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048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048B1
KR950014048B1 KR1019930006102A KR930006102A KR950014048B1 KR 950014048 B1 KR950014048 B1 KR 950014048B1 KR 1019930006102 A KR1019930006102 A KR 1019930006102A KR 930006102 A KR930006102 A KR 930006102A KR 950014048 B1 KR950014048 B1 KR 950014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flow path
heat exchanger
pip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309A (ko
Inventor
고우지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4000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shape of the heat exchangers or of parts thereof, e.g. of their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교환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가 배치되는 열교환기의 측면도.
제 2 도는 동실시예의 공기조화기 냉동사이클 구성도.
제 3 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열교환기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접힘부 11 : 핀
F : 앞줄측 12 : 열교환 파이프
13 : U밴드부 14 : 유로
17 : 유도도입부 18 : 제 1 분류로
19 : 제 2 분류로 19A : 유로 중간부
20 : 3방향 밴드부 22 : 유로 도출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에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거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매유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 형상으로 형성된 열교환기,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실내유니트에 구비하게 되었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호 협소한 간격을 가지로 병열된 다수장의 핀(fin)(1)과 이들핀(1)을 관통하는 열교환파이프(2)로 구성된다.
상기 핀(1)에는 미리 이 상하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접힘부(3)가 설치되어 있고 핀(1)에 열교환 파이프(2)를 관통고정하고 나서 상기 접힘부(3)를 경계로 핀(1)의 상하부를 동방향으로 힘을 가해 전체적으로 거의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유니트 본체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그 접힘부(3)의 핀 단부가 열교환공기가 들어오는쪽으로 거의 八형상으로 노출된다. 또한 종래 사용된 평판상에 직립한 열교환기와 비교해 실내유니트의 광체(筐體) 용적을 저감시키고 열교환기 자체의 열교환면적을 크게 만들 수 있다.
이들 핀(1)을 관통하는 열교환 파이프(2) 부분은 각각 수직상태이고 또한 핀(1)의 전열과 뒷열이 2열로 병열되어 있고 핀(1)의 양측끝에 상하로 인접하는 열교환 파이프(2) 끝부분의 상호가 U밴드부(4)로 연통된다.
도면에 있어서 실선부분은 핀(1)의 한쪽끝에 있어서 바로 앞으로 돌출되어 구부러진 U밴드부(4)이고 파선부분은 핀(1)의 다른쪽끝에 있어서 종이뒷면측으로 돌출되어 구부러진 U밴드부(4)이다.
앞줄측과 뒷줄측의 각각 열교환 파이프(2) 상하단부 상호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U밴드부(4)에 연통된다.
상부측핀(1a)에 있어서 상하방향의 거의 중간 부분에 또는 도면중 화살표 M으로 나타낸 열교환공기가 들어오는 쪽에 Y자형 조인트(joint)(5)가 위치하고 그의 도입측에 외부의 실외유니트의 한쪽끝으로부터 뻗어나온 냉매관(P)이 접속된다.
이 조인트(5)의 도출측은 2개로 갈라지고 각각 핀(1)의 한쪽끝에 또는 앞줄측의 열교환 파이프(2)에 연통하는 도입열교환 파이프(2a)가 접속된다. 즉 이들에 접속된 열교환 파이프(2) 끝부분의 상호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U밴드부가 설치되어 있지않다.
상기 접힘부(3)를 사이에 두고 상부측핀(1a)과 하부측핀(1b)에는 또한 뒷열측으로부터 도출열교환 파이프(2b)가 뻗어나와 있고 바람이 나가는 쪽이 있는 Y형 조인트(6)에 접속된다. 이 조인트(6)에는 상기 실외 유니트의 다른쪽끝에 뻗어나와 있는 냉매관(P)이 접속된다.
이렇게 해서 열교환기가 구성되고 냉방운전시 실외유니트로부터 도입된 냉매는 도면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Y형 조인트(5)에서 2방향으로 분류되고 열교환 파이프(2)의 앞줄측의 상부 방향과 하부방향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상부 방향으로 유도된 냉매는 최상단부에서 뒷줄측으로 이동하고 다음은 하부 방향으로 유도되며 최종적으로 Y형 조인트(6)에 도출된다. 한편 하부방향에 유도된 냉매는 최하단부에서 뒷줄측으로 이동하고 다음은 상부 방향으로 유도되며 최종적으로 Y형 조인트(6)에 도출된다.
열교환기는 각핀(1)과 열교환 파이프(2)에 접촉하면서 이들 사이를 도통하고 열교환 파이프(2)내에 도입되는 냉매와 열교환을 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내유니트는 유니트 본체의 부착스페이스를 별로 확대하지 않는 한편 열교환는 대폭적으로 열교환면적이 증대되어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 반면 통상 사용되는 평판타입의 열교환기에는 없는 불합리한 점의 발생도 보이므로 이를 해소하는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
예를들면 열교환기의 접힘부(3) 부근의 U밴드부는 앞줄측과 뒷줄측에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접힘부(3)를 사이에 두고 앞줄측의 끝부분 상호가 이음부재 파이프(7)로 연결되어 있다. 이 이음부재 파이프(7)와 대향하는 뒷줄측에는 Y형 조인트(6)에 접속된 열교환 파이프(2b)가 연장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화살표 M으로 나타낸 열교환 공기는 뒷줄측의 열교환 파이프(2b)에 도입되는 도출측의 냉매와 열교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토출측의 냉매는 수퍼히터(super heat) 상태에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화살표 M의 열교환 공기는 거의 제습되지 않고 습한 공기가 유니트 본체내에 쌓여서 고습도 조건하에서는 송풍기등의 주위부품과 유니트 본체 내면이 결로할 우려가 있다.
한편 이러한 열교환기에 있어서도 열교환 파이프(2)와 U밴드부(4)로 구성되는 유로에 도입되는 냉매를 보다 원활하고 더욱 효율좋게 도통시켜 열교환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3방향 밴드부를 열교환기내를 흐르는 냉매의 유로(패스(path)) 도중에 설치하여 패스수를 많이하고, 앞뒤열에 병열되는 수직상의 열교환 파이프(2)의 위치는 그대로 두어 패스를 최저의 상태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냉방운전시의 냉매도입부 근방을 3방향 밴드부에 의해 분류시킨 경우에는 분류된 냉매가 액상태이고 어떻게 분류되더라도 균등하게 직교하는 2방향으로 분류되게 된다.
그러나 패스의 중간부 이후에 3방향 밴드부를 사용한 경우에는 측방향에서 상하방향으로 분류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냉방운전시에 열교환기에 액체상태로 도입된 냉매는 여기서의 열교환 작용에 따라 유로의 중간부 전후에서 기체냉매의 비율이 많아진다.
상기 3방향 밴드부의 측부로부터 도입된 냉매는 여기서 상하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류되야 하지만 기체 냉매가 많기 때문에 상부 방향으로 많이 흘러버리고 나머지 액체 냉매의 조금밖에 하부 방향으로 흐르지 않게 되어 오리혀 냉매의 순환량을 감소해 열교환율을 손상시키는 결과가 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열교환 파이프(2)는 그 직경이 극히 적은(예를 들면 6.35m/m) 것이다.
난방운전을 하는 경우는 실내 유니트측의 상기 열교환기는 고압측이 되어 냉매유속이 증가하고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지만 냉방운전시에는 상기 열교환기는 저압측으로 되어 관 마찰에 의한 냉매의 압력손실이 현저히 증가하고 냉방능력이 저하한다는 결점이 있다.
이러한 냉매능력의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열교환기에 유입하기전에 패스를 분류해서 열교환기에서의 압력 손실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각 패스에 균일하게 냉매를 도입하는 것이 어렵고, 유량의 불균일에 의해 열교환 효율이 저하해 버린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거의 〈 형상으로한 열교환기의 형태를 바꾸지 않고 열교환 파이프의 유로(패스)의 개량을 도모할 수 있음으로서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얻기위한 개량을 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그 제 2 의 목적은 유니트내에 도입된 열교환 공기를 확실하게 제습하고 고습도 조건하에 있어서도 주위부품의 서리낌을 방지하고 열교환 효율의 향상화를 얻을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2 의 목적은 유로중도부에서 열교환 작용에 수반되는 열교환 매체의 성분 변화가 있어도 균등하게 분류되도록 해주고 열교환 효율의 향상화를 얻을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3 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전체에 걸처 열교환 매체를 균등하게 흐르도록 하고 순환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열교환 효율의 향상화를 얻을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1 의 발명은 상호 협소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접힘부가 설치되어 전체적으로는 거의 〈 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져 형성되고 그 구부러진 끝부분의 상호가 열교환 공기의 바람부는 쪽으로 거의 八형으로 노출하는 핀, 이들핀에 앞줄측과 뒷줄측과의 2열로 나란히 관통된 열교환 파이프 및 상기 핀의 양측단에 있어서 인접하는 열교환 파이프 단부상호를 접속하는 U밴드부로 구성되는 유로로 이루어지고 앞줄측의 열교환 파이프로부터 열교환매체가 도입되어 열교환 공기와 열교환한후 뒷줄측의 열교환 파이프로부터 도출되도록 유로를 설정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핀접힘부 근방에 핀양측단의 적어도 한측끝에 있어서 상기 U밴드부를 앞줄측의 열교환 뒷줄측의 열교환 파이프에 걸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이다.
제 2 발명은 상기 열교환기에 있어서 유로 중간부 전후위치에 앞줄측 상부를 도입부로 하고 앞줄측 하부 및 뒷줄측 측방향으로 2개의 도출부를 가지며 각각의 분류각을 90˚로 설정한 3방향 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이다.
제 3 의 발명은 상기 열교환기에 있어서 유로는 열교환 매체를 2방향으로 분류 안내하는 유로 도입부와, 그중 1방향의 분류로를 일단 2방향으로 분류안내하고 나서 다시 한개로 합류 안내하는 유로중간부와 이 유로중간부로부터 유도되는 열교환 매체와 상기 유로 도입부에서 분류된 다른쪽의 분류로를 한개로 합류하는 유로 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중간부의 합류관 직경을 다른쪽의 분류로를 형성하는 열교환 파이프 직경 보다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이다.
그외 작용을 설명하면, 제 1 의 발명에서, 핀의 구부러진 끝부분 부근의 유로에 도입된 열교환 매체는 이것을 도통하는 습한 공기를 제습하는데에 적합한 성분 비율이 되고 유로의 설정이 적합하다.
제 2 발명에서, 유로의 중간부에 있어서 열교환매체의 성분비율에 적당한 안내를 이루는 유로가 된다.
제 3 의 발명에서, 유로직경이 세밀해도 도입측으로부터 중간부 및 도출측에 걸쳐 열교환냉매를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후술하는 열교환기는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니트에 구비된 것으로 제2 도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 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중 "A"는 압축기, "B"는 4방향밸브, "N"은 실내열교환기, "D"는 팽창장치, "G"는 실외열교환기이고 이들은 모두 냉매관(P)를 지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고 실내유니트(C)내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N)이외의 것은 실외유니트(E)에 설치된다.
실내 열교환기(N)는 측면에서 보면 거의 〈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 형상의 구부러진 내측에는 실내송풍기(S)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내송풍기(S)를 구동함으로서 도면에 흰색 화살표 M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N)의 〈 형상의 구부러진 외측을 바람부는 측으로 해서 열교환공기가 유도되고 열교환기(N)를 도통해서 열교환 작용을 하고, 〈 형상의 구부러진 내측을 바람이 나가는 쪽으로 바람이 지나가고 또한 실내 송풍기(S)를 지나 열교환기(N)의 아래방향부위로부터 불어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N)는 상호 협소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는 다수장의 핀(11)과 이들 핀(11)을 관통하는 열교환 파이프(12)와 핀(11)의 양측단에 있어서 인접하는 열교환 파이프(12) 끝부분의 상호를 접속하는 U밴드부(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파이프(12)의 U밴드부(13)에는 열교환 매체인 냉매가 도입되어 이것으로 유로(14)가 구성된다.
상기 핀(11)에는 미리 상하방향의 대략 중간부에 접힌 부분을 설치해 여기를 경계로해 전체적으로 거의 〈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접힘부(15)끝 부분 상호는 열교환 공기가 들어오는 쪽으로 거의 八형상으로 도출한다.
상기 열교환파이프(12)는 이들 핀(11)에 앞줄측(F)과 뒷줄측(R)과의 2열로 나란히 관통된다. 여기서는 앞줄측(F)의 열교환 파이프(12)는 바람이 들어오는 쪽으로 위치하고 뒷줄측(R)이 열교환파이프(12)는 바람이 나가는 쪽에 위치하게 된다.
상부측핀(11a)의 바람이 들어오는쪽 근방에는 상기 실외유니트(E)로부터 뻗어나온 냉매관(P)이 접속하는 Y형 조인트(16)가 설치된다.
이 Y형 조인트(16)의 도출측은 2개의 열교환 파이프(12a)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냉매관(P)으로부터 냉매를 2방향으로 분류안내하는 유로도입부(17)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앞줄측(F)의 상부 열교환 파이프(12)에 유입하는 냉매는 이 상방을 향해 복수의 U밴드부(13)와 열교환 파이프(12)를 지나 분류안내되고 또한 최상단에서 뒷줄측의 최상단으로 이 하부측에 도입되는 제 1 분류로(1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Y형 조인트(16)로부터 앞줄측(F)의 하부열교환 파이프(12)에 분류되는 냉매는 이 하방을 향해 복수의 U밴드부(13)의 열교환 파이프(12)를 지나 분류안내되고 도중에 갈라지는 제 2 의 분류로(19)가 형성된다.
이 제 2 분류로(19)는 하부측핀(11b)에 설치되는 분류로(19)의 중간부 전후 위치에 있어서 앞줄측(F) 상부를 도입부(a)로 하고 앞줄측(F) 하방향과 뒷줄측(R) 측방향과의 두개의 도출부(b,c)를 가지고 각각의 분류각을 90˚로 설정한 3방향 밴드부(20)가 설치된다.
즉 이 분류로(19)는 중도의 3방향 밴드부(20)에서 냉매를 일단 2방향으로 분류안내하고 나서 상부측 핀(11a)의 바람이 나가는쪽 근방에서 다시 하나로 합류안내하는 유로중간부(19A)를 가지게 된다.
또한 제 2 의 분류로(19)에 있어서 상부측 핀(11a) 끝부분에 상기 U밴드부(13)는 그 위치에 이를때까지 앞줄측(F)에 있고 여기서 뒷줄측(R)의 최하단의 위치에 접속되고나서 하부측핀(11b)에서는 앞줄측(F)에 접속된다.
따라서 하부측핀(11b)에 있어서 뒤줄측(R)의 최상단의 열교환 파이프(12)는 상부측핀(11a)에서 뒷줄측(R)의 최하단의 열교환 파이프(12)를 뛰어 넘어 밑에서 2개째의 열교환 파이프(12)에 접속되게 된다.
상기 제 1 의 분류로(18)의 종단부를 형성하는 열교환 파이프(12b)와 제 2 의 분류로(19)의 종단부를 형성하는 합류 열교환 파이프(12c)와는 상부측핀(11a)의 바람이 나가는쪽에 위치하는 Y형 조인트(21)에 접속된다.
이 Y자 조인트(21)에는 상기 실외유니트(E)에서 뻗어나온 냉매관(P)이 접속되고 여기에 유로도출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의 분류로(19)의 종단부를 형성하는 합류열교환 파이프(12c)의 직경 M는 제 1 의 분류로(18)의 종단부를 형성하는 열교환 파이프(12b)의 직경 K보다 큰직경(M〉 K)으로 형성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구성된 열교환기(N)이기 때문에 냉방운전시에 실외유니트(E)로부터 도입된 냉매가 냉매 도입부(17)로부터 제1 제 2 의 분류로(18,19)를 도통안내되는 동안에 열교환 공기와 열교환해서 열교환 공기를 냉기로 바꾼다.
냉매의 도통상태를 다시 설명하면 Y형 조인트(16)로부터 제1 분류로(18)에 도입된 냉매는 이 계로에 따라 즉 앞줄측(F)에서 일단 상부측으로 흘러 뒷줄측(R)으로 이동해서 하부측으로 흐른다. 그리고 Y형 조인트(21)에서 제 2 의 분류로(19)를 안내된 냉매와 합류한다.
Y형 조인트(16)로부터 제 2 의 분류로(19)에 유도되는 냉매는 이 계로에 따라 즉 앞줄측에서 일단 하부측으로 흐르고 3방향 밴드부(20)에서 냉매를 일단 2방향으로 분류안내하고 나서 상부측 핀의 바람이 나가는쪽 근방에서 다시 하나로 합류안내된다. 그리고 Y형 조인트(21)에서 제 1 의 분류로(18)를 안내되는 냉매와 합류한다.
냉매의 통과 상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지만, 특히 고습도 조건하에서의 운전으로 핀 끝부분에 습한 공기가 흘러도 이를 충분히 제습할 수 있어 주위 부품에 서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핀(11)의 접힘부(15) 부근에 있어서 냉매는 기체와 액체의 두흐름으로 되어 있고 여기를 도통하는 습한 공기를 제습하는데 적합한 성분 비율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의 분류로(19)의 앞줄측(F)의 U밴드부(13)는 여기서 뒷줄측(R)의 위치에 걸쳐 설치되고 또한 하부측핀(11b)에 있어서 앞줄측(F)에 접속되어 있고 이러한 유로(14)의 설정에 의하면 실내유니트(C)에 도입된 열교환 공기가 앞줄측(F)을 전부 관통하게 되고 수퍼히터 상태의 합류열교환 파이프(12c)를 직접통과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 2 분류로(19) 중도에 있어서 3방향 밴드부(20)를 구비하고 이 상부측(a)으로부터 냉매를 도입시켜 수직하방향부(b)와 90˚측방부(c)에 분류안내한다.
이 밴드부(20)가 설치된 위치에서 냉매는 기체 액체의 두흐름으로 되어 있고 기체냉매와 액체냉매와는 어느정도 비중이 상이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3방향 밴드부(20)의 상부(a)로부터 도입해도 하방향부(b)와 측방향부(c)로 분류되기 때문에 분류량은 서로 균등하게 된다.
그 결과 제 2 의 분류로(19)에 있어서 냉매 순환량이 증가하고 열교환효율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열교환기(N) 자체가 거의 〈 형상이고 가는 직경의 열교환 파이프(12)를 사용해 유로를 형성한 것이지만 유로도입부(17)에서 제1,제 2 의 분류로(18,19)에 냉매를 분류 안내하고 제 2 의 분류로(19)는 냉매를 일단 2방향으로 분류안내하고 나서 다시 하나로 합류 안내하는 유로중간부(19A)를 가지며 유로도출부(22)에서 제1, 제 2의 분류로(18,19)가 합류한다.
또한 제 2 의 분류로(19)측의 합류열교환 파이프(12c) 직경 M를 제 1 의 분류로(18)를 형성하는 열교환 파이프(12b)의 직경 K보다 크게 했기 때문에 열교환기(N) 전체에 걸처 냉매는 균등하게 또한 원활하게 도통하게 되도 많은 순환량을 확보하고 열교환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데 한정되지 않고 다른 용도의 장치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넘지 않은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의 발명에 의하면 핀 접힘부 근방에 핀양단측의 적어도 한쪽끝에 있어서 U밴드부를 앞줄측의 열교환 파이프와 뒷줄측의 열교환 파이프에 걸쳐 접속했기 때문에 특히 고습도 조건하에서 핀 끝부분에 습한 공기가 흘러도 이것을 충분히 제습할 수 있고 주위부품의 서리낌을 방지하여 열교환 효율의 향상화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유로 중간부 전후위치에서, 앞줄측 상부를 도입부로 하고 앞줄측 하부 및 뒷줄측 측방향으로 2개의 도출부를 가지며 각각의 분류각을 90˚로 설정한 3방향 밴드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특히 유로중도부에서 열교환 작용에 수반되는 열교환 매체의 성분 변화가 있어도 균등한 분류안내를 이루고 열교환 효율의 향상화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 3 의 발명에 의하면 2방향으로 분류 안내하는 유로도입부와, 그중 1방향 분류로를 일단 2방향으로 분류안내하고 나서 다시 한개로 합류 안내하는 유로중간부와 이 유로중간부로부터 도입되는 열교환 매체와 상기 유로 도입부에서 분류된 다른쪽의 분류로를 한개로 합류하는 유도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중간부의 합류관 직경을 다른쪽의 분류로를 형성하는 열교환 파이프 직경보다 크게 했기 때문에 열교환기 전체에 걸쳐 열교환 매체를 균등하게 흐르고 순환량을 증가시켜 열교환 효율을 향상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상호 협소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접힘부가 설치되고 전체적으로는 거의 〈 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져 형성되고 그의 접혀 구부러진 끝부분의 상호가 열교환공기의 바람부는 쪽으로 거의 八형상으로 노출하는 핀과 이들핀에 앞줄측과 뒷줄측과의 2열로 나란히 관통된 열교환 파이프 및 상기핀의 양측단에 있어서 인접하는 열교환파이프 단부상호를 접속하는 U밴드부로 구성되는 유로로 이루어지고 앞줄측의 열교환 파이프로부터 열교환매체가 도입되고 열교한 공기가 열교환한후 뒷줄측의 열교환 파이프로부터 도출되도록 유로를 설정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핀 접힘부 근방에 핀양측단의 적어도 한측끝에 있어서 상기 U밴드부를 앞줄측의 열교환 파이프와 뒷줄측의 열교환 파이프에 걸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상호 협소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접힘부가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거의 〈 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져 형성되고 그 구부러진 끝부분의 상호가 열교환 공기의 바람부는 쪽으로 거의 八형상으로 노출하는 핀과 이들핀에 앞줄측과 뒷줄측과의 2열로 나란히 관통된 열교환 파이프 및 상기핀의 양측단에 있어서 인접하는 열교환 파이프 단부상호를 접삭하는 U밴드부로 구성되는 유로로 이루어지고, 앞줄측의 열교환 파이프로부터 열교환매체가 도입되고 열교환 공기와 열교환한 후 뒷줄측의 열교환 파이프로부터 도출되도록 유로를 설정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 중간부 전후위치에 앞줄측 상부를 도입부로 하고 앞줄측 하부 및 뒷줄측 축방향으로 2개의 도출부를 가지며 각각의 분류각을 90˚로 설정한 3방향 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상호 협소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의 거의 중간부에 접힘부가 설치되고 전체적으로 거의 〈 형상으로 접혀 구부러져 형성되고 그 구부러진 끝부분의 상호가 열교환 공기의 바람부는 쪽으로 거의 八형상으로 노출하는 핀과, 이들핀에 앞줄측과 뒷줄측과의 2열로 나란히 관통된 열교환 파이프 및 상기 핀의 양측단에 있어서 인접하는 열교환 파이프 단부 상호를 접속하고 U밴드부로 구성되는 유로로 이루어지고 앞줄측의 열교환 파이프로부터 열교환매체가 도입되고 열교환 공기와 열교환한후 뒷줄측의 열교환 파이프로부터 도출되도록 유로를 설정한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열교환 매체를 2방향으로 분류 안내하는 유로 도입부와 그중 1방향의 분류로를 일단 2방향으로 분류 안내하고 나서 다시 한개로 합류 안내하는 유로중간부와 이 유로중간부로부터 유도되는 열교환 매체와 상기 유로 도입부에서 분류된 다른쪽의 분류로를 한개로 합류 안내하는 유로중간부와 이 유로중간부로부터 유도되는 열교환 매체와 상기 유로 도입부에서 분류된 다른쪽의 분류로를 한개로 합류하는 유로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로중간부의 합류관 직경을 다른쪽의 분류로를 형성하는 열교환 파이프 직경보다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19930006102A 1992-08-31 1993-04-12 열교환기 KR950014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32472 1992-08-31
JP23247292A JP3204546B2 (ja) 1992-08-31 1992-08-31 熱交換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309A KR940004309A (ko) 1994-03-14
KR950014048B1 true KR950014048B1 (ko) 1995-11-20

Family

ID=16939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102A KR950014048B1 (ko) 1992-08-31 1993-04-12 열교환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17279A (ko)
JP (1) JP3204546B2 (ko)
KR (1) KR950014048B1 (ko)
GB (1) GB22701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5931A (en) * 1993-09-03 1996-09-17 Goldstar Co., Ltd. Heat exchanger for separable air conditioner
JP3514518B2 (ja) * 1993-09-29 2004-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分離型空気調和機
JPH07208821A (ja) * 1994-01-17 1995-08-11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US5669229A (en) * 1995-05-30 1997-09-23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Ceiling-mounted type air conditioner
IN192214B (ko) * 1996-07-19 2004-03-20 Fujitsu General Ltd
KR100244332B1 (ko) * 1997-10-09 2000-03-02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0261476B1 (ko) * 1998-03-06 2000-07-01 윤종용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증발기
JP2000213798A (ja) * 1999-01-26 2000-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分離型空気調和機
US6226178B1 (en) 1999-10-12 2001-05-01 Dell Usa, L.P. Apparatus for cooling a heat generating component in a computer
JP2002310448A (ja) * 2001-04-05 2002-10-23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3742933B2 (ja) * 2004-05-24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分岐用管継手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4506609B2 (ja) * 2005-08-08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製造方法
JP4725277B2 (ja) * 2005-10-06 2011-07-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ィン付き熱交換器
JP4075947B2 (ja) * 2006-07-18 2008-04-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空気調和装置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5731581B2 (ja) * 2013-06-25 2015-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4515326B (zh) * 2013-09-29 2017-0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的除湿方法
KR101586540B1 (ko) * 2013-11-21 2016-01-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CN111433549A (zh) 2017-07-17 2020-07-17 分形散热器技术有限责任公司 多重分形散热器系统及方法
JP7137092B2 (ja) * 2021-01-22 2022-09-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CN117968417A (zh) * 2022-10-24 2024-05-03 重庆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换热器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72920A (fr) * 1959-01-28 1961-10-06 Chantiers De Latlantique Procédé d'aménagement d'échangeur de chaleur tubulaire et appareils ainsi obtenus
US4053014A (en) * 1975-05-23 1977-10-1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Finned tube coil
US4089368A (en) * 1976-12-22 1978-05-16 Carrier Corporation Flow divider for evaporator coil
US4434843A (en) * 1978-04-17 1984-03-06 International Environmental Manufacturing Co. Heat exchanger apparatus
US4831844A (en) * 1988-05-26 1989-05-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ndenser with improved flow path
JPH0741478B2 (ja) * 1988-10-14 1995-05-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ィン付き熱交換器の製造方法
US5211219A (en) * 1990-07-31 1993-05-18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JPH04177092A (ja) * 1990-11-08 1992-06-24 Toshiba Corp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270892A (ja) * 1991-02-04 1992-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309A (ko) 1994-03-14
GB2270151A (en) 1994-03-02
GB9313536D0 (en) 1993-08-11
GB2270151B (en) 1996-04-24
US5417279A (en) 1995-05-23
JPH0674603A (ja) 1994-03-18
JP3204546B2 (ja) 2001-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048B1 (ko) 열교환기
JP6091641B2 (ja) 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3254555A (ja) 空気調和機
KR20160146885A (ko) 공기 조화 장치
JP7102686B2 (ja) 熱交換器
JP6479195B2 (ja) 分配器、積層型ヘッダ、熱交換器、及び、空気調和装置
JP6745898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CN109690211A (zh) 热交换器及空调装置
WO2017208493A1 (ja) 空気調和機
CN104634004B (zh) 冷凝器
CN111512099B (zh) 热交换器及制冷循环装置
JP2837396B2 (ja) 熱交換器
JP3833351B2 (ja) 空気調和機用室内ユニットとその室内熱交換器
CN111902683B (zh) 热交换器及制冷循环装置
EP4083558A1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CN106352717B (zh) 扁管、微通道换热器及空调
JP3255541B2 (ja) 空気調和機
JPH10196984A (ja) 空気調和機
JPH0727359A (ja) 空気調和機
KR102318941B1 (ko) 냉난방 동시형 공기조화시스템의 실외 열교환기
CN219934254U (zh) 一种空调器
JP7106814B2 (ja) 熱交換器
KR102088826B1 (ko) 열교환기
KR100291775B1 (ko) 열교환기
JPH037863A (ja) 蒸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