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195B1 - 자동차의 타워바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타워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195B1
KR100398195B1 KR10-2000-0081296A KR20000081296A KR100398195B1 KR 100398195 B1 KR100398195 B1 KR 100398195B1 KR 20000081296 A KR20000081296 A KR 20000081296A KR 100398195 B1 KR100398195 B1 KR 10039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trut cover
tower bar
vehicl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750A (ko
Inventor
최원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19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2Braking, sto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워바에 관한 것으로,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C)에 대해 오프셋된 양이 제로(zero)가 되면서 상기 스트럿커버(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메인바(11)와, 이 메인바(11)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면서 상기 스트럿커버(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서포트바(12)로 구성되어져, 바디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승차감의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타워바{tower bar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타워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중 차체에서 발생되는 진동현상을 최대한 감소시켜 승차감의 향상을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타워바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커버(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타워바(tower bar)는 코너링 주행시에는 한쪽으로만 하중이 집중되면서 발생하는 차체의 탄성변형을 억제하고, 고속주행시의 차체 떨림을 방지하며, 요철(凹凸)이 있는 도로의 주행시에는 뒤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차체의 보강역할도 수행하여 충돌사고 발생시에는 탑승자를 보호하는 데에도 일조를 하게 된다.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타워바(8)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차체의 전방쪽에만 설치되거나 또는 전/후방 양쪽에 모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타워바(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의 모양이 대략 디귿(ㄷ)자의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그 양단이 스트럿커버(6)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와 같이 디귿(ㄷ)자의 모양으로 형성된 종래의 타워바(8)는 그 중간부위가 상기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C)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된 양이 매우 큰 관계로, 고속주행중에 제동할 경우 차체의 바디 즉 사이드실부 및 운전석 풋레스트부 등에서 심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차체의 진동으로 승차감이 현격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여기서, 가상의 기준선(C)이란 상기 스트럿커버(6)의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기준선만 이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트럿커버(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차체의 전후방향쪽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할 수만 있다면 이때의 직선들은 모두 가상의 기준선(C)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한편, 도 1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3은 스트럿커버(6)가 고정 설치되는 스트럿어셈블리를 도시한 것이고, 미설명부호 L은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C)으로부터 타워바(8)까지의 오프셋 양을 나타내 주기 위한 도면부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형상변경을 통해 스트럿커버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에 대해 오프셋된 양이 제로(zero)가 되도록 설치함으로써, 고속주행중의 제동시 차체의 바디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승차감의 향상을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타워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워바는, 스트럿커버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에 대해 오프셋된 양이 제로(zero)가 되면서 상기 스트럿커버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메인바와, 이 메인바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면서 상기 스트럿커버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서포트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타워바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타워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타워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워바가 적용된 상태에서 측정된 사이드 실부의 상하방향 응답특성도,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바가 적용된 상태에서 측정된 운전석 풋레스트부의 상하방향 응답특성도,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워바가 적용된 상태에서 측정된 스트러트부의 상하방향 응답특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스트럿커버 10 - 타워바11 - 메인바 12 - 서포트바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타워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본 발명에 따른 타워바(10)는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C)에 대해 오프셋(offset)된 양이 제로(zero)가 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여기서, 가상의 기준선(C)이란 상기 스트럿커버(6)의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기준선만 이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트럿커버(6)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으로부터 차체의 전후방향쪽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할 수만 있다면 이때의 직선들은 모두 가상의 기준선(C)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즉,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타워바(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C)에 대해 오프셋된 양이 제로(zero)가 되면서 상기 스트럿커버(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메인바(11)와, 이 메인바(11)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면서 상기 스트럿커버(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서포트바(12)로 구성된다.한편, 도 2에 도시된 메인바(11) 및 서포트바(12)는 가상의 기준선(C)에 대해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마치 오프셋이 발생된 것처럼 설치되어 있지만, 상기 가상의 기준선(C)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모든 직선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메인바(11)와 서포트바(12)는 각각 가상의 기준선(C)에 대해 오프셋된 양이 제로(zero)가 되도록 설치된 것으로 볼 수 있다.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타워바(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C)에 대해 오프셋된 양이 제로(zero)가 되면서 상기 스트럿커버(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메인바(11)와, 일단이 상기 메인바(1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트럿커버(6)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바(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타워바(10)는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C)에 대해 오프셋된 양이 제로(zero)가 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서포트바(12)가 함께 포함되면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인 타워바(10)의 설치강성은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타워바(8)보다 대폭적으로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타워바(10)의 강성이 증대되면, 고속주행중의 제동시 차체의 바디 즉 사이드실부 및 운전석 풋레스트부 등에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되고, 이와 같은 진동억제 기능을 통해 승차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에 대한 신뢰도가 그만큼 증진되는 잇점도 있게 된다.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타워바(10)와 종래의 타워바(8)를 서로 대비하여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4는 사이드 실부에서 측정한 상하방향의 응답특성도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5는 운전석 풋레스트부에서 측정한 상하방향의 응답특성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도 6은 스트러트부에서 측정한 상하방향의 응답특성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상기의 그래프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타워바(10)가 장착된 차량은 종래의 타워바(8)가 장착된 차량보다 차체의 바디진동이 현격하게 줄어들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게 된다.여기서, 상기의 실험치는 동일 조건에서 여러번 실시하여 얻은 측정치로서 비교적 객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타워바는, 차량의 바디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승차감의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C)에 대해 오프셋된 양이 제로(zero)가 되면서 상기 스트럿커버(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메인바(11)와, 이 메인바(11)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면서 상기 스트럿커버(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서포트바(12)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타워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11)는 스트럿커버(6)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C)에 대해 오프셋된 양이 제로(zero)가 되면서 상기 스트럿커버(6)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바이고, 상기 서포트바(12)는 상기 메인바(11)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스트럿커버(6)에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타워바.
  3. 삭제
KR10-2000-0081296A 2000-12-23 2000-12-23 자동차의 타워바 KR10039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296A KR100398195B1 (ko) 2000-12-23 2000-12-23 자동차의 타워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296A KR100398195B1 (ko) 2000-12-23 2000-12-23 자동차의 타워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750A KR20020051750A (ko) 2002-06-29
KR100398195B1 true KR100398195B1 (ko) 2003-09-19

Family

ID=2768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296A KR100398195B1 (ko) 2000-12-23 2000-12-23 자동차의 타워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834B1 (ko) * 2001-03-22 2004-03-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맥퍼슨식 현가 장치용 스트럿 바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9613A (ja) * 1990-02-15 1991-10-25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ストラットバーの支持構造
JPH0725360A (ja) * 1993-07-09 1995-01-27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構造
KR19980045700A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크로스바에 의한 차체 프론트부의 보강구조
KR100335198B1 (ko) * 1997-06-19 2002-07-03 류정열 자동차의 서스펜션 타워 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9613A (ja) * 1990-02-15 1991-10-25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用ストラットバーの支持構造
JPH0725360A (ja) * 1993-07-09 1995-01-27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構造
KR19980045700A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크로스바에 의한 차체 프론트부의 보강구조
KR100335198B1 (ko) * 1997-06-19 2002-07-03 류정열 자동차의 서스펜션 타워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750A (ko) 200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2934A (en) Front body construction for motor vehicle
US6619730B2 (en) Vehicle body having a strutting configuration at a bottom side of the vehicle body
JPH0365473A (ja) 後車軸担体を持つ乗用自動車
KR100398195B1 (ko) 자동차의 타워바
JP3182973B2 (ja) フロントボデーの構造
JP2575898B2 (ja) 自動車用エキゾーストマウント取付構造
KR100901578B1 (ko) 차량의 트레일링아암 장착구조
JP2001063333A (ja) スタビライザ支持構造
KR100501375B1 (ko) 더블 위시본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팅구조
KR100203513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장치
KR20230093655A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쇽업쇼바 마운팅유닛
KR100348045B1 (ko)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JPH038540Y2 (ko)
KR100521208B1 (ko) 상용차의 리어프로텍터
JP2576579Y2 (ja) 液圧緩衝器
JP2000177346A (ja) 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
JP3893811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構造
JPH10310081A (ja) サブフレーム構造
KR100187495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
KR0132527Y1 (ko) 차량의 프레임 구조
JPH0737927Y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77264Y2 (ja) ラテラルロッドブラケットの補強構造
JPH0715820Y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0134642Y1 (ko) 자동차의 차체구조
KR200143967Y1 (ko) 자동차의 엔진 고정용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