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540B1 -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540B1
KR101586540B1 KR1020130142063A KR20130142063A KR101586540B1 KR 101586540 B1 KR101586540 B1 KR 101586540B1 KR 1020130142063 A KR1020130142063 A KR 1020130142063A KR 20130142063 A KR20130142063 A KR 20130142063A KR 101586540 B1 KR101586540 B1 KR 10158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rvature
connecting pipe
present
curvatur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820A (ko
Inventor
김명석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540B1/ko
Priority to US14/101,269 priority patent/US10240828B2/en
Priority to CN201310686751.9A priority patent/CN104654673B/zh
Publication of KR2015005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1/00Making hollow articl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sub-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3/00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 B23K13/01Welding by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by induc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16L13/0218Welded joints having an inner or outer ring
    • F16L13/0236Welded joints having an inner or outer ring having an outer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8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permanent joints,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06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4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0Aluminium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2Copper or alloy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8Dissimi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6Dam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59Cooling apparatus making, e.g.,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28Gas and water specific plumbing component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은, 튜브 유닛(30)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에는 제1 파이프(10)를 배치하고, 다른 한쪽에는 제2 파이프(20)를 배치하여 고주파 용접을 수행하며, 제1 파이프(10)에 제1 곡률부(12)를 형성하고, 제2 파이프(20)에 제3 곡률부(26)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파이프는 냉장기기에 증발장치를 설치할 때에 제2 파이프(20)에 석션 파이프(70)를 연결하기 위하여 가압하더라도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연결파이프의 변형이 방지된다.

Description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Pipe conne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ipe connection for evaporator of Refrigeration device}
본 발명은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냉장사이클이 적용되는 냉장기기에서 증발을 담당하도록 하는 냉장기기 증발장치를 냉장기기에 설치할 때에 이용되는 연결파이프에 있어서, 연결파이프의 강성을 향상시켜 연결파이프가 임의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기기는 신선 제품, 저온보관 제품 등을 저온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냉매를 이용한다. 냉매는 냉장 사이클에서 순환되고, 냉장 사이클은 압축, 응축, 팽창, 증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증발의 과정의 일부분으로써 냉장기기에 증발장치를 설치할 때에 이용되는 연결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발장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파이프는 어큐뮬레이터와 석션 파이프를 연결하는 데에 이용된다.
연결파이프는 석션 파이프와 연결을 시도할 때에 석션 파이프를 연결파이프 쪽으로 밀어서 끼워 넣는다. 이때 연결파이프는 밀리는 힘에 대하여 강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밀리는 힘이 적절하게 제어되지 않을 때에는 연결파이프의 특정한 구간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꺾이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파이프에서 특정한 구간이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경우에는 냉매의 순환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냉장기기를 제조할 때에 연결파이프의 조립은 매우 조심스럽게 진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연결파이프의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에는 냉매의 순환과정, 증발장치, 석션 파이프(suction pipe)에 관한 일반적인 기술사상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9-0128123호(2009.12.1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냉장기기에 증발장치를 설치할 때에 연결파이프가 임의로 꺾이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는, 제1 곡률부(12)가 형성된 제1 파이프(10); 제3 곡률부(26)가 형성된 제2 파이프(20); 및 상기 제1 파이프(10)와 상기 제2 파이프(20)의 양단이 연결되고 고주파 용접되어 상기 제1 파이프(10)와 상기 제2 파이프(20)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튜브 유닛(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는 상기 제1 곡률부(12)의 제1 곡률 각도(a)는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이고, 상기 제3 곡률부(26)의 제3 곡률 각도(b)는 90도보다 작은 각도이며, 상기 제2 파이프(20)의 제3 단부(22)와 상기 제2 파이프(20)의 제4 단부(24)가 둔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는 상기 제1 곡률부(12)가 하나이고, 상기 제3 곡률부(26)도 하나이며, 상기 제1 곡률부(12)의 곡률방향과 상기 제3 곡률부(26)의 곡률 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파이프(10)는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제2 파이프(20)는 구리 재질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의 상기 제1 파이프(10)와 상기 제2 파이프(20)는 고주파 용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은,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가 튜브 유닛(3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파이프(10)와 상기 제2 파이프(2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계(S10); 및 상기 제1단계(S10) 이후에, 상기 제1 파이프(10)에 제1 곡률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이프(20)에 제3 곡률부(26)가 형성되어 연결파이프에 곡률부가 다중으로 형성되는 제2단계(S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은, 상기 제1 곡률부(12)의 제1 곡률 각도(a)는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각도이고, 상기 제3 곡률부(26)의 제3 곡률 각도(b)는 90도보다 작은 각도이며, 상기 제2 파이프(20)의 제3 단부(22)와 상기 제2 파이프(20)의 제4 단부(24)가 둔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은, 상기 제1 곡률부(12)가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곡률부(26)도 하나로 형성되며 하나이며, 상기 제1 곡률부(12)의 곡률방향과 상기 제3 곡률부(26)의 곡률 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은, 상기 제1단계(S10)에서, 상기 제1 파이프(10)와 상기 제2 파이프(20)와 상기 튜브 유닛(30)은 고주파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파이프는 냉장기기에 증발장치를 설치할 때에 구리 파이프에 석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하여 가압하더라도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연결파이프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파이프는 냉장기기를 조립할 때에 과도한 주의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나아가 냉장기기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비교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비교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비교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단계(S1): 제1 파이프(10)를 다중 밴딩(multi-banding)하는 단계이다. 다중 밴딩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관형태의 제1 파이프(10)는 제1, 제2 곡률부(12, 14)를 가지도록 밴딩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1 파이프(10)의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이로써 제1 파이프(10)는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어큐뮬레이터와 쉽게 용접될 수 있다.
한편, 제1 곡률부(12)의 곡률 반경과 제2 곡률부(14)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비교예에 따른 제1 곡률부(12)의 제1 곡률 각도(a)는 180도 보다 큰 각도일 수 있고, 비교예에 따른 제2 곡률부(14)의 제2 곡률 각도(b)는 100도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각도일 수 있다.
제2단계(S2):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를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파이프(10)의 제1 단부(16)와 제2 파이프(20)의 제3 단부(22)는 튜브 유닛(30)에 삽입되고, 튜브 유닛(30)은 고주파 용접이 이루어지며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에 열 수축 현상이 발생되어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2 파이프(20)의 재질은 구리 재질일 수 있다. 이로써 제2 파이프(20)는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제3단계(S3): 연결 파이프를 어큐뮬레이터(60)와 연결하는 단계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의 제1 파이프(10)를 어큐뮬레이터(60)에 연결하는 것이다. 냉장기기 벽체(40)의 한쪽에 증발장치(50)가 구비되고, 증발장치(50)에는 어큐뮬레이터(60)가 연결된다. 제1 파이프(10)와 어큐뮬레이터(60)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고, 이로써 어큐뮬레이터(60)의 연결부에 용접부(62)가 형성된다.
제4단계(S4): 연결 파이프를 석션 파이프(70)와 연결하는 단계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의 제2 파이프(20)를 석션 파이프(70)와 연결하는 것이다.
석션 파이프(70)를 연결 파이프에 연결할 때에는 도 4에 기재된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조립한다. 가압되는 힘(P)은 제1 파이프(10)에 작용될 수 있고, 제1 파이프(10)는 가압되는 힘(P)의 일부를 수용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지만, 가압되는 힘의 방향이 특정됨으로써 제2 곡률부(14)에 집중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곡률부(14)는 임의로 꺾이거나 변형된다. 특히, 알루미늄 재질은 구리 재질보다 강성이 약하므로 제1 파이프(10)에서 변형이 집중될 수 있다.
한편, 냉장기기에서 증발장치(50)가 설치되는 부분은 작업공간이 매우 협소하므로 작업자의 손놀림이 불편할 수 있다. 즉, 연결파이프가 밀리지 않도록 붙잡은 상태에서 석션파이프(70)를 밀어 넣어 조립하여야 하는데, 연결파이프를 붙잡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즉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작업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의 일부분이 꺾이거나 비정상적으로 변형이 발생되면 냉매의 순환에 악영향을 끼친다. 냉매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태변화가 발생되는데, 연결파이프의 일부에서 내경의 크기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경우에 냉매의 상태변화가 불량해질 수 있고, 나아가 냉장기기의 냉온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비교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단계(S10):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를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관형태의 제1 파이프(10)의 제1 단부(16)와 직관형태의 제2 파이프(20)의 제3 단부(22)는 튜브 유닛(30)에 삽입되고, 튜브 유닛(30)은 고주파 용접이 이루어지며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에 열 수축 현상이 발생되어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는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파이프(10)의 길이는 비교예에 따른 제1 파이프(10)의 길이에 비교하여 짧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곡률부(12)가 형성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파이프(20)의 길이는 비교예에 따른 제2 파이프(20)의 길이에 비교하여 더 길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제3 곡률부(26)가 형성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할 수 있다.
제2단계(S20): 연결파이프를 다중 밴딩(multi-banding)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밴딩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관형태의 제1 파이프(10)는 제1 곡률부(12)를 가지도록 밴딩되고, 직관형태의 제2 파이프(20)는 제3 곡률부(26)를 가지도록 밴딩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파이프는 튜브 유닛(30)을 기준으로 양쪽에 제1 곡률부(12)와 제3 곡률부(26)가 형성되는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곡률부(12)가 하나로 형성되고, 제3 곡률부(26)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곡률부(12)와 제3 곡률부(26)의 밴딩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로써 연결파이프의 전체적인 외관 형상은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한편, 제1 곡률부(12)의 곡률 반경과 제3 곡률부(26)의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곡률부(12)의 제1 곡률 각도(a)는 9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각도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곡률부(26)의 제3 곡률 각도(b)는 90도보다 작은 각도일 수 있다. 즉, 알루미늄파이프(10)는 제1 단부(16)와 제2 단부(18)간에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이룬다. 또한, 제2 파이프(20)는 제3 단부(22)와 제4 단부(24)가 이루는 각도가 둔각을 형성하게 된다.
제3단계(S30): 연결 파이프를 어큐뮬레이터(60)와 연결하는 단계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파이프의 제1 파이프(10)를 어큐뮬레이터(60)에 연결하는 것이다. 냉장기기 벽체(40)의 한쪽에 증발장치(50)가 구비되고, 증발장치(50)에는 어큐뮬레이터(60)가 연결된다. 제1 파이프(10)와 어큐뮬레이터(60)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고, 이로써 어큐뮬레이터(60)의 연결부에 용접부(62)가 형성된다.
제4단계(S40): 연결 파이프를 석션 파이프(70)와 연결하는 단계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파이프의 제2 파이프(20)의 제4 단부(24)에 석션 파이프(70)를 연결하는 것이다.
연결 파이프에 석션 파이프(70)를 연결할 때에는 도 8에 기재된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조립한다. 가압되는 힘(P1)은 제1 파이프(10)에 작용될 수 있고, 제1 파이프(10)는 가압되는 힘(P1)의 일부를 수용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지만, 가압되는 힘(P1)의 방향이 특정됨으로써 제3 곡률부(26)에 더 많이 작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리 재질의 제2 파이프(20)는 강성이 확보되므로 제3 곡률부(26)가 임의로 꺾이거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파이프(20)는 형상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도 8에 기재된 화살표 방향으로 힘(P1)이 작용될 때에 일부의 힘(P2)은 튜브 유닛(30)을 경유하여 연결파이프 전체로 분산될 수 있다. 상술한 형상적인 특성은 제3 곡률부(26)의 곡률 반경은 90도 보다 작은 각도를 이룸으로써 제2 파이프(20)의 전체적인 형상이 둔각을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냉장기기에서 증발장치(50)가 설치되는 부분은 작업공간이 매우 협소하므로 작업자의 손놀림이 불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파이프에 석션 파이프(70)를 연결할 때에 연결파이프와 석션 파이프(70)간의 연결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다소 큰 힘(P1)으로 밀어 넣어 조립하더라도 연결파이프는 강성을 가짐으로써 연결파이프의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연결파이프의 변형에 대하여 과도하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조립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의 일부분이 꺾이거나 비정상적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냉매의 순환이 양호하게 된다. 즉, 냉매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과정에서 상태변화가 발생되는데, 연결파이프의 일부에서 내경의 크기가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음으로써 냉매의 흐름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나아가 냉장기기의 냉온 효과가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냉장기기는 냉장고, 냉동고 등 냉장사이클을 이용하여 저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는 냉장기기에 증발장치를 설치할 때에 이용될 수 있고, 연결파이프 제조방법은 상기 연결파이프를 제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제1 파이프
12, 14: 제1, 제2 곡률부
16, 18: 제1, 제2 단부
20: 제2 파이프
22, 24: 제3, 제4 단부
26: 제3 곡률부
30: 튜브 유닛
40: 냉장기기 벽체
50: 증발장치
60: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62: 용접부
70: 석션 파이프(Suction pipe)

Claims (9)

1개의 제1 곡률부(12)가 형성된 제1 파이프(10);
1개의 제3 곡률부(26)가 형성된 제2 파이프(20); 및
상기 제1 파이프(10)와 상기 제2 파이프(20)의 양단을 연결하되, 상기 제1 곡률부(12)의 곡률방향과 상기 제3 곡률부(26)의 곡률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파이프(10)와 상기 제2 파이프(2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튜브 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률부(12)의 제1 곡률 각도(a)는 90도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각도이고,
상기 제3 곡률부(26)의 제3 곡률 각도(b)는 90도보다 작은 각도이며,
상기 제2 파이프(20)의 제3 단부(22)와 상기 제2 파이프(20)의 제4 단부(24)가 둔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파이프(10)와 상기 제2 파이프(20)는 고주파 용접되며,
상기 튜브 유닛(30)은 상기 고주파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에 열 수축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제1파이프(10)와 상기 제2파이프(20)가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삭제
삭제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10)는 알루미늄 재질이고, 상기 제2 파이프(20)는 구리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삭제
제1 파이프(10)와 제2 파이프(20)가 튜브 유닛(3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파이프(10)와 상기 제2 파이프(20)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계(S10); 및
상기 제1단계(S10) 이후에, 상기 제1 파이프(10)에 1개의 제1 곡률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파이프(20)에 1개의 제3 곡률부(26)가 형성되어 연결파이프에 곡률부가 다중으로 형성되는 제2단계(S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곡률부(12)의 제1 곡률 각도(a)는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이고,
상기 제3 곡률부(26)의 제3 곡률 각도(b)는 90도보다 작은 각도이며,
상기 제2 파이프(20)의 제3 단부(22)와 상기 제2 파이프(20)의 제4 단부(24)가 둔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곡률부(12)의 곡률방향과 상기 제3 곡률부(26)의 곡률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이며,
상기 제1 파이프(10)와 상기 제2 파이프(20)는 고주파 용접되며,
상기 튜브 유닛(30)은 상기 고주파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에 열 수축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제1파이프(10)와 상기 제2파이프(20)가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삭제
삭제
삭제
KR1020130142063A 2013-11-21 2013-11-21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KR10158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063A KR101586540B1 (ko) 2013-11-21 2013-11-21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US14/101,269 US10240828B2 (en) 2013-11-21 2013-12-09 Connection pip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a connection pipe for an evaporator of a refrigeration device
CN201310686751.9A CN104654673B (zh) 2013-11-21 2013-12-13 用于制冷设备的蒸发器的连接管及其制造和使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063A KR101586540B1 (ko) 2013-11-21 2013-11-21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820A KR20150058820A (ko) 2015-05-29
KR101586540B1 true KR101586540B1 (ko) 2016-01-18

Family

ID=5317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063A KR101586540B1 (ko) 2013-11-21 2013-11-21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40828B2 (ko)
KR (1) KR101586540B1 (ko)
CN (1) CN10465467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564A1 (en) 2021-12-30 2023-07-05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921B1 (ko) 2015-06-17 2016-09-2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397442A (zh) * 2015-12-07 2016-03-16 苏州慧捷自动化科技有限公司 雪融机蒸发器自动盘管组装机
CN105414857A (zh) * 2016-01-06 2016-03-23 合肥长城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丝管蒸发器新型焊接工装
CN109882670A (zh) * 2019-03-27 2019-06-14 浙江华格供应链服务有限公司永康分公司 一种汽车制冷系统上的管件连接结构
KR102463869B1 (ko) * 2020-09-25 2022-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20B1 (ko) 2008-05-09 2008-09-30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냉동장치 및 냉난방 장치의 동관 연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0377A (en) * 1973-09-17 1976-01-06 King-Seeley Thermos Co. Ice transport system
US5339868A (en) * 1987-01-07 1994-08-23 Nippon Steel Corporation Bent pipe having sectional form of high strength
US5426900A (en) * 1992-03-11 1995-06-27 Springer; Robert H. Multi-purpose hexagonal building module
CN2171822Y (zh) * 1992-08-27 1994-07-13 关绍勤 装有套管的管板式蒸发器
JP3204546B2 (ja) * 1992-08-31 2001-09-0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熱交換器
JPH06147703A (ja) * 1992-11-02 1994-05-27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機用蒸発器
KR100439057B1 (ko) * 2001-08-23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관 구조
JP2003156266A (ja) * 2001-11-20 2003-05-30 Fujitsu General Ltd 冷却装置
CN2736713Y (zh) * 2004-08-02 2005-10-26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蒸发器连接管
DE102005052973B4 (de) * 2004-11-09 2014-11-20 Denso Corporation Doppelwandiges Rohr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CN2750261Y (zh) * 2004-11-12 2006-01-04 吴江市恒利制冷金属制品厂 制冰机的蒸发器
JP2007333313A (ja) * 2006-06-15 2007-12-27 Denso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の低圧冷媒配管
SG155101A1 (en) * 2008-03-05 2009-09-30 Venture Corp Ltd A transmission apparatus
KR101002027B1 (ko) 2008-06-10 2010-12-16 주식회사 한국번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42545B1 (ko) * 2008-07-22 2014-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US20110003261A1 (en) * 2009-07-01 2011-01-06 Goss Charles T Torch assembly
KR101130849B1 (ko) * 2009-09-08 2012-03-28 주식회사 한국번디 이종금속의 공정접합부 꺾임 방지 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US8931521B2 (en) * 2011-06-10 2015-01-13 Pfw Aerospace Ag Bent thermoplastic pi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20B1 (ko) 2008-05-09 2008-09-30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냉동장치 및 냉난방 장치의 동관 연결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6564A1 (en) 2021-12-30 2023-07-05 Arç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40828B2 (en) 2019-03-26
CN104654673A (zh) 2015-05-27
CN104654673B (zh) 2017-07-25
KR20150058820A (ko) 2015-05-29
US20150137512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540B1 (ko)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KR101166806B1 (ko) 이중관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US9709306B2 (en) Suction pipe and capillary tube arrangement for a refrigerator
US9533385B2 (en) Flat heat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86382B1 (ko) 공기조화기
US20190170425A1 (en) Freezing refrigerator
US8899392B2 (en) Damper for decreasing a pipe vibration
BR112016012419B1 (pt) conjunto de radiador e condensador
US10982796B2 (en) Dual pipe
JP4985127B2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70067696A1 (en) Vapor chamber
JP2016053469A (ja) 二重管の製造方法
EP3971495A1 (en) Refrigerator
KR102097061B1 (ko)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EP2713135B1 (en) Heat exchanger
JP2009058215A (ja) 熱交換器
JP2010276206A (ja) 熱交換器および物品貯蔵装置
KR20130114522A (ko) 나선형으로 감긴 모세관을 가지는 석션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56344B1 (ko) 냉매관 구조
KR101587517B1 (ko) 냉동사이클용 흡입측 열교환기
CN104879958A (zh) 冰箱的蒸发过滤器组件及具有其的冰箱
GB2550979A (en) Capillary tube heat exchanger
KR20220143481A (ko) 그루브가 구비된 냉장고용 석션파이프
JP4978326B2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16819A (ja) 冷媒蒸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