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648B1 -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648B1
KR100394648B1 KR10-2000-0081854A KR20000081854A KR100394648B1 KR 100394648 B1 KR100394648 B1 KR 100394648B1 KR 20000081854 A KR20000081854 A KR 20000081854A KR 100394648 B1 KR100394648 B1 KR 100394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ogie
block
driv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910A (ko
Inventor
홍종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648B1/ko
Publication of KR2002005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대차 프레임에 방향전환이 가능한 휠 수단을 구성하고, 주행경로의 전환이 필요한 레일 상의 일측에는 레일 체인지 수단을 구성하여 대차의 주행경로의 전환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주행레일 상에서 주행경로에 따라 각 공정으로 이동되는 대차의 대차 프레임과 상기 주행레일 사이에서 다른 주행레일로 상기 주행경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대차 프레임의 전후 양측 하부면에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휠 수단과; 상기 휠 수단과 함께, 작동 실린더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서로 다른 주행경로를 갖는 주행레일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레일을 회전시켜 다른 주행경로의 주행레일로 주행경로를 전환하는 레일 체인지 수단을 포함하는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RAIL CHANGE APPARATUS OF MOVING CART}
본 발명은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차 프레임에 방향전환이 가능한 휠 수단을 구성하고, 주행경로의 전환이 필요한 레일 상의 일측에는 레일 체인지 수단을 구성하여 대차의 주행경로의 전환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모든 양산라인 내에서 2만 여개의 부품을 수많은 조립 및 용접공정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차체를 각 공정으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차체 이송을 위한 이송대차 시스템을 구비하여야 하며, 특히, 공정 자동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송대차 시스템의 효율적인 적용이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그 효과적인 운용 및 관리를 위하여 계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차체 조립라인의 이송대차 시스템을 간단히 살펴보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 프레임(101)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롤러(103)를 장착하여 대차(105)를 구성하고, 상기 대차(105)는 각 공정을 연결하는 레일(107) 상에 상기 롤러(103)를 통하여 설치되어 주행경로를 따라 각 공정으로 이동되어 작업할 차체를 다음공정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송대차 시스템은, 롤러가 대차 프레임의 측면에 전,후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레일 상에서 주행경로를 전환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대차의 주행경로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대차 전체를 별도의 장비를 통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 프레임에 방향전환이 가능한 휠 수단을 구성하고, 주행경로의 전환이 필요한 레일 상의 일측에는 레일 체인지 수단을 구성하여 대차의 주행경로의 전환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송대차 시스템의 대차 프레임을 투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휠 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레일 체인지 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의 제1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의 제2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송대차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는 주행레일 상에서 주행경로에 따라 각 공정으로 이동되는 대차의 대차 프레임과 상기 주행레일 사이에서 다른 주행레일로 상기 주행경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를 구성하되,상기 대차 프레임의 전후 양측 하부면에 양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대차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며, 내부에는 하부로 개구된 중공부를 갖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중공부에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레이디얼 베어링 및 스러스트 베어링을 통하여 고정블록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의 하단면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이 회전블록의 내측에 회전축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주행 휠과, 상기 회전블록의 하단면 일측에 수직축을 통하여 상기 주행레일의 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이탈방지 롤러로 구성되는 휠 수단과;상기 휠 수단과 함께, 작동 실린더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서로 다른 주행경로를 갖는 주행레일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레일을 회전시켜 다른 주행경로의 주행레일로 주행경로를 전환하도록, 서로 다른 주행레일이 구성된 그 하부에서 바닥면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된 원형의 중공부가 구성되는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중공부 내부에 레이디얼 베어링을 개재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장착되는 지지축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개구부가 형성된 상단과의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지지축의 상단과 고정 연결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단면에 고정 장착되는 연결레일 및 상기 베이스 블록의 일측에 힌지 장착되며,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과 힌지 브라켓을 통하여 피스톤 로드가 힌지 체결되는 작동 실린더로 구성되는 레일 체인지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송대차 시스템의 대차 프레임을 투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차(1)의 레일 체인지 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전후방향(S) 및 좌우방향(T)의 주행경로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2개씩의 레일이 오버랩 되는 부분(P)은 절개되어 레일이 제거된 상태로 구성되는 주행레일(3,5)과, 이를 따라 각 공정으로 이동되는 대차(1) 사이에 구성된다.
즉, 상기한 주행레일(3,5)의 상기 오버랩 부분(P)에,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휠 수단과 함께, 작동 실린더(7)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연결레일(9)을 회전시켜 서로 다른 주행경로의 주행레일(3,5)로 전환하는 레일 체인지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휠 수단은, 도 3에서와 같이, 대차 프레임(11)의 전후 양측 하부면에 각각 고정블록(13)이 고정 장착되며, 이 고정블록(13)의 내부에는 하부로 개구된 중공부(15)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고정블록(13)의 중공부(15)에는 하부로부터 회전블록(17)이 레이디얼 베어링(19) 및 스러스트 베어링(21)을 개재한 상태로 고정블록(13)에 삽입되어 이 고정블록(13)에 대하여 양방향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록(17)의 내부에는 휠 중공부를(25) 가지며, 이 휠 중공부(25) 내에 상기 주행 휠(23)이 상기 회전블록(17)의 하단면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회전축(27)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블록(17)의 하단면 일측에는 수직축(29)을 통하여 상기 주행레일(3 또는 5)의 측면에 구름 접촉되도록 이탈방지 롤러(31)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한 레일 체인지 수단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로 다른방향의 주행레일(3,5)이 오버랩되는 부분(P)의 그 하부 바닥면에 베이스 블록(41)이 내부에 상부로 개구된 원형의 중공부(43)를 구성하여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블록(41)의 중공부(43)에는 레이디얼 베어링(45)을 개재하여 지지축(47)이 수직으로 세워져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블록(41)의 개구된 상단과의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49)을 개재하여 회전판(51)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회전판(51)은 그 하단면의 중앙이 상기 지지축(47)의 상단과 고정 연결된다.
또, 상기 회전판(51)의 상단면에는 연결레일(9)이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레일(9)은 상기 서로 다른방향을 갖는 주행레일(3,5)이 오버랩되는 부분(P)에서 절개된 레일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블록(41)의 일측에는 작동 실린더(7)가 힌지 장착되며, 이 작동 실린더(7)의 피스톤 로드(57)는 그 선단이 상기 회전판(51)의 일측면과 힌지 브라켓(59)을 통하여 힌지 체결되어 작동 실린더(7)가 피스톤 로드(57)를 전후진 작동시키면, 힌지 브라켓(59)을 통하여 회전판(51)이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의 작동은, 상기 대차(1)가 전후방향의 주행레일(3)에서 좌우방향의 주행레일(5)로 그 주행경로를 전환하고자 할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작동 실린더(7)의 피스톤 로드(57)가 후퇴된 상태, 즉, 상기 연결레일(9)이 전후방향의 주행레일(3)을 연결한 상태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 실린더(7)가 전진 작동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57)를 통하여 힌지 브라켓(59)을 밀면, 상기 힌지 브라켓(59)은 회전판(51)과 함께, 회전하여 회전판(51) 상단의 연결레일(9)을 상기 좌우방향의 주행레일(5)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블록(17)에 고정된 이탈방지 롤러(31)는 연결레일(9)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블록(17)과 함께, 주행 휠(23)을 연결레일(9)의 회전에 동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대차(1)는 그 하부에 구성되는 주행 휠(23)이 회전하여 연결레일(9)을 통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주행레일(3 또는 5)로 그 주행경로를 전환하여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에 의하면, 대차 프레임에 방향전환이 가능한 휠 수단을 구성하고, 주행경로의 전환이 필요한 레일 상의 일측에는 레일 체인지 수단을 구성하여 대차의 주행경로의 전환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주행레일 상에서 주행경로에 따라 각 공정으로 이동되는 대차의 대차 프레임과 상기 주행레일 사이에서 다른 주행레일로 상기 주행경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대차 프레임의 전후 양측 하부면에 양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대차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며, 내부에는 하부로 개구된 중공부를 갖는 고정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의 중공부에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레이디얼 베어링 및 스러스트 베어링을 통하여 고정블록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의 하단면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이 회전블록의 내측에 회전축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주행 휠과, 상기 회전블록의 하단면 일측에 수직축을 통하여 상기 주행레일의 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이탈방지 롤러로 구성되는 휠 수단과;
    상기 휠 수단과 함께, 작동 실린더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서로 다른 주행경로를 갖는 주행레일 사이에 구성되는 연결레일을 회전시켜 다른 주행경로의 주행레일로 주행경로를 전환하도록, 서로 다른 주행레일이 구성된 그 하부에서 바닥면에 고정되고, 내부에는 상부로 개구된 원형의 중공부가 구성되는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중공부 내부에 레이디얼 베어링을 개재하여 수직으로 세워져 장착되는 지지축과, 상기 베이스 블록의 개구부가 형성된 상단과의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지지축의 상단과 고정 연결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단면에 고정 장착되는 연결레일 및 상기 베이스 블록의 일측에 힌지 장착되며,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과 힌지 브라켓을 통하여 피스톤 로드가 힌지 체결되는 작동 실린더로 구성되는 레일 체인지 수단;
    을 포함하는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0-0081854A 2000-12-26 2000-12-26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KR100394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854A KR100394648B1 (ko) 2000-12-26 2000-12-26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1854A KR100394648B1 (ko) 2000-12-26 2000-12-26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910A KR20020053910A (ko) 2002-07-06
KR100394648B1 true KR100394648B1 (ko) 2003-08-14

Family

ID=2768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854A KR100394648B1 (ko) 2000-12-26 2000-12-26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644B1 (ko) * 2001-08-23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KR100828826B1 (ko) * 2006-12-13 2008-05-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운반 레일 체인지 장치
KR101681690B1 (ko) * 2015-07-29 2016-12-23 아담스오텍 주식회사 대차 이송장치
KR101686053B1 (ko) * 2015-12-07 2016-12-13 비앤에스(주) 레일 전환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1583A (ja) * 1986-05-08 1987-11-13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組立用車体搬送装置
JPH05116530A (ja) * 1991-07-19 1993-05-14 Iwatani Internatl Corp レール式搬送装置の方向切換装置
KR20000021642A (ko) * 1998-09-30 2000-04-25 김태구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JP2000177665A (ja) * 1998-12-21 2000-06-27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台車合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61583A (ja) * 1986-05-08 1987-11-13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組立用車体搬送装置
JPH05116530A (ja) * 1991-07-19 1993-05-14 Iwatani Internatl Corp レール式搬送装置の方向切換装置
KR20000021642A (ko) * 1998-09-30 2000-04-25 김태구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JP2000177665A (ja) * 1998-12-21 2000-06-27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台車合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910A (ko) 200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808B1 (ko) 이송대차 시스템
WO2008059604A1 (fr) Structure de bogie de véhicule de type sur rail
KR100394648B1 (ko)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CN100556486C (zh) 娱乐装置
KR100401644B1 (ko)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JPH0733242A (ja) ターンテーブルに固定された旋回レールと固定レールとの接合離反装置
JP2002037059A (ja) 分岐を備えた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4885703B2 (ja) 軌陸走行システム
JP2000006797A (ja)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3411268B2 (ja) 搬送台車式搬送システム
JPH07165068A (ja) 台車使用の搬送設備
JP2001071895A (ja) 舵取り装置付の台車を用いた搬送設備
JP2572993B2 (ja) 台車使用の搬送設備
JPH11240304A (ja) 車輪取付け部がスライドする自在車輪
US20050139117A1 (en) Dual-pivot steering system and method
JP2726247B2 (ja) 洗車機のブラシ装置
KR100333922B1 (ko) 자동차의 샤시 프레임 센터링 장치
JPH10194131A (ja) 移動台車
JPH06270851A (ja) 4クロ−ラ型無限軌道車
KR100375929B1 (ko)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JP2004268827A (ja) 台車搬送システム
JPH05270396A (ja) 無軌条式無人搬送台車
JPH10287232A (ja) ハンガーコンベア
JP2583517Y2 (ja) 搬送台車旋回装置
JPH0597032A (ja) レール走行台車のトラバー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