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929B1 -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 Google Patents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929B1
KR100375929B1 KR10-2000-0058519A KR20000058519A KR100375929B1 KR 100375929 B1 KR100375929 B1 KR 100375929B1 KR 20000058519 A KR20000058519 A KR 20000058519A KR 100375929 B1 KR100375929 B1 KR 10037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rame
wheels
light rai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823A (ko
Inventor
김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웨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웨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웨이트
Priority to KR10-2000-005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9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2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3Electric propulsion by line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02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단에 베어링(16)을 갖도록 구비된 고정축(17)과, 양단으로 다른 베어링(19)(20)을 갖는 플렌지(18)의 중심부가 타측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중앙에 힌지공(21)이 형성된 프레임(11)과; 힌지공(23)이 형성된 프레임(1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리액션 플레이트(12)와; 상기 각각의 베어링(16)(19)(20)에 삽입되는 제 1,2,3휠(13)(14)(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flatcar structure of an light electric railway}
본 발명은 승강장 내에서 경전철을 90°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시설이 집중된 도시에서는 제한된 공간 여건상 승용차 위주의 교통만으로는 전체 교통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음으로써 통상 지하철을 설치하여 부족한 교통 수요의 대부분을 충족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지하철의 승객용 객실을 받치도록 구비된 대차(1)는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30)위에 얹혀지는 복수개의 휠(2)은 양단에 고정축(3)을 갖는 지지구(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웃한 또 다른 대차(5)에 플레이트(6)로 고정되어 객실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대차(1)(5)는 평행한 레일(30) 위를 운행하는데는 커다란 불편은 없으나 객실을 레일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대차가 차체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회동이 불가능 하게 되는 원인으로 인해 사용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 위를 운행하는 전철의 객실을 레일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객실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 효율을 높이도록 한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힌지공에 힌지핀이 삽입되어 힌지핀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레일의 윗부분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경전철의 대차구조에 있어서,일측단에 베어링(16)을 갖도록 구비된 고정축(17)과, 양단으로 다른 베어링(19)(20)을 갖는 플렌지(18)의 중심부가 타측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중앙에 힌지공(21)이 형성된 프레임(11)과; 힌지공(23)이 형성된 프레임(1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리액션 플레이트(12)와; 상기 각각의 베어링(16)(19)(20)에 삽입되는 제 1,2,3휠(13)(14)(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의 분기를 보인 평면도.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되는 레일에 대차가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대차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프레임 12:리액션 플레이트
13,14,15:제 1∼3휠 16,19,20::베어링
17:고정축 18:플렌지
21:힌지공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경전철용 대차(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과, 리액션 플레이트(12)와, 제 1∼3휠(13)(14)(15)로 구성된다.
이러한 대차(10)는 경전철 및 승객의 중량에 의한 수직 및 수평 방향의 힘을 충분히 받치도록 객차의 하부 양측에 비대칭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이를 구성하고 있는 프레임(11)은 중심부로 부터 양측단 하부로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단에는 베어링(16)을 갖도록 구비된 고정축(17)이 설치되어 있고, 고정축(17)이 설치된 반대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플렌지(18)의 양단에 다른 베어링(19)(20)이 구비된 상태로 플렌지(18)의 중심부이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1)의 중앙 부분에는 객실을 받치는 차량빔(21)에 구비된 힌지핀(22)과 결합되는 힌지공(23)이 구비되어 있어 차량빔(21)과 프레임(11) 또는 프레임(11)과 차량빔(21)을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11)과 차량빔(21)간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통상의 베어링을 사용하나 트러스트 베어링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리액션 플레이트(12)는 미도시한 역구내에 설치된 선형유도전동기에 의해 연속적인 리액션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힌지공(23)이 구비된 프레임(11)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 1∼3휠(13)(14)(15)은 상기한 프레임(11)의 고정축(17)에 구비된 베어링(16)과 플렌지(18)의 양단에 구비된 다른 베어링(19)(20)에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휠(13)은 레일(30)의 윗면에 올려져 좌우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30)의 폭에 비해 적어도 2∼5배 가량 넓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3휠(14)(15)은 제 1휠(13)이 레일(30) 위에서 좌우로 이동하는데 비해 좌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주면 중앙에 소정의 폭을 갖는 가이드 홈(14a)(15a)을 구비하여 레일(30)의 윗부분이 소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 2,3휠(14)(15)은 레일을 운행중일 때는 가이드 역할만 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축바 등을 이용할 경우에는 수직 곡선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 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제 1∼3휠(13,14,15)을 갖는 대차는 전기한 바와 같이 객차의 하부 양측단에 설치하되, 앞쪽의 레일(30)에 제 1휠(13)이 얹혀지면 객차의 뒷쪽에 있는 레일은 다른 대차의 제 2,3휠(14)(15)이 얹혀지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홈(14a)(15a) 직경이 제 1휠(13)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직선인 레일 위를 운행할 경우에는 프레임(11)의 고정축(17)에 의해 고정된 제 1휠(13)과 플렌지(18)에 의해 고정된 복수개의 제 2,3휠(14)(15)이 레일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경전철은 레일 위를 직선으로 운행하게 된다.이때 제2, 3휠(14, 15)에 구비된 가이드 홈(14a, 15a)에 레일(3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므로써 운행 중 경전철의 탈선을 방지하게 된다.한편 한 쌍의 레일이 "" 형태로 분기 되기 때문에 경전철의 앞쪽 부분에 있는 대차(10)가 승객이 위치한 플렛홈이 주행로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렛홈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양측에 있는 제2, 3휠(14, 15)의 가이드 홈(14a, 15a)이 레일(30)의 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경전철은 프레임(11)에 형성된 힌지공(23)에 삽입되 힌지핀(22)이 회전하게 되어 경전철의 방향이 틀어지게 되는데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0)이 형성되기 때문이다.또한 뒤에 있는 다른 대차(10)의 휠(14, 15)은 전기한 제2, 3휠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레일(30)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과정을 통해 경전철이 레일(30)의 진행 방향에 대해 90도로 꺽여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그리고 분기된 레일(30)은 다시 ""한 형태로 모아지게 되고, 그로 인하여 경전철은 처음과 같이 레일(30)의 방향과 같은 방향을 유지지하면서 주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량빔에 구비된 힌지와 프레임에 형성된 한지공을 이용하여 레일의 방향변화에 따라 소정 각도로 대차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객실을 레일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에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힌지공에 힌지핀이 삽입되어 힌지핀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레일의 윗부분에 소정의 깊이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경전철의 대차구조에 있어서,
    일측단에 베어링(16)을 갖도록 구비된 고정축(17)과, 양단으로 다른 베어링(19)(20)을 갖는 플렌지(18)의 중심부가 타측단에 고정됨과 동시에 중앙에 힌지공(21)이 형성된 프레임(11)과;
    힌지공(23)이 형성된 프레임(1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리액션 플레이트(12)와;
    상기 각각의 베어링(16)(19)(20)에 삽입되는 제 1,2,3휠(13)(14)(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휠(13)은 레일(30)의 윗면에 위치되어 소정거리 만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14a)(15a) 직경이 제 1휠(13)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KR10-2000-0058519A 2000-10-05 2000-10-05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KR10037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519A KR100375929B1 (ko) 2000-10-05 2000-10-05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519A KR100375929B1 (ko) 2000-10-05 2000-10-05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652U Division KR200217990Y1 (ko) 2000-10-04 2000-10-04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823A KR20020027823A (ko) 2002-04-15
KR100375929B1 true KR100375929B1 (ko) 2003-03-17

Family

ID=1969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519A KR100375929B1 (ko) 2000-10-05 2000-10-05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5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682B1 (ko) * 2007-12-21 2010-05-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선 정렬이 용이한 해저 파이프라인 자동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823A (ko) 200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6095B2 (ja) 懸垂式車両用の軌道及びボギー台車
US4821845A (en) Traversing elevator
US4794866A (en) Linear motor driven railway car
KR19990007055A (ko) 전철기에 의해 분기되는 선로용 트롤리
KR102228872B1 (ko)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궤도차량
CN107130480B (zh) 一种铁路道岔运输车
CN110588671A (zh) 用于支撑悬挂在运输系统的导向装置上的运输单元的台车以及包括这样的台车的运输系统
US5156092A (en) Dual track permanent way
KR100511450B1 (ko) 경량전철 대차의 안내 프레임 구조
KR100375929B1 (ko)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US4171670A (en) Overhead rail transportation systems
WO2008126101A1 (en) A track switching system for an elevated suspended coach transportation system
KR200217990Y1 (ko) 경전철용 대차의 구조
DE3926725A1 (de) Kabinenbahnsystem in leichtbauweise, insbesondere fuer innerstaedtischen und vorortverkehr,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CN213013713U (zh) 一种平移式道岔
JP2772928B2 (ja) 台車使用の搬送設備
JP6980796B2 (ja) ゴムタイヤ付きの乗り物を運ぶ軌道用のスイッチ要素、前記要素から作られた軌道スイッチギア、およびそのようなスイッチギアを備えたレールに沿って乗客を輸送する方法
CN107142798B (zh) 一种铁路道岔运输车作业方法
JPH05131920A (ja) 軌条走行併用ハイブリツド型循環式索道
CN111527018B (zh) 单轨列车
JP4623891B2 (ja) 鉄道模型用台車
WO2000018629A1 (fr) Mecanisme de transport grande vitesse sur rails
JP4601813B2 (ja) 軌道車両の案内装置
RU2158211C1 (ru) Монорельсов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конвертируемого типа
CN220503576U (zh) 一种地铁铺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