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8205B1 - 보빈실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보빈실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205B1
KR100348205B1 KR1019950002802A KR19950002802A KR100348205B1 KR 100348205 B1 KR100348205 B1 KR 100348205B1 KR 1019950002802 A KR1019950002802 A KR 1019950002802A KR 19950002802 A KR19950002802 A KR 19950002802A KR 100348205 B1 KR100348205 B1 KR 10034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ignal
winding
thread
win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846A (ko
Inventor
나까무라마사오
고또수미오
이와사끼노조미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2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3/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 B65H63/08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 B65H63/08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 Quality control of the package responsive to delivery of a measured length of material, completion of winding of a package, or filling of a receptacle responsive to completion of unwinding of a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2Devices for determining or indicating the length of thread still on the bobbin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보빈실제거장치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보빈으로부터 실을 적극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보빈실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는 이 보빈실제거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보빈과, 보빈에 감긴실을 인출하는 인출수단과, 실이 제거되고있는 보빈에 대해 그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보빈회전검출수단과, 보빈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에 따라서 보빈의 비회전상태를 검출할 경우 인출수단을 구동시켜 실의 인출을 재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재봉기에 있어서 보빈실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용도로 쓰임.

Description

보빈실제거장치
본 발명은 보빈으로부터 실을 제거하는 장치(이하 "보빈실제거장치" 라함)에관한 것이다.
재봉기의 스티치라인(stitch line)이 직접 옷감에 나타나는 형태일 경우, 보빈으로부터의 실이 소모되어 없어지게 됨에 따라 스티치라인 중간의 불연속적 부분이 발생하여 옷감의 외관이 심미적인 손상을 보게되며, 이에따라 옷감의 상업적가치가 저하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재킷 또는 코트와 같은 종류의 경우에 심하게 나타난다. 스티치라인이 중도에서 불연속적으로 되면 중도의 미처리된 부분을 다시 재개해야한다. 중도의 스티치라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는 보빈실의 잔여분량을 항시 감시해야할 뿐만 아니라 작업중 보빈으로부터의 실이 전부 소모되는 시기를 항상 추산해야만 한다.
실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종래 실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실공급장치에 있어서는 바늘위치에서 한개의 보빈이 실이 감긴 다른 보빈과 교체할 수는 있으나 지정한 스티치작업 후 교체된 보빈으로부터 실을 제거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실공급장치에 있어서 작업자는 손으로 보빈으로부터 실을 제거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작업으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빈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실을 제거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보빈실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는 보빈실제거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감긴 실을 인출하는 인출수단과, 실이 제거되고있는상기 보빈에 대해 그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보빈회전검출수단과, 상기 보빈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에 따라서 상기 보빈의 비회전상태를 검출할 경우 상기 인출수단을 구동시켜 실의 인출을 재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는 보빈실제거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감긴 실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파지 및 해제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고 이 파지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실을 감기위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권회수단과, 실이 제거되고있는 상기 보빈에 대해 그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보빈회전검출수단과, 상기 보빈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에 따라서 상기 보빈의 비회전상태를 검출할 경우 상기 권회수단을 구동시켜 실의 파지 및 권회동작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는
실제거부재, 이 실제거부재에 고착되는 동시에 이 실제거부재 둘레에 배치되어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선형부재를 포함하는 권회수단과,
전방으로 이동하는 권회수단을 수용하여 함께 회전하는 수용샤프트로서, 권회수단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보빈에 감긴 실의 단부가 상기 실 제거부재와 상기 수용샤프트 사이에 파지되고, 상기 권회수단이 특정시간 회전하여 보빈에 감긴 실이 상기 선형부재에 감기며, 이후 상기 권회수단이 정지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수용샤프트와,
실이 제거되는 보빈에 대해 그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보빈회전검출수단과,
상기 보빈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에 따라서 보빈의 비회전상태를 검출할 경우 상기 권회수단을 구동시켜 실의 파지 및 권회 동작을 재개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는
실제거부재, 이 실제거부재에 고착되는 동시에 이 실제거부재 둘레에 배치되어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선형부재를 포함하는 권회수단과,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권회수단을 수용하여 함께 회전하는 수용샤프트와,
상기 권회수단을 회전 및 정지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권회수단을 전후방을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권회수단이동수단과,
실이 제거되는 보빈에 대해 그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보빈회전검출수단과,
상기 보빈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받고, 이 신호에 의해 보빈이 회전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보빈비회전신호를 제공하며, 이 보빈비회전신호의 제공 후 특정시간 동안 "온-재개"신호를 제공하는 보빈회전판정수단과,
보빈실제거개시신호를 받으면 전 방향신호를 상기 권회수단이동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권회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에따라 보빈에 감긴실의 단부가 상기 실제거부재와 상기 수용샤프트 사이에 유지되도록 하며, 특정시간 동안 후방향신호를 상기 권회수단이동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권회수단이 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보빈회전판정수단으로부터 보빈비회전신호를 받으면 후방향신호를 상기 권회수단이동수단에 인가하여 상기 권회수단이 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특정시간 만큼 지연된 "온-재개"신호를 받으면 전 방향신호를 다시 인가하고, 특정시간동안 후방향신호를 상기 권회수단이동수단에 인가하는 권회수단전후방향 이동제어수단과,
보빈실제거게시 신호를 받으면 구동신호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가 특정시간 동안 회전하도록 하고 이에 보빈에 감긴 실이 상기 선형부재에 감기게 되며, 특정시간 동안 정지신호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가 정지하도록 하고,
상기 보빈회전판정수단으로부터 보빈비회전신호를 받으면 정지신호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여 상기 전동기가 정지하도록 하고, 특정시간 지연된 "온-재개"신호를 받으면 구동신호를 다시 제공하고, 정지신호를 상기 전동기에 인가하는 전동기구동명령발생 및 회전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실제거동작 중에 보빈회전검출수단에 의해 보빈의 비회전상태가 검출되면 제어수단은 인출수단이 실을 인출하지 못한 것으로 판정하여 인출수단에게 실인출동작을 재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보빈에 감긴 실의 단부가 권회수단파지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권회수단이 회전함에따라 파지부재에 감긴다. 실제거동작 중에 보빈회전검출수단에 의해 보빈의 비회전상태를 검출할 경우 제어수단은 권회수단이 실의 단부를 파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정하여 권회수단에게 실의 파지 및 권회동작을 재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 및 제4양태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권회수단이 전방으로 이동함에따라 보빈에 감긴 실의 단부는 실 제거소자와 실수용샤프트 사이에 유지되며, 특정의 시간 동안 권회수단이 회전함에 따라 선형부재에 감기게 되고, 이후 권회수단은 정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실제거동작중에 보빈회전검출수단에 의해 보빈의 비회전상태가 검출되면 제어수단은 권회수단이 실의 단부를 파지하는데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여 권회수단에게 실의 파지 및 권회동작을 재개하도록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에 적용되는 자동밑실공급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자동밑실공급장치는 재봉틀베드 아래에 있어서 회전훅(1) 주변 공간에 위치하며, 보빈케이싱결합분리영역(재봉위치에 대응)A, 밑실권회영역B, 및 잔여실제거영역C을 구비하며, 이들 영역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20°의 간격으로 전달샤프트(2) 둘레에 위치한다. 전달샤프트(2) 에 연결된 전달부재(3)는 보빈(10)이 내장된 2개의 보빈케이싱(4)을 가지고 보빈케이싱결합분리 영역A, 밑실권회영역B, 잔여실제거영역C을 통과하면서 회전한다.
밑실공급장치에 있어서, 전달부재(3)는 펄스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역전 가능하게 회전한다. 보빈케이싱결합분리영역A 중 보빈케이싱재배치위치에서 보빈케이싱(4)은 회전훅(1)과 결합하거나 분리된다. 즉, 보빈케이싱(4)은 회전훅(1)으로부터 전달부재(3)로 이동하거나 전달부재(3)로부터 회전훅(1)으로 이동한다. 밑실권회영역B에 있어서 밑실권회장치(예를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940272호에 개시된 장치)는 보빈케이싱(4)에 내장되어 잔여실이 이미 제거된 보빈(10)에 밑실이 감기도록 작동된다. 또한 잔여실제거영역C에 있어서, 보빈케이싱결합분리영역A 내에서 회전훅(1)으로부터 분리된 전달부재(3)상의 보빈케이싱(4)에 잔류하던 실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에 의해 제거된다.
본 발명의 보빈실제거장치는 제1도 내지 제3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으며,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빈실제거장치는 보빈케이싱(4)을 통해 보빈(10)으로부터 하강한 실M에 바람을 가하는 공기노즐(5), 베이스(70)상에 고정장착되는 미끄럼가이드(38),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미끄럼가이드(38)를 따라 수평으로 미끄러지는 미끄럼보드(39), 미끄럼보드(39)에 고정장착되는 전동기(37), 미끄럼가이드(38)의 길이방향으로(즉 제8도의 좌우측방향으로) 모터(37) 및 미끄럼보드(39)를 미끄럼이동시키는 권회수단이동수단으로서의 공기실린더(12), 공기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전동기(37)에 의해 회전하는 실제거샤프트(7)로서의 실제거부재, 후방단부가 실제거샤프트(7)의 후방단부에 고착되고 그 전방단부가 실제거샤프트(7)의 전방단부보다 앞서 뻗으며, 실제거샤프트(7)와 함께 전술한 권회수단(6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탄성선형부재(8), 권회수단(60)을 수용하는 차단보드(40), 실제거샤프트(7) 및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함께 회전하는 탄성선형부재(8)를 수용하는 수용샤프트(9)를 구비한다. 또한 제8도에 있어서 부호 3은 보빈케이싱(4)을 유지하면서 이것을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전달부재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보빈실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보빈케이싱(10)으로부터 하강한 보빈(10)의 실M에 대해 공기노즐(5)은 바람을 가하여 가이드(6) 위에 이 실M을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기실린더(12)는 실제거샤프트(7) 및 탄성선형부재(8)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탄성선형부재(8)는 수용샤프트(9)를 둘러싸면서 상호 이격되어 실M이 실제거샤프트(7)와 수용샤프트(9)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기(37)는 실제거샤프트(7) 및 탄성선형부재(8)를 회전시켜 실M이 탄성선형부재(8)에 감기게 되고, 이후, 실제거샤프트(7) 및 탄성선형부재(8)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수용샤프트(9)로부터 분리되면서 탄성선형부재(8)는 상호 접근하여 감겨진 실M이 느슨하게 된다. 이와같이 느슨해진 실M은 차단보드(40)에 유지되면서 최종적으로는 탄성선형부재(8)로부터 하강한다.
보빈실제거장치는 보빈회전검출수단으로서 예를들면 반사형 광인터럽터(11)를 구비하며, 보빈케이싱(4)이 전달부재(3)에 의해 잔여실제거영역C에 설정될 경우 보빈케이싱(4)으로부터 노출되는 보빈(10)의 플랜지측면(lOb)(제1도의 우측단면)과 마주하도록 이 인터럽터(11)가 위치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사형광인터럽터(11)는 광빔을 발하는 발광소자(11a), 발광소자(11a)로부터 나와 보빈(10)의 플랜지측면(lOb)에 의해 반사된 광빔을 수용하는 광수용소자(11b), 발광소자(11a) 및 광수용소자(11b)를 내장하는 케이싱(11c)을 구비한다.
보빈실제거장치의 그밖의 구성은 후술할 제어수단을 제외하고는 제8도의 종래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술한 자동밑실공급장치는 제어수단(50)을 구비하며,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전달부재(3)에 의해 잔여실제거영역C에 보빈케이싱(4)을 설정하는 펄스모터의 회전각도로부터 신호를 검출하고 잔여실제거개시신호를 발하는 수단(도시 하지않음)에 의한 신호 및 반사형광인터럽터(11)에서 광수용소자(11b)의 출력신호에 반응하여 제어수단(50)은 전동기(37)에 전동기구동 및 정지신호를 인가하고, 전자밸브(12a)에 전후방향신호를 인가하여 공기실린더(12)의 전후이동을 제어한다.
제어수단(50)은 소위 "마이크로컴퓨터"로서 통상(또는 종래)의 실제거동작을 제어하며, 반사형광인터럽터(11)에 있어 그 광수용소자(11b)의 출력신호로부터 보빈(10)이 회전하지 않음을 판정할 경우 권회수단(60)이 실파지 및 권회동작을 재개하도록 하는 수단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즉,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어수단(50)은 보빈회전검출수단(53), 권회수단전후이동제어수단으로서의 실린더전후이동제어수단(52), 모터구동명령발생 및 회전제어수단(51)을 구비한다.
보빈회전판정수단(53)은 다음과같이 동작한다. 즉, 이 수단(53)은 광수용소자(11b)의 출력신호를 받아서 보빈(10)이 회전하지 않음을 판정할 경우 "온-재개"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는 타이머(54, 56)의 지원으로 보빈비회전 신호로부터 소정의 시간 t2 이 지연된 것이다.
실린더전후이동제어수단(52)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잔여실제거개시신호를 받으면 수단(52)은 전자밸브(12a)에 전방신호("온"신호)를 인가하여 공기실린더(12)의 실린더헤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보빈(10)에 감긴실은 실제거부재(7)와 수용샤프트(9) 사이에 파지된다. "온"신호 이후 소정의 시간동안 수단(52)은 전자밸브(12a)에 후방신호("오프"신호)를 가하여 실린더 헤드를 후퇴시킨다. 수단(52)이 보빈비회전신호를 받을 경우 수단(52)은 역신호("오프"신호)를 가하여 실린더헤드를 후퇴시키며, 소정시간 t2 만큼 지연된 "온-재개"신호를 받을 경우 전방신호("온-재개"신호)를 다시 출력하며, 전방 신호의 인가후 소정시간동안 전자밸브(12a)에 후방신호("오프"신호)를 가하여 실린더헤드를 후퇴시킨다.
전동기구동명령발생 및 회전제어수단(51)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잔여실제거개시신호를 받을 경우 수단(51)은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전동기(37)를 소정시간 T (제5도 참조) 회전시키며, 이에 보빈(10)에 감긴 실은 선형부재(8)에 감기고, 소정시간 T 동안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전동기를 정지시킨다. 한편, 보빈회전신호를 받을 경우 수단(51)은 정지신호를 인가하여 전동기(37)를 정지시키며, 소정시간t2 지연된 "온-재개"신호를 받을 경우 수단(51)은 구동신호를 다시 출력하고 소정시간T 동안 정지신호를 전동기(37)에 인가한다.
전동기구동명령발생 및 회전제어수단(51)에 있어서, 구동 및 재구동은 타이머(55, 57)에 의해서 소정시간t1 만큼 지연된다. 한편, 이 수단(51)은 전동기구동명령신호로서 펄스파신호를 생성하는 모터구동명령발생신호(51a), 펄스파신호에 의해 전동기가 구동하는 소정시간T의 기간을 설정하고 소정치로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전동기제어수단(51b)을 구비한다.
전술한 수단(50)은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도시하지 않음), 여러가지 설정치 및 데이타표가 저장되어 처리되는 RAM(도시하지 않음)을 내장하고 있으며, 제4도는 ROM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보빈실제거장치의 동작에 대해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빈케이싱(4)이 전달부재(3)에 의해 잔여실제거영역C에 설정될 경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잔여실제거개시신호가 생성된다. 스텝1에 있어서 "온" 신호가 전자밸브(12a)에 인가되어 공기실린더(12)의 실린더헤드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스텝2에서 시간t1이 경과 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간 t1 이 아직 경과하지 않은 경우 실제거부재(7)는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고, 보빈(10)에 감긴 실의 단부는 실제거부재(7)와 수용샤프트(9) 사이에 아직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텝2는 시간 t1이 경과할 때까지는 유효하게 반복된다. 시간t1이 경과할 경우 보빈(10)에 감긴 실의 단부가 실제거부재(7)와 수용샤프트(9) 사이에 유지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여 스텝3으로 진입한다. 스텝3에 있어서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제5도의 파형(b)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간T 동안 전동기(37)를 구동시키며 이에 보빈에 실이 감기는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권회수단(60)을 회전시켜 보빈(10)에 감긴 실이 선형부재(8) 상에 감기게 된다.
시간T은 보빈(10)에 감겼던 실이 선형부재(8)에 감기기에 충분한 정도의 간격으로 결정된다. 전동기구동명령발생수단(51a)은 펄스신호(제5도의 파형)를 전동기회전제어수단(51b)으로 인가 한다.
스텝4에 있어서는 타이머t의 동작이 시작되면서 스텝5로 진행한다. 스텝5에있어서, 구동신호가 인가된 이후 시간 T 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여기서 시간T은 권회수단(60)이 회전을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보빈(10)이 여전히 회전하지 않게되는 상황을 해소하는데 사용되는 기간이다. 스텝5는 시간T이 경과할 때까지 반복하여 진행된다. 시간T이 경과했음을 판정할 경우 스텝6은 보빈(10)이 회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실의 단부를 유지하고 있는 권회수단(60)에 의해 보빈으로부터 잔여실이 제거될 경우 보빈(10)은 회전을 유지하고, 광수용소자(11b)는 제5도의 파형 (b)으로 사인파신호를 출력하는데 이에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개의 구멍(10a)이 보빈(10)의 플랜지측면(lOb)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각 구멍은 동일한 각도의 간격으로 원주 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빈(10)이 회전함에따라 발광소자(11b)의 출력광빔의 반사가 주기적으로 변하게 되며, 이에따라 광수용소자(11b)에 의해 수용된 광량 또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광수용소자(11b)는 제5도의 파형(c)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인파신호를 출력한다.
제5도의 파형으로 도시한 사인파신호 또는 사각파신호를 받을 경우, 권회 수단(60)에 의해 통상 잔여실이 제거되는 것으로 판정되어 스텝7로 진행한다. 스텝7에 있어서는 시간T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시간T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잔여실이 아직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고 스텝7을 반복실행한다. 시간T이 경과한 경우 잔여실이 완전히 제거된 것으로 판정하여 스텝8로 진행한다. 스텝8에 있어서는 정지신호를 인가하여 전동기(37)를 정지시키고 "오프신호"를 전자벨브(12a)에 인가하여 공기실린더(12)의 실린더헤드를 원래의 위치로 후퇴시킨다.
그 결과, 수용샤프트로부터 분리된 선형부재(8) 상호 간은 서로 접근하면서 자신들에게 감겨진 실M을 느슨하게 하며, 차단보드(40)에 의해 유지되는 실 M 은 선형부재(8)로부터 하강한다.
이후, 스텝9로 진행하여 타이머 t 를 리세트하며, 이 장치는 다음의 잔여실 제거개시신호를 기다린다.
잔여실이 권회수단(60)에 의해 제거될 경우 보빈회전판정수단(53)이 제5도의 파형에 도시한 바와같이 출력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스텝6에 있어서 사인파 또는 사각파가 출력되지 않고 제5도의 파형(c')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프" 신호가 출력될 경우는 권회수단(60)이 잔여실을 제거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며, 이러한 판정에 따라 스텝10이 지속된다. 스텝10에 있어서 제5도의 파형(d')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지신호를 전동기(37)에 인가하여 권회수단(60)의 회전을 정지시키며, "오프"신호를 전자벨브(12a)에 인가하여 공기실린더(12)의 실린더헤드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이후 스텝11로 진행한다.
스텝11에서 타이머t가 리세트되면서 스텝12로 진행하며, 이 스텝12에서 시간t2의 경과 여부를 판정한다. 시간t2은 권회수단(60)의 회전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공기실린더(12)의 실린더헤드를 원래의 위치로 완전히 복귀시키기에 충분한 정도의 간격이다.
스텝12는 시간t2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음을 판정할 경우 그 시간t2이 경과 할 때까지 반복하여 진행되며, 이 시간t2이 경과한 후 스텝1을 재개한다. 따라서,전술한 동작은 전체적으로 다시 실행된다. 즉, 권회수단(60)은 실의 파지 및 권회동작을 다시 행하게 된다.
제5도의 참조부호 a, b, c, d, c', d' 는 제1도의 참조부호와 대응하는 회로포인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권회수단(6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이에따라 보빈(10)에 감긴 실의 단부가 실제거부재(7)와 수용샤프트 사이에 파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권회수단(60)은 소정시간T 회전하여 보빈에 감긴 실이 선형부재(8)에 감기고, 이후 권회수단(60)은 정지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반사형광인터럽터(11)가 잔여실이 제거되는 동안 보빈이 회전하고 있지 않음을 검출할 경우, 제어수단(50)은 보빈에 감긴 실의 단부를 권회수단이 파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정하여 권회수단(60)에게 실파지 및 권회동작을 재개하도록 지시한다. 즉, 권회수단(60)이 실의 단부를 파지하는데 실패하더라도 그 파지동작을 재개하여 보빈(10) 상에 남아있는 잔류실이 적극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며, 그 결과 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특허청구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빈(10)이 회전하는가의 여부는 보빈(10)에 형성된 구멍(10)을 이용하여 검출되고 있다. 즉, 광수용소자(11b)에 의해 받아들여진 광량이 구멍(10a)의 존재여부에 의해 가변한다는 사실로 검출이 실행된다. 그러나, 광수용소자(11b)에 의해수용된 광량은 다른 방법으로도 가변할수가 있다. 즉, 보빈(10)의 표면에 반사계수가 다른 물질을 부착할 수도 있고, 보빈(10)에 대해 표면처리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와같은 구멍을 갖지않는 보빈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예 있어서, 광학적으로 동작하는 반사형광인터럽터(11)는 보빈회전검출수단으로서 이용되고있지만, 이것을 자석, 자장을 검출하는 홀소자, 자기저항소자, 코일 등을 포함하는 마크네틱검출기 또는 유도형검출기와 같은 또다른 수단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수단(50)에 의해 권회수단이 실의 단부를 파지하는데 실패한 것으로 판정될 경우 전동기(37)가 정지하고 공기실린더(12)의 실린더헤드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권회수단(60)이 실파지 및 권회동작을 재개하게된다. 그러나, 전동기(37)가 정지하지 않고 공기실린더(12)의 헤드가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권회수단(60)에게 실의 파지 및 권회동작을 행하도록 장치를 변형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실린더(12)는 전후방으로 권회수단을 이동하는 권회수단이동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이것을 다른 액튜에이터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랙(rack)과 피니언을 이용하여도 전동기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권회수단(60)이 전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이것을 전자솔레노이드로도 대체할 수 있다.
전술한 플로차트에 따르면, 보빈에 감긴 실의 단부를 파지하는데 권회수단이실패한 것으로 제어수단(50)이 판정하면, 권회수단(60)은 실이 파지될 때까지 실의 파지 및 권회동작을 반복적으로 행하게 된다. 그러나, 권회수단(60)이 실의 단부를 파지하는데 실패한 경우 특정한 시간동안 경보를 발하여 작업자가 장치를 정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예 있어서 보빈실제거장치는 자동밑실공급장치에 적용되고 있지만, 보빈실제거장치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빈실제거장치의 개시스위치는 잔여실제거개시신호를 출력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이상과 같이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또다른 변형이 가능하다. 즉, 수용샤프트(9)를 이동가능하게 하여 필요에 따라서 권회수단(60)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 전동기(37)를 고정하고 실린더를 실제거부재로서 전동기(37)의 출력샤프트에 장착하며, 선형부재(8)를 실린더에 고착하여 실린더와 함께 권회수단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권회수단은 전술한 권회수단이동수단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실제거부재와, 실제거부재의 둘레에서 고착되어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선형부재를 포함하는 권회수단 ; 전방으로 이동하는 권회수단을 수용하여 함께 회전하는 수용샤프트를 구비하는 보빈실제거장치에 적용된다. 여기서 권회수단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보빈에 감긴실의 단부가 실제거부재와 수용샤프트 사이에 유지되고, 권회수단은 소정의 기간동안 회전하여 보빈에 감긴실이 선형부재에 감기게 되어, 이후 권회수단은 정지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권회수단을 고정시켜 회전 및 정지를 일정한 장소에서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선형부재대신에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개폐되는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보빈의 실을 유지할 수도 있다.
보빈실제거장치에는 권회수단 대신에 인출수단을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인출수단은 실이 협지되는 한쌍의 롤러를 포함하며, 롤러가 회전될 경우 실은 보빈으로부터 인출되어 제거된다. 또, 한쌍의 롤러대신에 기체흡입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체흡입부재는 기체로 실을 흡입하여 실을 보빈으로부터 인출 및 제거한다.
본 발명의 보빈실제거장치에 의해 보빈에 감긴 실의 단부는 권회수단의 유지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권회수딘이 회전함에 따라 유지부재상에서 감긴다. 그러나, 실이 제거되고 있는 동안 보빈이 회전하지 않고 있음을 보빈회전검출수단이 검출할 경우 제어수단은 권회수단이 실의 단부를 유지하는데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여 실의 파지 및 권회동작을 재개하도록 지시한다. 즉, 권회수단이 실의 단부를 유지하는데 실패하면 실파지동작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잔여실은 보빈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제거되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장치가 높은 신뢰성으로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에 따르면 권회수단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보빈에 감긴 실의 단부가 실제거소자와 수용샤프트 사이에 유지되며, 권회수단은 소정의 시간동안 회전하여 선형부재 상에 실이 감기며, 이후 권회수단은 후방으로 정지 및 이동한다. 한편, 실제거동작 중에 보빈이 회전하지 않음이 보빈회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될 경우 제어수단은 권회수단이 실의 단부를 유지하는데 실패한 것으로 판정하여 권회수단에게 실의 파지 및 권회동작을 재개하도록 지시한다. 따라서, 이 경우도 권회수단이 실의 단부를 유지하는데 실패할 경우 실의 파지동작을 재개하게 되므로 잔여실이 보빈으로부터 적극적으로 제거되며, 그 결과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실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X-X 방향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 Y-Y 방향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제어수단 내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일예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전동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6도는 제1도의 실제거장치에 적용되는 자동밑실공급장치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
제7도는 자동밑실공급장치의 작업영역 중에 위치하는 보빈케이싱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보빈실제거장치의 부분정면도.

Claims (3)

  1. 보빈실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실제거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감긴 실을 인출하는 인출수단과,
    실이 제거되고있는 상기 보빈에 대해 그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보빈회전검출수단과,
    상기 보빈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에 따라서 상기 보빈의 비회전상태를 경출할 경우 상기 인출수단을 구동시켜 실의 인출을 재개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실제거장치.
  2. 보빈실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실제거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감긴 실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파지 및 해제하는 파지부재를 구비하며, 이 파지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실을 감기위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권회수단과,
    실이 제거되고있는 상기 보빈에 대해 그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보빈회전검출수단과,
    상기 보빈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에 따라서 상기 보빈의 비회전상태를 검출할 경우 상기 권회수단을 구동시켜 실의 파지 및 권회동작을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실제거장치.
  3. 보빈에 감긴 실을 제거하기 위한 보빈실제거장치에 있어서,
    실제거부재, 이 실제거부재에 고착되는 동시에 이 실제거부재 둘레에 배치되어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선형부재를 포함하는 권회수단과,
    전방으로 이동하는 권회수단을 수용하여 함께 회전하는 수용샤프트로서, 권회수단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보빈에 감긴 실의 단부가 상기 실제거부재와 상기 수용샤프트 사이에 파지되고, 상기 권회수단이 특정시간 회전하여 보빈에 감긴 실이 상기 선형부재에 감기며, 이후 상기 권회수단이 정지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수용샤프트와,
    실이 제거되는 보빈에 대해 그 회전상태를 검출하는 보빈회전검출수단과,
    상기 보빈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이 신호에 따라서 보빈의 비회전상태를 검출할 경우 상기 권회수단을 구동시켜 실의 파지 및 권회동작을 재개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실제거장치.
KR1019950002802A 1994-02-15 1995-02-15 보빈실 제거장치 KR100348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035194 1994-02-15
JP94-40351 1994-02-15
JP6338979A JP2642605B2 (ja) 1994-02-15 1994-12-29 ボビンの残糸除去装置
JP94-338979 1994-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846A KR950031846A (ko) 1995-12-20
KR100348205B1 true KR100348205B1 (ko) 2002-11-22

Family

ID=2637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802A KR100348205B1 (ko) 1994-02-15 1995-02-15 보빈실 제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82355A (ko)
JP (1) JP2642605B2 (ko)
KR (1) KR100348205B1 (ko)
CN (1) CN1045326C (ko)
DE (1) DE1950509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679A (en) * 1994-10-26 1998-11-24 Juki Corporation Bobbin thread winding apparatus
US5718181A (en) * 1995-01-18 1998-02-17 Juki Corporation Bobbin exchanger
US5769343A (en) * 1995-05-25 1998-06-23 Juki Corporation Apparatus for supplying the bobbin thread of the sewing machine
CH696339A5 (de) * 2003-08-08 2007-04-30 Gegauf Fritz Ag Näh- oder Stickmaschine.
DE102005008223A1 (de) * 2005-02-22 2006-08-31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Rollenwechsler einer Rollendruckmaschine sowie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Rollenwechslers
JP5532610B2 (ja) * 2008-05-19 2014-06-25 マックス株式会社 ワイヤリール及び鉄筋結束機
JP6723801B2 (ja) * 2016-04-12 2020-07-15 シロキ工業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駆動装置の組付判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92A (en) * 1893-04-11 Island
US3633835A (en) * 1970-07-10 1972-01-11 Great Lakes Carbon Corp Filament break detector utilizing photoelectric means for detecting speed of supply spool
US3845320A (en) * 1973-03-26 1974-10-29 R Winberg Method and means for detecting the approaching end of a thread and a bobbin therefor
US4002130A (en) * 1975-09-22 1977-01-11 Automatech Industries, Inc. Automatic bobbin rewinding for sewing machines
US4117789A (en) * 1977-09-14 1978-10-03 Automatech Industries, Inc. Automatic, in situ bobbin spool loading
US4195292A (en) * 1978-03-09 1980-03-25 Puhich Joseph M Programmable bobbin thread detector
JPS5842570A (ja) * 1981-09-01 1983-03-12 Sabun Kogyosho:Kk 残糸処理装置
EP0117706B1 (en) * 1983-02-23 1987-11-19 Nikolaos Kosmas Bobbin run-out detector, and a bobbin changing mechanism incorporating the detector
JPH0246230B2 (ja) * 1987-10-02 1990-10-15 Kogyo Gijutsuin Mishinnoshitaitomakitorisochi
US5143004A (en) * 1987-11-25 1992-09-01 Mardix Bar Cochva Sewing apparatus including automatic bobbin reloading
JP2727017B2 (ja) * 1989-06-09 1998-03-11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供給量制御装置
DE4116788C1 (ko) * 1991-05-23 1992-06-25 G.M. Pfaff Ag, 6750 Kaiserslautern, De
JPH07108357B2 (ja) * 1991-09-13 1995-11-22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供給装置
JPH06272A (ja) * 1992-06-22 1994-01-11 Juki Corp 下糸自動供給装置の下糸切断装置
JPH0631079A (ja) * 1992-07-15 1994-02-08 Brother Ind Ltd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JP2613841B2 (ja) * 1993-07-26 1997-05-28 中小企業事業団 ボビンの残糸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82355A (en) 1996-12-10
KR950031846A (ko) 1995-12-20
DE19505090A1 (de) 1995-09-14
CN1111694A (zh) 1995-11-15
JP2642605B2 (ja) 1997-08-20
CN1045326C (zh) 1999-09-29
DE19505090B4 (de) 2005-11-24
JPH07275551A (ja) 1995-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205B1 (ko) 보빈실 제거장치
US5078331A (en) Sewing machine bobbin and mini-spool rotatably mounted thereon
EP1083255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read breakage in sewing machine
KR100375717B1 (ko) 실을 예비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공급장치
JP2004131276A (ja) 異種糸の糸継ぎ巻取装置
US6578503B2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with lower thread winding device
KR19990008344A (ko) 실 감는 드럼의 구동 유닛 회전 속도 제어 장치
JP3128743B2 (ja) ミシンの下糸残量検出装置
JP3838681B2 (ja) 下糸巻回装置
JP4009880B2 (ja) 刺繍ミシン
JPH0545704B2 (ko)
JP2010252847A (ja) ミシンの下糸検出装置
JPS6047869B2 (ja) ミシンの自動糸調子装置
WO20070210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angle supplier
JPH06292780A (ja) ミシン用ボビン及びボビンの糸切れ検出方法
JPH0889680A (ja) 本縫いミシン
JPH0698987A (ja) ボビンの回転停止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JPH03292994A (ja) ミシンの下糸終端検知方法および装置
JPS63501225A (ja) 糸供給装置
JPH01285563A (ja) 線材供給装置
JP2770442B2 (ja) ミシン
JPH09253370A (ja) ミシンの下糸検出装置
JP2852961B2 (ja) ミシンにおける糸調子装置
JP3640705B2 (ja) 下糸自動供給制御装置
JPH04166190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