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550B1 - 커넥터 탭을 가지는 플렉스호일 - Google Patents

커넥터 탭을 가지는 플렉스호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550B1
KR100386550B1 KR10-1999-7007372A KR19997007372A KR100386550B1 KR 100386550 B1 KR100386550 B1 KR 100386550B1 KR 19997007372 A KR19997007372 A KR 19997007372A KR 100386550 B1 KR100386550 B1 KR 10038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lexfoil
tab
flex foi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085A (ko
Inventor
헤셀봄흐잘마
잉버그크리스티안
로버트손마쓰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00007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3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o-electronic elements and associated optical inter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8Fibre wiring boards, i.e. where fibres are embedded or attached in a pattern on or to a substrate, e.g. flexible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ontaining optical and electrical 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Ribb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광섬유와 같은 광도파관(3)을 포함하는 광 플렉스호일(1)에서, 광섬유의 말단부는 플렉스호일의 내부 및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스호일(1)의 평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탭(11, 13)을 형성하기 위해 컷아웃(7, 9)이 상기 섬유 말단부 주위에 형성되므로, 광섬유(3)의 말단부는 상기 탭의 외부 모서리에 위치된다. 이것은, 플렉스호일(1)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과 같이 상이한 방향으로 광섬유가 외부 장치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플렉스호일(1)은 전기 배면(21)에 광학 보조물로서 사용될 수 있고, 탭(11)은 배면의 개구(29)를 통해 연장한다. 또한, 플렉스호일의 모서리를 초과하여 연장하는 접속 탭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플렉스호일의 조작이 용이하다. 이것은, 예컨대, 탭 말단부에서 상기 광섬유의 말단부를 연마할 때 이점이 된다.

Description

커넥터 탭을 가지는 플렉스호일{FLEXFOILS HAVING CONNECTOR TABS}
컴퓨터, 통신 등의 데이터 속도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장거리 광대역 통신에서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던 광통신이 교환기 및 컴퓨터 등의 내부에서의 단거리 응용에도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광 상호 접속부의 수가 중요하다. 따라서, 광섬유 또는 통상적으로 광도파관의 경로 지정을 제어 및 조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하나의 실용적인 방법으로는, 내부 섬유 또는 도파관을 가지는 광 플렉스호일의 형상으로 모든 광 접속부를 수용하도록 별개의 광 레벨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한 섬유/도파관의 말단부에 광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전기 배면(electrical backplane)과 같은 외부 장치에 및 전기 광학 장치에 접속이 설정될 수 있다.
ATT사가 보유하고 있는 몇개의 특허중에서, 특히 Bonnani 등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5,204,925호에서, 회로 기판의 본체의 모서리와 배면 플렉스호일의 본체가 서로 수직으로 놓이는 "모서리-모서리" 배면 접속을 달성하기 위해, 본체에 대해 90˚로 꼬일 수 있고 플렉스호일의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탭을 가지는 광섬유 플렉스호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시스템에 있어서, 이것은 보다 친숙한 구조인 회로 기판이 배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과 비교할 때 특이한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플렉스호일을 접음으로써 상기 ATT의 방법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ATT 특허의 개념은, 개시되어 있는 간단한 기하학적 해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상이한 위치에서 회로 기판의 모서리를 배면에 연결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 가지 심각한 한계가 있다. 꼬여지고 구부려질 수 있는 더욱 연장된 탭을 가짐으로써, 그러한 접속이 원리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탭이 연장하는 배면의 모서리 길이는 다른 경우 필요한 기판 사이의 거리 또는 간격보다 훨씬 더 커지며, 이러한 영향은 회로 기판마다 보다 많은 탭이 필요할 경우 더욱 명백해진다.
Burack 등에게 특허 허여되어 ATT사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5,259,051호에서는, 광 플렉스호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7에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호일의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탭을 가지는 베이스 호일이 사용된다. 이 호일상에, 하나 이상의 광섬유가 경로 지정된 다음 절단된 후, 그 위에 상부 호일이 도포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탭 모서리 및 경계가 절단된다.
본 발명은 플렉스호일(즉, 그 내부 또는 상부에 광도파관이 배치되어 있는 가요성 시트)용의 예컨대, 회로 보드 및 배면에 접속하기 위한 광 커넥터 수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광 플렉스호일이 도포되는 회로 기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후방에 광 플렉스호일이 장착되는 전기 배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회로 기판의 전방에 광 플렉스호일을 또한 가지는 도 2의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플렉스호일의 커넥터내의 섬유의 말단부를 연마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스호일의 컴팩트한 구조를 가능하게 하고, 플렉스호일과 함께 사용될 회로 기판 및 배면의 가요성(flexible)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플렉스호일상의 광도파관(optical wave guide)용 커넥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 탭이 간단한 장치에서 연마될 수 있게 하는 배치를 가지는 플렉스호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점은, 쉽게 다루어질 수 있고, 플렉스호일의 어느 위치에서나 외부와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며, 커넥터 탭에서 도파관 말단부가 간단한 방식으로 연마될 수 있게 하는 플렉스호일을 어떻게 제조하는가 하는 것이다.
광섬유와 같은 광도파관을 포함하는 광 플렉스호일에서, 광섬유의 말단부는 플렉스호일의 내부 및 모서리 위치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탭을 형성하기 위해 광섬유의 말단부 둘레에 컷아웃(cut-out)이 형성되어, 상기 광섬유의 말단부가 탭의 외부 모서리에 위치된다. 상기 탭은 플렉스호일의 본체의 평면으로부터 구부려질 수 있어서 이 평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탭은 플렉스호일의 기본적인 내부 위치에 배치된다. 즉, 탭의 어떠한 부분도 그 평면내의 플렉스호일의 모서리를 벗어나 연장하지 않는다. 탭 모서리에서 광섬유의 말단부를 연마할 때, 탭은 구부려져서 그 외부가 예컨대, 플렉스호일의 면에 수직으로 위치되며, 연마 과정 중에 이 위치로 견고하게 유지된다. 연마 과정 이전에, 탭 말단부에는 적절한 광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스호일의 본체로부터 컷아웃되는 그러한 탭은 예컨대, 플렉스호일 본체의 큰 표면중 하나에 직접 놓이는 회로 기판상의 전기 광학 장치에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및 통상적인 전기 배면에 평행하게 방향 설정되어 그 후방측에 놓이는 광학 배면으로 작용하는 플렉스호일로부터 90˚편향을 얻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토폴로지(topology)를 이용하면, 기판당 복수의 탭을 얻기 위해 배면 플렉스호일의 모서리 길이가 추가될 필요없이, 회로 기판과 배면 사이에서 복수의 광 접속점을 얻을 수 있다. 광학 배면으로부터 구부려진 탭이 관통하여 연장하는 개구를 전기 배면에 형성함으로써, 기판 모서리에 전기 접속 및 광 접속 사이트의 혼합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토폴로지에 의해, 예컨대 다중 채널형태의 탭 말단부의 광 커넥터가 어떠한 탭의 꼬임도 필요로하지 않고 기판면에 평행하게 방향 설정된다.
컷아웃 탭이 이외의 경우 도파관이 위치될 수 있는 표면을 플렉스호일로부터 반드시 제거함에 따라, 탭은 불필요하게 길어서는 안되며 탭은 플렉스호일 메인 평면으로부터 작은 반경으로 구부려질 수 있어야 한다. 광학 배면에 있어서, 이것은 배면에 접속될 인쇄 회로 기판의 적당한 간격을 얻는데 또한 필요하다. 플렉스호일에 경로 지정된 섬유들은 탭을 위해 형성된 컷아웃 둘레에 작은 경로 지정 반경으로 경로 지정될 수 있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큰 경로 지정 반경이 플렉스호일에 경로 지정될 수 있는 섬유의 수를 더욱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것은 플렉스호일의 적절한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광섬유 플렉스호일에 있어서, 적절한 섬유 경로 지정 및 적층 기술은 어떠한 신뢰도 문제를 야기함 없이 이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기판에 대한 광섬유의 도포(Applying an optical fiber to a substrate)」 및 「광섬유 플렉스호일의 적층(Lamination of optical fiber flexfoils)」를 참조하라. 플렉스호일에 적층된 섬유를 가지는 대신에, 패턴화된 중합체 도파관을 가지는 플렉스호일이 사용될 수 있다.
기판 응용에 있어서, 컷아웃으로부터 얻어지고 플렉스호일 모서리를 벗어나서 돌출하지 않는 탭은 그 자체로는 불필요하지만, 경로 지정성 및 제조 가능성에 있어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조상의 잇점은 배면의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경로 지정의 경우, 통상적인 회로 패턴 기판의 큰 표면에 이와 평행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내부 탭을 포함하는 플렉스호일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탭이 외부에 있는 경우(즉, 플렉스호일 모서리로부터 돌출하는 경우)에 방해받지 않는 플렉스호일 경로 지정 가능 영역이 더욱 많이 남게 된다. 그러나, 정의에 의하여 외부 탭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플렉스호일이 전기 기판보다 더 작아야 하지만, 임의의 위치를 가지는 탭의 경우, 플렉스호일이 회로 기판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총 경로 지정 영역은 첫 번째 경우에 현저하게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의의 탭 위치는, 회로 기판의 이와 대응하는 광 커넥터가 기판 모서리에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위치에 대한 제한을 덜 받게 한다. 그러나, 이것의 중요성은 특별한 경우로 제한될 수 있다.
섬유 플렉스호일내의 내부 탭을 실용화할 경우, 연속적이지는 않지만(인용된 ATT 특허에서는 연속적인 침착 공정이 개시되어 있음) 섬유를 절단하여 여러 위치에서 재개할 수 있는 섬유 레이아웃 방식이 명확히 잇점이 있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플렉스호일상에 침착되는 중복된 느슨한 섬유 스트랜드가 과도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섬유가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서의 플렉스호일 적층 공정이 큰 손실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조건하에서 허용될 수 있다. 섬유 침착 공정에서 연속적인 섬유를 사용할 필요없는 이러한 장치는 상기 인용된 동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기판에 대한 광섬유의 도포」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체, 예컨대 박막형의 도파관을 포함하는 플렉스호일에 있어서, 이것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제조시, 그 모서리로부터 연장하는 탭을 가지는 플렉스호일은, 예컨대 커넥터의 연마를 고려한 것에 관하여는 쉽게 다루어질 수 있는 대상은 아니다. 그러한 공정에 있어서, 플렉스호일은 간단한 직사각형 프레임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탭은 이동가능한 리테이너(retainer) 수단에 의해 플렉스호일의 본체의 면으로부터 이 면에 소정의 각도로, 예컨대 수직으로 그 단부 영역이 놓이도록 구부려질 수 있다. 다음으로, 구부려진 탭의 말단부에서 종결하는 도파관(들)의 단면이 연마되고, 구부려진 탭은 플렉스호일의 본체의 평면내의 원래의 위치로 이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마 공정 이전에, MT-커넥터와 같은 광 커넥터가 탭의 말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 및 이점은 하기에서 설명되며, 부분적으로는 명세서의 설명에서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특히 나타내는 방법, 공정,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 및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특히 나타나지만, 상기 및 다른 특징의 구성 및 내용에 관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나타내는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고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에서는 광도파관을 포함하는 플렉스호일(1)이 도시되어 있는데,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이러한 광도파관은 직사각형의 가요성 복합 구조를 형성하도록 서로 적층되는 두 개의 동일한 가요성 플라스틱 시트 사이에 정확하게 한정된 경로를 따라서 부착되는 광섬유(3)이다. 플렉스호일(1)은 그 큰 표면중 한 표면에서 플렉스호일(1)과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그 보다 약간 더 작은 인쇄 회로 기판(5)의 상부에 이것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내부 탭(11)과 모서리 탭(13)을 형성하도록 플렉스호일(1)내에 컷아웃(7, 9)이 형성되고, 탭(11, 13)의 위치는 광섬유(3)의 말단부가 탭(7, 9)의 말단부 또는 최외각 모서리에 위치되도록 선택된다. 컷아웃 또는 관통홀(7)은, 이들이 내부 탭(11)을 형성하기 위해 플렉스호일(1)의 내부 위치에 생성될 경우, 및 이들이 플렉스호일의 모서리에 탭(13)을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평행한 컷아웃 연장 영역(9)으로서 생성되어, 상기 모서리 탭(13)의 최외각 또는 말단부가 플렉스호일(1)의 모서리의 일부인 경우에, 일반적인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탭 또는 텅(tongue)(11, 13)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며, 긴 변은 몇몇 장치에 접속되는 탭내에 위치되는 광섬유에 평행하게 된다. 최외곽 짧은 변은 탭의 말단부 또는 최외곽 모서리이고, 여기에서 광섬유가 상기 모서리에 수직인 방향으로 종결한다. 내부의 짧은 변에서 탭이 플렉스호일(1)에 접속되어 있다. 컷아웃(7, 9)은 일부 플렉스호일 물질을 좁은 U자 형상 또는 직선 스트립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스호일의 플라스틱 시트가 가요성이고, 적층이 적당하게 생성되며, 탭이 광섬유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그 내부에 원치않는 감쇠를 야기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경우, 탭(11, 13)은 플렉스호일(1)의 평면으로부터 구부려질 수 있다. 상기 탭 말단부에서, MT 커넥터와 같은 임의의 종래 광섬유 커넥터 수단(15)이 부착되어, 탭 말단부에서 종결하는 광섬유에 적절한 광학 인터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5)에 부착된 전기 광학 모듈(17)이 내부 탭(11)의 섬유에 접속될 수 있다. 모서리 탭(13)은, 배면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5)의 모서리에서 회로 기판에 부착되는 광학 배면 커넥터(19)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 커넥터(19)가 회로 기판의 모서리로부터 다소의 거리를 두고 놓이는 경우, 도 1의 플렉스호일의 우측 코너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렉스호일(1)의 모서리에 좁은 잔여 스트립(20)을 갖는 컷아웃(7')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탭(11, 13)이 S 형상으로 구부려져야 하며, S 형상의 말단부는 서로 좁은 간격으로 평행한 면에 위치된다.
도 2의 사시도에는, 플렉스호일(1')이 전기 배면(21)의 바로 뒤에 놓이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스호일은 광학 보조 배면으로서 작용한다. 인쇄 회로 기판(5)은 배면(21)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고, 서로 협동하는 통상적인 전기 모서리 접점(23)과 배면 커넥터 스트립(25)을 통해 배면(21)에 접속된다. 도 3은 도 2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단면도로 도시하지만, 여기서는 광 플렉스호일(1)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기판(5)의 표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전기 및 광학 부품(24)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기 광학 장치는 17로 도시되어 있다. 인쇄 회로 기판(5)은 이들의 후방 모서리에 광 커넥터(27)를 가진다(도 1의 광 커넥터(19)와 비교). 커넥터 스트립(25)에, 또는 인쇄 회로 기판(5)상의 광 커넥터(27)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스트립(25)의 세로 수직축에 가깝고 평행한 라인을 따르는 위치에, 직사각형의 관통 홀(29)이 전기 배면(21)내에 형성됨으로써, 플렉스호일(1)의 탭(11)이 관통 홀을 통해 돌출하여 상기 배면(21)의 전방측에 부착된 광 커넥터(30)에 접속될 수 있으며, 상기 탭은 구부려져, 이들의 말단부가 플렉스호일(1)의 본체 및 광 커넥터(30)의 후방 말단부에 삽입될 배면(21)에 수직으로 놓인다. 전기 배면상의 광 커넥터(30)는, 회로 기판(5)이 상기 배면에 부착될 때, 대응하는 광 커넥터(27)가 그 안에 적합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렉스호일은 기본적인 직사각형의 플렉스호일을 초과하여 연장하지 않는 커넥터 탭을 가지기 때문에, 탭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쉽게 다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렉스호일은 연마를 위해 위치-결정 기계(33)의 X-Y 전이 테이블(31)에서 주위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플렉스호일은 한 탭씩 반복적으로 배치되므로, 매번 탭(11)은 상기 기계(33)의 고정 아암(37)에 부착된 커넥터 홀더(35)의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커넥터 홀더(35)에는, 탭의 말단부 영역이 소정의 경사각도로, 예컨대 플렉스호일(1) 및 상기 테이블(31)에 수직으로(도면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탭을 구부리는 수단이 제공된다. 회전 연마 휠(41)을 가지는 고정된 연마 장치(39)는 X-Y 테이블(31) 아래에 위치되어, 커넥터 홀더(35)에 의해 구부려질 때 탭(11)의 말단부 모서리에서 광섬유 말단부를 연마한다. 상기 연마 휠의 회전축은 플렉스호일 본체 및 상기 테이블(31)에 수직일 수 있지만, 이들에 대하여 경사각도, 예컨대 약 45°로 위치될 수도 있다. 커넥터 홀더(35)는, 탭의 말단부 영역이 회전축에 평행하거나 이것에 대해 다소 작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마될 탭(11)을 항상 구부리게 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 및 기술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다수의 추가의 이점, 변형 및 변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더 넓은 양태로서 여기에 도시 및 기술되어 있는 특정 세부, 표시 장치 및 예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전체적인 발명의 개념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위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경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4)

  1.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용 접속 수단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도파관이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으로부터 또는 광도파관으로 광을 전송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의 광학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1 부분을 갖게 하는 방식으로 광 플렉스호일의 도파관을 제조하는 단계, 및
    컷아웃 제조 단계로서, 광 플렉스호일의 영역이 상기 제1 부분을 지지하게 하여 탭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부분의 측면에서 광 플렉스호일에 컷아웃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을 지지하는 광 플렉스호일의 영역이 상기 영역을 직접 둘러싸고 있는 광 플렉스호일의 영역의 평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구부려지거나 휘어질 수 있도록하는 컷아웃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용 접속 수단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관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부분은 광 플렉스호일 표면의 내부 위치에 배열되고, 이 내부 위치는 광 플렉스호일의 모서리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상기 컷아웃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컷아웃이 U자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용 접속 수단을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관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부분은 광 플렉스호일의 모서리에 위치되고,
    상기 컷아웃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컷아웃은 광 플렉스호일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트립의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용 접속 수단을 제조하는 방법.
  4.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으로부터 또는 광도파관으로 광을 전송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의 광학 접속이 이루어지는 도파관의 제1 부분에서의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용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을 지지하는 광 플렉스호일의 영역이 측방향으로, 즉, 상기 영역을 직접 둘러싸는 광 플렉스호일 영역의 평면으로부터 구부려지거나 휘어질 수 있도록, 광 플렉스호일의 영역이 상기 제1 부분을 지지하도록 하여 탭을 형성하기 위해 광도파관의 제1 부분의 측면에 컷아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용 접속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광 플렉스호일 표면의 내부 위치에 배열되고, 이 내부 위치는 광 플렉스호일의 모서리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상기 컷아웃은 U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용 접속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광 플렉스호일의 모서리에 위치되고,
    상기 컷아웃은 광 플렉스호일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트립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용 접속 장치.
  7. 광 플렉스호일의 광도파관으로부터 또는 광도파관으로 광을 전송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의 광학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1 부분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광도파관을 포함하는 광 플렉스호일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을 지지하는 영역이 상기 영역을 직접 둘러싸는 플렉스호일의 영역의 평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구부려질 수 있도록, 광 플렉스호일의 영역이 상기 제1 부분을 지지하도록 하여 탭을 형성하기 위해 광도파관의 제1 부분의 측면에 컷아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광 플렉스호일의 표면의 내부 위치에 배열되고, 이 내부 위치는 광 플렉스호일의 모서리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며,
    상기 컷아웃은 U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광 플렉스호일의 모서리에 위치되고,
    상기 컷아웃은 광 플렉스호일의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트립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
  10. 배면 어셈블리에 접속될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1 표면에 가지는 전기 배면을 포함하고, 광 플렉스호일을 더 포함하는 배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광 플렉스호일은 상기 전기 배면의 제2 표면에 이 제2 표면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며, 상기 전기 배면은 광 플렉스호일의 커넥터 탭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 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어셈블리.
  11. 광플렉스호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광도파관 및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을 포함하는 광 플렉스호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하나 이상의 광도파관으로부터 및 광도파관으로 광을 전송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광도파관으로부터 외부 장치로 광학 접속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의 말단부에 하나 이상의 광도파관의 말단부가 위치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이 광 플렉스호일의 본체의 평면으로부터 구부려질 수 있도록, 광 플렉스호일을 제조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의 말단부 영역이 상기 평면에 소정의 각도로, 특히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을 구부리는 단계,
    상기 구부려진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의 말단부에서 종결하는 하나 이상의 광도파관의 말단부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부려진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을 광 플렉스호일 본체의 평면내의 원래의 위치로 이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단계 이전에, 광 커넥터가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의 말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플렉스호일의 제조 방법.
  13.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을 가지는 광 플렉스호일내에 포함되는 광도파관의 말단부를 마무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 플렉스호일을 실질적으로 편평한 형태로 유지시키는 클램핑 수단,
    상기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의 말단부 영역이 상기 광 플렉스호일 본체의 평면에 소정의 각도로, 특히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가요성 커넥터 탭을 유지하는 리테이너 수단, 및
    상기 구부려진 하나 이상의 가요성 탭의 말단부 표면에서 광도파관(들)을 연마하는 연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관 말단부를 마무리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수단은 하나 이상의 가요성 탭의 말단 표면에 대해 수직이고/수직이거나 상기 하나 이상의 가요성 탭의 말단부 표면에서 종결하는 광도파관(들)의 말단부 영역에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회전 연마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도파관 말단부를 마무리하는 장치.
KR10-1999-7007372A 1997-02-18 1998-02-18 커넥터 탭을 가지는 플렉스호일 KR100386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700574-8 1997-02-18
SE9700574A SE511315C2 (sv) 1997-02-18 1997-02-18 Förfarande och förbindningsorgan vid en flexfolie samt optisk flexfolie
PCT/SE1998/000287 WO1998036308A2 (en) 1997-02-18 1998-02-18 Flexfoils having connector tab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085A KR20000071085A (ko) 2000-11-25
KR100386550B1 true KR100386550B1 (ko) 2003-06-02

Family

ID=2040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372A KR100386550B1 (ko) 1997-02-18 1998-02-18 커넥터 탭을 가지는 플렉스호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229942B1 (ko)
EP (1) EP1019764B1 (ko)
JP (1) JP4205170B2 (ko)
KR (1) KR100386550B1 (ko)
CN (1) CN1214265C (ko)
AU (1) AU6236298A (ko)
CA (1) CA2281655C (ko)
DE (1) DE69836750T2 (ko)
HK (1) HK1028451A1 (ko)
SE (1) SE511315C2 (ko)
TW (1) TW356532B (ko)
WO (1) WO19980363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0690B1 (en) * 2000-05-17 2002-05-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er optic connector for coupling devices on intersecting planes
US7178994B2 (en) * 2000-10-31 2007-02-20 Viasystems Group, Inc. Fiber optic circuit connector
KR20040024569A (ko) * 2001-06-26 2004-03-20 비아시스템즈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백플레인내로 광섬유를 벤딩하기 위한 벤딩 장착기
US6801693B1 (en) 2002-10-16 2004-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backplane array connector
US6829413B2 (en) 2002-12-02 2004-1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errule-less optical fiber apparatus for optical backplane connector systems
JP4144468B2 (ja) * 2003-07-25 2008-09-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積層型高分子光導波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64366B2 (en) * 2005-02-02 2008-04-29 Viasystems Group, Inc.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a guide insert
US20060245712A1 (en) * 2005-04-29 2006-11-02 Alexander Fishma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optoelectronic modules
US7454097B2 (en) * 2006-03-31 2008-11-18 Xyratex Technology Limited Optical circuit board, an optical backplane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100848543B1 (ko) * 2006-09-27 2008-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송수신 소자의 광 연결 방법 및 그 광 연결 구조물
US7587115B1 (en) 2006-11-30 2009-09-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Integrated functionality in optical backplane
JP4343238B2 (ja) * 2007-05-29 2009-10-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組立体
US8192090B2 (en) * 2009-11-02 2012-06-05 Eli Benoliel Card-based mounting assembly and maintenance system
US8306374B2 (en) * 2010-03-12 2012-11-06 Xyratex Technology Limited Optical connector and a method of connecting an optical connector to an optical printed circuit board
US8565570B2 (en) * 2010-07-22 2013-10-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ptical backplane
US8805132B2 (en) * 2010-12-08 2014-08-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package connected to a data transmission medium
JP5674525B2 (ja) * 2011-03-29 2015-02-2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電気混載基板の製法
US9417418B2 (en) 2011-09-12 2016-08-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Flexible lensed optical interconnect device for signal distribution
AT13232U1 (de) * 2011-12-28 2013-08-15 Austria Tech & System Tec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us wenigstens zwei leiterplattenbereichen bestehenden leiterplatte sowie leiterplatte
ES2792122T3 (es) 2012-09-28 2020-11-10 Commscope Connectivity Uk Ltd Casete de fibra óptica
US9223094B2 (en) * 2012-10-05 2015-12-29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Flexible optical circuit, cassettes, and methods
DE102012110903A1 (de) * 2012-11-13 2014-05-28 Reichle + De-Massari Ag Optische Verbindungsvorrichtung
WO2015015624A1 (ja) * 2013-08-01 2015-0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配線基板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9581770B2 (en) * 2015-05-20 2017-02-28 Xyratex Technology Limited Centering ferrule mount for polymer waveguide
CN105022341B (zh) * 2015-08-21 2018-01-02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光纤柔性板自动布纤设备的控制装置与方法
WO2017121778A1 (en) * 2016-01-12 2017-07-20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Cable management arrangement
EP3692404A4 (en) 2017-10-02 2021-06-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CIRCUIT AND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7154A (en) * 1972-02-07 1973-12-04 R Lindsey Optical data processing system
DE2427150A1 (de) 1974-06-05 1976-01-02 Ruthenberg Gmbh Waermetechnik Faserlichtleitung
US5204925A (en) 1991-09-11 1993-04-20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interconnection of circuit packs
US5259051A (en) * 1992-08-28 1993-11-02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inter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interconne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236298A (en) 1998-09-08
JP4205170B2 (ja) 2009-01-07
SE9700574D0 (sv) 1997-02-18
DE69836750D1 (de) 2007-02-08
SE511315C2 (sv) 1999-09-06
CA2281655A1 (en) 1998-08-20
SE9700574L (sv) 1999-08-19
WO1998036308A2 (en) 1998-08-20
CN1214265C (zh) 2005-08-10
EP1019764A2 (en) 2000-07-19
KR20000071085A (ko) 2000-11-25
JP2001511911A (ja) 2001-08-14
DE69836750T2 (de) 2007-10-04
CA2281655C (en) 2003-12-16
EP1019764B1 (en) 2006-12-27
TW356532B (en) 1999-04-21
US6229942B1 (en) 2001-05-08
WO1998036308A3 (en) 1998-11-19
HK1028451A1 (en) 2001-02-16
CN1255205A (zh) 200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550B1 (ko) 커넥터 탭을 가지는 플렉스호일
JP3994077B2 (ja) データ通信光インタフェース
EP1312961B1 (en) Device including a fiber optic cable harness and associated methods
WO2008023544A1 (fr) Élément de modification de trajet lumineux et connecteur optique pour rayons lumineux à trajet modifié
EP1604238B1 (en) Fiber optic apparatus
JP2007256372A (ja) 光ファイバ接続部品
US6795634B2 (en) Optical fiber block having holding sub-block
JP2006184754A (ja) 光導波路、光ファイバモジュール、光ファイバ実装治具及び光ファイバ実装方法
Shahid et al. Flexible optical backplane interconnections
KR100696210B1 (ko) 광경로 변경기 및 이를 이용한 광백플레인 장치
US6568074B1 (en) Method for making planar optical fiber circuits
JP3500765B2 (ja) 光フィルタの製造方法
US20040184706A1 (en) Flexible optical connecting part
JP3199170B2 (ja) 光配線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93101B2 (ja) 光ファイバ配線板
JP4125621B2 (ja) 光ファイバシート
US20240142710A1 (en) Relative position control for fibers
JPH09133833A (ja) 光ファイバテープの光ファイバ配列部材への固定構造
JPH11109162A (ja) 光ファイバアレイ
JPH085869A (ja) 光コネクタ装置
JP4329742B2 (ja) 光ファイバシートの作製方法及び光ファイバプレシートの作製方法
JP3045870B2 (ja) 光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H06250031A (ja) 光配線板
CN116964502A (zh) 光学器件安装组件
KR100863936B1 (ko) 광 백플레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