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309B1 -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309B1
KR100457309B1 KR10-2002-0029035A KR20020029035A KR100457309B1 KR 100457309 B1 KR100457309 B1 KR 100457309B1 KR 20020029035 A KR20020029035 A KR 20020029035A KR 100457309 B1 KR100457309 B1 KR 100457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rail
bogie
bogi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1180A (ko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309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02Turntables; Integral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 레일간의 단차로 인한 소음/진동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대차 레일의 이상 마모 및 휠 어셈블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교차되는 대차 레일의 경로를 전환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 레일의 교차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상부가 상기 대차 레일과 접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과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RAIL CHANGING DEVICE}
본 발명은 대차 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를 이용한 대차 팔레트 이송 시스템에서 대차의 주행경로를 바꾸기 위해서는 대차에 달린 휠 어셈블리 및 대차 레일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해야 한다.
그중 대차 레일(100)을 회전시키는 대차 레일 체인저(110)(Changer)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대차 레일(100)은 대차 휠 어셈블리가 주행하는 부분으로 마모 방지를 위해 열처리가 되어 있으며, 샤프트(112) 위에 조립되어 에어 실린더(120)에 의해 90도 회전한다.
샤프트(112)는 대차 레일(100)을 지지하여 베어링과 조립되어 대차 휠 어셈블리가 주행할 때 대차 레일(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베어링은 샤프트(112)를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하중을 지탱해 준다.
에어 실린더(120)는 대차 팔레트 주행경로 변경시 대차 레일(100) 경로를 90도 전환시켜주는 구동 기기이다.
현재의 대차 레일 체인저(110)는 구조상 대차 레일(100) 및 샤프트(112)가 드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및 레이디얼 베어링(Radial Bearing)에 의해 견고하게 지탱됨으로써 대차 레일(100) 상면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게 된다.
만약,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레일 체인저(110) 주변의 4개 대차 레일(100)이 대차 레일 체인저(110)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만 있다면 대차 레일(100) 사이의 단차가 없어 문제가 없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차 레일(100)의 가공 및 조립시의 공차 때문에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각 대차 레일(100)간의 단차 때문에 휠 어셈블리가 주행할 때 소음/진동이 발생된다.
또한, 대차 레일(100)의 이상 마모 및 휠 어셈블리 파손 그리고, 고속 주행 곤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 레일간의 단차로 인한 소음/진동의 발생을 감소시키며, 대차 레일의 이상 마모 및 휠 어셈블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차 레일간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레일의 높이 조절 동작을 도시한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교차되는 대차 레일의 경로를 전환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 레일의 교차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상부가 상기 대차 레일과 접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과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어 실린더(320)의 구동에 따라 교차되는 대차 레일의 경로를 전환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330), 샤프트(340), 고정부(352, 354)를포함하여 구성한다.
하우징(3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 레일(300, 310)들의 교차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샤프트(340)는 하부가 하우징(330) 내에 삽입되며, 상부가 대차 레일(310)과 접한다.
대차 레일(310)과 샤프트(340)는 힌지 핀(342)을 통해 상호 결합된다.
고정부(352, 354)는 하우징(330)과 샤프트(34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고정부(352, 354)는 캡(352), 고정 볼트(35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캡(352)은 하우징(330)의 하단에서 샤프트(340)의 하부로 장착된다.
고정 볼트(354)는 캡(352)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구멍에 끼워져 샤프트(340)의 하부에 체결됨에 따라 하우징(330)과 샤프트(340)를 고정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330)의 내측 원주면에 끼워져 하우징(330)과 샤프트(340)의 하부 사이에 결합되는 오일 리스 부시(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오일 리스 부시(350)는 샤프트(340)와 하우징(330)의 사이에서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며, 윤활 기능을 한다.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우징(330)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캡(352)의 머리부 사이에 장착되어 샤프트(340)측 방향으로 설정된 탄성력을 작용하는 완충부(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완충부(360)는 접시 스프링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완충부(360)를 접시 스프링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샤프트(340)측 방향으로 설정된 탄성력을 작용하는 구성이면 바람직하다.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차 레일(300, 310)간 단차로 인한 소음방지 및 레일 마모, 어셈블리 파손을 감소시키기 위해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대차 레일과 그 대차 레일 사이를 연결해 주는 대차 레일 경로 전환장치 상의 대차 레일간 높이의 차이를 자동으로 없앨 수 있다.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것을 구조를 갖는다.먼저, 종래의 대차 레일 경로 전환장치는 샤프트 위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힌지핀(342)으로 조립되어 있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그리고, 샤프트도 종래에는 상하로 움직일 수 없는 고정형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접시 스프링)의 힘을 이용해 상하강 할 수 있다.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차 레일 경로 전환장치 상에 설치되어 경로 전환시 함께 회전하는 대차 레일이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움직이지 않는 고정형 레일과의 단차를 없앨 수 있다.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레일(310)의 높이 조절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대차 레일(310)과 샤프트(340)의 연결이 힌지 결합 구조를 갖고 있어 대차 레일(310)의 상하 요동이 가능하다.
또한, 샤프트(340)는 완충부(360)에 의해 샤프트(340)의 하부 방향으로 당겨지고 있어 샤프트(34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차 레일(300)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좌우 대차 레일(300)의 높이와 중앙에 위치한 대차 레일(310)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대차 레일(300, 310)들의 높이 차이를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실린더(320)의 구동에 의해 대차 레일(310), 샤프트(340), 힌지 핀(342), 캡(352), 고정 볼트(354)가 해당되는 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이때 좌우 대차 레일(300)과 중앙에 위치한 대차 레일(310) 사이에 단차가 있을 경우 대차 레일(310)의 힌지 핀(342)을 중심으로 상하 요동하거나, 완충부(360)가 압축되거나 팽창됨으로써 중앙에 위치한 대차 레일(310)이 좌우 대차 레일(300)의 높이에 자동으로 맞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는 대차 주행시소음/진동 발생이 적다.
또한, 충격으로 인한 대차 레일의 마모 및 휠 어셈블리의 파손이 줄어든다.
그리고, 대차 레일의 조립 정도를 정밀하게 관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 작업시간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에어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교차되는 대차 레일의 경로를 전환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 레일의 교차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하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상부가 상기 대차 레일과 힌지 핀을 통해 상호 결합되어 접하는 샤프트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 상기 샤프트의 하부로 장착되는 캡과, 상기 캡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구멍에 끼워져 상기 샤프트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과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원주면에 끼워져 상기 하우징과 샤프트의 사이에 결합되는 오일 리스 부시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캡의 머리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측 방향으로 설정된 탄성력을 작용하는 완충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접시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KR10-2002-0029035A 2002-05-24 2002-05-24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KR100457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035A KR100457309B1 (ko) 2002-05-24 2002-05-24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035A KR100457309B1 (ko) 2002-05-24 2002-05-24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180A KR20030091180A (ko) 2003-12-03
KR100457309B1 true KR100457309B1 (ko) 2004-11-16

Family

ID=3238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035A KR100457309B1 (ko) 2002-05-24 2002-05-24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3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387U (ko) * 1975-07-03 1977-01-20
JPH05116530A (ja) * 1991-07-19 1993-05-14 Iwatani Internatl Corp レール式搬送装置の方向切換装置
KR20000021642A (ko) * 1998-09-30 2000-04-25 김태구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JP2000177665A (ja) * 1998-12-21 2000-06-27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台車合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387U (ko) * 1975-07-03 1977-01-20
JPH05116530A (ja) * 1991-07-19 1993-05-14 Iwatani Internatl Corp レール式搬送装置の方向切換装置
KR20000021642A (ko) * 1998-09-30 2000-04-25 김태구 패널이 적재된 랙을 이송시키는 대차의 방향교환장치
JP2000177665A (ja) * 1998-12-21 2000-06-27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台車合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180A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715B1 (ko) 철도차량의 궤간가변대차 및 궤간변경장치
JP2005295773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の取付方法
KR100356132B1 (ko) 차체와 차대프레임 사이에 결합요소 유닛이 장착된 궤도차량
JP2015509878A (ja) スタビライザ・バー
US4776283A (en) Truck for railway vehicle
KR100457309B1 (ko) 대차 레일 경로 전환 장치
CN1098184C (zh) 主要用于电力机车的部分缓冲的驱动装置
JPH0687446A (ja) 操舵台車
CN112203919B (zh) 用于轨道车的转向架的旋转接头
CN211340252U (zh) 钢轨打磨单元
CN110804911B (zh) 一种钢轨打磨单元
KR910004659B1 (ko) 경사몸체형의 철도차량용 철도 보우기
EP0630799A1 (fr) Train de roulement pour véhicule circulant sur une voie de guidage
CN111086021B (zh) 一种一体化机器人关节
CN211193295U (zh) 模块化钢轨打磨装置
KR200204511Y1 (ko)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KR19980074172A (ko) 무인반송차의 현가장치
EA007260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относительно удобства эксплуатаци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пути тележка у25
CN110900365B (zh) 一种模块化钢轨打磨装置
KR100233063B1 (ko) 전자식 댐퍼
CN216234252U (zh) 一种穿梭车及仓储物流系统
CN212639719U (zh) 一种起重机的转向结构装置
KR19990022587U (ko) 엘리베이터의가이드슈
CN217126703U (zh) 一种用于暗轨的水平轮组件、行走机构及起重机大车
JPH11240448A (ja) 鉄道車両用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