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494B1 - Ic소켓용ic수용장치 - Google Patents

Ic소켓용ic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494B1
KR100345494B1 KR1019950003592A KR19950003592A KR100345494B1 KR 100345494 B1 KR100345494 B1 KR 100345494B1 KR 1019950003592 A KR1019950003592 A KR 1019950003592A KR 19950003592 A KR19950003592 A KR 19950003592A KR 100345494 B1 KR100345494 B1 KR 10034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 lever
cover
rotary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932A (ko
Inventor
아베슌지
Original Assignee
야마이치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이치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이치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33Sockets for IC's or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07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with 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5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 H05K7/1061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 H05K7/1069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with spring contact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접촉압력을 얻을 수 있는 IC 소켓의 IC 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으로서,
커버의 상하 운동에 따라 IC 또는 IC 캐리어에 탈착하는 록크레버와,
커버의 상하 운동을 록크레버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레버와,
록크레버의 상승시에는 록크레버를 후방의 떨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록크레버의 하강시에는 전방의 붙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회전레버의 외측단이 위치하는 록크레버의 한 쪽에 하강력을 가하면서 회전레버의 외측단에 하방 회전력을 가하는 스프링 수단으로 구성되고,
회전레버의 외측단에 가해지는 하방 회전력으로 스프링이 작용하는 끝단과 반대인 회전레버의 내측단이 상방으로 회전되어 커버에 상방의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IC 소켓에 있어서의 IC 수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접촉압력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C 소켓용 IC 수용장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IC(Integrated Circuit) 또는 IC 캐리어를 IC 소켓(socket) 안에 유지시켜 신뢰성있는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는 IC 소켓에서의 IC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본 공개 특허 특개평(特開平)3-289077에 의하면, IC 수용장치는, 커버의 상하 운동에 따라 IC 캐리어에 붙었다 떨어졌다 하는 록크레버와, 커버의 상하 운동을 록크레버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레버와, 록크레버의 상승시에는 록크레버를 후방의 떨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하강시에는 전방의 붙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그루부 캠(groove cam : 홈이 파인 캠)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IC 캐리어로부터 록크레버를 적당하게 떨어뜨리기 위하여는 조작자가 록크레버를 탈착면의 약간 위인 후방의 떨어지는 위치까지 돌리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록크레버를 IC 캐리어의 끝 부분과 적당히 접촉시킴으로써 IC 캐리어에 압력을 가하기(접촉 압력을 얻기 위하여) 위하여는 조작자가 IC 캐리어가 전방의 좀더 높은 위치로 이동된 뒤에 레버를 하강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의 예에 의하면 록크레버를 상하방으로 움직이는 수단으로서 회전레버의 한 쪽 끝과 커버를, 축과 갸름한 홈(slot)으로 연결시키고, 커버를 상방으로 올리는 스프링의 효과로 연결부(linking portion)가 상승되어, 회전레버의 한 쪽 끝이 상승되고 스프링의 힘과는 반대 방향으로 커버를 누름으로써 연결부에 힘이 가하여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회전레버의 한 쪽 끝이 하강되고 따라서 커버의 상하 운동을, 회전레버의 다른 한 쪽 끝에 의하여 축으로 회전되도록 지지되는 록크레버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한다.
이 종래의 예에 의하면 커버를 들어 올리려고 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연결부와 회전레버를 통하여 록크레버로 전달함으로써, 스프링의 힘과는 반대의 록크레버의 상승 운동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힘과 일치하는 록크레버의 하강 운동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종래의 예에서 스프링의 효과로 인하여 커버가 상승되어 커버와 회전레버 서로를 탄력적으로 접속시키므로, 회전레버가 커버의 상하운동을 적절히 쫓아 갈 수 있도록 축과 갸름한 홈으로 회전레버의 한 쪽 끝을 커버에 연결시키는 것이 불가피하다.
즉 회전레버와 커버가 서로 연결되지 않으면, 커버가 상방으로 움직일 때 회전레버의 한 쪽 끝을 올릴 수 없기 때문에 그 결과로 원하는 록크레버의 운동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커버를 상승시키려고 하는 스프링의 힘은 연결부와 회전레버를 통하여 록크레버에 작용하여 록크레버가 하강되므로, 회전레버의 회전 운동이 록크레버의 수직 하강 운동으로 부드럽게 변화되지 않는다. 그 결과로 록크레버에 의하여 IC 캐리어에 가해지는 압력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접촉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고 전기적 접속이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 선행 기술에서는 커버와 회전레버 서로를 연결하는 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이 어렵고 축과 갸름한 홈 사이에 기계가 잘 움직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러므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접촉압력을 얻을 수 있는 IC 소켓의 IC 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커버의 상하 운동에 따라 IC 또는 IC 캐리어에 탈착하는 록크레버와, 커버의 상하 운동을 록크레버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레버와, 록크레버의 상승시에는 록크레버를 후방의 떨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록크레버의 하강시에는 전방의 붙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회전레버의 외측단이 위치하는 록크레버의 한 쪽에 하강력을 가하면서 회전레버의 외측단에 하방 회전력을 가하는 스프링 수단으로 구성되고, 회전레버의 외측단에 가해지는 하방 회전력으로 스프링이 작용하는 끝단의 반대측인 회전레버의 내측단이 상방으로 회전되어 커버에 상방의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IC 소켓에 있어서의 IC 수용장치가 필연적으로 필요하다.
IC 수용장치는, 커버 위에 위치하여 록크레버가 하강할 때에 록크레버의 후면을 전방으로 미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C 수용장치는, 록크레버의 전면을 제한하는 전면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용)
회전레버에 의하여 윗 쪽으로 받혀지고 있는 커버를 로보트나 수동작으로 누름으로써 회전레버의 내측단이 눌려지면 회전레버의 외측단은 스프링의 힘과는 반대로 상방으로 회전하고 그 결과로 록크레버는 IC나 혹은 IC 캐리어의 상측단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방으로 이동한다. 록크레버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에 후방의 떨어지는 위치로 이동되어 IC나 IC 캐리어가 부드럽게 제거될 수 있다.
반대로 커버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은 록크레버에 작용하는 쪽의 회전레버의 외측단을 하방으로 회전시킨다. 동시에 스프링은 록크레버를 하강시킨다. 이 하강 운동시에 록크레버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IC나 IC 캐리어의 상측면과 붙게 되며 IC나 IC 캐리어를 하방으로 눌러 충분한 접촉압력을 얻게 된다.
록크레버에 작용하는 쪽의 회전레버 외측단의 하강 운동의 반작용으로 회전레버의 내측단은 상방으로 회전한다. 이 상방의 회전력은 커버를 위로 밀어 커버를 대기 상태로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이 회전레버가 작용하는 쪽의 록크레버 외측단에 하강력을 가하기 때문에 스프링의 힘과 스프링의 운동량을 적절하게 록크레버에 가함으로써 적정한 상하 운동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록크레버는 IC나 IC 캐리어의 측단과 확실하게 붙을 수 있으므로 적정한 접촉압력을 얻을 수 있다.
스프링이 작용하는 쪽의 반대측인 회전레버의 내측단이 커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단지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이므로, 그 레버는 커버와 단순히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커버의 상하 운동에 따라 적당히 움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와는 달리 회전레버와 커버를 축과 갸름한 홈으로 연결할 필요성이 더 이상 없고 따라서 연결과 관련된 문제가 완전히 해소된다.
본 발명의 특징이라고 생각되는 새로운 점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발명 그 자체는 부가적인 사항 따라서 부가적인 이점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후속의 상세한 설명 및 이에 따르는 도면으로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그 실시예는 발명 자체가 아니라 오직 발명의 예에 불과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 1 도 내지 제 11 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켓기반(socket base : socket基盤)의 상부를 덮는 직각의 프레임 형상의 커버의 상하 운동으로 IC 혹은 IC를 수용하는 IC 캐리어(3)와 탈착하는 록크레버(4)와, 록크레버(4)의 상승시에는 록크레버를 후방의 떨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록크레버의 하강시에는 전방의 붙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 IC 소켓에 있어서의 IC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회전레버(5)가 작용하는 록크레버(4)의 한 쪽에 하방의 힘을 가하면서 회전레버(5)의 외측단에 하강 회전력을 가하는 스프링(6)을 더 포함한다. 회전레버(5)의 외측단에 가해지는 하강 회전력에 의하여 스프링(6)이 작용하는 쪽의 반대측인 회전레버(5)의 내측단이 상방으로 회전하므로 회전레버(5)는 커버(2)와 탄력적으로 접촉되며 상방의 힘이 커버(2)에 가하여진다. IC(15)는 캐리어(3)의 상하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수용부(收容部, receiving section)내에 래치(latch)(23)에 의하여 수용된다.
제 1 도내지 제 5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 6 도 내지 제 9 도는 그 개요와 동작 원리를 나타낸다.
도면과 같이 회전레버(5)는 IC 혹은 IC 캐리어(3)의 IC 수용부(13)의 밑에 위치하고 축(7)을 통하여 소켓기반(1) 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록크레버(4)는 축(8)을 통하여 회전레버(5)의 외측단(1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록크레버(4)는 IC 혹은 IC 캐리어(3)의 상측단과 붙고 그 록크레버(4)의 상측면으로 연장된 록킹 클로(locking claw)를 갖는다.
스프링(6)을 회전레버(5)의 외측단과 록크레버(4)의 하측단의 피봇(pivot)부분(축지부 : 軸支部)에 작용하게 하여 록크레버(4)에 하강력을, 회전레버(5)의 외측단에 하강 회전력을 가하게 한다. 한 예로서 스프링의 한 쪽 끝을 축(8)에 연결하고 다른 한 쪽을 소켓기반(1)에 연결함으로써 회전레버(5)의 외측단과 록크레버(4)의 하측단의 피봇 부분에 인장력을 가하여 레버(4, 5)를 하강시킨다. 또는 제 3 도와 제 5 도와 같이 록크레버(4)와 회전레버(5)의 피봇 부분에 하강력이 가하여지도록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프링(6)은 회전레버(5)의 외측단(10)이 작용하는 록크레버(4)의 외측단에 하강력을 가함과 동시에 회전레버(5)의 외측단(10)에 하강 회전력을 가한다. 그 결과로 회전레버(5)의 외측단 즉 스프링(6)이 작용하는 외측단이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 반작용으로 스프링(6)이 작용하는 위에서 언급한 쪽의 반대측인 회전레버(5)의 내측단(11)이 하방으로 회전한다. 내측단(11)은 스프링(6)의 작용에 의하여 커버(2)와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커버(2)는 상승력을 받는다. 회전레버(5)의 내측단(11)을 커버(2)에 작용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커버(2)에 IC 또는 IC 캐리어의 하측면을 따라 수압(受壓) 및 가압판(12)을 설치하여 이 수압 및 가압판(12)의 하측면과 회전레버(5)의 내측단(11)을 탄력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커버(2)가 압력을 받으면, 수압 및 가압판(12)은 회전레버(5)의 내측단(11)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부로서 작용한다. 커버(2)에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면, 수압 및 가압판(12)은 회전레버(5)로부터 상승력이 가해지는 수압부(受壓部)로서 작용한다.
마찬가지로 회전레버(5)의 내측단(11)은, 커버(2)에 상승력을 가하는 가압부로서 또한 커버(2)로부터 하강력이 가하여지는 수압부로서 작용한다.
커버(2)는, 그것과 마주보는 벽에 설치되어 소켓기반(1)의 서로 마주보는 벽에 형성된 갸름한 안내 홈(27)과 느슨하게 결합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hook)(26)를 갖는다. 그 후크(26)는 안내홈(27)을 따라 각각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후크(27)와 안내홈(27)으로 커버(2)의 상하 운동이 안내되고 커버(2)의 상하 운동량이 홈(27)의 범위내로 제한된다.
커버(2)는 소켓기반(1)의 상측면 중앙에 형성된 IC 수용부(13)의 상단부에서 외부로 개방된 창(14)을 갖는다. IC 또는 IC 캐리어가 이 창(14)을 통하여 IC 수용부(13)에 수용되고 IC(15)의 하측면에 배치된 IC 접촉부재(16)가 소켓기반(1)의 접점(contacts : 接點)(17) 위에 놓여진다. 이 접점(17)은 IC 수용부(13)의 양변 또는 4변을 따라 배치되어 IC의 양변 또는 4변을 따라 배치된 IC 접촉부재(16)와 접촉할 수 있다.
IC 또는 IC 캐리어(3)가 커버(2)의 창(14)을 통하여 IC 수용부(13)에 수용될 때에 록크레버(4)는 이 IC 또는 IC 캐리어(3)가 방해받지 않도록 후방의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커버(2)가 수동작 또는 로보트에 의하여 압력을 받으면 수압 및 가압판(12)에 의하여 하강력이 회전레버(5)의 내측단(11)에 가해진다. 이렇게 하여 회전레버(5)의 내측단(11)이 스프링(6)의 힘과는 반대로 하강 회전하며 그 반작용으로서 반대측인 회전레버(5)의 외측단(10)이 상방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로 록크레버(4)에 상승력이 가하여져 록크레버(4)는 상방으로 움직인다(제 7 도 참조).
따라서 록크레버(4)의 록킹 클로(9)는 IC 또는 IC 캐리어(3)의 상측면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진다. IC 또는 IC 캐리어(3)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진 후에 록크레버(4)는 후방으로 회전하여 록킹 클로(9)는 완전히 떨어진다.
록킹 클로(9)가 떨어지는 위치에 있을 때에, IC 또는 IC 캐리어(3)가 IC 수용부(13)에서 제거되거나 혹은 새로운 IC 또는 IC 캐리어(13)가 IC 수용부(13)에 수용된다. 그런 후에 커버(2)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6)에 의하여 회전레버(5)의 외측단(10)이 축(7)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며 그 반작용으로서 회전레버(5)의 내측단이 상방으로 회전하여 커버(2)를 상방으로 밀게 된다. 이 동작과 동시에 스프링(6)은 록크레버(6)의 하단부에 하강력을 가함으로써 록크레버(4)를 하강시킨다. 이 록크레버(4)가 하강될 때에 록크레버(4)가 축(8)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함으로써 록킹 클로(9)는 IC 또는 IC 캐리어(3)의 상측면 끝단과 붙게됨과 동시에 이 록킹 클로(9)를 통하여 IC 또는 IC 캐리어에 하강력이 가하여져 IC(5)의 접점부재(16)를 소켓기반(1)의 접점(17) 쪽으로 밀게되어 접촉압력을 얻게된다. 접점(17)은 소켓기반(1)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각 접점(17)은 상하로 구부러지는 스프링부와, 스프링부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접점부를 갖고 있다. 이 접점부에 IC(15)의 접점부재(16)중에 해당하는 하나를 놓아 록크레버(4)에 의하여 압력을 받게하여 스프링부가 하방으로 구부러져 그 반작용으로 위에서 언급한 접촉압이 얻어진다. 동시에 접점(17)의 접점부와 IC 접점부재(16) 사이의 접촉면에서 와이핑(wiping) 동작이 일어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IC(15)의 하측면에 접점부재(16)와 접점(17)이 가압되어 접촉되는 경우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다른 예로서는 본 발명은 접점부재(16)가 IC(15)의 양변 또는 4변으로부터 옆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갈매기 날개 형상의 IC 패캐지(package), 플래트(flat) 타입의 IC 패캐지, J 형으로 굽은 IC 패캐지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소켓은 록크레버(4)가 상하로 이동할 때에 록크레버(4)를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수단을 갖추고 있다. 록크레버(4)를 전후방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커버(2)를 록크레버(4)에 작용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록크레버(4)의 배면을 따라 커버(2)의 측벽 하단에 가압부(18)를 두고 피봇 부분 근처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외팔보(cantilever)로 구성된 수압부(19)를 가압부(18)의 반대편에 설치한다.
제 6 도와 같이 가압부(18)는 커버(2)가 상승할 때에 수압부(19)로부터 상방으로 떨어져, 간격(20)을 형성한다.
그 상태에서 커버(2)가 압력을 받으면 제 7 도 내지 제 9 도와 같이 가압부(18)가 수압부(19)를 압박하고 그 결과로 록크레버(4)는 축(8)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한다. 록크레버(4)는 가압부(18)가 수압부(19)에 작용할 때까지 회전레버(5)에 의하여 상승된다.
다시 말하자면 회전레버(5)가 록크레버(5)를 소정량 만큼 상승시키고 록크레버(4)의 록킹 클로(9)가 IC 또는 IC 캐리어(3)의 상측면 끝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된 후에(제 7 도 참조), 가압부(18)가 수압부(19)에 작용하여 록크레버(4)가 후방으로 이동된다(제 8도, 제 9도 참조). 이 때문에 가압부(18)와 수압부(19) 사이에는 제 6 도와 같은 간격(20)이 형성된다.
커버(2)의 벽측의 하측단부 예를 들어 압렵부(18)의 부근에 퓨셔(pusher)(21)를 형성한다. 이 퓨셔(21)는 곧바로 선 록크레버(4)의 배면에 작용하도록 한다. 커버(2)에 가해지고 있는 압력이 제거되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커버(2)는 회전레버(5)에 의하여 상방으로 힘을 받는다. 이 커버(2)가 상승하고 록크레버(4)가 하강하는 동안에, 퓨셔(21)가 후방에 있는 록크레버(4)의 배면을 전방으로 밀어 IC 또는 IC 캐리어(3)의 상측면 끝단 위로 움직이게 한다(제 8 도, 제 9 도 참조).
동시에 회전레버(5)의 내측단(11)이 커버(2)의 수압 및 가압판(12)을 미는 동안에 회전레버(5)의 외측단(10)은 스프링(6)에 의하여 하방으로 회전한다. 회전레버(5)의 외측단의 이 하강 운동에 따라서 록크레버(4)는 하강한다. 록크레버(4)가 하강할 때에 록킹 클로(9)는 IC 또는 IC 캐리어(3)의 상면 측단과 접촉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록크레버(4)가 조금 더 하강함으로써 IC 또는 IC 캐리어(3)에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접점(7)에 놓여진 IC 접점부재(16)는 접점(17) 쪽으로 압력을 받아 충분한 접촉압력을 얻을 수 있다.
커버(2)는 상승운동 전반부 동안에 록크레버(4)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하방 운동을 야기시킨다(제 8 도, 제 9 도 참조). 상승운동 후반부에 있어서는 가압부(18)가 수압부(19)로부터 떨어져 록크레버(4)의 하강운동 만을 야기시킨다(제 6 도, 제 7 도 참조). 그 결과로 가압부(18)가 수압부(19) 사이에 다시 간격(20)이 형성된다.
록크레버(4)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커버(2)측에 전면 받침대(front abutment member)(22)를 설치한다. 이 전면 받침대(22)는 곧바로 선 록크레버(4)의 전면을 제한하도록 동작된다. 록크레버(4)는 이 전면 받침대(22)와 퓨셔(21) 사이에서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이 전면 받침대(22)는 예를 들어 수압 및 가압판(12)과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압 및 가압판(12)의 끝 부분에서 록크레버(4)의 전면과 마주 보는 부분을 형성하고 이 접촉 부분이 전면 받침대(22)의 역할을 한다. 이 전면 받침대(22)는 소켓기반(1)과 일체로서 형성된다.
스프링(6)을 록크레버(4)의 하단과 회전레버(5)의 끝단이 연결되는 부근에 탄력을 가하도록 적당히 배열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스프링이 록크레버(4)의 하단에 직접 작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록크레버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동시에 록크레버(4)의 다른 끝(11)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레버(5)의 한 끝(10)을 하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커버(2)를 상방으로 미는 힘을 얻을 수 있다.
제 3 도, 제 4 도, 제 5 도 등에서와 같이 IC 수용장치는, IC 또는 IC 캐리어(3)의 저면(밑면)을 따라 소켓기반(1)의 마주보는 각각의 끝으로부터 소켓기반(1)의 중앙으로 뻣는 한 쌍의 회전레버(5)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레버(5)의 외측단(10) 즉 소켓기반(1)의 마주보는 각각의 끝에 위치하는 회전레버(5)의 끝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록크레버(4)로 구성된다.
따라서 록크레버(4)는 소켓기반(1)의 마주보는 각각의 끝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고 회전레버(5)의 내측단(11)은 소켓기반(1)의 중앙부 즉 IC 또는 IC 캐리어(3)의 거의 중앙부로 뻗어 그 (11)이 IC 혹은 IC 캐리어(3)의 중앙부에 작용하도록 한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 등에서와 같이 회전레버(4)의 내측단(11)과 다른 회전레버(4)의 내측단(11)은 서로 교착되어 있다. 축(7)으로부터 각 회전레버(4)의 내측단까지의 길이를 가능한한 길게하여 지렛대 작용을 유효하게 발휘하게 하고 또한 내측단(11)이 커버(2)의 수압 및 가압판(12)의 중앙부분에 균등하게 작용하도록 한다.
제 3 도 또는 제 10 도 등에서와 같이 한 쌍의 블록(24)을 각 록크레버(4)의 마주보는 각각의 하측단에 설치한다. 이 블록(24)을 소켓기반(1)에 형성된 안내홈(25)에 미끄러지록 맞춤으로써 록크레버(4)의 상하 운동을 안내한다. 스프링(6)은 안내 블록(24)의 상측면에 작용하여 하강력을 가하도록 하고 안내블록(24)의 측면은 축(8)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 4 도는 IC를 수용하고 있는 캐리어(3)를 나타낸다. IC(15)는 캐리어(3)에 설치된 래치(23)에 의하여 캐리어(3) 안에 수용된다. IC(15) 단독 또는 IC 캐리어(3)에 의하여 수용되는 IC(15)는 소켓기반(1)의 수용부(13)에 놓여진다. 따라서 록크레버(4)는 IC(15)의 상측면 끝단과 또는 IC 캐리어(3)의 상측면 끝단과 붙었다 떨어졌다 한다.
제 1도 내지 제 9 도는 록크레버(4)의 하측단과 회전레버(5)의 외측단(10)이 축(8)에 의하여 지지되는 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제 11 도의 예는 위의 이러한 축지구조(軸支構造 : pivotal support structure)를 채용하지 않는다. 제 11 도와 같이 회전레버(5)의 외측단(10)과 록크레버(4)의 하측단은 단지 접촉되어 있을 뿐이고 스프링(6)은 록크레버(4)의 하측단에 하방의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이 하방의 인장력에 의하여 레버(4, 5) 사이의 접촉이 유지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하여 록크레버(4)와 회전레버(5)의 연관운동을 얻을 수 있다.
위의 예에서 록크레버(4)나 회전레버(5) 중의 어느 하나에 오목부(28)을 형성하고 다른 한 쪽에 볼록부(29)를 형성하여 이 볼록부(29)를 오목부(28)에 미끄러지도록 맞춤으로써 접촉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위의 예와 같이 회전레버(5)는 축(7)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아니다. 이 경우에 제 11 도와 같이 회전레버(5) 또는 소켓기반(1) 중의 어느 하나에 오목부(30)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 볼록부(31)를 형성하여 이 볼록부(31)를 오목부(30)에 미끄러지도록 맞춤으로써 지지위치(支持位置)를 유지하고 또한 회전레버(5)가 상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축(7, 8)은 하나 또는 모두가 생략되고 그 대신에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에 미끄러지도록 하는 결합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1 도에서 도면부호 32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록크레버(4)를 연결하는 축을 표시한다.
지금까지 서술한 본 발명은, 스프링이 회전레버가 작용하는 록크레버의 외측단에 하강력을 가하므로 록크레버에 적당히 스프링 힘과 스프링의 운동량을 가함으로써 적절한 상하운동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록크레버를 IC 또는 IC 캐리어의 끝단과 확실히 탈착시켜 적절한 접촉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이 작용하는 회전레버의 내측단이 커버를 상방으로 밀도록 커버와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단지 회전레버와 커버 사이의 탄성접촉만으로 회전레버는 커버의 상하운동에 따라 적당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때문에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축과 갸름한 홈으로 회전레버와 커버를 연결시키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고 따라서 이 연결과 관련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C 소켓에서의 IC 수용장치의 바람직한 몇 개의 실시예를 지금까지 그림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였으나 그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따라서 실시예는 얼마든지 변경, 변화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한 쪽의 록크레버를 생략하여 나타낸 IC 소켓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커버의 사시도.
제 3 도는 록크레버와 회전레버로 구성된 IC 수용장치의 사시도.
제 4 도는 IC 캐리어를 장전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IC 캐리어와 IC 소켓의 단면도.
제 5 도는 IC 캐리어가 장전된 IC 소켓의 단면도.
제 6 도는 록크레버가 IC 또는 IC 캐리어와 붙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IC 소켓의 주요부 단면도.
제 7 도는 록크레버가 IC 또는 IC 캐리어의 상측면의 끝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유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IC 소켓의 주요부 단면도.
제 8 도는 록크레버가 IC 또는 IC 캐리어의 상측면의 끝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한층 더 유리되어 있고 커버가 록크레버에 작용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IC 소켓의 주요부 단면도.
제 9 도는 록크레버가 IC 또는 IC 캐리어로부터 뒷 방향으로 유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IC 소켓의 주요부 단면도.
제 10 도는 록크레버의 상하 운동의 안내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의 단면도.
제 11 도는 록크레버에 작용하는 회전레버의 한 쪽 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소켓 기반 2: 커버(cover)
3: IC 또는 IC 캐리어(carrier ) 4: 록크레버(lock lever)
5: 회전레버(turnig lever) 6: 스프링

Claims (3)

  1. 커버의 상하 운동에 따라 IC 또는 IC 캐리어의 윗면 가장자리에 탈착하는 한 쌍의 록크레버와,
    소켓 본체에 축에 의하여 각각 축지(軸支)되어 커버의 상하 운동을 록크레버의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회전레버와,
    록크레버의 상승시에는 록크레버를 후방의 떨어지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록크레버의 하강시에는 전방의 붙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과,
    회전레버의 외측단이 위치하는 록크레버의 한 쪽에 하강력을 가하면서 회전레버의 외측단에 하방 회전력을 가하는 스프링 수단으로 구성되는,
    각 록크레버의 하단과 각 회전레버의 외측단은 축에 의하여 축지되고,
    회전레버와 록크레버의 축지부분 부근에 스프링 수단이 작용하여, 회전레버의 외측단에 가해지는 하방 회전력으로 스프링이 작용하는 끝단과 반대인 소켓 본체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IC 또는 IC 캐리어의 중앙부 부근에 작용하는 회전레버의 내측단이 상방으로 회전되어 커버에 상방의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IC 소켓용 IC 수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 위에 위치하여 록크레버가 하강할 때에 록크레버의 후면을 전방으로 미는 것을 포함하는 IC 소켓용 IC 수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록크레버의 전면을 제한하는 전면 받침대를 포함하는 IC 소켓용 IC 수용장치.
KR1019950003592A 1994-02-24 1995-02-24 Ic소켓용ic수용장치 KR100345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52924A JP2667633B2 (ja) 1994-02-24 1994-02-24 Icソケットにおけるic保持装置
JP052924 1994-02-24
JP52924 1994-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932A KR950034932A (ko) 1995-12-28
KR100345494B1 true KR100345494B1 (ko) 2005-08-09

Family

ID=1292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592A KR100345494B1 (ko) 1994-02-24 1995-02-24 Ic소켓용ic수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31608A (ko)
JP (1) JP2667633B2 (ko)
KR (1) KR100345494B1 (ko)
GB (1) GB22869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239A (ja) * 1994-12-02 1996-06-21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US6162066A (en) * 1997-05-16 2000-12-19 Wells-Cti, Inc. Socket for positioning and installing an integrated circuit chip on a flexible connector sheet
US6267603B1 (en) 1998-04-01 2001-07-31 Molex Incorporated Burn-in test socket
US6283780B1 (en) 1998-04-01 2001-09-04 Molex Incorporated Test socket lattice
JP3020030B2 (ja) * 1998-04-01 2000-03-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バーンインソケット
US6369595B1 (en) 1999-01-21 2002-04-09 Micron Technology, Inc. CSP BGA test socket with insert and method
KR100318621B1 (ko) * 1999-02-20 2001-12-28 로마스 엘 심스 대칭 구조를 갖는 접속핀을 이용한 집적회로 검사 소켓
JP4270337B2 (ja) * 1999-06-18 2009-05-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Icパッケージソケット
JP3678170B2 (ja) * 2001-05-25 2005-08-03 山一電機株式会社 Ic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
JP3789789B2 (ja) * 2001-08-31 2006-06-2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803099B2 (ja) * 2002-12-17 2006-08-02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WO2004095038A1 (ja) * 2003-04-23 2004-11-04 Advantest Corporation 電子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用インサート、トレイおよび電子部品ハンドリング装置
TWM249254U (en) * 2003-04-30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073439B2 (ja) * 2004-04-16 2008-04-09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WO2006006248A1 (ja) 2004-07-12 2008-04-24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電気的接続装置
JP4312685B2 (ja) * 2004-08-31 2009-08-12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着脱方法、それが用いられる半導体装置の着脱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4471941B2 (ja) * 2005-03-10 2010-06-02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KR100894734B1 (ko) * 2007-04-18 2009-04-24 미래산업 주식회사 전자부품 수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부품 테스트용핸들러
JP2009036679A (ja) * 2007-08-02 2009-02-1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4495200B2 (ja) * 2007-09-28 2010-06-30 山一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JP2010118275A (ja) * 2008-11-13 2010-05-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半導体装置用ソケット
TWM411712U (en) * 2011-01-27 2011-09-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836112B2 (ja) * 2011-12-28 2015-12-2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5836113B2 (ja) * 2011-12-28 2015-12-24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1476A (ja) * 1987-05-30 1988-12-08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Icソケット
KR890011066A (ko) * 1987-12-22 1989-08-12 야마나까 가즈다까 Ic 소케트에 사용되는 ic 패키지 추출기구
JPH0244671A (ja) * 1988-08-04 1990-02-14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Icソケットにおけるロック機構
JPH0362473A (ja) * 1990-03-22 1991-03-18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Icソケット
JPH03295182A (ja) * 1990-04-12 1991-12-26 Hitachi Ltd ソケット
KR920009002A (ko) * 1990-10-17 1992-05-28 야마나까 가즈다까 전기부품용 소켓
JPH05343147A (ja) * 1992-06-04 1993-12-24 Yamaichi Electron Co Ltd Icソケットにおけるic押え装置
JPH0636843A (ja) * 1992-07-16 1994-02-10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JPH0645482A (ja) * 1992-07-23 1994-02-18 Toshiba Chem Corp Icソ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6256A (en) * 1987-04-03 1988-11-22 Amp Incorporated Burn in socket for flat pack semiconductor package
JPH01119043A (ja) * 1987-10-31 1989-05-11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Icソケット
JPH0777144B2 (ja) * 1990-04-03 1995-08-16 株式会社エンプラス Icソケット
JP2665419B2 (ja) * 1991-08-13 1997-10-22 山一電機株式会社 電気部品用接続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1476A (ja) * 1987-05-30 1988-12-08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Icソケット
KR890011066A (ko) * 1987-12-22 1989-08-12 야마나까 가즈다까 Ic 소케트에 사용되는 ic 패키지 추출기구
JPH0244671A (ja) * 1988-08-04 1990-02-14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Icソケットにおけるロック機構
JPH0362473A (ja) * 1990-03-22 1991-03-18 Yamaichi Electric Mfg Co Ltd Icソケット
JPH03295182A (ja) * 1990-04-12 1991-12-26 Hitachi Ltd ソケット
KR920009002A (ko) * 1990-10-17 1992-05-28 야마나까 가즈다까 전기부품용 소켓
JPH05343147A (ja) * 1992-06-04 1993-12-24 Yamaichi Electron Co Ltd Icソケットにおけるic押え装置
JPH0636843A (ja) * 1992-07-16 1994-02-10 Texas Instr Japan Ltd ソケット
JPH0645482A (ja) * 1992-07-23 1994-02-18 Toshiba Chem Corp Icソ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503278D0 (en) 1995-04-12
JPH07240262A (ja) 1995-09-12
GB2286932A (en) 1995-08-30
KR950034932A (ko) 1995-12-28
GB2286932B (en) 1997-06-18
US5531608A (en) 1996-07-02
JP2667633B2 (ja) 199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494B1 (ko) Ic소켓용ic수용장치
KR100260295B1 (ko) 전기부품용 커넥터
US5387120A (en) Latching IC connector
US5109980A (en) Ic carrier with shaft coupling
JPH01119043A (ja) Icソケット
JP2667647B2 (ja) Icソケット
KR0173156B1 (ko) 아이씨 소켓
JP2816132B2 (ja) Icソケットにおけるic押え機構
JP2667646B2 (ja) Icソケット
JP4172856B2 (ja) Icソケット
JP2594355B2 (ja) Icキャリア
JPH09245920A (ja) Icソケットにおけるic押え機構
KR101989967B1 (ko) 메모리 모듈 테스트 소켓
JPH0752662B2 (ja) Icソケット
JP2973406B1 (ja) Icソケットにおけるコンタクトの開閉機構
CN214888790U (zh) 换挡手柄球总成
JP2954560B2 (ja) Icソケット
KR200168969Y1 (ko) 트레이위치고정장치
JP3164424B2 (ja) Icソケットにおけるic押え装置
JPH0218951Y2 (ko)
JP3309746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940002126Y1 (ko) 캠코더의 폴베이스 압착장치
KR900005073Y1 (ko) 브이씨알의 핀치롤러 압착장치
KR100299233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카셋트압착구조
KR890007719Y1 (ko) 브이씨알의 카세트 로딩 구동력 차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