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981B1 - 세차기 - Google Patents

세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981B1
KR100348981B1 KR1019970002709A KR19970002709A KR100348981B1 KR 100348981 B1 KR100348981 B1 KR 100348981B1 KR 1019970002709 A KR1019970002709 A KR 1019970002709A KR 19970002709 A KR19970002709 A KR 19970002709A KR 100348981 B1 KR100348981 B1 KR 10034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de brush
car wash
conveyor
push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2027A (ko
Inventor
쥰죠 이시카와
아키라 이카리
마사모토 우에다
미쯔루 니시무라
카쯔야 키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34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022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015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54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015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442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7679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3512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646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068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19980032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00Brushing, scrubbing, and general cleaning
    • Y10S15/02Car cleaning 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종래의 연속세차기에서는, 좌우의 사이드브러시 중의 어느 한쪽의 사이드브러시를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피세정차량을 반송하는 롤러콘베이어에 차륜안내체를 설치하여, 피세정차량의 측면과 한쪽의 사이드브러시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피세정차량을 롤러콘베이어에 올려놓을 때의 운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치형 세차기본체(1) 내에, 피세정차량(2)의 반송방향과는 직각인 좌우방향으로 출퇴자재하고, 적어도 피세정차량(2)의 측면을 세정하는 1쌍의 사이드브러시(8a,8b)를 설치하고, 피세정차량(2)을 반송하는 콘베이어장치(3)를 상기한 차륜안내체를 없애고, 콘베이어장치(3)의 폭을 복수의 종류의 차폭에 대응하도록 폭넓게 구성한다.

Description

세차기{CAR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거치형 세차기 본체 내에 피세정차량을 전방으로부터 반입함과 아울러, 세차기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반출하는 콘베이어설치를 설치하고, 상기한 콘베이어설비에 의하여 피세정차량을 이동시키면서 피세정차량의 세정을 실시하는 세차기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세차기로서, 예컨데 미국특허 제5,432,97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바닥면에 설치된 피세정차량을 세정하는 세정수단을 구비한 터널형의 거치형 세차기 본체와, 상기한 피세정차량을 전방으로부터 상기한 세차기 본체 내에 반입함과 아울러, 세차기 본체로부터 후방으로 반출하는 좌우 1쌍의 롤러콘베이어를 구비한 것이 있다.
상기한 세정수단의 하나로서, 브러시를 회전시키면서 전후 좌우로 이동해서 피세정차량의 전후면과 한 측면을 세정하는 제1사이드브러시와, 이동하지 않고 브러시를 회전시켜서 피세정차량의 다른 측면을 세정하는 고정식의 제2사이드브러시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제2사이드브러시를 고정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세정차량의 다른 측면과 제2사이드브러시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피세정차량의 다른 측면쪽의 롤러콘베이어의 폭을 차량의 폭 정도로 설정하고, 또, 차륜의 안내체를 설치하여 피세정차량의 다른 측면쪽의 차륜을 안내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세정차량은 다른 측면쪽의 롤러콘베이어를 가이드로 하여, 롤러콘베이어 위에 올라타게 되고, 이후, 피세정차량은 롤러콘베이어에 의하여 반송되어서 세차기 본체 내에 반입되고, 롤러콘베이어에 의하여 반송되면서, 상기한 사이드브러시 등의 세정수단에 의해서 세정되어 세차기 본체로부터 반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공지의 세차기의 구성에서는, 한쪽 롤러콘베이어의 폭을 좁게 하고 있기 때문에, 피세정차량을 롤러콘베이어에 올려놓을 때의 운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콘베이어에 대한 피세정차량의 재치를 용이하게 하고, 또, 세차기 본체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세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면에 피세정차량을 세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터널형의 거치형 세차기 본체가 설치되고, 상기한 피세정차량을 전방으로부터 상기한 세차기 본체 내로 반입함과 아울러, 세차기 본체 내로부터 후방으로 반출하는 콘베이어장치가 설치되고, 이 콘베이어장치는, 잠겨진 상태의 차륜을 개재하여 상기한 피세정차량을 지지하고, 반출하는 구성으로 된 세차기에 있어서, 상기한 콘베이어장치는, 상기한 피세정차량의 차륜을 안내하는 차륜안내체의 적어도 일부를 없앤 콘베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콘베이어에 차량안내체가 없으므로, 콘베이어에대한 피세정차량의 자리정렬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세차기의 일부를 절단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한 세차기의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한 세차기 본체의 전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한 세차기의 삐어져 나온 검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한 세차기의 연장롤러콘베이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한 세차기의 연장롤러콘베이어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A-A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한 세차기의 연장롤러콘베이어의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있어서의 A-A선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한 세차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한 세차기의 사이드브러시장치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기한 세차기의 사이드브러시 구동장치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상기한 세차기의 사이드브러시 구동장치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세차기의 사이드브러시 구동장치 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5는 상기한 세차기의 위치결정장치부분의 위치결정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6은 상기한 세차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상기한 세차기의 제어장치의 시퀀스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8은 상기한 세차기의 제어장치의 시퀀스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9는 상기한 세차기의 제어장치의 좌사이드브러시 제어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0은 상기한 세차기의 제어장치의 좌사이드브러시 제어부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1(a), (b), (c), (d)는 상기한 세차기에 있어서 차량을 세정할 때의 양 사이드브러시장치와 캐리지의 동작을 표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2(a), (b)는 상기한 세차기에 있어서 차량을 세정할 때의 양 사이드브러시장치와 캐리지의 동작을 표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3(a), (b)는 상기한 세차기에 있어서 차량을 세정할 때의 양 사이드브러시장치와 캐리지의 동작을 표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차기의 일부를 절단한 평면도이다.
도 25는 상기한 세차기의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26은 상기한 세차기 본체의 전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거치형 세차기 본체(1)와, 피세정차량(2)을 전방으로부터 상기한 세차기 본체(1) 내에 반입함과 아울러, 세차기 본체(1) 내로부터 후방으로 반출하는 콘베이어장치(3)로 구성되는 세차기(4)가 바닥면(5)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세차기 본체(1)의 내부에는, 차량(2)의 세차수단으로서, 세정용의 좌우 1쌍의 로커브러시장치(6)와, 세정용의 톱브러시장치(7)와, 세정용의 좌우 1쌍의 사이드브러시장치(8)와, 왁스 도포용의 톱브러시장치(9)와, 왁스 도포용의 좌우 1쌍의 로커브러시장치(10)와, 건조용의 톱노즐장치(11)와, 건조용의 좌우 1쌍의 사이드노즐장치(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로커브러시장치(6)는, 차량(2)의 각 차륜(14a,14b,15a,15b) 및 양측 하부를 세정하는 것이며, 서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톱브러시장치(7)는, 차량(2)의 상면을 세정하는 것이며,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양 사이드브러시장치(8)는, 차량(2)의 양측면 및 전후면을 세정하는 것이며, 서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뒤에 설명한다). 상기 톱브러시장치(9)는, 차량(2)의 상측에 왁스를 도포하는 것이며,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로커브러시장치(10)는, 차량(2)의 양측에 왁스를 도포하는 것이며, 서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톱노즐장치(11)는, 차량(2)의 상면을 건조시키는 것이며,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양 사이드노즐장치(12)는,차량(2)의 양측면을 건조시키는 것이며, 서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세차기 본체(1)의 전면 상부에는, 차량(2)의 높이 및 유무를 검출하는 초음파센서(13)가 설치되고, 또, 상기 세차기 본체(1)의 전단부입구(1a)에는, 도 3에 표시하듯이, 마이크로컴퓨터와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제어장치(17)(상세한 것은 뒤에 설명한다)와 비상정지 표시등(18)이 설치되어 있다. 또, 콘베이어장치(3)의 시단부(始端部) 옆쪽에는, 광전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차량(2)의 위치정렬을 검출하는 차량검출장치(19)가 설치되어 있고, 콘베이어장치(3)의 전방의 한 옆쪽에는 차량(2)의 운전자가 세차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패널(20)이 설치되어 있다.
(돌출검출장치)
도 1 내지 도 3에 표시하듯이, 상기한 세차기 본체(1)의 전단부입구(1a)에는, 상기 콘베이어장치(3)상의 차량(2)의 일부가 콘베이어장치(3)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한 것을 검출하는 돌출검출장치(21a,21b)가 좌우 1쌍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양 돌출검출장치(21a,21b)는 각각 차량(2)의 측면에 접촉한 경우에 좌우방향으로부터 차량반송방향(F)(후방)으로 요동하는 검지체(22)와, 이 검지체(22)의 요동을 검지하는 리미트스위치(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검지체(22)는 수직 축심선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요동가능한 검지봉(25)과, 이 검지봉(25)의 유단부(遊端部)에 부착된 코일스프링(26)과, 이 코일스프링(26)에 피복된 고무제의 자루형상의 보호캡(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23)는 벽면패널(16)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재(28)에 부착되어 있다. 이 프레임재(28)에는, 상기 검지봉(25)을 차량이송방향(F)과는 역방향(G)(전방)으로 밀어주는 가압용 스프링(29)과, 검지봉(25)의 역방향(G)으로의 요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검지체(22)는 벽면패널(26)에 형성된 구멍부(16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1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2)이 콘베이어장치(3)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의 실선으로 표시하듯이, 차량(2)이 양 돌출검출장치의 각 검지체(22)에 접촉하지 않고 검지체(22)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반송되기 때문에, 양 돌출검출장치의 각 리미트스위치(23)가 온(ON) 그대로의 상태로 된다. 그러나, 콘베이어장치(3)에는, 좌우방향으로 차륜(14a,14b,15a,15b)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2)이 좌우로 비뚤어진 자세로 콘베이어장치(3) 위에 올려지게 될때,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하듯이, 차량(2)의 후부가 콘베이어장치(3)의 좌우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단, 차량(2)의 후부가 콘베이어장치(3)의 한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차량(2)이 반송된 경우, 도 4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하듯이, 차량(2)의 돌출된 쪽의 측면(한 측면)이 한쪽의 돌출검출장치(21a)의 검지체(22)의 선단부에 접촉하고, 이 검지체(22)가 가압용 스프링(29)의 스프링장력에 대항하여 차량이송방향(F)으로 요동하여, 리미트스위치(23)가 온으로부터 오프(OFF)로 전환되어, 차량(2)이 콘베이어장치(3)로부터 돌출된 것이 검출된다.
(콘베이어장치)
상기 콘베이어장치(3)는, 세차기 본체(1)의 전방으로부터 세차기 본체(1) 내를 통과하여 세차기 본체(1)의 후단부에 이르는 좌우 1쌍의 종래의 메인 롤러 컨베어(31a,31b)와, 새로이 양 메인롤러콘베이어(31a,31b)의 후방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로 구성되어 있다.
피세정차량(2)의 한 측방의 차륜(14a,15a)이 한쪽의 롤러콘베이어(31a, 32a)에 의해 지지반송되고, 다른 측방의 차륜(14b,15b)이 다른쪽의 롤러콘베이어(31b,32b)에 의해 지지반송된다.
또, 도 3에 표시하듯이, 상기 메인 롤러 콘베이어(31a,31b)는 각각 좌우 1쌍의 콘베이어프레임(33)과, 양 콘베이어프레임(33) 사이에서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복수의 롤러(34)와, 이들 롤러(34)를 회전구동시키는 모우터(구동장치의 한 예)(35)로 구성되어 있고, 메인 롤러 콘베이어(31a,31b)에는 좌우방향의 가이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상기 한쪽의 롤러콘베이어(31a,32a)와 다른쪽의 롤러콘베이어(31b,32b)의 폭은, 동일하게 설정되고, 또, 복수 종류의 차폭에 대응할 수 있도록 폭이 넓게 설정되어 있다. 또, 메인 롤러 콘베이어(31a,31b)의 시단측에는, 차량(2)을 콘베이어 장치(3)에 원활하게 올려놓기 위한 전방부 경사면(39)이 설치되고,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의 종단측에는, 차량(2)을 원활하게 내리기 위한 후부(後部) 경사면(4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롤러 콘베이어(31)는, 전후방향에서, 전방부 롤러콘베이어(36)와 중간부 롤러콘베이어(37)와 후부 롤러콘베이어(38)로 3등분되어 있다.
(연장콘베이어)
상기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의 구성을 도 5 내지 도 9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는 좌우 1쌍 모두 동일구조로 되어 있으며, 바닥면(5)에 설치되는 좌우 1쌍의 콘베이어프레임(33)의 후단부 사이에는 회전구동축(41)이 베어링(42)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회전구동축(41)의 좌우 중의 어느 일단부에는 구동스프로켓(43)이 키이(44)를 개재하여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좌우 한 측방의 콘베이어프레임(33)의 시단부에는, 회전가능한 종동스프로켓(4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콘베이어프레임(33)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축(46)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롤러(4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롤러(47)의 일단에는, 중간스프로켓(48)이 일체로 설치되고, 이들 중간스프로켓(48)은 구동스프로켓(43)과 종동스프로켓(45)의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또, 도 6, 및 도 7에 표시하듯이, 상기 회전구동축(41)에는 엔드롤러(end roller)(4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엔드롤러(49)와 회전구동축(41)은 베어링(50)을 개재하여 독립적으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표시하듯이, 상기 구동스프로켓(43)과 종동스프로켓(45)의 사이에는 체인(51)이 감겨 있고, 이 체인(51)의 상부 이동경로부(51a)와 하부 이동경로부(51b)가 각각 각 중간스프로켓(48)의 상하방향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상부 이동경로부(51a)가 각 중간스프로켓(48)에서 상방으로부터 맞물려 있다. 또, 도 9에 표시하듯이, 하부 이동경로부(51b)는, 각 중간스프로켓(48)의 하방에서, 안내레일(52)에 의하여 지지안내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표시하듯이, 상기 양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의 종단부에 위치하는 엔드롤러(49)와 이 엔드롤러(49)의 앞쪽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롤러(47)의 사이에는, 이들 양 롤러(47,49)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동장치(5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엔드롤러(49)의 다른 끝에는, 전동용 스프로켓(54)이 설치되고, 앞쪽 인접한 위치의 롤러(47)의 다른 끝에는 회전력 공급용 스프로켓(5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용 스프로켓(54)과 회전력 공급용 스프로켓(55)의 사이에는 보조체인(56)이 감기어 있다.
또, 도 5, 및 도 6에 표시하듯이, 상기 양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의 시단부에는, 지지축(57)을 개재하여 유전자재하게 지지되는 부속롤러(58)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들 부속롤러(58)의 다른쪽 끝에는 회전용 스프로켓(59)이 설치되고, 부속롤러(58)의 뒤쪽 인접한 위치의 롤러(47)의 다른쪽 끝에는 회전력 공급용 스프로켓(6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회전용 스프로켓(59)과 회전력 공급용 스프로켓(60)의 사이에는 보조체인(61)이 감기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표시하듯이, 좌우 1쌍의 회전구동축(41) 사이는 연결축(62)에 의하여 연결되고, 이들 양 회전구동축(41) 중의 어느 한쪽에는, 회전구동축(41)을 개재하여 구동스프로켓(43)을 회전구동시키는 모우터(63)(구동장치의 한 예)가 연결되어 있다. 또, 도 7, 및 도 9에 표시하듯이, 양 콘베이어프레임(33)에는, 체인(51), 보조체인(56,61)이 반송되는 차량(2)의 각 차륜(14a,14b,15a,15b)이 접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커버(64a,64b)가 시단부로부터 종단부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롤러(47,49,58)의 상단을 기준으로 한 상기 각 커버(64a,64b)의 높이(H)는, 차량(2)이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는 높이로 되어 있다. 또, 도 9에 표시하듯이, 양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 사이에 걸처서, 바닥면(5)에 설치된 프레임체(65)에 지지된 커버체(66)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세차기 본체(1)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의 종단까지의 길이(L1)는, 세차가능한 최대길이의 차량(2)의 휠베이스(L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에는,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의 종단부까지 이송된 차량(2)을 검출하는 차량검출장치(67)(광전스위치나 근접스위치 등)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한쪽의 연장롤러콘베이어(32b)의 외방에는 후부 경사면(40)에 연속하여 차량(2)을 원활하게 내리는 측부 경사면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에 의하면, 차량(2)이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의 종단부까지 이송되어서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가 정지했을 때, 세차기 본체(1)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의 종단까지의 길이(L1)가 차량(2)의 휠베이스(L2)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2)의 후륜(15a,15b)은 세차기 본체(1)보다도 후방위치에 정지하여, 차량(2)의 거의 전체가 세차기 본체(1)의 후방으로 나온다. 그 후,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2)을 주행시켜서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로부터 나간다. 이 때, 상기 커버(64)는 낮게, 또, 커버체(66)와 측부 경사면(6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측부 경사면(68)측으로 핸들을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의측방으로 차량(2)을 반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륜 잠금조작에 의하여 차량(2)의 전륜(14a,14b)이 잠겨진 경우에도, 차량(2)의 거의 전체를 세차기 본체(1)의 후방으로 확실하게 이송할 수 있고, 그 후, 차량(2)을 안전하고 원할하게 연장롤러콘베이어(32a),(32b)로부터 반출할 수 있다.
(사이드브러시)
상기 양 사이드브러시장치(8a,8b)는 각각,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71a,71b)와, 각 이동체(71a,71b)의 하부에 설치된 사이드브러시 본체(72a,72b)로 구성되고, 도 12 내지 도 14에 표시하듯이, 각각 사이드브러시 구동장치(73)를 개재하여 세차기 본체(1)측에 배설된다.
즉, 세차기 본체(1)의 상부에는, 차량이송방향(F)과는 직각인 좌우방향(폭방향)으로 긴 안내용 레일(74)이 설치된다. 이 안내용 레일(74)은, 그 상단에 산(山)형산 안내부(74A)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에 역산(逆山)형상 안내부(74B)가 형성되며, 그리고, 한 측면에 오목홈부(74C)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부(74A∼74C)로 이루어지는 안내용 레일(74)은 알류미늄을 압출성형한 후 소정 치수로 절단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용 레일(74)의 양단으로부터는 지지축(76)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이들 지지축(76)이 세차기 본체(1)측에서 베어링(77)을 개재하여 지지됨으로써, 이 안내용 레일(74)은 가로축심(7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은 플랜지(75)와 세차기 본체(1)의 사이에 설치된 전후 1쌍의스프링(79)에 대항하여 실시되고, 스프링(79)의 탄성력에 의해 중립위치가 유지된다.
상기한 안내용 레일(74)에 지지안내되어서 이동자재한 가동체(可動體)(80)가 설치되고, 이 가동체(80)는 측면에서 보아 'C'자형상을 이루며, 상기 산형상 안내부(74A)에서 상방으로부터 접촉기능한 복수 개의 상부롤러(81)와, 역산형상 안내부(74B)에서 하방으로부터 접촉가능한 복수 개의 하부롤러(82) 등을 개재하여 지지안내된다. 상기 가동체(80)에는 상하방향의 롤러베어링(83)이 부착되고, 이 롤러베어링(83)에 상기 사이드브러시 본체(72a,72b)의 축(84)이 지지되는 것에 의해, 사이드브러시 본체(72a,72b)는 세로축심(85)을 중심으로 회전자재하게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브러시 본체(72a,72b)용 회전구동장치(86)은, 가동체(80)측에 부착된 회전용 모우터(87)와, 그 출력축(88)에 부착된 구동스프로켓(89)과, 사이드브러시축(84)에 부착된 피동스프로켓(90)과, 양 스프로켓(89,90) 사이에 걸쳐진 체인(91)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브러시장치(8a,8b)를 세차기 중심(K)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웨이트(weight) 가압장치(92a,92b)가 설치된다. 즉, 가동체(80)에 연결된 와이어(93a,93b)가, 세차기 중심(K)을 넘어서 외측으로 인출되고, 이 와이어(93a,93b)는, 세차기 본체(1)에 부착된 안내륜체(94a,94b)에 안내된 후, 세차기 본체(1) 내에 위치한 와이어(93a,93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브러시장치(8a,8b)측, 즉, 가동체(80)측으로의 공급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96)가 설치된다. 이 지지장치(96)는, 세차기 본체(1)쪽에종축(97)을 개재하여 좌우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아암(98)과, 이 아암(98)의 유단에 세로핀(99)을 개재하여 서로 대응하여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링크(100)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 링크(100)의 유단이 세로핀(101)을 개재하여 가동체(80)에 연결되어 있다.
각 안내용 레일(74)에는, 각각, 상기 가동체(80)를 개재하여 사이드브러시장치(8a,8b)를 좌우 작동시킴과 동시에 좌우방향에서의 위치결정을 실시하는 작동장치(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작동장치(102)는, 안내용 레일(74)의 안끝쪽에 브라켓(103)을 개재하여 부착된 이동용 모우터(104)와, 그 전후방향의 출력축에 부착된 구동스프로켓(105)과, 안내용 레일(74)의 외단측에 브라켓(106)을 개재하여 부착된 수동스프로켓(107)과, 양 스프로켓(105,107) 사이에 걸쳐진 구동체인(108)과, 이 구동체인(108)을 상기 가동체(80)에 연결시키는 연동장치(109)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 연동장치(109)는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체인(108)측에 설치된 전동부재(110)와, 이 전동부재(110)에서 외측으로부터 대향하고, 또, 가동체(80)측에 설치된 수동부재(111)와, 양 부재(110,111)의 맞닿음을 검출하는 근접검출장치(112)에 의해, 구동체인(108)에 대하여 가동체(80)가 세차기 중심(K)으로부터 떨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전동부재(110)는, 구동체인(108)에 일체화 된 (구동체인(108)의 일부를 구성하는)로드체(113)와, 이 로드체(113)에 설치된 통체(114)와, 로드체(113) 및 통체(114)의 일정범위 내에서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절결부(115) 및 볼트체(116)와, 로드체(113) 및 통체(114)를 사이가 멀어지도록 밀어주는 코일스프링(117)과, 상기 통체(114)의 외단에 고정된 전동측 판체(118) 등으로 구성된다.
또, 수동부재(111)는 상기 가동체(80)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고, 또, 구동체인(108)에 설치된 수동측 판체(119)와, 이 수동측 판체(119)의 내면측에 고정된 링형상의 부싱체(120)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수동측 판체(119)에 브라켓(121)을 개재하여 상기 근접검출장치(112)가 부착되고, 이 근접검출장치(112)는, 예컨데, 근접스위치형식으로서, 파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측 판체(118)와 부싱체(120)가 맞닿았을 때, 전동측 판체(118)의 외면에 의하여 검출작동한다. 또, 안내용 레일(74)의 세차기 중심(K)측 단부에 가동체(80)가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근접스위치로 이루어지는 폐쇄한도검출장치(closed limit detecting device)(122)가 설치되고, 또, 안내용 레일(74)의 외단부에 가동체(80)가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근접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개방한도검출장치(opened limit detecting device)(123)가 설치되고, 또, 이동용 모우터(104)의 축에 펄스엔코더(124)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플랜지(75)가 후방으로 경사한 것을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후방경사검출장치(1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에 의하면, 회전용 모우터(87)의 구동에 의하여 사이드 브러시축(84)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이드 브러시 본체(72a,72b)를 종축심(8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고 있고, 그리고, 차량(2)의 전후면에 접촉했을 때의 충격은 안내용 레일(74)이 횡축심(78)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완충된다. 그 때에, 좌우 1쌍의 안내용 레일(74)은 횡축심(78)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차량(2)의 기울기(정차위치의 흐트러짐에 의한 기울기)에 의하여 양 사이드브러시 본체(72a,72b)의 접촉에 시간차가 생겨도, 그 시간차에 따라서 충격에 대한 회전을 행하는 것이 되어 추종성이 좋은 것으로 할 수 있고, 사이드 브러시 본체(72a,72b) 등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또, 이동용 모우터(104)의 정작동(正作動)에 의하여 구동스프로켓(105) 등을 개재하여 구동체인(108)을 정이동(正移動)시킨다. 이 구동체인(108)의 정이동에 의해 연동장치(109)의 전동부재(110)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전동부재(110)의 전동측 판체(118)에 부싱체(120)을 개재하여 맞닿아 있는 수동부재(111)을 일체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접촉시에 통체(114)에 대하여 로드체(113)가 코일스프링(117)에 대항하여 상대이동되고, 이에 의해서, 접촉시의 충격이 완충된다. 이상에 의하여,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의 세차기 중심(K)에 대한 멀어지는 작동을 실시한다.
그리고, 역작동에 의하여,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의 세차기 중심(K)에 대한 접근작동을 실시한다. 즉, 이동용 모우터(104)의 역작동에 의하여, 구동스프로켓(105) 등을 개재하여 구동체인(108)을 역이동시켜, 연동장치(109)의 전동부재(110)를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가동체(80)측에 웨이트 가압장치(92)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서, 상기 전동부(110)에 맞닿고 있는 수동부재(111)는 일체적으로 이동하며, 이상의 근접동작을 실시한다.
또,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체인(108)에 바깥으로 장착된 부싱체(120)가 전동측 판체(118)로부터 멀어지면, 근접검출장치(112)는 오프된다.
(제어장치)
상기 사이드브러시장치(8a,8b) 및 롤러콘베이어장치(3)의 제어블록을 도 16에 표시한다.
도 16의 제어블록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17)에, 조작패널(20), 초음파센서(13), 돌출검출장치의 리미트스위치(23a,23b), 전부 롤러콘베이어의 차량검출장치(67), 연장롤러콘베이어의 차량검출장치(67), 사이드브러시장치(8a,8b)의 폐쇄한도검출장치(122a,122b)와 개방한도검출장치(123a,123b)와, 근접검출장치(112a,112b)와 펄스엔코더(124a,124b)와 후방경사 검출장치(125a,125b), 비상정지표시등(18), 롤러콘베이어(36,37,38)의 모우터(35), 연장롤러콘베이어(32)의 모우터(63) 및 사이드브러시장치(8a,8b)의 회전용 모우터(87a,87b)와 이동용 모우터(104a,104b)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17)는, 각 롤러콘베이어의 모우터(35,36)에 대응하여 설치된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주행구동부(131)∼(134)와, 연장 롤러콘베이어 제어부(135)와, 이동위치검출부(136a,136b)와, 폐쇄한도검출장치(123a), 개방한도검출장치(122a), 근접검출장치(112a) 및, 이동 위치검출부(136a)가 접속되고, 회전용 모우터(87a)와 이동용 모우터(104a)를 구동하는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과 상기 폐쇄한도검출장치(123b), 개방한도검출장치(122b), 근접검출장치(112b) 및 이동위치검출부(136b)가 접속되며, 회전용 모우터(87b)와 이동용 모우터(104b)를 구동하는 우사이드브러시 제어부(138)과, 조작패널(20), 초음파센서(13), 전방부 롤러콘베이어의 차량검출장치(19), 연장 롤러콘베이어의 차량검출장치(67) 및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의 후방경사 검출장치(125a,125b)가 접속되고, 주행구동부(131)∼(133), 연장 롤러콘베이어 제어부(135),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 및 우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8)를 통괄제어하는 시퀀스부(139)와, 비상정지부(1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롤러콘베이어 제어부(135), 이동위치검출부(136a,136b),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 우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8) 및 시퀀스부(139)는 마이크로컴퓨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상정지부(140)에는, 돌출검출장치의 리미트스위치(23a,23b)와 비상표시등(18)이 접속되고, 적어도 이들 중의 한쪽의 리미트스위치(23a,23b)가 오프하면, 비상표시등(18)을 점등하고, 비상정지신호를 연장롤러콘베이어 제어부(135),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 우사이드 브러시제어부(138) 및 시퀀스부(139)로 출력 한다. 연장 롤러콘베이어 제어부(135),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 우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8) 및 시퀀스부(139)는, 상기 비상정지신호를 입력하면, 구동하는 모우터를 모두 비상정지시킨다.
상기 연장 롤러콘베이어 제어부(135)에는, 연장 롤러콘베이어의 차량검출장치(67)와 연장 롤러콘베이어의 모우터(63)의 주행구동부(134)가 접속되고, 차량검출장치(67)가 작동하면, 즉, 차량(2)이 연장 롤러콘베이어(32a,32b) 상으로 반입되면, 주행 구동부(134)에 대해 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차량검출장치(67)가 오프, 즉, 차량(2)이 연장 롤러콘베이어(32a,32b)로부터 반출되면, 소정시간 후, 주행구동부(134)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연장 롤러콘베이어(32a,32b)를 구동시킨다.
상기 이동위치검출부(136a,136b)는 각각, 이동체(71a,71b)의 폐쇄한도위치로부터 펄스엔코더(124a,124b)의 펄스신호를 카운트하며(이동체(71a,72b)가 멀어지는 방향은 가산, 접근방향은 감산), 이동체(71a,71b)의 폐쇄한도위치로부터의 위치데이터(αa,αb)를 검출하며,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와 우사이드 브러시장치(138)에 출력한다.
이하, 시퀀스부(139),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 및 우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8)의 상세한 제어동작을,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에 의하여 차량(2)의 세정을 행할때의 세차기 전체의 작용과 함께 도 17, 도 18의 시퀀스부(139)의 플로우챠트와, 도 19, 도 20의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의 플로우챠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그리고, 우사이드브러시장치(138)의 동작은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의 동작과 동일(단, 좌우 대칭)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양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는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세차기 본체(1)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옆끈부에서 대기하고 있다.
먼저, 차량(2)의 운전자는 차량(2)를 조작패널(20)의 측부까지 이동시켜서, 세차메뉴를 설정하고, 이어서 전부 롤러콘베이어(36) 상에 올려놓고 정지시킨다.
시퀀스부(139)는, 조작패널(20)에 의하여 세차메뉴가 설정된 것을 확인하고(단계-A1), 차량검출장치(19)의 동작을 확인하면(단계-A2), 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138)에 기동신호를 출력하고(단계-A3), 전방부와 중간부 롤러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1,132)에 대한 주행지령신호를 출력한다(단계-A4). 이어서, 연장롤러콘베이어의 차량검출장치(67)가 오프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단계A-5), 오프의 경우, 시퀀스부는 후부 롤러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3)에 주행지령신호를 출력한다(단계-A6).
좌사이드브러시 제어부(137)는, 도 1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기동신호를 입력하면(단계-B1), 회전용 모우터(87a)를 구동하고(단계-B2), 구동용 모우터(104a)을 정회전 구동하여 구동체인을 한쪽으로 회전시키고, 전동부재(110)을 세차기 본체 중심(112)측으로 이동시키며(단계-B3), 폐쇄한도검출장치(122a)가 동작하면(단계-B4), 이동용 모우터(104a)의 회전구동을 정지한다(단계-B5).
이에 의하여, 도 21(a)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하듯이, 양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는 웨이트(95a,95b)의 가압력에 의하여 세차기 본체 중심(K)측으로 이동하고, 폐쇄한도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때, 수동부재(111)는 전동부재(110)에 맞닿은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근접검출장치(112)는 온으로 되어 있다.
메인 롤러 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1∼133)는 주행지령신호에 따라서 모우터(35)를 구동하여 롤러콘베이어(31a,31b)를 구동하고, 따라서, 차량(2)는 전진을 시작한다.
다음에, 시퀀스부(139)는, 차량(2)의 전면이 사이드 브러시 본체(72a,72b)에 접촉하고, 후방경사검출장치(125a,125b) 중의 어느 하나가 동작하면(단계-A7), 메인 롤러 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1∼133)에 정지지령신호를 출력하고(단계-A8),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에 대한 차량 전면 세정시작신호를 출력하며(단계-A9), 좌사이드 브러시장치(8a)와 우사이드 브러시장치(8b)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일정시간 늦춰서, 우사이드브러시 제어부(138)에 차량 전면 세정시작신호를 출력한다(단계-A10).
메인 롤러 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1∼133)는 정지지령신호에 따라서 모우터(35)를 정지하여 롤러콘베이어(31a,31b)를 정지하고, 따라서, 차량(2)는 정지한다.
(차량의 전면 세정)
좌사이드브러시 제어부(137)는, 상기 차량 전면 세정시작신호를 입력하면(단계-B6), 좌사이드브러시장치(8a)의 이동용 모우터(104a)를 역회전구동하여 구동체인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여, 전동부재(110)을 세차기 본체 중심(K)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단계-B7), 개방한도검출장치(122a)가 동작하면(단계-B8), 이동용 모우터(104a)의 회전구동을 정지하고(단계-B9), 차량 전면 세정종료신호를 시퀀스부(139)에 출력한다(단계-B10).
이에 의하여, 양 사이드브러시장치(8a,8b)에서는, 전동부재(110)가 웨이트(95a,95b)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수동부재(111)을 누르고, 도 21(b)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하듯이, 양 사이드브러시장치(8a,8b)가 함께 세차기 본체 중심(K)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차량(2)의 전면(2c)의 대략 좌반분이 한쪽의 사이드 브러시장치(8a)에 의해 세정되고, 대략 우반분이 다른쪽 사이드 브러시장치(8b)에 의해 세정된다.
시퀀스부(139)는, 양 사이드브러시 제어부(137,138)로부터 차량 전면 세정종료신호를 입력하면(단계-A11, A12), 양 사이드브러시 제어부(137,138)에 차량 측면세정시작신호를 출력하고(단계-A13), 메인 롤러 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1∼133)에 주행지령신호를 출력한다(단계-A14). 계속해서, 초음파센서(13)가 오프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단계-A15), 확인하면, 전방 롤러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1)에 정지지령신호를 출력하고(단계-A16), 시간(t)의 카운트를 시작한다(단계 A17). 이 시간카운트(t)가 소정시간(T)으로 되면(단계-A18), 중간부와 후부롤러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2,133)에 정지지령신호를 출력하고(단계-A19), 양 사이드브러시 제어부(137,138)에 차량 후면 세정시작신호를 출력한다(단계-A20).
메인 롤러 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1∼133)는 주행지령신호에 따라서 롤러콘베이어(31a,31b)를 구동하고, 따라서, 차량(2)은 전진을 시작한다. 또, 전방롤러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1)는 정지지령신호에 따라서 전부 롤러콘베이어(36)의 구동을 정지하고, 중간부와 후부롤러콘베이어 주행구동부(132,133)는 정지지령신호에 따라서 중간부와 후부롤러콘베이어(37,38)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들 메인 롤러 콘베이어(36,37,38)의 구동에 의하여, 차량(2)은 전면(2c)의 세정이 종료하면, 다시 전진되며, 차량(2)의 후면위치에 양 사이드브러시 본체(72)가 위치하면, 차량(2)은 정지된다.
(차량(2)의 측면(2a,2b)의 세정)
좌사이드브러시 제어부(137)는, 상기 차량 측면 세정시작신호를 입력하면(단계-B11), 좌사이드브러시장치(8a)의 이동용 모우터(104a)를 정회전 구동하여 구동체인을 한쪽으로 회전하고, 전동부재(110)를 세차기 본체 중심(K)측으로 이동시키고(단계-B12), 근접검출장치(112a)가 오프상태로 되면(단계-B13), 이동용모우터(104a)의 회전구동을 정지하고(단계 B14), 현재의 이동위치검출부(136a)의 이동검출위치(αa)를 기억하고(기억한 값을 (αak)로 한다)(단계-B15), 계속해서, 이동용 모우터(104a)를 역회전구동하여 구동체인을 다른쪽으로 회전하며, 전동부재(110)를 세차기 본체 중심(K)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단계-B16), 이동위치 검출부(136a)의 이동검출위치(αa)가 [αaK+β](β는 정(正)의 소정거리)로 되면(단계-B17), 이동용 모우터(104a)의 회전구동을 정지한다(단계-B18). 이때, 근접검출장치(112a)는 온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에, 후부 세정 시작지령신호를 입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단계-B19), 입력하고 있지 않을 때에, 우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8)로부터 후술하는 "브러시 닫음"신호를 입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B20). 이 "브러시 닫음"신호를 입력하고 있지 않을 때, 재차 근접검출장치(112a)가 오프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단계-B21), 근접검출장치(112a)가 오프상태인 때, 우사이드브러시 제어부(138)에 "브러시 닫음"신호를 출력하고(단계-B22), 상기 단계(B15∼B18)를 반복한다.
단계-B20에 있어서, "브러시 닫음"신호의 입력을 확인하면, 좌사이드 브러시장치(8a)의 이동용 모우터(104a)를 정회전 구동하여 구동체인을 한쪽으로 회전시켜서 전동부재(110)를 세차기 본체 중심(K)측으로 이동시키고(단계-B23), 근접검출장치(112a)가 오프로 되면(단계-B24), 이동용 모우터(104a)의 회전구동을 정지하고(단계-B25), 상기 단계(B15∼B18)를 반복한다.
이에 의하여, 양 사이드브러시장치(8a,8b)에서는, 재차, 양 이동용모우터(104)가 정회전하여 양 구동용 체인(108)이 한쪽으로 회전하고, 양 전동부재(110)가 각각 세차기 본체 중심(K)측으로 이동하고, 도 21(c)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하듯이, 양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는, 웨이트(95a,95b)의 가압력에 의하여 세차기 본체 중심(K)측으로 이동하고, 차량(2)의 측면(2a,2b)에 맞닿아서 정지하는데, 이 상태에서는 양 사이드브러시장치(8a,8b)가 차량(2)측에 너무 가까워지고 있다. 그러나, 그 직후에 일단 전동부재(110)가 수동부재(111)로부터 세차기 본체 중심(K)측으로 멀어지고, 근접검출장치(112)는 오프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이동용 모우터(104)가 소정 회전수만큼 역회전하여, 구동용 체인(108)이 다른쪽으로 회전하여, 전동부재(110)가 세차기 본체 중심(K)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β)만큼 이동한다. 이에 의해, 도 21(d)에 표시하듯이, 전동부재(110)는 수동부재(111)에 접촉하며, 웨이트(95a,95b)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수동부재(111)를 누르기 때문에, 양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가 세차기 본체 중심(K)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β)만큼 이동한다. 이에 의해, 한 쪽 옆의 사이드 브러시장치(8a)와 차량(2)의 한 측면(2a)과의 거리 및 다른 측방의 사이드 브러시장치(8b)와 차량(2)의 다른 측면(2b)과의 거리를 각각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2)의 이송과 함께, 차량(2)의 양 측면(2a,2b)이 양 사이드브러시장치(8a,8b)에 의하여 세정된다.
또, 차량(2)이 세차기 본체(1)의 중심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쪽으로 밀려서 이송되고 있는 경우, 한 쪽 옆의 사이드브러시장치(8a)가 차량(2)의 한 측면(2a)에먼저 접촉하여 세차기 본체(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B)으로 소정거리(β)만큼 이동하고, 약간 늦게 다른 측방의 사이드 브러시장치(8b)가 차량(2)의 다른 측면에 접촉하여 세차기 본체(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B)으로 소정거리(β)만큼 이동한다. 이와 같이, 차량(2)이 좌우 어느 한쪽으로 밀리고 있더라도, 각각의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와 차량(2)의 측면(2a,2b)과의 거리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또, 도 22에 표시하듯이, 상기 차량(2)이 차량반송방향(F)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되고 있는 경우, 한쪽의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가 차량(2)의 한 측면(2a,(2b))에 밀려서 세차기 본체 중심(K)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쪽의 사이드 브러시장치(8b,(8a))는 차량(2)의 다른 측면(2b,(2a))으로부터 떨어진다. 도 22 (a)에 표시하듯이, 사이드 브러시장치(8a)가 차량(2)의 한 측면(2a)에 밀려서 전동부재(110)가 수동부재(111)로부터 떨어지면, 재차 근접검출장치(112)가 오프(OFF)로 전환되고, 이 근접검출장치(112)의 오프동작에 따라서, 도 22(b)에 표시하듯이, 세차기 본체 중심(K)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재차 소정거리(β)만큼 이동하고, 또, 다른쪽의 사이드브러시장치(8b)는 세차기 본체 중심(K)측으로 이동하고, 차량(2)의 다른 측면(2b)에 맞닿아서 근접검출장치(112)가 오프(OFF)로 전환되면, 세차기 본체 중심(K)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β)만큼 이동한다. 따라서, 차량(2)이 이송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되고 있는 경우에도, 사이드브러시장치(8a,8b)와 차량(2)의 측면(2a,2b)과의 거리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 사이드브러시장치(8a,8b)를 개별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차량(2)이 다소 좌우방향으로 밀린 상태, 혹은 기울어진 상태로 이송되고 있어도, 양 사이드브러시장치(8a,8b)로 차량(2)의 양 측면(2a,2b)을 충분하게, 또, 차량(2)을 손상하는 일이 없이 세정할 수 있다.
(차량의 후면의 세정)
좌사이드 브러시 제어부(137)는, 상기 단계-B19에 있어서, 후면 세정 시작지령신호를 입력하면, 좌사이드브러시장치(8a)의 이동용 모우터(104a)를 정회전구동하여 구동체인을 한쪽으로 회전하고, 전동부재(110)를 세차기 본체 중심(K)측으로 이동시켜(단계-B26), 폐쇄한도검출장치(122a)가 동작하면(단계-B27), 이동용 모우터(104a)의 회전구동을 일단 정지한다(단계-B29). 이어서, 소정시간(수초)이 경과한 후, 좌사이드 브러시장치(8a)의 이동용 모우터(104a)를 역회전구동하여 구동체인을 다른 쪽으로 회전하고, 전동부재(110)를 세차기 본체 중심(K)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단계-B29), 개방한도검출장치(123a)가 동작하면(단계-B30), 이동용 모우터(104a)의 회전구동을 정지하고(단계-B31), 시퀀스부(139)에 후면 세정 종료신호를 출력하고(단계-B32), 회전용 모우터(87a)의 회전구동을 정지하며(단계-B33), 종료한다.
이에 의하여, 양 사이드브러시장치(8a,8b)는, 도 23 (a)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웨이트(95a,95b)의 가압력에 의하여 세차기 본체 중심(K)측으로 이동하여, 폐쇄한도위치에서 정지하고, 이어서, 전동부재(110)가 웨이트(95a,95b)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수동부재(111)를 누르고, 도 23 (b)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바와 같이, 양 사이드 브러시장치(8a,8b)가 세차기 본체 중심(K)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차량(2)의 후면(2d)의 대략 좌반분이 한쪽의 사이드브러시장치(8a)에 의해 세정되고, 차량(2)의 후면(2d)의 대략 우반분이 다른쪽의 사이드브러시장치(8b)에 의해 세정된다.
시퀀스부(139)는, 양 사이드브러시 제어부(137,138)로부터 후면 세정 종료신호를 입력하면(단계-A21,A22), 중간부와 후부롤러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2,133)에 주행지령신호를 출력하고(단계-A23), 연장 롤러콘베이어의 차량검출장치(67)의 동작을 확인하면(단계-A24), 중간부와 후부롤러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2,133)에 정지지령신호를 출력하여(단계-A25), 종료한다.
중간부와 후부롤러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2,133)는, 주행지령신호에 따라서 롤러콘베이어(37,38)를 구동하고, 따라서, 차량(2)은 전진을 개시한다. 이어서, 중간부와 후부롤러콘베이어의 주행구동부(132,133)는, 정지지령신호에 따라서 중간부와 후부롤러콘베이어(37,38)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들 중간부와 후부롤러콘베이어(37,38)의 구동에 의하여, 차량(2)은, 후면(2d)의 세정을 종료하면 재차 전진되어, 차량(2)이 연장 롤러콘베이어(32)의 종단까지 이송되고, 차량검출장치(67)가 동작하면, 이송이 종료된다. 차량(2)의 운전자는 차량(2)을 측부 경사면(68)와 후부 경사면(38)를 이용하여 차량(2)을 반출한다.
상기 제어장치(17)에 의한 콘베이어장치(3) 및 좌우 1쌍의 신축가능한 사이드브러시장치(8a,8b)의 구동에 의하여, 피세정차량(2)의 외주(전면, 양측면 및 후면)를 세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좌우의 사이드브러시장치(8a,8b)를 함께 신축가능하게 한 것에 의해, 종래의 롤러콘베이어의 안내체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콘베이어장치(3)를 채용할 수 있고, 또, 피세정차량(2)의 중심이 밀린 상태 혹은 기울어진 상태로 주차되어도 차량(2)을 손상하는 일이 없이, 최적의 상태로 피세정차량(2)의 세정을 실시할 수 있고, 그 결과, 피세정차량의 반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피세정차량(2)이 우측 핸들이나 좌측 핸들에 상관없이 주차할 수 있다.
또, 한 측방의 사이드 브러시장치(8a)가 세차기 본체(1)의 대략 좌반분의 범위를 좌우로 왕복이동함과 아울러, 다른 측방의 사이드브러시장치(8b)가 세차기 본체(1)의 대략 좌반분의 범위를 좌우로 왕복이동하기 때문에, 종래의 형식에 비하여, 각 사이드브러시장치(8a,8b)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고, 세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닥면(5)에 콘베이어장치(3)를 설치하고 있으나, 도 24 내지 도 2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콘베이어장치(3)의 설치면적에 상당하는 넓이로, 또한, 콘베이어장치(3)의 높이에 따른 깊이의 피트(141)를 설치하고, 콘베이어장치(3)를 이 피트(141) 내에 설치하며, 바닥면(5)의 높이와 콘베이어장치(3)의 상면의 높이를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의 전부 경사면(39), 후부 경사면(40), 측부 경사면(68)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경사면을 사용한 콘베이어(3)의 피세정차량의 타고내림시에 운전자가 느끼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도 24 내지 도 2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부 롤러콘베이어(36)에 있어서, 1쌍의 롤러콘베이어 사이에, 피세정차량(2)의 무게와 적재량에 견디는 커버체(142)를 설치할 수도 있다.

Claims (6)

  1. 피세정차량을 세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바닥설치형의, 전후를 가진 터널형의 거치식 세차기 본체와, 상기 피세정차량을 전방으로부터 상기 세차기 본체 내에 반입함과 동시에, 세차기 본체 내로부터 후방으로 반출하는 콘베이어장치로 구성된 세차기에 있어서,
    상기 세차기 본체 내에, 상기 콘베이어장치에 의한 상기 피세정차량의 반송 방향과는 직각인 좌우방향으로 신축가능하고, 적어도 피세정차량의 측면을 세정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러시장치와 상기 좌우의 각 사이드 브러시장치와 상기 피세정차량의 측면의 거리를 소정 거리로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이,
    상기 좌우의 사이드 브러시 장치 중 한쪽의 제1 사이드 브러시 장치를 상기 세차기 본체의 중심측으로 가압하는 제1 가압수단과 상기 제1 사이드 브러시장치에 맞닿아서, 상기 제1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제1사이드 브러시장치를 상기 세차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밀어냄부재와, 이 밀어냄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장치와, 상기 제1 사이드 브러시장치가 상기 제1 밀어냄부재보다 멀어지는 것을 검출하는 제1 검출장치와,
    좌우 사이드 브러시장치 중 다른쪽의 제2 사이드브러시장치를 상기 세차기 본체의 중심측으로 가압하는 제2 가압수단과, 상기 제2 사이드 브러시장치에 맞닿아서 상기 제2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2 사이드 브러시장치를 상기 세차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 제2 밀어냄부재와 이 제2 밀어냄부재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장치와 상기 제2 사이드 브러시장치가 상기 제2 밀어냄부재보다 멀어진 것을 검출하는 제2 검출장치와,
    상기 좌우의 사이드 브러시장치에 의해 상기 피세정차량의 측면을 세정할 때, 상기 제1 검출장치에 의해 제1 사이드 브러시장치가 상기 제1 밀어냄부재보다 멀어진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1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밀어냄부재를 상기 세차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검출장치에 의하여 제2 사이드 브러시장치가 상기 제2 밀어냄부재보다 멀어진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2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제2 밀어냄부재를 세차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사이드브러시장치에 의해 피세정차량의 측면을 세정하고 있을 때, 상기 제1 사이드 브러시장치가, 제1 밀어냄부재보다 멀어진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1 밀어냄부재를 세차기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밀어냄부재를 세차기 본체의 중심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 사이드 브러시장치가 상기 제2 밀어냄부재보다 멀어진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2 밀어냄부재를 세차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사이드 브러시장치가 제2 밀어냄부재보다 멀어진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2 밀어냄부재를 세차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장 거리 만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밀어냄부재를 세차기 본체의 중심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 사이드 브러시장치가 상기 제1 밀어냄부재보다 멀어진 것이 검출되면, 상기 제1 밀어냄 부재를 세차기 본체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만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4. 피세정차량을 세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바닥설치형의, 전후를 가진 터널형 거치식 세차기 본체와 상기 피세정차량을 전방으로부터 상기 세차기 본체내에 반입함과 동시에 세차기 본체 내로부터 후방으로 반출하는 콘베이어장치로 구성된 세차기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장치 상의 피세정 차량의 일부가, 콘베이어장치보다 피세정차량의 반송방향과는 직각인 좌우방향 바깥으로 돌출된 것이 검출되는 돌출검출장치와 이 돌출검출장치가 상기 피세정 차량의 돌출을 검출하면, 상기 콘베이어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5. 피세정차량을 세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바닥설치형의, 전후를 가진 터널형 거치식 세차기 본체와, 상기 피세정차량을 전방으로부터 상기 세차기 본체내에 반임함과 동시에 세차기 본체 내로부터 후방으로 반출하는 콘베이어 장치로 구성된 세치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상기 콘베이어장치의 설치면적에 상당하는 넓이로, 또한 콘베이어 장치의 높이에 따른 깊이의 피트가 설치되고,
    상기 콘베이어장치는 이 피트내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면의 레벨과 콘베이어장치의 상면의 레벨을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6. 피세정차량을 세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바닥설치형의, 전후를 가진 터널형 거치식 세차기 본체와, 상기 피세정차량을 전방으로부터 상기 세차기 본체내에 반입함과 동시에 세차기 본체 내로부터 후방으로 반출되는 좌우 한쌍의 콘베이어 장치로 구성된 세치기에 있어서,
    앞쪽의 상기 좌우 한 쌍의 콘베이어장치 사이에, 상기 피세정 차량의 중량과 그 적재중량을 견디는 커버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
KR1019970002709A 1996-01-26 1997-01-27 세차기 KR100348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4896A JPH09202217A (ja) 1996-01-26 1996-01-26 連続洗車機
JP96-11348 1996-01-26
JP19015396A JPH1035429A (ja) 1996-07-19 1996-07-19 洗車機
JP19015596A JP3344225B2 (ja) 1996-07-19 1996-07-19 洗車機および洗車機を用いた洗車方法
JP96-190155 1996-07-19
JP96-190153 1996-07-19
JP96-217679 1996-08-20
JP21767996A JP3351252B2 (ja) 1996-08-20 1996-08-20 洗車機
JP26646296A JP3530686B2 (ja) 1996-10-08 1996-10-08 洗車機の洗車方法
JP96-266462 1996-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027A KR19980032027A (ko) 1998-07-25
KR100348981B1 true KR100348981B1 (ko) 2002-12-28

Family

ID=2751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709A KR100348981B1 (ko) 1996-01-26 1997-01-27 세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01398A (ko)
KR (1) KR100348981B1 (ko)
CN (1) CN1136110C (ko)
AU (1) AU722182B2 (ko)
TW (1) TW44596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31A (ko) 2017-03-10 2018-09-19 이동효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CN111483432A (zh) * 2020-05-29 2020-08-04 济南惠满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92859B (en) * 1998-04-24 2001-10-22 Webb Int Co Jerwis B Accumulation conveyor control system and module therefor.
ES2244525T3 (es) * 2000-09-01 2005-12-16 Otto Christ Ag, Autowaschanlagen Guia para un carro portante para cepillos de lavado moviles linealmente en instalaciones de lavado de automoviles.
US6561202B1 (en) * 2000-11-09 2003-05-13 Steven Amadio Extendible side guide poles for car wash
JP3750553B2 (ja) * 2001-04-09 2006-03-01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US6863223B2 (en) * 2001-10-19 2005-03-08 Andres (Andy) Rosa Fluid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50121057A1 (en) * 2003-12-09 2005-06-09 Redfield Engineering Company, Llc System for Disinfecting Shopping Carts
US7318442B2 (en) * 2004-04-14 2008-01-15 Macdowell Michael Automatic car wash system
ITMI20041207A1 (it) * 2004-06-16 2004-09-16 Ceccato & Co Sistema e procedimento di controllo spazzole in un impianto a spazzole di lavaggio di veicoli
US7278533B2 (en) * 2005-02-25 2007-10-09 Horn Michael E Vehicle modular belt conveyor
ATE410348T1 (de) * 2006-01-10 2008-10-15 Financ Clairac Robotisiertes fahrzeugwaschsystem
ES2301393B1 (es) * 2006-11-07 2009-05-01 Istobal, S.A. Metodo de lavado de vehiculos e instalacion correspondiente.
US8413669B2 (en) 2006-11-23 2013-04-09 Suncor Energy Inc. Heating system for outdoor conveyors in a carwash
US8813765B2 (en) * 2008-05-01 2014-08-26 Petit Auto Wash, Inc. Vehicle wash systems and methods
US20100108467A1 (en) * 2008-10-31 2010-05-06 Petro-Canada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ving a vehicle from dual belt conveyor to dual belt conveyor
CN103738302A (zh) * 2013-11-20 2014-04-23 苏州新奇特清洗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机
CN103738304A (zh) * 2013-11-20 2014-04-23 苏州新奇特清洗设备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机构
CN103738307A (zh) * 2013-11-20 2014-04-23 苏州新奇特清洗设备有限公司 一种往复式洗车机
CN103738305A (zh) * 2013-11-20 2014-04-23 苏州新奇特清洗设备有限公司 一种轮毂清洗机构
US10162350B2 (en) * 2014-09-10 2018-12-25 Universal City Studio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transportation of vehicles
US11127283B2 (en) * 2016-07-25 2021-09-21 Drb Systems, Llc Systems and methods to prevent carwash collisions
CN106904394A (zh) * 2017-03-29 2017-06-30 北京华力兴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车辆输送装置和车辆辐射扫描检查系统
CN107499287B (zh) * 2017-08-01 2023-12-19 山东京博物流股份有限公司 油罐车洗车机
CN109760648B (zh) * 2019-03-01 2020-05-26 烟台工程职业技术学院(烟台市技师学院) 龙门式汽车清洗机
CN111688644A (zh) * 2019-03-15 2020-09-22 河南车洗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隧道洗车机传送系统
CN109987392B (zh) * 2019-04-18 2024-04-30 中山市顶盛食品机械有限公司 输送带的调偏系统及一种饼干生产线的输送带机构
CN112224179B (zh) * 2020-10-12 2022-07-01 永康市金发杯业有限公司 一种立体洗车刷
CN113428115A (zh) * 2021-06-11 2021-09-24 武汉洁米美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定位功能的洗车设备
CN113682268B (zh) * 2021-09-26 2023-06-13 深圳市雅宝智能装备系统有限公司 自动洗车系统及洗车方法
CN113799745A (zh) * 2021-10-31 2021-12-17 绍兴市中立钢业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多方位清洁的龙门式大巴洗车机
CN114084566B (zh) * 2021-12-13 2022-05-10 湖南艾博特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手自一体式花篮料仓传输系统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5780A (en) * 1931-12-12 1935-12-31 Standard Oil Dev Co Wheel scrubbing apparatus
US2110942A (en) * 1934-10-31 1938-03-15 Piquerez Emile Roller conveyer
US3037223A (en) * 1955-11-16 1962-06-05 George V Lovsey Apparatus for treating the finish of automobiles
US3391700A (en) * 1966-01-20 1968-07-09 Dura Corp Electric programming system for vehicle washing apparatus
US3772724A (en) * 1971-12-30 1973-11-20 E Wilson Compact wrap-around car wash brush apparatus
JPS5216356B2 (ko) * 1972-05-25 1977-05-09
US3908219A (en) * 1974-02-08 1975-09-30 Paul W Chapman Walk about washing apparatus
JP2722911B2 (ja) * 1992-01-16 1998-03-09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装置
US5432974A (en) * 1993-07-20 1995-07-18 Daifuku Co., Ltd. Car wash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531A (ko) 2017-03-10 2018-09-19 이동효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CN111483432A (zh) * 2020-05-29 2020-08-04 济南惠满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自动洗车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5967U (en) 2001-07-11
CN1136110C (zh) 2004-01-28
AU722182B2 (en) 2000-07-27
AU1233097A (en) 1997-07-31
KR19980032027A (ko) 1998-07-25
US5901398A (en) 1999-05-11
CN1163208A (zh) 199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981B1 (ko) 세차기
KR950003097A (ko) 세차기
JP3595951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移動台車の走行位置検出装置
JP2952802B2 (ja) 洗車機
JP3311297B2 (ja)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3382584B2 (ja) 洗車機
JP2741481B2 (ja) 車両の車体上面処理装置
JP3344225B2 (ja) 洗車機および洗車機を用いた洗車方法
JP2727928B2 (ja) 洗車機
JP2884468B2 (ja) 洗車機
JP3738707B2 (ja) 洗車機
JPH09193755A (ja) 車両の車体表面処理装置
JP2890228B2 (ja) 洗車機
JP2884456B2 (ja)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3530686B2 (ja) 洗車機の洗車方法
JP3379351B2 (ja) 洗車機の洗車方法
JP2724788B2 (ja) 自動車の車体洗浄装置
JP3099132B2 (ja) 洗車機
JP3488773B2 (ja) 車両の車体表面処理装置
KR950010517B1 (ko) 차량의 윗면 세정방법 및 차량의 윗면 세정장치
JPH07132800A (ja) 洗車装置
JP3336867B2 (ja) 洗車機の洗車方法
JP2001253323A (ja)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2560570B2 (ja) 物品の移載装置
JPH08198065A (ja) 車両の上面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