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527Y1 - 차량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527Y1
KR0132527Y1 KR2019960003110U KR19960003110U KR0132527Y1 KR 0132527 Y1 KR0132527 Y1 KR 0132527Y1 KR 2019960003110 U KR2019960003110 U KR 2019960003110U KR 19960003110 U KR19960003110 U KR 19960003110U KR 0132527 Y1 KR0132527 Y1 KR 0132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ection point
loading plate
frame
vehicl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3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607U (ko
Inventor
임준수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60003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527Y1/ko
Publication of KR970051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5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직선구간을 변형하여 하중으로부터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충돌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진동 및 소음을 배제할 수 있도록 개선된 것으로 종래에는 하중을 받을 경우 균열 또는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본 고안에서는 적재판(12)의 전면 상단 중앙단부의 변곡점(A1)과 연장된 수직변곡점(A2)의 하단이 돌출되고 적재판(12)의 상단 변곡점(A3)으로 부터 연장된 하단 변곡점(A4)이 바닥판(14)에 부착하여 충돌 사고 시에 균열과 굽음 변형을 예방하여 충돌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진동 및 이상 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차량 수명을 연장하면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프레임 구조
제1도는 종래의 프레임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단면도로써,
(a)는 A-A선 단면도이고,
(b)는 B-B선 단면도이며,
(c)는 C-C선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의 요부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단면도로써,
(a)는 D-D선 단면도이고,
(b)는 E-E선 단면도이며,
(c)는 F-F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재판 12 : 프레임
14 : 바닥판 16,16a : 요철보강부
A1,A3,A4 : 변곡점 A2 : 수직변곡점
본 고안은 차량의 프레임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직선구간을 변형하여 하중으로부터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충돌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진동 및 소음을 배제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의 엔진 설치부재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임은 차량 새시의 가가 장치를 지지하여 설치 상태를 보호 유지하면서 우수한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에 사용되는 프레임(1)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측 단면부가 직선구간(S, S', S)로 구비되어 있어서 하중을 받을 경우 균열 또는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프레임(1)은 보통 상태에서 사용하면 굽는 일 등이 거의 없으나 충돌 등의 사고에서는 변형된다.
이러한 경우 앞바퀴 얼라인먼트가 틀려져 주행중 조향이 불안정하게 되어 타이어에 이상 마멸이 생긴다.
또 균열 등이 있으면 적하하였을 때 차가 기울던가 충격을 받았을 때마다 자체에서 이상 음이 발생되고 충격 이외에는 비틀림이나 굽음의 반복작용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진동 및 소음 등이 유발하여 차량의 수명을 단축하게 됨과 동시에 승차감이 떨어지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레임의 끝단부를 보강하여 충격하중으로 부터 굽힘과 균열 및 비틀림을 억제하여 충돌 성능을 개선하면서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는 차량의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 적재판을 보유하는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의 전면 상단 중앙단부의 변곡점과 연장된 수직변곡점의 하단이 돌출되고 적재판의 상단 변곡점으로부터 연장된 하단 변곡점이 바닥판에 부착되는 것과 상기 적재판은 요철보강부로 구비되어 그 양단 하면부가 바닥판에 부착되어 구성되는 기술적 수단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실시예 도면을 참고적으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의 요부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단면도로써 이들 도면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차량의 프레임 구조는 전면에 적재판(10)을 보유하는 프레임(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판(12)의 전면 상단 중앙단부에 마련된 변곡점(A1)과 연장된 수직변곡점(A2)의 하단은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적재판(12)의 상단변곡점(A3)으로 부터 연장된 하단변곡점(A4)은 바닥판(14)에 부착되어 구성되고 있다.
또한 상기 적재판(12)은 요철보강부(16)(16a)으로 구비되어 그 양단 하면부가 바닥판(14)에 부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프레임(12)에 마련되고 있는 적재판(12)의 전면 상단 중앙 단부에 변곡점(A1)을 마련하고 이 변곡점(A1)과 연장되어 마련되는 수직변곡점(A2)을 구비하여 전면으로부터 충격하중이 작용하여도 각각의 변곡점(A1)(A2)에 의하여 적재판의 강성을 보강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상단 변곡점(A3)과 하단 변곡점(A4)에 의하여서는 측면이나 상부의 하중으로 부터의 균열과 비틀림을 방지하여 안전한 사용을 이루게 하고, 또한 하단 변곡점(A4)은 바닥판(14)에 부착되고 있어서 그 강성은 보강되어지게 된다.
한편, 적재판(12)에는 요철보강부(16)(16a)를 구비하고 그 양단 하면부가 바닥판(14)에 부착되어 있어서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으로부터 균열이나 비틀림이 생기지 않아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프레임의 선단에 배치된 적재판에 상단과 측면에 각각의 변곡점을 마련하여 충돌 사고시에 균열과 굽음 변형을 예방하여 충돌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진동 및 이상 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차량 수명을 연장하면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신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면에 적재판(10)을 보유하는 프레임(12)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10)의 전면 상단 중앙단부의 변곡점(A1)과 연장된 수직변곡점(A2)의 하단이 돌출되고 적재판(10)의 상단 변곡점(A3)으로부터 연장된 하단 변곡점(A4)이 바닥판(14)에 부착되어 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레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10)은 요철보강부(16)(16a)으로 구비되어 그 양단하면부가 바닥판(14)에 부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프레임 구조.
KR2019960003110U 1996-02-27 1996-02-27 차량의 프레임 구조 KR0132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110U KR0132527Y1 (ko) 1996-02-27 1996-02-27 차량의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110U KR0132527Y1 (ko) 1996-02-27 1996-02-27 차량의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607U KR970051607U (ko) 1997-09-08
KR0132527Y1 true KR0132527Y1 (ko) 1998-12-15

Family

ID=1945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3110U KR0132527Y1 (ko) 1996-02-27 1996-02-27 차량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5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607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9452B1 (en) Bumper-mounting structure for frame-mounted-body vehicle
KR0132527Y1 (ko) 차량의 프레임 구조
JP7201490B2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を備える車体フレーム構造
KR100333881B1 (ko) 자동차 프레임 보강 구조
KR102559115B1 (ko) 차량용 프론트 로어암 장치
JP6937083B2 (ja) 車両構造
KR100398195B1 (ko) 자동차의 타워바
KR100380936B1 (ko) 래터럴로드 브래킷의 설치구조
KR0183175B1 (ko) 자동차의 안전강화용 브래킷
KR930008315Y1 (ko) 자동차의 후론트 사이드부재
KR100348045B1 (ko) 자동차용 섀시리어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KR0123158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측면 보강구조
KR100398197B1 (ko) 자동차용 프론트로어아암의 부시설치구조
KR19980049863U (ko) 강성을 향상시킨 언더바디 크로스 멤버
KR0118277Y1 (ko) 웨건차량의 휠하우스 보강구조
KR200150530Y1 (ko) 조향칼럼 지지부 보강구조
KR200147046Y1 (ko) 센터필러어퍼 보강구조
KR200140912Y1 (ko) 차량용 시트 프레임
KR100570389B1 (ko) 스티어링 장치를 지지하는 카울 크로스 부재
KR200210789Y1 (ko) 자동차의 시트 고정용 브라켓 구조
KR0114628Y1 (ko) 차량의 측부 보강판 설치구조
KR0132798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변형방지용 보강체
KR970000614Y1 (ko) 자동차의 앞차체 보강구조
JPH035175Y2 (ko)
KR0137761Y1 (ko) 자동차 섀시 보강용 브라켓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