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511Y1 -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511Y1
KR200204511Y1 KR2020000018554U KR20000018554U KR200204511Y1 KR 200204511 Y1 KR200204511 Y1 KR 200204511Y1 KR 2020000018554 U KR2020000018554 U KR 2020000018554U KR 20000018554 U KR20000018554 U KR 20000018554U KR 200204511 Y1 KR200204511 Y1 KR 200204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ail
guide
fix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관
박순복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8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5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5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6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with means for maintaining alignment between wheels and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8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olley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크레인의 상부레일을 왕복이동하는 주행장치의 주행차륜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가이드홈(11)을 구비한 고정플레이트(10)가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며, 가이드홈(11)의 내부공간에 주행장치의 유동을 조절하는 유동돌기부(20)가 고정너트(21)로 체결되고, 고정너트(21)의 하단부에 가이드홈(11)을 경유하여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봉(30)이 너트식으로 결합되며, 체결봉(30)의 하단부에 제1,2충격흡수판(41,42)과 트러스트베어링(43)을 통해 주행차륜(113)을 고정하여주는 고정함체(40)가 장착되는 한편, 고정함체(40)의 전방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가이드롤러(50,50')가 양측으로 나란하게 장착되며, 가이드롤러(50,50')의 둘레면에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주행차륜의 교체시기가 연장되어 교체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주행차륜의 이탈과 같은 설비사고가 사전에 예방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Device for preventing the friction of wheel flange at crane}
본 고안은 천정크레인의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주행장치의 주행차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차륜이 상부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로 인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행차륜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크레인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크레인은 건물의 천정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중량물을 고리로 걸어 사용개소로 운반시키는 중량물 이송장치로서, 천정크레인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장치와, 주행장치의 안내레일에 장착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횡행장치, 횡행장치의 안내레일에 안착된 상태에서 걸림고리로 중량물을 걸어 이송시키는 권상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주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개의 구동장치(110)와, 하우징(100)의 전/후면에 장착되어 장애물과의 충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여주는 완충장치(12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장치(110)는,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체결되는 연결부재(111)와, 이 연결부재(111)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된 지지부재(112)와, 이 지지부(112)에 양측으로 나란하게 장착된 주행차륜(1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하부면에 연결부재(111)와 지지부재(112)로 체결된 주행차륜(113)에 의해, 주행장치가 레일(130)을 따라 왕복이동하게 됨은 물론 주행장치가 레일(130)의 가장자리부로 이동한 경우 완충장치(12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충격력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그런데, 주행차륜(113)이 레일(130)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레일 (130)이 열팽창으로 인해 미세하게 변형되고, 이 과정에서 주행휠의 플랜지부(114)가 마찰로 인해 마모되는 경우, 하우징(100)의 진동을 유발시키게 됨은 물론 심하게는 레일(130)로부터 주행차륜(113)이 이탈되는 대형설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행차륜(113)이 심하게 마모되는 경우 이를 교체하거나 또는 주행차륜(113)이 심하게 마모되지 않은 경우 이를 반대방향으로 설치하여 재사용하게 되므로, 교체작업에 따른 작업하중이 증대됨은 물론 이로인해 각종 부대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주행차륜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주행차륜의 수명을 연장시킴은 물론 제반부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된 크레인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주행장치를 이동시켜주는 주행차륜의 플랜지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주는 마모방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의 양측부에 가이드홈을 구비한 고정플레이트가 장착되며, 가이드홈의 내부공간에 주행장치의 유동을 조절하여주는 유동돌기부가 고정너트로 체결되고, 고정너트의 하단부에 가이드홈을 경유하여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봉이 너트식으로 결합되며, 체결봉의 하단부에 제1,2충격흡수판과 트러스트베어링을 통해 주행차륜을 고정하여주는 고정함체가 장착되는 한편, 고정함체의 전방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가이드롤러가 양측으로 나란하게 장착되며, 가이드롤러의 둘레면에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크레인의 주행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차륜 플랜지의 마모방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행차륜 플랜지의 마모방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차륜 플랜지의 마모방지장치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3 : 주행차륜 130 : 레일
10 : 고정플레이트 11 : 가이드홈
20 : 유동돌기부 21 : 고정너트
30 : 체결봉 40 : 고정함체
41,42 : 제1,2충격흡수판 43 : 트러스트베어링
50,50' : 가이드롤러 60' : 이탈방지턱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차륜플랜지 마모 방지장치의 개략도와 정면도와 부분확대도로서,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레일(130)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주행장치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주는 주행차륜(113)의 플랜지부 (114)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주는 마모방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 (100)의 양측부에 가이드홈(11)을 구비한 고정플레이트(10)가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며, 가이드홈(11)의 내부공간에 주행장치의 유동을 조절하여주는 유동돌기부(20)가 고정너트(21)로 체결되고, 고정너트(21)의 하단부에 가이드홈(11)을 경유하여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봉(30)이 너트식으로 결합되며, 체결봉(30)의 하단부에 제1,2충격흡수판(41,42)과 트러스트베어링(43)을 통해 주행차륜(113)을 고정하여주는 고정함체(40)가 장착되는 한편, 고정함체(40)의 전방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가이드롤러(50,50')가 양측으로 나란하게 장착되며, 가이드롤러(50,50')의 둘레면에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 (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요소 중 하우징(100)과 레일(130)은 종래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하우징의 하부측에 장착되어 주행차륜(113)을 고정하여주는 고정장치의 형상 및 구조가 변경된 것에만 그 차이점이 있음을 첨언한다.
그리고, 고정플레이트(1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진 수평부재로서, 그 몸체 즉, 주행차륜(113)을 장착하고자하는 곳에 한개이상의 가이드홈(1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동돌기부(20)는, 가이드홈(11)으로 삽입되어 주행장치의 유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주는 완충부재로서, 그 몸체중심부에 고정너트(21)가 삽입되는 관통공(22)이 형성되며, 그 둘레면 상부측에 가이드홈으로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고정너트(21)는 머리부(21a)와 몸체부(21b)로 구성되되, 머리부(21a)에 유각랜치와 같은 수공구가 삽입되는 체결공(21c)이 형성되며, 몸체부(21b)의 내부공간에는 나선홈(2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봉(30)은, 고정너트(21)와 결합됨과 더불어 그 몸체부가 가이드홈(11)을 경유하여 돌출되는 봉형상의 연결부재로서, 그 상단부에 고정너트(21)의 나선홈(21d)으로 체결되는 나선돌기(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함체(40)는, 체결봉(30)의 하단부에 고정됨은 물론 그 몸체부에 주행차륜(113)이 설치된 함체로서, 체결봉(30)의 둘레면에 장착된 제1,2충격흡수판 (41,42)과 트러스트베어링(43)을 통해 주행차륜의 충격을 흡수하여준다.
그리고, 가이드롤러(50,50')는, 고정함체(40)의 전방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양측으로 나란하게 장착된 수직부재로서, 그 하단부에 레일(130)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롤러(51,51')가 장착되어 있다. 물론, 가이드롤러(50,50')의 둘레면에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 (51,5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 (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정크레인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권상한 후 주행장치의 하우징(100)을 레일(130)을 따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즉, 레일(130)을 따라 주행차륜(113)이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홈(11)의 내부공간에 장착되어있던 유동돌기부(20)에 의해 주행차륜(113)이 일정범위로 유동되는 상태이므로, 주행차륜(113)의 플랜지부의 마모가 최소화된다.
또한, 주행장치의 하우징(100)이 주행차륜(113)을 통해 레일(130)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함체(40)의 전방측에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롤러(50,50')의 지지작용에 의해, 주행차륜(113)이 레일(130)의 폭변화에 따라 자유롭게 유동하면서 주행이 이루어진다.
물론, 체결봉(30)의 둘레면에 장착됨과 더불어 고정함체(40)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주는 제1,2충격흡수판(41,42)과 트러스트베어링(43)에 의해 고정함체(40)로부터 발생되는 충격력이 흡수되므로, 주행장치 하우징(100)의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주행차륜(113)의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레일(130)과의 마찰로인해 열변형이 발생된 경우, 유동돌기부(20)와 제1,2충격흡수판(41,42)과 트러스트베어링(43)과 가이드롤러(50,5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므로, 주행차륜(113)의 마모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에 의하면, 주행장치의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주행차륜과 레일의 마찰로인해 발생되는 주행차륜의 마모가 최소화되므로, 주행차륜의 교체시기가 연장되어 교체에 따른 각종 부대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주행차륜의 이탈과 같은 설비사고가 사전에 예방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레일(130)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주행장치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주는 주행차륜(113)의 플랜지부(114)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주는 마모방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가이드홈(11)을 구비한 고정플레이트(10)가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며, 가이드홈(11)의 내부공간에 주행장치의 유동을 조절하여주는 유동돌기부(20)가 고정너트(21)로 체결되고, 고정너트(21)의 하단부에 가이드홈(11)을 경유하여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봉(30)이 너트식으로 결합되며, 체결봉(30)의 하단부에 제1,2충격흡수판(41,42)과 트러스트베어링(43)을 통해 주행차륜(113)을 고정하여주는 고정함체(40)가 장착되는 한편, 고정함체(40)의 전방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가이드롤러(50,50')가 양측으로 나란하게 장착되며, 가이드롤러(50,50')의 둘레면에 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51,51')의 이탈을 방지하여주는 이탈방지턱(60')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KR2020000018554U 2000-06-29 2000-06-29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KR200204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54U KR200204511Y1 (ko) 2000-06-29 2000-06-29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54U KR200204511Y1 (ko) 2000-06-29 2000-06-29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511Y1 true KR200204511Y1 (ko) 2000-11-15

Family

ID=1966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54U KR200204511Y1 (ko) 2000-06-29 2000-06-29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5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87B1 (ko) * 2000-12-29 2003-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의 트롤리 차륜각도 조절장치
WO2008111697A1 (en) * 2007-03-14 2008-09-18 Oak-Young Song Central guideway monorail track tram car
KR101052229B1 (ko) * 2010-07-08 2011-07-29 (주)해안기계산업 선박용 이동식 크레인의 수평이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87B1 (ko) * 2000-12-29 2003-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의 트롤리 차륜각도 조절장치
WO2008111697A1 (en) * 2007-03-14 2008-09-18 Oak-Young Song Central guideway monorail track tram car
KR101052229B1 (ko) * 2010-07-08 2011-07-29 (주)해안기계산업 선박용 이동식 크레인의 수평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50340A (zh) 转向架及轨道车辆
KR200204511Y1 (ko)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JP2017145118A (ja) 脱輪防止装置
KR20010106131A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JP5037721B1 (ja) 軌条走行機械の転倒防止装置
JP2003267516A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CN210819537U (zh) 一种轮式弹簧悬挂滑台及移动机械手
CN112277968A (zh) 转向架
JPH09123908A (ja) 磁気浮上式鉄道のブレーキ装置
KR100835502B1 (ko) 승객 수송 장치용 충격 흡수 장치
CN113305865B (zh) 一种轨道车辆转向架斜楔支撑机器人
CN112406910B (zh) 悬挂式轨道交通系统
JP3623950B2 (ja) 軌条走行機械の転倒防止装置および軌条走行機械
CN215517797U (zh) 一种加弹机台车的轨道减速装置
CN212953725U (zh) 轿顶轮减震结构
JP2001107303A (ja) 道路用伸縮継手
CN214245152U (zh) 一种轨道及轨道接缝装置
CN111232064A (zh) 一种驾驶室前悬置结构及汽车
CN215752394U (zh) 一种转向架及转向架的连接组件
KR200337265Y1 (ko) 이동차 레일의 고정장치
CN214245151U (zh) 一种具有自动补偿功能的轨道
CN220623589U (zh) 一种除尘罩车的移动装置
CN214527699U (zh) 一种起重机端梁
CN214527701U (zh) 一种精定位起重机用起重小车
CN215752703U (zh) 一种宽体车大箱减少冲击保护车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