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531A -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531A
KR20180103531A KR1020170030597A KR20170030597A KR20180103531A KR 20180103531 A KR20180103531 A KR 20180103531A KR 1020170030597 A KR1020170030597 A KR 1020170030597A KR 20170030597 A KR20170030597 A KR 20170030597A KR 20180103531 A KR20180103531 A KR 20180103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unnel
gear teeth
base
car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413B1 (ko
Inventor
이동효
Original Assignee
이동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효 filed Critical 이동효
Priority to KR102017003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41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3/00Vehicle-manoeuvring devices separate from the vehicle
    • B60S13/02Turntables; Traver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터널형 세차기의 출입로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 출입 방향을 전환하는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100)에 있어서, 차량이 정차하는 원형 테이블(110)과 동축 선상에서 하측 지면에 고정하고 일정 높이의 중심축(121)을 구비하는 베이스(120)와; 베이스(12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직경의 링 형상으로 복수를 구비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레일부(130)와; 테이블(110)의 저면 중심에서 링 형상으로 돌출하여 베이스(120)와 결합하고 중심축(121) 상간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베어링(141)을 수용하는 축지지부(140)와; 테이블(110)의 저면에서 상기 레일부(130)에 상응하는 복수의 회전반경 상에 구비된 복수의 브래킷(151)에 결합하여 레일부(130)의 상면을 타고 회동하는 롤러(150)와; 테이블(1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는 테이블 기어치(160)와; 테이블(110)의 일측에서 테이블 기어치(160)에 결합하여 테이블(110)을 회전시키는 컨트롤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테이블(110)의 지상고를 대폭 축소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 사용성이 탁월한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FOR TUNNEL TYPE CAR WASHER}
본 발명은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에 설치된 터널형 세차기의 출입로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 출입 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장치에 있어 테이블의 지상고를 대폭 축소하면서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각종 굴착 공사를 배제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성이 탁월한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 세차기는 차량 세차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세차장 등에 설치하여 이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세차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터널형 세차기는 차량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 터널을 통과하면서 모든 세차 과정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져 단시간에 손쉽게 세차를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최근에는 주유소 등에도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터널형 세차기의 구성을 공지된 등록특허 제 10 - 0155604 호를 통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바닥면에 터널형상의 정치형 세차기 본체를 설치하고 세차기 본체의 전부(前部)에 세정부를 형성하고, 중간부에 왁스부를 형성하고, 후부에 건조부를 형성하며, 피세정 차량을 전방으로부터 세차기 본체 내로 반입함과 아울러 세차기 본체의 출구로부터 후방으로 반출하는 1쌍의 병렬 컨베이어를 설치해서, 한쪽 컨베이어로 피세정 차량의 한쪽 측방의 차륜을 지지 반송하고 다른 쪽 컨베이어로 피세정차량의 다른 쪽 측방의 차륜을 지지 반송하여 한쪽 컨베이어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터널형 세차기는 세차기 본체만으로도 상당한 크기의 공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출입을 위한 충분한 경로가 확보되지 못할 경우 차량이 세차기 내부에 정상적인 위치에서 반송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따르므로 사실상 협소한 부지에는 설치하기 어려운 등 입지조건에 제약이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등록특허 제 10 - 0348981 호에는 차량을 반송하는 컨베이어를 기존 반송방향과 직각인 좌우방향으로 반송 가능하도록 구성한 세차기를 공지하고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세정 차량을 세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바닥설치형의 전후를 가진 터널형 거치식 세차기 본체와, 상기 피세정 차량을 전방으로부터 상기 세차기 본체 내에 반입함과 동시에 세차기 본체 내로부터 후방으로 반출하는 콘베이어 장치로 구성된 세차기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 장치상의 피세정 차량의 일부가 콘베이어 장치보다 피세정 차량의 반송방향과는 직각인 좌우방향 바깥으로 돌출된 것이 검출되는 돌출검출장치와 이 돌출검출장치가 상기 피세정 차량의 돌출을 검출하면 상기 콘베이어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장치가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 20 - 0044977 호에는 종래 엘리베이터식 주차장치의 협소한 주차면적에 따른 입, 출차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턴테이블식 주차장치를 공지하고 있는바,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차장에 있어서 일정단위의 면적에 일정 깊이의 지반을 굴착한 다음 레일을 깔고 형강 등으로 운반구를 조립형성하고 그 하단에 바퀴를 설치하고 운반구 상면에 설치한 구동모터와 메인바퀴를 연결하여 주행시키고, 원형의 레일을 장착한 원형의 강관을 상기 운반구 상면에 설치하고 턴 테이블에 접설한 바퀴가 위치검출기에 의해 상기 원형의 레일 위에서 선회하도록 하고, 상기 턴 테이블 중앙에 지지축을 설치하여 스리스트 베아링에 지지되고 레이디얼 베어링에 의해 자유로이 선회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축의 외주연부와 턴 테이블을 보울트로서 고정하고 상기 턴 테이블의 외주에 플레이트가 접착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을 지지하면서 회전하는 지지로울러를 지반 양측에 매설하여 설치하고 체인이 회전모터에 축설된 기어와 계합되어 주행과 선회를 동시적으로 하도록 상기 테이블 저면에 고정설치하도록 구성한다.
등록특허 제 10 - 0155604 호(1999.02.18) 등록특허 제 10 - 0348981 호(2002.12.28) 등록실용신안 제 20 - 0044977 호(1989.10.25)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터널형 세차기는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채로 터널을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세차가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어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터널형 세차기는 본체 내부에 세정부, 왁스부, 건조부 등을 순차 형성하고 입구에서 출구로 이어지는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차량을 반송하도록 구성되므로 본체의 설치에만 상당한 크기의 공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이 터널형 세차기 본체에 진, 출입하기 위해서는 입구 및 출구 전방에 차량 선회를 위한 일정 크기의 이상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설치 장소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실정에 있으며, 충분한 진, 출입 공간이 확보되지 않은 터널형 세차기의 경우 운전자에게도 이용상에 큰 불편함을 겪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다른 종래 기술의 세차기에서는 본체 내부로 차량을 반송하는 컨베이어를 기존 반송방향과 직각인 좌우방향으로 반송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차량이 정상적인 위치로 진입하지 못했을 경우 이를 정상화하기 위한 구성을 마련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기본적으로 터널형 세차기 본체에 차량의 진입이 이루어진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충분한 진, 출입 공간이 확보되기 어려운 입지조건에서는 터널형 세차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또 다른 종래 기술의 턴테이블식 주차장치에는 종래 엘리베이터식 주차장치의 협소한 주차면적에 따른 입, 출차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일정 깊이의 지반을 굴착하여 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각종 구성을 매설하여 설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지지축 및 지지로울러, 기어, 체인, 모터 등의 각종 구성들로 인해 테이블의 지상고가 지면보다 매우 높아지는 것이 불가피하므로 일정 깊이의 지반을 굴착하여 피트를 형성한 후 피트 저부에 상기 구성들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테이블의 설치 시 굴착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공정의 지연 및 비용 증대를 야기함은 물론, 지중 매설물 여부의 확인이 필요한 등의 장소 선정의 어려움과, 테이블을 한 번 설치한 후에는 이동 및 유지보수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터널형 세차기의 출입로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 출입 방향을 전환하는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100)에 있어서,
차량이 정차하는 원형 테이블(110)과 동축 선상에서 하측 지면에 고정하고 일정 높이의 중심축(121)을 구비하는 베이스(120)와;
상기 베이스(12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직경의 링 형상으로 복수를 구비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레일부(130)와;
상기 테이블(110)의 저면 중심에서 링 형상으로 돌출하여 상기 베이스(120)와 결합하고 중심축(121) 상간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베어링(141)을 수용하는 축지지부(140)와;
상기 테이블(110)의 저면에서 상기 레일부(130)에 상응하는 복수의 회전반경 상에 구비된 복수의 브래킷(151)에 결합하여 레일부(130)의 상면을 타고 회동하는 롤러(150)와;
상기 테이블(1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는 테이블 기어치(160)와;
상기 테이블(110)의 일측에서 테이블 기어치(160)에 결합하여 테이블(110)을 회전시키는 컨트롤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170)는, 테이블(110)과 동일 수평선상의 일측에서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에 치합하는 기어치(171)를 형성하는 서브기어(172)와;
상기 서브기어(172)에 치합하는 기어치(173)를 형성하여 서브기어(172)를 사이에 두고 테이블(110)을 회전시키는 메인기어(174)와;
상기 서브기어(172) 및 메인기어(174)의 양측 및 상부를 은폐하는 커버부(175)와;
상기 커버부(175)의 일측에서 메인기어(174)에 결합된 전동모터(176)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77)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가 형성된 테이블(110) 외주면의 두께(h)는 50 ~ 70mm이고, 상기 브래킷(151)이 구비된 테이블(110)의 저면은 상측으로 일정 깊이로 인입하여 지면에 고정된 상기 베이스(120) 기준 테이블(110) 상면의 높이(h')는 150mm 이하로 형성하고;
상기 테이블(110)의 일측에는, 테이블(110)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곡면홈(181)을 형성하고 테이블(110)의 상면과 동일 높이(h')의 상기 곡면홈(181)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로(180)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테이블의 지상고를 대폭 축소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 사용성이 탁월한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비교적 협소한 부지에 설치되는 터널형 세차기의 출입구를 통한 차량의 진,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터널형 세차기의 출입로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 출입 방향을 전환하는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턴테이블 기술을 활용하되 종래 턴테이블의 설치 시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각종 구성을 매립하기 위한 피트를 굴착하는 등의 선행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설치 공정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턴테이블과 대비하여 테이블의 지상고를 대폭 축소하여 차량의 출입이 용이하고, 테이블의 회전 작동을 위한 일련의 구성 역시 지상에 구축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상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저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상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C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저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평면 투시도(a) 및 D-D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에서 E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도 7의 (b)에서 F, G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상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저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상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C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저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평면 투시도(a) 및 D-D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에서 E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도 7의 (b)에서 F, G영역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100)는 세차기의 출입구로 진, 출입하는 차량의 선회 경로의 확보를 위해 넓은 설치 장소를 요구하는 터널형 세차기를 주유소 등에 별도 마련된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 운용할 수 있도록 협소한 공간에 설치된 터널형 세차기의 출입로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 출입 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장치(100)를 구성하되, 테이블(110)의 지상고를 대폭 축소하면서 테이블(110)의 회전 작동에 관여하는 구성 역시 지상에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성이 탁월한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100)에 관한 기술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100)는 터널형 세차기의 출입로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 출입 방향을 전환하는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100)를 도 4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테이블(110), 축지지부(140), 롤러(150)와, 베이스(120), 레일부(130)와, 컨트롤부(170)와, 경사로(18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베이스(120)는 차량이 정차하는 원형 테이블(110)과 동축 선상에서 하측 지면에 고정하고 중심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의 중심축(121)을 구비하여 테이블(110)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12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중심축(121)보다 다소 큰 직경의 원판형으로 형성하여 소정의 체결수단을 이용해 지면에 고정하였으나 후술하게 될 레일부(130)와 함께 전체 또는 부분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일부(130)는 베이스(12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직경의 링 형상으로 복수를 구비하여 지면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베이스(120)의 중심축(121)에 가까운 위치에서 테이블(110)의 외주면을 향해 직경이 커지는 3단 구조의 링형 레일부(130)를 형성하여 지면에 고정하였으나 레일부(130)의 수 및 간격은 테이블(110)의 직경을 고려하여 증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130)의 내주연 및 외주연 상에는 소정의 단턱(미부호)을 상향 돌출하여 레일부(130)를 주행하는 롤러(150)의 작동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축지지부(140)는 도 6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110)의 저면 중심에서 링 형상으로 돌출하여 상기 베이스(120)와 결합하고 중심축(121) 상간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는 베어링(141)을 수용한다.
상기 롤러(150)는 테이블(110)의 저면에서 상기 레일부(130)에 상응하는 복수의 회전반경 상에 구비된 복수의 브래킷(151)에 결합하여 레일부(130)의 상면을 타고 회동한다.
상기 롤러(150)의 크기는 테이블(110) 상면의 지상고를 최소화하도록 테이블(110)이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일부(130) 상에서 회동할 수 있을 정도에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는 테이블(1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는 테이블(110) 자체를 기어로서 작동하여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게 될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서브기어(172) 및 메인기어(174)에 형성된 기어치(171,173) 연계된 치수 및 간격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110)은 서브기어(172)를 사이에 두고 메인기어(17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도 9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가 형성된 테이블(110) 외주면의 두께(h)는 50 ~ 70mm로 형성한다. 이는 테이블 기어치(160)의 내구성 및 작동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며, 상기 브래킷(151)이 구비된 테이블(110)의 저면은 상측으로 일정 깊이로 인입하여 테이블(110)의 저면에 구비되는 상기 브래킷(151) 및 롤러(150)가 일정 부분 테이블(110) 하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테이블(110) 상면의 지상고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100)는 지면에 고정된 상기 베이스(120) 기준 테이블(110) 상면의 최대 높이(h')를 150mm 이하로 형성하여 지면과의 높이차를 최소화한다.
아울러, 상기 테이블(110)의 일측에는 테이블(110)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곡면홈(181)을 형성하고 테이블(110)의 상면과 동일 높이(h')의 상기 곡면홈(181)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로(180)를 추가로 구비하여 차량의 진, 출입 경로 상에 설치한다.
상기 컨트롤부(170)는 테이블(110)의 일측에서 테이블 기어치(160)에 결합하여 테이블(110)을 회전시키도록 서브기어(172)와, 메인기어(174)와, 커버부(175)와, 컨트롤패널(177)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도 3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기어(172)는 테이블(110)과 동일 수평선상의 일측에서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에 치합하는 기어치(171)를 형성한다.
상기 서브기어(172)는 후술하게 될 전동모터(176)의 동력을 전달받는 주 구동기어인 메인기어(174)를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에 직접 구비할 경우 차량의 테이블(110) 진, 출입 시 가해질 수 있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 가능성을 고려하여 메인기어(174)를 테이블(11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서브기어(172)의 직경은 테이블(110)과 메인기어(174) 간의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174)는 서브기어(172)에 치합하는 기어치(173)를 형성하여 서브기어(172)를 사이에 두고 테이블(110)을 회전시킨다.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와 서브기어(172) 및 메인기어(174)의 기어치(171,173)는 상호 연계된 규격으로 설계되며 전동모터(176)의 회전 속도 역시 함께 고려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175)는 서브기어(172) 및 메인기어(174)의 양측 및 상부를 은폐한다. 도 1 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테이블(110)의 일측에서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서브기어(172)가 차량의 바퀴 등에 의해 압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커버부(175)를 테이블(110)의 상면을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하여 서브기어(172)를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패널(177)은 커버부(175)의 일측에서 메인기어(174)에 결합된 전동모터(176)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한다.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폴(미부호) 상에 설치하여 테이블(110)의 회전 방향을 정 또는 역방향으로 제어하거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100)의 개략적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형 세차기(200)의 진, 출입로 전방에 설치하여 자동차(300)의 선회가 불가능한 협소한 경로 상에서도 테이블(110) 상에 진입한 자동차(300)를 급선회시키는 등 원하는 각도로 방향을 전환하여 세차기(200)로 정상적으로 진, 출입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100)는 비교적 협소한 부지에 설치되는 터널형 세차기의 출입로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 출입 방향을 용이하게 전환하되, 테이블(110)의 지상고가 현저히 낮은 방향전환장치(100)를 구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주차장용 턴테이블과 같은 별도의 피트를 굴착하는 등의 문제점을 배제하여 설치 공정을 간소화하고 저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방향전환장치(100)를 제공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100: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110: 테이블
120: 베이스 121: 중심축
130: 레일부 140: 축지지부
141: 베어링 150: 롤러
151: 브래킷 160: 테이블 기어치
170: 컨트롤부 171: 서브기어치
172: 서브기어 173: 메인기어치
174: 메인기어 175: 커버부
176: 전동모터 177: 컨트롤패널
180: 경사로 181: 곡면홈
200: 터널형 세차기 300: 자동차

Claims (3)

  1. 터널형 세차기의 출입로 전방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 출입 방향을 전환하는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100)에 있어서,
    차량이 정차하는 원형 테이블(110)과 동축 선상에서 하측 지면에 고정하고 일정 높이의 중심축(121)을 구비하는 베이스(120)와;
    상기 베이스(120)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직경의 링 형상으로 복수를 구비하여 지면에 고정하는 레일부(130)와;
    상기 테이블(110)의 저면 중심에서 링 형상으로 돌출하여 상기 베이스(120)와 결합하고 중심축(121) 상간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 베어링(141)을 수용하는 축지지부(140)와;
    상기 테이블(110)의 저면에서 상기 레일부(130)에 상응하는 복수의 회전반경 상에 구비된 복수의 브래킷(151)에 결합하여 레일부(130)의 상면을 타고 회동하는 롤러(150)와;
    상기 테이블(11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하는 테이블 기어치(160)와;
    상기 테이블(110)의 일측에서 테이블 기어치(160)에 결합하여 테이블(110)을 회전시키는 컨트롤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170)는,
    테이블(110)과 동일 수평선상의 일측에서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에 치합하는 기어치(171)를 형성하는 서브기어(172)와;
    상기 서브기어(172)에 치합하는 기어치(173)를 형성하여 서브기어(172)를 사이에 두고 테이블(110)을 회전시키는 메인기어(174)와;
    상기 서브기어(172) 및 메인기어(174)의 양측 및 상부를 은폐하는 커버부(175)와;
    상기 커버부(175)의 일측에서 메인기어(174)에 결합된 전동모터(176)의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177)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기어치(160)가 형성된 테이블(110) 외주면의 두께(h)는 50 ~ 70mm이고, 상기 브래킷(151)이 구비된 테이블(110)의 저면은 상측으로 일정 깊이로 인입하여 지면에 고정된 상기 베이스(120) 기준 테이블(110) 상면의 높이(h')는 150mm 이하로 형성하고;
    상기 테이블(110)의 일측에는, 테이블(110)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곡면홈(181)을 형성하고 테이블(110)의 상면과 동일 높이(h')의 상기 곡면홈(181)으로부터 지면을 향해 사면을 형성하는 경사로(180)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KR1020170030597A 2017-03-10 2017-03-10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KR10197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97A KR101975413B1 (ko) 2017-03-10 2017-03-10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97A KR101975413B1 (ko) 2017-03-10 2017-03-10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531A true KR20180103531A (ko) 2018-09-19
KR101975413B1 KR101975413B1 (ko) 2019-05-07

Family

ID=63719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597A KR101975413B1 (ko) 2017-03-10 2017-03-10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4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5401A (zh) * 2018-10-25 2019-03-26 蔚来汽车有限公司 车辆换电平台及车辆换电系统
CN109720311A (zh) * 2019-03-06 2019-05-07 中建三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可用于狭小场地内的车辆掉头装置
CN114523936A (zh) * 2022-04-23 2022-05-24 山东国通智云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安全往复式洗车装置
CN109515401B (zh) * 2018-10-25 2024-05-17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车辆换电平台及车辆换电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616A (ja) * 1993-06-11 1994-12-20 Koushinshiya:Kk ターンテーブル
KR0155604B1 (ko) 1993-07-20 1999-02-18 마수다 쇼오이치로오 세차기
KR100348981B1 (ko) 1996-01-26 2002-12-28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세차기
US6817300B2 (en) * 2001-12-04 2004-11-16 William V. Schwenker Low profile vehicle turntable
CN103850502A (zh) * 2014-03-10 2014-06-11 山东恒升智能停车系统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载车板旋转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6616A (ja) * 1993-06-11 1994-12-20 Koushinshiya:Kk ターンテーブル
KR0155604B1 (ko) 1993-07-20 1999-02-18 마수다 쇼오이치로오 세차기
KR100348981B1 (ko) 1996-01-26 2002-12-28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세차기
US6817300B2 (en) * 2001-12-04 2004-11-16 William V. Schwenker Low profile vehicle turntable
CN103850502A (zh) * 2014-03-10 2014-06-11 山东恒升智能停车系统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载车板旋转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5401A (zh) * 2018-10-25 2019-03-26 蔚来汽车有限公司 车辆换电平台及车辆换电系统
CN109515401B (zh) * 2018-10-25 2024-05-17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车辆换电平台及车辆换电系统
CN109720311A (zh) * 2019-03-06 2019-05-07 中建三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可用于狭小场地内的车辆掉头装置
CN114523936A (zh) * 2022-04-23 2022-05-24 山东国通智云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安全往复式洗车装置
CN114523936B (zh) * 2022-04-23 2023-07-25 山东国通智云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安全往复式洗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413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413B1 (ko) 터널형 세차기용 방향전환장치
KR101011075B1 (ko) 주차기의 턴테이블장치
TW201538407A (zh) 貨物輸送設備和天花板輸送車
JP5315221B2 (ja) ホームドア装置の設置方法および搬送装置
KR100500728B1 (ko)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KR100692968B1 (ko) 자동세차기의 이송 컨베이어 장치
KR100879069B1 (ko) 차량용 타이어 공급장치
CN109607407B (zh) 中心旋转升降台
WO2007037632A1 (en) Pipe examination apparatus and pipe ex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995125B1 (ko) 자동화 주차장의 입출고용 주차대
CN101942913B (zh) 堆垛机
JP5519714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040081406A (ko) 전방향 이동식 셀터장치
KR200264291Y1 (ko) 주차기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JP4961231B2 (ja) 重量物用ターンテーブル装置
KR200163899Y1 (ko) 기계식 주차기의 차량 출입장치
JP3700501B2 (ja) 洗車設備
KR20120136588A (ko) 무인차량 입출고 장치
KR200310809Y1 (ko) 석탄 장입차의 속도 제어장치
JPH08119071A (ja) 洗車設備
KR20120020718A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기의 출입구 도난방지장치
KR200221858Y1 (ko) 승강선회식 주차설비.
KR100479177B1 (ko) 차량회전장치
KR19990039376U (ko) 세차기의 세차라인 구조
KR200322875Y1 (ko) 주차설비용 팰릿 입출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