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542B1 -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시이트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시이트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542B1
KR100370542B1 KR10-2000-0030723A KR20000030723A KR100370542B1 KR 100370542 B1 KR100370542 B1 KR 100370542B1 KR 20000030723 A KR20000030723 A KR 20000030723A KR 100370542 B1 KR100370542 B1 KR 100370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ovable tray
sorting
paper
convey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954A (ko
Inventor
요시자와히로시
와타나베마사루
카사하라리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1002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2Pile receivers with stationary end support against which pile accumu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2Pile receivers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3/00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 B65H33/06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by displacing articles to define batches
    • B65H33/08Displacing whole batches, e.g. forming stepped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10Selective handling processes
    • B65H2301/16Selective handling processes of discharge in bins, stacking, collating or gathering
    • B65H2301/162Normal or offset stacking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2Forming a pile of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10Modular constructions, e.g. using preformed element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4Identification of mode of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Abstract

본 발명은 시이트 분류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용지받이만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간단하게 시이트 분류 기능을 얻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이트 분류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기존의 용지받이(10)상에 시이트 분류 기능을 구비하는 가동 트레이(16)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시이트 배출 장치{APPARATUS FOR SORTING SHEETS AND APPARATUS FOR DISCHARGING SHEETS}
이 발명은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시이트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8 - 91677호에는 프린터 등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시이트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스트로크(stroke) 양 만큼 시이트를 왕복 이동시켜서 배출함으로써 시이트를 분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기술에서는 시이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시이트 분류 장치의 주요부가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틀 전체 및 구동 기구로 구성되며 이 시이트 분류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이 시이트 후처리 장치내에 있어서, 시이트 분류 장치는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접수 롤러와 최하류측에 위치하는 용지받이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분류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는 시이트의 왕복 운동을 정지시켜 이 분류 장치를 경유하여 시이트를 용지받이로 배출하게 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 분류 장치를 경유하는 분만큼 이송거리가 필요되어 배출 시간도 많이 걸린다.
한편, 분류를 필요로 하는 작업과 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이 섞여있는 이용자에 있어서는 분류를 필요로 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시이트의 왕복 운동 수단을 가능 상태로 하여 시이트를 배출하고, 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의 경우에는 시이트의 왕복 운동 수단을 정지시켜 시이트를 배출하면 되지만, 당초는 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밖에 행하지 않는다고 하여 분류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용지받이를 구입한 이용자에 있어서 그 후, 분류 작업을 행할 수요가 생긴 경우는 새롭게 시이트의 왕복 운동 수단을 내장한 대규모의 시이트 후처리 장치를 구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8 - 143211호에는 소위 도기 테일(doggy tail)기능을 갖는 용지받이를 구비한 용지 후처리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기술에 있어서도 분류 기능부가 용지 후처리 장치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이트 분류 만을 행하는 이용자에 있어서도 스태플 유닛 등 용지의 후처리 기능이 부가 장비되어 있는 대규모의 후처리 장치를 장비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시이트 이송거리를 가급적으로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이트 분류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시이트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시이트 분류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시이트 배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시이트 분류 장치를 떼 낸 상태에서의 시이트 배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 도면.
도 3은 용지받이 및 그 주변부의 사시도.
도 4는 용지받이상에 설치된 시이트 분류 장치 및 그 주변부의 사시도.
도 5는 시이트 분류 장치의 가동 트레이상에 시이트가 분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시이트 분류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시이트 분류 장치를 도6에 있어서 절단선C-C를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8은 베이스 일부를 설명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시이트 분류 장치를 도 6에 있어서 절단선D-D를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10은 구동 수단의 구성을 설명한 분해사시도.
도11A는 가동 트레이가 조작부측에 위치했을 때의 가동 트레이 부분 단면도,
도11B는 가동 트레이가 조작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했을 때의 가동 트레이의 부분 단면도.
도12는 가동 트레이상에 분류된 복수의 시이트 묶음을 위로부터 바라보았을 때의 평면도.
도 13은 용지받이와 가동 트레이 양자의 경사면 각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모식적인 설명도.
도 14는 시이트 배출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용지 배출 롤러 및 벽을 설명한 사시도.
도 15는 벽에 착탈가능한 안내 부재를 설명한 단면도.
도 16은 시이트 배출 장치에 마련된 제어 수단의 블록도.
도 17A는 시이트 분류 장치의 접속기와 연결기와의 관계를 설명한 사시도, 도 17B는 중계 이송 장치의 접속기와 연결기와의 관계를 설명한 사시도.
도18은 중계 이송 장치 및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각 접속기와 연결기와의 접속 상태를 비교하여 설명한 도면.
도19는 제2 용지 배출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시이트 배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 도면.
도20은 후처리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시이트 배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 도면.
도 21은 조작부의 평면도.
도 22A는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제2 용지 배출 장치를 사용했을 때의 조작부 조작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22B는 후처리 장치를 사용했을 때의 조작부 조작 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시이트 분류 장치의 일부를 시이트 배출 장치의 본체부에 수용하고 있는 시이트 배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부호의 설명>
1 시이트 배출 장치
13조작부
16 시이트 분류 장치
17 베이스
18 가동 트레이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으로 했다.
(1).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 운동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를 상기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용지받이 상부에 착탈가능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을 동작시켜서 상기 가동 트레이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했다.(청구항1)
(2).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 운동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용지받이에 대해 상기 가동 트레이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착탈가능하며, 상기 용지받이에 대한 상기 베이스의 착탈 수단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용지받이 간에 마련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상하 방향으로 걸어맞춤이 가능한 돌출부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했다.(청구항2)
(3).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 운동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의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상기 가동 트레이의 구동 수단을 마련하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적어도 조작부측의 측단부를 상기 거의 중앙부보다도 낮게 했다.(청구항3)
(4).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 운동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의 구동 수단은 캠(cam) 장치를 구비하며 이 캠 장치는 가동 트레이와 대향하는 베이스의 윗면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와, 편심한 위치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는 원판형의 캠과,상기 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가동 트레이의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미끄럼 운동부재를 구비하도록 했다.(청구항4)
(5). (4) 기재의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는 상기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있도록 했다.(청구항5)
(6).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 운동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 및 용지받이의 각 시이트 받이 면은 시이트 이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높아지는 상향인 경사면을 구비하고 이 경사면을 상기 가동 트레이의 경사면상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시이트 이송 방향의 경사 각도가 이 임의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용지받이의 경사면 위치에 있어서의 시이트 이송방향 경사각도보다도 크도록 했다.(청구항6)
(7). 용지받이 및 용지 배출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1 내지 6기재의 어느 한 시이트 분류 장치를 상기 용지받이 상부에 착탈가능하도록 했다.(청구항7)
(8). 용지받이 및 용지 배출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이 상부로, 상기 용지 배출 롤러의 시이트 이송 방향 하류측에 시이트 배출 장치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용지받이 위에는 상기 시이트 분류 장치 대신에 상기 용지 배출 롤러보다도 시이트 이송 방향 하류측에 시이트를 이송하기 위한 중계 이송 장치를 착탈가능하도록 했다.(청구항8)
(9). (8)기재의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시이트 분류 장치 또는 상기 중계 이송 장치의 어느 한 장치가 장착 상태에 있는가에 의해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 정보의 전환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도록 했다.(청구항9)
(10). (9)기재의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상기 중계 이송 장치는 각각 서로 접속 상태가 상이한 접속기 단자를 구비한 접속기를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이 시이트 배출 장치측에 설치되고 이들 어느 한 접속기와도 연결될 수 있는 연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했다.(청구항10)
(11). 시이트를 배출하는 용지 배출 롤러와 이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를 받는 용지받이를 구비한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된 시이트의 배출 방향 단부를 가지런히 하는 거의 연직 방향인 벽과, 시이트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트로크 양만큼 왕복 이동하는 착탈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벽의 상부를 이 벽의 위쪽에서 덮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도록 했다.(청구항11)
(12). (11)기재의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착탈가능하도록 했다.(청구항12)
(13).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시이트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트로크 양만큼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트레이에서 받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도록 하고 있는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가동 트레이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이 검지 수단의 검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가동 트레이의 시이트 분류를 종료한 상기 가동 트레이를 조작부측에서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도록 했다.(청구항13)
(14).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시이트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트로크 양만큼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트레이에서 받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도록 하고 있는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를 상기 조작부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최초의 시이트를 받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도록 했다.(청구항14)
(15). (13) 기재의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가동 트레이의 왕복 운동 동작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원판형 회전체의 외주를 따라 반주(半周) 분의 영역에 마련된 마스크 판과, 이 마스크 판이 센서의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부동(不動)부재에 마련된 센서와의 조합에 의해 구성했다.(청구항15)
(16). (7) 내지 (15)기재의 어느 한 시이트 배출 장치는 시이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도록 했다.(청구항1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시이트 배출 장치의 예
시이트 배출 장치로서는 시이트의 배출만을 행하는 단순한 기능의 기계 장치가 포함되지만, 본 예에서는 도 2에 의해 화상 형성 수단을 구비한 시이트 배출 장치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시이트 배출 장치(1)는 전체로 상자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아래로부터 하단부(1D), 중단부(1M), 상단부(1U)의 거의 상자형인 3개의 유닛을 쌓아올린 듯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단부(1D)에는 용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끌어낼 수 있고 상이한 종류의 시이트를 수용하는 급지 카세트(3)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최상단의 급지 카세트(3)에만 시이트P가 수용되어 있다. 이들 4개의 급지 카세트(3)에는 회전에 의해 시이트P를 1매 분리하여 우측으로 송출하는 급지 롤러(3a)가 부가되어 있다. 이들 급지 카세트(3)의 각 우측에는 위쪽으로 연장하는 종 이송로(2)가 구성되어 있다. 종 이송로(2)에는 간격을 두고 이송 롤러(2a)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급지 롤러(3a)로부터 송출된 시이트P를 종 이송로(2)를 통하여 위쪽 중단부(1M)로 보낼 수 있다. 중단부(1M)에는 화상 형성부(4)와 본체부(5)가 마련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4)는 종 이송로(2)의 거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자형의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본체부(5)는 화상 형성부(4)의 하부 좌측면부에 일체적으로 구성된 거의 상자형인 구조체로 이루어지며 급지 카세트(3)의 위쪽에 위치를 점하고 있다.
화상 형성부(4)에는 이송 경로(2)의 연장 상, 아래로부터 위 순서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6), 화상 형성 수단(7), 정착 수단(8), 용지 배출 롤러(9)가 설치되고,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종이면에 대해 좌측, 즉 본체부(5) 위를 향하는 시이트 이송 방향A으로 시이트가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5)내에는 이 시이트 배출 장치(1)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시이트 배출 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레이저 기록 수단 등이 설치되어 있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6)는 종 이송로(2)로부터 이송해 오는 시이트P를 화상 형성 수단(7)의 전사 타이밍에 맞춰서 송출하도록 제어된다.
화상 형성 수단(7)은 감광체 드럼 및 이 감광체 드럼의 주위에 마련된 대전 수단, 현상 수단, 전사 수단, 감광체 클리닝 수단 등으로 이루어지며 공지의 전자 사진법을 이용한 프로세스에 의해 감광체상에 토너 화상이 형성되고 이 토너 화상이 전사 수단에 의해 시이트P에 전사되어 정착 수단(8)을 향하여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2, 도3에 있어서, 정착수단(8)을 통과하는 동안에 정착을 끝낸 시이트P는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시이트 이송 방향A으로 송출되어 용지받이(10)위에 낙하한다. 용지받이(10)는 본체부(5)의 상면부로 이루어지며 이 용지받이(10)는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인 경사면(10a)과, 이 경사면(10a)의 시이트 이송 방향A의 상류측 단부로, 용지 배출 롤러(9)의 바로 거의 아래에 연직 방향의 벽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벽(10b)과, 이 경사면(10a)의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측에 이어지는 수평면(10c)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2에 있어서 화상 형성부(4)의 상부에는 용지받이(10)위에 오버하여 걸려 있도록 하여 화상 판독부(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화상 판독부(11)의 지지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도3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판독부(11)와 본체부(5)와의 사이에는 지지벽(1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1, 도19, 도20 및 도23에도 지지벽(12)은 도면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화상 판독부(11)의 상면부는 판독용의 원고를 놓기 위한 원고대로 되어 있고,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판(21)이 마련되어 있다. 화상 판독 시에는 도2에 있어서 이 원고대 위에 원고를 놓고, 이동 광원(11a), 렌즈(11b), 촬상(撮像)소자(11c)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캐너에 의해 원고를 판독한다. 판독된 정보는 후술하는 CPU(도16참조)에 저장되고 이 판독 정보에 근거하여 본체부(5)내의 레이저 기록 수단에 의해 화상 형성 수단(7)의 감광체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도3에 있어서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송출되는 시이트의 시이트 이송 방향A과 수평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을 B방향으로 한다. 이 B방향은 도2에서는 종이면을 꿰뚫는 방향에 상당하다. 도2, 도3에 있어서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시이트 이송 방향A을 향하여 송출된 시이트P는 경사면(10a)상에 낙하하고 낙하한 시이트P는 경사면(10a)에 따라 이송 방향 상류측으로 미끌어져 이 시이트P의 상류측 단부가 벽(10b)에 부딪쳐서 정지한다. 다음에 이송되어 오는 시이트P도 마찬가지로 벽(10b)위에 낙하하고 이와 같은 반복 동작에 의해 경사면(10a)상에는 시이트P가 분류됨이 없이 중첩 상태로 정열되어 간다.
도4에 있어서 화상 판독부(11)의 B방향측 일단부는 차양 형상으로 돌출하여 있고 이 돌출부의 상면에 이 시이트 배출 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나 조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조작부(13)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5)의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시이트 후처리 장치(39)(도20참조)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용지받이(10)상에 정열된 시이트를 꺼낼 경우, 조작자는 통상 이 조작부(13)를 향해 서서 시이트의 취출 작업을 행한다.
이 시이트 취출작업이 쉽게 되도록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13)측 용지받이(10)의 상면부 일부는 아래쪽으로 도려내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최후의 시이트가 용지받이(10)위에 배출된 후, 용지받이(10)위에 정열되어 있는 시이트는 도3에 나타낸 오목부(14)에 손을 넣어서 용이하게 쥐어 낼수 있다.
이와 같은 시이트 배출 장치(1)에 있어서,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분류할 필요가 생긴 경우,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이트 분류 기능을 구비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용지받이(10)상의 상부에 장착한다. 시이트 분류 장치(16)는 용지받이(10)위에 착탈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용지받이(10)로부터 간단히 떼 낼수도 있다. 도3에 있어서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측으로, 수평면(10c)의 조작부(13)측에 마련한 계단부(5a)는 베이스(17) 착탈수단의 일부이다. 또한 지지벽(12)의 내측으로, 계단부(5a)에 거의 대향하는 부위에 마련한 단붙이기 나사(15)도 베이스(17) 착탈수단의 일부이다.
[2] 시이트 분류 장치의 예
도1, 도4는 도1, 도3에 나타낸 용지받이(10) 상부에 시이트의 분류 기능을 구비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 도4에 있어서, 시이트 분류 장치(16)는 베이스(17)의 위에 가동 트레이(18)가 배치되고 또한 베이스(17)와 가동 트레이(18) 사이에는 구동 수단(22)(도10 참조)이 마련되어 전체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수단(22)은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7)와 가동 트레이(18)에 의해 덮여지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1, 도4 등 외관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 구동수단(22)에 의해 가동 트레이(18)는 시이트 분류에 필요한 소정의 스트로크 양만큼 B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시이트 분류 장치(16)의 외관을 도6에 나타낸다. 가동 트레이(18)의 시이트 이송 방향A의 상류측 단부에는 연직방향으로 벽(18a)이 형성되어 있다.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용지받이(10)위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가동 트레이(18)의 벽(18a)은 용지받이(10)의 벽(18b)에 B방향과 평행하여 인접 배치된 상태로 된다.
가동 트레이(18)의 상면부는 벽(18a)과, 벽(18a)의 하부로부터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의 상향인 경사면(18A)과, 이 경사면(18A)에 이어지는 수평면(18C)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6에 있어서,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B방향의 중앙부에서 절단선C-C에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를 도7에 나타낸다. 도7에 있어서, 가동 트레이(18)의 안쪽에는 이 가동 트레이(18)와 일체로 2개의 안내판(18b,18c)이 간격을 두고 B방향과 평행, 즉 벽(18a)과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안내판(18b,18c)은 B방향(종이면을 꿰뚫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하단면은 베이스(17)에 축받이된 롤러(17a,17b)에 맞대이고 있다.
롤러(17a,17b)는 도7의 종이면을 꿰뚫는 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가동 트레이(18)의 하중을 받아 가동 트레이(18)가 B방향(종이면을 꿰뚫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에 회전하여 가동 트레이(18)의 이동 저항을 경감한다.
가동 트레이(18)의 뒤쪽에는 하단부가 L자형으로 완곡되어 있고 완곡부가 각각 외향으로 되도록 구성된 안내판(18e), (18d)이 이 가동 트레이(18)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안내판(18e),(18d)의 각 하단 완곡부는 각각 베이스(17)에 형성된 피안내부(17c,17d)에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추고 있어 가동 트레이(18)가 뜨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동 트레이(18)가 B방향으로만 운동할 수 있도록 이동방향을 규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방향이 규제됨으로써 가동 트레이(18)위에서의 시이트 분류가 적정하게 행해짐과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캠 장치를 구비한 구동수단(22)에 의한 가동 트레이(18)의 왕복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7에 있어서, 베이스(17)에 관하여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측 단부로, 조작부와 반대측(종이면을 꿰뚫는 안쪽)의 벽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역 U형상의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6에 있어서, 베이스(17)의 조작부측, 동시에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단 측벽부에는 계단 형상으로 절삭된 형상의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붙이기 나사(15)의 계단부 직경(d1)은 오목부(19)의 직경에 끼워맞출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구성하고 있는 베이스(17)를 용지받이(10)위에 장착할 때,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19)를 단붙이기 나사(15)(도3 참조)의 계단부에 걸어 맞추고 동시에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20)를 계단부(5a) (도3 참조)에 각각 걸어 맞춘다.
이와 같은 걸어맞춤에 의해 용지받이(10)상에서의 베이스(17)의 위치, 나아가서는 시이트 분류 장치(16)의 위치가 특정된다. 오목부(19)와 단붙이기 나사(15) 및 오목부(20)와 계단부(5a)의 각 조합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상하방향으로부터 걸어 맞춤이 가능한 돌출부와의 조합을 구성하고 있고, 이들 부재나 형상부는 용지받이(10)에 대하여 베이스(17)를 위쪽으로부터 간단히 착탈할 수 있고 위치도 결정할 수 있는 착탈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 착탈수단에 의해 베이스(17) 나아가서는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간단히 용지받이(10)상의 소정 위치에 착탈할 수 있다. 이 착탈수단에 의한 장착 상태에 있어서,가동 트레이(18)의 이동 방향을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관계, 동시에 벽(18a)을 벽(18b)에 인접하여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P를 양호하게 받을 수 있을 듯한 관계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양호하게 분류가 행해질 수 있는 위치에 간단히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소형으로 일체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는 시이트 분류 장치(16)는 착탈수단을 통하여 용지받이(10) 상부에 간단히 장착할 수 있다. 이 장착 상태에서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배출된 시이트가 가동 트레이(18)로 배출된다.
가동 트레이(18)에서의 정열의 원리는 상기 용지받이(10)에 있어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는 경사면(18A) 위에 낙하하고 낙하한 시이트P는 중력에 의해 경사면(18A)에 따라 이송 방향A의 상류측으로 미끌어지고 이 시이트P의 배출 방향 단부 즉 상류측 단부가 벽(18a)에 부딪쳐 정지하여 가지런히 된다.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분류할 경우, 미리 가동 트레이(18)를 B방향의 조작부측으로 이동시켜 두고 이 이동 위치에서 소정 매수의 시이트P를 받고 계속하여 가동 트레이(18)를 B방향의 조작부측과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이 이동위치에서 소정 매수의 시이트P를 받는 이와 같은 동작을 행함으로써 가동 트레이(18)위에 소정 매수별의 그룹으로 시이트를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시이트P가 분류된 상태를 도5, 도9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최초로 분류된 그룹의 시이트를 P1, 다음에 분류된 그룹의 시이트를 P2…로 하면, P1, P2, P3…과 같이 분류된다. 이들 도5,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분류된 각 그룹의 시이트는 벽(18a)에 의해 가동 트레이(18)위에 정확히 정열된다.
가동 트레이(18)의 벽(18a)과 용지받이(10)의 벽(18b)은 근접한 위치에 있다. 가동 트레이(18), 용지받이(10)는 다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받는 것이므로 용지받이(10)에 시이트를 받는 경우와 가동 트레이(18)에 시이트를 받는 경우에 시이트 이송 거리는 변하지 않아 종래 기술과 같이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거리를 띄워서 가동 트레이(18)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시이트 이송거리는 가급적으로 단축되어 있으므로 시이트 분류 모드에 있어서의 처리 시간이 단축된다.
도6에 있어서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구동수단(22)이 마련된 부위를 통과하는 절단선D-D에 따라 절단했을 때의 단면을 도9에 나타낸다. 도9에 있어서, 구동수단(22)은 가동 트레이(18)의 시이트 이송 방향A과 직교하는 B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구동수단(22)을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구동수단(22)은 연직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높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가동 트레이(18) 중, 높이가 높은 수평면에 상당한 부위로, B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동수단(22)을 중앙부에 배치하면, B방향의 적어도 조작부측 측단부를 중앙부보다도 낮게 하여도 시이트P를 받음에 있어서는 문제 없다.
본 예에서는 조작부측, 조작부와 반대측의 양측에 관하여 가동 트레이(18)의 B방향의 측단부를 높이h만큼 낮게 하고 있다. 조작부와 반대측 부위는 지지벽(12)이 있으므로 조작부와 반대측으로부터는 가동 트레이(18)상의 시이트를 꺼낼수 없어 시이트 취출은 오로지 조작부측에 한정된다. 따라서 조작부측에 관하여 상기 높이h만큼 낮아진 단차(斷差)부로부터 손을 넣을 수 있어 가동 트레이(18)상의 시이트P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구동수단(22)을 상기 예와 같이 B방향의 중앙부가 아닌 예컨대 조작부측 가까이에 마련한 경우에는, 그 부위로부터 나아가 조작부측 부위에 시이트 취출용의 단차부 영역을 부가하지 않으면 안되어 장치 전체 크기가 커진다.
그 점을 본 예와 같이, 구동수단(22)을 B방향의 중앙부에 설치하면 본래의 가동 트레이 범위에서 단차부 영역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구동수단(22)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9, 도10에 있어서 이 구동수단(22)은 베이스(17)에 마련한 캠 장치와, 가동 트레이(18)와 일체인 안내부로 이루어진다. 캠 장치는 모터(23)와, 원판형의 캠(24)과, 미끄럼 운동부재(25)를 주요한 요소로 하고 있다. 또 캠(24)에는 상기 가동 트레이(18)의 왕복 운동 동작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원판형의 회전체(26)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모터는 베이스(17)의 윗면으로, B방향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23)의 회전축(23a)은 캠(24)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량L만큼 어긋난 위치에서 이 캠(24)에 끼워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체(26)의 중심위치와 회전축(23a)의 중심은 합치되어 있다. 회전체(26)의 외주에 따라 반주 분의 영역에는 마스크판(27)이 마련되어 있다. 센서(28)는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발광부(28a)와 수광부(28b)를 구비하며, 발광부(28a)와 수광부(28b) 사이에 마스크 판(27)이 위치하도록 마스크 판(27)을 검출하는 배치로 센서(28)는 부동부재 예컨대 베이스(17)에 고정되어 있다.
이 마스크 판(27)과 센서(28)에 의해 검지 수단(29)이 구성된다. 이 검지 수단(29)에 의해 가동 트레이(18)의 왕복 운동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미끄럼 운동부재(25)는 적어도 한쌍의 대응변 끼리 평행인 부위를 구비하는 판상체, 본 예에서는 정방형을 한 판상부재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에 홀(2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홀(25a)에 캠(24)이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끼워맞춰지고 이것에 의해 미끄럼 운동부재(25)는 캠(24)을 지지하고 있다.
도9, 도11A,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트레이(18)의 뒷면에는 안내부로서 2개의 리브(30,31)가 시이트 이송 방향A과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리브(30,31)간에 미끄럼 운동부재(25)가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용지받이(10)에 장착된 상태에 있는 시이트 분류 장치(16)에 있어서, 가동 트레이(18)는 도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내판(18b,18c), 피안내부(17c,17d)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동 방향이 B방향으로 규제되어 있으므로 모터(23)를 임의의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미끄럼운동부재(25)가 리브(30,31)에 따라 미끄럼 운동함과 동시에 도11A,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의 편심량2×L의 스트로크로 가동 트레이(18)를 B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편심한 캠을 모터(23)에 연결한 기구에 의해 제어가 복잡하게 되는 정역전 모터를 사용함이 없이 가동 트레이(18)를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 트레이(18)를 왕복운동시킨 경우에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트레이(18)상에 최초로 분류되는 그룹의 시이트P1와 다음에 분류되는 그룹의 시이트 P2와 어긋나는 양은 2×L로 된다.
도4를 참조하면 조작부측과 반대측에는 지지벽(12)이 있고 또한 가동 트레이(18)위로부터 바라보아서 시이트 이송 방향A의 상류측이나 하류측에는 화상 형성부(4), 후처리 장치(39)(도20참조) 등이 있기 때문에 시이트 취출 동작이 되지 않아 시이트 취출은 오로지 조작부측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편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 트레이(18)의 조작부측에 높이h의 계단부를 형성하여 중앙부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시이트 묶음을 꺼내기 쉽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시이트의 분류를 종료한 시점에서 가동 트레이(18)를 조작측에서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면 시이트의 취출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가동 트레이(18)위에 최초의 시이트를 받을 때에는 미리 가동 트레이(18)를 조작부측과 반대측에 위치시켜 두고 이 위치로부터 최초의 시이트를 받도록 하면, 도5, 도9,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트레이(18) 상의 최하위 그룹의 시이트를 잡기만 하면 그 위의 그룹의 시이트를 포함한 전체 시이트를 용이하게 잡아낼 수 있다.
가동 트레이(18)의 위치 설정에 관한 이와 같은 제어는 본체부(5)의 내부에 마련된 제어 수단과 검지 수단(29)을 이용하여 행한다. 제어수단은 도16에 나타낸 CPU(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CPU(32)는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시이트 배출 장치의 전체 제어도 행하는 것으로, ROM(33)으로부터 데이터를 입력하고 RAM(34)과 정보 주고 받음 등을 행하며 센서(28)나 연결기(4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또한 조작부(13)의 원고 매수, 복사 부수, 분류 유무, 적재 모드, 스태플 처리에 관한 지시 등을 받아 조작부(13)에 있어서의 조작 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하거나, 가동 트레이(18)의 위치 설정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입력 정보로서 이들 정보를 구동수단(22)으로 보내 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하는 등 제어를 실행한다.
도11A,11B에 있어서, 캠(24) 및 회전체(26)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바늘방향으로 회전한다고 할 때, 도11A는 마스크 판(27)이 센서(28)의 발광부(28a)와 수광부(28b)와의 사이를 통과한 직후, 즉 수광부(28b)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전환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며 이 때 가동 트레이(18)가 가장 조작부측으로 위치하도록 캠(24)의 회전 위치를 조정한다.
또한 도11B는 마스크 판(27)이 센서(28)의 직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수광부(28b)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될 때의 상태를 나타내며 이 때 가동 트레이(18)가 가장 조작부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캠의 회전 위치를 조정한다.
따라서, 센서(28)가 온 혹은 오프로 전환하는 상태를 CPU로 감시함으로써 가동 트레이(18)가 조작부 측에 치우쳐 있는 상태에 있는지 혹은 조작부 측과 반대측에 치우쳐 있는 상태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CPU(32)는 조작부(13)로부터의 입력 정보인 화상 형성의 처리 상황을 파악하고 있으므로 가동 트레이(18)의 분류 처리의 종료 시기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정보를 종합 판단하여 시이트 분류를 종료한 가동 트레이(18)를 조작부측에서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동 트레이(18)를 조작부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최초의 시이트를 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사용하여 시이트를 분리할 경우, 용지 배출 롤러(9)의 높이는 변화시키지 않고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용지받이(10)위에 설치하므로 용지받이(10)의 시이트 받이면보다도 가동 트레이(18)의 시이트 받이면 높이가 시이트 분류 장치(16)의 높이 만큼 높아진다. 이 때문에 시이트의 정열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각종 실험에 의해 도13에 있어서, 가동 트레이(18)의 경사면(18A)상에서 임의의 위치Q1에 있어서의 시이트 이송 방향 경사각도θ1를 이 임의의 위치Q1에 대향하는 용지받이(10)의 경사면(10a) 위치Q2에 있어서의 시이트 이송 방향 경사각도θ2보다도 크게 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가동 트레이(18)의 높이가 용지받이(10)의 높이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가동 트레이(18)상에 양호한 시이트 정열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용지받이(10)위에 장착할 때, 가동 트레이(18)의 벽(10a)의 위치가 용지받이(10)의 벽(10b) 위치보다도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측으로 어긋난다. 이 때문에 용지받이(10)의 벽(10b) 위치를 용지 배출 롤러(9)와의 관계에서 최적한 용지 배출 롤러(9) 바로 아래 위치에 설정하여도 가동 트레이(18)의 벽(18a)은 용지 배출 롤러(9)의 하류측으로 어긋나 용지 종류에 따라서는 시이트 후단부가 벽(18a)을 넘을 수 없어 벽(18a)에 걸려 시이트 정열에 지장이 생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 대책으로서 도14에 있어서 벽(10b)의 B방향 위치에 3개소, 표적 및 장착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노치부(33)를 형성하고 이 노치부(33)에 착탈가능한 안내 부재(34)를 장착하였다.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부재(34)는 찔러넣을 수 있는 홈상부(34c)와, 이 홈상부(34c)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안내 부재(34a)와 클릭부(34b)를 구비한다.
안내 부재(34)를 장착하는 데는, 이 홈상부(34c)를 노치부(33)에 걸어 맞추는 동시에 클릭부(34b)의 탄성을 이용하여 노치부(33) 하부의 벽(10b)에 형성한 오목부(33a)에 클릭부(34b)를 걸어 맞춘다. 이 장착상태에 있어서, 안내부(34a)는 벽(10b)의 상부를 이 벽(18a)의 위쪽에서 덮는다.
안내부(34a)는 벽(18a)의 위쪽에 오버하여 걸려 있는 상태로 위치하고 이 안내부(34a)의 시이트 이송 방향A 하류측 면은 도면에서 왼쪽이 기울어진 급사면(急斜面)으로 이루어지는 안내면을 구비한다. 이 안내면은 벽(18a)보다도 시이트 이송 방향A하류측에 위치하여 시이트 후단부를 확실하게 벽(18a)내로 안내한다. 또 안내부(34a)는 벽(10b) 중, 노치부(33)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하기 위하여 노치부(33)보다도 높이 K만큼 높게 되어 있다.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용지받이(10)에 장착함에 따라 이와 같이 안내 부재(34)를 벽(10b)을 이용하여 장착함으로써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 후단부를 확실하게 안내하여 벽(18a)보다도 시이트 이송 방향A 하류측으로 이송하여 정열시킬 수 있다. 안내 부재(34)는 벽(10b)에 대해 착탈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장착, 또한 떼낼 수 있다.
[3] 중계이송장치의 예
도1, 도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시이트 분류 장치(16)가 장착되는 시이트 배출 장치(1)는 이 시이트 분류 장치(16)가 장착되는 부위의 위쪽에 화상 판독부(11)가 위치하여 있으므로 가동 트레이(18)위에 놓여지는 분류 시이트 양에 제한이 있다. 또한 시이트 분류 장치(16)는 시이트 분류 기능밖에 구비하지 않으므로 예컨대 스태플 처리나 펀치 처리 등을 행할 수 없다.
분류 시이트 양을 대량으로 하거나 스태플처리를 행하는 등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본 예에서는 본체부(5)의 시이트 이송 방향 하류 단부에 용지 배출 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용지 배출 장치로서는 시이트 분류 기능을 구비하는 제2 용지 배출 장치나 후처리 장치 등을 들수 있다. 본체부(5)의 시이트 이송 방향 하류 단부에 제2 용지 배출 장치를 장착한 예를 도19, 후처리 장치를 장착한 예를 도20에 각각 나타낸다.
도19에 나타낸 예를 설명한다. 제2 용지 배출 장치(35)는 대량으로 배출되는 시이트를 분류하고자 할 때만 이용된다. 스태플 처리가 필요한 때에는 후처리 장치를 사용한다. 제2 용지 배출 장치(35)는 본체부(5)의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용지 배출 장치(35)는 시이트 이송 방향A과 직교하는 B방향으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운동시켜 시이트를 분류할 수 있는 가동 트레이(35a)와, 가동 트레이(35a)를 구동시키기 위한 시프트 기구(35b)로 이루어진다. 이 시프트 기구(35b)로서는 도10, 도11에서 설명한 구동 수단을 적용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다른 시프트 기구를 적용할 수도 있다. 가동 트레이(35a) 는 상하 운동할 수 있으므로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대량의 시이트를 적재할 수 있다.
제2 용지 배출 장치(35)를 본체부(5)의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 단부에 장착한 경우는, 용지받이(10)상에 시이트 분류 장치(16) 대신에 중계 이송 장치(38)를 장착한다. 중계 이송 장치(38)의 주요한 기능은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배출되는시이트를 제2 용지 배출 장치(35)로 중계 이송하는 것이며, 부차적 기능으로서 시이트를 적재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는 중계 이송 장치(38) 내의 진로(進路) 전환톱(36)에 의해 진로를 2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 쪽 진로는 롤러를 구비하는 이송로(38a)를 거쳐 가동 트레이(35a)에 이르며, 다른 한쪽 진로는 제2용지 배출 롤러(38b)를 거쳐 시프트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용지받이(38c)에 이른다.
도20에 있어서, 후처리 장치(39)는 본체부(5)의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후처리 장치(39)는 시이트 적재량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용지받이(39a)와, 시이트 묶음에 대하여 스태플 처리할 수 있는 스태플 장치를 내장한 시이트 처리부(39b)를 구비한다. 또한 용지받이(39a)는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스트로크량 만큼 왕복 운동하여 시이트 처리부(39b)를 거친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을 분류할 수 있다.
후처리 장치(39)를 본체부(5)의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 단부에 마련함에 따라 시이트 이송을 위한 용지받이(10)위에 시이트 분류 장치(16) 대신에 중계 이송 장치(38)를 장착한다. 용지 배출 롤러(9)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환톱(36)에 의해 진로를 2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어 후처리 장치(39) 또는 용지받이(38c)로 보내진다.
이들 예에서 중계 이송 장치(38)를 용지받이(10) 위에 착탈가능하게 위치 정하여 설치하는 수단은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용지받이(10)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단과 공통하며, 도3 등에서 나타낸 계단부(5a)나 단붙이기 나사(15)를 이용하여행한다.
이와 같이, 시이트 배출 장치(1)에 의한 용지 배출 처리의 형태는 크게 나누어 ① 용지받이(10)를 사용하는 형태, ②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형태, ③ 중계 이송 장치(38)와 제2 용지 배출 장치(35)를 세트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형태, ④ 중계 이송 장치(38)와 후처리 장치(39)를 세트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형태, 등 4개 형태가 있다. 이들 사용 형태에 따라 조작부(13)의 표시 내용이 적절하게 전환된다.
상기①의 경우에는, CPU(32)는 용지받이(10)상에 시이트 분류 장치(16)나 중계 이송 장치(38)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부터 용지받이(10)가 사용됨을 인식하여 조작부(13)에는 분류 처리 및 스태플 처리에 관한 조작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상기②의 경우에는, CPU(32)는 용지받이(10)상에 시이트 분류 장치(16)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여 조작부(13)에 분류 처리에 관한 조작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③의 경우에는, CPU(32)는 용지받이(10)상에 중계 이송 장치(38) 및 그 하류에 제2 용지 배출 장치(35)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여 조작부(13)에 분류 처리에 관한 조작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④의 경우에는, CPU(32)는 용지받이(10)상에 중계 이송 장치(38) 및 그 하류에 후처리 장치(39)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여 조작부(13)에 분류 처리에 관한 조작 정보를 표시한다.
조작부(13)에 있어서의 조작 정보 전환에 관한 구체예를 도21, 도22에 의해 설명한다. 도21은 도4에 나타낸 조작부(13)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21에 있어서 조작부(13)에는 액정 패널(13-1)이 있고 이 액정 패널(13-1)의 우측 부근에 상반되는 방향의 화살표 표시로 이루어지는 터치 스위치(13-2a),(13-2b)가 표시 상태에 있다.
도면 중 액정 패널(13-1)의 좌측 아래에는 분류 처리인가, 스태플 처리인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키(13-3)가 있다. 이 선택 키(13-3)의 표면에는 발광 소자(LED)에 의한 발광 표시부(13-3a)가 마련되고 또한 [분류/스태플]이라고 인자 표시되어 있다.
그 외, 도면 중 액정 패널(13-1)의 아래쪽에는 양면 모드 지정 키, 확대/축소의 전환 키, 용지 지정 배율 변환 키, 등배 지정 키, 농도 조정 키 등이 배치되어 있다.
[1]
상기 ①의 경우에서는 액정 패널(13-1)에는 화상 형성을 위한 표준 조작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이 표준 조작 정보의 내용은 텐 키, 처리 매수 예컨대, 복사 매수, 용지 사이즈, 변환배율 등이 있다. 또한 선택 키(13-3)는 기능 상태가 아니며 발광 표시부(13-3a)도 꺼진 상태를 유지하고 선택 키(13-3)를 눌러도 액정 패널(13-1)의 표준 조작 정보의 표시 상태에 변화는 없다.
[2]
상기 ② 또는 ③의 경우에서는 선택 키(13-3)가 기능 상태로 되고 발광 (13-3a)가 켜진 상태로 됨과 동시에 액정 패널(13-1)이 표준 조작 정보의 표시 상태로부터 도22A에 나타낸 표시 상태로 전환된다.
도22A에 있어서, 액정 패널(13-1)이 상하 2개 난(欄)으로 나뉘고 위쪽 난 좌측에는선택 키(13-3)의 이름인 〈분류/스태플〉의 문자가 표시되고 우측에는 터치 스위치(13-2a), (13-2b)에 의해 지시 내용을 선택할 수 있음을 표시하는 마크(13-1a)가 표시된다. 아래쪽 난의 상부 좌측에는 [분류]의 문자와 도형에 의한 분류 상태가 표시되고 우측에는 [적재]의 문자와 도형에 의한 적재 상태가 표시된다. 선택 표시 마크(13-1a)의 선택에 의해 [분류], [적재]를 전환시킬 수 있다. 시이트 분류 장치(16) 및 제2 용지 배출 장치(35)에 스태플 기능은 없으므로 어떤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도 스태플의 선택은 할 수 없다.
아래쪽 난의 하부 우측에는 [해제], [OK]의 각 문자에 의한 스위치가 표시된다. 여기서 통상의 화상 형성 작업에서는 분류 모드를 사용함이 많으므로 분류 모드가 우선 선택되고 그 상태를 명시하기 위해 아래쪽 난의 상부 좌측의 [분류]의 문자와 분류 상태를 나타내는 도형 부분이 흑백 반전한 반전 표시 상태로 되어 있다. 적재 모드로 전환시키는 데는 터치 스위치(13-2b)를 누르면 된다. 적재 모드로부터 나아가 분류 모드로 복귀시키는 데는 터치 스위치(13-2a)를 누르면 된다.
도22A에 표시된 화면에 있어서, 조작 정보를 선택 지정한 후, 이 선택 지정된 조건을 유지한 채로 [OK] 키를 누르면 표준 조작 정보의 표시 상태로 변하여 더한층의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 지정한 조건을 해제하는 데는 [해제] 스위치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지정한 조건은 해제되고 표준 조작 정보의 표시 상태로 변한다.
[3]
상기 ④의 경우에서는 어느 것이나 선택 키(13-3)가 기능 상태로 되고 발광 표시부(13-3a)가 켜진 상태로 됨과 동시에 액정 패널(13-1)이 표준 조작 정보의 표시 상태로부터 도22B에 나타낸 표시 상태로 전환된다.
도22B의 표시 내용이 도 22A와 다른 점은 아래쪽 난의 좌측 아래에 [스태플] 문자에 의한 터치 스위치가 추가 표시된 것이다. 터치 스위치(13-2b)를 누름으로써 [스태플] 문자부가 반전 표시되어 스태플 모드가 선택된다.
스태플 모드를 해소하는데는 반전 표시되어 있는 [스태플] 문자부를 누르면 반전 표시가 해제되고 스태플 처리가 없는 분류 모드가 우선 선택된 상태로 된다. 적재 모드로 하는데는 터치 스위치(13-2b)를 누른다.
도22B에 표시된 화면에 있어서,조작 정보를 선택 지정한 후, [OK]스위치를 누르면, 누르기 전에 선택 지정된 조건을 유지한 채로 화면 표시가 표준 조작 정보의 표시 상태로 변하여 더 한층의 조건을 지정할 수 있도록 된다. 지정한 조건을 해제하는데는 [해제] 스위치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 지정한 조건은 해제되어 표준 조작 정보의 표시 상태로 변한다.
이와 같이 CPU(32)는 용지받이(10)위에 시이트 분류 장치(16) 또는 중계 이송 장치(38)가 장착상태에 있느냐, 어느것도 장착상태에 있지 않느냐 등 상태를 인식함으로써 조작부(13)에 있어서 조작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환시킨다.
이와 같은 자동 전환을 행하기 위하여, 도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이트 분류 장치(16)에는 이 시이트 분류 장치의 모터(23), 센서(28)와 접속된 선의 선단부에 접속기(41)를 마련하고, 또 도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 이송 장치(38)에는 이 중계 이송 장치의 구동이나 제어에 관련되는 선의 선단부에 접속기(42)를 마련하고 있다.
이들 접속기(41,42)는 연결기(40)와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연결기(40)는 상기 도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PU(32)와 접속되어 있다. 예컨대, 시이트 분류 장치(16)를 시이트 배출 장치(1)에 장착했을 때에는 접속기(41)를 연결기(40)에 연결하는 조작이 행해진다. 또한 중계 이송 장치(38)가 시이트 배출 장치(1)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접속기(42)를 연결기(40)에 연결하는 조작이 행해진다.
CPU(32)는 접속기(41,42) 중 어느 하나도 연결기(4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는 상기 ①의 상태에 있다고 인식하고, 접속기(41)가 연결기(40)에 연결되어 있을 때는 상기 ②의 상태에 있다고 인식하며, 접속기(42)가 연결기(40)에 연결되어 있을 때는 상기 ③ 또는 ④의 상태에 있다고 인식한다. 상기 ③의 상태는 제2 용지 배출 장치(35)에 의해 분류 처리가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④의 상태는 후처리 장치(39)에 의해 분류 처리와 스태플 처리가 가능한 상태이다.
상기 ③의 상태이냐, 상기 ④의 상태이냐를 인식하기 위해, 상기 연결기(40)와 별도록 미도시한 보조 연결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제2 용지 배출 장치(35) 및, 후처리 장치(39)에는 각각 상기 보조 연결기와 접속 가능한 보조 접속기를 준비해 둔다. CPU(32)는 상기 보조 연결기에 대한 상기 각 보조 접속기의 어느 하나가 접속되었는지 여부의 접속 상태에 의해 상기 ③의 상태이냐 상기 ④의 상태이냐를 식별한다.
예컨대, 제2 용지 배출 장치와 일체적인 상기 보조 접속기가 상기 보조 연결기와 연결 상태에 있으면, CPU(32)는 상기 ③의 상태를 인식하고, 후처리 장치(39)와 일체적인 상기 보조 접속기가 상기 보조 연결기와 연결 상태에 있으면 상기 ④의 상태를 인식한다. 이들 인식에 근거하는 인식 결과에 따라 조작 정보를 전환한다. 상기 인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보조 연결기 및 상기 각 보조 접속기의 단자 배열이나 선 연결 상태는 도18에 의해 설명하는 연결기(40)와 접속기(41),(42) 등에 따른 내용으로 할 수 있다.
도18에 있어서, 연결기(40)는 T1, T2, T3, T4의 4개 단자를 구비하며 이들 어느 단자도 CPU(32)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중계 이송 장치(38)의 접속기(42)는 t1, t2, t3, t4의 4개 접속기 단자를 구비하며 접속기 단자t1과 접속기 단자t2가 미리 단락되어 인식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시이트 분류 장치(16)의 접속기(41)는 4개의 접속기 단자중, t1', t2', t3', t4' 중, 접속기 단자t1'과 접속기 단자t3'가 미리 단락되어 인식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CPU(32)는 접속기 단자T1를 통하여 출력한 신호가 접속기 단자T2를 거쳐 입력되었을 때에는 중계 이송 장치(38)가 장착되어 있다고 인식할 수 있으며 접속기 단자T1를 통하여 출력한 신호가 접속기 단자T3를 거쳐 입력될 수 있다면 시이트 분류 장치(16)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접속기 단자T4는 접속기 단자t4나 접속기 단자t4'와 접속됨으로써 정보 주고받음이나 전원 입력에 사용된다. 이외의 미도시한 접속기 단자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나아가 연결기(40)에 어느 접속기의 접속도 없을 때에는 시이트 분류 장치(16), 중계 이송 장치(38)의 어느 것도 장착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CPU(32)는 용지받이(10)가 사용되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서술한 예에서는 용지받이(10)의 위쪽에 화상 판독부(11)가 위치하고 용지받이(10)위에 베이스(17)가 설치되는 타입이며 베이스(17) 두께 만큼 가동 트레이(18)상에 적재되는 시이트 양이 제한된다. 그래서 가동 트레이(18)상의 시이트 적재량을 늘이는 방책으로서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7)와 구동수단을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측부에 소형으로 해서 구동·베이스(43)부로서 구성한 시이트 분류 장치(16')로서 구성한다.
이 경우에는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5)의 시이트 이송 방향A의 하류측부에 미리 구동·베이스(43)부를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의 수납부를 형성하여 둔다.
이것에 의해 베이스(17)의 두께 만큼 가동 트레이(18)상의 시이트 적재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청구항1기재의 발명에서는 가동 트레이를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시이트 배출 장치 단독으로 구비하지 않으므로 보다 소형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에서는 시이트 배출 장치의 일부인 베이스를 간단히 용지받이에 위치를 특정하여 착탈 가능하며, 올바른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3기재의 발명에서는 가동 트레이 상의 시이트를 조작부 측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장치의 대형화를 피할 수 있다. 청구항4기재의 발명에서는 가동 트레이를 구동하는 캠 장치를 간단한 수단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5기재의 발명에서는 가동 트레이의 이동 방향이 규제되므로 캠 장치에 의해 가동 트레이의 왕복 운동이 가능하며, 또한 가동 트레이상에서의 분류가 적정하게행해진다. 청구항6기재의 발명에서는 가동 트레이상에 양호한 시이트의 정열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7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시이트 분류 장치를 용지받이 상에 장착하여 시이트 이송 거리는 가급적으로 단축하여 시이트 분류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청구항 8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시이트 분류 장치 대신에 장착한 중계 이송 장치를 통하여 임의의 시이트 후처리 장치로 시이트를 배출할 수 있고 각종 처리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9기재의 발명에서는 시이트 분류 장치, 중계 이송 장치 등 장착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작부의 표시가 전환되므로 조작자는 그 표시 내용에 따라 적절한 조작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청구항10기재의 발명에서는 접속기의 접속 상태에 의해 간단히 중계 이송 장치, 시이트 분류 장치 등 장착 정황을 식별할 수 있다. 청구항11기재의 발명에서는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의 후단부를 확실하게 안내하여 가동 트레이상으로 송출할 수 있다. 청구항12기재의 발명에서는 안내 부재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청구항13기재의 발명에서는 가동 트레이 상의 시이트 묶음의 취출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4기재의 발명에서는 맨 아래의 시이트 묶음이 조작부측으로 돌출한 상태이므로 이 맨 아래 시이트 묶음을 잡기만 하면 가동 트레이상에 분류된 시이트묶음의 전체를 잡아낼수 있어 취출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15기재의 발명에서는 검지 수단에 의해 가동 트레이의 왕복 운동 위치를 간단히 검지하여 시이트 배출 상태에 따라 가동 용지받이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청구항16기재의 발명에서는 화상 형성 기능을 구비한 시이트 배출 장치에 대하여 간단히 시이트 분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Claims (16)

  1.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 운동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하며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을 분류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를 상기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용지받이 상부에 착탈가능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을 동작시켜서 상기 가동 트레이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
  2.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 운동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용지받이에 대해 상기 가동 트레이를 지지하는 베이스가 착탈가능하며,
    상기 용지받이에 대한 상기 베이스의 착탈 수단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용지받이 간에 마련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상하 방향으로 걸어맞춤이 가능한 돌출부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
  3.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 운동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의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상기 가동 트레이의 구동 수단을 마련하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적어도 조작부측의 측단부를 상기 거의 중앙부보다도 낮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
  4.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 운동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의 구동 수단은 캠 장치를 구비하며 이 캠 장치는
    가동 트레이와 대향하는 베이스의 윗면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와,
    편심한 위치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는 원판형의 캠과,
    상기 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가동 트레이의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미끄럼 운동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는 상기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
  6.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받고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토로크 양만큼 왕복 운동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하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 및 용지받이의 각 시이트 받이 면은 시이트 이송 방향의 하류측으로 나아감에 따라 높아지는 상향인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가동 트레이의 경사면상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시이트 이송 방향의 경사 각도는 이 임의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용지받이의 경사면 위치에 있어서의 시이트 이송 방향 경사 각도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분류 장치.
  7. 용지받이 및 용지 배출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시이트 분류 장치를 상기 용지받이 상부에 착탈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배출 장치.
  8. 용지받이 및 용지 배출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받이 상부로, 상기 용지 배출 롤러의 시이트 이송 방향 하류측에 시이트 배출 장치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용지받이 위에는 상기 시이트 분류 장치 대신에 상기 용지 배출 롤러보다도 시이트 이송 방향 하류측에 시이트를 이송하기 위한 중계 이송 장치가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배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시이트 분류 장치 또는 상기 중계 이송 장치의 어느 한 장치가 장착 상태에 있는가에 의해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 정보의 전환이 행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배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상기 중계 이송 장치는 각각 서로 접속 상태가 상이한 접속기 단자를 구비한 접속기를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이 시이트 배출 장치측에 설치되고 이들 어느 한 접속기와도 연결될 수 있는 연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배출 장치.
  11. 시이트를 배출하는 용지 배출 롤러와 이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된 시이트를 받는 용지받이를 구비한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된 시이트의 배출 방향 단부를 가지런히 하는 거의연직 방향인 벽과, 시이트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트로크 양만큼 왕복 이동하는 착탈가능한 가동 트레이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벽의 상부를 그 벽의 위쪽에서 덮는 안내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배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배출 장치.
  13.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시이트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트로크 양만큼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트레이에서 받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며, 본체부의 앞면에 치우쳐 위치하고, 동시에 스위치등을 구비하고 있는 조작부를 갖는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가동 트레이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이 검지 수단의 검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가동 트레이의 시이트 분류를 종료한 상기 가동 트레이를, 상기 본체부의 앞면에 치우쳐 위치하는 조작부측에서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배출 장치.
  14. 용지 배출 롤러로부터 배출되는 시이트를 시이트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류에 필요한 소정 스트로크 양만큼 왕복 이동 가능한 가동 트레이에서 받고 이 가동 트레이의 이동에 의해 시이트 또는 시이트 묶음의 분류를 행하며, 본체부의 앞면에 치우쳐 위치하고, 동시에 스위치등을 구비하고 있는 조작부를 갖는 시이트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트레이를 상기 본체부의 앞면으로 치우친 조작부측과 반대측으로부터 최초의 시이트를 받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배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가동 트레이의 왕복 운동 동작과 동기하여 회전하는 원판형 회전체의 외주를 따라 반주(半周) 분의 영역에 마련된 마스크 판과, 이 마스크 판이 센서의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부동(不動)부재에 마련된 센서와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배출 장치.
  16. 제7항 내지 제15항의 어느 한 시이트 배출 장치는 시이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배출 장치.
KR10-2000-0030723A 1999-06-08 2000-06-05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시이트 배출장치 KR100370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041399 1999-06-08
JP11-160413 1999-06-08
JP2000088691A JP2001058754A (ja) 1999-06-08 2000-03-28 シート仕分け装置及びシート排紙装置
JP2000-88691 2000-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954A KR20010020954A (ko) 2001-03-15
KR100370542B1 true KR100370542B1 (ko) 2003-01-30

Family

ID=2648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723A KR100370542B1 (ko) 1999-06-08 2000-06-05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시이트 배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4640B1 (ko)
JP (1) JP2001058754A (ko)
KR (1) KR100370542B1 (ko)
CN (1) CN1160236C (ko)
DE (1) DE1002836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7240B2 (en) * 2001-03-12 2003-11-11 Canon Kabushiki Kaisha Original feed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ensors
US6671472B2 (en) * 2001-03-15 2003-12-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US7722847B2 (en) 2002-09-30 2010-05-25 Evonik Degussa Gmbh Aqueous hydrogen peroxide solutio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535594B2 (en) * 2003-02-25 2009-05-19 Ricoh Company, Limited Scanning lens for optical scanner, optical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354848A (ja) * 2003-05-30 2004-12-16 Ricoh Co Ltd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87482B2 (ja) * 2005-11-29 2010-11-24 株式会社リコー 排出紙仕分け装置
US7597317B2 (en) * 2006-03-17 2009-10-06 Seiko Epson Corporation Stacker position changer, recording apparatus or liquid eject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2009157238A (ja) * 2007-12-27 2009-07-16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0058851A (ja) * 2008-09-01 2010-03-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4024283A (ja) 2012-07-27 2014-02-0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879313B2 (ja) * 2013-09-18 2016-03-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ES2670048T3 (es) * 2015-09-25 2018-05-29 Guangdong Fosber Intelligent Equipment Co., Ltd. Apiladores de láminas y método para la formación de apilamientos de láminas
EP3147244B1 (en) * 2015-09-25 2018-02-21 Guangdong Fosber Intelligent Equipment Co., Ltd. Sheet stacker and method for forming stacks of staggered bundles
JP6572819B2 (ja) * 2016-04-25 2019-09-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積載トレイ及びそれを備えたシート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7038357B2 (ja) * 2016-09-21 2022-03-18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加工処理装置及びスタッカ装置
JP6880628B2 (ja) 2016-09-30 2021-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JP6801346B2 (ja) * 2016-09-30 2020-12-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EP3600900B1 (en) * 2017-03-30 2022-05-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dule to increase medium storage capacity
JP7171242B2 (ja) * 2018-05-31 2022-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199838B2 (ja) * 2018-05-31 2023-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7251258B2 (ja) * 2019-03-28 2023-04-04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仕分け装置、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7463857B2 (ja) * 2020-06-05 2024-04-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仕分け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0052A (en) * 1979-04-19 1983-01-25 Canon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sorter
US5215300A (en) * 1985-03-15 1993-06-01 Canon Kabushiki Kaisha Tray apparatus
JPS6318376A (ja) * 1986-07-11 1988-01-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1187173A (ja) * 1988-01-21 1989-07-26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891677A (ja) 1994-09-29 1996-04-09 Konica Corp シート仕分け装置
JP3399667B2 (ja) 1994-11-17 2003-04-21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後処理装置
US5618035A (en) * 1994-11-25 1997-04-08 Gradco (Japan) Ltd. Offset stacker
JPH0986785A (ja) 1995-09-25 1997-03-31 Canon Inc 記録装置の排紙装置装着検知方法および記録装置および排紙装置
JP3410912B2 (ja) 1996-11-25 2003-05-26 株式会社リコー 搬送装置
US5737987A (en) * 1996-06-21 1998-04-14 Xerox Corporation Plural mode stacking system for slit sheets
JPH11130334A (ja) 1997-10-31 1999-05-18 Ricoh Co Ltd シート収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954A (ko) 2001-03-15
JP2001058754A (ja) 2001-03-06
DE10028363B4 (de) 2006-05-18
CN1160236C (zh) 2004-08-04
US6634640B1 (en) 2003-10-21
CN1276334A (zh) 2000-12-13
DE10028363A1 (de)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542B1 (ko) 시이트 분류 장치 및 시이트 배출장치
US7437093B2 (en) Sheet-processing system
US7441774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US734124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898395B2 (en) Multifunction printer with integrated scanner/stapler
US5263698A (en) Bind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ver sheet
KR100490078B1 (ko) 시트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69476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2006137610A (ja) シート排紙装置
US11027567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559825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terconnected sorters and control device therefor
US2009022535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1034116A (ja) 後処理装置、付属装置接続状態検出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276016B2 (ja) 複写機のマルチジョブ制御装置
JP2004238108A (ja) シート処理装置
JP3131465B2 (ja) 製本装置
JP3131464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3255583B2 (ja) 用紙処理装置
JP3088760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装置
JPH10249796A (ja) 穴あけ装置
JPH09297505A (ja) 作像装置
JP2006282396A (ja) 用紙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JPH04366856A (ja) シート処理システム
JPH061598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ト後処理装置
JPH04361095A (ja) 製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