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642A -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 Google Patents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642A
KR20000021642A KR1019980040840A KR19980040840A KR20000021642A KR 20000021642 A KR20000021642 A KR 20000021642A KR 1019980040840 A KR1019980040840 A KR 1019980040840A KR 19980040840 A KR19980040840 A KR 19980040840A KR 20000021642 A KR20000021642 A KR 2000002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oving part
horizontal
moto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80040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642A/ko
Publication of KR2000002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64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 즉, 대차 교환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공간을 넓게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과, 다차종 소량생산위주로 생산설비시에도 다차종 대차 교환장치는 수평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져 있어 좁은 공간에서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0)을 수평이동부(11)와 수직이동부(12) 그리고 공용부(13)로 형성하고, 수평이동부(11)에는 제1 모터레일(20)과 제1 안내레일(25)을 설치하여 제1 대차(4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하고, 수직이동부(12)에는 제2 모터레일(30)과 제2 안내레일(35)을 설치하여 제2 대차(5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며, 공용부(13)의 제1,2 안내레일(25)(35)의 교차부위에는 제1,2 대차(40)(50)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제1,2 안내레일(25)(35)을 연결시켜주는 변환레일(70)을 설치함으로써, 기본사양의 패널(P)과 선택사양의 패널(P)을 사용할 때 제1,2 대차(40)(50)의 진입방향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대차 교환장치를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차종 소량생산위주로 생산설비시에도 대차 교환장치를 좁은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
본 발명은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차 교환장치의 프레임을 수평이동부와 수직이동부 및 공용부로 구역을 나누고, 프레임의 수평이동부에는 제1 안내레일과 제1 모터레일을 설치하여 제1 대차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하고, 수직이동부에는 제2 안내레일과 제2 모터레일을 설치하여 제2 대차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며, 공용부의 제1,2 안내레일의 교차부위에는 제1,2 대차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제1,2 안내레일을 연결시켜주는 변환레일을 포함하여 된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공업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하던 것을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수행토록 하고 있다. 즉 그 생산과 조립 그리고 이송 과정을 자동화 장치를 이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동화 장치중에서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는 패널용접공정인 차체공정에서 차종과 사양(OPTION)품목 별로 패널을 이송시켜 교환해줄 수 있는 장치로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로써, 횡방향으로 수평바(101)가 설치되고 종방향에는 다수개의 수직바(102)가 형성된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레일(110)과, 상기 안내레일(100)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저부에 로울러(121)가 설치되고 일측 선단 하부에는 결합단(122)이 돌출된 대차(120)와, 상기 대차(120)의 결합단(122)에 선단이 용접고정되고 몸체(131)는 상기 프레임(100)의 수평바(101)에 부착된 에어실린더(130)와, 상기 대차(120)의 상부에 안착되고 패널(P)이 적재되는 복수개의 랙(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101)가 형성된 프레임(100)의 일·타단에는 지지 브라켓(150)이 설치되고, 이 지지 브라켓(150)의 상부에는 상기 대차(1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선단에 후크(151a)가 형성된 스토퍼(151)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 브라켓(150)의 중앙부에는 보조 에어실린더(152)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 보조 에어실린더(152)의 선단은 상기 스토퍼(151)의 후단에 용접고정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00)의 수직바(102)에는 대차(120) 이동시 이를 감지하여 스토퍼(151)를 작동 및 해제 시키는 감지센서(102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랙(140)에서 대차(120)의 일측에 있는 랙(140)에는 기본사양의 패널(P)을 설치하고, 타측에 있는 랙(140)에는 선택사양의 패널(P)이 적재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프레임(100)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패널(P)을 이송시킬 수 있는 행거(H)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장에서 기본사양의 패널(P)을 사용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면 스위치의 전원에 의해 에어실린더(130)의 내부에 설치된 로드(132)가 일측으로 작동되면서 대차(120)를 이동시켜주는데 이는 로드(132)의 선단이 대차(120)의 결합단(122)에 용접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에어실린더(130)에 의해 대차(120)가 안내레일(111)을 따라 일정위치에 도달하면 프레임(100)의 수직바(102)에 설치된 감지센서(102a)가 대차(120)의 진입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된 신호는 다시 보조 에어실린더(152)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대차(120)가 프레임(100)의 일측 끝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보조 에어실린더(152)의 내부에 설치된 로드(152a)가 상승하게 되고 이 로드(152a)의 상승에 의해 지지 브라켓(150)에 힌지결합된 스토퍼(151)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스토퍼(151)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151a)가 대차(120)의 일측 끝단부에 걸리게 되어 도 2a와 같이 된다. 이 상태에서 기본사양의 패널(P)이 적재된 랙(140)에 행거(H)를 하강시켜 패널(P)을 지지한 다음 다시 행거(H)를 상승시켜 용접라인으로 패널(P)을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선택사양의 패널(P)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보조 에어실린더(152)의 로드(152a)가 하강하게 되고, 이 로드(152a)의 하강에 의해 스토퍼(151)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되면서 대차(120)에 고정된 후크(151a)의 걸림이 해제된다.
상기한 대차(120)에 고정된 후크(151a)의 걸림이 해제되면 동시에 에어실린더(130)의 로드(132)가 타측으로 작동하게 되고, 이 로드(132)의 작동에 의해 대차(120)가 프레임(100)의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일정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프레임(100)의 수직바(102)에 설치된 감지센서(102a)가 대차(120)의 진입을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된 신호는 다시 보조 에어실린더(152)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대차(120)가 프레임(100)의 타측 끝단부에 도달하게되면 보조 에어실린더(152)의 내부에 설치된 로드(152a)가 상승하게 되고 이 로드(152a)의 상승에 의해 지지 브라켓(150)에 힌지결합된 스토퍼(151)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스토퍼(151)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151a)가 대차(120)의 타측 끝단부에 걸리게 되어 도 2b와 같이 된다. 이 상태에서 선택사양의 패널(P)이 적재된 랙(140)에 행거(H)를 하강시켜 패널(P)을 지지한 다음 다시 행거(H)를 상승시켜 용접라인으로 패널(P)을 이동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대차 방향 교환장치는 기본사양과 선택사양이 적재된 패널(P)을 사용하기 위해 대차(12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에어실린더(130)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 대차(120)가 수평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대차 교환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공간을 넓게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다차종 소량생산위주로 생산설비가 변화하기 위해서는 좁은공간에 다차종 교환장치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다차종 대차 교환장치는 수평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져 있어 좁은 공간에서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프레임의 형상을 변형하여 기본사양의 패널과 선택사양의 패널을 사용할 때 대차의 진입방향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대차 교환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다차종 소량생산위주로 생산설비시에도 대차 교환장치를 좁은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수평바가 형성된 수평이동부와, 이 수평이동부의 일측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다수개의 수직바가 형성된 수직이동부와, 상기 수직이동부와 수평이동부가 교차되는 공용부로 형성된 프레임; 상기 수평이동부의 중앙 수평바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모터레일; 상기 수평이동부와 공용부의 양측 수평바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안내레일; 상기 수직이동부의 중앙 수직바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모터레일; 상기 수직이동부와 공용부의 양측 수직바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안내레일; 상기 제1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저부 양측에 로울러가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1 모터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어가 축설된 제1 정·역회전모터가 설치되는 제1 대차; 상기 제2 안내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저부 양측에 로울러가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2 모터레일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어가 축설된 제2 정·역회전모터가 설치되는 제2 대차; 상기 공용부의 제1 안내레일과 제2 안내레일이 교차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제1,2 대차의 진행방향에 따라 조절수단에 의해 교차부의 제1안내레일과 제2 안내레일을 각각 연결시켜주는 변환레일; 상기 제1,2 대차에 안착되어 패널을 적재할 수 있는 랙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a,b는 종래기술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5a,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1 : 수평이동부
11a,11b : 수평바 12 : 수직이동부
12a,12b : 수직바 13 : 공용부
20 : 제1 모터레일 25 : 제1 안내레일
30 : 제2 모터레일 35 : 제2 안내레일
40 : 제1 대차 41 : 로울러
42 : 제1 정·역회전모터 42a : 기어
50 : 제2 대차 51 : 로울러
52 : 제2 정·역회전모터 52a : 기어
60 : 조절수단 61,62 : 에어실린더
70 : 변환레일 80 : 랙
P : 패널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보다 자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0), 제1,2 안내레일(25)(35), 제1,2 모터레일(20)(30), 제1,2대차(40)(50), 랙(8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다수개의 수평바(11a)(11b)가 형성된 수평이동부(11)와, 이 수평이동부(11)의 일측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고 다수개의 수직바(12a)(12b)가 형성된 수직이동부(12)와, 이 수직이동부(12)와 수평이동부(11)가 교차하는 공용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이동부(11)의 중앙에 형성된 수평바(11a)에는 제1 모터레일(20)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수평이동부(11)와 공용부(13)의 양측 수평바(11b)에는 제1 안내레일(25)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이동부(12)의 중앙에 형성된 수직바(12a)에는 제2 모터레일(30)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수직이동부(12)와 공용부(13)의 양측 수직바(12b)에는 제2 안내레일(35)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대차(40)의 저부에는 제1 안내레일(25)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로울러(41)가 설치되어 있고, 저부 일측 선단에는 제1 정·역회전모터(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1 정·역회전모터(42)의 모터축에는 상기 제1 모터레일(20)에 치합되어 제1 정·역회전모터(42)의 구동에 의해 제1 모터레일(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어(42a)가 축설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대차(50)의 저부에는 상기 제2 안내레일(35)을 따라 슬라이드 되도록 로울러(51)가 설치되어 있고, 저부 일측 선단에는 제2 정·역회전모터(5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정·역회전모터(52)의 모터축에는 상기 제2 모터레일(30)에 치합되어 제2 정·역회전모터(52)의 구동에 의해 제2 모터레일(3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기어(52a)가 축설되어 있다.
상기 공용부(13)의 제1 안내레일(25)과 제2 안내레일(35)이 교차하는 부위에는 제1,2 대차(40)(50)의 진행방향에 따라 조절수단(60)에 의해 회전하는 변환레일(70)이 설치되어 제1,2 안내레일(25)(35)을 각각 연결시켜 준다.
상기 조절수단(60)은 수평이동부(11)의 양측 수평바(11b)와 수직이동부(12)의 양측 수직바(12b)의 교차부위에 힌지 고정되고 선단은 상기 변환레일(70)에 각각 설치된 에어실린더(61)(62)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부(11)의 일·타단과 수직이동부(12)의 일·타단에는 지지 브라켓(90)(95)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 브라켓(90)(95)의 상부에는 상기 제1,2 대차(40)(5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선단에 후크(91a)(96a)가 형성된 스토퍼(91)(96)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 브라켓(90)(95)의 중앙부에는 보조 에어실린더(92)(97)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이 보조 에어실린더(92)(97)의 선단은 상기 스토퍼(91)(96)의 후단에 용접고정되어 있다.
상기 랙(80)은 제1,2 대차(40)(50)의 상부에 안착되고 이 랙(80)에는 기본사양과 선택사양의 패널(P)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1 대차(40)의 상부에 안착된 랙(80)에는 기본사양의 패널(P)이 적재되고, 제2 대차(50)의 상부에 안착된 랙(80)에는 선택사양의 패널(P)이 적재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공용부(13) 상부에는 상기 패널(P)을 이송시킬 수 있는 행거(H)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장에서 기본사양의 패널(P)을 사용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면 제1 정·역회전모터(42)가 구동되고 이 제1 정·역회전모터(42)의 구동되면 모터축에 축설된 기어(42a)가 제1 모터레일(20)을 따라 공용부(13)로 이동하게된다.
이때, 수평이동부(11)의 일단 끝단부에 설치된 보조 에어실린더(92)의 로드(92a)가 하강하게 되고, 이 로드(92a)의 하강에 의해 스토퍼(91)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되면서 제1 대차(40)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된 후크(91a)의 걸림이 해제되며 동시에 수평이동부(11)의 수평바(11b)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61)의 로드(61a)는 일측으로 작동되고 수직이동부(12)의 수직바(12b)에 설치된 에어실린더(62)의 로드(62a)는 타측으로 작동하면서 변환레일(70)을 회전시켜 제1 안내레일(25)을 연결시켜준다.
상기한 제1 모터레일(20)을 따라 제1 대차(4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공용부(13)에 도달하게되면, 수평이동부(11)의 타단에 설치된 보조 에어실린더(92)의 로드(92a)가 상승하게 되고 이 로드(92a)의 상승에 의해 지지 브라켓(90)에 힌지결합된 스토퍼(91)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스토퍼(91)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91a)가 제1 대차(40)의 타측 끝단부에 걸리게 되어 도 5a와 같이 된다. 이 상태에서 기본사양의 패널(P)이 적재된 랙(80)에 행거(H)를 하강시켜 패널(P)을 지지한 다음 다시 행거(P)를 상승시켜 용접라인으로 패널(P)을 이동시키면 된다. 이때, 제2 대차(50)는 수직이동부(12)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는 반대로 선택사양의 패널(P)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제 1대차(40)를 수평이동부(11)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2 정·역회전모터(52)가 구동되고 이 제2 정·역회전모터(52)의 구동되면 모터축에 축설된 기어(52a)가 제2 모터레일(30)을 따라 공용부(13)로 이동하게된다. 이때, 수직이동부(12)의 일단 끝단부에 설치된 보조 에어실린더(97)의 로드(97a)가 하강하게 되고, 이 로드(97a)의 하강에 의해 스토퍼(96)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되면서 제2 대차(50)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된 후크(96a)의 걸림이 해제되며 동시에 수평이동부(11)의 수평바(11b)에 설치된 에어 실린더(61)의 로드(61a)는 타측으로 작동되고 수직이동부(12)의 수직바(12b)에 설치된 에어실린더(62)의 로드(62a)는 일측으로 작동하면서 변환레일(70)을 회전시켜 제2 안내레일(35)을 연결시켜준다.
상기한 제2 모터레일(30)을 따라 제2 대차(5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공용부(13)에 도달하게되면, 상기 수직이동부(12)의 타단에 설치된 보조 에어실린더(97)의 로드(97a)가 상승하게 되고 이 로드(97a)의 상승에 의해 지지브라켓(95)에 힌지결합된 스토퍼(96)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스토퍼(96)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96a)가 제2 대차(40)의 타측 끝단부에 걸리게 되어 도 5b와 같이 된다. 이 상태에서 선택사양의 패널(P)이 적재된 랙(80)에 행거(H)를 하강시켜 패널(P)을 지지한 다음 다시 행거(H)를 상승시켜 용접라인으로 패널(P)을 이동시키면 된다. 이때, 제1 대차(40)는 수평이동부(11)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작업은 수회에 걸쳐 반복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대차 교환장치를 좁은장소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차종 자동생산설비시에도 본 발명을 좁은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에 따르면, 대차 교환장치의 프레임을 수평이동부와 수직이동부 및 공용부로 형성하고, 수평이동부에는 제1 안내레일과 제1 모터레일을 설치하여 제1 대차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하고, 수직이동부에는 제2 안내레일과 제2 모터레일을 설치하여 제2 대차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며, 공용부의 제1,2 안내레일의 교차부위에는 제1,2 대차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제1,2 안내레일을 연결시켜주는 변환레일을 설치함으로써, 기본사양의 패널과 선택사양의 패널을 사용할 때 제1,2 대차의 진입방향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대차 교환장치를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차종 소량생산위주로 생산설비시에도 대차 교환장치를 좁은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수평바(11a)(11b)가 형성된 수평이동부(11)와, 이 수평이동부(11)의 일측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다수개의 수직바(12a)(12b)가 형성된 수직이동부(12)와, 상기 수직이동부(12)와 수평이동부(11)가 교차되는 공용부(13)로 형성된 프레임(10);
    상기 수평이동부(11)의 중앙 수평바(11a)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모터레일(20);
    상기 수평이동부(11)와 공용부(13)의 양측 수평바(11b)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안내레일(25);
    상기 수직이동부(12)의 중앙 수직바(12a)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모터레일(30);
    상기 수직이동부(12)와 공용부(13)의 양측 수직바(12b)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안내레일(35);
    상기 제1 안내레일(25)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저부 양측에 로울러(41)가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1 모터레일(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어(42a)가 축설된 제1 정·역회전모터(42)가 설치되는 제1 대차(40);
    상기 제2 안내레일(35)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저부 양측에 로울러(51)가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2 모터레일(3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어(52a)가 축설된 제2 정·역회전모터(52)가 설치되는 제2 대차(50);
    상기 공용부(13)의 제1 안내레일(25)과 제2 안내레일(35)이 교차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제1,2 대차(40)(50)의 진행방향에 따라 조절수단(60)에 의해 교차부의 제1 안내레일(25)과 제2 안내레일(35)을 각각 연결시켜주는 변환레일(70);
    상기 제1,2 대차(40)(50)에 안착되어 패널(P)을 적재할 수 있는 랙(80);
    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60)은 상기 수평이동부(11)의 양측 수평바(11b)와 수직이동부(12)의 양측 수직바(12b)에 고정 설치되고 선단은 변환레일(70)에 설치되는 에어실린더(61)(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 교환장치.
KR1019980040840A 1998-09-30 1998-09-30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KR20000021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840A KR20000021642A (ko) 1998-09-30 1998-09-30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840A KR20000021642A (ko) 1998-09-30 1998-09-30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642A true KR20000021642A (ko) 2000-04-25

Family

ID=1955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840A KR20000021642A (ko) 1998-09-30 1998-09-30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64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48B1 (ko) * 2000-12-26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KR100401644B1 (ko) * 2001-08-23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KR20030081689A (ko) * 2002-04-12 2003-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부품 이송장치
KR100457309B1 (ko) * 2002-05-24 2004-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KR101867910B1 (ko) * 2018-01-31 2018-06-18 (주)코엠피에스 조립부품용박스 자동공급시스템
KR20210142524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제이스텍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용 이송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48B1 (ko) * 2000-12-26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KR100401644B1 (ko) * 2001-08-23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KR20030081689A (ko) * 2002-04-12 2003-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부품 이송장치
KR100457309B1 (ko) * 2002-05-24 2004-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KR101867910B1 (ko) * 2018-01-31 2018-06-18 (주)코엠피에스 조립부품용박스 자동공급시스템
KR20210142524A (ko) *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제이스텍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용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7336A (en) Electrically driven self-propelled truck and apparatus for changing course thereof
US6250533B1 (en) Clamping device for use in motor vehicle production lines and production line having such a clamping device
JPH09271991A (ja) 大口径管胴合せ心出し装置
KR20000021642A (ko)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EP1118423B1 (en) Locating and locking unit for welding sheet metal parts of a motor-vehicle body
JP2640886B2 (ja) 自走組付け台車
JP3002407B2 (ja) 溶湯等の運搬供給装置
US5538387A (en) Pallet assembly for a vehicle
JP2639696B2 (ja) 車体搬送用ハンガの位置決め装置
CN112722610A (zh) 一种集装箱掀盖机的行走控制方法
JPH061598A (ja) 無人フォークリフトの荷物支持装置
JP3005018B2 (ja) 自動蓋開閉装置を備えた容器無人搬送車
JP3085193B2 (ja) 自動車のメインボディ組立て装置
CN115973700B (zh) 一种发动机分装线及其使用方法
JPH0966703A (ja) 台車の首振り防止装置
JPH1119746A (ja) 鍛造プレスのボルスタ交換装置
US5509777A (en) Mechanical side shift and tip apparatus
JPH0490908A (ja) 無人車両のけん引装置
JPH0710846Y2 (ja) 鋳型搬送装置
JP3228125B2 (ja) 物品搬送装置
JP2502205Y2 (ja) 自動車ボディ―の水切り装置
JP3731701B2 (ja) 物品収納設備
JPH09262660A (ja) 自動注湯装置
KR100446863B1 (ko) 자동차 생산라인의 사이드판넬 클램핑 장치
JP3468342B2 (ja) 物品収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