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714B1 -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714B1
KR100400714B1 KR10-2000-0068692A KR20000068692A KR100400714B1 KR 100400714 B1 KR100400714 B1 KR 100400714B1 KR 20000068692 A KR20000068692 A KR 20000068692A KR 100400714 B1 KR100400714 B1 KR 100400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onductive
electric field
transverse electric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793A (ko
Inventor
오노신이치로우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1005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4Electromagnetic shiel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횡전계 액정 패널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TFT측 유리 기판은 돌출부를 갖도록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에 결합된다. TFT측 유리 기판과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은 각각 표시면측과 배면측에 배치된다. 돌출부는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TFT측 유리 기판은 정전기를 흡수하고 통과시키기 위한 투명 도전막을 구비한다. 투명 도전막은 도전성 케이블에 의해 횡전계 액정 패널에 인접하게 정렬된 회로 기판의 접지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전성 케이블과 투명 도전막 사이의 접속은 이방성 도전 테이프에 의해 이루어진다. 돌출부의 이면은 TCP와 TFT측 유리 기판 사이의 접속부인 압접부로서 사용된다.

Description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Transverse 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기의 영향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얼룩(unevenness)을 방지한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보통, 액정 패널은 2장의 유리 기판 사이의 갭에 액정 재료가 밀봉된 디자인을 갖는다. 액정 패널은 액정측 표면에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를 형성한 배면측 유리 기판(rear-side glass substrate)(이하, TFT측 유리 기판이라고 한다)과 액정과 유리 기판 표면 사이에 칼라 필터를 배치한 유리 기판(이하,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이라고 한다)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패널의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정 패널은 서로 접합된 상이한 크기의 두 유리 기판으로 구성된다. 배면측의 유리 기판(30)의 액정측 표면 상에, 액정 화소(liquid crystal picture element;33)를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TFT가 형성된다. 상이한 크기의 두 유리 기판의 액정 패널을 조립함으로써, 화소(33)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단자(32)가 표시면측 유리 기판(31)에 의해 덮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배면측 유리 기판(30)은 칼라 필터가 배치되는 표시면측 유리 기판(31)보다 더 크게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유리 기판은 이들이 돌출부(34a 및 34b)를 갖도록 서로 접합되고, 상기 돌출부(34a 및 34b)는 TFT측 유리 기판(30)이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1)보다 각각 수평 및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외부에서 액정 패널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단자(32)가 형성되는 유리 기판(30)의 두 변, 즉 가로변 및 세로변이 표시면측 유리 기판(31)에 의해 덮이지 않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액정 패널이 특별히 디자인되더라도, 유리 기판(30)의 적어도 한 변은 덮이지 않아야 한다. 영역(35)으로 도시된 액정 패널에 있어서, 두 유리 기판은 돌출부(34a 또는 34b)를 갖는 변을 제외한 변에서 서로 중첩된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2장의 기판에 각각 전극을 가지고, 이 2장의 유리 기판 사이에 전계를 발생시킨다. 이로써, 2장의 유리 기판의 갭에 밀봉된 액정 재료의 액정 분자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이미지가 형성된다. 이 때의 전계 방향을 세로 방향으로 하면, 횡전계 액정 패널은 TFT측 유리 기판의 표면을 따라서만 가로로 늘어서게 전극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액정 분자에 가로 방향으로 전계를 가함으로써 액정 분자의 방향을 제어한다. 따라서, TFT측 유리 기판 또는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의 표면에 정전기가 인가되고, 정전기의 전하가 기판의 유리 표면에 남게되는 경우, 세로 방향으로 전계가 발생한다. 이것은 액정 분자의 방향을 특정한 방향으로 배향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액정 분자의 방향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없게 되어, 디스플레이 얼룩이발생한다. 상기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횡전계 액정 패널은 정전기에 의한 디스플레이 질적 저하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필요로 한다.
종래에 있어서, 정전기를 흡수하기 위해서 표시면측의 액정 패널의 표면에 투명 도전막을 형성하고, 이것과 케이스를 도전성 스페이서 등으로 접속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제9-258203호 공보가 이러한 형태의 액정 패널을 개시하고 있다(종래예 1). 도 2는 종래예 1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예 1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패널(101)과 회로 기판(107)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패널(101)은 백라이트 조명 장치(113) 위에 위치되고 편광판(105a 및 105b) 사이에 끼인다. 회로 기판(107)은 액정 패널(101)에 인접하게 정렬된다. 액정 패널(101)은 TFT측 유리 기판(102)와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103)으로 구성된다. TFT측 유리 기판(10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조명 장치(113)측에 배치되고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103)보다 큰 면적을 갖는다. 이들 두 유리 기판은 돌출부를 갖도록 서로 중첩된다.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103)은 자신의 표면과 그 바로 위에 위치된 편광판(105b) 사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104)을 구비한다.
액정 패널(101)에 마련된 돌출부는 TFT를 구동하기 위한 TCP(tape carrier package; 106)와 TFT 사이의 접속부로서 동작하는 압접부(pressure-contacting portion; 110)로서 형성된다. TCP(106)는 상기 압접부(110)에 접속된 한 단부와 회로 기판(107)에 접속된 다른 단부를 구비한다. TFT측 유리 기판(102)의 바닥면과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103)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 편광판(105a)과 편광판(105b)은 배면으로부터 액정 패널(101)을 조명하는 백라이트 조명 장치(113)로부터의 광을 편광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표시면측 편광판(105b)은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103)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 이것은 편광판(105b)의 바로 아래에 마련된 투명 도전막(104)이 도전성 스페이서(112)를 통해 케이스(casing; 109)에 접속되도록 노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표면이, 예를 들면, 사용자와 접촉되어, 정전기가 횡전계 액정 패널(101)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남아 있는 정전기가 케이스(109)로 방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일본 특개평 제 11-185991호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회로 기판의 접지부를 사용함으로써 정전기에 대해 전자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종래예 2). 종래예 2에 따르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는 자신의 패널 표면에 투명 도전성 부재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 투명 도전성 부재와 전자 기기에 내장된 회로 기판의 접지부를 도전 수단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패널 표면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투명 도전성 부재로부터 도전 수단을 통하여 회로 기판의 접지부로 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종래예 2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201) 및 상부 케이스(202) 내부에는, 주회로 기판(203), 부회로 기판(204) 및 액정 패널(205)을 갖는다. 부회로 기판(204)과 액정 패널(205)은 주회로 기판(203) 위에 위치된다. 액정 패널(205)의 바닥면에는, 백라이트인 EL(electroluminescence)(207), 실드판(shielding plate;208) 및 플렉시블 배선(209)이 형성된다. 상기 상술된 소자 아래에 배치된 주회로 기판(203)의 상하 양면에는 다수의 각종 전자 부품(213)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205)은 패널 홀더(206)에 그 주위에서 지지된다. 또한, 액정 패널(205)의 상부면에는 투명 도전 시트(216)가 접합된다. 투명 도전 시트(216) 윗쪽에는 인쇄 유리(printing glass; 211)가 배치되어 있다. 도전성 점착제를 갖는 도전 시트(217)는 액정 패널(205)의 단부에 형성된 투명 도전 시트의 상부면에 접합된 한 단부와, 부회로 기판(204)의 전원의 접지 전위측에 배치된 접지부(218)에 압착된 다른 단부를 구비한다. 인쇄 유리(211)는 상부 케이스(202)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단부를 갖는다. 투명 도전 시트(216)의 상부면에 형성된 도전성 점착제를 갖는 도전 시트(217)와 상부 케이스(202) 사이에는 압축된 스폰지(215)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관련 소자 사이의 양호한 전기적 접속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예 1과 같이,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 기판 사이의 중첩 영역이 접속부로 사용되도록 구성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2장의 유리 기판에는 액정 재료를 밀봉하기 위한 갭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액정 패널에 항상 압력을 가하는 접속 수단과 같이, 도전성 스페이서 또는 접촉편(contact piece)을 사용하여 투명 도전막과 케이스를 접속한 경우, 접속 부분과 그 주변 부근에서 액정 패널의 갭이 변화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의 진동 및 충격에 민감한 케이스가 2장의 유리 기판 사이의 중첩 영역과 접하기 때문에, 케이스에 가해지는 외부 진동 및 충격에 의해 2장의 유리 기판 사이의 갭이 주기적으로 변화되고, 케이스와 액정 패널 사이의 접속점을 중심으로 하여 물결 무늬 모양의 얼룩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예 2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도, 액정 패널의 2장의 유리 기판이 겹친 부분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 위치에 압력이 가해져서, 2장의 유리 사이의 갭에 압력이 부가된 분부만 좁게 되어, 2장의 유리 기판 사이에 밀봉된 액정 재료의 광학 특성을 틀어지게 하고, 디스플레이 얼룩을 발생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횡전계형 액정 패널을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그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얼룩을 방지한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횡전계 액정 패널과; 상기 횡전계 액정 패널에 인접하게 정렬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횡전계 액정 패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된 반도체 집적 회로 칩; 및 상기 횡전계 액정 패널과,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칩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횡전계 액정 패널은: 제 1의 투명 기판과; 제 2의 투명 기판과;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과 상기 제 2의 투명 기판 사이의 갭에 밀봉된 액정 재료와; 측면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전계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액정 재료를 구동하며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의 액정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구동 전극 및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의 투명 기판과 상기 액정 재료 사이에 배치된 칼라 필터를 포함한다. 횡전계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두 기판 중, 표시면측 투명 기판은 제 1의 돌출부를 갖도록 나머지 배면측 투명 기판에 결합된다. 제 1의 돌출부는 표시면측 투명 기판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도록 배면측 투명 기판 위에 형성된다. 표시면측 투명 기판의 표시면측 표면 상에는 정전기를 흡수하기 위한 투명 도전막이 형성된다. 투명 도전막은 제 1의 돌출부 위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접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횡전계 액정 패널에 있어서, 표시면측 투명 기판의 표면 상에는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남아 있는 정전기를 흡수하기 위한 투명 도전막이 형성된다. 이 투명 도전막이 접지되기 때문에, 횡전계 액정 패널을 정진기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투명 도전막은 표시면측의 제 1의 투명 기판으로부터 수평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출부 내에 형성된 접속부를 구비한다. 이것은, 접속이 형성되기 이전 및 접속이 형성된 이후에, 제 1 및 제 2의 투명 기판 사이의 갭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의 얼룩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구동 전극 및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 및 칼라 필터측의 상기 제 2의 투명 기판 중 어느 하나는 횡전계 액정 장치의 표시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의 돌출부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부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면측 투명 기판을 구동 전극 및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의 상기 제 1의 돌출부의 이면에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입력 단자가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칩에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돌출부의 표시면측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이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부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집적 회로 칩과 제 1의 투명 기판 사이의 접속부의 이면을 이용하여 투명 도전막을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에 수납된 소자의 단부까지의 거리(이하, 프레임이라고 한다.)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면측 투명 기판을 칼라 필터측의 상기 제 2의 투명 기판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의 투명 기판의 상기 제 1의 돌출부의 표시면측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이 상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은 상기 제 1의 돌출부와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제 2의 돌출부를 갖도록 상기 제 2의 투명 기판과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의 제 2의 돌출부의 제 2의 투명 기판측 표면 상에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입력 단자가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칩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도체 집적 회로 칩과는 격리된 영역을 사용하여 투명 도전막을 접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반도체 집적 회로 칩에 불량이 생긴 경우, 투명 도전막과 회로 기판의 접지부를 접속하는 도전성 부재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쉽게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의 표시면측의 상기 투명 도전막이 상기 도전성 부재를 사용하여 케이스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부재와 그 대응 부분은 이방성 도전 테이프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도전성 케이블, 도전성 물질을 함유한 점착제를 도포한 도전성 테이프, 도전성 점착제, 도전성 고무 및 접촉편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도전성 케이블이고, 적어도 상기 투명 도전막과 도전성 케이블과의 접속부가 초음파 솔더를 사용하여 솔더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리, 원칙 및 활용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병기한 첨부된 도면과 연계한 하기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종래예 1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예 2에서 활용되는 횡전계 액정 패널과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 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6은 제 1의 실시예에서 활용되는 횡전계 액정 패널과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제 1의 실시예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달성되는 충분히 작은 크기의 프레임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7a는 정전기 방지 기구를 갖지 않는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b는 종래예 2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c는 제 1의 실시예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의 수정예 1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의 수정예 2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에서 활용되는 횡전계 액정 패널과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0, 101, 205 : 액정 패널 2, 102 : TFT측 유리 기판
2a, 3a, 3b, 34a, 34b : 돌출부 3, 103 :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
4, 104 : 투명 도전막 5a, 5b, 105a, 105b : 편광판
6, 106 : TCP 7, 107 : 회로 기판
8 : 도전성 케이블 9, 109 : 케이스
10, 110 : 압접부 11; 이방성 도전 테이프
13, 113 : 백라이트 조명 장치 14 : 도전성 고무
15 : 접촉편 30, 31 : 유리 기판
32 : 입력 단자 33 : 액정 화소
S : 디스플레이 영역 201 : 하부 케이스
202 : 상부 케이스 203 : 주회로 기판
204 : 부회로 기판 206 : 패널 홀더
207 : EL 208 : 실드판
209 : 플렉시블 배선 211 : 인쇄 유리
215 : 스폰지 216 : 투명 도전 시트
217 : 도전성 점착제를 갖는 도전 시트 218 : 접지부
이하, 본 발명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충분히 작은 크기로 만들어진 프레임을 가지며 충분히 높은 접속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디자인된다. 이것은 횡전계 액정 패널의 TFT측 유리 기판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측에 배치하고, TCP 압접부의 이면측을 통해 횡전계 액정 패널에 인가되는 정전기를 회로 기판으로 방전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4는 제 1의 실시예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라인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직사각형의 횡전계 액정 패널(1)을 구비한다. 횡전계 액정 패널(1)은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과, TFT측 유리 기판(2), 및 이들 사이의 갭에 밀봉된 액정 재료로 구성된다.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은 백라이트 조명 장치(13)의 위에 위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측에 배치된다. TFT측 유리 기판(2)은 갭에 대해서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과 마주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측 상에 배치된다. 또한, 액정 패널(1)에 인접하게 회로 기판(7)이 정렬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전계 액정 패널(1)의 디스플레이 영역(S) 이외의 영역은 보호용 케이스(9)에 의해 덮여진다. 백라이트 조명 장치(13)는 배면으로부터 횡전계 액정 패널(1)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으로서 동작한다. 횡전계 액정 패널(1)에 의해 생성된 광 셔터 효과를 이용함으로써 이미지가 형성된다.
통상의 횡전계 액정 패널에 있어서,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은 표시면측 유리 기판이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활용되는 횡전계 액정 패널(1)에 있어서는, TFT측 유리 기판(2)은 표시면측 유리 기판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 기판이 통상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리 기판에 대해서 위쪽을 아래로 하여 각각 정렬됨을 주지해야 한다. TFT측 유리 기판(2)의 표시면측 표면 상에는 정전기를 흡수하고 통과시키기 위한 투명 도전막(4)이 형성된다. TFT측 유리 기판(2)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측에 배치된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보다 더 크다. TFT측 유리 기판(2)은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2a)를 갖도록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과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2a)의 액정측의 TFT가 형성되어 있는 표면이 TCP(6)와의 접속부가 되는 압접부(10)로 되어있다. 그리고, 압접부(10)의 이면인 액정 패널(1)의 돌출부(2a) 상에서 연장하도록 투명 도전막(4)이 형성된다. 투명 도전막(4)은 도전성 케이블(8)에 의해 회로 기판(7)의 접지 패턴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도전성 케이블(8)은 접속부와 이방성 도전 테이프(ACF)(11)에 의해 접속된다. 이렇게 해서 투명 도전막(4)이 접지된다. 또한, 회로 기판(7)의 백라이트 조명장치(13)측에는 TCP(6)가 배치된다. TCP(6)의 한 단부는 압접부(10)를 통해 TFT측 유리 기판(2)과 접속되고, 나머지 단부는 이방성 도전 테이프(11)에 의해 회로 기판(7)과 접속된다. TCP(6)와 회로 기판(7)도 통상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들이 형성되는 영역과는 반대된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이방성 도전 테이프(11)는 TCP(6)와 액정 패널(1)의 접속에 사용되는 도전성 입자를 혼입시킨 수지 테이프이다. 이방성 도전 테이프(11)는 TCP(6)와 액정 패널(1)의 입력 단자 사이에 끼인다. 계속해서, TCP(6)의 상부면에 열과 고압이 가해지고, 이에 의해 TCP(6)와 액정 패널(1)이 서로 접속된다. ACF(11)는 열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 테이프에 도전 입자를 섞은 것으로서, 열 및 압력을 가하면, ACF(11) 내에 있는 도전 입자에 의해 TCP(6)와 입력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열에 의해 경화된 수지 테이프에 의해 입력 단자와 TCP(6)를 결합함으로써, 물리적으로도 전기적으로도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접속 후에 압력은 가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이 구성에 있어서, 액정 패널(1)의 돌출부(2a)에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 투명 도전막(4)과 도전성 케이블(8)을 접속하기 때문에, 액정이 밀봉되어 있는 액정 패널(1)의 갭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따라서, ACF(11)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는 상기 상술된 기술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접속 신뢰성이 아주 높게 된다.
또한, TFT측 유리 기판(2)의 투명 도전막(4) 상의 디스플레이 표면이 되는 영역의 표면 및 그 대향 위치, 즉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의 백라이트 조명 장치(13)측 표면에는, 편광판(5a) 및 편광판(5b)이 각각 형성된다. 편광판(5a 및 5b)은 백라이트 조명 장치(13)로부터의 광을 편광하기 위해 사용되며, 디스플레이 표면이 개구된 케이스(9)에 의해 덮인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화면(image plane)에 접촉하는 등으로 인체 등의 정전기가 횡전계 액정 패널(1)에 가해지면, 정전기가 투명 도전막(4)으로부터 도전성 케이블(8)을 통하여 회로 기판(7)의 접지부로 방전된다. 이로써, 횡전계 액정 패널(1)의 표면에 정전기가 축적되는 일이 없고, 정전기에 의한 디스플레이 불량(디스플레이 얼룩)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의 실시예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표시면측 편광판(5a)과 횡전계 액정 패널(1) 사이에 마련된 투명 도전막(4)이 돌출부(2a)의 압접부(10)의 이면 상에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투명 도전막(4)과 회로 기판(7)의 접지부가 도전성의 도전성 케이블(8)로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표면에 정전기가 가해지면, 정전기는 투명 도전막(4)에 의해 흡수되고, 그 후 도전성 케이블(8)을 통해서 회로 기판(7)의 접지부루 방전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이상을 막을 수 있다.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과 TFT측 유리 기판(2) 사이의 액정이 주입되어 있는 갭이 변동되면 액정 패널(1)에 디스플레이 얼룩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 실시예에서 달성된 바와 같이, 도전성 스페이서 또는 접촉편을 필요로 하는 기계적 접속 방법에 기초하여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 기판 사이의 중첩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접속이 달성되는 경우, 액정 패널은 계속해서 압력을 받게 되어, 액정 패널 상에서 압력을 받는 부분과 그 주변에서의 디스플레이 얼룩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전성 케이블(8)과 대응 부분 사이의 접속이 이방성 도전 테이프(11)에 의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 후에 액정 패널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또한, 접속부인 압접부(10)의 이면은 TFT측 유리 기판(2) 만의 부분이며,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따라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TFT측 유리 기판(2)과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 사이의 갭의 크기가 변동하는 일이 없고, 압력에 의한 디스플레이 얼룩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종래예 1에서 달성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가 도전성 스페이서 또는 접촉편에 의해 투명 도전막과 접속하도록 접지가 이루어지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를 취급할 때에, 케이스는 외부에서의 진동, 충격을 받게 된다. 이러한 외부의 힘은 접속부의 박리 또는 어긋남을 유발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접속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투명 도전막(4)이 회로 기판(7)의 접지부에 접속하기 때문에, 접지 라인을 케이스(9)의 보호하에서 전체 장치 내부의 회로 소자 내에서 닫혀진 상태로 가져갈 수 있게 되어, 외부에서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동시에, 1장의 유리 부분에 도전성 케이블(8)을 접속하기 때문에, TCP(6)와 입력 단자를 접속하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접속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액정 패널(1)은 통상의 액정 패널의 기판에 대해서 위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기판을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TFT측 유리 기판(2)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측에 배치되고,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은 그 배면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프레임의 폭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정전기 방지 기구를 배치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상술된 구조에 의해 제공되는 효과가 설명될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제 1의 실시예에서 달성되는 충분히 작은 크기의 프레임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7a는 정전기 방지 기구를 갖지 않는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b는 종래예 2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c는 제 1의 실시예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레임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정전기 방지 기구를 갖지 않는 상기 상술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S)과 케이스(9) 사이의 거리는 약 1.6㎜ 내지 2.0㎜로 설정되고, 프레임 크기를 감소하는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디스플레이 영역(S)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9)에 수납된 소자의 단부 사이의 거리, 즉 프레임의 폭은 약 3㎜로 작게 만들어진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종래예 1에 있어서, 각 소자의 바람직하지 않은 크기와, 소자간 거리에서의 편차, 및 다른 이유로 인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주 큰 프레임을 가져야만 한다. 예를 들면, 케이스(109)가 액정 패널의 외측 표면의 오른쪽으로, 횡전계 액정 패널(101)이 왼쪽으로 최대로 어긋나도록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립된 경우에도, 투명 도전막(104)과 도전성 스페이서(112)가 소정의 폭을 갖는 영역에서 서로 접촉하지 않으면, 정전기를 케이스(109)로 적절하게 방출할 수 없다. 이 경우, 도전성 스페이서(112)로부터 투명 도전막(104)의 단부까지의 거리(A)는 (부재간 거리의 편차량에 따라서) 1 내지 2 mm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대조적으로, 케이스(109)가 액정 패널(101)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왼쪽으로, 횡전계 액정 패널(101)이 오른쪽으로 최대로 어긋나도록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립된 경우, 도전성 스페이서(112)가 편광판(105b)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전성 스페이서(112)로부터 편광판(105b)의 단부까지의 거리(B)는 (소자간 거리의 편차량에 따라) 1 내지 2mm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h+A+B(여기서 h는 도전성 스페이서(12)의 접촉면의 길이)의 폭을 갖는 스페이스를 횡전계 액정 패널(101)의 프레임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횡전계 액정 패널(101)의 프레임이 커져 버린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종래예 2에서 달성되는 바와 같은 정전기 방지 기구를 마련하는 경우,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돌출부(2a)가 형성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돌출부(2a)는 배면측의 TFT측 유리 기판(2)이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됨을 주지하라. 이것은 2장의 유리 기판이 겹치는 쪽의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의 표면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4)과 도전성 부재를 사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 도전성 부재로서, 여기서는 도전성 케이블(8)이 사용된다. 도전성 점착제에 의해 도전성 케이블(8)이 접착되는 경우, 적절한 접합을 위해 4 내지 5㎜의 폭을 갖는 간격(space)이 필요하다. 도전성 점착제가 도전 입자가 함유된 점착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것은 상대적으로 낮은 점착력을 갖는다. 따라서, 접합용으로 확보된 간격이 작으면, 충격, 진동, 온도 변화 및 시간에 따른 특성의 변화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된 부분은 쉽게 벗겨지게 된다. 따라서, 접합 영역을 5mm로 한 경우, 도전성 케이블(8)이 케이스(9)의 개구부 단부에 부착되더라도, 액정 패널(1)의 프레임의 폭은 5 내지 7.5mm로 길게 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전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아주 큰 프레임을 필요로 한다. 한편, 도전성 고무가 도전성 부재로 사용되는 경우, 도전성 고무와 도전막 사이의 접촉면이 요구되는 것보다 작게 만들어지면, 이들 사이의 접촉 저항의 값은 아주 크게 된다. 이 경우, 도전성 고무가 소정의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결합되거나, 또는 패널과 케이스가 서로에 대해 어긋나게 되더라도, 소정의 폭 또는 그 이상을 갖는 접촉면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접합 영역은 약 5㎜의 폭을 가져야 한다.
한편,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패널(1)을 구성하는 TFT측 유리 기판(2)과 편광판(5a) 사이에 투명 도전막(4)이 형성되고; 상기 액정 패널(1) 통상의 액정 패널의 기판에 대해서 위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배치된 기판을 가지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필수적인 간격인 압접부(10)의 이면은접속용 간격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접지부를 달성하기 위한 여분의 간격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전기 방지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프레임의 크기를 정전기 방지 기구를 갖지 않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와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활용되는 도전성 부재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도전막(4)과 회로 기판(7)의 접지 패턴은 도전성 케이블(8)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이 경우, 도전성 케이블(8) 대신, 도전성 고무, 도전성 접촉면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및 도 9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정예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8은 제 1의 실시예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정예 1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제 1의 실시예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정예 2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수정예 1 및 수정예 2, 및 도 5에 도시된 제 1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자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1)은, 제 1의 실시예의 액정 패널과 유사하게, 상부면 및 바닥면과, 편광판(5a) 및 편광판(5b)을 각각 구비한다. 액정 패널(1)을 구성하는 두 유리 기판은 각각 종래의 액정 패널을 구성하는 유리 기판에 대해서 위쪽이 아래로 향하여 정렬된다. 구체적으로는, TFT측 유리 기판(2)과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은 각각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면측과 배면측에 배치된다. 표시면측에 배치된 TFT측 유리 기판(2)은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출부(2a)를 갖도록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에 접합된다. 상기 돌출부(2a)의 이면측은 압접부로서 동작한다. TCT(6)와 TFT측 유리 기판(2) 사이의 접속부로서 동작하는 압접부의 이면측의 간격의 효과적인 사용에 의해, 표시면측 돌출부(2a) 상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된 투명 도전막(4)과 케이스(9)는 도전성 부재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도 8에 도시된 수정예 1에 있어서, 도전성 부재로서, 도전성 고무(14)가 사용된다. 또한 여기서, 액정 패널(1)의 돌출부는 접속부로서 사용된다. 이로부터, 상기 접속부는 단일의 유리 기판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종래예 1과 비교하여 하기의 이점이 얻어진다. 투명 도전막(4)과 케이스(9)가 도전성 고무(14)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경우에도, 접속이 이루어지는 동안 및 접속이 이루어진 후, 접속부 주위에서, 액정 패널(1)에 확보된 밀봉된 액정 재료를 포함하는 갭 상에서 충격과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의 악영향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의 폭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접속용 영역을 충분히 크게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정예 1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의 크기가 감소되고, 디스플레이 얼룩이 방지되며, 접속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점에서 종래예 1보다 우수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수정예 2에 있어서는, 도 8에 도시된 수정예 1에서 사용된 도전성 고무(14) 대신, 접촉편(15)이 사용된다. 이 경우, 수정예 1에서 달성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정예 3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 1의 실시예에서 활용된 도전성 케이블(8) 대신,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점착제가 첨가된 도전성 테이프, 또는 도전성 점착제가 투명 도전막(4)을 회로 기판(7)의 접지부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정예 4가 설명될 것이다. 제 1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ACF(11) 대신, 도전성 케이블(8)이 사용된다. 초음파 솔더를 사용하여 회로 기판(7)의 접지부와 투명 도전막(4)에 도전성 케이블(8)이 솔더링되도록 접속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초음파 솔더가 필요한 이유는 일반적인 솔더의 사용에 의한 투명 도전막(4)의 솔더링이 솔더링성을 좋지 않게 하여 불완전한 접속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회로 기판측의 솔더링은 보통의 솔더로서 솔더링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제 2의 실시예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정전기 방지 기구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얼룩은 만족할 만하게 방지되고, 동시에, 불량 TCP가 생긴 경우에, 다른 것으로 쉽게 대체할 수 있다. 도 10은 제 2의 실시예에서 활용되는 횡전계 액정 패널과 그 주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된 제 2의 실시예와 도 5에 도시된 제 1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기능을 하는 소자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실시예의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횡전계 액정 패널(20)과 회로 기판(7)을 구비한다. 횡전계 액정 패널(20)은 백라이트 조명 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위에 위치된다. 횡전계 액정 패널(20)은, 통상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횡전계 액정 패널과 유사하게, 표시면측에 배치된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을 구비한다. 두 유리 기판은 서로 결합되어 제 1의 돌출부(3a)와 제 2의 돌출부(3b)를 구비한다. 제 1의 돌출부(3a)는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의 단부가 TFT측 유리 기판(2)의 단부 위에서 가로 방향으로 약 1 내지 3㎜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 2의 돌출부(3b)는 배면측의 TFT측 유리 기판(2)의 단부가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이 단부 위에서 제 1의 돌출부(3a)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2의 돌출부는 TFT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압접부로서 동작한다. TCP(6)는 압접부를 통해 TFT측 유리 기판(2)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 한 단부와, 액정 패널(20)의 제 2의 돌출부(2a)에 인접하게 정렬된 회로 기판(7)에 접속된 나머지 단부를 구비한다. 또한, 투명 도전막(4)은 도전성 케이블(8)에 의해 회로 기판(7)의 접지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전성 케이블(8)과 투명 도전막(4) 사이의 접속은 이방성 도전 테이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투명 도전막(4)은 칼라 필터측 유리 기판(3)의 일부가 TFT측 유리 기판(2)의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 1의 돌출부 위에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 기판(7)의 접지 회로와 투명 도전막(4) 사이의 접속부와 TCP(6)의 한 단부와 회로 기판(7) 사이의 접속부는 동일한 면 내에 놓여 있지만 상이한 위치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충분히 작은 크기의 프레임을 달성할 수는 없지만, 회로 기판(7)과 TCP(6) 사이의 접속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투명 도전막(4)과 회로기판(7)을 접속하고 접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부를 확보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불량 TCP가 생긴 경우에, 도전성 케이블(8)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면서 쉽게 다른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제 1의 실시예에서 달성된 바와 같이, 액정 패널(20)의 돌출부(3a)는 투명 도전막(4)을 접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동시에, 접지 라인을 케이스의 보호하에서 전체 장치 내부의 회로 소자 내에서 닫혀진 상태로 가져갈 수 있게 되어, 높은 신뢰성의 접속을 달성하고, 압력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얼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고려되었지만, 여러 수정예가 수행될 수 있으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취지와 영역 내에 포괄되는 모든 수정예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전기를 흡수하는 투명 도전막을 접지하기 위한 접속부를 횡전계 액정 패널의 표시면측의 투명 기판이 배면측의 투명 기판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횡전계 액정 패널의 정전기를 도전 수단에 의해 방출하여 정전기로부터 보호하는 정전기 방지 기구를 마련하여도, 도전성 부재를 접속할 때에 접속부의 주변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얼룩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제 1의 투명 기판과 제 2의 투명 기판 사이의 갭에 액정을 밀봉하여 겹쳐지며,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의 액정측에는 액정을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과 평행한 방향의 전계로 구동하는 구동 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의 투명 기판과 상기 액정의 사이에는 칼라 필터가 배치된 횡전계 액정패널과,
    상기 횡전계 액정 패널에 연접되어 배치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횡전계 액정 패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신호를 입력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칩과,
    상기 횡전계 액정패널,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 칩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횡전계 액정 패널의 2개의 상기 투명기판 중 표시면측의 투명 기판은 배면측의 투명기판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한 제1의 돌출부를 구비함에 의해 배면측의 투명 기판에 접합되며, 상기 표시면상에서 정전기를 흡수하는 투명 도전막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 도전막이 상기 제1의 돌출부의 상부에 연장되며, 상기 제1의 돌출부의 위치에서만 도전성 부재를 사용하여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극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은 표시면측 투명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칼라 필터측에 배치된 상기 제 2의 투명 기판은 표시면측 투명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돌출부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돌출부의 표시면측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와 그 대응 부분은 이방성 도전 테이프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도전성 케이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점착제가 첨부된 도전 테이프, 도전성 점착제, 도전성 고무, 및 접촉편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도전성 케이블이고, 적어도 상기 투명 도전막은 초음파 솔더를 사용하여 상기 도전성 케이블의 접속부에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의 상기 제 1의 돌출부의 이면에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입력 단자는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칩에 접속되며,
    상기 제 1의 돌출부의 상기 표시면측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돌출부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돌출부의 표시면측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와 그 대응 부분은 이방성 도전 테이프에 의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도전성 케이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점착제가 첨부된 도전 테이프, 도전성 점착제, 도전성 고무, 및 접촉편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도전성 케이블이고, 적어도 상기 투명 도전막은 초음파 솔더를 사용하여 상기 도전성 케이블의 접속부에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투명 기판의 상기 제 1의 돌출부의 표시면측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은 상기 제 1의 돌출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제 2의 돌출부를 갖도록 상기 제 2의 투명 기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 1의 투명 기판의 상기 제 2의 돌출부의 제 2의 투명 기판측 표면에 형성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입력 단자는 상기 반도체 집적 회로 칩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돌출부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의 접지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돌출부의 표시면측에 마련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상기 도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와 그 대응 부분은 이방성 도전 테이프에의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도전성 케이블, 도전성 재료를 포함하는 점착제가 첨부된 도전 테이프, 도전성 점착제, 도전성 고무, 및 접촉편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도전성 케이블이고, 적어도 상기 투명 도전막은 초음파 솔더를 사용하여 상기 도전성 케이블의 접속부에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0-0068692A 1999-11-19 2000-11-18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00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63299A JP2001147441A (ja) 1999-11-19 1999-11-19 横電界液晶表示装置
JP?11-330632? 199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793A KR20010051793A (ko) 2001-06-25
KR100400714B1 true KR100400714B1 (ko) 2003-10-08

Family

ID=1823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692A KR100400714B1 (ko) 1999-11-19 2000-11-18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25786B1 (ko)
JP (1) JP2001147441A (ko)
KR (1) KR100400714B1 (ko)
TW (1) TW557389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370B1 (ko) 2010-10-29 2012-11-05 애플 인크. 전자 장치용의 편광기 윈도 및 불투명 마스킹 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US8395722B2 (en) 2009-06-11 2013-03-12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US8408780B2 (en) 2009-11-03 2013-04-02 Apple Inc. Portable computer housing with integral display
US8743309B2 (en) 2009-11-10 2014-06-03 Apple Inc. Methods for fabricating display structures
KR20150019427A (ko) * 2013-08-14 2015-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US9143668B2 (en) 2010-10-29 2015-09-22 Apple Inc.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11632448B2 (en) 2019-12-03 2023-04-18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637919B2 (en) 2019-12-03 2023-04-2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6754A (ja) * 2000-06-19 2002-01-11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の放熱構造
EP1271227A1 (en) * 2001-06-26 2003-01-02 Nanomat Limited Electrochromic display for high resolu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494704B1 (ko) * 2001-12-31 2005-06-13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전도성 편광판
DE10228591A1 (de) * 2002-06-26 2004-01-15 Siemens Ag DSTN-Anzeige mit elektromagnetischer Schirmung
US6957073B2 (en) * 2002-09-18 2005-10-18 Motorola, Inc. Mobile location explorer and methods therefor
JP4142019B2 (ja) * 2004-01-20 2008-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素子および表示装置
EP1603101A1 (en) * 2004-06-02 2005-12-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isplay
US20060028464A1 (en) * 2004-08-06 2006-02-09 Arima Computer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static charges on a panel and the structure thereof
JP4639714B2 (ja) * 2004-09-17 2011-02-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この液晶表示装置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KR100780284B1 (ko) * 2004-12-03 2007-11-28 삼성코닝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용 전면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1106557B1 (ko) * 2004-12-28 2012-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KR20060107169A (ko) * 2005-04-08 2006-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용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패널
KR101146390B1 (ko) * 2005-06-17 2012-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JP2007086205A (ja) 2005-09-20 2007-04-05 Sharp Corp 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07094219A (ja) * 2005-09-30 2007-04-12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CN1972587B (zh) * 2005-11-25 2011-11-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的屏蔽构件及壳体组件
JP4762002B2 (ja) * 2006-02-27 2011-08-3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5110349B2 (ja) * 2006-09-27 2012-12-26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663726B2 (en) * 2006-12-08 2010-02-16 Epson Imaging Devices Corporation Liquid crystal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JP4600449B2 (ja) * 2006-12-08 2010-12-15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装置、電子機器
JP2008203448A (ja) * 2007-02-19 2008-09-04 Seiko Instruments Inc 液晶表示装置
JP2008203590A (ja) * 2007-02-21 2008-09-04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WO2008115598A1 (en) * 2007-03-21 2008-09-25 Ntera, Inc. Lucent technologies inc.
US7924373B2 (en) * 2007-07-19 2011-04-12 Chimei Innolux Corporation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the same
JP5095353B2 (ja) 2007-11-14 2012-12-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24037B1 (ko) * 2007-12-26 2014-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06136B1 (ko) * 2008-06-16 2013-09-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5317567B2 (ja) * 2008-07-31 2013-10-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990871B2 (ja) * 2008-11-25 2012-08-0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079715B2 (ja) 2009-01-16 2012-11-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液晶表示装置
KR101553943B1 (ko) * 2009-05-04 2015-09-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11049247A (ja) * 2009-08-25 2011-03-10 Nec Lcd Technologies Ltd 電子機器の接続構造体、及び当該接続構造体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1123231A (ja) * 2009-12-10 2011-06-23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JP5537983B2 (ja) * 2010-02-15 2014-07-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503324B2 (ja) * 2010-02-17 2014-05-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2844701B (zh) * 2010-04-14 2015-08-26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KR101661477B1 (ko) 2010-04-27 2016-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5590403B2 (ja) * 2011-01-27 2014-09-17 日本精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643798B2 (en) 2011-02-11 2014-02-04 Japan Display West Inc.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20097146A (ko) * 2011-02-24 2012-09-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TWI442361B (zh) * 2011-03-22 2014-06-21 Innolux Corp 顯示模組及其製造方法
JP5724559B2 (ja) * 2011-04-07 2015-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618939B2 (ja) * 2011-07-29 2014-11-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2495484B (zh) * 2011-12-02 2015-12-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TWI506338B (zh) * 2011-12-15 2015-11-0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及其彈性外框
US20140061610A1 (en) 2012-08-31 2014-03-06 Hyo-Young MU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071384A1 (en) * 2012-09-10 2014-03-13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static discharge arrangement for an active matrix display
US8860903B2 (en) 2012-10-31 2014-10-1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879932A (zh) * 2012-10-31 2013-01-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JP5594790B2 (ja) * 2012-12-12 2014-09-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2119532B1 (ko) * 2012-12-18 2020-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201500187A (zh) * 2013-06-28 2015-01-01 Hon Hai Prec Ind Co Ltd 外殼件及使用該外殼件的電子裝置
US10180700B2 (en) * 2013-07-01 2019-01-15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JP6289163B2 (ja) 2014-02-27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104730746A (zh) * 2015-04-14 2015-06-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US20170290210A1 (en) * 2016-03-30 2017-10-05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7346068A (zh) * 2016-05-06 2017-11-14 上海纪显电子科技有限公司 检测系统和检测方法
CN107346066A (zh) * 2016-05-06 2017-11-14 上海纪显电子科技有限公司 检测系统及其检测方法
CN107526203A (zh) * 2017-03-14 2017-12-29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程
CN107688261A (zh) * 2017-09-27 2018-02-13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接地装置
DE102018205541A1 (de) * 2018-04-12 2019-10-17 Robert Bosch Gmbh Anzeige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7470A (ja) * 1998-11-06 2000-05-2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0512A (ja) * 1990-06-28 1992-02-26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519276A (ja) * 1991-07-15 1993-01-29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
TW344043B (en) * 1994-10-21 1998-11-01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reduced frame portion surrounding display area
JP3871724B2 (ja) 1995-07-11 2007-01-2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3587349B2 (ja) * 1995-10-12 2004-1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2758864B2 (ja) 1995-10-12 1998-05-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H09258203A (ja) * 1996-03-19 1997-10-0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09269507A (ja) * 1996-03-29 1997-10-14 Hosiden Corp 液晶表示素子
JP3465012B2 (ja) * 1996-05-10 2003-11-1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および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2845215B2 (ja) * 1996-09-20 1999-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8443A (ja) 1997-07-18 1999-02-12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3536239B2 (ja) * 1997-10-24 2004-06-07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H11185991A (ja) 1997-12-25 1999-07-09 Casio Comput Co Ltd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7470A (ja) * 1998-11-06 2000-05-2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3213B2 (en) 2009-06-11 2021-05-11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US8866989B2 (en) 2009-06-11 2014-10-21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US10353432B2 (en) 2009-06-11 2019-07-16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US8456586B2 (en) 2009-06-11 2013-06-04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US11740658B2 (en) 2009-06-11 2023-08-29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US8711304B2 (en) 2009-06-11 2014-04-29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US8395722B2 (en) 2009-06-11 2013-03-12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US8408780B2 (en) 2009-11-03 2013-04-02 Apple Inc. Portable computer housing with integral display
US8743309B2 (en) 2009-11-10 2014-06-03 Apple Inc. Methods for fabricating display structures
US9069525B2 (en) 2009-11-10 2015-06-30 Apple Inc. Methods for fabricating display structures
US10261540B2 (en) 2009-11-10 2019-04-16 Apple Inc. Methods for fabricating display structures
US8767141B2 (en) 2009-11-10 2014-07-01 Apple Inc. Methods for fabricating display structures
US10983390B2 (en) 2009-11-10 2021-04-20 Apple Inc. Methods for fabricating display structures
US9575354B2 (en) 2009-11-10 2017-02-21 Apple Inc. Methods for fabricating display structures
US9372505B2 (en) 2010-10-29 2016-06-21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10009525B2 (en) 2010-10-29 2018-06-26 Apple Inc.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197370B1 (ko) 2010-10-29 2012-11-05 애플 인크. 전자 장치용의 편광기 윈도 및 불투명 마스킹 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US10571957B2 (en) 2010-10-29 2020-02-25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9143668B2 (en) 2010-10-29 2015-09-22 Apple Inc. Camera lens structures and display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US11188118B2 (en) 2010-10-29 2021-11-30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US8467177B2 (en)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175285B1 (ko) * 2013-08-14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50019427A (ko) * 2013-08-14 2015-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US11632448B2 (en) 2019-12-03 2023-04-18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1637919B2 (en) 2019-12-03 2023-04-25 Apple Inc. Handhel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7389B (en) 2003-10-11
US6525786B1 (en) 2003-02-25
KR20010051793A (ko) 2001-06-25
JP2001147441A (ja) 2001-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714B1 (ko) 횡전계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657395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319109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703229B1 (ko) 액정표시장치
US2006009813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ortable display device
JP2001209054A (ja) 液晶表示装置
US2004024642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portable display using the same
EP087106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electronics equipment using the same
JP3697925B2 (ja) 電気光学装置
CN110299121B (zh) 薄膜晶体管驱动电路以及液晶显示装置
US7463326B2 (en) Tape carrier packag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7045908B2 (ja) 表示装置
KR20050064386A (ko) 액정표시장치
KR100885378B1 (ko) 액정표시장치
JP3442269B2 (ja) 液晶モジュール
JP3695265B2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010429B1 (ko) 액정표시장치
JP3870638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50092692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S62204228A (ja) 液晶表示装置
JPS612126A (ja) 液晶表示装置
JP3994600B2 (ja) 照明用光源基板及び液晶装置
KR100644849B1 (ko) 액정표시장치
JP3567781B2 (ja) 液晶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100926111B1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