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258B1 - 합류분류기 - Google Patents

합류분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258B1
KR100378258B1 KR10-2000-7012566A KR20007012566A KR100378258B1 KR 100378258 B1 KR100378258 B1 KR 100378258B1 KR 20007012566 A KR20007012566 A KR 20007012566A KR 100378258 B1 KR100378258 B1 KR 100378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nfluence
engine
inle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006A (ko
Inventor
준이치로 다나카
마사아키 기타자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8Evaporators having distribu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25B41/42Arrangements for diverging or converging flows, e.g. branch lines or j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0/00Heat exchange conduits
    • F28F2210/02Heat exchange conduits with particular branching, e.g. fractal conduit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38Non-valved flow divi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249Multiple inlet with multiple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2개의 냉매류를 합류하기 위하여 입구부(5)에 위치한 2개의 입구(31)(32)로부터 합류부(6)로 이동하고, 2개의 냉매류의 편류가 합류부(6)에서의 합류에 의해 해소되고, 합류부(6)에서의 합류에 의해 편류가 제거된 냉매류가 출구부(7)에 위치한 3개의 출구(33)(35)(36)에서 유출함으로써, 2개의 냉매류가 편류를 해소하기 위하여 합류된 후 다시 3개의 출구(33)(35)(36)에서 유출함에 따라 2개의 냉매류가 유출될 수 있는 합류분류기.

Description

합류분류기{FLOW MERGING AND DIVIDING DEVICE}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열교환기로는 증발시에 냉매가 유입되는 분류기(101)와, 증발시에 냉매가 유출되는 합류기(102)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 열교환기에서, 증발시에 분류기(101)로부터 유입된 냉매는 2개의 패스(103)(105)로 분류되고, 냉매는 각각의 패스(103)(105)에서 증발된다. 그리고 나서, 합류기(102)에서 패스(103)(105)로부터의 2개의 냉매류(106)(107)가 합류되어 냉매배관(108)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분류기(101)는 응축시에는 냉매를 합류시키는 합류기로서 기능을 하고, 상기 합류기(102)는 응축시에는 냉매를 분류시키는 분류기로서 기능을 한다.
도 7은 열교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열교환기는 증발시에 냉매가 유입되는 3방 분기관(201)과, 증발시에 냉매가 유출되는 합류기(202)를 구비한다. 이 열교환기에서, 증발시에 3방 분기관(201)으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2개의 패스(203)(205)로 분류되고, 냉매는 각각의 패스(203)(205)에서 증발된다. 그리고나서, 2개의 냉매류(206)(207)는 합류기(202)에서 합류되어 냉매배관(208)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3방 분기관(201)은 응축시에는 냉매를 합류시키는 합류기로서 기능을 하고, 상기 합류기(202)는 응축시에는 냉매를 분류시키는 분류기로서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냉매류를 합류시켜서 분류시키는 합류분류기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합류분류기의 축방향의 한 끝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제1실시형태의 반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제1실시형태의 다른 끝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d는 제1실시형태에 기관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합류분류기의 축방향의 한 끝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제2실시형태의 반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제2실시형태의 다른 끝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d는 제2실시형태의 기관접속부재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e는 제2실시형태에 기관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다;
도 3b는 열교환기의 합류분류기를 나타내는 끝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합류분류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b는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c는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열교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또 다른 열교환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종래 열교환기의 2가지 예에서, 열교환효율은 복수의 냉매로(많은 패스)를 제공함으로써 개선된다. 그러나 냉매가 열부하에 따라서 복수의 패스에 적절하게 분배되지 않는다면, 냉매편류가 일어나서 특히 기액 2상류에서 증발능력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냉매편류는 냉매가 공기측 열부하에 따라서 각 패스에 분배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즉, 증발시에 액체냉매 또는 응축시에 기체냉매의 분배비율은 공기측 열부하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냉매가 열부하에 따라서 각 패스에 적절하게 분배된 경우에도, 분류 전의 냉매유속이 변한다면 냉매는 적절하게 분배되지 못한다. 이것은 유속의 변화가 냉매의 분배상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리피스(orifice)를 설치해서 유속을 빠르게 하여 분배상태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손실이 증가하고 냉매충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것의 열교환능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냉매유로에 항상 냉매를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는 합류분류기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냉매유로로 유입되는 냉매를 합류한 후 냉매를 다른 복수의 냉매유로로 분류하는 합류분류수단을 가지는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이 열교환기는 복수의 냉매유로로 유입되는 냉매류를 합류한 다음 다른 복수의 냉매유로로 분류하는 합류분류수단을 가진다. 따라서, 냉매편류가 분류합류수단에 의해 해소된 후 냉매가 다른 복수의 냉매유로에 항상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열교환기의 열교환능력이 최대화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입구를 가지는 입구부; 다수의 입구로부터의 다수의 냉매류가 합류되는 합류부; 및 냉매가 합류부로 유입되는 다수의 출구를 가지는 출구부를 포함하는 합류분류기가 제공된다.
이 합류분류기에서, 복수의 냉매류는 합류되기 위하여 입구부의 복수의 입구로부터 합류부로 유입된다. 복수의 냉매류의 편류는 합류부에서의 이러한 합류에 의해 해소된다. 그런 다음, 편류를 해소하기 위하여 합류부에서 합류된 냉매류는 출구부의 복수의 출구로부터 유출된다. 즉, 이 합류분류기에 따르면, 복수의 냉매류가 합류되어 편류가 해소된 후, 냉매는 다시 복수의 냉매류로서 복수의 출구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합류분류기를 사용함으로써 열교환기의 능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냉매는 항상 복수의 패스에 적절하게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와 출구는 서로 대향하지 않는다.
이 합류분류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와 출구는 서로 대향하고 있지 않기때문에, 입구로부터 편류된 냉매가 그대로 합류부를 통과하여 편류로서 출구로부터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복수의 냉매류는 합류부에서 확실하게 합류될 수 있고, 냉매류의 편류는 확실하게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합류분류기는 복수의 입구로부터의 복수의 냉매류를 원활하게 합류시키는 합류부와, 상기 합류부로부터 복수의 출구를 향해 냉매를 원활하게 분류시키는 분류기를 더 포함한다.
이 합류분류기에서, 합류로는 복수의 입구로부터의 복수의 냉매류를 원활하게 합류시켜서 합류부로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분류로는 합류부로부터의 냉매를 복수의 출구를 향해서 원활하게 분류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 합류분류기에 따르면, 냉매의 편류가 어떤 압력손실을 일으키지 않고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의 능력은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냉매유로가 합류분류기의 복수의 입구에 연결되고 다른 복수의 냉매유로가 합류분류기의 복수의 출구에 연결되는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이 열교환기에서, 복수의 냉매류는 복수의 냉매유로로부터 합류분류기로 유입되고 편류는 이 합류분류기에 의해 해소된다. 따라서, 냉매는 이 합류분류기로부터 다른 복수의 냉매유로로 항상 적절하게 분배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열교환능력이 최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류분류기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합류분류기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합류분류기는 축방향의 대략 중앙부가 약간 잘록한 동으로 만들어진 통형상의 외파이프(1)의 양 축방향 끝단부(1A)(1B)에 기관접속부재(2)(3)가 끼워져서 구성된다. 외파이프(1)의 끝단부(1A)와 기관접속부재(2)가 입구부(5)를 구성한다. 외파이프(1)의 중앙부(1C)가 합류부(6)를 구성한다. 외파이프(1)의 끝단부(1B)가 출구부(7)를 구성한다. 외파이프(1)의 중앙부(1C)로부터 끝단부(1A)(1B)로 넓어지는 부분(1D)(1E)이 합류로(22)와 분류로(23)를 구성하고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관접속부재(2)는 2개의 축방향 관통홈(8)(10)을 가진다. 이 2개의 관통홈(8)(10)은 원주방향으로 180°만큼 서로 떨어져서 배치된다. 이 관통홈(8)(10)이 2개의 입구를 구성한다. 기관접속부재(2)는 2개의 관통홈(8)(10)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90°만큼 떨어져서 배치된 외주면의 2곳(11)(12)에서 외파이프(1)의 끝단부(1A)의 외주를 리벳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외파이프(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관접속부재(3)는 3개의 축방향 관통홈(15)(16)(17)을 가진다. 이 3개의 축방향 관통홈(15)(16)(17)은 원주방향으로 120°만큼 서로 떨어져서 배치된다. 관통홈(15)(16)(17)이 3개의 출구를 구성한다. 기관접속부재(3)는 3개의 관통홈(15)(16)(17)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60°만큼 떨어진 외주면의 3곳(20)(21)(22)에서 외파이프(1)의 끝단부(1B)의 외주를 리벳으로 고정함으로써 외파이프(1)에 고정되어 있다. 도 1a와 도 1c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입구부(5)의 관통홈(8)(10)은 출구부(7)의 관통홈(15)(16)(17)과 대향하고 있지 않고, 그들의 위치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관(25)은 입구부(5)의 기관접속부재(2)의 관통홈(10)에 냉매배관으로서 끼워진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기관(25)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다른 기관이 다른 관통홈(8)에 끼워진다. 한편, 기관(26)(27)은 출구부(7)의 기관접속부재(3)의 관통홈(15)(17)에 냉매배관으로서 끼워진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관(26)(27)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다른 기관이 냉매배관으로서 다른 관통홈(16)에 끼워진다.
상기 구성의 합류분류기에서는, 2개의 냉매류는 입구부(5)의 2개의 입구(31)(32)로부터 합류부(6)로 유입되어 합류한다. 합류부(6)에서의 이러한 합류에 의해서 2개의 냉매류의 편류가 해소된다. 그리고 합류부(6)에서 편류를 해소하기 위하여 합류된 냉매류는 출구부(7)의 3개의 출구(33)(35)(36)에서 유출된다. 즉, 이 합류분류기에 의하면, 2개의 냉매류가 합류되어 편류가 해소된 후 다시 편류가 없는 3개의 냉매류로서 3개의 출구(33)(35)(36)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합류분류기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패스에 항상 적절하게 냉매를 분배할 수 있는 열교환능력이 큰 열교환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합류분류기에서는 2개의 입구(31)(32)가 3개의 출구(33)(35)(36)와 대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입구(31)(32)로부터 편류된 냉매류가 편류로 합류부(6)를 통과해서 출구(33)(35)(36)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2개의 냉매류는 합류부(6)에서 확실하게 합류되고 냉매류의 편류가 확실하게 해소될수 있다.
또한 이 합류분류기에서는, 합류로(22)는 2개의 입구(31)(32)로부터의 2개의 냉매류를 원활하게 합류시켜서 합류부(6)로 안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분류로(23)는 합류부(6)로부터의 냉매를 3개의 출구(33)(35)(36)를 향해서 원활하게 분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합류분류기에 의하면, 압력손실을 초래하지 않고 냉매의 편류가 방지될 수 있어서 열교환기의 능력이 한층 향상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합류분류기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2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낸 제1실시형태와 다음 (ⅰ)의 점만큼 다르다.
(ⅰ) 도 2b, 2d 및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관접속부재(2)의 축방향의 끝단면(2A)의 대략 중앙부에 원추형상의 돌기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관접속부재(3)의 축방향의 끝단면(3A)의 대략 중앙부에 원추형상의 돌기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41)(42)의 축방향길이는 합류로(22) 및 분류로(23)의 축방향길이보다도 작다.
이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돌기부(41)의 테이퍼면(41A)과 끝단으로 넓어지는 부분(1D)의 테이퍼면(1D-1)이 합류로(43)를 구성한다. 돌기부(42)의 테이퍼면(42A)과 끝단으로 넓어지는 부분(1E)의 테이퍼면(1E-1)이 분류로(45)를 구성한다. 도 1d와 도 2e의 비교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제2실시형태의 합류로(43)에 의하면, 테이퍼면(41A)은 제1실시형태의 합류로(22)보다 원활하게 유입냉매류를 합류하는데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분류로(45)에 의하면, 테이퍼면(42A)은 제1실시형태의 분류로(23)보다 원활하게 합류냉매를 분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실시형태와 비교해 압력손실이 더 감소될 수 있고 더 효율적인 열교환기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형태에서는, 기관(25)(26)(27)이 기관접속부재(2)(3)에 삽입되어 납땜결합된다. 그러나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구멍(302A)과 2개의 구멍(303A)이 통부재(301)의 양 축방향 끝단의 끝벽(302)(303)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끝벽(302)의 3개의 구멍(302A)에 연통하는 3개의 기관(305)은 끝벽(302)에 용접될 수 있고, 끝벽(303)의 2개의 구멍(303A)에 연통하는 2개의 기관(306)은 끝벽(303)에 용접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류기(311)(312)는 합류분류기(313)를 구성하기 위하여 접속관(310)의 양 끝단에 접속될 수 있다. 분류기(311)(312)는 대경부(311A)(312A)와 소경부(311B)(312B)를 가진다. 대경부(311A)(312A)와 소경부(311B)(312B)는 완만하게 접속되어 있다. 2개의 기관(315)(316)은 대경부(311A)의 끝단면(313)에 접속되어 연통된다. 다른 2개의 기관(317)(318)은 대경부(312A)의 끝단면(315)에 접속되어 연통된다. 이 합류분류기(313)에서, 2개의 분류기(311)(312) 및 접속관(310)이 합류부를 구성하고 있고, 분류기(311)(312)의 끝단면(313)(315)이 각각 입구부 및 출구부를 구성하고 있다. 끝단면(313)의 연통공(313A)(313B)이 입구를 구성하고, 끝단면(315)의 연통공(315A)(315B)이 출구를 구성하고 있다. 연통공(313A)(313B)은 연통공(315A)(315B)과 대향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관(321)(322)은 합류분류기(323)를 구성하기 위하여 접속관(320)의 양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분기관(321)(322)은 각각 2개의 분기, 즉 분기부(324)(325)와 분기부(326)(327)를 가지고 있다. 기관(328)(330)은 분기부(324)(325)에 접속되고, 기관(331)(332)은 분기부(326)(327)에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의 합류분류기(323)에서, 분기관(321)(322)의 기부(321A)(322A) 및 접속관(320)은 합류부를 구성하고 있다. 분기관(321)의 분기부(324)(325)는 입구부를 구성하고, 분기관(322)의 분기부(326)(327)가 출구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합류분류기에서는 입구 또는 출구가 3개 이하이지만,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제3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열교환기의 측면을 나타낸다. 이 열교환기는 제1실시형태의 합류분류기에서의 기관접속부재(3) 대신 기관접속부재(2)와 동일한 구조의 기관접속부재(54)(도 3b 참조)를 사용한 합류분류기(50)를 사용하고 있다. 이 기관접속부재(54)의 2개의 관통홈(65)(66)은 기관접속부재(2)의 2개의 관통홈(8)(10)과 원주방향으로 90°떨어져 배치된다.
이 열교환기에서, 예각으로 구부러진 다수의 핀판(51)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틈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냉매관(52)은 복수의 핀판(51)을 가로질러서 통과한다.
또한 이 열교환기는 분류기(53)를 가진다. 이 분류기(53)는 기관(57)으로제1냉매유로(55)의 한쪽 입구(55A)와 제2냉매유로(56)의 한쪽 입구(56A)에 접속되어 있다. 제1냉매유로(55)는 핀판(51)의 긴 절곡부(64)의 외주측을 따라서 자수와 같이 복수의 핀판(51)을 관통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제1냉매유로(55)의 다른 입구(55B)는 기관(60)으로 합류분류기(50)의 입구부(59)의 한쪽 입구(65)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냉매유로(56)는 핀판(51)의 짧은 절곡부(67)의 외주측을 따라서 연장되고, 그 선단부(67A)에서 턴해서 내주측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 제2냉매유로(56)의 다른 입구(56B)는 기관(68)으로 합류분류기(50)의 입구부(59)의 다른 입구(66)에 접속되어 있다. 이 합류분류기(50)는 핀판(51)의 긴 절곡부(64)와 짧은 절곡부(67)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합류분류기(50)의 출구부(70)는 관통홈(8)(10)에 의해 구성되는 2개의 출구(71)(72)를 가지고 있다. 출구(71)가 기관(73)을 경유해서 제3냉매유로(75)의 한쪽 입구(75A)에 접속되어 있다. 제3냉매유로(75)는 절곡부(64)의 내주측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절곡부(64)의 중앙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 다른 입구(75B)가 기관(76)으로 분기관(77)의 한쪽 입구(77A)에 접속되어 있다.
합류분류기(50)의 다른 출구(72)는 기관(78)을 경유하여 제4냉매유로(80)의 한쪽 입구(80A)에 접속되어 있다. 제4냉매유로(80)는 절곡부(56)의 하단부근에서 턴한 후 내주측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절곡부(64)의 중앙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 다른 입구(80B)는 기관(81)으로 분기관(77)의 다른 입구(77B)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 의하면, 증발시에는 분류기(53)로부터의 한쪽 냉매류가 제1냉매유로(55), 기관(60) 및 합류분류기(50)의 관통홈(입구)(65)으로 흐른다. 분류기(53)로부터의 다른 냉매류는 제2냉매유로(56), 기관(68) 및 합류분류기(50)의 관통홈(입구)(66)으로 흐른다. 이 2개의 냉매류는 합류분류기(50)의 합류부(6)에서 합류해서 편류가 해소된다. 다음으로 합류부(6)의 냉매는 출구부(70)의 출구(71)(72)로부터 기관(73)(78)을 경유해서, 제3냉매유로(75) 및 제4냉매유로(80)를 통과한다. 그 다음에 냉매는 기관(76)(81)을 경유해서 분기관(77)의 입구(77A)(77B)로 유입된다.
한편 응축시에는, 분기관(77)의 한쪽 입구(77A)로부터의 냉매류가 기관(76), 제3냉매유로(75) 및 기관(73)을 통과해서 출구부(70)의 출구(71)로 유입된다. 분기관(77)의 다른 입구(77B)로부터의 냉매류가 기관(81), 제4냉매유로(80) 및 기관(78)을 통과해서 출구부(70)의 출구(72)로 유입된다. 이들 2개의 냉매류는 합류분류기(50)의 합류부(6)에서 합류해서 편류가 해소된다. 다음으로 합류부(6)의 냉매는 입구부(59)의 관통홈(65)(66)으로부터 유입되어, 기관(60)(68)을 통과한 후, 제1 및 제2냉매유로(55)(56)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열교환기에 의하면, 제1 및 제2냉매유로(55)(56)와 제3 및 제4냉매유로(75)(80) 사이에 설치된 합류분류기(50)에 의해서 제1 및 제2냉매유로(55)(56) 또는 제3 및 제4냉매유로(75)(80)로부터의 냉매의 편류가 해소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는 제3 및 제4냉매유로(75)(80) 또는 제1 및 제2냉매유로(55)(56)에 항상 적절하게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능력이 최대화될 수 있다.
(제4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열교환기의 측면을 나타낸다. 이 열교환기는 제3실시형태에서 구비된 합류분류기(50)를 사용한다. 또한 이 열교환기는 제3실시형태에서 구비된 핀판(51)을 구비한다. 냉매관(90)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핀판(51)을 관통하고 있다.
이 열교환기에서, 한쪽 입구배관(91)은 분기 전의 냉매관(90)의 한쪽 입구(90A)에 접속되어 있다. 이 냉매관(90)의 다른 입구(90B)는 3방 분기관(92)의 제1입구(92A)에 접속되어 있다. 3방 분기관(92)의 제2입구(92B)는 제1냉매유로(93)의 한쪽 입구(93A)에 접속되어 있고, 제3입구(92C)는 제2냉매유로(95)의 한쪽 입구(95A)에 접속되어 있다.
제1냉매유로(93)는 핀판(51)의 긴 절곡부(64)를 따라 자수와 같이 복수의 핀판(51)을 관통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이 제1냉매유로(93)의 다른 입구(93B)는 기관(60)으로 합류분류기(50)의 입구부(59)의 한쪽 관통홈(65)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2냉매유로(95)는 핀판(51)의 긴 절곡부(64)의 상단부로부터 핀판(51)의 짧은 절곡부(67)의 상단으로 연장되고, 이 절곡부(67)의 외주측을 따라 더 연장되어 있다. 짧은 절곡부(67)의 하단 부근에 위치한 이 제2냉매유로(95)의 다른 입구(95B)는 기관(96)으로 합류분류기(50)의 입구부(59)의 다른 관통홈(66)에 접속되어 있다.
합류분류기(50)의 출구부(70)는 관통홈(8)(10)에 의해 구성되는 2개의 출구를 가진다. 관통홈(8)에 의해 구성되는 출구는 기관(78)을 경유해서 제3냉매유로(80)의 한쪽 입구(80A)에 접속되어 있다. 제3냉매유로(80)는 절곡부(64)의 내주측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절곡부(64)의 중앙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한 다른 입구(80B)는 기관(81)으로 분기관(77)의 다른 입구(77B)에 접속되어 있다.
합류분류기(50)의 다른 출구(71)는 기관(97)을 경유하여 제4냉매유로(98)의 한쪽 입구(98A)에 접속되어 있다. 제4냉매유로(98)는 절곡부(67)의 상단부근에서 통로배관(99)에 의해 절곡부(64)의 중앙부근의 냉매관(90)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입구(98B)는 기관(100)으로 분기관(77)의 입구(77A)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교환기에 의하면, 증발시에는 제1냉매유로(93)와 제2냉매유로(95)로 분류된 냉매류가 합류분류기(50)에서 합류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합류에 의해 편류가 해소된 냉매류는 제3냉매유로(80)와 제4냉매유로(98)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응축시에는, 제3냉매유로(80)와 제4냉매유로(98)로 분류된 냉매류가 합류분류기(50)에서 합류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 합류에 의해 편류가 해소된 냉매류는 제1냉매유로(93)와 제2냉매유로(95)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합류분류기(50)에 의해 제1 및 제2냉매유로(93)(95) 또는 제3 및 제4냉매유로(80)(98)로부터의 냉매의 편류가 해소될 수 있다. 따라서 냉매가 제3 및 제4냉매유로(80)(98) 또는 제1 및 제2냉매유로(93)(95)에 항상 적절하게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능력이 최대화될 수 있다.
실내장치의 열교환기가 제3 및 제4실시형태에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옥외장치의 열교환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냉매유로를 가지는 열교환기에 적용될 수 있고 열교환능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냉매유로에 냉매를 항상 적절하게 분배하는데 유용하다.

Claims (12)

  1. 제1 끝단부와 제2 끝단부를 포함하는 외파이프와;
    복수의 입구를 가지고, 기관접속부재에 연결된 제1 기관과 상기 제1 끝단부로 구성된 입구부와;
    상기 복수의 입구로부터 복수의 냉매류를 합류하는 합류부와;
    복수의 출구를 가지고, 기관접속부재에 연결된 제2 기관과 상기 제2 끝단부로 구성되며,상기 냉매류가 상기 합류부에서 유출되고 또한 출구부로 유입되는 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구와 출구는 서로 대향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접속부재에 연결된 제1 기관은 두개의 축 방향 관통홈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들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180도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들은 두 개의 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6. 제1 항에 있어서,
    기관접속부재에 연결된 제2 기관은 세 개의 관통홈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들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120도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들은 세 개의 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9. 제1 항에 있어서,
    기관접속부재에 연결된 제1, 제2 기관은 외파이프의 외주면을 리벳팅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끝단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구로부터 복수의 냉매류를 부드럽게 합류하는 합류로와;
    상기 합류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출구를 향해 냉매류를 부드럽게 분류하는 분류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로는 기관접속부재에 연결된 제1 기관의 중심부에 근접하여 형성되고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로는 기관접속부재에 연결된 제2 기관의 중앙부에 근접하여 형성되고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류분류기.
KR10-2000-7012566A 1998-05-29 1999-05-18 합류분류기 KR100378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48949 1998-05-29
JP14894998 1998-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006A KR20010025006A (ko) 2001-03-26
KR100378258B1 true KR100378258B1 (ko) 2003-03-29

Family

ID=1546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566A KR100378258B1 (ko) 1998-05-29 1999-05-18 합류분류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63967B1 (ko)
EP (1) EP1085280B1 (ko)
KR (1) KR100378258B1 (ko)
CN (1) CN100338417C (ko)
AT (1) ATE330190T1 (ko)
DE (1) DE69931914T2 (ko)
ES (1) ES2267265T3 (ko)
ID (1) ID27160A (ko)
PT (1) PT1085280E (ko)
WO (1) WO19990632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6609B2 (ja) 2005-08-08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製造方法
US7753074B2 (en) * 2006-07-28 2010-07-13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Mixing valve
US9999989B2 (en) 2010-12-30 2018-06-19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Slurry distributor with a profiling mechanism,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0076853B2 (en) 2010-12-30 2018-09-1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Slurry distributor,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RU2599399C2 (ru) 2010-12-30 2016-10-10 Юнайтед Стэйтс Джипсум Компан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суспензии,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х использования
CN103906608B (zh) 2010-12-30 2016-05-18 美国石膏公司 浆料分配系统和方法
US9296124B2 (en) 2010-12-30 2016-03-29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Slurry distributor with a wiping mechanism,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130264294A1 (en) * 2011-09-29 2013-10-10 James Andrew McDermott Building Air Conditioner Evaporator Condensation Management System
KR102081702B1 (ko) 2011-10-24 2020-02-26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집섬 컴파니 슬러리 분배 시스템용 유체 분할기
CA2851536C (en) * 2011-10-24 2020-03-10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ultiple-leg discharge boot for slurry distribution
US10293522B2 (en) 2011-10-24 2019-05-21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ulti-piece mold and method of making slurry distributor
CN103185339B (zh) * 2011-12-28 2016-08-03 株式会社能率 浓淡火焰燃烧器及燃烧装置
JP6076636B2 (ja) * 2012-07-17 2017-02-0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蒸発器構造
JP6086057B2 (ja) * 2013-11-29 2017-03-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熱交換器
US10059033B2 (en) 2014-02-18 2018-08-2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ementitious slurry mixing and dispensing system with pulser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same
WO2016002088A1 (ja) * 2014-07-04 2016-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媒分配器、及びその冷媒分配器を有する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6044830A (ja) * 2014-08-20 2016-04-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熱交換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US9878144B2 (en) * 2014-10-14 2018-01-30 Wilmarc Holdings, Llc Connector system
WO2017082321A1 (ja) * 2015-11-12 2017-05-1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16026180A (zh) * 2016-11-29 2023-04-28 广州华凌制冷设备有限公司 换热翅片、多折式换热器和空调器
CN107587869B (zh) * 2017-07-28 2021-03-19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产液剖面测井的井下实时气体分流器和系统
US10743462B2 (en) * 2019-01-11 2020-08-18 Cnh Industrial America Llc Flow splitter for distribut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related system
JP7137092B2 (ja) * 2021-01-22 2022-09-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63A (ja) * 1989-06-02 1991-01-16 Matsushita Refrig Co Ltd 蒸発器
JPH0722372U (ja) * 1993-09-30 1995-04-21 東洋ラジエーター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の冷媒混合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0162A (en) * 1962-02-12 1963-11-12 Carrier Corp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means
US3563055A (en) * 1969-03-17 1971-02-16 Sporlan Valve Co Refrrigerant distribvtor
US4126058A (en) * 1977-07-18 1978-11-21 Caterpillar Tractor Co. Fluid flow divider
JPS54132842A (en) * 1978-04-06 1979-10-16 Sanyo Electric Co Ltd Freezer
US4489721A (en) * 1982-12-30 1984-12-2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ouble lumen tube adaptor and valve system for medical anesthesia circuits
FI84844C (fi) * 1985-01-24 1996-03-29 Ahlstroem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foerdela och foerena stroemmar av hoegkonsistenta fibersuspensioner
US4982572A (en) * 1989-05-02 1991-01-08 810296 Ontario Inc. Vapor injection system for refrigeration units
US5203384A (en) * 1990-08-15 1993-04-20 Dresser Industries, Inc. Combination casting for a blending dispenser
US5250041A (en) * 1992-01-16 1993-10-05 Fresenius Usa, Inc. Tubing administration set for use in peritoneal dialysis
EP0723125B1 (en) * 1994-12-09 2001-10-2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Gas liquefying method and plant
JP3577813B2 (ja) * 1995-11-27 2004-10-20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自動車排気管用の継手装置
JPH10160288A (ja) * 1996-11-25 1998-06-19 Hitachi Ltd 冷媒分流装置
JP3410309B2 (ja) * 1996-12-04 2003-05-26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分流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863A (ja) * 1989-06-02 1991-01-16 Matsushita Refrig Co Ltd 蒸発器
JPH0722372U (ja) * 1993-09-30 1995-04-21 東洋ラジエーター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の冷媒混合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5280A4 (en) 2002-11-06
KR20010025006A (ko) 2001-03-26
PT1085280E (pt) 2006-09-29
DE69931914T2 (de) 2007-01-18
WO1999063285A1 (fr) 1999-12-09
CN1303471A (zh) 2001-07-11
EP1085280B1 (en) 2006-06-14
EP1085280A1 (en) 2001-03-21
ID27160A (id) 2001-03-08
ES2267265T3 (es) 2007-03-01
CN100338417C (zh) 2007-09-19
US6363967B1 (en) 2002-04-02
DE69931914D1 (de) 2006-07-27
ATE330190T1 (de) 200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258B1 (ko) 합류분류기
KR950014048B1 (ko) 열교환기
KR20040047614A (ko) 열교환기
US5966942A (en) Pulse tube refrigerator
JP2003506663A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JP2007529709A (ja) 熱交換器の交差リブ・プレート対
EP3348945B1 (en) Distributor, laminated heade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EP2998680B1 (en) Laminated header,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JPWO2019058540A1 (ja) 冷媒分配器、及び、空気調和装置
CN106885396B (zh) 入口整流结构和板式换热器
US20020152758A1 (en) Pulse tube integral flow smoother
US6442947B1 (en) Double inlet arrangement for pulse tube refrigerator with vortex heat exchanger
JP2021124226A (ja) マイクロチャネル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H05264126A (ja) 冷媒分流器
US4903763A (en) Finned tube evaporator with collector assembly for joining plural tube outlets to section line with minimum turbulence
US20080034787A1 (en) Refrigerant circuit system
JPWO2020217271A1 (ja) 冷媒分配器、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6963098B2 (ja) 熱交換器、熱交換モジュール、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H11325656A (ja) ヘッダー分流器
JP2004183955A (ja) 冷媒分流器
JP2000111205A (ja) 分配器及び空気調和機
JPH08159615A (ja) 冷凍サイクルの冷媒分流構造
JP3326930B2 (ja) 冷媒分流器
JP6667070B2 (ja) 冷媒分流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システム
JPH10206078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