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872B1 - 절단기 - Google Patents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872B1
KR100385872B1 KR10-2000-0030240A KR20000030240A KR100385872B1 KR 100385872 B1 KR100385872 B1 KR 100385872B1 KR 20000030240 A KR20000030240 A KR 20000030240A KR 100385872 B1 KR100385872 B1 KR 100385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length
vice
cutting material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6421A (ko
Inventor
쓰네요시타카
Original Assignee
쓰네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네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쓰네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23D47/0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for stock of indefinite l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02With product handling means
    • Y10T83/2092Means to move, guide, or permit free fall or flight of product
    • Y10T83/2183Product mover including gripper means
    • Y10T83/2187Reciprocating product hand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444Tool engages work during dwell of intermittent workfeed
    • Y10T83/463Work-feed element contacts and moves with work
    • Y10T83/4632Comprises a work-moving gri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492Plural passes of diminishing work piece through tool station
    • Y10T83/6499Work rectilinearly reciprocated through tool station
    • Y10T83/6508With means to cause movement of work transversely toward plane of cut
    • Y10T83/6515By means to define increment of movement toward plane of cut
    • Y10T83/6518By pusher mechanism
    • Y10T83/652With additional work holding or positio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 Confectionery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피절단재의 잔재를 극력 짧게할 수 있으며, 1개의 피절단재를 극히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절단위치(P)의 전후에서 피절단재(W)를 파지하는 주 바이스기구(1)와, 피절단재(W)를 파지하여 이것을 절단위치(P)에 대해 이송하는 송재 바이스기구(4)를 구비하고, 이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피절단재(W)를 미리 설정된 절단길이(L)씩 이송하여 절단을 행하는 절단기에 있어서, 잔재(Wr)의 길이(Lr)와 송재 바이스기구 (4)에 의한 잔재(Wr)의 이송한계길이(Lmin)의 차이가 피절단재(W)의 절단길이(L)보다 짧게 되었을 때(L>Lr-Lmin),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여 피절단재 이송방향으로 소요길이α=L-(Lr-Lmin)만큼 끌어내도록 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절단기{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톱날에 의한 절단위치의 전후에서 피절단재를 파지하는 주 바이스기구와, 피절단재를 파지하여 이것을 절단위치에 대하여 이송하는 송재(送材)바이스기구를 구비하고, 이 송재 바이스기구에 의해 강봉이나 강관 등의 피절단재를 미리 설정된 절단길이씩 이송하여, 연속적으로 절단을 행하는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도 11(a)는 종래의 둥근톱 절단기의 개략평면도, 도 11(b)는 도 11(a)에 도시하는 절단기의 우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피절단재(W)를 톱날(2)에 의한 절단위치(P)의 전후에서 파지하는 주 바이스기구이고, 기대(基臺)(3) 상에 설치된 고정바이스(1a), 이 고정바이스(1a)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진퇴이동하는 가동바이스(1b), 이 가동바이스(1b)를 구동하는 유압실린더(1c), 및 다른 실린더에 의해 승강구동되는 세로바이스(1d)로 이루어진다. 4는 피절단재(W)를 파지하여 이것을 절단위치(P)에 대하여 이송하는 송재 바이스기구이고, 송재대(6)를 따라서 절단위치(P) 근방의 전진끝 위치와 이것에 의해 후방의 후퇴끝 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왕복대(5)와, 이 왕복대(5) 상에 탑재된 고정바이스(4a), 가동바이스(4b)와, 가동바이스(4b)를 구동하는 유압실린더 (4c)로 이루어진다.
그렇게 해서, 이 절단기는, 강봉 등의 피절단재(W)를 주 바이스기구(1)에 의해 파지하여, 피절단재(W) 선단의 끝재료부분을 톱날(2)에 의해 절단한 후, 피절단재(W)를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절단길이(L)(도 12 참조)를 이송하고, 절단위치(P)에서 톱날(2)에 의해 절단하고, 이 절단후, 송재 바이스기구(4)를 후퇴한계위치까지 후퇴시켜서, 그 위치로부터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피절단재(W)를 재차 소정길이를 이송하여, 톱날(2)에 의해 절단하고, 이 동작을 반복해서 행하게 하여, 1개의 피절단재(W)를 일정치수로 절단하게 되어 있다.
이 절단기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1개의 피절단재(W)를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소정의 절단길이(L)씩 이송하여 톱날(2)에 의해 순차 절단해가면, 1개의 피절단재(W)를 절단하기 끝마칠쯤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그 이상 이송할 수 없는 길이의 잔재가 생긴다. 즉, 송재 바이스기구(4)는, 톱날(2)에 의한 절단이 끝날 때마다, 후퇴한계위치까지 후퇴하여 피절단재(W)를 파지하고, 이 후퇴한계위치로부터 절단위치(P)의 앞측의 전진 한계위치에 이르는 거리에 상당하는 절단길이만큼 피절단재(W)를 이송하는 것인데, 송재 바이스기구(4)의 전진 한계위치와 절단위치(P) 사이에는 주 바이스기구(1)의 개재에 의해 필연적으로 일정한 거리가 있고, 또 피절단재(W)에 대한 고정바이스(4a) 및 가동바이스(4b)의 붙잡기여유에 일정한 폭(S)을 필요로 하므로, 절단의 진행에 따라 잔재(Wr)의 길이가 짧게 되면, 그 잔재는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그 이상 이송되지 않게 된다. 이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그 이상 이송할 수 없는 잔재(Wr)의 길이, 즉 이송한계길이(Lmin)는, 절단기의 크기나 주 바이스기구(1)의 배치관계에 의해 다소 상이하게 된다.
그렇게 해서, 피절단재(W)의 잔재길이(Lr)와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한 잔재 (Wr)의 이송한계길이(Lmin)의 차이가 피절단재의 절단길이(L)보다도 짧게 되었을 때에는, 그 이상 절단이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그 잔재(Wr)는, 적어도 한번 더 절단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면서, 크롭(단재(端材))으로서 버리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 점에 관해,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금, 이 송재 바이스기구 (4)의 이송한계길이(Lmin)를 55mm, 피절단재의 절단길이(L)를 30mm, 피절단재(W)의 잔재길이(Lr)를 75mm로 하면, 도시한 상태에 있는 잔재(Wr)를 한번 더 절단하려고 하여, 이 잔재(Wr)를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30mm 이송하고자해도, 이 송재 바이스기구(4)는, 이송한계길이(Lmin)에 의해 절단위치(P)의 앞측 55mm의 곳까지 밖에 전진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잔재(Wr)의 실제의 이송길이(n)는 절단길이 (L)보다도 10mm 적은 20mm로 된다. 따라서, 이 잔재(Wr)는, 한번 더 절단될 수 있는 길이 75mm를 가지면서, 버리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피절단재의 잔재를 극력 짧게 할 수가 있어, 1개의 피절단재를 극히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절단기의 개략평면도이고,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의 잡아지지부재가 대기위치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과 동일한 개략평면도이며,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의 잡아지지부재가 잔재의 선단부를 잡고자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과 동일한 개략평면도이고,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의 잡아지지부재가 잔재의 선단부를 잡아서 소요길이를 끌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과 동일한 개략평면도이며,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의 잡아지지부재가 잔재의 잡아지지를 끝내고 대기위치측으로 복귀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1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E-E선 단면도,
도 10은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a)는 종래의 절단기의 개략평면도, 도 11(b)는 도 11(a)에 도시하는 절단기의 우측면도, 그리고
도 12는 종래의 절단기에 의한 절단방법을 도시하는 개략평면도.
(부호의 설명)
1 : 주 바이스기구 1a : 고정바이스
1b : 가동바이스 2 : 톱날
3 : 기대 4 : 송재 바이스기구
10 :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 11, 12 : 잡아지지부재
13 : 개폐구동수단 14 : 가동틀
16 : 가동틀진퇴 구동수단 P : 절단위치
W : 피절단재 Wr, Wr' : 잔재(피절단재)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톱날(2)에 의한 절단위치(P)의 전후에서 피절단재 (W)를 파지하는 주 바이스기구(1)와, 피절단재(W)를 파지하여 이것을 절단위치(P)의 방향으로 이송하는 송재 바이스기구(4)를 구비하고, 이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피절단재(W)를 미리 설정된 절단길이(L)씩 이송하여 절단을 행하는 절단기에 있어서, 피절단재(W)의 잔재(Wr)의 길이(Lr)와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한 잔재(Wr)의 이송한계길이(Lmin)의 차이가 피절단재(W)의 절단길이(L)보다 짧게 되었을 때 (L>Lr-Lmin), 절단위치(P)의 앞측 소요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소요위치, 또는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입한 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당해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여 피절단재 이송방향으로 소요 길이 α=L-(Lr-Lmin)만큼 끌어내도록 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톱날(2)에 의한 절단위치(P)의 전후에서 피절단재 (W)를 파지하는 주 바이스기구(1)와, 피절단재(W)를 파지하여 이것을 절단위치(P)의 방향으로 이송하는 송재 바이스기구(4)를 구비하고, 이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피절단재(W)를 미리 설정된 절단길이(L)씩 이송하여 연속적으로 절단을 행하는 절단기에 있어서, 피절단재(W)의 잔재(Wr')의 길이(Lr')가 송재 바이스기구(4)의 이송한계길이(Lmin)보다 짧게 또한 절단길이(L)보다 충분히 길때(L<Lr'<Lmin),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입한 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당해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여 피절단재 이송방향으로 절단길이(L)만큼 끌어내도록 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이다.
청구항 3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절단기에 있어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는, 피절단재(W)를 직경방향 양측으로부터 잡아서 지지하는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 및 양 잡아지지부재(11, 12)를 피절단재(W)를 잡아서 지지하는 폐쇄위치와 그것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개폐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13)을 장비한 가동틀(14)과, 이 가동틀(14)을 절단위치의 전방 소요위치로부터 절단위치(P)측에 대하여 진퇴구동하는 가동틀진퇴 구동수단(16)으로 이루어지며, 가동틀(14)이 절단위치(P)의 앞측까지 전진하고, 양 잡아지지부재(11, 12)가 절단위치(P)의 바로 앞측 소요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소요위치, 또는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입한 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잔재(Wr, 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절단기에 있어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는 잔재(Wr,Wr')를 잡아서 지지할 때 주 바이스기구(1)의 고정바이스(1a)에 닿지 않도록, 고정바이스(1a)로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이격된 경사위치에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청구항 5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절단기에 있어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는 잔재(Wr,Wr')를 잡아서 지지할 때 주 바이스기구(1)의 고정바이스(1a)에 닿지 않도록, 고정바이스(1a)로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이격된 경사위치에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본 발명에 관한 둥근톱 절단기에 있어서는, 주 바이스기구(1) 및 송재 바이스기구(4)는, 도 11 및 도 12에 의해 종래기술의 항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한 부재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10은 송재 바이스기구(4)의 기대(3)에 인접하여 설치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이며, 잔재(Wr)의 길이(Lr)와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한 잔재(Wr)의 이송한계길이(Lmin)의 차이가 피절단재의 절단길이 (L)보다 짧게 된때 (L>Lr-Lmin), 당해 잔재(Wr)의 선단부를 한쌍의 잡아지지부재 (11, 12)에 의해 잡아서 지지한 피절단재 이송방향으로 소요길이 α=L-(Lr-Lmin)만큼 끌어내도록 한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둥근톱 절단기를 예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띠톱절단기에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후에 설명하겠는데, 먼저, 이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동작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지금, 송재 바이스기구(4)의 이송한계길이(Lmin)를 예를 들면 55mm로 하고, 피절단재(W)의 절단길이(L)를 30mm로 하여 절단을 행한 경우에, 절단이 진행되어 1개의 피절단재(W)를 절단 끝낼 쯤에, 도 1의 실선 도시와 같이 잔재(Wr)의 길이(Lr)가 75mm라고 하면, 이 잔재길이(Lr)와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한 잔재 (Wr)의 이송한계길이(L min )의 차이는, Lr-Lmin=75mm-55mm=20mm로 되어, 절단길이 (L)(30mm)보다도 짧게 된다.
이와 같이 잔재길이(Lr)와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한 잔재(Wr)의 이송한계길이(Lmin)의 차이가 절단길이(L)보다도 짧게된 경우에는, 이 잔재(Wr)가 적어도 한번 더 절단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면서,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서는 절단길이(L) 분량의 잔재(Wr)의 이송이 될 수 없으므로, 먼저, 이 잔재(Wr)를,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그 전진한계위치(Q)까지 이송한다. 또한 이 전진한계위치(Q)는, 절단위치(P)로부터 그 앞측으로 55mm(이송한계(Lmin)) 이격된 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재 바이스기구(4)는, 이송한계길이(Lmin)의 제약에 의해 잔재(Wr)를 절단위치(P)의 앞측 55mm에 위치하는 전진한계위치(Q)까지밖에 전진할 수 없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잔재(Wr)를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전진한계위치(Q)까지 이송하면, 이 잔재(Wr)의 실제의 이송길이(n)는, 절단길이(L)보다 10mm 적은 20mm로 되고, 따라서 이 잔재(Wr)는 도 2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위치(P)로부터 20mm 만큼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위치(P)의 전방에 대기하고 있는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잡아지지부재(11, 12)를, 절단위치(P)측으로 향해서 전진이동시켜서, 동일도면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시킨다. 이렇게 해서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한 잡아지지부재 (11, 12)를,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이송부족했던 길이분량(α)만큼 후퇴시켜서, 절단위치 (P)로부터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으로 끌어낸다. 이 α는, 절단길이L-(잔재길이(Lr)-이송한계길이(Lmin)=30mm-(75mm-55mm)=10mm이다. 이것에 의해, 잔재(Wr)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위치(P)로부터 소정의 절단길이(L)만큼 이송된 것으로 된다.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잡아지지부재(11, 12)가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할 때는, 주 바이스기구(1)의 가동바이스(1b)를 도 2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후퇴시켜, 세로바이스(1d)에 의해 잔재(Wr)를 고정한다. 그리고, 잡아지지부재 (11, 12)가 그 잔재(Wr)를 잡아서 지지하여 끌어낼 때에는, 세로바이스(1d)를 개방한다. 상기 잡아지지부재(11, 12)는, 피절단재(W)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여 소요길이(α)만큼 끌어낸 후,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잔재(Wr)를 개방하여 잡아지지위치로부터 퇴피시킨다.
상기와 같이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에 의해 잔재(Wr)가 α만큼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으로 끌려나간후, 이 잔재(Wr)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 바이스기구(1)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톱날(2)에 의해 절단된다. 이 절단에 의해 남은 잔재(Wr')의 길이는, 75mm-30mm=45mm이고, 절단길이(L)(30mm)보다 길고, 이송한계길이(Lmin)보다 짧기 때문에, 한번 더 절단되는데, 이 잔재(Wr')는, 송재 바이스기구(4)에 따라서는 그 이상 이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때,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잡아지지부재(11, 12)가, 도 3에 도사하는 바와 같이 절단위치(P)의 앞측에서 밖에 잔재(Wr)를 붙잡을 수 없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이상은 절단이 행해지지 않고, 길이 45mm의 잔재(Wr')가 최종잔재로 된다. 그러나,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잡아지지부재(11, 12)를,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입한 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잔재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길이 45mm의 잔재(Wr')를 절단길이(L)(30mm)만큼 전방으로 끌어냄으로써, 한번 더 절단할 수 있다. 이 절단에 의해 남은 최종의 잔재는, 길이가 15mm이고, 크롭(단재)으로 된다
또, 잔재(Wr')의 길이(45mm)가 이송한계길이(Lmin)(55mm)보다 짧아서, 절단길이(L)보다도 충분히 긴 경우, 예를 들면, 절단길이(L)가 10mm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잡아지지부재(11, 12)를,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입한 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이 잡아지지부재(11, 12)에 의해, 길이45mm의 잔재(Wr')를 절단위치(P)로부터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으로 절단길이 10mm 만큼 끌어냄으로써, 소정의 절단을 더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잔재(Wr')의 길이가 45mm이고, 절단길이(L)가 20∼40mm인 경우에는, 주바이스기구(1)의 고정바이스(1a) 및 가동바이스(1b)에 의한 잔재((Wr')의 파지폭이 짧게 되어, 잔재(Wr')를 확실히 파지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절단위치(P)에서의 절단을 행할 수 없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로 하여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구체적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1의 B-B선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 C 선에서 본 도면, 도 8은 도 6의 D-D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E-E 선에서 본 도면,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는, 피절단재(W)를 그 직경방향 양측에서 잡아서 지지하는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 및 양 잡아지지부재(11, 12)를 피절단재(W)를 잡아서 지지하는 폐쇄위치와 그것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개폐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13)을 장비한 가동틀(14)과, 이 가동틀(14)을 피절단재(W)의 이송방향과 평행한 한쌍의 가이드레일(15, 15)을 따라서 절단위치(P)의 전방소요위치로부터 절단위치(P)측에 대하여 진퇴구동하는 가동틀진퇴 구동수단(16)(도 7)으로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단기의 기계틀(9)에는 송재 바이스기구(4)의 근방위치에, 피절단재(W)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뻗는 한쌍의 수평한 지지틀(17, 17)의 각각의 일단부가 고착되고, 양 지지틀(17, 17)의 하면측을 따라서 한쌍의 가이드레일(15, 15)이 배열설치되고, 양 가이드레일(15, 15)에 가동틀(14)이 슬라이딩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가동틀진퇴 구동수단(16)은,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양 가이드레일(15, 15) 사이에 평행하게 배열설치된 나선축(18)을 가지며, 이 나선축(18)은, 양 가이드레일(15, 15)에 부착된 양단의 축받이부재(19, 20)에 의해 회전자유로이 지지됨과 동시에, 서보모터(21)에 의해 정역 (正逆)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이 나선축(18)에 너트부재(22)가 나사식박음되고, 이 너트부재(22)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5, 15)에 안내되는 가동틀(14)이 일체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나선축(18)을 서보모터(21)에 의해 정역회전시킴으로써, 가동틀(14)은, 도 7의 좌측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대기위치측으로부터 동일도면의 우측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절단위치(P)측에 대하여 진퇴구동할 수 있다.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틀(14)의 절단위치측 단부에는 부착기판(23)이 수평면에 대하여 45°의 경사각도로 부착 고정되고, 이 부착기판 (23)의 하면측에는, 피절단재(W)의 이송방향과 직교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레일(24, 24)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양 가이드레일(24, 24)에는 길이방향 중심부(O)를 끼고 그 양측에 한쌍의 브래킷(31, 32)이 슬라이딩 자유로이 부착되어, 양 브래킷(31, 32)에 잡아지지부재(11, 12)에 각각 볼트(25)로 부착고정되어 있다.
또, 부착기판(23)의 하면측에 배열설치된 양 가이드레일(24, 24) 사이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나선축(26)이 부착기판(23)과 평행상태로 회전자유로이 배열설치되고, 이 나선축(26)은, 그 길이방향 중심부를 끼고 그 양측이 서로 반대나사부(26a, 26b)를 형성하고 있다. 이 반대나사부(26a, 26b)에 너트(27, 28)가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나사박음되어 있고, 양 너트(27, 28)의 대향 끝부사이에는, 상기 양 브래킷(31, 32)의 일부를 이루는 걸음편(31a, 32a)이 돌입되어, 양 걸음편(31a, 32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의 대향방향으로는 , 그 이동이 규제되어 있지 않은데, 서로 반대로 이격되는 방향으로는, 각각 너트(27, 28)에 맞닿으므로써 그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양 브래킷(31, 32)에는, 잡아지지부재 개폐구동용 에어실린더(29)의 피스톤로드(29a)와 동일축 일체로 연결된 작동축(30)이 상기 나선축(26)과 평행하게 뻗도록 관통되어 있어, 이 작동축(30)의 선단부가 한쪽의 브래킷(31)에 고정되고, 에어실린더(29)의 실린더튜브(29b)가 다른 쪽 브래킷(3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나선축(26)의 일단부에는 회전조작용 손잡이(3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10에 있어서, 34는 작동축(30)을 소요의 회전위치에 로킹하기 위한 로크볼트, 35는 로크볼트(34)를 회전조작하는 핸들이다.
양 잡아지지부재(11, 12)를 개폐조작함에 있어서는, 먼저 피절단재(W)의 직경의 대소에 따라서 양 잡아지지부재(11, 12)의 개방한계위치를 설정한다. 즉, 회전조작용 손잡이(33)에 의해 작동축(30)을 정회전 역회전 어느 쪽인가로 회전하여, 양쪽 너트(27, 28)의 간격을 원하는대로 결정한다. 피절단재(W)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그 간격을 넓게 하고,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그 간격을 좁게 한다. 도 10에는 피절단재(W)의 직경이 큰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에어실린더(29)를 신축성 있게 작동시키면, 먼저, 피스톤로드(29a)와 연결되고 있는 브래킷(31)측의 잡아지지부재(11)가 피절단재(W)의 측면에 맞닿고, 그 직후에 실린더튜브(29b)와 연결되고 있는 브래킷(32)측의 잡아지지부재(12)가 피절단재(W)의 반대측면에 맞닿고, 양 잡아지지부재(11, 12)가 닫혀서 피절단재(W)의 양측면을 잡아서 지지한다. 이 때에, 양 브래킷(31, 32)의 걸음편(31a, 32a)은, 서로 대향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한계위치에 있는 양 너트(27, 28)의 대향 끝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와 같이 양 잡아지지부재(11, 12)가 닫혀서 피절단재(W)를 잡아서 지지한 상태로부터, 에어실린더(29)를 신장작동시키면, 양 잡아지지부재(11, 12)가 넓게 개방되어 피절단재(W)를 개방한다. 이 때, 양 브래킷(31, 32)의 걸음편(31a, 32a)이 개방한계위치에 있는 너트(27, 28)의 대향 끝면에 각각 맞닿아서, 그 이상 넓게 개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개폐구동수단(13)은, 에어실린더(29), 작동축(30), 양 브래킷(31, 32)에 의해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재(Wr)를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이송부족했든 길이분량(α)만큼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에 의해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 끌어내는 끌어내기조작에 있어서는, 가동틀(14)이 대기위치측으로부터 전진하여 전진한계위치에 정지한 후, 상기 개폐구동수단(13)의 폐쇄작동에 의해, 잡아지지부재(11, 12)가, 도 2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절단위치(P)로부터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으로 길이(n)만큼 돌출되어 있는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한다. 그리고, 잡아지지부재(11, 12)가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한 후, 가동틀진퇴 구동수단(16)의 작동에 의해 가동틀(14)이 전진한계위치로부터 길이(α)만큼 후퇴하여 일단 정지하고, 그 사이에 개폐구동수단(13)이 개방작동하여 잡아지지부재(11, 12)에 의한 잔재(Wr)의 잡아지지를 개방한다. 이 후, 가동틀(14)은, 가동틀진퇴 가동수단(16)의 작동에 의해 대기위치측으로 후퇴이동하여 후퇴한계위치에서 정지한다. 상기의 동작은, 도 1 내지 도4에 의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틀(14)이 대기위치측으로부터 전진하여 전진한계위치에 정지했을 때, 잡아지지부재(11, 12)의 선단부가,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요길이(μ) 돌입하고, 이 돌입된 위치에서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는데, 잔재(Wr')(도 4 참조)의 길이가 이송한계길이(Lmin)보다 짧아도, 절단길이(L)보다 충분히 긴 경우에는, 잡아지지부재(11, 12)가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소요길이 돌입한 위치에서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 잔재(Wr')를 잡아지지부재(11, 12)에 의해 절단위치 (P)로부터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으로 소요의 절단길이만큼 끌어내므로써, 소정의 절단을 더 행할 수 있어, 최종잔재의 길이를 한층 더 짧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입길이(μ)는, 예를 들면 10mm 정도로 된다.
또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는, 피절단재(W)(잔재(Wr))를 잡아서 지지할 때 주 바이스기구(1)의 고정바이스 (1a)에 닿지 않도록, 이들 고정바이스(1a) 및 기대(3)로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이격된 경사위치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관련하여, 이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를 수평방향으로 늘어서도록 배열설치된 경우는, 한쪽의 잡아지지부재 (11)가 주 바이스기구(1)의 고정바이스(1a)에 닿기 때문에, 양 잡아지지부재(11, 12)를 절단위치(P)측으로 근접시킬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잡아지지부재(11)가 고정바이스(1a)보다도 상방레벨에 위치하고, 다른 쪽 잡아지지부재(12)를 고정바이스(1a)보다도 하방레벨에 위치하도록 경사상태로 양 잡아지지부재(11, 12)를 배열설치하고 있다. 또, 이와 같은 배치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양 잡아지지부재(11, 12)를,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에 극력 가까운 위치에, 더욱이 그 절단위치(P)를 넘은 위치에도 용이하게 돌입시킬수 있어, 그것에 의해 잔재(Wr, Wr')의 길이가 짧아도 그 잔재(Wr,Wr')의 선단부를 확실히 잡아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잡아지지부재(11, 12)가 잔재(Wr)를 잡아서 지지할 때에는, 그 잔재 (Wr)를 주 바이스기구(1)의 고정바이스(1a)와 세로바이스(1d)에 의해 파지되고, 가동바이스(1b)는 후퇴시켜 놓을 수 있음과 동시에, 또 세로바이스(1d)는 절단위치 (P)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있으므로써, 잡아지지부재(12)가 가동바이스(1b)나 세로바이스(1d)에 닿는 일이 없다. 또 기대(3)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바이스(1b)측에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기대(3)가 잡아지지부재(12)의 장애물로 되는 일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에 의한 일련의 잔재끌어내기조작은,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측의 개폐구동수단(13) 및 가동틀진퇴 구동수단 (16)과, 절단기본체측의 주 바이스기구(1) 및 송재 바이스기구(4)의 쌍방에 관련하여, 그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고, 그 제어장치는마이크로컴퓨터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잔재(Wr)의 길이(Lr)와 송재 바이스기구에 의한 잔재의 이송한계길이(Lmin)의 차이가 피절단재의 절단길이(L)보다 짧게 되었을때 (L>Lr-Lmin)에는,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에 의해, 절단위치(P)의 앞측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소요위치, 또는 절단위치(P)를 넘은 소요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그 잔재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여 피절단재 이송방향으로 소요길이 α=L-(Lr-Lmin)만큼 끌어냄으로써, 당해 잔재를 더 일정치수로 절단할 수 있으므로, 피절단재의 잔재를 극력 짧게 할 수 있고, 1개의 피절단재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잔재(Wr')의 길이(Lr')가 송재 바이스기구의 이송한계길이(Lmin)보다 짧게 또한 절단길이(L)보다 충분히 긴 때(L<Lr'<Lmin)에는,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에 의해, 잔재(Wr')의 선단부를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입한 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잡아서 지지하여 피절단재 이송방향으로 절단길이(L)만큼 끌어내므로써, 피절단재의 잔재를 한층 더 짧게할 수 있고, 1개의 피절단재를 극히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가, 피절단재(W) 를 직경방향 양측으로부터 잡아서 지지하는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 및 양 잡아지지부재(11, 12)를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개폐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13)을 장비한 가동틀(14)과, 가동틀(14)을 절단위치(P)의 전방 소요위치로부터 절단위치(P)측에 대하여 진퇴구동하는 가동틀진퇴 가동수단(16)을 구비하고, 가동틀(14)이 절단위치(P)의 앞측까지 전진하여, 양 잡아지지부재(11, 12)가 절단위치(P)의 앞 소요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소요위치, 또는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입한 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잔재(Wr,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기재된 절단기를 유효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4 또는 5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의 한쌍의 잡아지지부재를, 고정바이스로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이격된 경사위치에 대향배치되어 있으므로, 양 잡아지지부재를, 절단위치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에 극력 가까운 위치, 더욱이 그 절단위치를 넘은 위치에도 용이하게 돌입시킬 수 있어, 그것에 의해 잔재가 짧아도 그 잔재의 선단부를 확실히 잡아서 지지할 수 있다.

Claims (5)

  1. 톱날(2)에 의한 절단위치(P)의 전후에서 피절단재(W)를 파지하는 주 바이스기구(1)와, 피절단재(W)를 파지하여 이것을 절단위치(P)의 방향으로 이송하는 송재 바이스기구(4)를 구비하고, 이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피절단재(W)를 미리 설정된 절단길이(L)씩 이송하여 절단을 행하는 절단기에 있어서,
    피절단재(W)의 잔재(Wr)의 길이(Lr)와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한 잔재(Wr)의 이송한계길이(Lmin)의 차이가 피절단재(W)의 절단길이(L)보다 짧게 되었을때 (L>Lr-Lmin), 절단위치(P)의 앞측 소요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소요위치, 또는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입한 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당해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여 피절단재 이송방향으로 소요길이α=L-(Lr-Lmin)만큼 끌어내도록 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2. 톱날(2)에 의한 절단위치(P)의 전후에서 피절단재(W)를 파지하는 주 바이스기구(1)와, 피절단재(W)를 파지하여 이것을 절단위치(P)의 방향으로 이송하는 송재 바이스기구(4)를 구비하고, 이 송재 바이스기구(4)에 의해 피절단재(W)를 미리 설정된 절단길이(L)씩 이송하여 연속적으로 절단을 행하는 절단기에 있어서,
    피절단재(W)의 잔재(Wr')의 길이(Lr')가 송재 바이스기구(4)의 이송한계길이 (Lmin)보다 짧고 또한 절단길이(L)보다 충분히 긴 때(L<Lr'<Lmin),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입한 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당해 잔재(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여 피절단재 이송방향으로 절단길이(L)만큼 끌어내도록 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는, 피절단재(W)를 직경방향 양 측으로부터 잡아서 지지하는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 및 양 잡아지지부재(11, 12)를 피절단재(W)를 잡아서 지지하는 폐쇄위치와 그것을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개폐구동하는 개폐구동수단(13)을 장비한 가동틀(14)과, 이 가동틀 (14)을 절단위치의 전방 소요위치로부터 절단위치(P)측에 대하여 진퇴구동하는 가동틀 진퇴 가동수단(16)으로 이루어지며, 가동틀(14)이 절단위치(P)의 앞측까지 전진하고, 양 잡아지지부재(11, 12)가 절단위치(P)의 앞측 소요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소요위치, 또는 절단위치(P)의 피절단재 이송방향 전방측으로부터 절단위치(P)를 넘어서 피절단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입한 위치 즉, 절단위치(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송재 바이스기구(4)가 위치하는 측에서 잔재(Wr, Wr')의 선단부를 잡아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4. 제 2 항에 있어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는, 잔재(Wr, Wr')를 잡아서 지지할 때 주 바이스기구(1)의 고정바이스(1a)에 닿지않도록, 고정바이스(1a)로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이격된 경사위치에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5. 제 3 항에 있어서, 피절단재 끌어내기기구(10)의 한쌍의 잡아지지부재(11, 12)는, 잔재(Wr, Wr')를 잡아서 지지할 때 주 바이스기구(1)의 고정바이스(1a)에 닿지않도록, 고정바이스(1a)로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이격된 경사위치에 대향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
KR10-2000-0030240A 2000-04-17 2000-06-02 절단기 KR100385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5541A JP2001293615A (ja) 2000-04-17 2000-04-17 切断機
JP2000-115541 2000-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21A KR20010096421A (ko) 2001-11-07
KR100385872B1 true KR100385872B1 (ko) 2003-06-02

Family

ID=1862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240A KR100385872B1 (ko) 2000-04-17 2000-06-02 절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60440B1 (ko)
JP (1) JP2001293615A (ko)
KR (1) KR100385872B1 (ko)
DE (1) DE10031216A1 (ko)
IT (1) IT1317813B1 (ko)
TW (1) TW5006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006B1 (ko) 2009-06-03 2009-12-10 우영산업(주) 절삭기계용 잔재 절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0262C2 (de) * 2000-01-06 2002-08-29 Schmale Holding Gmbh & Co Vorrichtung zum Transport eines flächigen Warenstückes
DE10201368C1 (de) * 2002-01-16 2003-05-28 Fischer Maschf Karl E Schere zum Schneiden von Bandmaterial
US7055419B2 (en) * 2003-01-10 2006-06-06 Formax,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lices from slicing apparatus
PL210469B1 (pl) * 2003-03-19 2012-01-31 Schmale Holding Gmbh & Co Urządzenie do transportu odcinka towaru
US20060288832A1 (en) * 2003-04-09 2006-12-28 Glenn Sandberg System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lices from slicing apparatus
US20070214924A1 (en) * 2006-03-16 2007-09-20 Jourdan James K Material puller assembly
US7950316B2 (en) * 2005-06-28 2011-05-31 Mitek Holdings, Inc. Automated system for precision cutting short pieces of lumber
TWI309185B (en) * 2007-01-03 2009-05-01 Iner Aec Executive Yuan Tube cut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ITMI20071768A1 (it) * 2007-09-14 2009-03-15 Ficep Spa Macchina utensile per il taglio o la foratura di profilati
US8342374B2 (en) * 2009-02-11 2013-01-01 Insight Promotions, Llc Fragile premium separator
JP4563507B1 (ja) * 2010-02-10 2010-10-13 西島株式会社 丸鋸切断機
JP5389732B2 (ja) * 2010-05-20 2014-01-15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棒材切断機
CN102962717A (zh) * 2012-11-29 2013-03-13 张家港金凯达机械有限公司 圆锯切断机专用夹钳
CN103639516B (zh) * 2013-11-15 2016-03-02 四川银河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板材豁口自动加工装置
US10369719B1 (en) * 2018-03-19 2019-08-06 Cleveland Whiskey Llc Apparatus for cutting workpieces
CN113291771A (zh) * 2020-02-24 2021-08-24 重庆欣天利智能重工有限公司 一种棒料的上料输料机构
CN112974973A (zh) * 2021-02-09 2021-06-18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角钢裁剪控制方法以及装置
CN114230162B (zh) * 2021-11-10 2023-10-31 蚌埠高华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lcd实时线性动态切割辅助定位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7240A (en) * 1958-08-15 1962-10-09 Wallace Supplies Mfg Company Cut-off machine work clamp
US3686990A (en) * 1970-03-05 1972-08-29 Geometron Co Inc Cutting elongated stock
US3692219A (en) * 1970-10-22 1972-09-19 Burr Oak Tool & Gauge Method of cutting an elongated tube and apparatus
DE2460168B2 (de) * 1974-12-19 1976-12-09 Th. Kieserling & Albrecht, 5650 Solingen Spann- und auszugseinrichtung fuer schaelmaschinen, ziehbaenke und dergleichen bearbeitungsmaschinen
US4205569A (en) * 1977-11-10 1980-06-03 The Vulcan Tool Company Tube cutting apparatus
DE2816497C2 (de) * 1978-04-15 1983-10-27 Keuro Maschinenbau Gmbh & Co Kg, 7590 Achern Vorrichtung zum Vorschub stangenförmigen Werkstückmaterials bei einer Trennmaschine
DE3304612A1 (de) * 1983-02-10 1984-08-16 Bizerba-Werke Wilhelm Kraut GmbH & Co KG, 7460 Balingen Vorrichtung zum halten und zufuehren des schneidgutes an einer aufschnitt-schneidemaschine
DE3633691C1 (de) * 1986-10-03 1987-07-23 Keuro Maschb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orschub stangenfoermigen Werkstueckmaterials bei einer Trennmaschine
US4785699A (en) * 1986-12-22 1988-11-22 Ford Motor Company Windshield wiper blade slitting device
DE3916143C5 (de) * 1988-05-20 2008-09-18 Amada Co., Ltd., Isehara Schneidmaschine und Verfahren zum Anordnen eines Werkstückes in dieser
DE3927530A1 (de) * 1989-08-21 1991-03-14 Keuro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stangenfoermigen werkstueckmaterials bei einer kaltkreissaege
DE4110526C2 (de) * 1991-03-30 1995-04-27 Bizerba Werke Kraut Kg Wilh Aufschnittschneidemaschine
US5239905A (en) * 1992-10-19 1993-08-31 Dunn Gail E Miter table molding position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006B1 (ko) 2009-06-03 2009-12-10 우영산업(주) 절삭기계용 잔재 절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21A (ko) 2001-11-07
US6460440B1 (en) 2002-10-08
TW500646B (en) 2002-09-01
ITMI20001308A0 (it) 2000-06-12
ITMI20001308A1 (it) 2001-12-12
IT1317813B1 (it) 2003-07-15
DE10031216A1 (de) 2001-10-25
JP2001293615A (ja)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872B1 (ko) 절단기
US6178615B1 (en) Method for sequentially feeding and automatically machining long length articles
KR20120114144A (ko) 둥근톱 절단기
US62959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utting and ejecting a tubular workpiece
US11633822B2 (en) Fastening device
KR20150072664A (ko) 판재 절단장치
JP2019198927A (ja) ワーク搬送機構付き工作機械
EP3456444B1 (en) Apparatus for feeding bars
US4455726A (en) Chamfering apparatus for end faces of tubular members
JP2000288851A (ja) 穿孔・切断加工機および穿孔・切断加工方法
JPH0741465B2 (ja) 切断機械の棒状工作物材料送り装置
US4958543A (en) Overhead loader and related mechanisms for high speed automatic lathes and the like
CN109702067B (zh) 一种管件旋压方法及结构改进的旋压机
KR100964745B1 (ko) 인발가공시스템의 가공소재 이송장치
KR100416909B1 (ko) 목재 가공용 전동톱
US4727783A (en) Flying cutoff apparatus
JP2000153425A (ja) 2主軸対向旋盤のワーク排出装置
CN109986357B (zh) 一种短管无屑开料机
CN110788629A (zh) 金属储器自动化生产设备及工艺方法
KR100199149B1 (ko) 금속관 자동 절단장치
CN220862860U (zh) 一种可自动推出余料的切管机构
CN214263910U (zh) 一种车切一体机的自动上料机构
CN217703611U (zh) 一种胶管切割机
CN219151731U (zh) 一种无缝钢管加工用锯床
CN220636826U (zh) 一种门锁加工用门锁把手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