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539B1 - 화상형성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539B1
KR100370539B1 KR10-1998-0011700A KR19980011700A KR100370539B1 KR 100370539 B1 KR100370539 B1 KR 100370539B1 KR 19980011700 A KR19980011700 A KR 19980011700A KR 100370539 B1 KR100370539 B1 KR 100370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toner
imag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045A (ko
Inventor
시게루 와타나베
마사루 다나카
하루지 미추이시
겐조우 타추미
도시타카 야마구치
다케오 수다
히로시 요시나가
켄 아메미야
마유미 오-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19980081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3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magnetic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유지부재, 상기 화상유지부재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장치, 상기 화상유지부재상의 잠상을 2성분계 현상제로서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 및 상기 2성분계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출하는 토너농도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화상이 전사부재상에 가시화상으로서 형성되고 출력된다. 상기 현상제에 대하여 최초의 설정이 이루어진 도중에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 동안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고, 상기 사전에 설정된 교반후에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출하며, 그리고 상기 검출결과가 사전에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때에 비정상적인 공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토너의 전하량 열화및 현상제의 부피감소를 회복하는 방법은 미사용상태 검출스위치를 검지하는 단계,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출력값을 검지하는 단계, 현상제를 교반하는 단계, 교반시간주기를 측정하는 단계, 교반작동을 중지시키는 단계, 경고를 지시하는 단계, 및 에러메세지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APPROPRIATE TONER DENSITY}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장치, 프린터 및 그와 유사한 장치와 같은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2성분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상제에서, 특히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및 그와 유사한 장치등과 같은 전자사진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용으로 활용되는 2성분방식의 현상제에 대하여는, 상기 현상제가 제조된 후 사용되지 않고, 사용되기전에 오랜기간 방치되는 동안 토너전하량과 토너부피들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토너의 감소된 전하량과 감소된 부피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을 발생시킨다. 토너의 전하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에, 화상 및 배경으로 부터 흘러내리는 토너의 오염이 발생하기 쉽고, 이는 토너의 낮은 전하상태에서는 토너와 담체 사이의 견인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기인한다. 이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큰 교반력을 갖는 상대적으로 큰 화상형성장치내에서 발생할 수는 없을 지라도, 적은 교반력을 갖는 상대적으로 적은 화상형성장치 내에서는 토너와 담체를 교반함으로서 토너의 감소된 전하량을 회복시키는 데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토너의 부피가 감소되면,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출력값 Vt의 잘못된검출에 따라서 아래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잘못된 검출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담체에 대한 토너의 혼합비 즉, 선적시와 같은 초기단계의 현상제 토너농도는 사전에 설정된 적절한 값으로 정규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현상제는 그 내부에 다소의 공기 간극(air gap)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사전에 설정된 부피를 갖는다. 그러나, 만일 상기 현상제가 오랜기간 동안 방치되면, 상기 부피는 현상제내의 공기 간극이 줄어들기 때문에 감소하는 것이다. 상기 부피의 감소에 따라서, 토너보다 무거운 담체가 현상제장치의 하부로 가라 앉는다. 이때, 토너농도 검출센서가 현상장치의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에 위치되어서, 단위 면적 및 시간당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에 의해서 통과된 자성재료로 이루어진 담체량이 전압값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제어장치가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출력값에 따라서 그 농도를 판단하여 적절하게 토너를 공급한다.
예를들면, 현상제의 감소된 부피의 경우, 토너농도 검출센서는 토너농도가 낮은 것처럼 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바, 이는 현상제가 오랜기간 동안 방치되었기 때문에 현상장치의 하부측에 가라앉은 담체성분을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가 검출하기 때문인 것이다. 이를 다르게 설명하면, 상기 토너농도가 변화하지 않는다 하여도, 담체에 대한 토너성분의 비율을 나타내는 토너농도가 적어지는 듯이 보이고, 이는 단지 담체가 토너농도 검출센서에 근접하여 집중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것이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잘못된 검출로 간주되는 것이다.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잘못된 검출에 따라서, 제어장치는 감소된 토너농도에 관련하여 현상장치의내부로 토너를 공급한다.
결과적으로, 담체에 대한 토너의 비율은 적정비율이상으로 증가한다. 단위 담체의 토너함유능력은 제한값을 가지며, 상기 담체의 함유 제한값을 초과함에 기인하여 담체에 의하여 함유되어질수 없는 토너는 정전기력에 의해서 풀어지고, 현상제의 담체로 부터 자유롭게 되며, 이 상태에서의 토너는 소위 부유토너(floating toner)인 것이다. 그런 다음, 화상품질은 상기 부유토너에 기인하여 화상으로 부터 토너의 흘러내림 및 배경오염을 초래하여 열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경오염, 실화상 분산 및, 토너분산이 발생하고, 토너 전하량의 감소와 현상제 부피의 감소에 의해서 화상품질의 열화를 초래하며, 이는 현상제를 오랜기감동안 사용하지 않고 방치한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제조시에 설정된 토너농도, 예를들면 2중량%를 갖는 표준현상제가 현상장치를 최초로 사용하고, 그리고 사용되어 오염된 현상제를 교환하는때에 사용되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오랜 기간동안 방치된 현상제는 이를 교반함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된 전하량과 그 부피를 회복한 후에 공급되어야만 하고, 그리고, 상기 전하량과 현상제 부피를 회복하기 위한 소요시간 주기는 현상제가 제조후 사용되기전에 방치되는 시간주기에 따르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회복을 위한 시간주기는 현상장치의 대전능력에 따르는 것이다. 종래의 현상장치에서는, 현상제의 많은 량, 예를들면, 1Kg이 설정되었고, 그 토너농도가 2중량 %정도로 낮으며, 현상장치의 현상제 대전능력은 높은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 토너의 전하량과 현상제의 부피는 상기 현상제가 오랜시간동안 방치되었던 것이라도,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주기동안 교반함으로서 대략 사전의 설정범위로 회복될수 있었던 것이었다. 따라서, 표준현상제에 대한 토너농도 검출센서는 사전에 설정된 토너농도값을 출력하는 것으로 간주되었거나 혹은, 사전에 설정된 상기 토너농도값이 토너농도 검출센서에 의해서 출력될 때까지 상기 표준 현상제를 교반함으로서 제어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현상장치내에 담겨지는 현상제량이 적어지게 되었고 예를들면, 대략 400g정도이어서 현상장치는 적은 크기로 제작될수 있었다. 그러나,현상장치내에 장착되는 현상제의 량이 적어졌다 하여도, 현상장치내의 토너 그 자체는 화상형성작동에 필요한 종래의 현상장치에서와 같은 유사한 토너량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상제의 토너농도는 예를들면 4중량%까지 높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장치에서는, 상기 현상제가 실제적인 수준의 대략 3분의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교반되는 경우에도,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가 항상 표준현상제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토너농도값을 출력하지 않으며, 이는 상기 현상장치의 대전능력이 낮기 때문인 것이다. 예를들면, 표준현상제가 3개월동안 방치되었을 때,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는 표준 현상제에 대하여 사전에 설정된 토너농도값을 출력하지만, 그러나 상기 표준현상제가 1년동안 방치되었다면, 상기 현상제가 사전에 설정된 토너농도값을 출력할때까지는 10분이 걸린다. 따라서, 그 내부에 장착되는 적은 량의 현상제를 갖고, 상대적으로 높은 토너농도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서, 만일 설정된 토너농도값이 종래의 경우와 같이,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표준현상제를 교반함으로서 출력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면, 상기 토너농도값은 결과적으로 잘못 검출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화상으로 부터의 토너흘러내림과 배경오염등이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현상제가 충분한 시간동안 교반되어 설정된 토너농도값이 출력된다면, 상기 교반시간주기는 실제적이지 못한 10분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었다. 더욱이, 상기 표준토너가 상기 설정된 토너농도가 출력될때까지 연속적으로 교반된다면, 상기 교반시간주기가 10분과 같이 긴시간동안 유지되는 가능성이 있고, 이는 오동작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내용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의 전하량과 현상제의 부피의 감소에 기인한 화상품질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간을 경과하여 열화된 현상제를 회복하는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다이어그램;
제 2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사용되지 않은 현상제 교반작동의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제 3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사용된 현상제 교반작동의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제 4도는 토너농도검출센서의 교반시간주기와 출력값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제 5도는 현상제 용기가 장착되는 현상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 6도는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를 도시한 단면도;
제 7도는 현상제용기를 장착한 상태의 광전도성요소 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 8도는 제 7도에 도시된 광전도성요소 유니트로 부터 현상제 용기를 분리시킨 상태의 광전도성요소 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 9도는 상부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현상제 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 10도는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의 화상형성유니트 윤곽선을 도시한 사시도;
제 11도는 터미널, 전원공급을 위한 콘넥터, 미사용상태 검지 혹은 그와 유사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평면도;
제 12도는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부의 가이드를 삽입하기 위하여 검출설정을 위한 플러그 콘넥터와 가이드 돌기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측면도;
제 13도는 미사용상태의 검지용 돌기의 구동메카니즘을 도시한 도 1의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의 하부면 측방을 도시한 사시도;
제 14(a) 및 (b)도는 미사용상태의 검출을 위한 돌기의 구동메카니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제 15도는 토너농도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광전도성 요소 2.... 현상장치
3.... 제 1부재 4.... 제 2부재
5.... 현상슬리브 6.... 개구부
7.... 현상제 용기 9.... 열밀봉부재
10... 현상제 11... 제습제
18... 토너보급장치 20... 이송나사
21... 재순환 밸트 24... 격벽 플레이트
25... 화상형성장치 제어회로 33... 타이머
111.. 플러그 콘넥터 120.. 섹터기어
122.. 중간기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유지부재, 상기 화상유지부재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장치, 상기 화상유지부재상의 잠상을 2성분계 현상제로서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 및, 전사부재상에 가시화상으로서 토너화상이 형성되고 출력되는 2성분계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출하는 토너농도 검출장치 등을 포함하고,
상기 현상제를 위하여 이루어진 최초 설정값도중에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현상제를 교반하고, 사전에 설정된 교반후에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결과가 사전에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비정상적인 처리를 수행하도록 된 제어장치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그것을 가시화상으로서 전사부재상에 출력하며, 상기 현상제를 위하여 이루어진 최초 설정값도중에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현상제를 교반하도록 제어장치가 제공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현상제의 최초교반이 종료된 후, 상기 현상제를 재교반하기 위한 재교반 제어장치가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유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화상은 전사부재상에 가시화상으로서 형성되고 출력되며, 상기 현상제를 위하여 이루어진 최초 설정시간도중에 사전에 설정된 범위내의 값에 상기 토너농도 검출장치의 출력결과가 도달할때까지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는 제어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교반시간주기가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를 초과하는 때에 상기 현상제의 교반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토너의 전하량 열화 및 현상제의 감소된 부피를 회복하는 방법은, 검출스위치의 미사용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출력값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는 단계, 교반시간주기를 측정하는 단계, 교반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경고를 지시하는 단계 및, 에러메세지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A. 구성.
도 5에는, 드럼형상을 갖는 화상유지부재인 광전도성요소 1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광전도성 요소 1주위의 사전에 설정된 위치에는 케이싱으로 덮여진 현상장치 2가 제공된다. 상기 현상장치 2는 그 길이방향이 본 명세서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광전도성 요소 1의 회전축에 평행으로 놓여지며, 현상슬리브 5는 상기 현상장치 2의 개구부에서 광전도성 요소 1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회전하도록 유지된다.
더욱이, 상기 현상 슬리브 5에 인접하여,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고 이송하기 위한 제 1부재 3 및 제 2부재 4가 회전하도록 유지되어 이 순서로 배치되며, 토너와 담체로 이루어진 2성분계 현상제를 교반하고 이송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상기 제 1부재 3와 제 2부재 4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제 1부재 3와 제 2부재 4는 상기 상기 제 1부재 3와 제 2부재 4상에 장착된 기어 결합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 구동부(도 1참조)에 의해서 각각 결합되어 회전 구동되는 2성분계 현상제를 교반하고 이송하며, 현상슬리브 5를 통하여 현상장치 2내의 2성분계 현상제를 순환시킨다.
상대적으로 긴 개구부 6가 본 명세서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현상장치 2의 상기 제 1부재 3와 제 2부재 4를 가로질러서 연장하는 특정영역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가는 박스형의 현상제 용기 7가 그와 연통된 현상장치 2상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현상제 용기 7는 현상제 용기 7의 측방으로 부터 돌출한 걸고리 볼록부 7a 및 7b내에서 볼록한 걸고리부 7a를 걸고리부 2a로 삽입하고, 상기 걸고리의 볼록한 부분 7b을 걸고리부 2b에 걸음으로서 상기 현상제 용기 7를 현상장치 2에 부착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채택함으로서 상기 현상장치 2상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될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현상제 용기 7를 현상장치 2상에 장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현상장치 7의 개구부는 하향상태로 위치되며, 현상제 용기 7는 상기 개구부를 밀봉부재인 열밀봉부재 9로서 막음으로서 밀봉된다. 상기 현상제 10와 제습제 11가 상기 현상제 용기 7의 내부에서 밀봉된다. 이러한 밀봉상태에서, 상기 현상제 10는 상기 현상제 용기 7가 현상장치 2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현상제 용기 7내에 충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현상제 용기 7내에서 여기저기로 유동되어 흐를수 있지만, 상기 제습제 11는 낙하하지 않으며, 이는 상기 제습제 11가 접착제 혹은 그와 유사한것에 의해서 상기 열밀봉부재 9가 제공된 개구부 6의 반대측 하부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열밀봉부재 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장치 2상에 현상제 용기 7를 장착한 상태하에서 쉽게 인출제거될수 있다. 만일, 상기 열밀봉부재 9가 인출되면, 상기 현상제 용기 7와 현상제 장치 2는 서로 연통하는 상태가 되며, 상기 제습제 11는 현상제 용기 7내의 현상제 10가 현상장치 2내로 낙하하는 경우에도, 상기 현상제 용기 7내에 남아 있는다. 따라서, 상기 현상제 용기 7는 상기 열밀봉부재 9가 인출될때까지는 현상제 용기 7의 내측에 현상제 7와 제습제 11가 밀봉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현상장치 2내로 낙하하는 현상제내의 토너는 각각의 현상작동도중에 소모되며, 미사용된 토너는 소모된 토너의 보충을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토너보급장치 18내의 토너 보틀 18a로 부터 현상장치 2내로 공급된다. 상기 현상제 용기 7는현상장치 2에 연통되기 때문에, 상기 제습제 11는 현상장치 2를 제습시키도록 작동하며, 현상장치 2내의 현상제 10는 습기에 기인하는 대전특성의 저하가 방지된다.
도 6에는, 현상장치 2가 몸체내에서 광전도성 요소 1를 지지하는 광전도성 요소 케이스 13 및 그것들로 구성된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 22를 갖추고 구성되어 있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광전도성 요소 1는 대전장치인 대전롤러 14에 의해서 최초로 균일하게 대전되며, 상기 광전도성 요소 1를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장치(미도시)인 기록장치로 부터 화상형성에 관련하여 세기가 조절되는 광원 15이 상기 광전도성요소 1로 비춰지며, 따라서 화상형성이 기록되고 정전잠상이 광전도성요소상에 형성된다.
상기 광전도성 요소상의 정전잠상은 현상장치 2에서 현상슬리브 5에 의하여 2성분계 현상제로서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전사바이어스가 전원(미도시)에 의하여 전사장치인 전사롤러 16로 인가된다. 광전도성 요소 1상의 토너화상은 전사롤러 16에 의하여 용지공급장치로 부터 공급되는 전사용지상에 전사되는바, 이는 상기 전사용지가 상기 전사롤러 16와 광전도성 요소 1사이의 닢부(nip part)를 통과하는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광전도성 요소1로 부터 분리된 후, 정착장치(미도시)에 의하여 그 위에 토너화상이 정착된 상기 용지는 트레이로 배출된다.
한편, 광전도성 요소 1상에 잔류한 토너는 토너화상이 전사된 후, 소제장치 17의 소제 블레이드 17a에 의해서 제거되며, 광전도성 요소 1상의 전하는 방전기(미도시)로 부터의 방전광 220에 의해서 방전된다. 상기 소제 블레이드 17a 에 의해서 광전도성 요소 1로 부터 긁어 제거된 잔류토너는 광전도성 요소 케이스 13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수집용기내로 낙하하고,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송나사 20의 길이방향 단부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잔류토너는 재순환 밸트 21에 의하여 상기 현상장치 2로 더욱 이송된다. 상기 현상장치 2측으로 이송된 토너는 제 1부재 3 및 제 2부재 4에 의하여 토너공급장치 18로 부터의 미사용된 토너와 함께 혼합되어 현상 슬리브 5로 이송된다.
상기 현상용기 7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현상장치 2상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 6은 열밀봉부재 9를 인출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상기 현상제 10는 이 상태에서 상기 현상장치 7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현상제 용기 7내의 현상제 10는 현상제 용기 7로 부터 열밀봉부재 9를 인출함으로서 현상장치 2내로 낙하하며, 상기 현상제 10는 현상장치 2내에서 순환되고, 제 1부재 3 및 제 2부재 4에 의하여 교반되면서 현상슬리브 5를 통하여 이송된다. 상기 제습제 11는 상기 열밀봉부재 9가 인출된 후, 현상장치 2를 제습하게 된다.
상기 제 2부재 4의 상부측에 형성된 현상장치 2의 개구부에서, 토너보틀 18a내의 토너는 토너공급장치 18로 부터 화살표로 도시된 통로를 통하여 공급되고, 각각의 현상작동 도중에 소모된 토너는 보충된다. 상기 토너농도 검출장치인 토너농도검출센서 19는 현상장치 2내에서 2성분계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출한다. 예를들면, 2성분계 현상제의 토너농도는 현상장치 2내의 2성분계 현상제의 침투성을 검출함으로서 검지되고, 상기 토너보급장치 18의 토너보틀 18a로 부터 현상장치 2로 공급되는 토너량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어된다.
도 7 및 도 8은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 22의 외관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현상장치 2상에 장착되는 현상제 용기 7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8은 현상제 용기 7가 분리된 현상장치 2를 도시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걸고리형 볼록부 7a 및 7b가 상기 현상장치 2상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고리부 2a 및 2b는 걸고리형 볼록부 7a 및 7b에 결합되기 위하여 현상장치 2상에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구조에 따라서, 상기 현상제 용기 7는 현상장치 2상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부재 4가 제 1부재 3보다 외측방향으로 향하여 보다 길게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분에서, 스크류가 형성된다. 다수개의 반 타원형의( half-cut oval-shaped ) 칩플레이트 4h가 나사형성부의 내측에서 제 2부재 4의 회전축을 향하여 기울어져서 제공된다. 상기 현상제는 제 2부재 4의 회전에 따라서 교반되고, 동시에 이송된다.
상기 제 2부재 4의 회전에 의한 현상제의 이송방향이 화살표 A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서, 이와 유사한 칩플레이트 3h들이 제 2부재 4상에 형성된 칩 플레이트 4h의 배치영역에 일치하여 제 1부재 3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1부재 3상에 형성된 블레이드 3h는 상기 제 1부재 3의 회전축에 관련하여 제 2부재 4의 칩플레이트 4h에 반대되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현상제는 제 1부재 3의 회전에 따라서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송된다.
격벽플레이트( partition plate )24가 제 1부재 및 제 2부재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부재 3 및 제 2부재 4가 상기 격벽 플레이트 24에 의하여 분리된다. 상기 현상 슬리브 5는 그 내측에 고정축을 갖추며, 그 주위에 5극 자석이 배치되는 한편, 상기 5극자석의 외주면을 다소의 간극을 형성하면서 덮고 있는 현상슬리브인비자성의 실린더형 부재가 구동부(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현상제는 현상 슬리브 5의 자성 견인력에 의하여 현상 슬리브 5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부재 3의 회전에 따라서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현상제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격벽 플레이트 24가 종료하는 전방측면 간극을 통하여 제 2부재 4로 이동하며, 제 2부재 4에 의하여 화살표 A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송되며, 그리고, 격벽부재 24의 후방측면 간극을 통하여 제 1부재 3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현상제는 기본적으로 제 1부재 3 및 제 2부재 4에 의하여 격벽부재 24주위를 루프형의 통로를 통하여 순환한다. 상기 현상 슬리브 5는 상기 현상 슬리브가 회전하는 경우, 내측에 위치된 마그네트로서 상기 현상제를 자기적으로 견인하여 이송한다. 상기 현상 슬리브 5상의 현상제량은 독터블레이드 8로서 사전에 설정된 값으로서 제한되고, 상기 현상제는 상기 현상슬리브 5와 광전도성 요소 1사이를 통과하는 때에 광전도성 요소 1상의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여기서 상기 토너보틀 18a내의 토너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닫침 덮개 23의 개방상태에서 현상장치 2내로 공급된다. 상기 현상장치 2의 토너공급위치는 도 9에 도시된 제 2부재 4상에 형성된 나사부 상부, 즉 격벽플레이트 혹은 칩 플레이트 4h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나사부 4a로 부터 길이방향 외측인 나사부 4b에서, 상기 광전도성 요소 1로 부터 긁어 떨어진 사용된 토너가 재순환을 위하여 재순환밸트 21로서 이송된다.
따라서, 사용된 토너는 제 2부재의 나사부 4b로 이송되며, 미사용된 토너는 상기 나사부 4a에서 사용된 토너로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사용된 토너와미사용된 토너들은 상기 설명된 루프형의 순환 통로를 통하여 현상제로 이송되고, 그리고 칩 플레이트 4h에 의하여 교반되고 관통되어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토너의 대전상태는 교반초기에는 불충분하고, 상기와 같이 불충분한 대전량의 토너들이 현상을 위하여 격벽플레이트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교반초기단계의 토너가 흐르는 격벽플레이트 24의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너보급장치 18는 토너 보틀 18a로 부터 모터, 클러치 및 이와 유사한 장치들이 갖춰진 토너보급 구동부 18b의 구동에 의하여 현상장치 2내로 토너를 보급한다. 상기 토너보급 구동부 18b는 CPU로 이루어진 제어장치인 화상형성장치 제어 회로 25에 의하여 제어된다. 조작판넬 26은 다수개의 키들로 이루어진 조작부와, 조작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디스플레이 등을 갖추고,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회로 25는 토너농도 검출센서 19, 조작판넬 26 및 그와 유사한 것으로 부터의 입력신호를 사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각 부분을 제어함으로서 상기 설명한 화상형성작동 혹을 그와 같은 작동을 수행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회로 25는 토너보급제어와, 본 발명에 관계된 제어 등을 수행한다.
다음,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 22를 위한 미사용된 상태의 검출 메카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 22에는 미사용상태의 검출용 돌기 110, 설정 검출용 플러그 콘넥터 111, 돌출물로서 장착되고 화상형성장치의 주 몸체 삽입가이드용 가이드 돌기 112 및 113 및, 도 10내의 케이스 100 전방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장치 101의 케이스 일단측에 장착된 전원 공급 터미널 101a 등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주 몸체부내의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 22의 장착부를 위한 측반 플레이트 114에서, 미사용 상태검출 스위치 115, 소켓 콘넥터( receptacle connector ) 116 및, 대전 바이어스 전압 인가 터미널 117등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요소의 각각의 위치에 제공된다. 더욱이, 구멍 118 및 119등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 112 및 113 등을 삽입하도록 상기 측방 플레이트 114에 형성된다. 바이어스 전압들이 상기 대전 롤러 14, 현상장치 2, 전사 및 분리장치 16 및 방전장치(미도시) 혹은 그와 유사한 장치들에게 상기 전원공급 터미널 101a로 부터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 22를 장착하기 위해서가 아닌 용도로 상기 가이드 돌기 113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들면, 상기 가이드 돌기 113를 상기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 22 혹은 그와 유사한 것들을 수용하는 종류의 화상형성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장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전도성 요소의 축이 상기 가이드용으로 사용될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물론, 상기 구멍 119이 제공되지 않는다. 미사용 상태 검출용 돌기 110에는 도 13 및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100의 정착장치 측방(미도시) 일단부의 일부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몸체내의 섹터기어( sector gear ) 120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100의 측면에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가능하다. 상기 섹터기어 120는 중간 기어 122를 통하여 광전도성 요소 1의 단부 모서리에 형성된 기어 121에 형성된다. 따라서,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 22가 화상형성장치 1의 주몸체부내에 장착된다면, 상기 미사용 상태 검출용 돌기 110는 미사용상태 검출 스위치 115에접촉한다. 상기 광전도성 요소 1가 회전하면, 미사용상태 검출용 돌기 110는 그에 부착된 기어 121와 중간 기어 12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섹터기어 120로서 도 10 및 14에서 하부측으로 향하여 회전한다( 도 14(a)내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 도 13내에 도시된 상태로 부터 상부방향, 반시계방향).
상기 섹터기어 120가 상기 중간 기어 122의 결합영역으로 부터 이동하여 분리된 후에 상기 섹터기어 12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미사용 상태 검출용 돌기 110는 하부로 매달린 상태( 전진하거나 후진하지 않는 상태), 즉 도 14(b)에 도시된 상태에 정지한다. 여기서, 하나의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를 위한 미사용상태 검출은 화상형성장치 측의 주몸체부에서 상기 미사용 상태 검출용 돌기 110와 미사용 상태 검출 스위치 115가 비접촉상태로 되었기 때문에, 일단 확실하게 이루어질수 있다. 그리고, 대전장치와 상기 전원공급 터미널 101a은 상기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다.
B. 토너보급제어
상기 화상형성장치 제어회로 25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토너보급 제어작동을 도 1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 제어회로 25는 구동모터 3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한다. 상기 구동모터 30가 점등되면, 동력이 구동부 31로 전달되고, 제 1 부재 3와 제 2부재 4가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제 1 부재 3와 제 2부재 4의 회전 구동에 의해서, 상기 현상제의 교반 및 이송이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구동모터 30가 소등되면, 현상제의 교반 및 이송이 정지된다.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각각의 용지에 대하여 화상형성작동을 종료한 후, 도 10에 도시된 공정을 수행한다. 첫째,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의 다수개의 점( n 점 )들이 샘플 추출되고, 상기 n 점의 평균값 Vtm이 단계 S1에서 계산된다. 다음,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단계 S2에서 상기 평균값 Vtm으로 부터 토너농도 기준값 Vref를 감하여 그 차이값 △Vt 를 계산한다( △Vt=Vtm-Vref).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는 단계 S3에서 △Vt 가 0 이상인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토너농도가 점점 커질수록,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 Vt는 점점 작아진다.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계수값 Try 와 C를 리세트하고 상기 토너공급레벨 nd로 부터 하나를 감하며, 만일 △Vt가 △Vt > 0가 아니면, 즉 Vtm < Vref 이면, 상기 토너농도가 기준값보다 크기 때문에, 만일 상기 토너가 종료근접상태에 있는다면 " 종료근접( near end )플래그를 리세트하며, 단계 S10에서 복귀한다. 그리고, 만일 △Vt가 △Vt > 0이면, 즉 상기 토너농도가 기준값보다 적다면,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단계 S4에서 계수값 C에 하나를 더하고, 상기 계수값 C를 설정값, 예를들면 단계 S5에서 10과 비교하여 C≥10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C가 C≥10이 아니라면, 즉 연속화상형성 시간횟수가 △Vt > 0인 상태에서 10회이상에 이르지 못한다면,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토너보급장치 18로 부터 현상장치 2로 공급된 토너량을 계산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토너공급레벨 nd에 일치하여 상기 토너보급장치 18로 부터 상기 현상장치 2로 공급되는 토너량을 변화시키고, 상기 nd가 크면 클수록 상기 토너량이 많아지는 것이다. 다음,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토너공급 제어부 18b를 제어함으로서 토너의 계산량에 따라 토너보급장치 18의 토너보급작동을 실행하며, 단계 S8에서 복귀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상기 nd = 2인지를 판별하며, 단계 S11에서 C≥10이면, 그리고 nd 가 nd = 2이지 않으면, 단계 S12에서 nd에 하나를 더한 뒤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단계 S13에서 계수값 C를 0으로 리세트한다. 그리고, 만일 nd가 nd = 2로 되면,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단계 S14에서 Vtm 이 토너종료값 Vte보다 큰지를 판별한다.
만일 Vtm > Vte 이면,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Vtm이 Vtm > Vte의 값에 도달하면,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상기 토너보급장치 18가 토너 종료근접상태에 도달하였는 지를 판별하고, 단계 S15에서 계수값 Try에 하나를 더한다. 조작판넬 26내의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토너보급장치 18가 단계 S16에서 토너 종료근접상태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지시하도록 한 후,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상기 계수값 Try가 설정값, 예를들면 단계 S17에서 50보다 크게 되었는지를 판별한다.
만일 Try > 50이면,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단계 S17로 복귀하고, 만일 Try > 50, 즉 만일 연속화상형성 작동수가 Vtm > Vte 의 상태하에서 50회를 초과한다면,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상기 토너보급장치 18가 토너종료상태에 도달한 것인지를 판별하고, 단계 S18에서 토너종료 플래그 TE를 1로 설정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8로 진행하고 복귀한다. 상기 TE = 1이면,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조작판넬 26내의 디스플레이가 토너보틀 18a이 교체되어야만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토너보틀 18a이 교환된 후,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TE를 0으로 리세트한다.
본 발명에 관한 토너농도 제어공정의 개요설명.
도 1에서, 본 발명의 제어장치인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각각의 화상형성작동에서 토너농도검출센서 19의 출력값 Vt를 저장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먼저, 토너농도센서 19로 부터 토너농도( n 점)의 다수개의 출력값(Vt)에 대한 데이터를 샘플수집하고, 상기 출력값 Vt의 n점 평균을 구하여 평균값 Vtm을 얻는다.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Vtm을 내부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러한 평균값 Vtm은 매번의 화상형성작동시마다 갱신(updated)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전하량과 토너의 부피는 상기 현상제가 제조된 후 오랜기간동안 사용되지 않고 남아 있는 동안 감소되며, 특히 2성분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의 경우에 그렇다. 따라서, 상기 전하량과 토너의 부피가 감소되면,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 Vt 은 변화하고, 몇가지 문제점들이 발생된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이하에서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최초의 설정시점에서, 상기 현상제에 대한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 Vt는 대략 2.0V로 설정된다. 그러나, 예를들면, 만일 현상제가 제조후 3개월과 같이 오랜시간주기동안 사용되지 않고 방치된다면, 제조시점후의 기준값( 목표값)인 2.0V인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출력값은 상기 토너농도가 제조시점후에 변화하지 않았더라도, 예를들면 2.4V로 변화한다. 이는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가 상기 토너량이 불충분한 지를 판별하기 때문이며, 토너부피가 감소되고, 많은 량의 무거운 담체성분이 화상형성장치의 하부측에 위치된 토너검출센서 19에 의해서 주로 검출됨에 따라서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에서 현상제의 침투성 출력값이 상승하고, 즉 예를들면 2.4V로 변화한다. 이 같은 조건은 상기 토너의 교반이 불충분한 경우에 발생하고,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실제 토너농도가 낮지는 않더라도, 상기 토너농도가 낮다고 잘못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토너검출센서 19의 출력값이 2.0V에 도달할때까지 토너보급장치 18가 토너를 공급하도록 지시하고, 따라서 상기 토너가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토너농도는 기준값(목표값)보다 크게 되어 화상품질의 열화를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오랜시간동안 방치되어 토너 전하량 및 토너 부피의 열화가 이루어진 현상제가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이 기준값(목표값) 이하에 도달하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동안 혹은,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이 최초 설정시에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을 샘플 추출함으로서 얻어지는 임의의 기준값( 목표값) 이하에 도달하기 까지 교반되는 것이다.
임의의 기준값( 목표값)은 배경 오염, 실화상 분산, 토너분산과 같은 화상품질상의 영향을 주지않는 전하량의 가장 낮은 수준에 일치하는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출력값을 나타낸다. 상기 임의의 기준값(목표값)이하인 전하량의 수준을 갖는 현상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즉, 상기 언급된 가장 낮은 수준이상의 전하량 레벨을 갖는현상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불충분한 전하량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배경오염, 실화상 분산, 토너분산 및 이와 같은 화상품질의 오염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최초의 설정시점은 미사용된 현상제 용기가 현상장치상에 장착된 후, 상기 현상장치를 구동함으로서 현상작동이 최초로 이루어지는 시점을 나타낸다. 상기 미사용된 현상제 용기는 사용되지 않은 360g중량내에 4중량%의 표준 토너농도값을 갖는 미사용된 현상제를 수용한다. 상기 미사용된 현상제 용기내에 수용된 미사용된 현상제는 상기 현상제 용기가 제조후 오랜 시간동안 방치되지 않았다면, 임의의 기준값을 만족한다. 상기 현상제 용기가 제조후 오랜시간동안 방치되면, 전하량과 부피가 임의의 기준값 이하로 열화될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그로 인해 화상품질이 영향을 받을 높은 가능성이 있다.
도 4는 오랜시간동안 방치된 현상제를 교반하는 표준으로서 상기 토너의 전하량 및 부피의 열화를 회복하기 위한 시간주기를 나타내기 위하여 교반시간 주기와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출력값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4에서, 최초설정이 실행되지 않아서 교반전에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출력값 Vt이 2.4V인 현상제는 3분동안의 교반에 의해서 그 출력값이 2.0V 이하인 임의의 기준값(목표값)으로 회복될수 있다. 상기 실험에 따르면,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출력값을 기준값(목표값)인 2.0V이하의 레벨로 회복하기 위한 시간 주기는 상기 현상제가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는 오랜 시간주기에 따른다. 이러한 경우, 상기 현상제가 3개월이하의 기간으로 방치된 것이 사용되는 경우, 배경오염, 실화상 분산, 토너분산등이 없는 양호한 품질의 화상이 3분 표준내에 현상제를 교반함으로서 얻어질수 있기 때문에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사전에 설정된 시간은 3분으로 결정된다.
제 1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제 1교반모드를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부내의 미사용상태 검출스위치 115와, 상기 현상장치 2내의 미사용상태 검출용 돌기 110들이 제공되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제 1교반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 22의 미사용상태 검출 작동은 일단 확실하게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토너검출센서 19의 출력값이 0.5V이하인 것을 검출하는 것은, 만일 상기 현상제가 현상장치 2로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토너검출센서 19의 출력값은 0.5V이하로 되기 때문에 상기 현상제가 현상장치 2로 공급되었다는 것이 확인된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에는 타이머 33(혹은 타이머 기능)이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를 도 2에 따라서 설명하며, 이는 제 1교반모드의 실행공정을 도시한다. 단계 S1에서,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주 스위치가 점등되었는지를 판별한다. 만일 상기 주스위치가 점등되었다면,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2로 진행하며,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상기 언급된 미사용상태 검출스위치 115가 점등되었는지를 판별한다. 만일 상기 미사용상태 검출 스위치 115가 점등되었다면, 상기 현상제는 현상장치 2내로 공급된 후 교반되어 질것이 요구되며, 이는 토너의 전하량 혹은 현상제의 부피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3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미사용상태 검출 스위치115가 점등되지 않았다면, 상기 모드는 현상제가 교반되어 질것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종료한다.
다음,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 Vt이 0.5V 이상인지를 단계 3에서 판별한다. 만일, Vt가 0.5V이상이라면,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5로 진행하고, 현상제의 교반작동을 개시하며, 이는 현상제가 상기 현상장치 2로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Vt가 0.5V이상이 아니라면,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단계 S4에서 상기 열밀봉부재 9를 인출하라는 경고를 나타내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지시하게 되며, 이는 즉 인출되지 않은 열밀봉부재상태하에서는 상기 현상제가 현상장치 2내로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계 S5에서,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구동모터 30로 하여금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도록 하며,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 Vt이 단계 S6에서 검출된다. 그리고, 단계 S5에서 교반작동을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타이머 33가 시간계수를 시작한다.
단계 S5에서 타이머에 의하여 시간계수가 개시된 후, 3분이 지났는지의 여부가 단계 S7에서 판별된다. 3분의 시간주기가 도 4에서 상기 언급된 설명에 기초하여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로서 설정됨으로서, 사용되지 않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방치된 표준토너에 대하여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이 2.0V이하인 상기 임의의 기준값(목표값)내로 얻어질수 있다.
단계 S7에서, 단계 S5에서의 교반과, 단계 S6에서 토너농도 검출센서 19로 부터의 출력값 Vt 검출작동이 3분이 경과할 때 까지 반복적으로 실행되며, 그리고 3분이 경과되면,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8로 진행하고 상기 현상제의 교반작동은정지된다. 다음,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출력값 Vt이 단계 S6에서 사전에 검출되었던 상기 임의의 기준값(목표값)인 2.0V이하에 도달하였는지를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가 판별하는 단계 S9로 진행한다. 상기 출력값이 2.0V에 도달하였다면, 상기 프로그램은 이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출력값이 2.0V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10로 진행하며, 조작판넬 26내의 디스플레이가 에러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지시한다. 이러한 이유는 몇가지 팩터의 문제점이 고려될수 있으며, 이는 상기 교반작동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이루어졌다 하여도, 상기 출력값이 목표값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이다. 이러한 에러 메시지에 대한 표준으로서,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기 위한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 이 경우에는 3분 )를 변화시킨 다던가 혹은 그와 유사한 것들이 고려될수 있다. 상기 에러 메시지의 내용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첫째로, 상기 메시지가 장치의 보수유지를 필요로 하는 지시일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화상형성작동이 표준현상제의 교반 불충분 뿐만 아니라,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불균일성, 혹은 전문가에 의한 제어시스템의 불균일성등과 같은 모든 검사를 받은 후에 재개되기 때문에, 잘못된 토너농도 출력값에 기초한 부정확한 제어에 기인하는 토너 흘러내림 혹은 배경오염등이 광범위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러 메시지를 나타낸 경우에,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저지시키는 제어가 동시에 바람직하게 실행되는 것이다.
2차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장치의 표준현상제에 대하여 교환작동을 요구하는 지시일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현상장치 2는 교환될수 있고, 상기 새로운 현상장치 2를 교환함으로서, 화상형성작동이 일정시간동안 교반함으로서 얻어진 사전에 설정된 토너농도값을 갖는 상기 현상제를 사용하여 재개될수 있다.
3차적으로, 상기 메시지는 재교반 지령을 요구하는 지시일수 있다. 즉, 비정상적으로 오랜시간동안 방치된 표준현상제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인 3분 동안의 교반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된 토너농도값을 항상 출력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표준 현상제는 작업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교반 지령의 필요성에 따라 재교반 지령 버튼 35을 누름으로서 사전에 설정된 토너농도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현상제 혹은 현상장치를 불필요하게 처분하는 일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언급된 에러처리공정의 설정중 어떠한 하나라도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잘못된 검출에 의하여 발생되는 배경 오염이나 토너화상 흘러내림 등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 Vt이 2.0V이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에러처리공정이 실행된다. 그러나, 상기 대신에,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 Vt 가 일정레벨내에, 즉 예를들면 1.8V 내지 2.2V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램이 에러처리를 수행하도록 설정된다면, 불충분한 토너량, 현상제의 비정상적인 높은 전하량, 토너농도검출센서 19의 오작동, 혹은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의 출력값이 예를들면 1.8V과 같은 조건들은 에러 처리로 실행될수 있다.
제 2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제 2교반모드를 실행한다. 아래에서 설명된 사항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2교반모드를 실행하기 위하여, 미사용상태 검출스위치 115가 화상형성장치의 주몸체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미사용상태 검출용 돌출부 110가 제공되고,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이 0.5V이상임을 확인함으로서 현상장치 2로 현상제가 공급되는 것이며,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에는 타이머 33( 혹은 타이머 기능)가 제공된다.
상기 제 2실시예를 도 3에 관련하여 설명하며, 이는 제 2교반모드의 실행공정을 도시한다. 단계 S1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주스위치가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에 의하여 점등되었는지가 판별된다. 상기 주스위치가 점등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2로 진행하고,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상기 설명된 미사용상태 검출 스위치 115가 점등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상기 미사용상태 검출스위치 115가 점등되면, 상기 광전도성 요소 유니트 22는 미사용상태이고, 토너의 전하량과 현상제의 부피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제는 현상장치로 공급된후, 교반되어질 것이 요구된다. 그런 다음 프로그램은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한편, 만일 미사용상태 검출 스위치가 점등되지 않았다면, 이러한 모드는 상기 현상제가 교반되어질것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종료한다.
다음, 단계 S3에서,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 Vt이 0.5V이상인지가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에 의하여 판별된다. 만일 Vt가 0.5V이상이라면, 상기 현상제가 현상장치 2내로 보급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5로 진행하고, 현상제의 교반작동을 개시한다. 한편, Vt가 0.5이상이 아니라면,상기 현상제가 현상장치 2내부로 공급된 것이 아니며, 즉, 상기 열밀봉부재 9가 인출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상기 열밀봉부재 9를 인출하라는 경고를 상기 디스플레이가 나타내도록 지시한다. 단계 S5에서,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현상장치 구동모터 30를 지시하여 현상제를 교반하고, 상기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 Vt이 단계 S6에서 검출된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 33는 단계 S5에서의 교반개시와 동시에 시간계수를 개시한다.
단계 S7에서는, 단계 S6에서 사전에 검출된 출력값 Vt이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에 의하여 기준값(목표값)인 2.0V이하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만일 상기 출력값이 2.0V이하이면, 이러한 모드는 종료하고, 만일 상기 출력값이 2.0V이하가 아니면,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8로 진행하며,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단계 S5에서 타이머의 시간계수를 계수한 후, 3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이러한 시간주기 3분이 결정되어 작업자는 비정상적이라고 간주하지 않으면서 최초설정시간주기로서 상기 시간주기를 받아들일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간 3분이 단계 S8에서 경과하지 않았다면, 상기 프로그램은 S5로 복귀하고, 상기 현상제의 교반을 지속한다. 따라서, 단계 S5에서 현상제의 교반, 단계 S6에서 Vt 검출, 및 단계 S7에서 Vt ≤ 2.0인지의 판별등이 각각 수행되며, 시간이 3분 경과한 때에,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9로 진행하는 경우에, 이는 상기 현상제의 교반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이루어졌다 하여도, 상기 출력값 Vt이 목표 기준값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화상형성 장치 제어회로 25는 몇가지 문제점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단계 S9에서현상제의 교반을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10으로 진행하며, 조작판넬에 지시하여 에러메세지를 나타내도록 한다. 상기 에러메세지의 내용은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설정될수 있으며, 보수유지의 필요성, 표준현상제의 교환 필요성, 재교반 지시필요성등과 같은 모든 것을 나타낼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토너농도 검출센서 19의 출력값이 목표기준값에 도달할때까지 오랜시간동안 방치된 표준현상제를 연속적으로 교반함에 기인하는 작업자에 의한 잘못된 판단이 방지될수 있는 것이다.
명백한 것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개선구조와 변형구조들이 상기 내용으로 부터 얻어질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클레임내에서 상기에 기재된 것과 다르게 실시되어 질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14)

  1. 화상유지부재;
    상기 화상유지부재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장치;
    상기 화상유지부재상의 잠상을 2성분계 현상제로서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
    상기 2성분계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출하는 토너농도 검출장치;
    상기 토너화상은 전사부재상에 가시화상으로서 형성되고 출력되며, 상기 현상제에 대하여 초기설정이 이루어진 동안에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 동안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고, 상기 사전에 설정된 교반후에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결과가 사전에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때에 비정상적인 공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상기 비정상적인 공정이 상기 현상제의 재교반 필요성을 나타내는 지시이고,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서 비정상적인 공정이 실행되어 상기 현상제의 재교반 필요성이 지시되면, 현상제를 재교반시키기 위한 재교반 제어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화상유지부재;
    상기 화상유지부재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장치;
    상기 화상유지부재상의 잠상을 2성분계 현상제로서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 및
    상기 2성분계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출하는 토너농도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화상은 전사부재상에 가시화상으로서 형성되고 출력되며, 상기 현상제에 대하여 초기설정이 이루어진 동안에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 동안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는 제어장치가 제공되고,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동안 현상제의 최초 교반이 종료된 후, 상기 현상제를 재교반시키기 위한 재교반 제어장치가 제공되는 화상형성장치.
  3. 화상유지부재;
    상기 화상유지부재상에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장치;
    상기 화상유지부재상의 잠상을 2성분계 현상제로서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장치; 및
    상기 2성분계 현상제의 토너농도를 검출하는 토너농도 검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화상은 전사부재상에 가시화상으로서 형성되고 출력되며, 상기 현상제에 대하여 초기설정이 이루어진 동안에 상기 토너농도 검출장치의 출력값이 사전에 설정된 범위 내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현상제를 교반하는 제어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교반시간주기가 사전에 설정된 시간주기를 초과하는 때에 현상제의 교반을 정지시키며, 상기 현상제의 재교반을 위한 재교반제어장치가 제공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용기장치내에 제습제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용기장치내에 제습제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상에 장착된 상태하에서, 상기 현상제용기장치는 현상제가 상기 현상장치내부로 공급된 후에도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 사용된 현상제의 토너농도는 4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 사용된 현상제의 토너농도는 4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 사용된 현상제의 토너농도는 4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 사용된 현상제의 토너농도는 4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 설정된 현상제량은 400g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 설정된 현상제량은 400g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 설정된 현상제량은 400g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에 설정된 현상제량은 400g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8-0011700A 1997-04-03 1998-04-02 화상형성장치및방법 KR100370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85163 1997-04-03
JP8516397 1997-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045A KR19980081045A (ko) 1998-11-25
KR100370539B1 true KR100370539B1 (ko) 2005-01-15

Family

ID=1385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700A KR100370539B1 (ko) 1997-04-03 1998-04-02 화상형성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55388A (ko)
KR (1) KR100370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4100A (ja) 1999-11-09 2001-05-18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と画像形成装置
JP3825600B2 (ja) 2000-01-13 2006-09-27 株式会社リコー 帯電装置、画像形成装置、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荷電ローラ
JP3844658B2 (ja) 2000-02-08 2006-11-15 株式会社リコー 荷電ローラ、帯電装置、像担持体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荷電ローラへのフィルム材巻付方法
JP3795770B2 (ja) 2000-06-30 2006-07-1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091123A (ja) 2000-07-14 2002-03-27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US6671484B2 (en) 2000-09-05 2003-12-30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ing device with magnet roller with particular magnetic flux density
EP1826626B1 (en) 2000-09-27 2012-12-05 Ricoh Company, Ltd. Apparatuses for color image formation, tandem color image formation and image formation
JP3957968B2 (ja) 2000-11-24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143266B2 (ja) 2001-01-16 2008-09-0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セスユニット
JP3695696B2 (ja) 2001-01-25 2005-09-14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005530A (ja) 2001-06-22 2003-01-08 Ricoh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076189A (ja) 2001-06-22 2003-03-14 Ricoh Co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889023B2 (en) * 2001-08-24 2005-05-03 Ricoh Company, Ltd. Charg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US6771918B2 (en) 2001-09-21 2004-08-03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4004022B2 (ja) * 2001-11-26 2007-11-0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947677B2 (en) * 2002-02-26 2005-09-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velop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6807390B2 (en) * 2002-04-12 2004-10-1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04209A (ja) * 2002-05-31 2004-01-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062062A (ja) * 2002-07-31 2004-02-26 Ricoh Co Ltd 帯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93908A (ja) * 2002-08-30 2004-03-2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転写方法・トナー
EP1452931A1 (en) * 2003-02-28 2004-09-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nstallable process cartridge
CN100349073C (zh) * 2003-03-05 2007-11-14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CN100388135C (zh) * 2003-06-06 2008-05-14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装置及处理卡盒
JP2005024665A (ja) * 2003-06-30 2005-01-27 Ricoh Co Ltd 粉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7158730B2 (en) * 2003-08-07 2007-01-0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method
JP4418192B2 (ja) * 2003-08-20 2010-02-17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70274A (ja) * 2003-08-22 2005-03-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トナー
JP2005070276A (ja) 2003-08-22 2005-03-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らに用いるトナー
JP2005099729A (ja) * 2003-08-29 2005-04-14 Ricoh Co Ltd 潤滑材塗布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300626A (ja) * 2004-04-07 2005-10-27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JP4675122B2 (ja) * 2004-05-10 2011-04-2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92330B2 (ja) * 2006-12-18 2012-03-0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2008175956A (ja) * 2007-01-17 2008-07-31 Ricoh Co Ltd 粉体搬送装置、トナー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976872B2 (ja) * 2007-01-31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39390B2 (ja) * 2007-02-02 2012-10-03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657196B2 (en) * 2007-02-02 2010-02-02 Ricoh Company, Limited Compact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moveable optical sensor
JP4833117B2 (ja) * 2007-03-06 2011-12-07 株式会社リコー 潜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552732B2 (ja) * 2008-03-31 2014-07-1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44456A (ja) * 2008-03-31 2009-10-22 Seiko Epson Corp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73968B2 (ja) 2008-09-25 2013-04-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5152224B2 (ja) * 2010-02-26 2013-02-2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76261B2 (ja) * 2011-03-28 2015-09-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13336B2 (ja) * 2014-03-26 2017-10-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47227B2 (ja) * 2014-06-19 2017-06-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濃度検出装置、画像形成装置、トナー濃度検出方法
JP7302239B2 (ja) * 2019-04-01 2023-07-0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4559A (ja) * 1983-10-17 1985-05-13 Toshiba Corp 像形成装置
JPS62138876A (ja) * 1985-12-11 1987-06-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2277083A (ja) * 1989-04-19 1990-11-13 Ricoh Co Ltd トナー補給機構
US5109254A (en) * 1989-08-25 1992-04-28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apparatus
JPH0387870A (ja) * 1989-08-31 1991-04-12 Canon Inc トナー濃度制御装置の調整方法
JPH0424674A (ja) * 1990-05-19 1992-01-28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US5103264A (en) * 1990-12-19 1992-04-07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oistureless development cartridge for printers and copiers
JPH0643746A (ja) * 1992-07-27 1994-02-18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JPH07134491A (ja) * 1993-11-11 1995-05-23 Sharp Corp 現像装置
JP3364632B2 (ja) * 1994-11-08 2003-01-0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US5594529A (en) * 1994-11-30 1997-01-14 Exedy Corporation Imaging device with stock supervision means
DE69631494T2 (de) * 1995-04-03 2004-12-02 Sharp K.K. Bilderzeugungsgerät
JP3406125B2 (ja) * 1995-07-31 2003-05-12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594535A (en) * 1995-11-07 1997-01-14 Hewlett-Packard Company Refillable toner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045A (ko) 1998-11-25
US6055388A (en)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539B1 (ko) 화상형성장치및방법
US6006050A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mount of supplied toner or agitating time
US4913087A (en) Developing device of a copier
US5055881A (en) Device for supplying a toner to a developing unit
GB2150052A (en) Developer supply system for electrophotographic copier
US619221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10333421A (ja) 画像形成装置
JPH11212343A (ja) 画像形成装置
JP3724091B2 (ja) 電子写真装置及び現像剤排出方法
US5101231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305845A (ja) 画像形成装置
JP4213799B2 (ja) 現像装置
JP3432673B2 (ja) 画像形成装置
JP3628444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142910A (ja) トナー供給方式
JP3599905B2 (ja) 画像形成装置
JP3024811B2 (ja) 現像装置
JPH1026876A (ja) 画像形成装置
JPH09197788A (ja) 画像形成装置
EP1918785A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JPH04344674A (ja) 現像剤の寿命測定装置と現像装置
US1179693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plenishable toner supply
JPH04110977A (ja) 画像形成装置
JPH0836294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27809A (ja) 現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