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690B1 - 대차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대차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690B1
KR101681690B1 KR1020150106925A KR20150106925A KR101681690B1 KR 101681690 B1 KR101681690 B1 KR 101681690B1 KR 1020150106925 A KR1020150106925 A KR 1020150106925A KR 20150106925 A KR20150106925 A KR 20150106925A KR 101681690 B1 KR101681690 B1 KR 101681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truck
sub
mo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철
임병철
Original Assignee
아담스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담스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담스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Abstract

일직진 구간에서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는 대차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대차가 주행하는 대차주행 레일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주행 레일과, 상기 모터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유닛과, 상기 모터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대차를 클램핑하며, 상기 모터유닛이 상기 모터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시에 상기 모터유닛과 함께 이동되는 대차 클램핑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차 이송장치{CART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대차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바디 부품을 실은 대차를 용접위치로 이동시키는 대차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는 복수의 패널을 용접하여 형성되는 바, 상기 바디를 제작하기 위한 조립 파트는 복수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각의 조립 파트에서 상기 바디의 일부를 용접하여 제작하게 된다.
상기 조립 파트는 상기 용접되기 위한 부품들을 실은 대차를 용접장치가 배치된 용접위치로 이송시켜서, 상기 용접장치에 의해 상기 부품들을 용접하게 된다.
기존의 상기 대차를 이송하는 방식은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방식과, 프릭션 모터를 이용한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는 방식은 자기부상방식으로 상기 대차를 이송하는 방식이고, 상기 프릭션 모터를 이용한 방식은 마찰방식으로 상기 대차를 이송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는 방식과 상기 프릭션 모터를 이용하는 방식은, 하나의 직진구간 당 복수의 모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비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기부상 방식 및 마찰방식은 슬립이 발생하게 되므로, 대차 이송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바디는 차종에 따라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다. 최근에는 다양한 차종의 바디 부품을 하나의 조립 파트에서 생산할 수 있는 다차종 공용 조립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은, 다차종의 상기 바디를 제작하기 위한 설비가 거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대차가 이동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생산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대차를 이송시키는 구동원인 모터유닛이 상기 대차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서, 하나의 직진구간당 하나의 모터만을 설치하여 설비비가 저감되는 대차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대차가 주행하는 대차주행 레일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주행 레일과, 상기 모터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유닛과, 상기 모터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대차를 클램핑하며, 상기 모터유닛이 상기 모터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시에 상기 모터유닛과 함께 이동되는 대차 클램핑유닛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는, 모터유닛이 대차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하나의 직진 구간당 하나의 모터만을 설치하여 설비비가 저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제2 조립 파트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대차주행 레일의 교차지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터주행 레일 및 대차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모터주행 레일 및 대차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모터주행 프레임을 삭제하고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모터주행 레일 및 대차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대차 클램핑유닛이 대차를 클램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대차에 설치되는 대차 롤러장치가 대차주행 레일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대차 롤러장치의 하측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
도 12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은, 제1 조립 파트(1000) 및 제2 조립 파트(2000)를 포함한다.
제1 조립 파트(1000)는 자동차의 바디 측면 외부를 형성하는 패널인 사이드 아우터 패널들을 용접하여 용접완성품인 바디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파트이다. 제1 조립 파트(1000)는 작업자 위치로 빈 대차가 이동되어 오면 상기 작업자가 적재함에서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들을 집어서 상기 빈 대차에 올려놓게 되면,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들을 실은 대차는 용접위치로 이동된 후, 용접장치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들을 용접하여 상기 바디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를 제작하게 된다.
제2 조립 파트(2000)는 제1 조립파트(1000)에서 완성된 상기 바디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에 상기 자동차의 바디 측면 내부를 형성하는 패널인 사이드 인너 패널을 용접하여 용접완성품인 바디 사이드 컴플릿 어셈블리를 제작하는 파트이다.
제1 조립파트(1000) 및 제2 조립파트(2000)의 일측에는 제1 로딩유닛(800)이 배치된다. 제1 조립파트(1000)에서 상기 바디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가 완성되면, 제1 로딩유닛(800)은 상기 바디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가 놓여진 대차 위에서 상기 바디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를 취출하여 제2 조립파트(2000)로 이동된 후, 제2 조립파트(2000)의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하는 빈 대차 위에 공급한다.
제1 로딩유닛(800)은 제1 조립파트(1000) 및 제2 조립파트(2000)의 일측에 설치된 컨베이어(805)에 설치되어 제1 조립파트(1000) 및 제2 조립파트(2000)의 일측을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 조립 파트(1000) 및 제2 조립 파트(2000)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하, 제2 조립 파트(2000)만을 예로 들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조립 파트(2000)에는 상기 바디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 및 상기 사이드 인너 패널을 싣고 이동하는 대차들(1)(2)(3)(4)(5)(6)(7)(8)이 배치된다. 제2 조립 파트(2000)는 대차들(1)(2)(3)(4)(5)(6)(7)(8)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바디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 및 상기 사이드 인너 패널을 하나의 대차(예를 들면,1)에 실은 후, 용접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상기 바디 사이드 아우터 어셈블리는 제1 부품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상기 사이드 인너 패널은 제2 부품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조립 파트(2000)는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100)과, 턴테이블(100)의 전방에서 직진구간으로 연장되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과,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서브 대차이송라인(300)(400)(500)(600)을 포함한다.
턴테이블(100)의 상측면에는 용접실시부(110) 및 용접대기부(120)가 메인 대차이송라인(200)과 대응되는 직진구간으로 순차 형성된다. 용접실시부(110)는 턴테이블(100)의 상측면 후방에 배치되고, 용접대기부(120)는 턴테이블(100)의 상측면 전방에 배치된다. 턴테이블(100)의 주변에는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하는 대차(예를 들면, 1)위에 놓여진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용접하는 용접장치(700)가 복수로 구비된다.
텐테이블(100)은 대차(예를 들면,1)가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싣고 용접대기부(120)에 도착하면, 180도 회전되어 대차(1)를 용접실시부(110)에 위치시킨다. 또한, 턴테이블(100)은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한 대차(예를 들면,1) 위에 놓여진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이 용접장치(700)에 의해 용접이 완료되고, 상기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을 실은 대차(예를 들면,2)가 용접대기부(120)에 도착하면, 180도 회전되어 대차(1) 및 대차(2)의 위치를 서로 바꾼다.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은 턴테이블(100)의 용접대기부(120)로부터 제1 경유부(210), 제2 경유부(220) 및 작업부(230)가 직진구간으로 순차 형성된다. 즉, 용접실시부(110), 용접대기부(120), 제1 경유부(210), 제2 경유부(220) 및 작업부(230)는 하나의 직진구간으로 형성되어, 용접실시부(110)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작업부(230)가 가장 전방에 배치된다.
서브 대차이송라인(300)(400)(500)(600)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과,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과,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과,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을 포함한다.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은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제1 경유부(2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메인 대차이송라인(200)과 직교되는 직진구간으로 형성되고,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은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제1 경유부(210)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메인 대차이송라인(200)과 직교되는 직진구간으로 형성되며,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은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제2 경유부(22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메인 대차이송라인(200)과 직교되는 직진구간으로 형성되고,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은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제2 경유부(220)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메인 대차이송라인(200)과 직교되는 직진구간으로 형성된다.
제2 조립 파트(2000)는 4차종의 상기 바디 사이드 컴플릿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는 A차종의 상기 바디 사이드 컴플릿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두 개의 대차(1)(2)가 배치되고,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에는 B차종의 상기 바디 사이드 컴플릿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두 개의 대차(3)(4)가 배치되며,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는 C차종의 상기 바디 사이드 컴플릿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두 개의 대차(5)(6)가 배치되고,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에는 D차종의 상기 바디 사이드 컴플릿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두 개의 대차(7)(8)가 배치된다.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 및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 각각에 상기 두 개의 대차가 배치되는 이유는, 일차종의 상기 바디 사이드 컴플릿 어셈블리만을 반복하여 제작하는 경우 용접작업을 쉬지 않고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A차종의 상기 바디 사이드 컴플릿 어셈블리를 제작하기 위한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 배치되는 두 개의 대차(1)(2) 중 어느 하나의 대차(1)가 용접실시부(110)에 위치되어 대차(1) 위에 놓여진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이 용접장치(700)에 의해 용접되고 있는 동안에, 다른 하나의 대차(2)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공급받아 용접대기부(120)로 이동된 후,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한 대차(1) 위에 놓여진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의 용접이 완료되어 턴테이블(100)이 180도 회전되면,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용접장치(700)는 쉬지 않고 용접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1 경유부(210)는 상기 제1 부품이 공급되는 위치이자,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의 용접완성품이 취출되는 위치이다. 제1 로딩유닛(800)이 제1 조립 파트(1000)에서 상기 제1 부품을 집어서 제2 조립파트(2000)로 이동된 후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빈 대차 위에 상기 제1 부품을 공급한다. 또한, 제2 조립파트(20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의 용접완성품을 취출하는 제2 로딩유닛(810)이 설치된다. 제1 로딩유닛(800)은 턴테이블(100)로부터 좌측에 배치되고, 제2 로딩유닛(810)은 턴테이블(100)로부터 우측에 배치된다. 제2 로딩유닛(810)은 제2 조립파트(2000)의 일측에 설치된 컨베이어(815)에 설치되어 제2 조립파트(2000)의 일측을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작업부(230)는 제1 경유부(210)에서 제1 로딩유닛(800)에 의해 상기 제1 부품이 올려진 대차(예를 들면,1)가 이동되어 오면, 작업자(9)에 의해 대차(1)에 상기 제2 부품이 공급되는 위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은, 대차(1)(2)(3)(4)(5)(6)(7)(8)가 대기하는 위치인 서브 대차이송라인(300)(400)(500)(600)의 8개의 대차 스토리지와, 대차(1)(2)(3)(4)(5)(6)(7)(8)가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공급받기 위해 이동되면서 일시 정지되는 위치인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제1 경유부(210), 제2 경유부(220) 및 작업부(230)와,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공급받은 후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용접하기 위해 대차(1)(2)(3)(4)(5)(6)(7)(8)가 일시 정지되는 위치인 용접대기부(120) 및 용접실시부(110)로 이루어져서, 총 13개의 대차 스토리지만으로 4차종의 상기 바디 사이드 컴플릿 어셈블리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설비 크기가 축소되며, 이로 인해 대차(1)(2)(3)(4)(5)(6)(7)(8)가 이송되는 시간이 축소되므로 생산성 또한 향상된다.
도 2는 도 1의 제2 조립 파트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대차이송라인(200) 및 서브 대차이송라인(300)(400)(500)(600)에는 대차(1)(2)(3)(4)(5)(6)(7)(8)를 이송시키는 대차이송장치(900)(910)(920)(930)(940)가 설치된다. 대차이송장치(900)(910)(920)(930)(94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에 설치되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 설치되는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와,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에 설치되는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920)와,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 설치되는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에 설치되는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940)를 포함한다.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용접대기부(120)에서 작업부(230)까지의 직진구간에 위치하는 대차(1)(2)(3)(4)(5)(6)(7)(8)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고,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는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서 제1 경유부(210)까지의 직진구간에 위치하는 대차(1)(2)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며,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920)는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에서 제1 경유부(210)까지의 직진구간에 위치하는 대차(3)(4)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고,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는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서 제2 경유부(220)까지의 직진구간에 위치하는 대차(5)(6)를 직선 왕복 이동시키며,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940)는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에서 제2 경유부(220)까지의 직진구간에 위치하는 대차(7)(8)를 직선 왕복 이동시킨다.
메인 대차이송라인(200),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 및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은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또한, 메인 대차이송장치(900),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920),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 및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940)는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대차이송라인(200)(300)(400)(500)(600) 각각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고 대차(1)(2)(3)(4)(5)(6)(7)(8)가 주행하는 대차주행 레일(20)과,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고 대차이송장치(900)(910)(920)(930)(940)가 주행하는 모터주행 레일(30)을 포함한다.
대차주행 레일(2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상측 중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대차(1)(2)(3)(4)(5)(6)(7)(8)의 하측 중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 모터주행 레일(30)은 양측의 대차주행 레일(20) 사이에 배치된다. 대차주행 레일(20)이 모터주행 레일(30)보다 베이스 프레임(10)으로부터 상측으로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도 3은 대차주행 레일의 교차지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경유부(21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과, 제1 경유부(21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과,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과,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는 각각, 대차(1)(2)(3)(4)(5)(6)(7)(8)의 주행방향을 90도로 전환시키는 레일 체인저(40)가 배치된다.
레일 체인저(40)는 90도로 회전되는 회전체(42)와, 회전체(42)의 상측면에 배치된 레일(44)과, 회전체(42)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인 실린더장치(46)를 포함한다. 회전체(42)는 내부에 배치된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실린더장치(46)의 구동력에 의해 90도로 회전될 수 있다. 실린더장치(46)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일단이 삽입 배치되고 타단은 회전체(42)의 일측에 결합된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내의 유압 또는 공압이 변함에 따라 상기 로드가 실린더 내에서 인출되거나 상기 실린더 내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회전체(42)는 90도로 회전될 수 있다.
레일(44)이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주행방향과 일치된 상태에서, 회전체(42)가 일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경우, 레일(44)이 서브 대차이송라인(300)(400)(500)(60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주행방향과 일치됨으로써,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대차주행 레일(20)을 따라 이동되던 대차(1)(2)(3)(4)(5)(6)(7)(8)는 서브 대차이송라인(300)(400)(500)(600)의 대차주행 레일(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레일(44)이 서브 대차이송라인(300)(400)(500)(600)이 대차주행 레일(20)의 주행방향과 일치된 상태에서, 회전체(42)가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되는 경우, 레일(44)이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주행방향과 일치됨으로써, 서브 대차이송라인(300)(400)(500)(600)의 대차주행 레일(20)을 따라 이동되던 대차(1)(2)(3)(4)(5)(6)(7)(8)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대차주행 레일(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레일 체인저(40) 중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에 설치된 모터주행 레일(3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레일 체인저(40)는, 반대편에 배치되는 레일 체인저(40)보다 레일(44)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에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에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이동될 수 있는 상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모터주행 레일(30)이 양측의 대차주행 레일(20) 사이에서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제1 경유부(210), 제2 경유부(220), 작업부(230), 용접대기부(120) 및 용접실시부(110)에 해당하는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측에는 대차(1)(2)(3)(4)(5)(6)(7)(8)의 양측면으로 각각 삽입되어 대차(1)(2)(3)(4)(5)(6)(7)(8)를 고정하는 대차록킹핀(50)이 설치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모터주행 레일 및 대차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모터주행 레일 및 대차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6은 모터주행 레일에서 모터주행 프레임을 삭제하고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모터주행 레일 및 대차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대차이송장치(900)(910)(920)(930)(940) 각각은,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유닛(950)과, 모터유닛(950)과 결합되고 대차(1)(2)(3)(4)(5)(6)(7)(8)를 클램핑하여 모터유닛(950)이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시에 모터유닛(950)과 함께 이동되는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포함한다.
대차이송장치(900)(910)(920)(930)(940)는 대차(1)(2)(3)(4)(5)(6)(7)(8)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대차(1)(2)(3)(4)(5)(6)(7)(8)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각각의 직진구간인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에 하나(900)가 설치되고,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 하나(910)가 설치되고,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에 하나(920)가 설치되고,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 하나(930)가 설치되고,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에 하나(940)가 설치된다. 즉, 대차이송장치(900)(910)(920)(930)(940)는 각각의 직진구간의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하나의 모터유닛(95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대차(1)(2)(3)(4)(5)(6)(7)(8)를 직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모터주행 레일(30)은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모터주행 프레임(32)과, 모터주행 프레임(32)에 설치되는 랙(34)을 포함한다. 랙(34)은 모터주행 프레임(32)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하측면에 기어치가 형성된다.
모터유닛(950)은 모터(951)와, 모터(951)의 회전축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랙(34)과 맞물리는 피니언(952)과, 모터(951)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피니언(952)으로 전달하는 감속기(953)를 포함한다. 모터(951)의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 감속기(953)는 모터(951)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감속시켜서 토크력을 상승시켜 피니언(952)으로 전달하게 된다.
모터(951)는 서보모터로 형성되어, 대차(1)(2)(3)(4)(5)(6)(7)(8)의 정확한 이동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모터(951)에는 모터(951)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컨베이어(954)가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컨베이어(954)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원케이블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컨베이어(954)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모터유닛(950)이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시에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케이블 컨베이어(954)는 컨베이어 브래킷(955)을 통해 제1 브래킷(956)에 결합될 수 있다.
감속기(953)는 외부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모터(951)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속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어가 모터(951)의 회전축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피니언(95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피니언(952)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외측 둘레면에 랙(34)의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미도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피니언(952)의 기어치와 랙(34)의 기어치가 맞물린 상태에서, 모터(951)의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 피니언(952)이 회전되면서 랙(34)을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해, 모터유닛(950)은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모터유닛(950)에 결합된 대차 클램핑유닛(960)은 모터유닛(950)과 함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모터유닛(950)은 제1 브래킷(956)에 설치되고, 대차 클램핑유닛(960)은 제2 브래킷(966)에 설치된다. 제1 브래킷(956) 및 제2 브래킷(966)이 체결부재(967)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모터유닛(950) 및 대차 클램핑유닛(960)은 제1 브래킷(956) 및 제2 브래킷(966)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브래킷(956)에는 피니언(952)이 삽입되는 원형의 제1 삽입홀(956a)이 형성된다. 모터유닛(950) 및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1 브래킷(956) 및 제2 브래킷(966)을 통해 서로 결합된 상태이면, 피니언(952)은 제1 삽입홀(956a)에 삽입된 상태로 랙(34)과 맞물리게 된다.
감속기(953)의 케이스는 리테이너(957)를 통해 제1 브래킷(956)에 결합된다. 리테이너(957)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제1 브래킷(956)에 형성된 제1 삽입홀(956a)과 대응되는 원형의 제2 삽입홀(957a)이 형성된다. 피니언(952)은 감속기(953)의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 배치되어 제2 삽입홀(957a) 및 제1 삽입홀(956a)로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랙(34)과 맞물리게 된다.
모터주행 레일(30)에는 모터유닛(950)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6)(37)이 설치된다. 가이드 레일(36)(37)은 모터주행 레일(3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모터주행 프레임(32)에 길이를 따라 결합된다. 가이드 레일(36)(37)은 두 개로 구비되어, 하나(36)는 모터주행 프레임(32) 중 제1 브래킷(956)과 마주보는 면의 상측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37)는 모터주행 프레임(32) 중 제1 브래킷(956)과 마주보는 면의 하측에 설치된다. 즉, 가이드 레일(36)(37)은 모터주행 프레임(32) 중 제1 브래킷(956)과 마주보는 면의 상측에 설치되는 어퍼 가이드 레일(36)과, 모터주행 프레임(32) 중 제1 브래킷(956)과 마주보는 면의 하측에 설치되는 로워 가이드 레일(37)을 포함한다.
제1 브래킷(956)에는 가이드 레일(36)(37)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38)(39)가 결합된다. 가이드(38)(39)는 LM가이드로 구비되고, 총 4개가 구비된다. 즉, 가이드(38)(39))는 어퍼 가이드 레일(3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어퍼 가이드(38)와, 로워 가이드 레일(37)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로워 가이드(39)를 포함한다.
모터(951)가 구동되어 피니언(952)이 랙(34)을 따라 이동될 때, 가이드레일(36)(37) 및 가이드(38)(39)는 모터유닛(950) 및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모터주행 레일(3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모터주행 프레임(32)은 3피스로 형성된다. 즉, 모터주행 프레임(32)은 가이드 레일(36)(37)이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32a)과, 사이드 프레임(32a)의 상측에 배치되고 랙(34)이 결합되는 어퍼 프레임(32b)과, 사이드 프레임(32a)의 하측에 배치되고 베이스 프레임(10)에 결합되는 로워 프레임(32c)을 포함한다.
사이드 프레임(32a) 중 제1 브래킷(956)과 마주보는 면인 내측면에 가이드 레일(36)(37)이 배치되고, 사이드 프레임(32a)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레일(36)(37)을 사이드 프레임(32a)에 결합하는 3개의 고정 브래킷(35)이 배치된다. 고정 브래킷(35)은 스크류를 통해 사이드 프레임(32a) 및 가이드 레일(36)37)과 체결되어, 가이드 레일(36)(37)을 사이드 프레임(32a)에 결합할 수 있다.
어퍼 프레임(32b)은 복수의 체결부재(34b)를 통해 랙(34)과 결합될 수 있고, 로워 프레임(32c)은 복수의 체결부재(34c)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0)에 결합될 수 있다.
대차 클램핑유닛(960)은, 실린더(961)와, 실린더(961) 내에서 인출되는 로드(962)와, 로드(962)와 결합되는 샤프트(963)와, 샤프트(963)와 결합되고 대차(1)(2)(3)(4)(5)(6)(7)(8)로 삽입되는 핀(964)을 포함한다.
실린더(961)는 내부의 작동유체의 종류에 따라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962)는 하단이 실린더(961) 내에 배치되고 상단은 실린더(961)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실린더(961) 내의 유압 또는 공압이 변함에 따라 로드(962)가 실린더(961)로부터 인출되거나 실린더(96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실린더(961)의 내부에 배치되는 로드(962)의 하단에는 실린더(961) 내벽과 밀착되는 피스톤이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963)는 직경이 로드(96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핀(964)은 직경이 샤프트(96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샤프트(963)는 로드(962) 및 핀(964) 사이에 배치되어 하단이 로드(962)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은 핀(964)의 하단에 결합된다. 핀(964)은 샤프트(963)의 상단에 결합되어, 로드(962)가 실린더(961)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대차(1)(2)(3)(4)(5)(6)(7)(8)로 삽입되어 대차(1)(2)(3)(4)(5)(6)(7)(8)를 클램핑할 수 있고, 로드(962)가 실린더(961) 내로 삽입되는 경우 대차(1)(2)(3)(4)(5)(6)(7)(8)로부터 빠져나와 대차(1)(2)(3)(4)(5)(6)(7)(8)와 분리될 수 있다.
제2 브래킷(966)은, 제1 브래킷(956)에 결합되는 판체형의 결합부(966a)와, 결합부(966a)에서 돌출 형성되고 샤프트(963)가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는 샤프트 설치부(966b)와, 결합부(966a)에서 돌출 형성되고 실린더(961)가 설치되는 실린더 설치부(966c)를 포함한다.
샤프트 설치부(966b)는 실린더 설치부(966c)의 상측에 배치된다. 샤프트 설치부(966b)에는 상하로 통하는 홀이 형성되며, 그 홀에는 샤프트(963)가 관통하는 부쉬(965a)가 삽입된다. 샤프트 설치부(966b)의 상측에는 부쉬(965a)를 가리는 커버(965b)가 설치된다.
실린더(961)는 실린더 설치부(966c)의 하측에 결합된다. 실린더 설치부(966c)에는 로드(962)가 관통하는 홀이 상하로 통하게 형성된다. 실린더(961)가 실린더 설치부(966c)에 결합된 상태이면, 로드(962)는 실린더 설치부(966c)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실린더 설치부(966c)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도 8은 대차 클램핑유닛이 대차를 클램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대차에 설치되는 대차 롤러장치가 대차주행 레일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대차 롤러장치의 하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대차(1)(2)(3)(4)(5)(6)(7)(8)의 측면에는 대차 클램핑유닛(960)의 핀(964)이 삽입되는 핀삽입홀(971)이 형성된 대차블록(970)이 결합된다. 즉, 대차 클램핑유닛(960)의 핀(964)은 대차블록(970)에 형성된 핀삽입홀(971)로 삽입되어 대차(1)(2)(3)(4)(5)(6)(7)(8)를 클램핑할 수 있다. 대차블록(970)은 대차(1)(2)(3)(4)(5)(6)(7)(8)의 사방측면에 각각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대차(1)(2)(3)(4)(5)(6)(7)(8)가 대차주행 레일(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대차(1)(2)(3)(4)(5)(6)(7)(8)의 하측에는 대차 롤러장치(980)가 결합된다. 대차 롤러장치(980)는, 대차(1)(2)(3)(4)(5)(6)(7)(8)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대차 결합프레임(981)과, 대차 결합프레임(98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면롤러 지지프레임(982)과, 상면롤러 지지프레임(98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대차주행 레일(20)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상면 롤러(983)와, 상면롤러 지지프레임(982)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롤러 지지프레임(984)과, 측면롤러 지지프레임(984)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대차주행 레일(20)의 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롤러(985)를 포함한다.
상면롤러 지지프레임(982)은 대차 롤러장치(980)가 레일 체인저(40)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레일 체인저(40)의 회전체(42)가 90도로 회전될 때 레일(44)이 측면 롤러(985)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회전체(42)와 함께 90도로 회전될 수 있다.
측면롤러 지지프레임(984)에는 상면 롤러(983)의 일부가 돌출되는 홀(984a)이 형성되어, 상면 롤러(983)가 대차주행 레일(20)의 상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측면 롤러(985)는 측면롤러 지지프레임(984)의 하측면 중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결합되어, 대차주행 레일(2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대차 롤러장치(980)는 대차(1)(2)(3)(4)(5)(6)(7)(8)의 하측면 중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양쪽의 대차주행 레일(20)에 각각 접촉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면 롤러(983)가 대차주행 레일(20)의 상면에 접촉되고, 측면 롤러(985)가 대차주행 레일(20)의 측면에 접촉된 채로 배치되기 때문에, 대차(1)(2)(3)(4)(5)(6)(7)(8)는 주행 중에 대차주행 레일(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면 롤러(983) 및 측면 롤러(985)는 회전방향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 롤러(983)는 하나가 구비되고, 측면 롤러(985)는 두 개가 구비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은, 턴테이블(100), 메인 대차이송장치(900),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920),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940), 레일 체인저(40), 용접장치(700), 제1 로딩유닛(800) 및 제2 로딩유닛(81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0)를 더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서 제1 대차는 초기상태의 대기위치에서 용접실시부(110)로 가장 먼저 이동되는 대차를 의미하고, 제2 대차는 상기 제1 대차 다음으로 용접실시부(110)로 이동되는 대차를 의미하고, 제3 대차는 상기 제2 대차 다음으로 용접실시부(110)로 이동되는 대차를 의미한다.
컨트롤러(60)는, 4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용접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용접대기부(120)에 제1 대차(1)가 위치한 상태에서 턴테이블(100)을 18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 대기하는 제2 대차(2)를 제1 경유부(210)로 직진 이동시키도록 하거나,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920)가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에 대기하는 제2 대차(3)를 제1 경유부(210)로 직진 이동시키도록 하거나,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가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 대기하는 제2 대차(5)를 제2 경유부(220)로 직진 이동시키도록 하거나,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940)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에 대기하는 제2 대차(7)를 제2 경유부(220)로 직진 이동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A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실은 제1 대차(1)가 용접대기부(120)에 도착하면, 컨트롤러(60)는 턴테이블(100)을 180도 회전시켜서 제1 대차(1)를 용접실시부(110)의 위치로 옮김과 동시에, B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싣기 위한 제2 대차(3)를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가 제1 경유부(210)로 직진 이동시킨다.
또한, A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실은 제1 대차(1)가 용접대기부(120)에 도착하면, 컨트롤러(60)는 턴테이블(100)을 180도 회전시켜서 제1 대차(1)를 용접실시부(110)의 위치로 옮김과 동시에, C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싣기 위한 제2 대차(5)를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가 제2 경유부(220)로 직진 이동시킨다.
또한, 컨트롤러(60)는, 4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용접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용접실시부(110)에 제1 대차(1)가 위치하고 용접대기부(120)에 제2 대차(3)가 위치한 상태에서 턴테이블(100)을 18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 대기하는 제3 대차(2)를 제1 경유부(210)로 직진 이동시키도록 하거나,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920)가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에 대기하는 제3 대차(4)를 제1 경유부(210)로 직진 이동시키도록 하거나,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가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 대기하는 제3 대차(5)를 제2 경유부(220)로 직진 이동시키도록 하거나,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940)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에 대기하는 제3 대차(7)를 제2 경유부(220)로 직진 이동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A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실은 제1 대차(1)가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하여 용접장치(700)에 의해 용접되고 있는 도중에, A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실은 제2 대차(2)가 용접대기부(120)에 도착한다. 이후,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하는 제1 대차(1) 위에 올려진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의 용접이 완료되면, 컨트롤러(60)는 턴테이블(100)을 180도 회전시켜서 제1 대차(1) 및 제2 대차(2)의 위치를 서로 바꿈과 동시에, B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싣기 위한 제3 대차(3)를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가 제1 경유부(210)로 직진 이동시킨다.
또한, A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실은 제1 대차(1)가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하여 용접장치(700)에 의해 용접되고 있는 도중에, A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실은 제2 대차(2)가 용접대기부(120)에 도착한다. 이후,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하는 제1 대차(1) 위에 올려진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의 용접이 완료되면, 컨트롤러(60)는 턴테이블(100)을 180도 회전시켜서 제1 대차(1) 및 제2 대차(2)의 위치를 서로 바꿈과 동시에, C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싣기 위한 제3 대차(5)를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가 제2 경유부(220)로 직진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가 대차(1)(2)(3)(4)(5)(6)(7)(8)를 이송시키는 자세한 순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의 동작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12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의 동작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제1 로딩유닛(800), 제2 로딩유닛(810) 및 컨베이어(805)(815)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의 초기에는,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에 두 개의 대차(1)(2)가 대기하고,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에 두 개의 대차(3)(4)가 대기하며,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 두 개의 대차(5)(6)가 대기하고,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에 두 개의 대차(7)(8)가 대기한다.
도 13은 제1 대차가 제1 경유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대차(1)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 및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거나,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 및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 경유부(220)로 이동된 후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된다.
만약, A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용접한다고 가정하면, 컨트롤러(60)는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를 제어하여,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 대기하는 제1 대차(1)를 클램핑하여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1 대차(1)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는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대차(1)를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1 대차(1)를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서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1 경유부(21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1 경유부(21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1 대차(1)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대차(1)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면, 제1 경유부(21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1 대차(1)로 삽입되어 제1 대차(1)를 고정시킨다.
만약, C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용접한다고 가정하면, 컨트롤러(60)는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를 제어하여,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가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 대기하는 제1 대차(5)를 클램핑하여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1 대차(5)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는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대차(5)를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1 대차(5)를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서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1 대차(5)가 제2 경유부(2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대차(5)가 제2 경유부(220)로 이동된 후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제2 경유부(220)에 위치한 제1 대차(5)를 클램핑하여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1 대차(5)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대차(5)를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1 대차(5)를 제2 경유부(220)에서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기 전에,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1 대차(5)가 제2 경유부(220)에서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대차(5)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면, 제1 경유부(21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1 대차(5)로 삽입되어 제1 대차(5)를 고정시킨다.
이하, 제1 대차(1)는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 대기하는 대차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제1 대차 위에 제1 부품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된 제1 대차(1)는 제1 부품(A)을 공급받는다.
컨트롤러(60)는 제1 로딩유닛(800)을 제어하여, 제1 로딩유닛(800)이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1 대차(1) 위에 제1 부품(A)을 공급하도록 한다. 제1 로딩유닛(800)은 제1 조립파트(1000)의 대차 위에서 제1 부품(A)을 집어서 제2 조립파트(2000)로 이동되어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1 대차(1) 위에 제1 부품(A)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15는 제1 대차가 작업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경유부(210)에서 제1 부품(A)을 공급받은 제1 대차(1)가 작업부(230)로 이동된다.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1 대차(1)를 작업부(23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1 대차(1)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대차(1)를 작업부(230)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 대차(1)가 작업부(230)로 이동되면, 작업부(23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1 대차(1)로 삽입되어 제1 대차(1)를 고정시킨다.
도 16은 제1 대차 위에 제2 부품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대차(1)가 제1 경유부(210)에서 제1 부품(A)을 공급받은 후 작업부(230)로 이동되면, 작업자(9)는 제1 대차(1) 위에 제1 부품(A)과 용접되기 위한 제2 부품(B)을 공급한다. 작업자(9)는 제1 부품(A) 위에 제2 부품(B)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17은 제1 대차가 용접대기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작업자(9)가 제1 대차(1) 위에 제2 부품(B)을 공급한 후, 제1 대차(1)가 용접대기부(120)로 이동된다.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작업부(230)에 위치한 제1 대차(1)를 용접대기부(12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작업부(230)에 위치한 제1 대차(1)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대차(1)를 용접대기부(120)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 대차(1)가 용접대기부(120)로 이동되면, 용접대기부(12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1 대차(1)로 삽입되어 제1 대차(1)를 고정시킨다.
도 18은 턴테이블이 180도 회전됨과 동시에 제2 대차가 제1 경유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대차(1)가 용접대기부(120)에 배치된 상태에서 턴테이블(100)이 180도 회전됨과 동시에, 제2 대차(2)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 및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거나,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 및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 경유부(220)로 이동된다.
만약, A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용접한다고 가정하면, 컨트롤러(60)는 턴테이블(100)을 18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 대기하는 제2 대차(2)를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2 대차(2)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는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2 대차(2)를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2 대차(2)를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서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1 경유부(21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1 경유부(21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2 대차(2)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대차(2)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면, 제1 경유부(21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2 대차(2)로 삽입되어 제2 대차(2)를 고정시킨다.
만약, C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용접한다고 가정하면, 컨트롤러(60)는 턴테이블(100)을 18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가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 대기하는 제2 대차(5)를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2 대차(5)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는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2 대차(5)를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2 대차(5)를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서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2 대차(5)가 제2 경유부(2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대차(5)가 제2 경유부(220)로 이동된 후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제2 경유부(220)에 위치한 제2 대차(5)를 클램핑하여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2 대차(5)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2 대차(5)를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2 대차(5)를 제2 경유부(220)에서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기 전에,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2 대차(5)가 제2 경유부(220)에서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대차(5)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면, 제1 경유부(21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2 대차(5)로 삽입되어 제2 대차(5)를 고정시킨다.
이하, 제2 대차(2)는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 대기하는 대차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제2 대차 위에 제1 부품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용접장치(700)는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한 제1 대차(1) 위에 놓여진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의 용접을 실시하고,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된 제2 대차(2)는 제1 부품(A)을 공급받는다.
컨트롤러(60)는, 용접장치(700)를 제어하여, 용접장치(700)가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한 제1 대차(1) 위에 놓여진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의 용접을 실시하도록 하고, 제1 로딩유닛(800)을 제어하여, 제1 로딩유닛(800)이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2 대차(2) 위에 제1 부품(A)을 공급하도록 한다. 제1 로딩유닛(800)은 제1 조립파트(1000)의 대차 위에서 제1 부품(A)을 집어서 제2 조립파트(2000)로 이동되어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2 대차(2) 위에 제1 부품(A)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20은 제2 대차가 작업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용접장치(700)가 제1 대차(1) 위에 놓여진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을 용접하고 있는 도중에, 제1 경유부(210)에서 제1 부품(A)을 공급받은 제2 대차(2)는 작업부(230)로 이동된다.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2 대차(2)를 작업부(23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2 대차(2)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2 대차(2)를 작업부(230)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2 대차(2)가 작업부(230)로 이동되면, 작업부(23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2 대차(2)로 삽입되어 제2 대차(2)를 고정시킨다.
도 21은 제2 대차 위에 제2 부품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 대차(2)가 제1 경유부(210)에서 제1 부품(A)을 공급받은 후 작업부(230)로 이동되면, 작업자(9)는 제2 대차(2) 위에 제1 부품(A)과 용접되기 위한 제2 부품(B)을 공급한다. 작업자(9)는 제1 부품(A) 위에 제2 부품(B)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22는 제2 대차가 용접대기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작업자(9)가 제2 대차(2) 위에 제2 부품(B)을 공급한 후, 제2 대차(2)는 용접대기부(120)로 이동된다.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작업부(230)에 위치한 제2 대차(2)를 용접대기부(12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작업부(230)에 위치한 제2 대차(2)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2 대차(2)를 용접대기부(120)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2 대차(2)가 용접대기부(120)로 이동되면, 용접대기부(12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2 대차(2)로 삽입되어 제2 대차(2)를 고정시킨다.
용접장치(700)는 제2 대차(2)가 용접대기부(120)로 도착하기 전에 제1 대차(1) 위에 놓여진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의 용접을 완료할 수 있다.
도 23은 턴테이블이 180도 회전됨과 동시에 제3 대차가 제1 경유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대차(1)가 용접실시부(110)에 배치되고 제2 대차(2)가 용접대기부(120)에 배치된 상태에서 턴테이블(100)이 180도 회전됨과 동시에, 제3 대차(3)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 및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거나,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 및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2 경유부(220)로 이동된다.
만약, B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용접한다고 가정하면, 컨트롤러(60)는 턴테이블(100)을 18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920)가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에 대기하는 제3 대차(3)를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92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3 대차(3)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92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920)는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3 대차(3)를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3 대차(3)를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에서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1 경유부(21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1 경유부(21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3 대차(3)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대차(3)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면, 제1 경유부(21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3 대차(3)로 삽입되어 제3 대차(3)를 고정시킨다.
만약, D차종의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을 용접한다고 가정하면, 컨트롤러(60)는 턴테이블(100)을 180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940)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에 대기하는 제3 대차(7)를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94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3 대차(7)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94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940)는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3 대차(7)를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3 대차(7)를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에서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3 대차(7)가 제2 경유부(22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3 대차(7)가 제2 경유부(220)로 이동된 후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제2 경유부(220)에 위치한 제3 대차(7)를 클램핑하여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3 대차(7)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3 대차(7)를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3 대차(7)를 제2 경유부(220)에서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기 전에,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3 대차(7)가 제2 경유부(220)에서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3 대차(7)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면, 제1 경유부(21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3 대차(7)로 삽입되어 제3 대차(7)를 고정시킨다.
이하, 제3 대차(3)는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에 대기하는 대차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제3 대차 위에 제1 부품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용접장치(700)는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한 제2 대차(2) 위에 놓여진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의 용접을 실시하고,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된 제3 대차(3)는 제1 부품(A)을 공급받는다.
컨트롤러(60)는, 용접장치(700)를 제어하여, 용접장치(700)가 용접실시부(110)에 위치한 제2 대차(2) 위에 놓여진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의 용접을 실시하도록 하고, 제1 로딩유닛(800)을 제어하여, 제1 로딩유닛(800)이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3 대차(3) 위에 제1 부품(A)을 공급하도록 한다. 제1 로딩유닛(800)은 제1 조립파트(1000)의 대차 위에서 제1 부품(A)을 집어서 제2 조립파트(2000)로 이동되어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3 대차(3) 위에 제1 부품(A)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25는 제3 대차가 작업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용접장치(700)가 제2 대차(2) 위에 놓여진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을 용접하고 있는 도중에, 제1 경유부(210)에서 제1 부품(A)을 공급받은 제3 대차(3)는 작업부(230)로 이동된다.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3 대차(3)를 작업부(23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1 경유부(210)에 위치한 제3 대차(3)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3 대차(3)를 작업부(230)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3 대차(3)가 작업부(230)로 이동되면, 작업부(23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3 대차(3)로 삽입되어 제3 대차(3)를 고정시킨다.
제3 대차(3)가 제1 경유부(210)에서 제1 부품(A)을 공급받은 후 작업부(230)로 이동되면, 작업자(9)는 제3 대차(3) 위에 제1 부품(A)과 용접되기 위한 제2 부품(B)을 공급한다. 작업자(9)는 제1 부품(A) 위에 제2 부품(B)을 올려놓을 수 있다.
도 26은 제1 대차가 제1 경유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3 대차(3)가 제1 경유부(210)에서 작업부(230)로 이동된 후, 제1 대차(1)는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차종의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을 용접하는 작업을 혼류로 하기 때문에, 제3 대차(3)가 제1 경유부(210)에서 작업부(230)로 이동된 후, 제1 대차(1)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지만, 일차종만의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을 용접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경우라면, 제3 대차(3)가 제1 경유부(210)에서 작업부(230)로 이동된 후, 제1 대차(1)는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지 않고 용접대기부(120)에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컨트롤러(60)는 제2 로딩유닛(810)을 제어하여 제2 로딩유닛(810)이 용접대기부(120)에 위치한 제1 대차(1) 위에서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의 용접완성품을 취출하도록 한다. 이하, 제3 대차(3)가 제1 경유부(210)에서 작업부(230)로 이동된 후, 제1 대차(1)는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용접대기부(120)에 위치한 제1 대차(1)를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용접대기부(120)에 위치한 제1 대차(1)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대차(1)를 제1 경유부(210)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 대차(1)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면, 제1 경유부(21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1 대차(1)로 삽입되어 제1 대차(1)를 고정시킨다.
도 27은 제1 대차 위에 놓여진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의 용접완성품이 취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1 대차(1)가 제1 경유부(210)로 이동되면, 제2 로딩유닛(810)은 제1 대차(1) 위에 놓여진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의 용접완성품을 취출한다.
컨트롤러(60)는 제2 로딩유닛(810)을 제어하여, 제2 로딩유닛(810)이 제1 대차(1) 위에 놓여진 상기 용접완성품을 집어서 다음 조립 파트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28은 제1 대차가 대기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1 대차(1) 위에서 상기 용접완성품이 취출된 후, 제1 대차(1)는 대기위치로 이동된다.
만약, 제1 대차(1)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에 대기하던 대차라면, 컨트롤러(60)는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를 제어하여,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가 제1 대차(1)를 클램핑하여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1 대차(1)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910)는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대차(1)를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으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1 대차(1)를 제1 경유부(210)에서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1 경유부(21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4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1 경유부(21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1 대차(1)가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30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제1 대차(5)가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에 대기하던 대차라면,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제1 대차(5)를 클램핑하여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를 제어하여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가 제1 대차(5)를 클램핑하여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1 대차(5)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대차(5)를 제2 경유부(220)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 대차(5)가 제2 경유부(220)로 이동된 후, 컨트롤러(60)는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제1 대차(5)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930)는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1 대차(5)를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으로 이동시킨다.
컨트롤러(60)는 제1 대차(5)를 제2 경유부(220)에서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와,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600)의 대차주행 레일(20) 및 제2 경유부(220)의 대차주행 레일(20)의 교차지점에 배치된 레일 체인저(40)를 90도 회전시켜서, 제1 대차(5)가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50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9는 제3 대차가 용접대기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1 대차(1)가 대기위치로 이동된 후, 제3 대차(3)는 용접대기부(120)로 이동된다.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를 제어하여, 메인 대차이송장치(900)가 작업부(230)에 위치한 제3 대차(3)를 용접대기부(12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즉, 컨트롤러(60)는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대차 클램핑유닛(960)을 제어하여 대차 클램핑유닛(960)이 작업부(230)에 위치한 제3 대차(3)를 클램핑하도록 한 후, 메인 대차이송장치(900)의 모터(951)를 구동시키면, 메인 대차이송장치(900)는 메인 대차이송라인(200)의 모터주행 레일(30)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3 대차(3)를 용접대기부(120)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3 대차(3)가 용접대기부(120)로 이동되면, 용접대기부(120)에 배치된 대차록킹핀(50)은 제3 대차(3)로 삽입되어 제3 대차(3)를 고정시킨다.
용접장치(700)는 제3 대차(3)가 용접대기부(120)로 도착하기 전에 제2 대차(2) 위에 놓여진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의 용접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도 23 내지 도 29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4차종의 제1 부품(A) 및 제2 부품(B)의 용접작업을 쉬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차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8개의 대차(1)(2)(3)(4)(5)(6)(7)(8)를 이용하여 4차종의 부품들을 쉬지 않고 용접할 수 있다.
또한, 모터유닛(950)이 대차(1)(2)(3)(4)(5)(6)(7)(8)와 함께 이동되기 때문에, 하나의 직진 구간당 하나의 모터(951)만을 설치하여 설비비가 저감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3,4,5,6,7,8: 대차 9: 작업자
10: 베이스 프레임 20: 대차주행 레일
30: 모터주행 레일 32: 모터주행 프레임
32a: 사이드 프레임 32b: 어퍼 프레임
32c: 로워 프레임 34: 랙
35: 고정 브래킷 36,37: 가이드 레일
38,39: 가이드 40: 레일 체인저
42: 회전체 44: 레일
46: 실린더장치 50: 대차 록킹핀
60: 컨트롤러 100: 턴테이블
110: 용접실시부 120: 용접대기부
200: 메인 대차이송라인 210: 제1 경유부
220: 제2 경유부 230: 작업부
300: 제1 서브 대차이송라인 400: 제2 서브 대차이송라인
500: 제3 서브 대차이송라인 600: 제4 서브 대차이송라인
700: 용접장치 800: 제1 로딩유닛
810: 제2 로딩유닛 900: 메인 대차이송장치
910: 제1 서브 대차이송장치 920: 제2 서브 대차이송장치
930: 제3 서브 대차이송장치 940: 제4 서브 대차이송장치
950: 모터유닛 951: 모터
952: 피니언 953: 감속기
954: 케이블 컨베이어 955: 컨베이어 브래킷
956: 제1 브래킷 956a: 제1 삽입홀
957: 리테이너 957a: 제2 삽입홀
960: 대차 클램핑유닛 961: 실린더
962: 로드 963: 샤프트
964: 핀 965a: 부쉬
965b: 커버 966: 제2 브래킷
966a: 결합부 966b: 샤프트 설치부
966c: 실린더 설치부 970: 대차블록
980: 대차 롤러장치 981: 대차 결합프레임
982: 상면롤러 지지프레임 983: 상면 롤러
984: 측면롤러 지지프레임 985: 측면 롤러

Claims (12)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대차가 주행하는 대차주행 레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주행 레일;
    상기 모터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유닛; 및
    상기 모터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대차를 클램핑하며, 상기 모터유닛이 상기 모터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시에 상기 모터유닛과 함께 이동되는 대차 클램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주행 레일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모터주행 프레임과, 상기 모터주행 프레임에 설치되는 랙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유닛은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유닛이 설치되는 제1 브래킷과,
    상기 대차 클램핑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브래킷에 결합되는 제2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차 클램핑유닛은 상기 제1 브래킷 및 상기 제2 브래킷을 통해 상기 모터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모터주행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브래킷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주행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레일이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랙이 결합되는 어퍼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로워 프레임을 포함하는 대차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대차 이송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에는 상기 피니언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는 대차 이송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 클램핑유닛은,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인출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와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고, 상기 대차로 삽입되는 핀을 포함하는 대차 이송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제1 브래킷에 결합되는 판체형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가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는 샤프트 설치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관통하는 실린더 설치부를 포함하는 대차 이송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설치부에는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부쉬가 삽입되고, 상기 부쉬를 가리는 커버가 설치되는 대차 이송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으로 전달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속기의 케이스를 상기 제1 브래킷에 결합하고, 상기 제1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피니언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된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대차 이송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가 상기 대차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대차에 결합되어 상기 대차주행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 롤러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차 롤러장치는,
    상기 대차에 결합되는 대차 결합프레임과,
    상기 대차 결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면롤러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면롤러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대차주행 레일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상면 롤러와,
    상기 상면롤러 지지프레임의 하측면에 결합되는 측면롤러 지지프레임과,
    상기 측면롤러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대차주행 레일의 측면에 접촉되는 측면 롤러를 포함하는 대차 이송장치.
KR1020150106925A 2015-07-29 2015-07-29 대차 이송장치 KR101681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25A KR101681690B1 (ko) 2015-07-29 2015-07-29 대차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925A KR101681690B1 (ko) 2015-07-29 2015-07-29 대차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690B1 true KR101681690B1 (ko) 2016-12-23

Family

ID=5773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925A KR101681690B1 (ko) 2015-07-29 2015-07-29 대차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6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71B1 (ko) * 2017-10-16 2019-02-26 비앤에스(주) 보조레일을 구비한 방향전환용 연결레일모듈
KR101960679B1 (ko) * 2017-10-16 2019-03-21 비앤에스(주) 가이드휠을 장착한 롤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팰릿 이송 시스템
KR20190042781A (ko) * 2017-10-16 2019-04-25 비앤에스(주) 리니어모터의 방열구조를 갖는 팰릿 이송 제어시스템
KR20190042780A (ko) * 2017-10-16 2019-04-25 비앤에스(주)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충돌방지 및 연속주행 기능을 갖는 팰릿 이송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910A (ko) * 2000-12-26 2002-07-06 이계안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KR20070047547A (ko) * 2005-11-02 2007-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대차 시스템
KR101322487B1 (ko) * 2013-05-22 2013-10-29 신한테크(주) 볼 캐스터가 구비된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910A (ko) * 2000-12-26 2002-07-06 이계안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KR20070047547A (ko) * 2005-11-02 2007-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대차 시스템
KR101322487B1 (ko) * 2013-05-22 2013-10-29 신한테크(주) 볼 캐스터가 구비된 이송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71B1 (ko) * 2017-10-16 2019-02-26 비앤에스(주) 보조레일을 구비한 방향전환용 연결레일모듈
KR101960679B1 (ko) * 2017-10-16 2019-03-21 비앤에스(주) 가이드휠을 장착한 롤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팰릿 이송 시스템
KR20190042781A (ko) * 2017-10-16 2019-04-25 비앤에스(주) 리니어모터의 방열구조를 갖는 팰릿 이송 제어시스템
KR20190042780A (ko) * 2017-10-16 2019-04-25 비앤에스(주)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충돌방지 및 연속주행 기능을 갖는 팰릿 이송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93823B1 (ko) * 2017-10-16 2019-06-28 비앤에스(주) 리니어모터의 방열구조를 갖는 팰릿 이송 제어시스템
KR101997053B1 (ko) * 2017-10-16 2019-07-08 비앤에스(주)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충돌방지 및 연속주행 기능을 갖는 팰릿 이송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690B1 (ko) 대차 이송장치
KR102018220B1 (ko) 물품 반송 설비
JP5255906B2 (ja) 車体に対する足回り部品の同期搬送装置及び同期搬送方法
KR101013969B1 (ko)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TWI558632B (zh) 物品保管設備及物品保管設備之維修方法
CN109848751B (zh) 用于金属板材切割生产线的上下料转运系统
WO2006137317A1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JP2003079074A (ja) 搬送設備
CN106586486A (zh) Agv搬运及输送线
CN107283093A (zh) 一种多车型随机切换定位系统
CN111573183A (zh) 一种豪华邮轮生产车间分段生产线地面输送系统
CN107685218B (zh) 一种焊接加工线
JP2011020809A (ja) 自動車ボディ搬送装置
KR101681688B1 (ko) 자동차의 부품 조립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10525905B (zh) 一种前车体旋转滑移台车输送系统
CN216104375U (zh) 可直角变道的rgv托载运输车
CN114211178A (zh) 多车型加工的夹具流转机构
CN210824110U (zh) 一种前车体旋转滑移台车输送系统
CN211811599U (zh) 一种接触式供电具双向运动的有轨rgv穿梭小车
KR101853092B1 (ko) 보조 모터를 갖는 자기부상 열차용 분기기의 이송장치
KR101706310B1 (ko)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
JP5585986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101903740B1 (ko) 보조 모터를 갖는 트레버스 방식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CN110641938A (zh) 一种铁路机车车辆轮对检修的轮对运输方法及运输系统
CN217946608U (zh) 轨道自动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