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648B1 - 종균접종장치 - Google Patents

종균접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648B1
KR100343648B1 KR1019997003406A KR19997003406A KR100343648B1 KR 100343648 B1 KR100343648 B1 KR 100343648B1 KR 1019997003406 A KR1019997003406 A KR 1019997003406A KR 19997003406 A KR19997003406 A KR 19997003406A KR 100343648 B1 KR100343648 B1 KR 10034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container
spawn
scraping
pre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8790A (ko
Inventor
곤도마사오
마루야마유이치
오가케도모유키
후지사와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30Accessories for use before inoculation of spawn, e.g. ster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균접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프레임(1)에 종균용기(10)의 입구부측을 반대 상태로 배치하고, 그 종균용기(10) 내에 수용된 버섯류 등의 종균(S)을 소정량 긁어내는 종균 긁어내기 기구(32)를 설치하고, 이 종균 긁어내기 기구(32)에 의해 긁어낸 종균(S)을 배양기를 충전한 재배용기 또는 재배포장자루 속을 향해 공급하도록 한 종균접종장치(11)에 있어서, 종균 긁어내기 기구(32)의 전공정에서 종균용기(10)의 전처리를 실행하는 전처리장치(B)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균접종장치{SPAWNING APPARATUS}
종래, 톱밥과 쌀겨 등을 주성분으로 영양원을 배합한 배양기를 이용하여 버섯류를 인공재배하는 방법으로서는 배양기를 재배용기에 충전하여 살균처리하고, 그 충전한 재배용기 중에 팽이버섯, 마이타케 등의 버섯류의 종균을 접종한 후에 재배용기의 입구부에 덮개를 씌워 폐쇄하고, 미리 정한 온도, 습도 조건하에서 균을 배양하여 공업적으로 재배하는 방법, 또는 배양기를 플라스틱제의 포장자루 내에 충전하고, 그 충전된 배양기 충전포장자루의 자루 입구를 접어서 폐쇄유지하고, 이 상태로 자루마다 배양기를 살균처리하고, 이 살균처리한 배양기 충전포장자루 속에 종균을 접종하여 미리 정한 온도, 습도 조건하에서 균을 배양하여 공업적으로 재배하는 방법 등이 실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재배용기 내 또는 재배포장자루 내의 배양기에 종균을 접종하는 전(前)단계로서의 준비작업으로서 종균용기 내의 굳어서 노화된 종균의 표면부분을 긁어낸 종균 긁어내기 제거 작업이 있다.
또, 종균용기의 내부 또는 그 용기의 입구부측 등에 잡균이 부착하여 다음 행정인 접종장치에 의한 종균의 접종시에 재배용기 내와 재배자루 내에 잡균이 침입하지 않도록 종균접종장치의 전처리 단계에서 살균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상기 종균접종장치에 의한 종균의 접종전 공정에 있어서는 종래에는 상기한 종균 긁어내기 제거작업을 종균을 긁어내는 긁어내기 막대기 등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실행하는 것이 현상이다.
또, 이 때 잡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긁어내기 막대기의 선단부분을 알콜에 적셔서 알콜 램프 상에서 화염소독한 후, 긁어내기 막대기를 종균용기의 입구부에 삽입하고, 종균용기 내의 굳어진 종균의 표면부분만을 긁어내고, 그 표면의 종균을 종균용기 내에서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또, 종균용기의 입구부도 알콜 분무에 의한 소독과 알콜에 의한 닦아내기 또는 가열살균 등에 의한 소독을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상기 수작업에 의한 종균 긁어내기 제거작업과 살균처리 등의 전처리에 있어서는 사람 손에 의한 작업이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또 사람 손에 의해 긁어내기 막대기로 긁어내기 때문에 종균용기의 입구부에서 긁어낸 깊이가 들쭉날쭉하거나, 긁어내기 제거에 의한 깊이를 확인하려고 하여 종균용기의 입구부를 위로 향하게 하여 긁어내기 상황을 판단하기 때문에, 그 때에 종균용기 내에 잡균이 침입할 우려가 있고, 또 다음 공정인 종균을 재배용기 내 또는 재배자루 내에 소정량을 충전하여 접종하는 접종장치에 종균 긁어내기 제거작업을 실행하는 상기 종균용기를 잡균이 침입하지 않도록 유지한 상태로 세팅하지 않으면 안 되어 수고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 살균상태도 들쭉날쭉하게 되어 관리면에 있어서도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재배용기 내 또는 재배자루 내에 공급하는 종균 접종의 전준비로서 실행되는 종균의 전처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고, 또한 이 전처리 후의 종균용기를 차례로 종균접종장치의 종균 긁어내기 기구위치에 공급할 수 있는 종균접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배용기와 재배포장자루에 충전한 배양기에 버섯류의 종균을 접종하는 종균접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하는 종균접종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하는 종균접종장치의 주요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하는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종균접종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하는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종균용기의 해방시를 나타낸 요부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종균용기의 세팅시를 나타낸 요부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된 종균접종장치의 전처리 공정의 구성을나타낸 개요도,
도 7은 도 6의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전공정인 종균 긁어내기 제거기구를 주체로 나타낸 주요측면도,
도 8은 도 7의 종균 긁어내기 제거기구와 살균처리장치를 나타낸 주요측면도,
도 9는 도 8의 살균처리장치인 열풍발생장치의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된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의 동작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된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의 동작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된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의 동작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된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의 동작설명도 및
도 1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적용된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공정의 동작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에 종균용기의 입구부측을 반대 상태로 배치하고, 그 종균용기 내에 수용된 버섯류 등의 종균을 소정량 긁어내는 종균 긁어내기 기구를 설치하고, 이 종균 긁어내기 기구에 의해 긁어낸 종균을 배양기를 충전한 재배용기 또는 재배포장자루 속을 향해 공급하도록 한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균 긁어내기 기구의 전공정에서 상기 종균용기의 전처리를 실행하는 전처리 장치를 설치했기 때문에, 이 전처리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종균용기의 전처리를 실행하고, 전처리가 종료된 종균용기를 종균 긁어내기 기구에 공급하면 좋은 것이다.
또, 상기 전처리 장치는 상기 종균용기 내의 종균의 표면부분을 긁어낸 균 긁기 칼을 갖는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이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에 의해 자동적으로 종균용기 내에 수용된 종균 표면의 긁어내기를 실행하고, 전처리가 종료된 종균용기를 종균 긁어내기 기구에 공급하면 좋은 것이다.
또, 상기 종균 긁어내기 제거기구의 상기 균 긁기 칼을 살균처리하는 살균처리장치를 설치한 것에 의해 종균용기 내의 굳어서 노화된 종균의 표면부분을 긁어내는 전단계 및 긁어낸 후에 있어서는 상기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의 균 긁기 칼이 살균처리장치에 의해 살균되어 종균용기 속으로 잡균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 상기 전처리 장치는 상기 종균용기의 입구부를 살균처리하는 살균처리장치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종균용기의 입구부가 살균처리장치에 의해 살균되고 종균용기 속으로 잡균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 상기 전처리 장치는 상기 종균용기 내의 노화된 종균의 표면부분을 긁어내는 균 긁기 칼을 갖는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와, 상기 종균용기의 입구부를 살균처리하는 살균처리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균처리장치는 상기 종균 긁어내기 제거기구의 상기 균 긁기 칼을 동시에 살균처리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설령 상기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에 의해 종균의 표면이 긁어내져 제거된 종균이 종균용기의 입구부에 접하여 잡균이 부착한다고 해도 이 열풍발생장치로 이루어진 가열수단인 살균처리장치에 의해 종균용기의 입구부를 살균하기 때문에 후공정에서 실행되는 종균의 접종시에 잡균부착 종균이 접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종균용기를 회전시키는 종균용기 회전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종균용기의 입구부 전체둘레가 가열살균되고, 후공정에서 실행되는 종균의 접종시에 잡균부착의 종균이 접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살균처리장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가열수단인 살균처리장치에 의해 종균용기의 입구부 및 또는 상기 종균 긁어내기 제거기구의 상기 균 긁기 칼을 가열살균하기 때문에 후공정에서 실행되는 종균의 접종시에 잡균부착의 종균이 접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종균용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배치하는 종균용기 장착부재와,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종균용기 내부에 수용된 버섯류 등의 종균을 소정량 긁어낸 종균 긁어내기 기구와,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를 상기 종균 긁어내기 기구에 차례대로 간헐적으로 공급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를 연접시켜 설치하고, 이 종균용기 장착부재를 차례대로 상기 종균 긁어내기 장치위치에 공급하여 소정량의 종균을 긁어내서 재배용기 또는 재배포장자루에 공급하는 종균접종장치에 대해,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한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옆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상기 종균용기의 전처리를 실행하는 전처리 장치와,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를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전처리 장치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는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종균용기를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에 세팅하는 것에 의해 상기 종균접종장치의 종균 긁어내기 기구의 전공정 위치에서 상기 종균 전처리 반송기구에 의해 소정의 전처리 장치에 종균용기를 반송하여 전처리를 실행하고, 이 전처리가 종료된 후에는 가이드 부재로 되돌려 반송하기 때문에, 전처리가 실행된 종균용기를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마다 가이드 부재에 의해 종균접종장치의 종균 긁어내기 장치위치에 차례대로 보낼 수 있다.
또, 상기 종균용기 장전부재는 상기 복수의 종균용기를 가로 일렬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적은 전처리 장치에서 복수의 종균용기의 전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종균접종장치의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종균 긁어내기 장치에 의한 종균접종의 전공정 위치에서 대기상태에 있는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를 상기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에 의해 상기 전처리 장치로 반송하여 소정의 전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가이드 부재로 되돌려 반송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종균 긁어내기 기구에 의해 종균을 긁어내어 종균접종을 실행하는 사이에 전처리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종균접종공정에 어떤 영향을 주지 않고 종균접종공정과 종균 전처리 공정이 동시 진행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종균접종장치의 개략구성과 그 동작에 대해서는 도 1에서 도 5의 종균접종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로 서술한다. 본 실시예는 종균 긁어내기 장치 및 살균처리장치로 이루어진 전처리 장치를 종균접종공정의 전공정 부분에 설치한 것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종균접종장치(11)는 본체 프레임(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이송 컨베이어(2)가 설치되고, 이 이송 컨베이어(2)는 조작패널(3)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기동, 정지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양단측에 설치된 복수의 스프로켓 사이에 엔드리스 체인(4)이 평행하게 걸쳐 있다.
그리고, 톱밥이나 쌀겨를 주성분으로 영양원을 배합한 배양기가 충전되어 덮개(5)로 밀봉된 재배용기(6)를 예를 들면, 세로열 4개, 가로열 4개 수납한 플라스틱제의 컨테이너(7)를 이송 시단측에 있어서 이송 컨베이어(2)의 체인(4) 위에 싣고, 이송 컨베이어(7)를 시동시키면, 체인(4)의 주행에 의해 컨테이너(7)를 이송 종단측을 향하여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본체 프레임(1)의 대략 중앙위치에는 본원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국 특개평 5-103543호 공보 등에 나타나 있듯이, 재배용기(6)를 복수열로 정렬하여 수납한 컨테이너(7)를 반입측에서 종균접종위치로 이송하고, 또 그 종균접종위치에서 상기 컨테이너(7)의 이송방향에 대해 재배용기(6)의 가로 일렬 단위로 이송 컨베이어(2)를 간헐 이송하도록 구성하고 있고, 이 경우 상기 재배용기(6)가 적정한 종균접종위치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2)를 정지하고, 또한 검지된 컨테이너(7) 내의 가로 일렬의 재배용기(6)의 중앙을 가르면서 위치결정하는 용기위치 결정장치(8)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용기위치 결정장치(8)에 의해 종균접종위치에 가로 일렬로 위치결정 배열된 재배용기(6)의 덮개(5)를 개폐작동하는 덮개개폐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개폐장치(9)에 의한 재배용기(6)의 덮개(5)의 개방시에 덮개개폐장치(9)의 윗쪽에 위치하여, 종균용기(10)내의 종균(S)을 소정량 긁어내어 개방된 상기 재배용기(6) 내에 접종하는 종균접종장치(11)를 구성하고 있다.
또, 본체 프레임(1)의 위쪽에 구성한 상기 종균접종장치(11)는 그 한 예로서 본원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 특개평 8-126433호 공보 등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종균접종장치(11)에는 상기 콘테이너(7) 내에 수용된 가로 일렬의 재배용기(6)의 개수에 대응하는 4개의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측을 거꾸로 세운 상태로 삽입하는 장착구멍(12)을 구비한 대략 평판형상의 장전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설치되고, 이 종균용기 장착부재(13)는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양측부에 부착된 레일 형상의 가이드 부재(14)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부재(14)는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양단부를 설치 가능하게 하고, 또한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자체중량으로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소정 각도 경사상태로 하여 가이드 부재(14)가 상기 본체 프레임(1)에 부착고정되어 있고, 또 이 가이드 부재(14)의 최하단부에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미끄러지는 이동 영역을 정하기 위한 스토퍼부(14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종균용기(10)의 종균(S)을 긁어내는 긁어내기 위치에 대응하는 본체 프레임(1)의 양측부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경사각도를 따라 각각 평판형상의지지기둥(15)이 세워 설치되고, 이 소정 각도 경사상태로 설치된 각 지지기둥(15)에는 상기 종균용기(10)를 지지 또는 해방가능하게 작동하는 에어 실린더(16)가 부착되고, 이 각 에어 실린더(16)의 피스톤의 상단부 사이에 지지부재(17)가 걸쳐 고정되고, 이 지지부재(17)는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상부 공간에서 가이드 부재(14)와 평행상태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부재(17)에는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회전전달부재가 되는 복수개의 스프로켓(18)이 회전축(19)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이 각 회전축(19)의 하단부에는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와 같은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 원반형상의 누름 플레이트(20)가 상기 회전축(19)에 부착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17)와, 이 지지부재(17)에 부설된 회전축(19), 누름 플레이트(20) 등에 의해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를 누르는 누름 지지부재(21)를 구성하고 있고, 이 경우 누름 지지부재(21)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원반형상의 누름 플레이트(20)가 상기 회전축(19)에 대해 회전멈춤상태에서 탄발적으로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를 누르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로켓(18)측에 면한 지지부재(17)에는 기어 헤드를 구비한 모터(22)가 부착 고정됨과 동시에 이 모터(22)의 회전축에 구동용 스프로켓(23)이 설치되고, 이 구동용 스프로켓(23)과 각 누름플레이트(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회전전달부재가 되는 스프로켓(18) 및 지지부재(17)에 설치된 종동용 스프로켓(24)과의 사이에 무단형상의 로울러 체인(25)이 걸쳐지고, 상기 모터(22)와 각 스프로켓(18, 23, 24) 및 로울러 체인(25)에 의해 종균용기 회전구동부재(26)를 구성하고있고, 상기 모터(22)의 회전구동에 의해 무단형상의 로울러 체인(25)을 통해서 각 스프로켓(18)이 회전 전달되고, 각 스프로켓(18)에 고정된 상기 누름플레이트(20)측이 회전축(19)을 통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종균용기(10)의 종균(S)을 긁어내는 긁어내기 위치에서 상기 누름 지지부재(21)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부재(17)의 양단부측에는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향하여 위치결정 샤프트(27)가 좌우로 쌍을 이루어 돌출설치되고, 이 위치결정 샤프트(27)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양단부에 각각 끼워맞춤 구멍(28)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 샤프트(27)와 상기 끼워맞춤 구멍(28)에 의해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상기 가이드 부재(14) 상에 고정 지지하는 위치규제부재(29)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한 한 실시예에 의한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는 종균용기(10)를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 장전유지하는 경우, 종균(S)이 충전된 종균용기(10)를 반대로 하여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4개의 장착구멍(12)에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를 장착하여 가로 일렬로 세팅하고,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16)를 작동시켜 에어 실린더(16)의 피스톤을 상승한 위치에 유지시키고, 이 피스톤의 상승에 의해 지지부재(17)와 지지부재(17)에 부착된 누름 플레이트(20)측 및 지지부재(17)에 부착된 위치규제부재(29)의 위치결정 샤프트(27)를 상승상태로 유지, 이 상승상태에 있어서 상기 종균용기(10)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미리 세팅한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종균(S)의 긁어내기 위치인 누름 플레이트(20)측의 아래쪽에 위치한 가이드 부재(14) 상에 놓고, 이어서 에어 실린더(16)의 피스톤을 하강작동하는 것에 의해 피스톤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재(17)도 하강하고, 이 하강동작에 따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17)에 부착된 누름 플레이트(20)와 위치규제부재(29)의 위치결정 샤프트(27)가 하강하고, 누름 플레이트(20)에 의해 각각의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가 누름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위치결정 샤프트(27)의 선단부가 평판형상의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 설치한 위치규제부재(29)의 일부를 구성하는 끼워맞춤 구멍(28)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14) 상에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된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위치규제부재(29)인 위치결정 샤프트(27)와 끼워맞춤 구멍(28)과의 삽입에 의해 소정 위치로 고정지지되고, 종균용기(10) 내의 종균(S)의 긁어내기 공정에 있어서 사전준비가 완료된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콘테이너(7) 내에 수용된 재배용기(6)의 가로열 단위의 개수(4개)에 맞추어 각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를 받아들이는 장착구멍(12)이 이 경우 4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각 장착구멍(12)의 사이에 위치하여 서포트축(30)이 각각 세워 설치되고, 이 각 서포트축(30)의 상단부에 상기 종균용기(10)의 몸통부(10C)를 지지하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끼움목부(31)가 부착고정되고, 이 끼움목부(31)에 의해 거꾸로 세운 상태로 배치된 각각의 종균용기(10)의 몸통부(10C)가 지지되어 전복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종균접종장치(11)에는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각 장착구멍(12)을 통해 종균용기(10) 내의 종균(S)을 긁어내기 위한 종균 긁어내기기구(3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종균 긁어내기 기구(32)는 그 선단에 긁어내기 칼(33)을 구비한 긁어내기 축(34)에 의해 형성되고, 이 각 긁어내기 축(34)은 긁어내기 회전구동부재인 모터(35)의 회전전달을 체인(36)을 통해서 각각 회전전달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모터(35)와 함께 긁어내기 축(34)이 본체 프레임(1)의 플레이트(37) 상에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긁어내기 칼(33)을 구비한 긁어내기 축(34)은 본원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일본 특개평 5-103543호 공보 등에 나타나 있듯이, 긁어내기 칼(33)의 회전과 함께 각 긁어내기 축(34)을 축지지하는 상기 플레이트(37)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37)에 설치한 암나사통(38)에 나사축(39)을 나사맞춤하고, 이 나사축(39)은 무단형상의 체인(40)을 통해서 긁어내기 상승구동부재가 되는 모터(41)와 연결하고 있고, 이 모터(41)의 회전이 상기 체인(40)을 통해서 나사축(39)으로 회전 전달하여, 이 나사축(39)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37)가 상승되고, 이 플레이트(37) 상에 부착된 상기 긁어내기 칼(33)을 구비한 긁어내기 축(34)을 상승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또 긁어내기 축(34)은 상승단에 도달한 시점에서 하강단까기 복귀하도록 상기 긁어내기 상승구동부재가 되는 모터(41)가 역회전하고, 이 역회전에 의해 나사축(39)을 통해서 상기 플레이트(37)가 하강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 설치된 4개의 삽입구멍(12)의 아랫쪽에 각각 대응하여 종균(S)을 안내하고 저장하는 종균용 호퍼(42)가 설치되고, 각각의 종균용 호퍼(42)의 하단부에는 그 개구 하단부를 개폐하는 셔터(4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셔터(43)의 더욱 아랫쪽에는 셔터(43)의 개방시에 종균(S)을 재배용기(6)의 입구부로 안내하는 종균공급통(44)이 배치되고, 이 종균공급통(44)은 실린더(45)에 의해 상기 덮개개폐장치(9)와 함께, 링크아암을 통해서 연동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45)의 작동에 따른 덮개개폐장치(9)에 의한 덮개(5)의 폐쇄 작동시에 연동하여 종균공급통(44)이 재배용기(6)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로 후퇴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이 적용된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위쪽 위치, 즉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반입측에는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소정 수 설치 가능하게 하고, 그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차례대로 간헐적으로 공급가능하게 하는 종균용기 공급기구(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종균용기 공급기구(46)는 본체 프레임(1)의 위쪽 평탄면 부분에서 그 양단측에 설치된 각각의 스프로켓(47) 사이에 무단형상의 체인(48)이 평행하게 걸치고, 그 스프로켓(47)의 한 부분에 반입공급 구동수단인 모터(49)가 기어를 통해 연결되고, 이 모터(49)의 회전구동에 의해 상기 무단형상의 체인(48) 상에 실린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간헐적으로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프로켓(47) 사이에 걸쳐진 무단형상의 체인(48)의 양측에는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가이드하는 안내측판(50)이 설치되어 있고, 무단형상의 체인(48)의 반출측에 인접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14)가 소정 각도 경사져서 배치되고, 이 체인(48)의 반출측 단부에 위치한 상기 안내측판(50)에 주고받는 가이드 조각(51)이 부착고정되고, 이 주고받는 가이드 조각(51)에 의해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체인(48)에서 경사져서 배치된 가이드 부재(14)로 이행할 때에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후단측이 가이드 부재(14)에서 부상하여 반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반출측에는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주고받는 종균용기 반출기구(5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종균용기 반출기구(52)는 전체가 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형상의 가이드 부재(14)의 폭에 맞추어 양측에 반출용 레일(52A)이 배치되고, 그 반출용 레일(52A)의 반출단 부분에 낙하 방지용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스토퍼부(14A)는 레일형상의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반송면에 대해 출몰 자유롭게 되도록 스토퍼 해제수단인 실린더(52)에 연결되고, 이 실린더(53)의 작동에 의해 스토퍼부(14A)가 움푹 들어간 것에 의해 레일형상의 가이드 부재(14)상의 종균(S)이 비어 있는 종균용기(10)를 장전한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경사면에 따라 미끄러져 이행하고, 상기 종균용기 반출기구(52)인 반출용 레일(52A)측으로 주고받게 되어 낙하 방지용 스토퍼에 의해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위치결정 정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도 2에 더하여 도 6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종균접종장치(11)의 종균 긁어내기 기구(32)와 상기 종균용기 공급기구(46)와의 사이, 즉 상기 종균접종장치(11)의 종균 긁어내기 기구(32)에 의한 종균(S)의 긁어내기 공정의 전공정으로 거꾸로 세운 상태로 배치된종균용기(10) 내의 노화된 종균(S)의 표면부분을 긁어내는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와, 이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의 구성요소의 일부와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 등을 가열살균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 살균처리장치(55)로 이루어진 전처리 장치(B)가 종균접종장치(11)의 본체 프레임(1)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이러한 전처리 장치(B)는 가이드 부재(14)에 의한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부재(14)에서 옆쪽에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형상의 가이드 부재(14)의 도중에 상기 종균용기 공급기구(46)에서 보내진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스톡(stock)하고, 상기한 전처리 장치(B)로 종균용기 장착부재(13)와 함께 종균용기(10)를 보내는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56)를 구성하고 있다.
이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56)에는 상기 종균용기 공급기구(46)로부터 보내진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소정 위치에 정지시킨 전처리 공정용 스토퍼부를 구비한 틀형상으로 형성된 설치 슬라이드 부재(57)가 설치되고, 이 틀형상의 설치 슬라이드 부재(57)는 고정 프레임(58)쪽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59)을 통해 슬라이더부(60)와 함께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56)에 의해 종균용기 장착부재(13)는 가이드 부재(14)와 전처리 장치(B) 위치 사이에서 왕복이동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치 슬라이드 부재(57)쪽의 왕복이동 기구로서 그 구동원을 모터(61)에 의해 구성하고, 이 모터(61)의 회전구동을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 및 랙을 통해 상기 설치 슬라이드 부재(57)를 왕복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실린더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설치 슬라이드 부재(57)의 왕복이동 영역에는 상기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와 살균처리장치(55)로 이루어진 전처리 장치(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재배용기(6)내 또는 도시하지 않은 재배포장자루 내의 배양기에 종균(S)을 접종하는 전단계로서의 전처리 공정으로서 종균용기(10)내의 굳어서 노화된 종균(S)의 표면부분을 긁어내기 위한 상기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는 종균접종장치(11)의 본체 프레임(1)에 부착된 고정 패널(62)에 암나사 베어링부(63)를 설치하고, 이 암나사 베어링부(63)에 균 긁어내기 나사축(64)을 나사맞추고, 이 균 긁어내기 나사축(64)의 선단부에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각 장착구멍(12)을 통해 종균용기(10) 내의 노화된 종균(S)의 표면부분만을 긁어내기 위한 균 긁기 칼(65)이 설치되고, 상기 균 긁어내기 나사축(64)의 하단부에는 상기 균 긁기 칼(65)의 회전구동과 함께 상승안내하는 모터(66)가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모터(66)는 모터부착 플레이트(67)에 고정되어 있고, 이 모터 부착 플레이트(67)에 슬라이더부(68)가 부착되고, 이 슬라이더부(68)는 상기 고정 패널(62)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부(69)를 따라 상하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66)의 회전에 의해 균 긁어내기 나사축(64)이 회전구동되고, 암나사 베어링부(63)에 의해 축지지된 상기 균 긁어내기 나사축(64)이 회전에따라 상승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 패널(62)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부(69)를 따라 슬라이더부(68)를 통해 고정 패널(62)에 부착된 모터(66)도 상승안내된다.
또, 상단측에 균 긁기 칼(65)을 설치한 균 긁어내기 나사축(64)은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에서 균 긁기 칼(65)이 소정의 깊이길이까지 도달한 시점, 즉 종균용기(10)내의 굳어서 노화된 종균(S)의 표면부분만을 긁어내는 깊이길이가 되는 상승단에 도달한 시점에서 하강단까지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66)가 역회전하고, 이 역회전에 의해 균 긁어내기 나사축(64)과 함께 균 긁기 칼(65) 및 모터(66)가 하강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 부근의 살균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 살균처리장치(55)를 구성하고 있다.
이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 살균처리장치(55)는 열풍발생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이 열풍발생장치는 투명한 석영관(71)의 내부에 히터 엘리멘트(element)(72)가 수납되고, 상기 석영관(71)의 후단부측에 설치한 연결관(73)측을 종균접종장치의 본체 프레임(1)쪽에 부착하고, 또한 연결관(73)의 후단부에 유연한 호스(74)를 연결하고, 이 호스(74)의 공급구측에 에어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압력의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여 구성하고 있고, 상기 히터 엘리멘트(72)의 통전과 함께 상기 에어 공급원에서의 에어 공급에 의해 상기 히터 엘리멘트(72)를 내장한 석영관(71)의 선단부에서 분출된 열풍이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를 향하여 분출되어 가열하도록 하고 있다.
또,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 장착된 종균용기(10)의 상부에는 거꾸로 세운 상태로 유지된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를 눌러서 종균용기(10)를 회전하는 종균용기 회전기구(75)를 설치하고 있다. 이 종균용기 회전기구(76)는 고정 프레임(58)에 모터(76)를 부착하고, 이 모터(76)의 회전축(77) 선단에 표면이 고무 등의 부재로 형성된 원판(78)을 부착하여 구성한 것이고, 모터(76)에 의해 회전하는 원판(78)을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에 내리눌러서 이 원판(78)에 의한 마찰회전에 의해 종균용기(10)를 회전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를 향하여 고정적으로 배치된 열풍발생장치로 이루어진 살균처리장치(55)에 대해 종균용기(10)를 종균용기 회전기구(75)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 전체 둘레가 상기 열풍발생장치에서의 열풍에 노출되고,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 전체 둘레를 가열살균할 수 있다.
또, 이 종균용기 회전기구(75)의 모터(76)는 고정 프레임(58)의 일부로서 설치된 탄성부(79)에 부착되어 상기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56)에 의해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2) 위치에 반입된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에 대해 탄성적으로 원판(78)이 접촉하여 종균용기(10)에 대해 모터(76)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판(78)은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를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향해 내리눌러 유지하여 종균(S)의 표면을 긁어내기 위해 종균용기(10) 내에 삽입되어 있는 균 긁기 칼(65)의 밀어올리는 힘에 대해 종균용기(10)가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살균처리장치(55)는 가열수단인 열풍발생장치의 석영관(71)의 선단을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의 균 긁기 칼(65) 위치에 근접시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의 가열살균에 더하여 균 긁기 칼(65)의 가열살균을 실행할 수도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통상의 종균 접종장치(11)에 의한 접종공정의 동작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여기에서는 특히 종균접종장치(11)에 설치된 종균(S)의 전처리를 실행하는 전처리 장치(B), 즉 거꾸로 세운 상태로 배치된 종균용기(10) 내의 노화된 종균(S)의 표면부분을 긁어내는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 및 살균처리장치(55)를 주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소정수의 덮개(5)가 있는 재배용기(6)를 수납한 컨테이너(7)를 종균접종장치의 이송 컨베이어(2)상에 설치하여 컨테이너(7)를 이송하고, 가장 앞 열의 재배용기(6)가 종균접종위치에 도달하면 이송 컨베이어(2)가 정지하고, 이어서 용기 위치 결정장치(8)에 의해 재배용기(6)의 상하방향과 센터위치를 규제한 상태로 재배용기(6)를 종균접종위치에 위치결정 고정한다.
상기 용기위치 결정장치(8)에 의한 위치결정시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서는 긁어내기 회전구동부재인 모터(35)도 미리 설정한 시간 구동하여 긁어내기 축(34)의 회전에 의해 종균용기(10) 내의 종균(S)이 긁어내기 칼(33)에 의해 긁어내지고, 이 긁어내진 종균(S)이 종균용 호퍼(42)의 하단부에 저장된다.
이어서, 용기위치 결정장치(8)에 의한 위치결정이 실행된 후에 실린더(45)의작동에 따라 덮개 개폐장치(9)에 의해 재배용기(6)의 덮개(5)가 덮개 개방위치까지 회동하고, 이 덮개 개방동작에 연동하여 종균공급통(44)이 덮개(5)를 떼어낸 재배용기(6)의 바로 위로 이행하고, 종균용 호퍼(42)와 재배용기(6) 사이를 연결하는 축선상으로 종균공급통(44)이 배치된다.
이 덮개 개폐장치(9)의 덮개 개방완료시에 상기 셔터(43)를 여는 것에 의해 종균용 호퍼(42) 내의 종균(S)이 종균공급통(44)을 통해 가로 일렬 단위로 재배용기(6)내에 공급되고, 이 종균(S)의 공급완료 후에 상기 셔터(43)는 종균용 호퍼(42)의 아래쪽 개방단을 폐쇄작동하도록 복귀하고, 또 상기 실린더(45)의 복귀작동에 의해 종균공급통(44)이 재배용기(6) 위치에서 퇴피복귀하는 동시에, 덮개 개폐장치(9)가 회동복귀하여 종균(S)을 접종한 가로 일렬의 재배용기(6)의 덮개(5)를 씌워 끼운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종균용기(10) 내의 종균(S)이 비어 있을 때, 상기 에어 실린더(16)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7)가 상승작동하고, 이 상승작동에 의해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를 내리누르는 상기 누름 지지부재(21)가 해방되는 동시에, 상기 위치규제부재(29)의 일부를 구성하는 위치결정 샤프트(27)도 상승작동되고, 종균용기(10)의 내리누름 고정지지가 해방되는 동시에, 상기 위치결정 샤프트(27)가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 설치된 상기 끼워맞춤 구멍(28)에서 빠져나가게 되고, 이 결과 비어 있는 4개의 종균용기(10)를 장전한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상기 위치규제부재(29)에서 해방되고, 이것에 의해 경사진 레일형상의 가이드 부재(14)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행하고, 가이드 부재(14)의 경사면 하단부측에 설치된 스토퍼부(14A)에 위치규제되고, 이것과 동시에 다음에 대기하고 있는 4개의 종균용기(10)를 장전한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가이드 부재(14)의 경사면을 따라 종균(S)의 긁어내기 위치까지 미끄러져 이행하게 되고, 대기상태인 종균(S)이 충전된 4개의 종균용기(10)와 비어 있는 4개의 종균용기(10)와의 전환 교환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이 종균용기(10)의 교환작동 후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6)의 피스톤이 하강작동하면 피스톤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재(17)가 하강하고, 이 하강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7)에 부착된 위치결정 샤프트(27)와 상기 누름 플레이트(20)가 하강하고, 위치결정 샤프트(27)의 선단부가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 설치한 끼워맞춤 구멍(28)에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누름 플레이트(20)에 의해 새롭게 공급된 4개의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가 누름지지되고, 이것에 의해 각 종균용기(10) 내의 종균(S)의 긁어내기 준비가 이루어지고,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긁어내기 칼(33)과 종균용기(10)와의 회전구동에 의해 종균(S)의 긁어내기 작동이 차례대로 실행되고, 재배용기(6)의 내부에 종균(S)이 충전되는 것에 의해 접종작업이 차례대로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 일련의 공정을 차례대로 작동하는 것에 의해 가로 일렬 단위로 차례대로 컨테이너(7) 내의 재배용기(6)에 종균(S)을 연속하여 접종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주목적인 종균접종장치에 설치된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 및 살균처리장치(55)로 이루어진 전처리 장치(B)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종균접종장치(11)에 있어서, 상기 종균용기(10)의 공급시 또는 종균용기(10)의 전환교환작동과 동시에 가이드 부재(14)의 반입측에 설치된 종균용기 공급기구(46)에서는 반입공급 구동수단인 모터(49)의 회전구동에 의해 무단형상의 체인(48) 상에 실린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간헐적으로 보내지고, 이 보내지는 것에 의해 체인(48)의 반출측 단부에 실린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소정 각도 경사져서 배치된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공급측에 새롭게 보내진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도중에는 도 2 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5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56)를 구성하는 전처리 공정용 스토퍼부를 구비한 틀형상으로 형성된 설치 슬라이드 부재(57) 상에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보내져서 소정 위치로 스톡된다. 즉, 이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56)는 종균접종장치(11)의 종균 긁어내기 기구(32)의 종균 긁어내기 위치에 대해 가이드 부재(14) 상에 대기상태에 있는 종균용기(10)를 종균용기 장착부재(13)마다 전처리 장치(B)를 향해 반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모터(61)의 회전구동에 따라, 도 10에 나타낸 위치에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14)에 의한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보내는 방향에 대해 직교방향을 따라, 상기 설치 슬라이드 부재(57) 상에 실린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상기 고정 프레임(58)측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59)을 통해 슬라이더부(60)와 함께 최종단 위치까지 왕복이동 시켜 송출하고, 그 최종단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그 최종단 위치에서 바로 앞쪽의 종균용기(10)의 정지위치에대응시켜 배치된 전처리 장치(B)의 하나인 상기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의 균 긁어내기 칼(65)을 상기 모터(66)의 회전구동과 함께 상승안내하고, 상기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에서 종균용기(10)의 내부로 보내져서 소정량의 깊이길이 분을 상승구동시키고, 종균용기(10) 내의 굳어서 노화된 종균(S)의 표면부분을 긁어내도록 하고 있다.
이 때, 거꾸로 세운 상태로 배치된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는 상기 종균용기 회전기구(75)의 원판(78)에 맞닿은 상태가 되고, 모터(76)의 회전에 의해 종균용기(10)가 회전하고, 또 하나의 전처리 장치(B)인 열풍발생장치로 이루어진 살균처리장치(55)의 작동에 의해 고정적으로 배치된 열풍처리 장치의 열풍분출 위치에 대해 종균용기(10)를 적어도 1회전 이상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 전체둘레가 가열수단인 열풍발생장치의 열풍을 쐬게 하기 때문에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 전체둘레가 가열살균된다.
이렇게 하여 설령 상기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에 의해 종균(S)의 표면이 긁어내져 제거된 종균(S)이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에 접하여 잡균이 부착한다고 해도 이 열풍발생장치로 이루어진 가열수단인 살균처리장치(55)에 의해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 전체둘레를 가열살균하기 때문에 후공정으로 실행된 종균의 접종시에 잡균부착의 종균(S)이 접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에서 균 긁어내기 칼(65)이 소정의 깊이길이까지 도달한 시점, 즉 종균용기(10) 내의 굳어서 노화된 종균(S)의 표면부분만을 긁어내는 깊이길이가 되는 상승단에 도달한 시점에서 하강단까지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66)가 역회전하고, 이 역회전에 의해 균 긁어내기 나사축(64)과 함께 균 긁기 칼(65) 및 모터(66)가 하강 복귀한다.
또, 이 때 종균용기(10)내의 굳어서 노화된 종균(S)의 표면부분을 긁어내는 전단계 및 긁어내기 후에 있어서는 상기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의 균 긁기 칼(65)이 열풍발생장치로 이루어진 가열수단인 살균처리장치(55)의 열풍에 쐬게 되고,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와 함께 가열살균된다.
이어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 가로 일렬로 4개 세팅된 거꾸로 세운 상태로 배치된 종균용기(10)는 최종단 위치에서 그 1개분이 상기 설치 슬라이드 부재(57)의 복귀이동에 따라 끌려 되돌려지고, 이 상태에서 다음 종균용기(10)가 그 입구부(10A)에서 상기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에 설치한 균 긁기 칼(65)에 의해 마찬가지로 종균용기(10) 내의 굳어서 노화된 종균(S)의 표면부분만이 긁어내지는 동시에 재배용기(10)의 입구부(10A) 및 균 긁기 칼(65)의 가열살균을 실행하는 것이고, 이하는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례대로 마찬가지의 작용을 반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종균접종장치(11)에 의한 접종공정의 전처리 단계에서, 상기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56)의 되돌리기 작동시에 종균용기(10) 내의 굳어진 종균(S)의 표면부분만의 긁어내기를 실행하는 공정과, 그 긁어내기 시에 사용하는 상기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54)의 일부의 구성요소인 균 긁기 칼(65) 및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 부근을 가열살균하는 공정을 종균접종 전에 사전에 실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종균용기(10)를 거꾸로 세운상태로 세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종균 긁어내기 제거와 함께 살균처리 등의 전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종균접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전처리 장치(B)에 의한 종균접종의 전처리 공정의 상기 반복에 의한 작동완료 후, 설치 슬라이드 부재(57) 상에 놓아 가이드 부재(14) 위치에 되돌린 종균용기(10)를 반대 상태로 장착한 종균용기 장착부재(13)는 설치 슬라이드 부재(57)에 설치된 전처리 공정용 스토퍼부의 해방작동에 의해 종균접종 장치(11)의 종균(S)의 긁어내기 위치까지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13)가 이행하고, 상기 실린더(16)의 피스톤의 하강작동과 함께 피스톤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재(17)가 하강하고, 이 하강동작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17)에 부착된 위치결정 샤프트(27)와 상기 누름 플레이트(20)가 하강하고, 위치결정 샤프트(27)의 선단부가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 설치한 끼워맞춤 구멍(28)에 삽입되고, 상기 누름 플레이트(20)에 의해 새롭게 공급된 4개의 종균용기(10)의 바닥부(10B)가 누름 지지되고, 이것에 의해 각 종균용기(10) 내의 종균(S)의 긁어내기 준비가 이루어지고,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긁어내기 칼(33)과 종균용기(10)와의 회전구동에 의해 종균(S)의 긁어내기 작동이 차례로 실행되고, 재배용기(6)의 내부에 종균(S)이 충전되는 것에 의해 접종작업이 차례로 실행되는 것이고, 이것에 의해 종균접종장치(11)에 종균용기(10)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세팅한채로 전처리장치(B)에 반송하고, 종균용기(10) 내의 노화된 종균(S)의 균 긁기 작동과,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 부근의 살균처리와 균 긁기 작동을 실행하는 균 긁기 칼(65)의 살균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부재(14)에 연접하여 설치된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 있어서, 상기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56)는 종균 긁어내기 기구(32)에 의한 종균접종의 전공정위치에서 대기상태에 있는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상기 전처리 장치(B)로 반송하고 소정의 전처리를 실행한 후, 가이드 부재(14)에 되돌려 반송되도록 되어 있고, 이 전처리 공정은 종균접종장치(11)의 종균 긁어내기 기구(32) 위치에 있는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종균용기(10)의 긁어내기가 실행되는 사이에 동시 진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종균접종 공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또, 이러한 전처리 공정은 종균용기(10)의 머리부를 반대로 한 상태로 실행되기 때문에 먼지와 잡균의 침입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균용기 장착부재(13)에 장착된 가로 일렬의 종균용기(10)에 대해 단일한 전처리 장치(B)를 설치하고, 이 전처리 장치(B)에 차례대로 종균용기(10)를 보내는 것에 의해 각 종균용기(10)의 전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적으로도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종균 긁어내기 기구(32)에 의한 종균(S)의 긁어내기 양이 많고 종균(S)이 빨리 소모되어 종균용기(10) 내의 종균(S)이 빨리 없어지는 경우에는 종균용기(10)의 전환시간, 즉 종균용기 장착부재(13)의 전환시간을 빨리 하기 위해 전처리 장치(B)를 가로방향(종균 전처리 반송기구의 이송방향)에 복수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처리 작업의 효율을 올리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실시예에서는 살균처리장치로서 열풍발생장치로 이루어진 가열수단을 적용하고 있지만, 알콜 램프와 가스 버너 등의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 살균처리기구 등을 이용해도 좋다. 또, 가열수단에 한정하지 않고 열을 이용하지 않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알콜과 살균용의 약품을 분무하여 살균하는 살균처리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또, 만약 이 전처리 장치에 의한 전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대기상태에 있는 종균용기 장착부재(13)를 종균 긁어내기 기구(32)에 직접 보내고 싶은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환 스위치에 의해 전처리 장치(B)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종균 접종 전처리 반송기구(56)를 구동시키지 않고 상기 전처리 공정용 스토퍼부를 상시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전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그대로 가이드 부재(14)에 의해 반송할 수도 있고, 전처리의 작동, 비작동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재배용기와 재배포장자루에 충전한 배양기에 버섯류의 종균을 접종하는 종균접종장치에 관한 것이고, 종균접종 전의 종균용기에 소정의 전처리를 실행하는 전처리 장치를 부가하여 종균접종장치를 구성하여 종균접종장치의 부가가치를 향상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한 종균표면 긁어내기와 종균용기(10)의 입구부(10A)의 살균처리 이외의 전처리, 예를 들면 종균용기(10)의 덮개 개방과 입구부(10A)의 세정 등의 임의의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본체 프레임에 종균용기의 입구부측을 반대 상태로 배치하고, 그 종균용기 내에 수용된 버섯류 등의 종균을 소정량 긁어내는 종균 긁어내기 기구를 설치하고, 이 종균 긁어내기 기구에 의해 긁어낸 종균을 배양기를 충전한 재배용기 또는 재배포장자루 속을 향해 공급하도록 한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균 긁어내기 기구의 전공정에서 상기 종균용기의 전처리를 실행하는 전처리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는 상기 종균용기 내의 종균의 표면부분을 긁어내는 균 긁기 칼을 갖는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균 긁어내기 제거기구의 상기 균 긁기 칼을 살균처리하는 살균처리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는 상기 종균용기의 입구부를 살균처리하는 살균처리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상기 종균용기 내의 종균의 표면부분을 긁어내는 균 긁기 칼을 갖는 종균표면 긁어내기 제거기구와, 상기 종균용기의 입구부를 살균처리하는 살균처리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균처리장치는 상기 종균 긁어내기 제거기구의 상기 균 긁기 칼을 동시에 살균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종균용기를 회전시키는 종균용기 회전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처리장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종균용기를 거꾸로 세운 상태로 배치한 종균용기 장착부재;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상기 종균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버섯류 등의 종균을 소정량 긁어내는 종균 긁어내기 기구;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를 상기 종균 긁어내기 기구위치에 차례대로 간헐적으로 공급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의한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에서 옆쪽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상기 종균용기의 전처리를 실행하는 전처리 장치; 및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를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전처리 장치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이동시키는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종균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는 복수의 상기 종균용기를 가로 일렬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종균 긁어내기 장치에 의한 종균접종의 전공정 위치에서 대기상태에 있는 상기 종균용기 장착부재를 상기 종균접종 전처리 반송기구에 의해 상기 전처리 장치위치로 반송하고, 소정의 전처리를 실행한 후, 상기 가이드 부재에 되돌려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처리장치는 가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
KR1019997003406A 1997-08-22 1998-06-24 종균접종장치 KR100343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20797 1997-08-22
JP9-226207 1997-08-22
JP10-7096 1998-01-16
JP709698 1998-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790A KR20000068790A (ko) 2000-11-25
KR100343648B1 true KR100343648B1 (ko) 2002-07-20

Family

ID=2634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406A KR100343648B1 (ko) 1997-08-22 1998-06-24 종균접종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43648B1 (ko)
CN (1) CN1126439C (ko)
WO (1) WO1999009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915A (ko) * 2001-07-27 2003-02-06 주식회사영풍정공 입병장치
CN103141304B (zh) * 2013-03-26 2014-05-14 连云港国鑫食用菌成套设备有限公司 袋栽食用菌菌包全自动液体接种机
KR102139418B1 (ko) * 2018-09-21 2020-07-29 김창수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방법
KR102139419B1 (ko) * 2018-09-21 2020-07-29 김창수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KR102139420B1 (ko) * 2018-09-21 2020-07-29 김창수 고체종균접종장치
KR102250860B1 (ko) * 2019-01-31 2021-05-10 김종태 버섯 재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698A (ja) * 1994-09-08 1996-03-19 Kanebo Ltd 人工榾木の植菌方法およびその植菌装置
JP2705595B2 (ja) * 1994-10-31 1998-01-28 日本精機株式会社 種菌接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6297A (zh) 1999-11-24
WO1999009808A1 (fr) 1999-03-04
CN1126439C (zh) 2003-11-05
KR20000068790A (ko) 200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648B1 (ko) 종균접종장치
JP2890357B1 (ja) 種菌掻き取り装置
KR100413516B1 (ko) 액체 버섯종균 자동접종장치
JP2002125461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CN114868651B (zh) 一种金线莲种植用幼苗培育装置
KR20020079855A (ko) 액상종균 접종장치
KR100344031B1 (ko) 종균접종장치의종균용기공급기구
JP2714827B2 (ja) 種菌充填装置
KR100327701B1 (ko) 종균접종장치
JP3148645B2 (ja) 種菌接種装置
JP2705595B2 (ja) 種菌接種装置
JPH01174311A (ja) 種菌充填装置
JP2003009657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JP2002199815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JP2002320411A (ja) 種菌接種装置
JP2780708B2 (ja) 種菌接種装置における種菌容器供給機構
JP2004057048A (ja) 種菌接種装置
JP2002354940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JP2792514B2 (ja) 種菌接種装置
JP2003164224A (ja) 液状種菌接種方法およびその接種装置
JP2002291333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JPH11318208A (ja) きのこ種菌接種機
KR940009521B1 (ko) 모 식부장치
JP2002186355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JP2002253048A (ja) 種菌接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