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131A -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131A
KR20010106131A KR1020007014502A KR20007014502A KR20010106131A KR 20010106131 A KR20010106131 A KR 20010106131A KR 1020007014502 A KR1020007014502 A KR 1020007014502A KR 20007014502 A KR20007014502 A KR 20007014502A KR 20010106131 A KR20010106131 A KR 2001010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reader
container
fixed fram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927B1 (ko
Inventor
미야자와이사오
Original Assignee
다께이 도시후미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우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께이 도시후미, 이시가와지마 하리마 쥬우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께이 도시후미
Publication of KR2001010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1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고정 프레임(20)을 박스 본체(28)로 하는 동시에, 좌우의 신축 프레임(21; 22)을 서로 상자식으로서 박스 본체(2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시킴으로써, 경량이며 게다가 신축 프레임에 만곡이나 비틀림을 발생시키지 않는 스프레더(16)를 제공한다. 또한, 신축 프레임(21; 22)을 고정 프레임(20)의 양단에 설치한 지지 롤러(37)로 지지함으로써 신축 프레임(21; 22)의 신축시의 구동력을 저감하며, 또한 신축 프레임(21; 22)과 고정 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한 레일(43)과 완충재(44)에 의해 스프레더(16)를 컨테이너(4)상에 현수할 때에 신축 프레임(21; 22)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경감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Spreader Of Container Crane}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크레인의 일례를 도시하는 전체 개략 측면도이며, 도면에서, 도면 부호 1은 해안벽(2)에 정박된 컨테이너선(船)을 나타내며, 상기 컨테이너선(1)상에 대하여 컨테이너 크레인(3)에 의해서 컨테이너(4)가 하역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3)은 해안벽(2)을 따라서 부설된 주행 레일(5)에 다리부(6)를 주행 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다리부(6)의 상방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거더(girder)(7)를 바다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거더(7)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부설된 횡이동(traverse) 레일(8)에 트롤리(trolley)(9)를 횡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트롤리(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트롤리 본체(11)에, 상기 횡이동 레일(8)상을 구름 이동하는(rolling) 횡이동 차륜(12)을 장착시켜 구성되며, 기계실(10)(도 1 참조) 내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횡이동 드럼에감겨지며 또한 거더(7)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 설치된 횡이동 로프(13)의 양단을 상기 트롤리 본체(11)에 대하여 연결하고, 상기 횡이동 드럼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트롤리(9)가 횡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롤리(9)에는, 상기 기계실(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호이스트 드럼(hoist drum)에 감겨지고 또한 거더(7)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호이스트 로프(14)에 의해 헤드 블록(15)이 현수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 블록(15)은 상기 호이스트 드럼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감아 올리고, 감아 내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헤드 블록(15)에는 컨테이너(4)를 파지하기 위한 스프레더(16)가 트위스트 로크(twist lock)(17)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트위스트 로크(17)는 스프레더(16)의 현수부(18)의 상면에 천공된 긴 구멍에 대하여 로크 핀(19)을 삽입하고, 상기 로크 핀(19)을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서 비틈으로써, 헤드 블록(15)과 스프레더(16)를 일체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의 스프레더(16)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20)에 대하여 신축 프레임(21, 22)을 고정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 설치된 무단형 체인(endless chain)(26)의 평행부의 각각의 측에 고정부(21', 22')를 통해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체인(26)을 구동 장치(27)로 구동함으로써, 좌우의 신축 프레임(21, 22)은, 트롤리(9)의 횡이동 방향과 직각인 좌우 방향으로, 함께 슬라이드하여 연장하거나, 함께 슬라이드하여 축소하게 되어 있고, 신축 프레임(21, 22)의 신축에 의해, 전체 길이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컨테이너(4)를 현수할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신축 프레임(21, 22)의 선단부에는, 상기 헤드 블록(15)의 트위스트 로크(17)와 동일하게 구성된, 컨테이너(4)를 파지하기 위한 트위스트 로크(23)와, 상기 트위스트 로크(23)를 컨테이너(4)에 결합시킬 때의 위치 결정용 가이드 아암(24)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아암(24)은 유압 모터(25)의 작동에 의해, 상방으로 튀어 오른 개방 위치로부터 컨테이너(4)의 코너부에 결합하는 위치로 회전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컨테이너(4)를 현수하기 위해서, 트롤리(9)로부터 헤드 블록(15)과 일체의 스프레더(16)를 컨테이너(4)의 바로 상부로 하강시켰을 때, 약간의 편의(偏倚)가 발생해도 컨테이너(4)에 대하여 스프레더(16)가 정확하게 위치하고, 상기 트위스트 로크(23)가 컨테이너(4)에 확실히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의 스프레더(16)의 신축 프레임(21, 22)은, 각각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긴 사각 형상을 갖는 2개의 프레임을 고정 프레임(20)의 폭방향에 간격을 두고 연결 배치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신축 프레임(21, 22)은 각각 고정 프레임(20)에 대하여 서로 접촉하면서 교차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부(21a, 21b, 22a, 22b)(도 5)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신축 프레임(21, 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하 방향으로 긴 사각 형상 이외에, I형 프레임에 의해서 구성되도록 한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크레인(3)을 사용하여 컨테이너선(1)상에 컨테이너(4)를 적하하기 위해서는, 우선 트롤리(9)에 현수된 헤드 블록(15)과 일체의스프레더(16)를 현수된 컨테이너(4)상에 배치하여, 컨테이너(4)의 상면에 천공된 긴 구멍에 트위스트 로크(23)의 로크 핀(19)을 삽입하여 상기 로크 핀(19)을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서 비틈으로써, 스프레더(16)와 컨테이너(4)를 일체화하고, 이 상태로 헤드 블록(15) 및 스프레더(16)를 감아 올려 트롤리(9)를 컨테이너선(1)상의 목표 위치까지 횡이동시키고, 그 후 헤드 블록(15) 및 스프레더(16)를 감아 내려 컨테이너(4)를 컨테이너선(1)상에 안착시키는 일련의 조작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컨테이너 크레인(3)에 있어서는, 컨테이너(4)의 반송 행선지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컨테이너(4)의 행선지를 설정한 후에 트롤리(9)를 자동적으로 횡이동시켜, 헤드 블록(15)과 일체의 스프레더(16)의 승강만을 운전실(36)내의 조작자에 의해 수동 조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여러가지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조작자는 헤드 블록(15)과 일체의 스프레더(16)를 컨테이너(4)상에 현수하여, 스프레더(16)를 컨테이너(4)에 접속했을 때, 일반적으로 스프레더(16)를 컨테이너(4) 상에 충돌시키도록 하여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스프레더(16)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스프레더(16)를 현수할 때, 신축 프레임(21, 22)의 선단만이 컨테이너(4)의 상면에 접하도록 되어, 신축 프레임(21, 22)은 고정 프레임(20)에 대하여 외팔보의 구조가 된다. 따라서, 헤드 블록(15)과 스프레더(16)의 큰 중량(예를 들면 10톤 이상)이 상기 충돌시에 신축 프레임(21, 22)에 작용하면, 신축 프레임(21, 22)은 컨테이너(4)가 현수될 때 받는 굽힘 하중에 대하여, 더욱이예를 들면, 3 내지 4배 정도의 대단히 큰 굽힘 하중을 받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스프레더(16)는 신축 프레임(21, 22)이 만곡되는 등의 손상이 쉽게 생겨, 신축 프레임(21, 22)이 만곡되어 버린 경우에는 슬라이드에 의한 신축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수리가 필요하고, 스프레더(16)의 수명도 단축되어 버리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프레더(16)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의 신축 프레임(21, 22)의 폭방향 중심선이 일직선이 되지 않는, 즉 접촉하면서 교차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레더(16)로 컨테이너(4)를 현수할 때, 신축 프레임(21, 22)이 편심 하중(비틀림 하중)을 받아서 비틀려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신축 프레임(21, 22)의 만곡이나 비틀림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레더(16)를 대형인 것으로 하거나, 고정 프레임(20) 및 신축 프레임(21, 22)의 두께 치수를 크게하는 등에 따라서 대처할 필요가 있지만, 이와 같이 하면 스프레더(16)의 중량이 증가하고, 따라서 컨테이너 크레인의 감아올림 전력이 증가하여 운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20)과 신축 프레임(21, 22)을 단면 형상이 박스형이 되도록 하여 단면 강도를 높이는 것도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정 프레임과 신축 프레임을 박스형으로 한 경우에는, 상기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 프레임(21, 22)을 접촉하면서 교차하도록 할 수 없게 되며, 따라서 컨테이너 길이의 변화에 대응하여 신축 프레임을 큰 스트로크로 신축시키는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좌우의 신축 프레임을 각기 2단 신축 구조(telescopic)로 한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좌우의 신축 프레임의 각각을 2단 신축 구조로 한 경우에는, 컨테이너의 현수시에, 신축 프레임이 크게 휘어져 만곡되어 버리기 때문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시킬 수 없어, 유효한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한편, 종래의 스프레더(16)는, 컨테이너(4)의 크기에 따라 신축 프레임(21, 22)을 신축시키기 위해서, 신축 프레임(21, 22)이 고정 프레임(20)에 대하여 미끄럼 지지되어 있다. 즉, 고정 프레임(20)은 신축 프레임(21, 22)을 미끄럼 베어링 (평금속 부시)에 의해서 수용하도록 하고 있었다.
따라서, 고정 프레임(20)과 신축 프레임(21, 22) 사이의 마찰 계수는 크고, 양자의 접동시에 큰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구동 장치(27)의 구동력을 크게 하지 않으면 않되며, 정격(定格)의 큰 구동 장치(27)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제품 가격면 및 소비 전력면의 쌍방으로부터 고비용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정 프레임(20)과 신축 프레임(21, 22)의 접촉면은 높은 평면 정밀도가 요구되고 있고, 가공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경량이며 게다가 신축 프레임에 만곡이나 비틀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신축 프레임의 신축시의 구동력을 저감할 수 있으며, 스프레더를 컨테이너 상에 현수할 때 스프레더의 신축 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경감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spreade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크레인의 일례를 도시하는 전체 개략 측면도.
도 2는 트롤리와 트롤리에 현수된 스프레더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스프레더의 평면도.
도 5는 종래의 스프레더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프레더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절단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 사시도.
도 9는 도 6의 IX-IX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프레더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
도 13은 도 10에 있어서의 A 부분의 상세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스프레더 형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 10의 B 부분의 상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XV-XV 사시도.
도 16은 위치 결정 스토퍼의 정면도.
도 17은 슬라이드 피팅이 위치 결정 스토퍼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18은 도 14의 XVIII 사시도.
단면을 박스 형상으로 한 박스 본체에, 좌우에 신축 가능한 상자식의 내측의 박스 프레임과 외측의 박스 프레임을 설치한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스프레더에 비하여, 내측 및 외측의 박스 프레임의 굽힘 강성을 대폭으로 높이며, 더구나 상자식이기 때문에, 내측의 박스 프레임과 외측의 박스 프레임과의 폭방향 축 중심선이 일치하여, 내측 및 외측의 박스 프레임에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스프레더의 강도가 향상되어 손상의 문제가 저감되며,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내측의 박스 프레임은 폭방향 중심선의 상하 위치에 설치한 내측 지지부에 의해서 박스 본체의 일단부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시키며, 또한, 외측의 박스 프레임은 폭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대칭인 위치의 상하면에 설치한 측방향 지지부에 의해서 박스 본체의 다른 단부의 내측에 지지시키도록 하고 있고, 더구나 외측의 박스 프레임에 있어서의 박스 본체에 지지되는 기단측의 상하부에, 내측 및 외측의 박스 프레임의 신축시에 외측의 박스 프레임이 내측 지지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한 노치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내측의 박스 프레임과 외측의 박스 프레임은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큰 스트로크로 임의로 신축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의 좌우의 개구단 하부에는, 좌우의 신축 프레임의 각각의 하중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에 베어링을 갖는 지지 롤러를 설치한다. 이에 의해, 신축 프레임의 신축시에는, 신축 프레임과 지지 롤러는 구름 접촉하게 되어, 양자간에는구름 마찰 밖에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신축 프레임의 신축시의 구동력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지지 롤러는 일단이 고정 프레임에 지지된 아암의 다른단(자유단)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아암은 코일 스프링, 토션 바 또는 판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에 의해 항상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력은, 지지 롤러에 의해 신축 프레임의 하중을 수용하도록 하방으로 밀어 올림과 동시에, 컨테이너 하중이 작용할 때에 지지 롤러가 아래쪽으로 튀어나가도록 하는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 롤러에는 컨테이너의 현수시에 큰 하중이 작용하는 일이 없어, 지지 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과 신축 프레임의 대향면에 있어서, 고정 프레임에 신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설치한다. 또한, 신축 프레임에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완충재와, 상기 레일에 결합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완충재 상에 배치하여 신축 프레임에 결합시킨 슬라이드 피팅(fitting)을 설치한다. 이에 의해, 신축 프레임이 신축할 때는, 레일에 안내되도록 하여 슬라이드 피팅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스프레더가 컨테이너에 충돌했을 때에 신축 프레임이 받는 큰 충돌력은 완충재에 의해서 흡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스프레더의 절단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VIII-VIII 사시도, 도 9는 도 6의 IX-IX 사시도이며, 상기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블록(15)의 하부에 연결되며, 트롤리(9)로부터 현수되어 승강을 행하도록 하고 있는 스프레더(16)를 이하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한 고정 프레임(20)을 대신하여,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이 박스 형상을 갖는 박스 본체(28)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박스 본체(28)에 좌우로 신축 가능한 상자식의 내측 박스 프레임(29)과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을 제공한다.
상자식으로 되어 있는 내측의 박스 프레임(29)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폭방향 중심선의 상하 위치에 설치한 내측 지지부(31)에 의해서 상기 박스 본체(28)의 일단부(28a)(도 7)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내측 지지부(31)는 내측의 박스 프레임(29)의 폭방향 중심선의 상하면위치에 설치한 내측 지지 레일(31a)과, 상기 내측 지지 레일(31a)에 지지하도록 박스 본체(28)의 내면에 고정 브래킷(32)에 의해 고정한 가이드 부재(31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지지 레일(31a)과 가이드 부재(31b)의 대향하는 슬라이드면에는, 몰리브덴 소결 등을 행하여 오일리스 베어링의 구조로 하고 있다. 상기 내측 지지 레일(31a)은 내측의 박스 프레임(29)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부재(31b)는 박스 본체(28)의 일단부(28a)와, 상기 일단부(28a)로부터 다른 단부(28b) 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2개소에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도 8, 도 9에서 도면 부호 33은 박스 본체(28)의 내면과 가이드 부재(31b)와의 사이에 설치한 고무 등의 완충 부재이다.
상기 상자식으로 되어 있는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대칭인 위치의 상하면에 설치한 측방향 지지부(34)에 의해서 상기 박스 본체(28)의 다른 단부(28b)(도 7)의 내측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측방향 지지부(34)는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의 폭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폭방향 단부의 상하면에 설치한 측방향 지지 레일(34a)과, 상기 측방향 지지 레일(34a)에 지지하도록 박스 본체(28)의 내면에 고정 브래킷(32)에 의해 고정한 가이드 부재(34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측방향 지지 레일(34a)과 가이드 부재(34b)의 대향하는 슬라이드면에는, 몰리브덴 소결 등을 행하여 오일리스 베어링의 구조로 하고 있다. 상기 측방향 지지 레일(34a)은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부재(34b)는 박스 본체(28)의 다른 단부(28b)와, 상기 다른 단부(28b)로부터 일단부(28a) 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2개소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도, 박스 본체(28)의 내면과 가이드 부재(34b)의 사이에 고무 등의 완충 부재(33)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에 있어서의 박스 본체(28)에 지지되는 기단측의 상하부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스 프레임(29, 30)이 신축하는 슬라이드시에,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이 상기 내측 지지부(31)의 가이드 부재(31b)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치부(35)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도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스프레더(16)에 의하면, 단면을 박스 형상으로 한 박스 본체(28)에, 좌우로 신축 가능한 상자식의 내측의 박스 프레임(29)과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스프레더에 비하여 박스 프레임(29, 30)의 굽힘 강성을 대폭 높일 수 있고, 더구나 상자식이기 때문에, 내측의 박스 프레임(29)과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의 폭방향 축 중심선이 일치하여, 박스 프레임(29, 30)에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프레더(16)의 강도를 향상시켜 손상의 문제를 저감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자식으로 되어 있는 내측의 박스 프레임(29)은 폭방향 중심선의 상하 위치에 설치한 내측 지지부(31)에 의해서 박스 본체(28)의 일단부(28a)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시키며, 또한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은 폭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대칭인 위치의 상하면에 설치한 측방향 지지부(34)에 의해서 박스 본체(28)의 다른 단부(28b)의 내측에 지지시키도록 되어 있고, 게다가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에 있어서의 박스 본체(28)에 지지되는 기단측의 상하부에, 박스 프레임(29, 30)의 신축시에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이 내측 지지부(31)의 가이드 부재(31b)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치부(35)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내측의 박스 프레임(29)과 외측의 박스 프레임(30)은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큰 스트로크로 자유롭게 신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스 본체(28) 및 박스 프레임(29, 30)의 단면 형상은, 도시예에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내측 지지부(31) 및 측방향 지지부(34)의 구성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0은 종래예의 도 3과 대응하고 있으며, 또한 도 11은 종래예의 도 4와 대응하고 있으며, 또한 도 12는 종래예의 도 4와 대응하고 있다.
도 13은 도 10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신축 프레임의 지지 기구의 상세 구성도이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종래의 스프레더에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스프레더(16)는, 고정 프레임(20)의 좌우의 개구단 하부에, 베어링 수용 지지 롤러(37)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 롤러(37)에 의해서 좌우의 신축 프레임(21, 22)의 하중을 받도록 한 것이다. 지지 롤러(37)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쌍의 신축 프레임(21, 22)의 하면에 대응하여 설치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20)의 폭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20)의 하부에 고정축(38)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고정축(38)의 양단에는 회전축(39)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39)에 아암(4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아암(40)의 다른단에는 상기 지지 롤러(37)가 장착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39)에는 코일 스프레더(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41)의 일단(41a)은 고정축(38)에 고정되고, 다른단(41b)은회전축(39){아암(40)}에 고정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41)으로부터 아암(40)이 상향(도 1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지지 롤러(37)를 신축 프레임(21)(또는 22)의 하부에 가압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 롤러(37)는 내주부에 베어링(42)을 갖고 있다.
코일 스프링(41)의 가압력은 지지 롤러(37)가 신축 프레임(21, 22)에 압접하여 신축 프레임(21, 22)이 신축했을 때 그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컨테이너(4)의 하중이 신축 프레임(21, 22)에 작용할 때, 지지 롤러(37)가 아암(40)의 자유단측과 함께 하방으로 튀기도록 하는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의 형태에 있어서, 신축 프레임(21, 22)이 신축했을 때는, 지지 롤러(37)가 신축 프레임(21, 22)의 하중을 지지하여 구름 이동하기 때문에, 양자간에는 구름 마찰밖에 생기지 않고, 신축 프레임(21, 22)을 종래에 비해 특히 작은 구동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 프레임(21, 22)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27)의 정격도 작은 것으로 하여,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아암(40)과 회전축(39)을 고정 관계로 하여, 회전축(39)을 고정축(38)의 주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아암(40)을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아암(40)을 고정 프레임(20)측의 지지축에 대하여 직접 요동하도록 지지하여도 된다.
또한, 아암(40)에 상향의 가압력을 주는 수단으로서, 코일 스프링(41)을 사용하고 있지만, 토션 바, 판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도 10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 구성도, 도 15는 도 14의 XV-XV 사시도, 도 16은 위치 결정 스토퍼의 정면도, 도 17은 슬라이드 피팅이 위치 결정 스토퍼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18은 도 14의 XVIII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하는 스프레더(16)는 고정 프레임(20)에 있어서의 신축 프레임(21; 22)과 대향하는 내측의 상하면(도 14, 도 15는 상면만을 도시하고 있다)에, 신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레일(43)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신축 프레임(21; 22)에 있어서의 고정 프레임(20)과 대향하는 면에는,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완충재(44)와, 슬라이드 피팅(45)이 설치되어 있다.
완충재(44)는, 상기 완충재(44)보다 높이가 낮은 고정 기구(46)에 의해서 신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피팅(45)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일(43)의 양측(신축 방향과 직각인 폭방향 양측)을 돌기부(45b)에 의해 끼우도록 하여 레일(43)과 결합하고 있다. 완충재(44) 및 슬라이드 피팅(45)에 있어서의 신축 방향(X) 양단{신축 프레임(21, 22)의 신축 방향 양단; 도 14에 도시하는 좌우단}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위치 결정 스토퍼(4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 결정 스토퍼(47)는 볼트에 의해 신축 프레임(21; 22)에 고정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스토퍼(47)의 상부 중앙에는 결합홈(47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편 슬라이드 피팅(45)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있어서 폭방향(길이 방향과 직각인 방향)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홈(47a)과 결합하는 위치 결정 돌기(45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재(44)와 슬라이드 피팅(45)의 축 방향(X)의 위치는 위치 결정 스토퍼(47)의 결합에 의하여 규제되어 있고, 또한 슬라이드 피팅(45)이 신축 방향(X)과 직각인 폭방향으로 편의되도록 하는 것은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홈(47a)의 직립면에서 규제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45b)와 고정 프레임(20)의 사이, 위치 결정 스토퍼(47)의 상단과 레일(43)의 사이, 돌기(45a)의 하면과 결합홈(47a)의 사이, 및 고정 기구(46)의 상단과 슬라이드 피팅(45)의 하면의 사이의 각각에는, 간극(S)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피팅(45)이 하중을 받았을 때에 상기 간극의 범위에서 완충재(44)가 압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4 내지 도 18에 있어서, 좌우의 신축 프레임(21, 22)이 신축했을 때는, 슬라이드 피팅(45)이 레일(43)에 안내되도록 하여 신축 프레임(21, 22)과 함께 이동한다.
컨테이너 크레인(3)을 사용하여 컨테이너선(1)상에 컨테이너(4)를 적하하기위해서는, 우선 트롤리(9)에 현수된 헤드 블록(15)과 일체의 스프레더(16)를 현수하여 컨테이너(4)상에 배치하지만,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레더(16)는 컨테이너(4)에 충돌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헤드 블록(15)과 스프레더(16)의 큰 중량이 충돌시에 신축 프레임(21, 22)에 작용하지만, 상기 충격력은 완충재(44)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하중의 작용부의 가공 정밀도에 의해 외팔보식 지지 관계가 발생하여, 스프레더(16)를 손상시키는 일이 있지만, 완충재(44)에 의해 외팔보식 지지 관계의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을 박스 본체로 하는 동시에, 좌우의 신축 프레임을 서로 상자식으로 하여 박스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시킴으로써, 경량이며 게다가 신축 프레임에 만곡이나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는 스프레더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신축 프레임을 고정 프레임의 양단에 형성한 지지 롤러로 지지함으로써 신축 프레임의 신축시의 구동력을 저감하며, 또한 신축 프레임과 고정 프레임과의 사이에 형성한 레일과 완충재에 의해 스프레더를 컨테이너상에 현수할 때에 신축 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경감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6)

  1. 트롤리에 현수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컨테이너의 길이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 프레임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을 박스 형상의 박스 본체로 하는 동시에, 좌우의 신축 프레임을 서로 상자식으로 하여 상기 박스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시킨 내측과 외측의 박스 프레임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식으로 되어 있는 내측의 박스 프레임을 폭방향 중심선의 상하 위치에 설치한 내측 지지부에 의해 상기 박스 본체의 일단부 내측에 지지하며, 상기 상자식으로 되어 있는 외측의 박스 프레임을 폭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폭방향에 대칭인 위치의 상하에 형성한 측방향 지지부에 의해 상기 박스 본체의 다른 단부 내측에 지지하며, 상기 외측의 박스 프레임에 있어서의 박스 본체에 지지되는 기단측의 상하부에, 슬라이드 시에 있어서의 내측 지지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노치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3. 트롤리에 현수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컨테이너의 길이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 프레임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개구단 하부에, 상기 신축 프레임의 신축시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 수용 지지 롤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일단이 지지된 아암의 다른단에 장착하며, 상기 아암에 신축 프레임의 하중을 지지 롤러로 지지함과 동시에 컨테이너 하중에 의해 지지 롤러가 하향으로 튀기도록 상향의 가압력을 인가하는 가압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5. 트롤리에 현수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하여 컨테이너의 길이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 프레임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신축 프레임의 대향면에, 컨테이너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프레임과 대면하는 상기 고정 프레임면에 신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과 대면하는 상기 신축 프레임면에 고정된 완충재와, 상기 레일이 결합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완충재를 압축 가능하게 신축 프레임면에 결합한 슬라이드 피팅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KR10-2000-7014502A 1999-05-21 1999-05-21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KR100396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2686 WO2000071458A1 (fr) 1999-05-21 1999-05-21 Potence de portique a conteneu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131A true KR20010106131A (ko) 2001-11-29
KR100396927B1 KR100396927B1 (ko) 2003-09-03

Family

ID=1423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502A KR100396927B1 (ko) 1999-05-21 1999-05-21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02879B1 (ko)
EP (1) EP1132328A1 (ko)
KR (1) KR100396927B1 (ko)
CN (1) CN1147418C (ko)
HK (1) HK1038000A1 (ko)
WO (1) WO2000071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98406B1 (en) * 1999-07-15 2005-05-25 KCI Konecranes P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container handling device
DE10101986B4 (de) * 2001-04-20 2004-11-25 KGW Förder- und Servicetechnik GmbH Hebegerät
US7250197B2 (en) * 2003-08-25 2007-07-31 Bausch & Lomb Incorporated Plasma treatment of contact lens and IOL
DE102004018667B4 (de) * 2004-04-17 2007-07-12 Noell Mobile Systems & Cranes Gmbh Stapel- und Transportfahrzeug für Containerumschlagplätze und -lager
JP5366355B2 (ja) * 2006-02-10 2013-12-11 山九株式会社 吊具装置
DE102007024664B3 (de) 2007-05-25 2008-07-17 Noell Mobile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Längsverstellen eines Spreaders
KR20160049055A (ko) * 2007-10-01 2016-05-04 슈티니스 베헤르 비.브이. 호이스팅 또는 페잉 아웃 이동 제어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기울어짐 가능한 케이블 쉬리브를 갖는 호이스팅 프레임
CN101780919B (zh) * 2009-12-23 2011-12-21 江西起重机械总厂 电磁桥式起重机防载荷升降、运行扭摆装置
GB201523126D0 (en) * 2015-12-30 2016-02-10 Vestas Wind Sys As Lifting frame for a wind turbine blade
CN114719211A (zh) * 2017-11-28 2022-07-08 Dmf股份有限公司 可调整的吊架杆组合件
CN108217420B (zh) * 2018-02-07 2020-05-08 中铁科工集团轨道交通装备有限公司 一种带随动支承圈的伸缩式集装箱吊具
CN108382975A (zh) * 2018-04-17 2018-08-10 中铁科工集团轨道交通装备有限公司 一种带随动支撑圈的单主梁伸缩式集装箱吊具
CN108975148B (zh) * 2018-09-04 2020-02-25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集装箱吊具
CN113175197B (zh) * 2021-04-19 2022-12-23 安徽沃恒建设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避免吊篮偏转倾斜的智能化辅助设备
CN117088271B (zh) * 2023-08-30 2024-03-19 无锡市欣帆船舶设备有限公司 一种船舶用货物起重装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79969A (en) 1972-08-16 1975-01-08 British Railways Board Lifting frames
US3874719A (en) * 1972-11-20 1975-04-01 Clark Equipment Co Extensible load lifting frame
SE420908B (sv) * 1980-04-15 1981-11-09 Taylor Richard J Teleskopiskt lyftok
SE449217B (sv) * 1984-03-23 1987-04-13 Dynatrans Technology Ltd Lyftok for containers
JPS61145793A (ja) 1984-12-19 1986-07-03 Toshiba Corp ダイナミツク型メモリのペ−ジアクセス制御系
JPH025193Y2 (ko) * 1985-02-28 1990-02-07
DE8601811U1 (ko) 1986-01-24 1986-12-04 Lorenz & Co Gmbh, 6633 Wadgassen, De
JPS62173377U (ko) * 1986-04-23 1987-11-04
JPS6341085A (ja) 1986-08-06 1988-02-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オトコネクタ
JPS6341085U (ko) * 1986-09-03 1988-03-17
JPS63175680A (ja) 1987-01-12 1988-07-20 李 畊 郵便速達方法
JPS63175680U (ko) * 1987-05-06 1988-11-15
NL8802509A (nl) 1988-10-12 1990-05-01 Stinis Jr Krimpen Holding B V Hijsframe voor een container.
JPH085638B2 (ja) 1990-07-24 1996-01-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コンテナスプレッダの伸縮位置検出装置
SE9100943L (sv) 1991-03-27 1992-09-28 Lars Gunnar Oeberg Lyftok
DE4118524A1 (de) * 1991-06-06 1992-12-10 Peter Dr Ing Eiler Laengenveraenderliches mittel, insbesondere lastaufnahmemittel
JPH07101697A (ja) 1993-10-01 1995-04-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コンテナスプレッダ装置
SE9500843L (sv) * 1995-03-14 1996-04-29 Elmhults Konstruktions Ab Containero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2328A9 (en) 2001-11-28
CN1309618A (zh) 2001-08-22
CN1147418C (zh) 2004-04-28
US6502879B1 (en) 2003-01-07
EP1132328A1 (en) 2001-09-12
HK1038000A1 (en) 2002-03-01
WO2000071458A1 (fr) 2000-11-30
KR100396927B1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92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EP1132300A1 (en) Bag mouth sealing device
US8753050B2 (en) Transport apparatus
US5107963A (en) Spring loaded guide rollers
JP6391019B2 (ja) 脱輪防止装置
US11331817B2 (en) Maintenance apparatus of robot and maintenance method of robot
US6598916B2 (en) Spreader for container crane
JPH11292455A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のスプレッダ
KR100479867B1 (ko)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KR100514802B1 (ko) 하역작업용 리프팅 장치
JP3623950B2 (ja) 軌条走行機械の転倒防止装置および軌条走行機械
KR19980077305A (ko) 원통형 중량물 틸팅(tilting)장치
KR101012254B1 (ko) 엘리베이터 서스펜션 장치
KR200204511Y1 (ko) 크레인 주행차륜의 플랜지 마모 방지장치
RU2303567C2 (ru) Кран
CN219633809U (zh) 一种工件抓取装置
JP7398302B2 (ja) レールクランプ装置
CN219636297U (zh) 一种桁架设备
KR100486363B1 (ko) 크레인 고정용 클램프 장치
US20230091350A1 (en) Chain Drive Comprising Double Chain Wheel, Sling Device, and Chain Drive System
JP2942051B2 (ja) クローラ式走行体
JPH11292454A (ja) コンテナクレーンのスプレッダ
KR20180110936A (ko) 바지선을 이용한 해상 크레인
KR200308353Y1 (ko) 스크래치방지장치를구비한코일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