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310B1 -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6310B1 KR101706310B1 KR1020150064734A KR20150064734A KR101706310B1 KR 101706310 B1 KR101706310 B1 KR 101706310B1 KR 1020150064734 A KR1020150064734 A KR 1020150064734A KR 20150064734 A KR20150064734 A KR 20150064734A KR 101706310 B1 KR101706310 B1 KR 101706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 orbit
- track
- magnetic levitation
- variable orb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6—Electric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 B61L5/067—Electric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using electromotive driving means using electromagnetic 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는 자기부상 열차에 부상력을 작용하며 자기부상 열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본선 궤도와 연결된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 있어서, 본선 궤도와 연결되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궤도와, 상기 가변 궤도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가변 궤도의 하부에서 상기 가변 궤도를 지지하는 이송 바퀴, 및 상기 이송 바퀴의 하부에서 이송 바퀴를 지지하여 안내하며, 상기 본선 궤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트레버스 레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방법 및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자기 부상 추진은 전기 자기력을 이용하여, 궤도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부상하여 추진하는 것을 말한다. 자기 부상 시스템은 궤도 상에서 부상 및 추진하는 대차와, 대차에 탑재되어 객차 또는 화차를 형성하는 차량 바디를 포함한다.
자기 부상 시스템은 대차와 궤도 사이에서 전자석에 의한 인력 또는 반발력을 응용하여, 대차를 궤도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추진한다. 이와 같이 자기 부상 열차는 궤도와 비접촉 상태로 추진하므로 소음 및 진동이 적고 고속 추진이 가능하다.
일반전적으로 하나의 선로에서 다른 선로로의 이동은 복수개의 선로가 연결된 분기점에서 다른 선로로 선택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기 방법은 넓은 장소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급행 열차와 완행 열차를 하나의 선로에서 운행할 경우에는 급행 열차의 통과를 위해서 완행 열차가 일시적으로 옆으로 비켜나야 한다. 이를 위해서 완행 열차가 위치하는 선로 구간이 필요하다. 또한 열차가 고장났을 때, 운행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고장차량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장소에서 신속하게 본선에서 대피선로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는 자기부상 열차에 부상력을 작용하며 자기부상 열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본선 궤도와 연결된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 있어서, 본선 궤도와 연결되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궤도와, 상기 가변 궤도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가변 궤도의 하부에서 상기 가변 궤도를 지지하는 이송 바퀴, 및 상기 이송 바퀴의 하부에서 이송 바퀴를 지지하여 안내하며, 상기 본선 궤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트레버스 레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 바퀴에 연결 설치된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변 궤도에 고정된 래크와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래크와 결합된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궤도에는 막대 형상의 락킹부재가 설치되며, 바닥에는 상기 락킹부재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부재는 고정 막대와 상기 고정 막대를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선 궤도와 상기 가변 궤도 사이에는 상기 본선 궤도와 상기 가변 궤도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 궤도에는 막대 형상의 락킹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락킹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궤도는 제1 가변 궤도와 상기 제1 가변 궤도와 커넥팅 막대를 통해서 연결된 제2 가변 궤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변 궤도와 상기 제2 가변 궤도는 상기 트레버스 레일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변 궤도가 상기 본선 궤도와 연결될 때, 상기 제2 가변 궤도는 승강장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방법은 막대 형상의 락킹부재를 이동시켜서 바닥에는 설치된 지지부재의 홈에서 상기 락킹부재를 이탈시키는 잠금 해제 단계와, 본선 궤도와 연결된 제1 가변 궤도를 상기 본선 궤도의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 가변 궤도를 본선에서 분리하고, 제2 가변 궤도를 상기 본선 궤도와 연결하는 이동 단계, 및 락킹부재를 이동시켜서 바닥에는 설치된 지지부재의 홈에서 상기 락킹부재를 삽입하는 잠금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제1 가변 궤도와 상기 제2 가변 궤도의 아래에 설치된 바퀴를 상기 본선 궤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진 트레버스 레일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가변 궤도와 상기 제2 가변 궤도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바퀴와 연결 설치된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바퀴를 회전시켜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변 궤도 또는 상기 제2 가변 궤도에는 래크가 고정 설치되고, 바닥에는 상기 래크와 결합된 피니언 기어 설치되며,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 가변 궤도 및 상기 제2 가변 궤도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은 좁은 장소에서 열차를 대피 선로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대리 선로를 건설하는 비용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레일과 트레버스 레일 상에 설치된 이송 바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레일과 트레버스 레일 상에 설치된 이송 바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는 본선 궤도(10)와 연결되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궤도(13) 및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 사이에 설치되어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를 연결하는 연결부(21)를 포함한다.
본선 궤도(10)는 자기부상 열차에 부상력을 작용하며 자기부상 열차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선 궤도(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형성되며 자기부상열차를 부상시키고 안내할 수 있도록 지상측 전자석 또는 지상측 영구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본선 궤도(10)는 2개가 설치되는데, 하나의 본선 궤도(10)는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부상열차를 안내하고, 다른 본선 궤도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부상 열차를 안내한다. 본선 궤도(10)는 섬식 정거장(110)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자기부상열차는 자기력에 의하여 본선 궤도(10) 및 가변 궤도(13) 상에서 부상하여 이동하며 흡인식 또는 반발식으로 부상할 수 있다.
연결부(21)는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를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며 바닥에 대하여 고정 설치된다. 가변 궤도(13)는 섬식 정거장의 옆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변 궤도(13)는 본선 궤도(10)와 연결된 제1 가변 궤도(11)와 제1 가변 궤도(11)와 커넥팅 막대를 통해서 연결된 제2 가변 궤도(12)를 포함한다.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커넥팅 막대(15)가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에 설치되어 이들을 고정한다. 커넥팅 막대(15)는 금속 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제1 가변 궤도(11)가 본선 궤도(10)와 연결되며, 제2 가변 궤도(12)는 섬식 정거장(11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궤도(13)가 이동한 후에는 제1 가변 궤도(11)가 외측으로 밀려나고 제2 가변 궤도(12)가 본선 궤도(10)와 연결된다.
급행 열차의 진행을 위해서 완행 열차가 비켜나야 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가변 궤도(11) 상의 완행 열차를 이동시키고, 제2 가변 궤도(12)를 통해서 급행 열차가 지나가도록 할 수 있다. 가변 궤도(13)는 본선 궤도(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바,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는 함께 본선 궤도(10)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와 같이 가변 궤도(13)를 이동시켜서 대피 선로를 형성하면 종래에 비하여 좁은 면적에 대피 선로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피 선로를 건설하는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레일과 트레버스 레일 상에 설치된 이송 바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는 가변 궤도(13)를 이송하기 위해서 가변 궤도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가변 궤도(13)의 하부에서 가변 궤도(13)을 지지하는 이송 바퀴와, 이송 바퀴(23)의 하부에서 이송 바퀴(23)를 지지하여 안내하며, 본선 궤도(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트레버스 레일(25), 및 가변 궤도(13)를 고정하는 락킹부재(30)를 포함한다.
이송 바퀴(23)는 바퀴 브라켓(24)을 매개로 가변 궤도(13)에 고정 설치되며, 이송 바퀴(23)는 바퀴 브라켓(2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송 바퀴(23)에는 이송 바퀴(23)를 회전시키는 모터(27)가 설치된다. 모터(27)는 가변 궤도(13)를 이동시키는 이송부가 되며 15마력의 출력을 갖는 감속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터(27)는 열차가 위치하는 제1 가변 궤도(11)의 이송 바퀴(23)에만 설치되고, 제2 가변 궤도(12)의 이송 바퀴(23)는 피동적으로 회전만 한다.
트레버스 레일(25)은 가변 궤도(13)와 수직인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는데, 가변 궤도(13)의 하부에는 3개의 트레버스 레일(25)이 설치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트레버스 레일(25)은 가변 궤도(1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수로 설치될 수 있다. 트레버스 레일(25)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는 돌출된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궤도에는 락킹부재(30)가 설치되는데, 락킹부재(30)는 고정 막대(32)와 고정 막대(32)를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31)를 포함한다.
엑츄에이터(31)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 막대(3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엑츄에이터(31)는 가변 궤도(13)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37)을 매개로 가변 궤도(13)에 고정된다. 또한 가변 궤도(13)의 하부에는 고정 막대(32)가 관통하며 고정 막대(32)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33)이 설치된다. 바닥에는 고정 막대(32)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지지부재(34)가 고정 설치된다. 고정 막대(32)가 홈에 삽입되면 가변 궤도(13)가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되며, 가변 궤도(13)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고정 막대(32)가 지지부재(34)에서 이탈되어야 한다.
한편, 연결부(21)에도 락킹부재(30)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는데 락킹부재(30)가 연결부(21)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면 가변 궤도(13)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락킹부재(30)가 설치되면 가변 궤도(13)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34)는 제1 가변 궤도(11)가 본선 궤도(10)와 연결되는 위치와 제1 가변 궤도(11)가 본선 궤도(10)에서 이탈된 후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제1 가변 궤도(11)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방법은 잠금 해제 단계와 이동 단계, 및 잠금 단계를 포함한다. 잠금 해제 단계는 막대 형상의 락킹부재를 이동시켜서 바닥에는 설치된 지지부재의 홈에서 락킹부재(30)를 이탈시킨다. 여기서 락킹부재(30)의 이동은 엑츄에이터(31)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단계는 본선 궤도(10)와 연결된 제1 가변 궤도(11)를 본선 궤도(10)의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 가변 궤도(11)를 본선 궤도(10)에서 분리하고, 제2 가변 궤도(12)를 본선 궤도(10)와 연결한다.
또한 이동 단계는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의 아래에 설치된 이송 바퀴(23)를 본선 궤도(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진 트레버스 레일(25)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를 함께 이동시킨다. 이때 이송 바퀴(23)의 회전은 이송 바퀴(23)와 연결 설치된 모터(27)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락킹 해제 단계는 락킹부재(30)를 이동시켜서 바닥에는 설치된 지지부재(34)의 홈에서 락킹부재(30)를 삽입한다. 락킹부재(30)는 이동된 위치에 설치된 지지부재(34)에 삽입되어 가변 궤도(13)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는 이어져 형성되며 자기부상 열차에 부상력을 작용하며 자기부상 열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본선 궤도(10)와 연결되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궤도(13) 및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 사이에 설치되어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를 연결하는 연결부(21)를 포함한다.
본선 궤도(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형성되며 자기부상열차를 부상시키고 안내할 수 있도록 지상측 전자석 또는 지상측 영구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본선 궤도(10)는 2개가 설치되는데, 하나의 본선 궤도(10)는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부상열차를 안내하고, 다른 본선 궤도(10)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부상 열차를 안내한다. 본선 궤도(10)는 상대식 정거장(120)들 사이에 배치되는데, 본선 궤도(10)는 자기부상 열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된다.
상대식 정거장(120)은 이격된 2개의 정거장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부상 열차에 서로 다른 정거장을 이용하여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연결부(21)는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를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며 바닥에 대하여 고정 설치된다. 가변 궤도(13)는 상대식 정거장의 옆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변 궤도(13)는 본선 궤도(10)와 연결된 제1 가변 궤도(11)와 제1 가변 궤도(11)와 커넥팅 막대를 통해서 연결된 제2 가변 궤도(12)를 포함한다.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커넥팅 막대(15)가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에 설치되어 이들을 고정한다. 커넥팅 막대(15)는 금속 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제1 가변 궤도(11)가 본선 궤도(10)와 연결되며, 제2 가변 궤도(12)는 상대식 정거장(12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궤도(13)가 이동한 후에는 제1 가변 궤도(11)가 중앙으로 밀려나고 제2 가변 궤도(12)가 본선 궤도(10)와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는 가변 궤도(13)를 이송하기 위해서 가변 궤도를 이동시키는 이송부(70)와, 가변 궤도(13)의 하부에서 가변 궤도(13)을 지지하는 이송 바퀴와, 이송 바퀴의 하부에서 이송 바퀴(23)를 지지하여 안내하며, 본선 궤도(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트레버스 레일, 및 가변 궤도(13)를 고정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의 이송 바퀴와 트레버스 레일 및 락킹부재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부(70)는 가변 궤도(13)에 고정된 래크(72)와 바닥에 고정되며 래크(72)와 결합된 피니언 기어(71)를 포함한다. 래크(72)는 가변 궤도(13)의 하면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되며 래크(72)의 하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가변 궤도(13)에는 복수 개의 이송부(7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이송부(70)가 가변 궤도(13)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71)는 브라켓(73)을 매개로 바닥에 고정되며, 피니언 기어(71)는 브라켓(7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래크(72)는 제1 가변 궤도(11) 또는 제2 가변 궤도(12)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가변 궤도(11) 및 제2 가변 궤도(12) 모두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피니언 기어(71)에는 피니언 기어(71)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연결 설치되며 피니언 기어(71)의 회전에 따라 래크(72)가 이동하면서 가변 궤도(13)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래크(72)는 가변 궤도(13)와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이어져 배치되며, 이에 따라 래크(72)와 트레버스 레일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방법은 잠금 해제 단계와 이동 단계, 및 잠금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 단계에서 가변 궤도(13)의 이동은 피니언 기어(71)의 회전에 의하여 래크(72)가 이동하게 되고 래크(72)와 함께 가변 궤도(13)도 이동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는 이어져 형성되며 자기부상 열차에 부상력을 작용하며 자기부상 열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본선 궤도(10)와 연결되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궤도(13) 및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 사이에 설치되어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를 연결하는 연결부(21)를 포함한다.
본선 궤도(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형성되며 자기부상열차를 부상시키고 안내할 수 있도록 지상측 전자석 또는 지상측 영구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본선 궤도(10)는 2개가 설치되는데, 하나의 본선 궤도(10)는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부상열차를 안내하고, 다른 본선 궤도(10)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부상 열차를 안내한다. 본선 궤도(10)는 섬식 정거장(11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된다.
연결부(21)는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를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며 바닥에 대하여 고정 설치된다. 한편, 가변 궤도(13)는 섬식 정거장(110)의 앞쪽이나 뒤쪽에 배치되며 섬식 정거장(110)과 겹쳐지지 않는다.
가변 궤도(13)는 본선 궤도(10)와 연결된 제1 가변 궤도(11)와 제1 가변 궤도(11)와 커넥팅 막대를 통해서 연결된 제2 가변 궤도(12)를 포함한다.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커넥팅 막대(15)가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에 설치되어 이들을 고정한다. 커넥팅 막대(15)는 금속 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제1 가변 궤도(11)가 본선 궤도(10)와 연결되며, 제2 가변 궤도(12)는 제1 가변 궤도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궤도(13)가 이동한 후에는 제1 가변 궤도(11)가 중앙으로 밀려나고 제2 가변 궤도(12)가 본선 궤도(10)와 연결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서 가변 궤도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는 이어져 형성되며 자기부상 열차에 부상력을 작용하며 자기부상 열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본선 궤도(10)와 연결되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궤도(13) 및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 사이에 설치되어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를 연결하는 연결부(21)를 포함한다.
본선 궤도(10)는 일방향으로 길게 이어져 형성되며 자기부상열차를 부상시키고 안내할 수 있도록 지상측 전자석 또는 지상측 영구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본선 궤도(10)는 2개가 설치되는데, 하나의 본선 궤도(10)는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부상열차를 안내하고, 다른 본선 궤도(10)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부상 열차를 안내한다. 본선 궤도(10)는 상대식 정거장(120)들 사이에 배치되는데, 본선 궤도(10)는 자기부상 열차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격 배치된다.
상대식 정거장(120)은 이격된 2개의 정거장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기부상 열차에 서로 다른 정거장을 이용하여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다.
연결부(21)는 본선 궤도(10)와 가변 궤도(13)를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하며 바닥에 대하여 고정 설치된다. 한편, 가변 궤도(13)는 상대식 정거장(120)의 앞쪽이나 뒤쪽에 배치되며 상대식 정거장(120)과 겹쳐지지 않는다.
가변 궤도(13)는 본선 궤도(10)와 연결된 제1 가변 궤도(11)와 제1 가변 궤도(11)와 커넥팅 막대를 통해서 연결된 제2 가변 궤도(12)를 포함한다.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커넥팅 막대(15)가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에 설치되어 이들을 고정한다. 커넥팅 막대(15)는 금속 막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가변 궤도(11)와 제2 가변 궤도(12)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제1 가변 궤도(11)가 본선 궤도(10)와 연결되며, 제2 가변 궤도(12)는 제1 가변 궤도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궤도(13)가 이동한 후에는 제1 가변 궤도(11)가 중앙으로 밀려나고 제2 가변 궤도(12)가 본선 궤도(10)와 연결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본선 궤도 11: 제1 가변 궤도
12: 제2 가변 궤도 13: 가변 궤도
15: 커넥팅 막대 21: 연결부
23: 이송 바퀴 24: 바퀴 브라켓
25: 트레버스 레일 27: 모터
30: 락킹부재 31: 엑츄에이터
32: 고정 막대 33: 지지 브라켓
34: 지지부재 37: 고정 브라켓
70: 이송부 71: 피니언 기어
72: 래크 73: 브라켓
110: 섬식 정거장 120: 상대식 정거장
12: 제2 가변 궤도 13: 가변 궤도
15: 커넥팅 막대 21: 연결부
23: 이송 바퀴 24: 바퀴 브라켓
25: 트레버스 레일 27: 모터
30: 락킹부재 31: 엑츄에이터
32: 고정 막대 33: 지지 브라켓
34: 지지부재 37: 고정 브라켓
70: 이송부 71: 피니언 기어
72: 래크 73: 브라켓
110: 섬식 정거장 120: 상대식 정거장
Claims (12)
- 자기부상 열차에 부상력을 작용하며 자기부상 열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본선 궤도와 연결된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선 궤도와 연결되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 궤도;
상기 가변 궤도를 이동시키는 이송부;
상기 가변 궤도의 하부에서 상기 가변 궤도를 지지하는 이송 바퀴; 및
상기 이송 바퀴의 하부에서 이송 바퀴를 지지하여 안내하며, 상기 본선 궤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트레버스 레일;
을 포함하며,
상기 본선 궤도와 상기 가변 궤도 사이에는 상기 본선 궤도와 상기 가변 궤도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 궤도에는 막대 형상의 락킹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가변 궤도를 상기 연결부나 바닥에 고정하는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 바퀴에 연결 설치된 모터로 이루어진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변 궤도에 고정된 래크와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래크와 결합된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에는 상기 락킹부재가 삽입되는 홈을 갖는 지지부재가 설치된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는 고정 막대와 상기 고정 막대를 이동시키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락킹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궤도는 제1 가변 궤도와 상기 제1 가변 궤도와 커넥팅 막대를 통해서 연결된 제2 가변 궤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변 궤도와 상기 제2 가변 궤도는 상기 트레버스 레일 상에 설치된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궤도가 상기 본선 궤도와 연결될 때, 상기 제2 가변 궤도는 승강장의 아래에 위치하는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 막대 형상의 락킹부재를 이동시켜서 바닥에는 설치된 지지부재의 홈에서 상기 락킹부재를 이탈시키는 잠금 해제 단계;
본선 궤도에 연결부로 연결된 제1 가변 궤도를 상기 본선 궤도의 길이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 가변 궤도를 상기 본선 궤도에서 분리하고, 제2 가변 궤도를 상기 본선 궤도에 상기 연결부로 연결하는 이동 단계; 및
상기 락킹부재를 이동시켜서 바닥에 설치된 상기 지지부재의 홈에서 상기 락킹부재를 삽입하는 잠금 단계;
를 포함하는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제1 가변 궤도와 상기 제2 가변 궤도의 아래에 설치된 바퀴를 상기 본선 궤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진 트레버스 레일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가변 궤도와 상기 제2 가변 궤도를 이동시키는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바퀴와 연결 설치된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바퀴를 회전시켜서 이동하는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변 궤도 또는 상기 제2 가변 궤도에는 래크가 고정 설치되고, 바닥에는 상기 래크와 결합된 피니언 기어 설치되며,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 가변 궤도 및 상기 제2 가변 궤도를 이동시키는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4734A KR101706310B1 (ko) | 2015-05-08 | 2015-05-08 |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4734A KR101706310B1 (ko) | 2015-05-08 | 2015-05-08 |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1735A KR20160131735A (ko) | 2016-11-16 |
KR101706310B1 true KR101706310B1 (ko) | 2017-02-14 |
Family
ID=5754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4734A KR101706310B1 (ko) | 2015-05-08 | 2015-05-08 |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63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874573A (zh) * | 2019-11-29 | 2021-06-01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道岔系统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及控制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44609A (ja) * | 1995-03-10 | 1996-09-24 | Tsubakimoto Chain Co | 軌道切替装置における駆動機構 |
JPH08318853A (ja) * | 1995-05-29 | 1996-12-03 | Mitsubishi Heavy Ind Ltd | 横移動トラバーサ方式 |
KR20150033011A (ko) * | 2013-09-23 | 2015-04-0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트롤리를 이용한 이송 레일 시스템 |
-
2015
- 2015-05-08 KR KR1020150064734A patent/KR10170631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1735A (ko) | 2016-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8798B1 (ko) | 사람 운반용 시스템 | |
KR102082557B1 (ko) |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 |
US8978874B2 (en) | Friction drive carriage-type conveying apparatus | |
US20170183827A1 (en) | Intersecting track and switching device | |
JP2007001363A (ja) |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 |
EP3486371B1 (en) | Rail-switching unit | |
US20180201481A1 (en) | Elevator carriage support structure | |
US20180072328A1 (en) | Amusement ride with booster drives | |
KR101706310B1 (ko) |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 | |
KR101407417B1 (ko) | 반송 시스템 | |
KR101903740B1 (ko) | 보조 모터를 갖는 트레버스 방식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 |
KR101853092B1 (ko) | 보조 모터를 갖는 자기부상 열차용 분기기의 이송장치 | |
US11241632B2 (en) | Amusement ride, particularly a roller coaster | |
JP6135452B2 (ja) | 台車搬送装置 | |
US3626859A (en) | Idle car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 |
KR101203163B1 (ko) | 가이드 구조를 갖는 자기부상 이송 시스템 | |
US11607619B2 (en) | Ride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 |
PL238864B1 (pl) | Mechanizm stabilizacyjno-lewitacyjny dla pojazdu dedykowanego | |
CN109641600B (zh) | 车辆旋转装置以及使用车辆旋转装置的轨道 | |
WO2017010927A1 (en) |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 |
JPH08318853A (ja) | 横移動トラバーサ方式 | |
KR20220101173A (ko) | 고가 철도와 유사한 네트워크 상의 자체 추진 캐리지용 이송장치 | |
CN116788745A (zh) | 智能型仓库传输系统 | |
JP2001164898A (ja) | 台車移動装置 | |
JPH08318852A (ja) | 円移動トラバーサ方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