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637B1 -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637B1
KR100359637B1 KR1020017000418A KR20017000418A KR100359637B1 KR 100359637 B1 KR100359637 B1 KR 100359637B1 KR 1020017000418 A KR1020017000418 A KR 1020017000418A KR 20017000418 A KR20017000418 A KR 20017000418A KR 100359637 B1 KR100359637 B1 KR 100359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cording paper
wall
box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834A (ko
Inventor
후지모토히사요시
오니시히로아키
다카쿠라도시히코
이마무라노리히로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6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41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 H04N1/02427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in different pla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41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 H04N1/0246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 up and reproduction using heads mounted on the same support or subst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 Heads (AREA)

Abstract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는, 대략 수직의 벽면(H)에 설치되는 박스체(90)와, 박스체(90) 내에 조립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의 기판(4)의 편면(4A)에는, 복수의 수광소자(4a)가 탑재되어 있다.
편면(4A)의 일부는, 케이스(1)의 측방으로 비어져 나온 돌출면(49)으로 되어 있으며, 이 돌출면(49)상에 복수의 인자용 소자(4b)가 탑재되어 있다.

Description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WALL-HUNG IMAGE PROCESSOR}
화상처리장치의 구체예로서는, 가옥의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벽걸이용 팩시밀리 장치가 있다.
이 벽걸이용 팩시밀리 장치의 사용시에는, 상기 벽면으로부터 팩시밀리 장치가 크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벽걸이용 팩시밀리 장치는, 테이블 또는 책상 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다른 형의 팩시밀리 장치 보다 전체를 박형으로 제작할 필요성이 높다.
종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Y)를 박스체 내에 조립한 팩시밀리 장치가 있다.
도시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Y)는, 투명 커버(2)를 일측면에 장착한 케이스(1)를 갖고 있으며, 이 케이스(1)의 내부에는, 투명 커버(2)의 표면상에 설정되는 화상판독라인(L)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3)이나, 원고화상결상용의 렌즈(5)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의 타측면에는, 기판(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판(4)의 표면(4A) 및 이면(4B)에는, 복수의 수광소자(4a) 및 복수의 발열소자(4b)의 각각이 이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뻗는 어레이상(列狀)으로 배열되어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Y)를 구비한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는, 원고(D)가 투명커버(2)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플래튼 롤러(P1)에 의해 반송된다.
이 반송과정에 있어서, 원고(D)의 표면이 광원(3)에 의해 조명된다.
그러면, 원고(D)에 의해 반사된 광은 렌즈(5)에 의해 집속되고, 원고(D)의 화상이 각 수광소자(4a)상에 결상하여, 각 수광소자(4a)로부터는 화상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감열형의 기록지(K)는, 각 발열소자(4b)에 밀착되도록 하여 플래튼 롤러(P2)에 의해 반송된다.
이 반송과정에 있어서, 선택된 발열소자(4b)가 발열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K)에는 화상이 프린트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는, 판독헤드와 프린트헤드를 개별적으로 설치한 것 보다 전체를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는, 플래튼 롤러(P1, P2)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Y)의 전체를 끼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P1, P2)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Y)의 두께 방향으로 높게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의 박형화를 충분히 도모할 수가 없어,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하는 때에는 장치 전체가 그 벽면으로부터 크게 돌출되게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옥 내의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에 관하며, 특히, 화상의 판독기능과 프린트기능을 겸하여 갖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에 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에 사용되어 있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에 관계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의 뚜껑체를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또는 감소할 수 있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는, 대략 수직의 벽면에 설치되는 박스체와, 이 박스체 내에 조립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는,
어레이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광소자가 편면에 탑재된 기판과,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를 둘러싸도록 하여 상기 기판의 상기 편면상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기판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원고가 접촉 반송되는 투명 커버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원고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과,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 의해 조명된 원고의 화상을 상기복수의 수광소자 상에 결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렌즈와,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와 동방향의 어레이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기판에 탑재된 복수의 인자용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기판의 상기 편면의 일부분은, 상기 케이스의 측방으로 비어져 나온 돌출면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는, 상기 돌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는, 투명커버의 표면에 원고를 접촉 반송시키기 위한 원고용 플래튼 롤러와, 기록지를 복수의 인자용 소자에 대하여 접촉 반송시키기 위한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가, 함께 기판의 동일 편면측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종래기술과는 달리,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전체를 끼도록 원고용 및 기록지용의 플래튼 롤러를 배치시킬 필요는 없다.
그 결과, 상기 각 플래튼 롤러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두께 방향으로 크게 돌출하지 않도록 하여,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 커버는, 상기 돌출면 쪽의 부분만큼 상기 기판과의 간격이 크게되도록 상기 기판에 대하여 경사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고용 플래튼 롤러를 투명커버에 대향시키는 경우에, 원고용 플래튼 롤러와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의 상호간 거리를 확보하면서, 원고용 플래튼 롤러를 기판에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원고의 이송경로와 기록지의 이송경로를 상호 간섭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의 박형화를 더 한층 촉진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돌출면에 교차하도록 하여 상기 기판의 상기 편면 상에 기립한 외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기립한 만큼 상기 돌출면과는 반대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이 경사져 있는 만큼, 투명커버를 돌출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원고용 플래튼 롤러와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가 있고, 원고 이송경로와 기록지 이송경로를 적절히 설정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케이스 외측면의 경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이 상호 간섭하여 맞닿지 않도록 하면서,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를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에 근접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투명커버에 근접하는 부분만큼 상기 돌출면과는 반대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상기 투명커버 중, 상기 복수의 렌즈에 대향하는 부분이 화상판독 라인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은, 투명커버 상에 설정되는 화상판독라인이, 기판의 돌출면과는 반대방향 쪽에 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원고용 플래튼 롤러는, 상기 화상판독 라인에 대항하여 배치되는 것에서, 결국, 이 구성에 있어서는, 원고용 플래튼 롤러와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렌즈를 경사시키면, 케이스의 두께 치수를 크게 하는 일없이, 상기 화상판독 라인과 복수의 수광소자 간의 거리(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의 광로 길이)를 길게 하고, 렌즈의 초점 심도를 깊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는 것에서 판독화상의 질을 높이는 데에도 유리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각 인자용 소자는 발열소자이며, 또한, 상기 기판의 상기 편면과는 반대의 면에 중첩된 방열판이 또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열전사기록방식 또는 감열기록방식에 의한 화상의 프린트가 행해진다.
또, 방열판의 방열작용에 의해, 발열소자의 발열온도를 화상의 프린트에 최적인 온도로 유지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박스체에는, 상기 벽면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벽걸이용 부재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걸림용 부재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를 벽면에 간단히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박스체의 전면부에는, 원고 및 기록지를 박스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와, 복수의 조작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조작스위치는, 상기 박스체를 상기 벽면에 설치한 때에 상기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원고나 기록지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져도, 그들 원고나 기록지에 의해 각 조작스위치가 덮여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박스체 내에는, 기록지용의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수용부는, 상기 박스체를 상기 벽면에 설치한 때에 상기 박스체의 상하방향의 중앙부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박스체 내의 편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때에, 이 장치의 중심을 박스체의 아래쪽의 위치에 배치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안정시킬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박스체는,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가 내부에 장착되며, 또한,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하고 있는 박스체 본체부와, 상기 개구부분을 개폐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뚜껑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뚜껑체에는, 원고용 및 기록지용의 복수의 플래튼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뚜껑체를 폐쇄한 때에는 상기 복수의 플래튼 롤러가 상기 투명커버와 상기 복수의 인자용 소자의 각각과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고용 및 기록지용의 복수의 플래튼 롤러의 세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원고나 기록지에 용지 막힘이 생긴 때에는, 뚜껑체를 여는 것에 의해 원고용 플래튼 롤러를 투명 커버로부터 분리하고, 또는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를 복수의 인자용 소자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기 때문에, 용지 막힘을 일으킨 원고 또는 기록지를 박스체의 외부로 간단히 분리해 내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뚜껑체로서는, 상기 원고용 플래튼 롤러가 설치된 제 1의 뚜껑체와, 상기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가 설치된 제 2의 뚜껑체가 있으며, 또한 상기 박스체 내에는, 상기 제 1의 뚜껑체에 의해 덮여지는 원고이송경로와, 상기 제 2의 뚜껑체에 의해 덮여지는 기록지 이송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고이송경로 또는 기록지 이송경로에 있어서 용지 막힘이 생긴 때에는, 제 1의 뚜껑체와 제 2의 뚜껑체의 어느 하나를 개별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에 의해, 적절하게 대처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뚜껑체에는, 이 박스체를 상기 벽면에 설치한 때에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투명커버 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원고삽입구와,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복수의 인자용 소자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기록지용의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고 삽입구로부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까지의 원고이송경로와, 기록지용의 수용부로부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까지의 기록지 이송경로를,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두께 방향으로 솟아오르지 않도록 하여 적절히 형성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의 뚜껑체와 상기 제 2의 뚜껑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간극은, 상기 원고 및 상기 기록지의 공용의 배출구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원고용 및 기록지용의 배출구를 1개만 설치하면 되고, 또한 이 배출구는 제 1의 뚜껑체와 제 2의 뚜껑체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배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기록지 커트용의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기록지를 상기 모서리를 이용하여 절단할 수가 있어 편리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모서리는, 상기 박스체를 상기 벽면에 설치한 때에 하향으로 되는 상기 제 1의 뚜껑체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온 기록지를 절단하는 때에는, 그 기록지 중, 상기 모서리보다 아래쪽 부분을 손가락으로 누를 수가 있다.
따라서, 기록지의 절단을 정확히 행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모서리는, 상기 제 1의 뚜껑체의 일측 가장자리부 중, 그 길이방향 양 단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1의 뚜껑체의 개폐조작은, 이 제 1의 뚜껑체의상기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소를 잡는 것에 의해 적절히 행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는, 상기 제 2의 뚜껑체를 폐쇄한 때에 상기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의 축부와 맞접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위치결정을 정확히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행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는, 종래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는, 동일의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2에 보다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는, 박스체(90), 이 박스체(90) 내에 조립된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 원고용 플래튼 롤러(P1) 및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는, 케이스(1), 투명커버(2), 렌즈 어레이(5), 광반사 방지부재(6), 기판(4), 및 그 외의 후술하는 부품류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판(4)은, 예를 들면 세라믹제이며, 긴 직사각형의 판상이다.
이 기판(4)의 표면(편면)(4A)에는, 복수의 광원(3), 복수의 이미지센서 칩(41), 복수의 구동IC(8) 및 복수의 발열소자(4b)가 탑재되어 있다.
복수의 광원(3)은, 예를 들면, LED 칩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기판(4)의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어레이상으로 실장되어 있다.
컬러 화상의 판독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광원(3)으로서, 예를 들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을 각각 발하는 것, 혹은 백색의 광을 발하는 것이 사용된다.
복수의 이미지 센서 칩(41)은, 복수의 수광소자(4a)가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있는 것에 의해 광전교환기능을 가지고 있는 반도체 칩이며, 복수의 광원(3)의 어레이와 대략 평행한 어레이상으로 실장되어 있다.
복수의 발열소자(4b)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인자용 소자의 일예에 상당한다.
이들 복수의 발열소자(4b)는, 예를 들면 산화 루테늄 등을 도체 성분으로 하는 후막 저항페이스트를 인쇄·소성하는 것에 의해 기판(4)의 길이 방향으로 일련으로 뻗는 선 형상의 발열저항체(40)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발열저항체(40)를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전기적으로 분단하는 배선패턴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가 있다.
복수의 구동IC(8)는, 복수의 발열소자(4b)의 발열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복수의 광원(3)과 마찬가지로, 기판(4)의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어레이상으로 실장되어 있다.
복수의 발열소자(4b)의 어레이는, 기판(4)의 폭방향의 제 1의 측부(42)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구동IC(8), 수광소자(4a), 및 광원(3)의 각각의 어레이는, 발열소자(4b)의 어레이 보다 기판(4)의 폭방향의 제 2의 측부(43)쪽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4)의 표면(4A)에는, 이 표면(4A) 상에 탑재된 상기 부품군에 관련하는 배선패턴(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4)의 적절한 개소에는 상기 배선패턴의 각각과 도통한 하나 또는 복수의 커넥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넥터에 배선접속을 행하는 것에 의해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부품군으로의 전력공급이나 각종 신호의 입출력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는, 예를 들면 폴리 탄산 에스테르(polycarbonate)에 산화 티탄을 함유시킨 백색계의 합성수지제이며, 그 길이방향의 치수는 기판(4)과 대략 동일하다.
이 케이스(1)는, 복수의 발열소자(4b)의 탑재 부위를 회피하도록 하여 기판(4)의 표면(4A)상에 조립되어 있다.
기판(4)의 표면(4A)중, 제 1의 측부(42)쪽의 일부분은, 케이스(1)의 일측 쪽으로 비어져 나온 돌출면(49)으로 되어 있으며, 복수의 발열소자(4b)는 이 돌출면(49) 상에 위치하고 있다.
케이스(1)에 기판(4)을 조립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들 케이스(1)와 기판(4)을 상호 걸어 고정하는 수단, 또는 스프링 클립을 사용하여 그들을 클램프하는 수단, 혹은 이들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수단을 채용할 수가 있다.
투명 커버(2)는, 판독 대상으로 되는 원고(D)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면 투명한 글래스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플레이트이다.
이 투명커버(2)는, 케이스(1)의 오목부(10)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기판(4)과 간격을 두도록 하여 케이스(1)에 장착되어 있다.
단, 투명커버(2)는, 기판(4)의 제 1의 측부(42)에 근접할수록 기판(4)과의 간격이 크게되도록, 기판(4)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케이스(1)는, 돌출면(49)에 교차하도록 하여 기판(4)의 표면(4A)으로부터 기립한 외측면(1a)을 가지고 있으며, 이 외측면(1a)은, 투명커버(2)에 근접할 수록 기판(4)의 제 2의 측부(43) 쪽으로 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렌즈 어레이(5)는, 길고 가는 형상의 합성수지제의 렌즈 홀더(50)에 복수의 로드 렌즈(51)를 어레이상으로 나란히 지지시킨 것이다.
결상용 렌즈로서 로드 렌즈(51)를 사용하면, 원고(D)의 화상을 각 수광소자(4a) 상에 정립 등배로 결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이외의 렌즈를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이 렌즈 어레이(5)는,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 오목홈(16)에 끼워 넣어져 있는 것에 의해, 투명커버(2)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단, 이 렌즈 어레이(5)는, 투명커버(2)에 근접할 수록 기판(4)의 제 2의 측부(43)쪽이 되도록 기판(4)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투명커버(2)의 표면 중, 렌즈 어레이(5)와 대향하는 부분이 화상판독라인(L)으로 된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제 1 및 제 2의 광로(12, 12a)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의 광로(12)는, 복수의 광원(3)으로부터 발광된 광을 화상판독 라인(L)으로 유도하는 광로이며, 케이스(1)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제 2의 광로(12a)는, 화상판독 라인(L)으로부터 반사되어 온 광을 렌즈 어레이(5)를 통하여 복수의 수광소자(4a) 상에 유도하는 광로로서, 오목홈(1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는 백색의 수지제이기 때문에, 케이스(1)의 각 부분은 광의 반사율이 높은 백색이다.
따라서, 복수의 광원(3)으로부터 발광된 광에 대해서는, 제 1의 광로(12)의 백색의 벽면에 의해 높은 반사율로 반사시키면서 화상 판독라인(L)으로 유도할 수가 있어, 화상판독 라인(L)으로의 광의 조사 효율을 높게 할 수가 있다.
광반사방지부재(6)는, 예를 들면 흑색 안료나 글래스 분말을 포함하는 폴리 카보네이트 혹은 ABS 수지 등의 합성수지제이며, 각 부분의 표면은 광 흡수율이 높은 흑색으로 되어 있다.
이 광반사 방지부재(6)는, 복수의 이미지센서 칩(4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케이스(1)의 저부에 설치된 오목부(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광반사 방지부재(6)는, 복수의 이미지센서 칩(41)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벽부(60), 이 상벽부(60)로부터 기판(4)으로 향하여 돌출한 측벽부(61, 62)를 갖고 있으며, 이들 부분에 의해 복수의 이미지 센서 칩(41)의 주위가 둘러져 있다.
상벽부(60)에는, 제 2의 광로(12a)를 폐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슬릿(63)이 형성되어 있다.
광반사방지부재(6)는, 상벽부(60)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부(64)를 오목부(11)에 연설된 복수의 오목부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케이스(1)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센서 칩(41)의 주위를 광반사방지부재(6)에 의해 에워싸면, 원고(D)로부터의 반사광이 오목부(11)의 백색 벽면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이 광반사방지부재(6)의 안쪽 영역에 있어서도 원고(D)로부터의 반사광이 산란 반사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각 수광소자(4a)에 노이즈의 원인으로 되는 산란광이 입사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또, 광반사방지부재(6)는, 케이스(1)의 외부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의 외측면(1a)과 기판(4)의 표면(4A)이 교차하는 부분에 간극이 존재해서, 외부의 광이 이 간극을 통과하여 수광소자(4a)로 향하여 진행한다 하여도, 이 광을 광반사방지부재(6)가 차단한다.
이미지센서 칩(4a)의 주위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반사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는, 광반사방지부재(6)를 사용하는 수단에 대신하여, 공간실(11)의 벽면에 흑색계의 도장을 시행하는 수단, 혹은 공간실(11)의 벽면에 흑색계의 시트 혹은 필름을 접착하는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박스체(90)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제이며, 그 상면부(91)에는, 이 박스체(90)의 폭방향으로 뻗는 원고 삽입구(91a)가 설치되어 있다.
박스체(90)의 전면부(92)의 상부에는, 각종 복수의 조작스위치(92a)나 표시부(92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조작스위치(92a)나 표시부(92b) 보다도 아래쪽에 원고 배출구(92c)나 기록지 배출구(92d)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원고용 플래튼 롤러(P1)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의 투명 커버(2)에 대향하도록 박스체(90)내에 조립되어 있다.
원고삽입구(91a)로부터 원고배출구(92c)에 이르는 일정 영역은, 원고용 플래튼 롤러(P1)나 원고반송롤러(94)를 갖는 원고이송경로로 되어 있다.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의 복수의 발열소자(4b)에 대향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박스체(90)의 내부 중,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 보다 아래쪽의 저부에는, 감열형의 긴 형상의 기록지(K)의 권취롤러(R)를 수용하는 수용부(9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부(95)로부터 기록지 배출구(92d)에 이르는 일정 영역은, 기록지 이송경로로 되어 있다.
다음에,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는, 예를 들면 가옥내의 대략 연직상의 벽면(H)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벽면(H)에 대한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의 설치는, 박스체(90)의 이면(9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구멍(93a)의 주변가장자리부를, 벽면(H)에 고정된 나사체(N) 등의 벽걸이용 부재에 걸어 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관통구멍(93a)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걸어맞춤부의 일예에 상당한다.
단, 본 발명에서 말하는 걸어맞춤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를 벽면(H)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그 외의 각종의 수단을 채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박스체(90)에 적당한 형상의 금속구를 설치해 두고, 이 금속구를 벽면(H)에 고정된 걸이용 부재에 걸어 맞춤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에 있어서는, 원고용 및 기록지용의 플래튼 롤러(P1, P2)가, 화상 판독 일체헤드(X)의 기판(4)의 동일 편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플래튼 롤러(P1, P2)가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의 두께 방향으로 커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의 케이스(1)의 외측면(1a)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돌출면(49)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넓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돌출면(49)의 폭을 그다지 크게 하는 일없이, 이 돌출면(49)에 대향하는 영역에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여,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더한층 촉진할 수가 있다.
원고용 및 기록지용의 플래튼 롤러(P1, P2)를 박스체(90)내에 조립하는 경우의 그들의 조립방향은 일치하고 있다.
또, 투명커버(2)나 복수의 발열소자(4b)에 대한 플래튼 롤러(P1, P2)의 누르는 방향도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박스체(90) 내에 플래튼 롤러(P1, P2)를 조립하는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칩(41), 발열소자(4b) 및 구동IC(8)를 기판(4)의 동일면에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탑재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기판(4)에 형성하는 배선패턴도 기판(4)의 표면(4A)에만 형성하면 되기 때문에, 그 생산성을 높일 수도 있다.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에 있어서의 원고(D)의 화상 판독작업과 기록지(K)로의 화상 프린트 동작은, 다음과 같이 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2 및 도 4에 있어서, 원고(D)의 화상의 판독 동작은, 먼저 원고삽입구(91a)에 원고(D)가 삽입되면, 복수의 원고 반송롤러(94)의 회전에 의해 이 원고(D)가 원고용 플래튼 롤러(P1)와 투명커버(2) 사이의 화상판독 라인(L)의 위치까지 이송된다.
그러면, 광원(3)에 의해 원고(D) 표면의 화상판독 라인(L)이 조명되며, 원고(D)로부터의 반사광이 렌즈 어레이(5)에 의해 집속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수광소자(4a) 상에 원고(D)의 화상이 결상된다.
이에 의해, 원고(D)의 주주사방향의 1라인분의 화상테이블의 판독이 이루어지며, 그 화상신호가 복수의 수광소자(4a)로부터 출력된다.
원고용 플래튼 롤러(P1)에 의해 원고(D)가 부주사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상술한 화상 판독처리가 1라인 분씩 반복하여 행해지며, 1페이지분의 판독이 종료한 원고(D)는 박스체(90)의 원고배출구(92c)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기록지(K)에 화상이 프린트되는 경우에는, 먼저 권취롤러(R)로부터 반복하여 나온 기록지(K)가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와 복수의 발열소자(4b) 사이로 이송된다.
복수의 발열소자(4b)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의 외부로부터 화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복수의 구동IC(8)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도통되어 발열하고, 이에 의해 기록지(K)에는 소망의 화상이 1라인씩 기록되며, 화상기록이 이루어진 기록지(K)는, 최종적으로는 박스체(90)의 기록지 배출구(92d)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화상의 판독 동작 및 프린트 동작은, 각각 단독으로 행해지는 것도 있지만, 이들 동작이 동시에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원고 반송과 기록지 반송이 동시에 행해진다.
그러나, 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에 있어서는, 원고(D)와 기록지(K)가 상호 간섭하지 않도록 하여, 이들의 반송을 적절히 행할 수가 있다.
즉, 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에 있어서는, 케이스(1)의 외측면(1a)이 경사져 있는 것에 의해 투명커버(2)를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로부터 멀리 배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투명커버(2)에 대향 배치되는 원고용 플래튼 롤러(P1)에 대해서도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로부터 멀리 배치할 수가 있다.
또, 투명커버(2)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원고용 플래튼 롤러(P1)를 기판(4)의 표면(4A)으로부터 그다지 멀리하는 일없이,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로부터 멀리할 수가 있다.
또한, 렌즈 어레이(5)가 경사져 있는 것에 의해, 투명 커버(2)상에 설정되는 화상판독 라인(L)이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로부터 더욱 멀어지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것에 의해서도 원고용 플래튼 롤러(P1)를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로부터 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에 있어서는, 플래튼 롤러(P1, P2)와의 중심간 거리를 공간 효율 좋게 확보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플래튼 롤러(P1, P2)에 의해 이송되는 원고(D)와 기록지(K)가 상호 간섭하여 화상의 판독동작이나 프린트 동작에 지장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할 수가 있다.
원고(D)나 기록지(K)는, 원고배출구(92c)나 기록지 배출구(92d)의 근방에 있어서는 상호 근접한다.
그러나, 이 부분에 있어서는 이미 원고(D)나 기록지(K)를 각각의 배출구(92c, 92d)로 나누는 것만으로도 되는 것에서, 이 부분에 있어서 원고(D)와 기록지(K)가 상호 근접하여도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다.
원고(D)나 기록지(K)가 배출구(92c, 92d)로부터 배출되면, 이 선단부는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쪽으로 늘어진다.
따라서, 배출구(92c, 92d) 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조작스위치(92a)나 표시부(92b)가 원고(D)나 기록지(K)에 의해 덮여 가려지는 일은 없어, 원고(D)나 기록지(K)의 배출 중에 있어서도 조작스위치(92a)의 조작이나 표시부(92b)의 확인을 적절히 행할 수가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도 10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a)는, 케이스(1)의 광로(12)의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한 도광부재(12b)에 의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광원(3)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도광부재(12b)의 내부를 진행하는 때에, 도광부재(12b)의 측면에 도달한 광을 그 측면에 의해 전반사 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광로(12)의 벽면을 백색으로 하지 않아도, 화상판독 라인(L)에 효율 좋게 유도할 수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b)는, 투명커버(2)가 기판(4)에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단, 케이스(1)의 외측면(1a)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대해서는, 곡면상 또는 평면상의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의 외측면(1a)을 경사면으로 하는 것만의 구성이어도, 케이스(1)에 장착되는 투명커버(2)를, 기판(4)의 제 2의 측부(43)쪽으로 편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원고용 플래튼 롤러(P1)와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와의 중심간 거리를 공간 효율 좋게 확보할 수가 있다.
물론, 케이스(1)의 외측면(1a)을 기판(4)에 수직인 평면으로 함과 동시에, 투명 커버(2)를 기판(4)에 대하여 경사시키는 구성에 의해서도, 원고용 플래튼 롤러(P1)와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의 중심간 거리를 공간 효율 좋게 확보할 수가 있다.
도 7∼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의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a)의 박스체(90A)는, 케이스본체부(95)와, 제 1의 뚜껑체(96)와, 제 2의 뚜껑체(9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본체(95)는, 일정한 깊이를 갖는 전면 개구상의 용기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내부에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c)가 장착되어 있다.
제 1의 뚜껑체(96)는, 케이스본체부(95)의 전면 개구부분의 상부 영역을 폐쇄하기 위한 것이며, 그 상부가 축(98a)을 통하여 케이스본체부(95)에 지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축(98a)을 중심으로 화살표 Na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제 1의 뚜껑체(96)의 표면부에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92a)나 표시부(92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의 뚜껑체(96)의 상단부와 케이스본체부(95)의 상단부 사이에는 가늘고 긴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멍부가 원고삽입구(91a)로 되어 있다.
제 2의 뚜껑체(97)는, 케이스본체부(95)의 전면 개구부분의 하부영역을 폐쇄하기 위한 것이며, 그 하부가 축(98b)을 통하여 케이스본체부(95)에 지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축(98b)을 중심으로 화살표 Nb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의 뚜껑체(96)의 이면부에는, 원고용 플래튼 롤러(P1)가 돌기상의 브래킷(99a)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2의 뚜껑체(97)의 이면부에는,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가 브래킷(99b)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 플래튼 롤러(P1, P2)는, 제 1 및 제 2의 뚜껑체(96, 97)가 폐쇄된 때에는 투명커버(2)의 표면이나 복수의 발열소자(4b)에 대향하도록 미리 제 1 및 제 2의 뚜껑체(96, 97)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의 뚜껑체(96, 97)는, 이들을 폐쇄한 때에 이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격이 원고(D)와 기록지(K)를 뚜껑체(90A)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용의 배출구(92e)로 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체(90A)내의 상부에는, 원고 삽입구(91a)로부터 삽입되는 원고(D)가 원고용 플래튼 롤러(P1)와 투명 커버(2)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구(92e)에 이르는 원고이송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체(90A) 내의 하부에는, 이 뚜껑체(90A)내의 하부에 세트된 권취롤러(R)로부터 반복하여 나오는 기록지(K)가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와 복수의 발열소자(4b)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구(92e)에 이르는 기록지 이송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뚜껑체(96)의 하향의 일측 가장자리부(96a)는, 배출구(92e)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일측 가장자리부(96a)에 기록지 절단용의 모서리(96b)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 모서리(96b)는, 일측 가장자리부(96a)의 길이방향 전체 길이 영역에 걸쳐서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길이방향 양단부(96c)를 제외한 영역에 있어서 기록지(K) 보다도 넓은 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96b)는, 기록지(K)의 절단이 적절히 행해지도록 비교적 예리한 형상이다.
이에 대하여 양단부(96c)는 둥그런 선단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0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c)는, 그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와 같은 모양이지만, 기판(4)의 이면에 방열판(7)을 접촉시켜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앞서의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와는 그 구성이 상이하다.
방열판(7)은, 복수의 발열소자(4b)로부터 나온 열을 외부로 발산하여 복수의 발열소자(4b)의 온도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판금제이다.
이 방열판(7)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대략 "U" 형상의 오목부(70)를 갖는 한 쌍의 스토퍼(7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스토퍼(71)는, 예를 들면 방열판(7)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굴곡하는 것에 의해 방열판(7)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a)에 있어서는, 제 2의 뚜껑체(97)가 폐쇄된 때에는,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의 축부가 오목부(70)에 끼워 넣어져, 한 쌍의 스토퍼(71)에 맞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a)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의 뚜껑체(96, 97)의 이면에 원고용 및 기록지용의 플래튼 롤러(P1, P2)를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P1, P2)의 설치 구조를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반면, 플래튼 롤러(P1, P2)를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c)와의 관계에 있어서 소정의 부분에 배치하는 작업은, 제 1 및 제 2의 뚜껑체(96, 97)를 폐쇄하는 하는 것만으로도 되어, 간단히 행할 수가 있다.
특히,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에 대해서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c)의 한 쌍의 스토퍼(71)에 맞접하게 하여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c)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규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기록지(K)를 복수의 발열소자(4b)에 대하여 소망의 압력으로 적절히 누를 수가 있다.
도 8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79)을 이용하여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Xc) 전체를 화살표 N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와 발열소자(4b)끼리, 및 원고용 플래튼 롤러(P1)와 투명 커버(2)끼리를 상호 적당한 압력으로 접촉시키므로서 바람직하게 된다.
원고(D)가 원고이송경로에 있어서 용지 막힘이 생긴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뚜껑체(96)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원고용 플래튼 롤러(P1)를 투명 커버(2)로부터 크게 이반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용지 막힘이 생긴 원고(D)의 반출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제 1의 뚜껑체(96)를 개방하는 때에는, 예를 들면 손가락 끝을 배출구(92e)에 넣어 이 제 1의 뚜껑체(96)의 일측 가장자리부(96a)를 잡는다.
그 때, 일측가장리부(96a)의 예리한 모서리를 갖고 있지 않은 길이방향 양단부(96c)를 잡으면 좋다.
기록지(K)에 막힘이 생긴 경우, 혹은 기록지(K)의 소비가 다 되어 권취롤러(R)를 교환 또는 보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는, 제 2의 뚜껑체(97)를 열어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P2)를 복수의 발열소자(4b)로부터 크게 이반시키는 것에 의해, 그들 사태에 적절히 대처할 수가 있다.
이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Aa)에 있어서는, 1개의 배출구(92e)로부터 원고(D)와 기록지(K)를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원고용과 기록지용의 2개의 배출구가 설치된 것과 비교하면, 장치의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으며, 외관형태도 심플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특히, 배출구(92e)는, 실질적으로는 제 1의 뚜껑체(96)와 제 2의 뚜껑체(97) 사이의 간격이기 때문에, 그 형성도 용이하다.
긴형상의 기록지(K)가 배출구(92e)로부터 배출되며, 이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기록지(K)의 일부를 화살표 Nd로 나타내는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것에서, 기록지(K)를 기록지 절단용의 모서리(96b)에 접촉시켜 걷어올리면 된다.
모서리(96b)가 배출구(92e)의 개구 가장자리부 중 상단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지(K)의 절단시에는 모서리(96b) 보다 아래쪽에 있어서 기록지(K)의 일부를 손가락 끝으로 누르는 것이 가능하여, 그 절단작업을 역시 적절히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의 각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설계변경이 자유롭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뚜껑체 내에 조립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로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광원을, 수광소자 등을 탑재한 기판에 탑재시키는 일없이 케이스 내에 조립하도록 하여도 관계없다.
또, 광원으로서는, LED 이외의 광원을 이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의 판독기능과 프린트기능을 겸하여 갖는 박형의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가 이루어진다.

Claims (16)

  1. 대략 수직의 벽면에 설치되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 내에 조립되는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는,
    어레이상(列狀)으로 배치된 복수의 수광소자가 편면에 탑재된 기판과,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를 둘러싸도록 하여 상기 기판의 상기 편면 상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기판에 대해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원고가 접촉 반송되는 투명 커버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원고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과,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 의해 조명된 원고의 화상을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 상에 결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렌즈와,
    상기 복수의 수광소자와 동일 방향의 어레이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기판에 탑재된 복수의 인자용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로서,
    상기 기판의 상기 편면의 일부분은, 상기 케이스의 측방으로 비어져 나온 돌출면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인자용소자는, 상기 돌출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커버는, 상기 돌출면 쪽의 부분만큼 상기 기판과의 간격이 크게 되도록 상기 기판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돌출면에 교차하도록 하여 상기 기판의 상기 편면상에 기립한 외측면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기립한 만큼 상기 돌출면과는 반대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투명커버에 근접하는 부분 만큼 상기 돌출면과는 반대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판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자용 소자는 발열소자이며, 또한, 상기 기판의 상기 편면과는 반대의 면에 중첩된 방열판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에는, 상기 벽면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벽걸이용 부재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의 전면부에는, 원고 및 기록지를 박스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와 복수의 조작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조작스위치는, 상기 박스체를 상기 벽면에 설치한 때에 상기 배출구 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 내에는, 기록지용의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수용부는, 상기 박스체를 상기 벽면에 설치한 때에 상기 박스체의 상하방향의 중앙부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박스체 내의 편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는,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가 내부에 장착되며, 또한, 전면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있는 박스체 본체부와, 상기 개구부분을 개폐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뚜껑체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뚜껑체에는 원고용 및 기록지용의 복수의 플래튼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뚜껑체를 폐쇄한 때에는 상기 복수의 플래튼 롤러가 상기 투명커버와 상기 복수의 인자용 소자의 각각과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로서는, 상기 원고용 플래튼 롤러가 설치된 제 1의 뚜껑체와, 상기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가 설치된 제 2의 뚜껑체가 있으며, 또한 상기 박스체 내에는, 상기 제 1의 뚜껑체에 의해 덮여지는 원고이송경로와, 상기 제 2의 뚜껑체에 의해 덮여지는 기록지 이송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에는, 이 박스체를 상기 벽면에 설치한 때에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투명커버 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원고삽입구와,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의 복수의 인자용 소자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기록지용의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뚜껑체와 상기 제 2의 뚜껑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간극은, 상기 원고 및 상기 기록지의 공용의 배출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기록지 커트용의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는, 상기 박스체를 상기 벽면에 설치한 때에 하향이 되는 상기 제 1의 뚜껑체의 일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는, 상기 제 1의 뚜껑체의 일측 가장자리부 중, 그 길이방향 양 단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에는, 상기 제 2의 뚜껑체를 폐쇄한 때에 상기 기록지용 플래튼 롤러의 축부와 맞접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KR1020017000418A 1998-07-13 1999-07-08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KR100359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97333 1998-07-13
JP19733398 1998-07-13
JP10-329011 1998-11-19
JP10329011A JP2000092267A (ja) 1998-07-13 1998-11-19 壁掛け用画像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834A KR20010071834A (ko) 2001-07-31
KR100359637B1 true KR100359637B1 (ko) 2002-11-04

Family

ID=2651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418A KR100359637B1 (ko) 1998-07-13 1999-07-08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56569B1 (ko)
EP (1) EP1098506A4 (ko)
JP (1) JP2000092267A (ko)
KR (1) KR100359637B1 (ko)
CN (1) CN1109434C (ko)
CA (1) CA2337655C (ko)
TW (1) TW454406B (ko)
WO (1) WO2000003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5167B4 (de) * 2007-05-29 2009-04-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ahrtschreiber
US20090062657A1 (en) * 2007-08-31 2009-03-05 Koji Yanagihara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JP2009201967A (ja) * 2008-01-31 2009-09-10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超音波診断装置
JP2009178346A (ja) * 2008-01-31 2009-08-13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超音波診断装置
US10099485B1 (en) * 2017-07-31 2018-10-16 Datamax-O'neil Corporation Thermal print heads and printers including the same
CN107471837A (zh) * 2017-08-23 2017-12-15 绵阳涪泽恩达科技有限公司 节约占用空间的计算机输出工具
CN109605948B (zh) * 2019-01-29 2024-04-12 谢东 一种便携式打印机及打印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2952A (ja) * 1991-03-12 1992-10-08 Hitachi Ltd ファクシミリ装置,記録読み取り素子並びに駆動用ic
JPH05344261A (ja) * 1992-06-11 1993-12-2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868673B2 (ja) * 1992-08-17 1999-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入出力デバイス
JP3003416B2 (ja) * 1992-08-28 2000-01-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の読取・記録装置
JPH06113069A (ja) * 1992-09-30 1994-04-22 Mita Ind Co Ltd ディジタル画像形成装置
JP2968662B2 (ja) * 1993-05-07 1999-10-25 ローム株式会社 読取・プリント兼用ヘッド
JPH09284470A (ja) * 1996-04-15 1997-10-31 Rohm Co Ltd 画像読み書きヘッド
JPH1051587A (ja) * 1996-07-30 1998-02-20 Rohm Co Ltd 画像読み書きヘッド
CN1147122C (zh) * 1996-07-30 2004-04-21 罗姆股份有限公司 图象读写头以及用于读写头的集成电路
JP2000050007A (ja) * 1998-07-24 2000-02-18 Rohm Co Ltd 画像処理装置
EP1109396A4 (en) * 1998-07-31 2002-03-13 Rohm Co Ltd INTEGRATED IMAGE READING / WRITING HEAD, AND IMAGE PROCESSOR WITH WRITING READING HEAD
KR100367311B1 (ko) * 1998-11-09 2003-01-10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화상판독/기록 일체헤드, 이를 구비한 화상처리장치,화상판독헤드 및 프린트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09863A (zh) 2001-08-22
EP1098506A1 (en) 2001-05-09
EP1098506A4 (en) 2005-01-05
US7156569B1 (en) 2007-01-02
KR20010071834A (ko) 2001-07-31
JP2000092267A (ja) 2000-03-31
WO2000003536A1 (fr) 2000-01-20
CA2337655A1 (en) 2000-01-20
CA2337655C (en) 2003-08-19
CN1109434C (zh) 2003-05-21
TW454406B (en) 200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9808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lluminator used for the same
KR100336809B1 (ko) 접촉형이미지센서및정보처리장치
US6947168B2 (en) Wall-mount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mage-reading and image-printing functions
KR100359637B1 (ko) 벽걸이용 화상처리장치
US695227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n image reading unit and a printing unit on one side of a substrate
EP1093290B1 (en) Image read/write integral head, and image processor equipped with the same
EP1133146B1 (en) Integral image reading/writing head, image processor provided with this, image reading head and print head
EP1119184B1 (en) Integrated image read/write head and image processor with the head
US6531695B2 (en) Scanner cartri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008630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3860273B2 (ja)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3734970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3839588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2000032213A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
JP3802235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3857441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4369498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3703967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
JP3802236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2001339574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3727785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3798910B2 (ja) 画像読み書き一体ヘッド、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2001186307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