슬리브의 내부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점부와,
전기 접점 부재가 플랜지에 부착될 때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되고, 코일 스프링부와 접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전기 접점부를 사용하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을 고찰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현상 슬리브의 슬리브 전극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2는 종래의 현상 슬리브의 슬리브 전극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종래의 슬리브 플랜지의 슬리브 전극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위에 장착되어 있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종단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다이어그램.
도5는 본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슬리브 플랜지의 슬리브 전극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슬리브 실린더 삽입 측으로부터 관측된 본 발명의 슬리브 플랜지의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A)의 개폐 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광학 수단
7: 드럼형 전자사진 감광 부재
8: 충전 롤러
12: 현상 슬리브
17: 자석 롤러
18: 현상 블래이드
26: 슬리브 실린더
52: 스페이서 런너
58: 슬리브 전극
60: 현상제 바이어스 전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설명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반적인 설명]
우선,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A)로 참조]의 전반적인 구조가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4는 화상 형성 장치(A) 내에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종단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또한, 도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종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형 전자사진 감광 부재[이하 감광 드럼(7)으로 참조]는 화상 형성 장치(A)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B) 상에 장착된다. 감광 드럼(7)은 도4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고 충전 수단인 충전 롤러(8)에 의해 충전된다. 다음에, 레이저 다이오드, 폴리곤 미러, 렌즈 및 반사 미러를 포함하는 광학 수단(1)이 감광 드럼(7) 상에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비임을 조사함으로써,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감광 드럼(7) 상에 형성된다. 잠상은 눈에 보이는 화상인 토너 화상으로 되도록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된다.
현상 수단은 감광 드럼(7)에 현상제(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지지 부재인 현상 슬리브(12) 및 현상 슬리브(12)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부재인 현상 블래이드(18)로 구성된다. 게다가, 현상 슬리브(12), 현상 블래이드(18), 슬리브(12)와 블래이드(18)를 지지하기 위한 현상 프레임(13) 및 현상제를 저장하는 (소위 현상제 프레임이라 불리는) 토너 용기(11)는 현상 장치인 현상 유닛(20)을 구성하도록 연결된다.
현상제 슬리브(12)의 외부면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알루미늄 파이프로 만들어진 슬리브 실린더(26)를 형성하고(도5 참조), 현상 슬리브(12)는 현상 프레임(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영구 자석으로 만들어진 자석 롤러(17)는 슬리브 실린더(26)에 장착된다. 자석 롤러(17)는 현상 프레임에 고정되고, 슬리브 실린더(26)는 자석 롤러(17)의 외주연 상에서 회전한다. 게다가, 현상 블래이드(18)는 현상 슬리브(12)로부터 적절한 간격을 갖고 현상 슬리브(12)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후, 토너 용기(11)는 현상액인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토너 저장부(14)를 형성하고, 토너 용기(11)는 토너 저장부(14) 내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토너 공급 부재(15)를 구비한다. 토너 공급 부재(15)는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박판을 포함한다. 토너 용기(11)는 토너 저장부(14)를 형성하여 토너 저장부(14)의 토너를 현상 프레임(13)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 프레임(13)에 고정된다.
현상 프레임(13)은 현상 챔버(13a)를 포함하고, 토너 공급 부재(15)의 회전에 의해 현상 챔버(13a)에 인접하는 토너 저장부(14) 내의 토너가 현상 챔버(13a)에 공급된다. 토너 저장부(14)로부터 공급된 현상 챔버(13a) 내의 토너를 토너 교반 부재(16)를 회전시킴으로써 순환시키기 위해 현상 프레임(13)은 현상슬리브(12)의 주변에 회전 가능한 토너 교반 부재(16)를 갖는다. 또한, 토너가 자성을 갖고, 슬리브 실린더(26)가 자석 롤러(17)를 내장하기 때문에, 토너는 슬리브 실린더(26) 상에 부착된다.
그리고, 토너는 슬리브 실린더(26)의 회전에 의해 운반되고, 현상 블래이드(18)에 의해 마찰 전기 충전이 토너 내로 유도된다. 그후, 소정 두께의 토너층이 현상 슬리브(12) 상에 형성되고, 토너는 감광 드럼(7)의 현상 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 영역에 공급된 토너는 감광 드럼(7)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도록 감광 드럼(7) 상에 잠상으로 절환된다. 다시 말해, 현상 슬리브(12)는 화상 형성 장치(A)의 본체 내에 제공된 현상 바이어스 회로에 연결되고, 일반적으로 직류 전압이 교류 전압에 중첩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현상 슬리브(12)에 인가된다.
한편, 공급 카세트(3a) 위에 설치된 기록 매체(2)는 픽업 롤러(3b), 롤러쌍(3c, 3d) 및 등록 롤러쌍(3e)에 의해 토너 화상의 형성과 동조되도록 전송 위치로 운반된다. 전송 롤러(4)가 전송 위치에 전송 수단으로써 배치되고, 감광 드럼(7) 상의 토너 화상은 전송 롤러(4) 상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기록 매체(2) 상에 전송된다.
토너 화상이 전송된 기록 매체(2)는 운반 가이드(3f)에 의해 혼합 수단으로 운반된다. 혼합 수단(5)은 구동 롤러(5c)와, 히터(5a)가 내장되고 지지 부재(5d)에 의해 지지되는 관형 박판인 고정 로터리 부재(5b)를 구비한다. 고정 수단(5)은 기록 매체(2) 상에 전송된 토너 화상을 고정시키기 위해 통과된 기록 매체(2) 상에 열과 압력을 인가한다.
토너 화상이 위에 고정된 기록 매체(2)는 토출 롤러쌍(3g)에 의해 운반되고, 표면 역전 통로(3j)를 통해 토출 롤러쌍(3h)에 의해 토출 트레이(6)로 토출된다. 토출 트레이(6)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상부면 상에 설치된다. 또한, 표면 역전 통로(3j)를 통해 통과됨이 없이 피봇식으로 이동 가능한 플래퍼(3k)를 작동시킴으로써 기록 매체(2)를 토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픽업 롤러(3b), 운반 롤러쌍(3c, 3d), 등록 롤러쌍(3e), 운반 가이드(3f) 및 토출 롤러쌍(3g, 3h)은 운반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전송 롤러(4)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2) 상에 전송한 이후에, 감광 드럼(7)은 감광 드럼(7) 상의 잔류 토너가 세척 수단(9)에 의해 제거된 후에 다음 화상 형성 처리를 위해 준비된다. 세척 수단(9)은 감광 드럼(7)에 접하도록 배치된 탄성 세척 블래이드(9a)와 잔류 토너를 저장하기 위한 제거된 토너 저장부(9b)로 구성된다. 제거된 토너 저장부(9b)는 세척 프레임(9c)에 의해 한정되고, 또한 세척 프레임(9c)은 세척 블래이드(9a)를 지지한다. 세척 수단(9)은 세척 블래이드(9a)로 감광 드럼(7) 상의 잔류 토너를 긁어내고, 제거된 토너 저장부(9b)에 긁힌 토너를 모은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설명]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현상 수단이 제공된 현상 프레임(13)에 토너 용기를 결합하여 통합된 몸체부로 현상 유닛(20, 현상 장치)을 형성한다. 토너 용기(11)는 토너 수용부(14)를 형성하고 토너 수용부(14) 내의 토너 공급 부재(15)를 회전식으로 지지한다. 현상 프레임(13)은 현상 수단으로 현상 슬리브(12)와 현상 블레이드를 유지한다.
또한, 세척 블레이드(9a) 등을 포함하는 세척 수단(9)과 감광 드럼(7)과 대전 롤러(8)는 세척 유닛(19)을 형성하도록 세척 프레임(9a)에 의해 지지된다.
그 후,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현상 유닛(20)과 세척 유닛(19)을 회전식으로 조합하여 카트리지인 하나의 통합된 몸체부로 제작된다.
이하, 화상 형성 장치(A)의 주 몸체부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장착하고 탈착하는 방법이 도4와 도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8은 화상 형성 장치(A)의 개폐 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A)의 개폐 부재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5a)로 개방될 때, 전방으로 경사진 우측 및 좌측 안내 레일(26L, 26R, 26R은 도시되지 않음)은 화상 형성 장치(A)의 우측 및 좌측 내부벽들 상에서 볼 수 있다. 그 후, 장치(A)의 주 몸체부 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을 따라 관측되는 원통형 안내부 뒤에 위치된 우측 및 좌측 원통형 안내부(도시되지 않음)가 안내 레일(26L, 26R)로 삽입되어 원통형 안내부는 화상 형성 장치(A)의 위치 설정 홈(26bL, 26bR)에 끼워 맞춰진다. 그 결과,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A) 내에 장착된다.
반대로, 화상 형성 장치(A)에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제거될 때, 상기 제거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위에 설명된 순서와 반대 순서로 안내 레일(26L, 26R)을 따라 당겨서 수행된다.
[현상 슬리브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현상 슬리브(12)의 구성이 도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축방향을 따라 취해진 감광 드럼(7)과 현상 슬리브(1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될 실시예에서, 슬리브 전극(29; 전기 접점 부재)은 슬리브 실린더(26) 내에 압박 끼워맞춤되도록 슬리브 플랜지(28)에 부착된다. 슬리브 전극(29)은 현상 바이어스 전극(30; 프레임측 전극) 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코일 스프링(29)과, 슬리브 실린더(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부(29a)와, 연결부(29a)와 코일 스프링(29b)을 연결하는 연결부(29c)를 포함한다. 연결부(29c)는 슬리브 플랜지(28) 내측에 배치된다. 그 결과, 슬리브 플랜지(28)의 화상의 품질을 개선시키는 정밀도가 개선되며 또한, 현상 슬리브(12)의 회전 속도가 빠를지라도, 슬리브 전극(29)과 현상 바이어스 전극(30) 사이의 접점부의 접촉이 안정화된다.
도1에 도시되지는 않지만 감광 드럼(7)은 세척 프레임(9c)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현상 슬리브(12)는 현상 슬리브(12)의 양단부 상에 회전식으로 끼워 맞춰진 스페이서 런너(24, 25)를 갖는 감광 드럼(7)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에 배치된다. 현상 슬리브(12)는 원통형 알루미늄 파이프의 슬리브 실린더(26)와, 슬리브 실린더(26)에 형성된 자석 롤러(17)와, 합성 수지로 제작된 슬리브 플랜지(28, 31)와, 현상 바이어스를 현상 슬리브(12) 등에 인가하기 위한 전기 접점 부재인 슬리브 전극(29)을 포함한다.
자석 롤러(17)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 모두가 현상 프레임(13) 상에 고정된 후에, 자석 롤러(17)가 비회전식 구조로 구성된다.
원통형 슬리브 실린더(26)는 자석 롤러(17)로부터 이격되어 자석 롤러(17) 주위에 배치된다. 슬리브 플랜지(28, 31)는 슬리브 실린더(26)의 양단부에 끼워 맞춤 된다. 슬리브 플랜지(28, 31)는 베어링(32, 33)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베어링(32, 33)은 현상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현상 슬리브(12)는 현상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된다. 감광 드럼(7) 상에 동축방향으로 고정된 드럼 기어(7a)가 회전할 때, 드럼 기어(7a)와 결합된 슬리브 기어(12a)는 슬리브 기어(12a)가 고정된 슬리브 플랜지(31)를 슬리브 기어(12a)와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한다. 그 후, 슬리브 실린더(26)는 자석 롤러(17)의 외주연측 상에서 회전하며, 슬리브 실린더(26)에 접착된 토너는 감광 드럼(7)으로 반송된다.
전기 접점 부재인 슬리브 전극(29)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부재로 제조되며 자석 롤러(17)의 일단부(도1의 우측 단부) 상에 끼워 맞춤된 슬리브 플랜지(28)에 부착된다. 코일 스프링(29b)은 슬리브 전극(29)의 일단부 상에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29b)은 프레임측 전극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의 카트리지 프레임(13; 현상 프레임)에 부착된 현상 바이어스 전극(30)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현상 바이어스 전극(30)을 구비한 코일 스프링(29b)의 접점부는 현상 장비의 프레임 측면 전극과 연결 가능한 제1 접점부이다. 현상 바이어스 전극(30)은, 노멀 라인(normal line)이 현상 슬리브(12)의 축방향 라인인 평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현상 바이어스 전극(30)과 접촉하는 코일 스프링(29b)의 단부는 원환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단부는 원환체의 대체로 전체 영역에서 현상 바이어스 전극(30)의 평편면과 접촉한다.
슬리브 실린더(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부(29a)가 슬리브 전극(29)의 타단부에서 형성된다. 접점부(29a)는 현상 슬리브(12)의 슬리브 실린더(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접점부이다. 코일 스프링(29b)과 접점부(29a)는 슬리브 플랜지(28)의 내부에 위치 설정된 연결부(29c)를 통해 서로에 대해 연결되며, 코일 스프링(29b)과 연결부(29c)와 접점부(29a)는 라인 재료로 형성된다.
도6은 슬리브 전극(29)이 슬리브 플랜지(28)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슬리브 실린더(26)의 내주연면 내로 끼워맞춤될 슬리브 실린더(26) 내로 압박 끼워맞춤되는 압박 끼워맞춤부(28c)가 슬리브 플랜지(28) 내에 형성된다. 압박 끼워맞춤부(28c)는 실린더 형태이며, 외주연면이 슬리브 실린더(26)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압박 끼워맞춤부(28c)의 외주연면의 높은 원형이 요구된다.
슬리브 실린더(26) 내로 슬리브 플랜지(28)의 측면을 삽입할 때, 압박 끼워맞춤부(28c)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안내부(28a)가 슬리브 실린더(26) 내로의 슬리브 플랜지(28)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슬리브 플랜지(28)가 슬리브 실린더(26)로 압박 끼워맞춤될 때, 안내부(28a)가 슬리브 실린더(26)의 실린더로 우선 삽입된 후, 압박 끼워맞춤부(28c)가 실린더 내로 압박 끼워맞춤되어, 슬리브 플랜지(28)가 슬리브 실린더(26) 내로 끼워 맞춤된다.
현상 슬리브(1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부(28b)는 슬리브 플랜지(28) 내에 형성된다. 샤프트부(28b)는 베어링(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코일 스프링(29b)은 샤프트부(28b)의 내경부에 배치되며, 코일 스프링(29b)으로 계속되는 연결부(29c)는 슬리브 플랜지(28)의 내주연면 상에 위치된다. 연결부(29c)는 안내부(28a)의 단부 부분에서 굽혀지며, 안내부(28a)의 외주연면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그후 연결부(29c)는 안내부(28a) 내에 형성된 홈(28d)에 끼워 맞춰진다. 연결부(29c)의 단부 부분은 안내부(28a)로부터 돌출된 접점부(29a)를 형성하도록 외부로 굽혀진다. 이에 대해, 홈(28d)은 그의 축방향으로 안내부(28a)의 외주연 상에서 형성된다.
도7은 안내부(28a)측에서 관측될 때(도6에서 화살표 VII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 관측될 때)의 슬리브 플랜지(28) 및 슬리브 전극(29)의 도면이다. 리브(28e, 28f)는 슬리브 전극(29)의 코일 스프링(29b)을 부착하기 위해 (도안 용지의 뒷면에서) 시트부의 역할을 한다. 또한, 슬리브 전극(29)은 슬리브 플랜지(28)의 홈(28d)으로 접점부(29a)를 끼워 맞춤으로써(도6 참조), 그리고 리브(28f)에 의해 연결부(29c)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슬리브 플랜지(28)로 위치 설정된다.
전술된 실시예의 요약은 이하와 같다.
전자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잔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 슬리브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 접점 부재에서, 플랜지는 현상 슬리브의 실린더의 일단부 부분을 압박 끼워맞춤되며; 전기 접점 부재는 플랜지에 부착되며 현상 슬리브가 부착된 프레임에 부착되는 프레임측 전극과 전기 접속될 수 있는 제1 접점부와, 실린더와 전기 접촉될 제2 접점부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1 접점부는 전기 접점 부재의 일단부 상에 형성된 코일 스프링이며; 제2 접점부는 전기 접점 부재의 타단부 상에 형성되며, 제2접점부는 플랜지로부터 돌출한 돌출부이며; 연결부는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대해, 플랜지는 실린더로 압박 끼워맞춤되도록 원통형 압박 끼워맞춤부와 압박 끼워맞춤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며, 제2 접점부는 삽입 안내부에 부착된다.
또한, 플랜지는 내경부 상에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리브는 제1 접점부인 코일 스프링에 대한 시트부이며 연결부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슬리브 플랜지(28)의 슬리브 실린더(26)로의 압박 끼워맞춤부(28c)에 종래 기술에 대해 기재된 홈 등을 형성하는 것은 불필요하게 되며, 압박 끼워맞춤부(28c)는 완전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압박끼워 맞춤부(28c)의 정밀도(원형도)는 개선될 수 있으며, 슬리브 실린더(26)의 스페이서 런너 인접부의 원형도는 개선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7)과 현상 슬리브(12) 사이의 간격의 변화는 감소될 수 있으며, 그 후 고품질 화상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전극(29) 및 현상 바이어스 전극(30)의 접점부가 감긴 코일 스프링(29b)의 단부 부분이며 슬리브 전극(29)과 현상 바이어스 전극(30) 사이의 접촉 압력이 결과적으로 일 지점에 집중되지 않으므로, 전극(29, 30)의 스크래핑이 발생하기 어려우며 그들 사이의 확실한 전도가 획득될 수 있다. 전기 소음도 또한 발생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슬리브 플랜지 및 슬리브 전극의 사용은 슬리브 플랜지의 정밀도및 화상의 품질을 개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현상 슬리브의 회전 속도가 빠르더라도, 슬리브 전극과 현상 바이어스 전극 사이의 접점부의 접촉은 안정적이며, 그 결과, 전기 접점 부재의 사용 시간이 길더라도 전극의 스크래핑이 감소될 수 있으며 확실한 전도가 획득될 수 있다. 전기 소음 및 마찰음의 발생이 어렵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 바이어스 전압은 현상 슬리브에 안정하게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기재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적용은 개선의 목적 또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많이 발생할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2)

  1. 현상 슬리브의 단부에 부착되는 플랜지에 부착됨으로써 이용되고,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슬리브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 접점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접점 부재는,
    상기 전기 접점 부재가 플랜지에 부착될 때 상기 플랜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현상 슬리브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에 형성된 프레임측 전극에 전기 접속되는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전기 접점 부재가 부착되는 플랜지가 상기 현상 슬리브의 단부에 부착될 때, 플랜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접점부와,
    전기 접점부가 플랜지에 부착될 때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접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현상 슬리브 내로 압박 끼워맞춰지는 원통형 압박 끼워맞춤부와, 상기 압박 끼워맞춤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전기 접점 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부착될 때 상기 플랜지의 삽입 안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그 원주 방향을 따른 내부면 상에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 부재가 상기 플랜지에 부착될 때 코일 스프링부는 부착 시트면으로서 상기 다수의 리브 상에 착좌되고 상기 연결부의 부착 위치는 상기 다수의 리브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점 부재.
  4.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현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슬리브와,
    상기 현상 슬리브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부착되고, 상기 현상 슬리브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 접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 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현상 슬리브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에 마련된 프레임측 전극에 전기 접속되는 코일 스프링부와,
    플랜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접점부와,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접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현상 슬리브 내로 압박 끼워맞춰지는 원통형 압박 끼워맞춤부와, 상기 압박 끼워맞춤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플랜지의 삽입 안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그 원주 방향을 따른 내부면 상에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코일 스프링부는 부착 시트면으로서 상기 다수의 리브 상에 안착하고 상기 연결부의 부착 위치는 상기 다수의 리브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슬리브와,
    상기 현상 슬리브의 단부에 부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부착되고, 상기 현상 슬리브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 접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접점 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현상 슬리브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에 마련된 프레임측 전극에 전기 접속되는 코일 스프링부와,
    플랜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접점부와,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접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현상 슬리브에 압박 끼워맞춰지는 원통형 압박 끼워맞춤부와, 상기 압박 끼워맞춤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그 원주 방향을 따라 그 내측면 상에 다수의 리브들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부는 부착 시트면으로서 상기 다수의 리브들 상에 안착되며, 상기 연결부의 부착 위치는 상기 다수의 리브들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슬리브와, 상기 현상 슬리브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부착되어 상기 현상 슬리브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 접점 부재와, 기록 매체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접점 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현상 슬리브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에 제공되는 프레임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플랜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부면과 접촉하는 접점부와,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접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와, 기록 매체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슬리브와, 상기 현상 슬리브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부착되어 상기 현상 슬리브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 접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접점 부재는 상기 플랜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현상 슬리브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에 제공되는 프레임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플랜지의 타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현상 슬리브의 내부면과 접촉하기 위한 접점부와, 상기 플랜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부와 상기 접촉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1-0074081A 2000-11-28 2001-11-27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401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1100 2000-11-28
JP2000361100A JP3423684B2 (ja) 2000-11-28 2000-11-28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気接点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751A KR20020041751A (ko) 2002-06-03
KR100401317B1 true KR100401317B1 (ko) 2003-10-10

Family

ID=1883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081A KR100401317B1 (ko) 2000-11-28 2001-11-27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94454B2 (ko)
EP (1) EP1209538B1 (ko)
JP (1) JP3423684B2 (ko)
KR (1) KR100401317B1 (ko)
CN (1) CN123740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0693B1 (en) * 1998-06-30 2006-09-19 Steven Bruce Michlin Electrical contact adapter and toner cartridge using electrical contact adapter and method
US7266321B2 (en) * 2002-09-30 2007-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supplying voltage to developing device
JP3548564B2 (ja) * 2002-11-08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ー組立方法
US6801733B2 (en) * 2003-01-21 2004-10-05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Printer cartridge and method of making or refurbishing
CN100388134C (zh) * 2003-07-29 2008-05-1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具有动力输入缓冲装置的处理盒
JP3858875B2 (ja) 2003-08-25 2006-12-20 村田機械株式会社 現像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110143B2 (ja) * 2004-01-30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095589B2 (ja) * 2004-02-27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050736B2 (en) * 2004-03-24 2006-05-23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photoconductive member to an operating voltage while isolating a conductive shaft
JP4856891B2 (ja) * 2005-05-09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及び現像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804212B2 (ja) * 2006-04-19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生産方法及び再生産方法
JP4359854B2 (ja) * 2007-01-30 2009-1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60937B2 (ja) * 2009-03-17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506236B2 (ja)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942592B2 (en) 2009-12-16 2015-01-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photosensitive drum unit, develop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962424B2 (ja) * 2012-10-18 2016-08-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94518B2 (ja) * 2012-11-06 2016-03-30 株式会社沖データ 軸挿入部材、軸と軸挿入部材の結合構造、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28547B2 (ja) * 2012-11-30 2016-1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極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94238B2 (ja) * 2013-01-07 2015-10-1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作像ユニットおよび現像ユニット
US9535398B2 (en) 2014-09-04 2017-01-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5592U (ko) * 1986-04-25 1987-11-07
JPH02251871A (ja) * 1989-03-24 1990-10-09 Ricoh Co Ltd 電子写真式記録装置
JPH05257378A (ja) * 1991-12-20 1993-10-08 Canon Inc 現像装置とそれを装着し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683180A (ja) * 1992-08-31 1994-03-25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24535A (ja) * 1997-06-30 1999-01-29 Canon Kasei Kk 現像装置とこれを装着し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160973A (ja) * 1997-11-28 1999-06-18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4198A (en) 1989-12-15 1995-04-04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828928A (en) 1990-04-27 1998-10-27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ountable in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leaning device
US5623328A (en) 1990-04-27 1997-04-2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FR2664713B1 (fr) 1990-07-13 1994-07-29 Canon Kk Cartouche de traitement et appareil de formation d'images l'utilisant.
DE69223383T2 (de) 1991-11-20 1998-04-16 Canon Kk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Rakelblattes, Arbeitseinheit und Bilderzeugungsgerät
JPH05204283A (ja) * 1991-11-29 1993-08-13 Fuji Electric Co Ltd 電子写真感光体用樹脂フランジ
US5283619A (en) 1991-12-20 1994-02-01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same
JP2783726B2 (ja) * 1992-06-30 1998-08-0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282122A (ja) 1992-04-16 1994-10-07 Canon Inc ブレード部材、ブレード部材取り付け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157610B2 (ja) 1992-06-30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70120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70121B2 (ja) 1992-06-30 2002-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675439A (ja) 1992-06-30 1994-03-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9230A (ja) 1992-06-30 1994-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0577893B1 (en) 1992-06-30 1997-04-1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DE69317607T2 (de) 1992-06-30 1998-08-20 Canon Kk Photoempfindliche Trommel, Prozesskassette und Bilderzeugungsgerät
JP3259985B2 (ja)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MX9303563A (es) 1992-09-04 1994-03-31 Canon Kk Cartucho de proceso, metodo para ensamblar un cartucho de proceso y aparato formador de imagen.
EP0586044B1 (en) 1992-09-04 1997-03-26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method for assembling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186798A (ja) * 1992-12-17 1994-07-0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5316129A (en) * 1993-03-02 1994-05-31 Vesuvius Crucible Company Ceramic conveyor roll having flat-sided spring retainer for non-rotatably mounting end caps to roller
US5966566A (en) 1993-03-24 1999-10-12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e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630196A (en) * 1994-12-19 1997-05-13 Xerox Corporation Recyclable photoreceptor end flange
JP3217229B2 (ja) 1995-02-23 2001-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3294465B2 (ja) 1995-04-28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2719B2 (ja) 1995-07-11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93946C (zh) 1995-07-21 2002-11-06 佳能株式会社 电极部件、显影装置、处理卡盒和成像设备
JP3251152B2 (ja) 1995-07-26 2002-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768660A (en) 1995-08-02 1998-06-16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device and process cartridge
JPH0950224A (ja) 1995-08-04 1997-02-1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97590B2 (ja) 1996-07-04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7915B2 (ja) 1996-07-04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382465B2 (ja) 1996-07-04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7916B2 (ja) 1996-07-04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ガイド部品
JP3745049B2 (ja) 1996-09-26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92109B2 (ja) 1996-09-26 2004-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27801B2 (ja) 1996-12-25 2002-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トナー容器の組み立て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20486B2 (ja) 1997-11-07 2003-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5592U (ko) * 1986-04-25 1987-11-07
JPH02251871A (ja) * 1989-03-24 1990-10-09 Ricoh Co Ltd 電子写真式記録装置
JPH05257378A (ja) * 1991-12-20 1993-10-08 Canon Inc 現像装置とそれを装着し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683180A (ja) * 1992-08-31 1994-03-25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24535A (ja) * 1997-06-30 1999-01-29 Canon Kasei Kk 現像装置とこれを装着し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160973A (ja) * 1997-11-28 1999-06-18 Fuji Xerox Co Ltd 現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64390A1 (en) 2002-05-30
CN1237408C (zh) 2006-01-18
JP3423684B2 (ja) 2003-07-07
KR20020041751A (ko) 2002-06-03
JP2002162827A (ja) 2002-06-07
US6594454B2 (en) 2003-07-15
CN1356598A (zh) 2002-07-03
EP1209538A2 (en) 2002-05-29
EP1209538A3 (en) 2009-09-16
EP1209538B1 (en)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1317B1 (ko) 전기 접점 부재와 그 전기 접점 부재를 사용하는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EP0754984B1 (en) Process cartridge, sub-assembly thereof, 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US6266503B1 (en) Method for attaching electrostatic photosensitive drum method for replacing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and process cartridge
EP0549400B1 (en)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having same
US5550617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630957B2 (ja) 現像装置
KR20000052597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H11133712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140457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3690548B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969990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28686A (ja) 現像装置とその組立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738589B2 (en) Process cartridge including convex and concave portion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such a process cartridge is detachably mountable
US8712293B2 (en)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H0915967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336594B1 (ko) 세척 부재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JP2001356592A (ja) 現像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6808311B2 (ja) 電子写真感光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フランジ部材
JP391303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011882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85648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21929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647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354817A (ja) 現像ローラ支持機構及び現像装置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83630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