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445B1 - 액압 조작 장치 - Google Patents

액압 조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445B1
KR100389445B1 KR10-2001-0029453A KR20010029453A KR100389445B1 KR 100389445 B1 KR100389445 B1 KR 100389445B1 KR 20010029453 A KR20010029453 A KR 20010029453A KR 100389445 B1 KR100389445 B1 KR 10038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rain valve
spring
cas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126A (ko
Inventor
다나카츠토무
고바야시요시카타
나카지마후미오
시미즈마사하루
다카기히로카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10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 H01H33/30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for fluid insulated switchgear, wherein the insulating fluid is also the working 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0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 H01H2033/30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fluid actuator comprising control and pilot valves

Landscapes

  • Fluid-Driven Valv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용이하게 동작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하여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액압 조작 장치를 제공한다.
주조작 밸브부와 조작 밸브를 출력제어하는 파일롯 밸브부를 구비한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주조작 밸브부는 원통상의 케이스의 내주면과 접동하고, 시트부와 개리(開離)·맞닿음으로써, 구동부의 작동 유체의 배출여부를 선택하는 배액 밸브와, 시트부와는 반대측의 내주면을 접동하여, 시트부와 개리·맞닿음으로써 구동부로의 작동 유체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급액 밸브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주조작 밸브부의 케이스의 동일축 상에 2개의 시트를 설치하는 등의 어려운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져, 제작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압 조작 장치{LIQUID PRESSURE OP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단기의 개폐동작을 하는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액압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 수요가 증대경향에 있는 근년, 송전 계통의 대용량화 및 초초고압화가착착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송전 계통에 채용되는 차단기로서는 SF6가스 절연에 의한 가스차단기가 주류를 차지하기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차단기의 개폐 동작의 구동원으로는 기체나 액체 등의 유체를 이용한 조작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중 기체(압축 공기)를 구동원으로 한 조작 장치는, 송전 계통의 대용량화나 초초고압화에 수반되어 구동력이 현저하게 커지기 때문에, 공기 실린더나 공기탱크 등의 설비가 대형화되고, 또 조작시의 급배기음도 크기 때문에 소음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설비가 복잡화되기 쉽다.
한편 구동원에 액체를 사용한 조작 장치, 소위 액압 조작 장치는, 다음 이점을 갖고 있다. 즉 액체는 기체에 비해서 고압·대출력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장치의 소형화가 용이하다. 즉 액체의 비압축성에 의해서 응답성이 우수하고, 또 조작시의 급배기음이 없기 때문에, 조작시의 소음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압 조작 장치는 대용량화 및 초초고압화된 차단기에 대한 구동원으로서 유망시되어 있고, 더욱 성능향상이 요청되고 있다.
다음에 이 같은 액압 조작 장치의 종래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하겠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기의 개폐부(1)는 고정 전극(2)과 가동 전극(3)으로 구성되어 있고, 가동 전극(3)은 액압 조작 장치(4)의 구동부(5)에 접속되어 있다. 액압 조작 장치(4)의 구동부(5)는, 구동 실린더(6)와, 그 내부에 접동가능하게 삽입된 구동피스톤(7)과, 이 구동피스톤(7)과 차단기측의 가동 전극(3)을 연결하는 구동 로드(8)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 실린더(6) 내의 공간에는, 구동피스톤(7)을 가동하는 격벽으로서 구동 로드(8)측 (가동 전극(3)측)과 그 반대측에, 제1 액실(9)과 제2 액실(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액실(10)에는 액압 제어부(11)가 접속되어 있다. 액압 제어부(11)는 제2 액실(10)에 있어서의 작동액(압력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선택적으로 행하여 액실(10) 내의 액압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이 액압 제어부 (11)에는 작동액의 급배를 제어하는 주조작 밸브부(12)와, 이 주조작 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전환 밸브로서 구성되는 파일롯 밸브부(13)가 설치되고 있다. 이 전환 밸브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동된다. 또 이 액압조작부(11)와 제1 액실(9) 사이는 유로(14)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제1 액실(9)에는 당액실(9)에 대하여 고압액을 상시 작용시키는 어큐뮬레이터(15)(축압장치)가 고압 유로(16)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 구동피스톤(7)의 동작시에 배출된 작동액은 저압 탱크(17)에 회수되고, 액압 펌프(18)에 의해서 고압화되어 재차 어큐뮬레이터(15)에 공급된다.
주조작 밸브부(12)로서는 특원평10-160155호에 의해서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주조작 밸브부(12)는 구동부(5)의 제2 액실(10)에 대하여 압력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선택적으로 하는 제어 포트(19)와, 어큐뮬레이터(15)로부터의 상시 고압액을 공급하는 급액 포트(20)와, 저압 유로(21)를 거쳐서 저압 탱크(17)에 연통되어 있는 배액 포트(2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어보트(19)와 급액 포트(20)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급액 밸브(23)와,제어보트(19)와 배액 포트(22)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배액 밸브(24)가 설치되고, 이 급액 밸브(23)와 배액 밸브(24)는 동일동작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급액 밸브(23)의 배액 밸브(24)와 대향하는 끝부분에는 헤드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이 헤드부(25)는 배액 밸브(24)가 설치된 오목부(26) 내를 접동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급액 밸브(23 )의 헤드부(25)에는 접동저항의 저감을 위해서 가이드 링(27)이 설치되어 있다.
또 급액 밸브(23)의 헤드부(25)와 배액 밸브(24)의 뒤쪽에는, 파일롯 밸브부(13)에서 연통되어 있는 조작 제어 포트(28)에 스프링 실(29)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 실(29)의 내부에, 정상시에 배액 밸브(24)를 닫기 위한 스프링(30)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 실(29)에 대하여 압액을 공급 또는 배출함으로써, 급액 밸브(23) 또는 배액 밸브(24)가 각각 독립하여 개폐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급액 밸브(23)의 뒤쪽에도 스프링 실(3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실(31)의 내부에, 정상시에 급액 밸브(23)를 닫기 위한 스프링(32)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프링 실(31)의 압액이 급액 밸브(23)의 동작시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급액 밸브(23)에는, 시트부(33)를 거쳐서 스프링 실(31)과 제어 포트(19)를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롯 밸브부(13)는 배액 밸브(24)의 뒤쪽에 대하여 압력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선택적으로 하는 조작 제어 포트(28)와 어큐뮬레이터(15)로부터의 상시 고압액을 공급하는 조작 급액 포트(35)와, 저압 유로(21)를 거쳐서 저압 탱크(17)에 연통되어 있는 조작 배액 포트(36)를 구비하고 있다. 또 조작 제어 포트(28)와 조작 급액 포트(35) 사이, 또는 조작 제어 포트(28)와 조작 배액 포트 (36)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전환 밸브(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환 밸브(37)는 밸브 블록(38, 39)에 의해서 접동가이드되고, 또한 밸브 블록(38, 39)의 각(角)부에 전환 밸브(37)가 접함됨으로써, 각 보트간의 개폐의 전환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환 밸브(37)에 인접하여 개로용 솔레노이드(40) 및 폐로용 솔레노이드(41)가 설치되어 있고, 솔레노이드가 동작지령을 받아서 여자되면, 각각의 가동편(42)이 동작하여, 전환 밸브(37)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압 조작 장치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개로동작에서는, 개로용 솔레노이드(40)가 여자되면 전환 밸브(37)가 동작하여, 파일롯 밸브부(13)의 조작 제어 포트(28)와 조작 급액 포트(35) 사이가 닫히고, 조작 제어 포트(28)와 조작 배액 포트(36) 사이가 린린다. 그렇게 되면 폐로상태시에 고압이든 주조작 밸브부(12)의 배액 밸브(24) 뒤쪽의 스프링실(29)의 압액이 파일롯 밸브부(13)를 통해서 저압 탱크(17)에 배출되므로 스프링 실(29)의 압력이 저하된다. 이에 의해서 고압인 제어보트(19)와의 압력차로 배액 밸브(24)가 동작하여, 제어보트(19)와 배액 포트(22)가 연통되므로 구동 실린더(6)의 제2 액실(10)의 압력이 저하되고, 구동피스톤(7)이 동작하여 가동 전극(3)이 개로동작를 행한다. 또 배액 밸브(24)는 동작종료 후, 전후의 압력이 균형되므로 스프링력에 의해서 이동하여 배액 포트(22)와 제어보트(19) 사이를 닫는다.
다음에 폐로동작에서는, 폐로용 솔레노이드(41)가 여자되면 전환 밸브(37)가동작하여, 파일롯 밸브부(13)의 조작 제어 포트(28)와 조작 급액 포트(35) 사이가 열리고, 조작 제어 포트(28)와 조작 배액 포트(36) 사이가 닫힌다. 그렇게 되면, 개로상태시에 저압이든 주조작 밸브부(12)의 배액 밸브(24)의 뒤쪽 스프링실 (19)에 액압이 파일롯 밸브부(13)를 통해서 공급되므로 스프링실(29)의 압력이 상승된다. 이 압액에 의해서 급액 밸브(23)의 헤드부(25)가 눌러지고, 급액 밸브(23)가 동작하여, 제어보트(19)와 급액 포트(20)가 연통되므로 구동 실린더(6)의 제2 액실(10)의 압력이 상승되고, 구동피스톤(7)이 동작하여 가동 전극(3)이 폐로동작을 행한다. 이 때 급액 밸브부(23)는 헤드부(25), 시일부(33)와 일체로 동작한다. 또 급액 밸브(23)는 동작종료 후, 전후의 압력이 균형되므로 스프링력에 의해서 이동하여, 급액 포트(20)와 제어보트(19) 사이를 닫는다.
상술한 종래의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는, 주조작 밸브부(12)에 있어서 급액 포트(20)측과 배액 포트(22)측의 시트부(44, 45)를 하나의 케이스(46) 내에 동일축 상에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케이스(46)에 대하여 매우 정밀한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코스트가 높아져서 제조에 걸리는 시간도 길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배액 밸브(24) 뒤쪽의 스프링 실(29 )에 출입하는 작동액의 양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폐동작에 의한 작동액의 소비량이 많아지게 되어 응답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파일롯 밸브부(13)에서는, 솔레노이드(40, 41)로 전환 밸브(37)를 구동할 때, 솔레노이드에 지령이 들어간 후, 전환 밸브(37)가 동작할 때까지의 시간은, 솔레노이드에 주어지는 전기적인 조건으로 전해지게 되어버려, 기계적으로 밸브화, 조정시킬 수 는 없었다. 그 때문에 동작시간을 바꾸고자 할 때는 솔레노이드를 바꾸지 않으면 안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에 대처하여 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동작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저가이고 신뢰성이 높은 우수한 액압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액압 조작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액압 조작 장치의 주조작 밸브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액압 조작 장치의 주조작 밸브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인 액압 조작 장치의 주조작 밸브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인 액압 조작 장치의 주조작 밸브부의 축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a)는 분할 링 삽입 전의 도면, (b)는 분할 링 삽입 후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인 액압 조작 장치의 파이롯 밸브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인 액압 조작 장치의 파일롯 밸브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의한 액압 조작 장치의 파일롯 밸브부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액압 조작 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부
2 : 고정 전극
3 : 가동 전극
4 : 액압 조작 장치
5 : 구동부
6 : 구동 실린더
7 : 구동 피스톤
8 : 구동 로드
9 : 제1 액실
10 : 제2 액실
11 : 액압 제어부
12 : 주조작 밸브부
13 : 파일롯 밸브부
14 : 유로
15 : 어큐뮬레이터
16 : 고압 유로
17 : 저압 탱크
18 : 액압 펌프
19 : 제어 포트
20 : 급액 포트
21 : 저압 유로
22 : 배액 포트
23 : 급액 밸브
24 : 배액 밸브
25 : 헤드부
26 : 오목부
27 : 가이드 링
28 : 조작 제어 포트
29, 31 : 스프링 실
30, 32 : 스프링
33 : 시트부
34 : 유로
35 : 조작 급액 포트
36 : 조작 배액 포트
37 : 전환 밸브
38, 39 : 밸브 블록
40 : 개로용 솔레노이드
41 : 폐로용 솔레노이드
42 : 가동편
44 : 급액 포트측 시트부
45 : 배액 포트측 시트부
46, 53 : 케이스
51 : 급액 밸브
52 : 배액 밸브
54, 55 : 시트부
56, 90 : 가이드부
57 : 액실
58 : 덮개
59, 60, 81, 88 : 스프링
61 : 액압 제어부
62 : 주조작 밸브부
63 : 파일롯 밸브부
64 : 제어 포트
65 : 급액 포트
66 : 개로용 솔레노이드
67 : 배액 포트
68 : 조작 제어 포트
69 : 전환 밸브
69a : 가이드부
70, 72 : 조작 배액 포트,
71 : 폐로용 솔레노이드
73 : 접동부(제1 접동부)
74 : 제2 접동부
75 : 홈
76, 85 : 단부(段部)
77 : 링
78, 79 : 밸브 블록
80, 80a, 80b : 가동편
82 : 스토퍼
83, 87 : 너트
84 : 스토퍼 가이드
86 : 스토퍼 핀
89 : 지지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고압화된 액체를 저장하는 어큐뮬레이터와, 이 어큐뮬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서 동작하는 구동부와, 상기 작동 유체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액압 조작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액압 조작부는 상기 작동 유체를 상기 구동부에 공급 및 배출을 선택적으로 하는 주조작 밸브부와, 전자 코일에 의해서 구동되고, 또한 상기 주조작 밸브를 구동하는 액압을 출력제어하는 전환 밸브로서 구성되는 파일롯 밸브부를 구비하고 있는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조작 밸브부는 원통상의 케이스 내에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접동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시트부와 개리 및 맞닿음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작동 유체의 배출 여부를 선택하는 원통상의 배액 밸브와, 상기 배액 밸브를 항상 상기 시트부와 맞닿는 방대측 개구부의 내주면을 접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배액 밸브 내에는 상기 배액 밸브의 내주면을 접동하고, 상기 배액 밸브 내에 설치된 시트부와 개리 및 맞닿음으로써, 상기 구동부로의 작동 유체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급액 밸브와, 상기 급액 밸브를 항상 상기 시트부와 맞닿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급액 밸브용 스프링과, 상기 배액 밸브 케이스의 시트부측 개구부를 막는 덮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배액 밸브의 시트부를 케이스 내에 설치하고, 급액 밸브의 시트부를 상기 배액 밸브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케이스에 동일축 상에 2개의 시트부를 설치하는 등의 어려운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져,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고, 제작에 걸리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액 밸브와 상기 케이스와의 접동부의 직경과 상기 케이스와 배액 밸브의 시트부의 시트직경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환부의 면적보다, 상기 배액 밸브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액실의 단면적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배액 밸브의 동작은 배액 밸브와 가이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액실의 감압에 의해서 확실히 행하여지므로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액 밸브와 상기 배액 밸브의 시트부측의 끝부분을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둥근 막대 형상의 끝부분은 상기 배액 밸브의 덮개를 접동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급액 밸브가 열린 후에도 감압에 의해서 연린 상태가 계속되므로, 다음에 배액 밸브를 열 때에 급액 밸브가 닫힐 때까지의 사이의 지연시간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동작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액 밸브와 상기 배액 밸브의 시트부측의 제1 끝부분을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부분은 상기 배액 밸브의 덮개를 접동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급액 밸브와 상기 배액 밸브의 시트부와 반대측의 제2 끝부분을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끝부분은 상기 배액 밸브의 가이드를 접동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배액 밸브와 가이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액실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의 동작에 의한 작동액의 소비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항 기재의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액 밸브의 케이스의 시트부측 개구부에 홈을 설치하고, 상기 배액 밸브의 덮개에 단부(段部)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홈에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분할된 링을 삽입하고, 상기 급액 밸브용 스프링이 상기 덮개와 급액 밸브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저가이며 또한 적은 부품을 갖고 간단한 작업으로 덮개를 배액 밸브에 부착할 수 있어 코스트저감, 조립의 간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은, 고압화된 액체를 저장하는 어큐뮬레이터와, 이 어큐뮬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서 동작되는 구동부와, 액압을 출력제어함으로써 상기 작동 유체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액압 조작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액압 조작부는 원통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접동하여, 케이스 내에 설치된 시트부와 개리 및 맞닿음으로써, 작동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선택하는 전환 밸브체와, 상기 전환 밸브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로용 및 폐로용 전자코일을 갖는 전환 밸브부를 구비하고 있는 액압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코일은 그 가동편에 의해서 상기 전환 밸브체를 압압하여 구동하도록 상기 전환 밸브체와 대략 동일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편은 스프링에 의해서 항상 상기 전환 밸브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고, 또 비여자상태의 가동편과 전환 밸브체 사이에는 간극이 설치되고, 이 간극의 크기가 바꾸어지도록, 비여자상태의 가동편의 위치를 구동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맞춤하기 위한 스토퍼가 전자코일의 끝부분에 조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하면, 전자코일의 가동편이 전환 밸브에 닿을 때까지의 거리를 바꿈으로써, 가동편이 전환 밸브에 닿을 때의 운동 에너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환 밸브의 동작의 시간을 변화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최적의 동작시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6 기재의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축 상에 위치를 조정가능한 관통 구멍을 갖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구멍의안을 접동가능하게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비여자상태의 가동편의 위치가 정해지도록, 상기 스토퍼에는 가이드와 맞닿도록 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하면, 스토퍼는 가이드 안이 접동가능하므로 스토퍼를 누름으로써, 수동으로 전환 밸브를 동작시킬 수 있고, 수동조작을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은, 고압화된 액체를 저장하는 어큐뮬레이터와, 이 어큐뮬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서 동작되는 구동부와, 액압을 출력제어함으로써 상기 작동 유체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액압 조작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액압 조작부는 원통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접동하여, 케이스 내에 설치된 시트부와 개리 및 맞닿음으로써, 작동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선택하는 전환 밸브체와, 상기 전환 밸브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로용 및 폐로용 전자코일을 갖는 전환 밸브부를 구비하고 있는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밸브체와 상기 전자코일의 가동편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전환 밸브체의 끝부분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프링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편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는 스프링을 유지하는 지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프링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하면, 동작시에 우선 가동편이 스프링을 오그라들게 한 후 전환 밸브를 누르게 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에 저장된 에너지와 솔레노이드의 여자력으로 전환 밸브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된 동작이 얻어지는 동시에 스프링이 오그라드는 거리 또는 스프링의 강도를 바꿈으로써, 용이하게 동작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액압조작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조작 밸브부의 단면도이며, 도 9에 나타낸 종래예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는, 액압 제어부(61)는 주조작 밸브부(62)와 파일롯 밸브부(63)로 되고, 주조작 밸브부(62)는 구동부(5)의 제2 액실(10)에 대하여 압력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선택적으로 하는 제어 포트(64)와, 어큐뮬레이터(15)로부터의 상시 고압액을 공급하는 급액 포트(65)와, 유로(21)를 거쳐서 저압 탱크(17)에 연통되어 있는 배액 포트(67)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어 포트(64)와 급액 포트(65)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급액 밸브(51)와, 제어 포트(64)와 배액 포트(67)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배액 밸브(52)가 설치되어 있다. 배액 밸브(52)는 케이스(53) 내를 접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케이스(53)에 설치된 시트부(54)와 개리 또는 맞닿은 것으로, 제어 포트(64)와 배액 포트(67) 사이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액 밸브(51)는 배액 밸브(52) 내를 접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배액 밸브(52) 내에 설치된 시트부(55)와 개리 또는 맞닿음으로써, 제어 포트(64)와 급액 포트(65) 사이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배액 밸브(52)가 케이스(53)와 시트하는 시트부(54)와는 반대측의 개구부의 내주면을 접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 (56)가 설치되어 있고, 배액 밸브(52)와 가이드부(56)에 의해서 형성되는 액실(57)에는, 파일롯 밸브부(63)의 조작 제어 포트(68)가 연통되어 있다. 배액 밸브(52) 또 한쪽의 개구부에는 개구부를 막고, 제어 포트(64)와 배액 포트(67)의 격벽으로 되는 덮개(58)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급액 밸브(51)에는 항상 급액 밸브(51)를 닫혀지는 방향으로 부세되는 급액 밸브용 스프링(59)이 설치되고, 배액 밸브(52)에는 항상 배액 밸브(52)가 닫히는 방향으로 부세되는 배액 밸브용 스프링(6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액압 조작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주조작 밸브부(62)의 개로동작에서는, 파일롯 밸브부(63)의 개로용 솔레노이드(66)의 지령신호에 의해서, 파일롯 밸브부(63)의 전환 밸브(69)가 전환동작을 한다. 이 때문에 폐로상태시에 고압이든 액실(57)의 압액이 조작 제어 포트(68)로부터 파일롯 밸브부(63), 조작 배액 포트(70), 배액 포트(67)를 통해서 배출되므로 액실(57)의 압력이 저하된다. 이에 의해서 고압인 제어 포트(64)와의 압력차로 배액 밸브(52)가 동작하고, 제어 포트(64)와 배액 포트(67)가 연통되므로, 구동 실린더(6)의 제2 액실(10)의 압력이 저하되고, 구동피스톤(7)이 동작하여 가동 전극(3)이 개로동작을 행한다. 또 배액 밸브(52)는 동작종료 후, 전후의 압력이 밸런스되므로 배액 밸브용 스프링(60)의 힘에 의해서 이동하여, 배액포트(67)와 제어 포트(64) 사이를 닫는다. 이에 의해서 다음의 폐로동작시에 역작 지연은 생기지 않는다.
다음에 폐로동작에서는 파일롯 밸브부(63)의 폐로용 솔레노이드(71)의 지령신호에 의해서, 파일롯 밸브부(63)의 전환 밸브(69)가 전환동작을 한다. 이 때문에 개로상태시에 저압이었든 액실(57)에, 압액이 급액 포트(65)로부터 조작 급액 포트(72), 파일롯 밸브부(63), 조작 제어 포트(68)를 통해서 공급되므로 액실(57)의 압력이 상승된다. 이에 의해서 저압인 제어 포트(64)와의 압력차로 급액 밸브(51)가 동작하여, 제어 포트(64)와 급액 포트(65)가 연통되므로 구동 실린더(6)의 제2 액실(10)의 압력이 상승되고, 구동피스톤(7)이 동작하여 가동 전극(3)이 폐로동작을 행한다. 또 급액 밸브(51)는 동작종료 후, 전후의 압력이 밸런스되므로 급액 밸브용의 스프링(59)의 힘에 의해서 이동하고, 급액 포트(65)와 제어 포트(64) 사이를 닫는다. 이에 의해서 다음의 개로동작시에 동작 지연이 생기지 않는다. 또 이 때, 제어 포트(64 )가 고압으로 되므로 배액 밸브(52)를 열려고 하는 힘이 발생하지만, 배액 밸브(52)가 동작하지 않도록, 각부의 치수에는 하기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액실(57)의 직경을 d1, 배액 밸브(52)의 외주 접동부의 직경을 d2, 배액 밸브(52)와 케이스(53) 와의 시트부(54)의 직경을 d3, 배액 밸브용 스프링(60)의 부세력을 f1, 액압을 p1로 하면, (d12×π×P1/4)+f1 > (d22-d32)×π×P1/4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 의해서, 제어 포트(64)가 고압으로 되어도 배액 밸브(52)는 동작하지 않고, 제어 포트(64)와 배액 포트(67)는 닫진 상태 그대로 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액 밸브(52)의 시트부(54)를 케이스(53) 내에 설치하고, 급액 밸브(51)의 시트부(55)를 배액 밸브(52)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케이스(53)에 동일축 상에 2개의 시트부를 설치하는 등의 어려운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져,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고, 제작에 걸리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변형례로서, 배액 밸브(52)에 관한 각부의 치수는 하기와 같은 관계가 성립하도록 구성된다. 즉, (d12×π×P1/4) > (d22-d32)×π×P1/4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계에 의해서, 제어 포트(64)가 고압으로 되어도 배액 밸브용 스프링(60)의 부세력에 불구하고, 고압액에 의한 액압만으로 배액 밸브(52)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다.
본 변형례에 의하면, 각부의 치수를 상기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배액 밸브(52)의 동작이 배액 밸브(52)와 가이드부(56)에 의해서 형성되는 액실(57)의 액압에 의해서 확실히 행하여지므로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어, 신뢰성의 높은 액압 조작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주조작 밸브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조작 밸브부(62)의 급액 밸브(51)의 끝부분에 둥근 막대 형상의 접동부(73)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접동부(73)는 배액 밸브(52)의 덮개(58)를 접동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기타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조작 밸브부(62)의 폐로동작은 제1 실시형태와 같으나 다음의 점이 다르다. 즉, 폐로동작종료 후, 급액 밸브(51)의 전후의 액압이 고압으로 되어도, 둥근 막대 형상의 접동부(73)의 단면적분만큼 급액 밸브(51)를 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급액 밸브(51)는 이동하지 않고, 급액 포트(65)와 제어 포트(64)는 열린 그대로 인다. 개로 동작에서는, 액실(57)의 압력이 저하되어 배액 밸브(52)가 열려도, 급액 밸브(51)가 닫힐 때까지는, 구동부(5)의 제2 액실(10)의 압력이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구동피스톤(7)의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것은 3사이클 차단 등으로 가동 전극(3)의 느리게 하고자 할 때 등에 유효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개로의 동작 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주조작 밸브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의 급액 밸브(51)의 끝부분의 접동부(73)(제1의 접동부(73))에 더하여, 급액 밸브(51)의 또 한쪽의 끝부분에도 둥근 막대 형상의 제2 접동부(74)를 설치하고 있는 점이 제2 실시형태와 다르다. 기타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접동부(74)는 배액 밸브(52)의 가이드 (56)를 접동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액 밸브(52)와 가이드(56)에 의해서 형성되는 액실(57)의 용적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 밸브의 동작에 의한 작동액의 소비량을 적게할 수 있어, 각 밸브의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2 접동부(74)의 직경과 제1 접동부(73)의 직경의 대소관계는, 제1 접동부(73)의 직경이 제2 접동부(74)의 직경보다 클 경우는 제2 실시형태와 같고, 폐로동작 후에 급액 밸브(51)가 열린 그대로 되어, 다음의 개로 동작으로 구동피스톤(7)의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접동부(73)의 직경이 제2 접동부(74)의 직경 이하인 경우는, 폐로동작 후에 급액 밸브(51)가 닫히기 때문에, 다음의 개로동작에서 동작지연은 생기지 않는다. 제1 접동부(73)와 제2 접동부(74)의 직경의 대소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도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주조작 밸브부의 축방향, 즉 도 2의 X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배액 밸브(52)의 배액 포트(67)측의 개구부에 홈(75)이 설치되어 있고, 덮개(58)에는 단부(7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단부(76)와 맞물려서,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분할된 링(77)이 배액 밸브 (52)의 개구부의 홈(75)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덮개(58)와 급액 밸브(51) 사이에 급액 밸브용 스프링(59)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58)를 배액 밸브(52)에 장착할 때, 덮개(58)는 항상 급액 밸브용 스프링(59)으로 배액 밸브(52)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눌려져 있다. 즉, 링(77)으로 덮개(58)가 배액 밸브(5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링(77)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된 링의 하나를 최후에 삽입함으로써, 덮개 (58)를 배액 밸브(5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덮개(58)를 배액 밸브(52)에 장착할 수 있다. 또 고정 고리 등을 사용한 경우, 감압에 의한 축력에 견딜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나, 링이라면 강도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저가로 적은 부품을 갖고 또한 간단한 작업으로 덮개를 배액 밸브에 부착할 수 있고, 강도도 충분히 취할 수 있게 되어, 코스트저감, 조립의 간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파일롯 밸브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압 제어부(61)는 주조작 밸브부(62)와 전환 밸브로서 구성되는 파일롯 밸브부(63)로 구성되어 있고, 파일롯 밸브부(63)는 배액 밸브(52)의 뒤쪽의 액실(57)에 대하여 압력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선택적으로 하는 조작 제어 포트(68)와 어큐뮬레이터(15)로부터의 상시 고압액을 공급하는 조작 급액 포트(72)와, 저압 유로(21)를 거쳐서 저압 탱크(17)에 연통되어 있는 조작 배액 포트(70)를 구비하고 있다. 또 조작 제어 포트(68)와 조작 급액 포트(72) 사이, 또는 조작 제어 포트(68)와 조작 배액 포트(70)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전환 밸브(6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환 밸브(69)는 밸브 블록(78, 79)에 의해서 접동 가이드되고, 또한 밸브 블록(78, 79)의 각부에 전환 밸브(69)가 접함으로써, 각 보트간의 개폐의 전환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환 밸브(69)에 인접하여 개로용 솔레노이드(66) 및 폐로용 솔레노이드(71)가 설치되어 있고, 솔레노이드가 동작지령을 받아서 여자되면, 각각의 가동편(80)이 동작하고, 전환 밸브(69)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각각의 가동편(80)에는 가동편(80)을 비여자상태의 방향으로 부세하도록 스프링(81)이 설치되어 있다. 소레노이드의 끝부분에는 비여자상태의 가동편(80)의 위치를 위치맞춤하기 위한 스토퍼(82)가 설치되어 있고, 스토퍼(82)의 위치를 임의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스토퍼(82)에는 나사가 설치되어 있고, 너트(83)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프링(81)에 의해서 가동편(80)이 눌려 있기 때문에, 비여자상태에서는 가동편(80)과 전환 밸브(69) 사이에는 간극이 생기고, 또한 그 간극은 스토퍼(82)에 의해서 임의의 거리로 조정이 가능하다. 지령신호에 의해서 동작할 때, 이 간극의 거리가 가동편(80)의 공주거리(空走距離)로 되고, 간극의 거리의 대소가 가동편의 운동에너지의 대소로 되어, 전환 밸브(69)에 가동편(80)이 닿을 때의 충돌의 에너지의 대소로 된다. 따라서 가동편(80)과 전환 밸브(69) 간극을 스토퍼(82)로 조정함으로써, 전환 밸브(69)를 동작시키는 에너지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동작시간을 용이하게 변겨가능하게 되어, 용이하게 최적의 동작시간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비교적 구동 에너지가 작은 액압장치의 경우, 액압 제어부에 주조작 밸브부를 설치하지 않고, 구동부를 직접 전환 밸브부에서 제어하는 일도 있으나, 그 경우에도 적용은 가능하다. 또 개로용 또는 폐로용 중의 어느 한쪽에만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파일롯 밸브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제5 실시형태의 스토퍼를 이하와같이 구성하고 있다. 즉 임의의 위치에 고정가능한 관통 구멍을 갖는 스토퍼 가이드(84)가 솔레노이드끝부분에 설치되고, 스토퍼 가이드(84)와 맞물리는 단부(85)를 갖는 스토퍼 핀(86)이 스토퍼 가이드(84)의 구멍 내를 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스토퍼 가이드(84)에는 나사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너트(87)에 의해서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토퍼 핀(86)을 누르는 등의 간단한 수동조작으로 전환 밸브(69)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의 파일롯 밸브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일롯 밸브부(63)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파일롯 밸브부(63)에는 조작 제어 포트(68)와 조작 급액 포트(72) 사이, 또는 조작 제어 포트(68)와 조작 배액 포트(70) 사이를 개폐하기 위한 전환 밸브(6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환 밸브(69)는 밸브(78, 79)에 의해서 접동 가이드되고, 또한 밸브 블록(78, 79)의 각부에 전환 밸브(69)가 접함으로써, 각 보트 간의 개폐의 전환을 하도록 되어 있다.
전환 밸브(69)에 인접하여 개로용 솔레노이드(66) 및 폐로용 솔레노이드(71)가 설치되어 있고, 솔레노이드가 동작지령을 받아서 여자되면, 각각의 가동편(80a, 80b)이 동작하고, 전환 밸브(69)가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환 밸브(69)와 개로용 솔레노이드(68)의 가동편(80a) 사이에는 스프링(88)이 배치되고, 전환 밸브(69)의 끝부분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프링 가이드부 (69a)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가동편(80a)과 스프링(88) 사이에는 스프링(88)을 유지하는 지지체(89)가배치되어 있다. 또 지지체(89)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프링 가이드부(9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동작시에 우선 가동편(80a)이 스프링(88)을 오그라들게 한 후 전환 밸브(69)를 누르게 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88)에 저장된 에너지와 개로용 솔레노이드(66)의 여자력으로 전환 밸브(69)를 동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동작이 얻어지는 동시에, 스프링이 오그라드는 거리를 바꾸거나 또는 스프링의 강도를 바꿈으로써, 용이하게 동작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폐로용으로 적용되거나, 개로, 폐로 양쪽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주조작 밸브부의 케이스의 동일축 상에 2개의 시트부를 설치하는 등의, 어려운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져,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고, 제작에 걸리는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배액 밸브의 동작이 배액 밸브와 가이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액실의 액압에 의해서 확실히 행하여지므로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급액 밸브가 열린 후에도 액압에 의해서 열린 상태가 계속하기 때문에, 다음에 배액 밸브를 열 때에 급액 밸브가 닫힐 때까지의 사이의 지연시간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동작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배액 밸브와 가이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액실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의 동작에 의한 작동액의 소비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저가로 적은 부품을 갖고 간단한 작업으로 덮개를 배액 밸브에 부착할 수 있어, 코스트저감, 조립의 간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자코일의 가동편이 전환 밸브에 닿을 때까지의 거리를 바꿈으로써, 가동편이 전환 밸브에 닿을 때의 운동에너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환 밸브의 동작의 시간을 변화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최적의 동작시간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는 가이드 안이 접동가능하므로 스토퍼를 누름으로써, 수동으로 전환 밸브를 동작시킬 수 있어, 수동조작을 간단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동작시에 우선 가동편이 스프링을 오그라들게 한 후에 전환 밸브를 누르게 된다. 그 때문에 스프링에 저장된 에너지와 솔레노이드의 여자력으로 전환 밸브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된 동작이 얻어지는 동시에, 스프링이 오그라드는 거리 또는 스프링의 강도를 바꿈으로써, 용이하게 동작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고압화된 액체를 저장하는 어큐뮬레이터와, 이 어큐뮬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서 동작하는 구동부와, 상기 작동 유체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액압 조작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액압 조작부는 상기 작동 유체를 상기 구동부에 공급 및 배출을 선택적으로 하는 주조작 밸브부와, 전자코일에 의해서 구동되고, 또한 상기 주조작 밸브를 구동하는 액압을 출력제어하는 전환 밸브로서 구성되는 파일롯 밸브부를 구비하고 있는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조작 밸브부는 원통상의 케이스 내에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접동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시트부와 개리(開離) 및 맞닿음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작동 유체의 배출 여부를 선택하는 원통상의 배액 밸브와, 상기 배액 밸브를 항상 상기 시트부와 맞닿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배액 밸브용 스프링과, 상기 배액 밸브의 케이스의 시트부와는 반대측 개구부의 내주면을 접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배액 밸브 내에는 상기 배액 밸브의 내주면을 접동하고, 상기 배액 밸브 내에 설치된 시트부와 개리 및 맞닿음으로써, 상기 구동부로의 작동 유체의 공급 여부를 선택하는 급액 밸브와, 상기 급액 밸브를 항상 상기 시트부와 맞닿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급액 밸브용 스프링과, 상기 배액 밸브 케이스의 시트부측 개구부를 막는 덮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 밸브와 상기 케이스의 접동부의 직경과 상기 케이스와 배액 밸브의 시트부의 시트직경에 의해서 형성되는 원환부의 면적보다, 상기 배액 밸브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액실의 단면적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조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액 밸브와 상기 배액 밸브의 시트부측의 끝부분을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둥근 막대 형상의 끝부분이 상기 배액 밸브의 덮개를 접동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조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액 밸브와 상기 배액 밸브의 시트부측의 제1 끝부분을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부분이 상기 배액 밸브의 덮개를 접동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또 상기 급액 밸브와 상기 배액 밸브의 시트부와 반대측의 제2 끝부분을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끝부분이 상기 배액 밸브의 가이드를 접동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조작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액 밸브의 케이스의 시트부측 개구부에 홈을 설치하고, 상기 배액 밸브의 덮개에 단부(段部)를 설치하고, 상기 덮개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홈에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분할된 링을 삽입하고, 상기 급액 밸브용 스프링이 상기 덮개와 상기 급액 밸브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조작 장치.
  6. 고압화된 액체를 저장하는 어큐뮬레이터와, 이 어큐뮬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서 동작하는 구동부와, 액압을 출력 제어함으로써 상기 작동 유체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액압 조작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액압 조작부는 원통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접동하고, 케이스 내에 설치된 시트부와 개리 및 맞닿음으로써, 작동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선택하는 전환 밸브체와, 상기 전환 밸브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로(開路)용 및 폐로(閉路)용 전자코일을 갖는 전환 밸브부를 구비하고 있는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코일은 그 가동편(片)에 의해서 상기 전환 밸브체를 압압하여 구동하도록 상기 전환 밸브체와 대략 동일축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편은 스프링에 의해서 항상 상기 전환 밸브체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고, 또 비여자상태의 가동편과 전환 밸브체 사이에는 간극이 설치되고, 이 간극의 크기가 바꾸어지도록, 비여자상태의 가동편의 위치를 구동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맞춤하기 위한 스토퍼가 전자코일의 끝부분에 조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조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축 상에 위치를 조정가능한 관통구멍을 가진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구멍 안을 접동가능하게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가 비여자상태의 가동편의 위치를 정하도록, 상기 스토퍼에는 가이드와 맞닿도록 단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조작 장치.
  8. 고압화된 액체를 저장하는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어큐뮬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서 동작하는 구동부와, 액압을 출력제어함으로써 상기 작동 유체를 제어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액압 조작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액압 조작부는 원통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을 접동하고, 케이스 내에 설치된 시트부와 개리 및 맞닿음으로써, 작동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선택하는 전환 밸브체와, 상기 전환 밸브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로용 및 폐로용 전자코일을 갖는 전환 밸브부를 구비하고 있는 액압 조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밸브체와 상기 전자코일의 가동편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전환 밸브체의 끝부분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프링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편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는 스프링을 유지하는 지지체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스프링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압 조작 장치.
KR10-2001-0029453A 2000-05-31 2001-05-28 액압 조작 장치 KR100389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2879A JP4322399B2 (ja) 2000-05-31 2000-05-31 液圧操作装置
JP2000-162879 2000-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126A KR20010109126A (ko) 2001-12-08
KR100389445B1 true KR100389445B1 (ko) 2003-06-27

Family

ID=18666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453A KR100389445B1 (ko) 2000-05-31 2001-05-28 액압 조작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22399B2 (ko)
KR (1) KR100389445B1 (ko)
CN (1) CN129901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0565A (zh) * 2010-08-23 2013-05-01 克斯美库股份有限公司 方向切换阀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5881A1 (de) * 2009-04-01 2010-10-07 Abb Technology Ag Hydromechanischer Antrieb für elektrische Leitungsschalter
CN101916676B (zh) * 2010-08-16 2012-07-04 杨秀丽 弹簧液压操动机构用电磁液压阀
KR101208639B1 (ko) 2012-06-21 2012-12-07 강용주 솔레노이드 펌프
CN103244497A (zh) * 2013-05-13 2013-08-14 深圳市瑞格尔仪器有限公司 超高压液压的伺服阀芯、伺服阀、单向及双向加载系统
JP6320193B2 (ja) * 2014-06-20 2018-05-09 株式会社東芝 液圧操作装置
JP6470159B2 (ja) * 2015-09-30 2019-02-13 株式会社東芝 液圧操作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CN105351275A (zh) * 2015-11-06 2016-02-24 河南平芝高压开关有限公司 集成阀及使用该集成阀的断路器液压操作机构
CN105719856B (zh) * 2015-12-15 2017-12-01 中国西电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弹簧操动机构用泄压控制系统及方法
CN106952754B (zh) * 2017-04-18 2019-05-28 中国西电电气股份有限公司 用于断路器液压操动机构的充能装置
CN107859663A (zh) * 2017-10-25 2018-03-30 成都弗格森液压机电有限公司 一种伺服液压系统中多余力的抑制装置
CN112503043B (zh) * 2020-03-20 2021-11-16 平高集团有限公司 液压操动机构及液压控制阀
CN111477477B (zh) * 2020-04-13 2022-04-26 李贵伦 一种行程碰块转换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2643U (ko) * 1981-01-23 1982-07-30
KR19990029881A (ko) * 1997-09-18 1999-04-26 가나이 쓰도무 차단기의 유압 구동 장치
JP2000090784A (ja) * 1998-09-17 2000-03-31 Hitachi Ltd 遮断器の流体圧駆動装置
KR100336828B1 (ko) * 1998-06-09 2002-05-16 니시무로 타이죠 액압 조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28841T2 (de) * 1990-09-17 1998-09-03 Hitachi Ltd Schaltvorrichtung
JP2869265B2 (ja) * 1992-05-29 1999-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遮断器
JP3183120B2 (ja) * 1995-09-20 2001-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遮断器の流体圧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遮断器
JP3402024B2 (ja) * 1995-11-20 2003-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遮断器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流体圧駆動装置
JP4249281B2 (ja) * 1998-02-25 2009-04-02 株式会社東芝 液圧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2643U (ko) * 1981-01-23 1982-07-30
KR19990029881A (ko) * 1997-09-18 1999-04-26 가나이 쓰도무 차단기의 유압 구동 장치
KR100336828B1 (ko) * 1998-06-09 2002-05-16 니시무로 타이죠 액압 조작 장치
JP2000090784A (ja) * 1998-09-17 2000-03-31 Hitachi Ltd 遮断器の流体圧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0565A (zh) * 2010-08-23 2013-05-01 克斯美库股份有限公司 方向切换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22399B2 (ja) 2009-08-26
JP2001345032A (ja) 2001-12-14
CN1326054A (zh) 2001-12-12
KR20010109126A (ko) 2001-12-08
CN1299014C (zh)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445B1 (ko) 액압 조작 장치
KR100611713B1 (ko) 재생기능을 구비한 유압제어밸브
EP1048854B1 (en) Servo-driving pilot-type solenoid valve
KR20130011946A (ko) 에너지 절약 밸브
KR20160114046A (ko) 액압식 타격 장치
KR20210076156A (ko) 유량 컨트롤러 및 이를 구비한 구동장치
KR100982193B1 (ko) 개폐장치용 유압조작장치
KR20100044941A (ko) 중장비용 유압제어밸브
US5353594A (en) Driving mechanism of a circuit breaker
CN102379019A (zh) 用于电功率开关的液压机械的驱动器
JP6045868B2 (ja) 液圧操作装置
CN216344077U (zh) 一种防冲击液压阀
KR100505379B1 (ko)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장치
JP4724234B2 (ja) 液圧操作装置
US6815629B2 (en) Hydraulic pressure actuat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JP2003045296A (ja) 液圧操作装置
CN113623285B (zh) 一种过渡机能液压阀
KR20000023226A (ko) 차단기의 유체압 구동장치
JPH1113913A (ja) バランスピストン型リリーフ弁
JP2002075138A (ja) 液圧操作装置
KR200370446Y1 (ko) 유압 실린더
SU554567A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аккумул торный привод дл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выключателей
JP2003157750A (ja) 遮断器の流体圧駆動装置
WO2018163722A1 (ja) 電磁式減圧弁及び電磁式減圧弁を備える流体圧制御装置
JPH04357311A (ja) 複数系統切換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