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419B1 -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419B1
KR102139419B1 KR1020180113338A KR20180113338A KR102139419B1 KR 102139419 B1 KR102139419 B1 KR 102139419B1 KR 1020180113338 A KR1020180113338 A KR 1020180113338A KR 20180113338 A KR20180113338 A KR 20180113338A KR 102139419 B1 KR102139419 B1 KR 102139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container
box
inocul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088A (ko
Inventor
김창수
김명애
Original Assignee
김창수
김명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김명애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1020180113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4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30Accessories for use before inoculation of spawn, e.g. ster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균용기 내에 종균덩어리 상태로 굳어 있는 종균을 배양용기에 접종시키기 위해 저장탱크로 종균을 공급하는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는 뚜껑이 하부를 향하도록 종균용기가 적재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의 끝단부 측에 설치되어 종균용기를 일렬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을 이동하는 종균용기의 끝단부 측에 설치되는 턴테이블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종균용기는 적재대의 끝단부 측에 설치된 제1푸쉬실린더에 의해 이송컨베이어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을 이동하는 종균용기는 제2푸쉬실린더에 의해 턴테이블로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 턴테이블에는 종균용기로부터 뚜껑을 제거하는 뚜껑제거장치와, 종균용기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장치와, 상기 살균된 종균용기의 내부에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와,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이 제거된 덩어리 상태로 굳어 있는 종균을 가루로 분쇄시키는 분쇄장치가 턴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장치의 하부에는 분쇄장치에 의해 가루로 분쇄된 종균이 포집되는 저장탱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노동강도를 줄이고, 작업의 일관성을 부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Pretreatment apparatus for powder type spawn inoculation}
본 발명은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체종균이 보관된 종균용기를 종균을 배양에 적절한 토양 및 영양분이 담겨 있는 배양용기로 옮겨 담기 위해 종균용기에 포함된 이물질과 노화균을 제거한 후, 저장탱크에 종균을 보관하는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균은 사전적 의미로 씨로 쓸 홀씨나 팡이실 따위를 이르는 말로서 버섯재배 등에서 종균접종은 종균이 증식하기 적절한 배양토 나무 등에 투입 또는 주입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종균배양은 종균을 인공적으로 발육, 증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종균접종 및 배양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68820호에 복수개의 열 및 행을 이루어 재배병이 수납되는 수납박스가 이송되는 이송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 수납박스가 유입되는 유입부, 유입된 상기 수납박스가 정위치되는 정위치부 및 정위치 후 상기 수납박스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정위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납박스가 유입되어 상기 재배병이 정위치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각 재배병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하는 안내장치;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장치와 연동되어 작동하면서 정위치된 각각의 상기 재배병에 버섯종균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장치; 그리고 상기 이송장치, 상기 안내장치 및 상기 분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고, 선택적으로 공기압의 유출이 조절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압에 따라 각각의 실린더로드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에어실린더; 각각의 상기 실린더로드에 일단부가 힌지연결되고, 상기 일단부와 중앙부 사이가 회전축과 축결합되어 상기 각 실린더로드가 반대방향으로 왕복이동함에 따라 상기 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회전하되, 타단부는 각각의 상기 실린더로드의 왕복거리보다 큰 거리로 왕복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회전바; 상기 유입부 및 상기 배출부에 각각 구비되는 수평레일에 결합되고, 상기 각 회전바의 타단부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회전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서 상기 유입부 및 상기 배출부에서 상기 정위치부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왕복이동하는 이동블록; 각각의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는 공급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각 공급플레이트가 상기 정위치부에 위치시 상기 수납박스의 이송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는 각각의 상기 재배병의 상측에서 버섯종균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노즐; 그리고 상기 정위치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록과 밀착되어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정지시켜 각각의 상기 분사노즐이 대응되는 상기 각 재배병의 바로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섯종균 접종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327701호에 종균용기 내에 수용된 버섯류의 종균을 소정량 긁어내는 종균 긁어내기 기구를 설치하고, 이 종균 긁어내기 기구에 의해 긁어낸 종균을 저장하고, 동시에 개폐가능한 셔터를 구비한 종균용 호퍼를 설치하고, 상기 종균용 호퍼의 셔터 개방시에 배양기를 충전한 재배용기 또는 재배포장봉투 속을 향하여 상기 종균을 충전하도록 한 종균접종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균용 호퍼의 내부에 상기 종균 긁어내기 기구에 의해 긁어내진 종균이 소정량에 도달한 때에 통전하여 검지하는 한쌍의 전극을 설치한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통전에 기초하여 상기 종균 긁어내기 기구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344031호에 본체 프레임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재배용기군을 복수열로 정렬하여 수납한 컨테이너를 횡렬 단위로 간헐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와, 종균 접종 위치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위로 이송되어 온 컨테이너내의 재배용기군의 덮개를 횡렬단위로 개폐하는 덮개 개폐장치와, 종균용기내의 종균을 소정량 긁어내어 상기 덮개 개폐장치에 의해 덮개가 개방된 재배용기내에 상기 종균을 접종하는 종균충전장치와, 상기 재배용기의 횡렬 단위의 개수에 맞춰 상기 종균용기의 목부분측을 역으로 장착하는 장착구멍을 구비한 종균용기 장전부재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측 평탄면 부분에 상기 종균용기 장전부재를 소정수 설치 가능하게 하고, 또 상기 종균충전장치로 향하게 하여 상기 종균용기 장전부재를 순차 간헐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는 종균용기 공급부와, 상기 종균용기 공급부의 반출측에 종균용기 공급부에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종균용기 장전부재를 상기 종균충전장치로 안내하는 안내 가이드(121)부와, 상기 종균용기 공급부에 설치되어 상기 종균용기 장전부재를 상기 안내 가이드(121)부로 향하게 하여 순차 간헐적으로 공급가능하게 하는 반입 공급 구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균접종장치의 종균용기 공급기구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종균접종장치 및 공급장치는 대부분 종균을 접종하는 부분에만 한정되어 자동화장치가 설치되고, 종균을 접종 또는 배양시키기 위한 전 단계에서는 수작업 또는 수동으로 동작하는 장치로 되어 있기에 노동강도가 강하며 또는 작업공정의 일관성이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종균을 접종 또는 배양하기 전단계에 자동화장치를 설치하여 노동강도를 줄이고, 작업공정의 일관성을 부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종균용기 내에 종균덩어리 상태로 굳어 있는 종균을 배양용기에 접종시키기 위해 저장탱크로 종균을 공급하는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는 뚜껑이 하부를 향하도록 종균용기가 적재되는 적재대와, 상기 적재대의 끝단부 측에 설치되어 종균용기를 일렬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을 이동하는 종균용기의 끝단부 측에 설치되는 턴테이블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종균용기는 적재대의 끝단부 측에 설치된 제1푸쉬실린더에 의해 이송컨베이어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을 이동하는 종균용기는 제2푸쉬실린더에 의해 턴테이블로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 턴테이블에는 종균용기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장치와, 상기 살균된 종균용기의 내부에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와,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이 제거된 덩어리 상태로 굳어 있는 종균을 가루로 분쇄시키는 분쇄장치가 턴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장치의 하부에는 분쇄장치에 의해 가루로 분쇄된 종균이 포집되는 저장탱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노동강도를 줄이고, 작업의 일관성을 부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종균접종장치의 평면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평면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종균접종장치의 측면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측면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턴테이블의 평면개요도.
도 6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제거장치의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제거장치의 평면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제거장치의 정면개요도.
도 9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제거장치의 측면개요도.
도 10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반전장치 개요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반전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박스제거장치의 개요도 및 작동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박스제거장치의 일부분 확대상세도.
도 18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박스적재장치의 정면개요도.
도 19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박스적재장치의 측면개요도.
도 20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박스적재장치의 평면개요도.
도 21은 본 발명 종균접종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평면개요도.
도 22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평면개요도.
도 23은 본 발명 종균접종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측면개요도.
도 24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측면개요도.
도 25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뚜껑제거장치의 개요도.
본 발명 종균용기(30) 내에 종균덩어리 상태로 굳어 있는 종균을 배양용기(40)에 접종시키기 위해 저장탱크(10)로 종균을 공급하는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100)는 뚜껑(31)이 하부를 향하도록 종균용기(30)가 적재되는 적재대(110)와, 상기 적재대(110)의 끝단부 측에 설치되어 종균용기(30)를 일렬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20) 상을 이동하는 종균용기(30)의 끝단부 측에 설치되는 턴테이블(T)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대(110)에 적재된 종균용기(30)는 적재대(110)의 끝단부 측에 설치된 제1푸쉬실린더(C1)에 의해 이송컨베이어(120)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20) 상을 이동하는 종균용기(30)는 제2푸쉬실린더(C2)에 의해 턴테이블(T)로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 턴테이블(T)에는 종균용기(30)로부터 뚜껑(31)을 제거하는 뚜껑제거장치(130)와, 종균용기(30)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장치(140)와, 상기 살균된 종균용기(30)의 내부에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150)와,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이 제거된 덩어리 상태로 굳어 있는 종균을 가루로 분쇄시키는 분쇄장치(160)가 턴테이블(T)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장치(160)의 하부에는 분쇄장치(160)에 의해 가루로 분쇄된 종균이 포집되는 저장탱크(1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적재대(110)의 일측에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21)에 담겨 있는 복수 개의 종균용기(30)를 박스(21)와 함께 상하를 반전시키는 반전장치(170)가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반전장치(170)는 회전축에 의해 상하방향이 반전되도록 회전하는 육면체 형상의 회전프레임(171)과, 상기 회전프레임(171)의 각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수직이동실린더(172)와, 상기 수직이동실린더(17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수직이동실린더(172)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프레임(17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회전프레임(171) 상에서 상하가 반전된 박스(21)와 종균용기(30)는 회전프레임(171)의 일측면에 장착된 수평이동실린더(174)에 의해 적재대(110)로 이송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적재대(110)의 상부에는 상하가 반전된 박스(21)를 제거하는 박스제거장치(18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박스제거장치(180)는 수평이동실린더(174)에 의해 적재대(110)로 이송되어온 박스(21)의 모서리 부분이 연장되는 상부 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81)과, 상기 수직프레임(181)의 외측에서 수직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박스(21)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82)과, 상기 이동수단(182)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박스(21)가 하부로 낙하하지 못하도록 수직프레임(181)의 단부 측에 장착되는 걸림부(183)로 구성되되, 상기 걸림부(183)는 수직프레임(18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축(183-1)과, 상기 힌지축(183-1)에 시소운동을 하도록 수직프레임(181)에 직교하게 체결되어 있되, 일단은 수직프레임(181)의 내측면보다 내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수직프레임(181)의 외측면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되는 걸림부재(183-2)와, 상기 걸림부재(183-2)의 외측방향의 끝단부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수직프레임(181)의 일측면 상에 체결되는 스프링(183-3)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종균접종장치의 평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평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종균접종장치의 측면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측면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턴테이블의 평면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균접종장치는 종균용기(30) 내에 종균과 함께 포함된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장치(100)와 상기 전처리 장치(100)에서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을 제거된 종균을 배양용기(40)에 접종하는 접종장치(20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100)는 뚜껑(31)이 하부를 향하도록 종균용기(30)가 적재되는 적재대(110)와, 상기 적재대(110)의 끝단부 측에 설치되어 종균용기(30)를 일렬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20) 상을 이동하는 종균용기(30)의 끝단부 측에 설치되는 턴테이블(T)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적재대(110)에 적재된 종균용기(30)는 적재대(110)의 끝단부 측에 설치된 제1푸쉬실린더(C1)에 의해 이송컨베이어(120)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20) 상을 이동하는 종균용기(30)는 제2푸쉬실린더(C2)에 의해 턴테이블(T)로 공급된다.
상기 턴테이블(T)에는 제2푸쉬실린더(C2)에 의해 공급되는 종균용기(30)의 측면을 그립하는 관용의 그리퍼(G)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T)의 하부에는 종균용기(30)로부터 뚜껑(31)을 제거하는 뚜껑제거장치(130)와, 종균용기(30)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장치(140)와, 상기 살균된 종균용기(30)의 내부에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150)와,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이 제거된 덩어리 상태로 굳어 있는 종균을 가루로 분쇄시키는 분쇄장치(160)가 턴테이블(T)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쇄장치(160)의 하부에는 분쇄장치(160)에 의해 가루로 분쇄된 종균이 포집되는 저장탱크(1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태크(10)의 내부에는 관용의 교반장치(11)가 설치되어 있어, 저장탱크(10)의 내부에 적재되는 종균은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게 쌓이는 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분쇄장치(160)에 의해 종균이 비워진 상태의 종균용기(30)는 분쇄장치(160)의 일측면에 설치된 제3슬라이드(S3)를 통해 수집대(도면부호 미도시)에 수집되며, 수집대에 수집된 종균용기(30)는 제3푸쉬실린더(C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턴테이블(T) 상에서 턴테이블(T)의 회전에 의해 뚜껑제거장치(130), 살균장치(140), 이물질제거장치(150), 분쇄장치(160)가 설치된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각 장치는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살균장치(140)는 화염을 통해 종균용기(30)의 내부를 살균하는 것이며, 이물질제거장치(150)와 분쇄장치(160)는 회전날이 장착된 동일한 장치로서 모두 관용의 장치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턴테이블(T)의 하부에 설치되는 살균장치(140)와 이물질제거장치(150)는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턴테이블(T)의 회전에 의해 종균용기(30)가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먼저 살균장치(140)의 화염을 통해 종균용기(30)의 내부를 살균하게 되며, 살균장치(140)에 의해 살균이 끝나면 이물질제거장치(150)가 작동하여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기 때문에 도 5의 도면상에도 동일한 위치에 도면부호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도면부호 I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적재대(110)의 일측에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21)에 담겨 있는 복수 개의 종균용기(30)를 박스(21)와 함께 상하를 반전시키는 반전장치(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대(110)의 상부에는 상하가 반전된 박스(21)를 제거하는 박스제거장치(1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전장치(170)와 박스제거장치(180)는 하기에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전처리 장치(100)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은 종균용기(30)를 뚜껑(31)이 하부로 향하도록 하여 적재대(110)에 직립시키는 1단계; 상기 적재대(110)에 상하가 반전된 종균용기(30)를 이송컨베이어(120)로 공급하는 2단계; 상기 이송컨베이어(120) 상에서 종균용기(30)가 일렬로 이송하는 3단계; 상기 종균용기(30)의 뚜껑(31)을 제거하는 4단계; 상기 종균용기(30)의 내부를 화염으로 살균하는 5단계; 상기 종균용기(30)의 내부에 번식된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6단계; 상기 종균용기(30)의 내부에 담겨 있는 종균을 저장탱크(10)에 공급하는 7단계;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1단계 공정에서 종균용기(30)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21)에 복수 개가 담긴 채, 박스(21)와 함께 상하를 반전시킨다.
상하가 반전되면 박스(21)가 상부를 향하기 때문에 박스(21)의 제거가 용이하므로 상기 박스(21)를 제거한 후, 적재대(110)에 투입하는 것이다.
상기 제2단계 공정으로는 적재대(110)에 상하가 반전되고 박스(21)가 제거된 종균용기(30)를 제1푸쉬실린더(C1)에 의해 이송컨베이어(120)로 보내는 것이다.
그리고 제3단계 공정은 이송컨베이어(120) 상에서 종균용기(30)가 일렬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12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는 이송컨베이어(120)에 나란하게 한 쌍의 가이드(121)가 종균용기(30)의 외경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121)에 의해 종균용기(30)는 일렬로 이송컨베이어(120) 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이송되게 된다.
제4단계 공정으로는 종균용기(30)에 체결된 뚜껑(31)을 제거하는 것이다.
5단계 공정은 뚜껑(31)이 제거된 종균용기(30) 내부를 화염을 통해 살균하는 것이며, 6단계 공정은 입구가 하부로 향하고 있는 종균용기(30)의 내부로 커팅날을 투입하여 종균용기(30)의 입구 측 내부면과 종균덩어리의 표면에 번식된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리고 7단계 공정은 입구가 하부를 향하고 있는 종균용기(30)의 내부에 커팅날을 투입하여 덩어리 상태로 굳어 있는 종균을 분쇄함으로써 분쇄된 종균이 종균용기(30)의 하부에 위치한 저장탱크(10)로 포집되는 것이다.
상기 5단계 공정에서 화염을 통해 살균하는 살균장치(140)는 널리 공지된 토오치와 같은 공구를 통해 살균하는 것으로 이는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구성과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6단계 이물질제거장치(150)와 종균투입장치(160)는 상하로 이동하는 이송수단과 회전날로 이루어진 관용의 장치이기에 구성과 작동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즉, 상기 4, 5, 6, 7단계는 턴테이블(T) 상에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제거장치의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제거장치의 평면개요도, 도 8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제거장치의 정면개요도, 도 9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뚜껑제거장치의 측면개요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제거장치(130)는 턴테이블(T)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131)과, 상기 수평프레임(131)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2)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수평프레임(131)은 하면이 상하가 반전된 종균용기(30)에 체결되어 있는 뚜껑(31)의 하단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32)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 직립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프레임(132-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32-2)과 수평프레임(131) 사이에 위치하여 상단은 수평프레임(131)에 체결되고 하단부 측면은 베이스프레임(132-2)의 측면에 결합되는 각도조절프레임(132-1)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각도조절프레임(132-1)은 힌지축(133)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32-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되, 힌지축(133)의 주변에는 힌지축(133)을 기준으로 하는 원호형의 가이드홀(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134)에는 베이스프레임(132-2)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볼트(135)가 가이드홀(13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홀(134)의 외부로 돌출된 체결볼트(135)에 조임너트(도면 미도시)를 체결함으로써 각도조절프레임(132-1)의 각도를 조절에 의해 수평프레임(131)의 경사는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종균용기(30)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31)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뚜껑(31)은 종균용기(30)로부터 자연스럽게 제거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반전장치 개요도,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반전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장치(170)는 회전축에 의해 상하방향이 반전되도록 회전하는 육면체 형상의 회전프레임(171)과, 상기 회전프레임(171)의 각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수직이동실린더(172)와, 상기 수직이동실린더(17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수직이동실린더(172)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프레임(17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프레임(171) 상에서 상하가 반전된 박스(21)와 종균용기(30)는 회전프레임(171)의 일측면에 장착된 수평이동실린더(174)에 의해 적재대(110)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상기 회전프레임(171) 상에서 상하가 반전된 박스(21)와 종균용기(30)는 수평이동실린더(174)에 의해 적재대(110)로 이송되어 박스(21)가 제거된다.
박스(21)가 제거된 종균용기(30)들은 회전프레임(171) 상에서 상하가 반전된 다음 차의 박스(21)가 수평이동실린더(174)에 이송되어오면서 적재대(110)의 끝단부 측으로 밀려나게 되며, 적재대(110)의 끝단부 측에 위치한 종균용기(30)는 제1푸쉬실린더(C1)에 의해 이송컨베이어(120)으로 밀려나게 되는 것이다.
적재대(110)와 이송컨베이어(120)는 동일 수평면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박스제거장치의 개요도 및 작동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박스제거장치의 일부분 확대상세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제거장치(180)는 수평이동실린더(174)에 의해 적재대(110)로 이송되어온 박스(21)의 모서리 부분이 연장되는 상부 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81)과, 상기 수직프레임(181)의 외측에서 수직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박스(21)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82)과, 상기 이동수단(182)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박스(21)가 하부로 낙하하지 못하도록 수직프레임(181)의 단부 측에 장착되는 걸림부(183)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박스제거장치(18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적재대(110)에 상하가 반전된 박스(21)가 종균용기(30)와 함께 위치하게 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82)이 박스(2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구부 측이 하부로 향하고 있는 박스(21)의 개구부 측 단부면에 이송수단(192)의 걸고리(182-1)가 위치하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192-1)의 걸고리(182-1)가 박스(21)의 개구부 측 단부면에 위치하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82)과 함께 박스(30)는 수직프레임(181)이 위치하고 있는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서 종균용기(30)만이 적재대(110)에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82)과 함께 상부로 이동한 박스(30)가 수직프레임(181)에 장착된 걸림부(183)에 걸리게 되어 박스(30)가 하부로 낙하하지 못하게 되면 이동수단(182)은 다시 양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음 차의 박스(30)의 제거하기 위해 하부로 이송하게 된다.
특히, 상기 걸림부(183)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8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축(183-1)과, 상기 힌지축(183-1)에 시소운동을 하도록 수직프레임(181)에 직교하게 체결되어 있되, 일단은 수직프레임(181)의 내측면보다 내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수직프레임(181)의 외측면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되는 걸림부재(183-2)와, 상기 걸림부재(183-2)의 외측방향의 끝단부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수직프레임(181)의 일측면 상에 체결되는 스프링(183-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박스(30)의 개구부 측 단턱이 걸림부재(183-2)의 하단을 상부로 밀면, 상기 걸림부재(183-2)는 힌지축(183-1)에 의해 시소운동을 하기 때문에 박스(30)에 접촉되는 걸림부재(183-2)의 일단이 상부로 향하게 되면서 타단이 체결되어 있는 스프링(183-3)을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박스(30)가 걸림부재(183-2)의 상부 측 즉, 완전하게 수직프레임(181)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늘어난 스프링(183-3)이 복귀하는 힘에 의해 걸림부재(183-2) 다시 원상태의 수평상태를 이루게 되고, 박스(30)는 걸림부재(183-2)의 상면에 안착되어 하부로 낙하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재(183-2)는 상부로만 회동하기 위해 스토퍼(도면 미도시)와 같은 지지부재를 걸림부재(183-2)의 하면에 위치하여 장착하도록 한다.
도 18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박스적재장치의 정면개요도, 도 19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박스적재장치의 측면개요도, 도 20은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포함되는 박스적재장치의 평면개요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종균용기(30)가 담겨 있는 박스(21)를 적재하는 종균박스적재장치(19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종균박스적재장치(190)는 필요에 따른 반전장치(170)의 일측면에 설치하여 반전장치(170)로 종균용기(30)가 담겨진 박스(21)의 공급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종균박스적재장치(190)는 사각형상의 꼭지점 부분에 직립하고 있는 지지프레임(191)과, 상기 지지프레임(191)의 각 상부 측 연장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적재프레임(192)과, 상기 지지프레임(191)에 의해 이루어진 사각형상 부분에 위치하여 상하로 승·하강하는 승·하강프레임(193)과, 상기 지지프레임(191)의 일측면에는 모터(194)와, 상기 모터(194)의 회전축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크랭크축(195)과, 상기 크랭크축(195)의 끝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커넥팅로드(196)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커넥팅로드(196)의 끝단부는 승·하강프레임(193)의 일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모터(194)의 구동에 의해 모터(194)의 회전축과 함께 크랭크축(195)은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축(195)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크랭크축(195)의 끝단부에 힌지결합된 커넥팅로드(196)는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커넥팅로드(196)의 끝단부에 일측면이 힌지결합된 승·하강프레임(193)은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승·하강프레임(193)의 상면에 종균용기(30)가 담긴 박스(21)를 놓게 되면 모터(194)가 구동하여 승·하강프레임(193)이 상승하여 박스(21)를 적재프레임(192)에 적재하게 되는데, 상기 적재프레임(192)에 박스(21)를 적재하는 원리는 박스제거장치(180)에 구성된 걸림부(183)의 원리를 응용하며, 다만 박스(21)에는 종균용기(30)가 담겨 있기 때문에 스프링장착시 스프링의 탄성텐션의 강도를 더욱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 종균접종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평면개요도, 도 22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평면개요도, 도 23은 본 발명 종균접종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측면개요도, 도 24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측면개요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120)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상술한 뚜껑제거장치(130a), 살균장치(140a), 이물질제거장치(150a), 분쇄장치(160a)를 설치하여 종균용기(30)가 이송컨베이어(120) 상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모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1 내지 도 24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로서는 필수적으로 이송컨베이어(120)의 길이방향의 측면 상부에는 종균용기(3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가이드(121)가 이송컨베이어(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25는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뚜껑제거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제거장치(130a)는 이송컨베이어(120)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수평프레임(131a)의 하면이 종균용기(30)에 체결된 뚜껑(31)의 하단에 접촉하도록 지지프레임(132a)에 지지되어 있되, 상기 수평프레임(131a)은 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종균용기(30)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31a)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뚜껑(31)은 종균용기(30)로부터 자연스럽게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31a)의 전단부는 종균용기(30)의 외경에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수평프레임(131a)의 후단부는 종균용기(30)의 입구 측 외경에 접촉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종균용기(30)가 한 쌍의 수평프레임(131a) 사이로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31a)의 전단부는 종균용기(30)의 외경에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되고, 수평프레임(131a)의 후단부는 종균용기(30)의 입구 측 외경에 접촉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종균용기(30)가 한 쌍의 수평프레임(131a) 사이로 인입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노동강도를 줄이고, 작업의 일관성을 부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저장탱크 11. 교반장치
21, 22. 박스 30. 종균용기 31. 뚜껑
40. 배양용기 41. 뚜껑
100. 전처리 장치
110. 적재대
120. 이송컨베이어 121. 가이드
130. 130a. 뚜껑제거장치 131. 131a. 수평프레임 132. 132a. 지지프레임
132-1. 베이스프레임 132-2. 각도조절프레임 133. 힌지축
134. 원호형 가이드홀 135. 체결볼트
140. 140a. 살균장치
150. 150a. 이물질제거장치
160. 160a. 분쇄장치
170. 반전장치 171. 회전프레임 172. 수직이동실린더
173. 승·하강프레임 174. 수평이동실린더
180. 박스제거장치 181. 수직프레임 182. 이동수단
182-1. 걸고리 183. 걸림부 183-1. 힌지축
183-2. 걸림부재 183-3. 스프링
190. 종균박스적재장치 191. 지지프레임 192. 적재프레임
193. 승·하강프레임 194. 모터 195. 크랭크축
196. 커넥팅로드
C1. 제1푸쉬실린더 C2. 제2푸쉬실린더 C3. 제3푸쉬실린더
G. 그리퍼
S1. 제1슬라이드 S2. 제2슬라이드 S3. 제3슬라이드
T. 턴테이블
200. 종균접종장치
210. 작업대
220. 분배장치
230. 뚜껑탈부착장치

Claims (5)

  1. 종균용기(30) 내에 종균덩어리 상태로 굳어 있는 종균을 배양용기(40)에 접종시키기 위해 저장탱크(10)로 종균을 공급하는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100)는 뚜껑(31)이 하부를 향하도록 종균용기(30)가 적재되는 적재대(110)와, 상기 적재대(110)의 끝단부 측에 설치되어 종균용기(30)를 일렬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20) 상을 이동하는 종균용기(30)의 끝단부 측에 설치되는 턴테이블(T)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대(110)에 적재된 종균용기(30)는 적재대(110)의 끝단부 측에 설치된 제1푸쉬실린더(C1)에 의해 이송컨베이어(120)로 공급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20) 상을 이동하는 종균용기(30)는 제2푸쉬실린더(C2)에 의해 턴테이블(T)로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 턴테이블(T)의 하부에는 종균용기(30)로부터 뚜껑(31)을 제거하는 뚜껑제거장치(130)와, 종균용기(30)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장치(140)와, 상기 살균된 종균용기(30)의 내부에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장치(150)와, 노화된 종균과 이물질이 제거된 덩어리 상태로 굳어 있는 종균을 가루로 분쇄시키는 분쇄장치(160)가 턴테이블(T)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되, 상기 분쇄장치(160)의 하부에는 분쇄장치(160)에 의해 가루로 분쇄된 종균이 포집되는 저장탱크(10)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재대(110)의 일측에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21)에 담겨 있는 복수 개의 종균용기(30)를 박스(21)와 함께 상하를 반전시키는 반전장치(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적재대(110)의 상부에는 상하가 반전된 박스(21)를 제거하는 박스제거장치(18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박스제거장치(180)는 수평이동실린더(174)에 의해 적재대(110)로 이송되어온 박스(21)의 모서리 부분이 연장되는 상부 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81)과, 상기 수직프레임(181)의 외측에서 수직방향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박스(21)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82)과, 상기 이동수단(182)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박스(21)가 하부로 낙하하지 못하도록 수직프레임(181)의 단부 측에 장착되는 걸림부(183)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부(183)는 수직프레임(18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힌지축(183-1)과, 상기 힌지축(183-1)에 시소운동을 하도록 수직프레임(181)에 직교하게 체결되어 있되, 일단은 수직프레임(181)의 내측면보다 내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수직프레임(181)의 외측면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되는 걸림부재(183-2)와, 상기 걸림부재(183-2)의 외측방향의 끝단부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은 수직프레임(181)의 일측면 상에 체결되는 스프링(183-3)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장치(170)는 회전축에 의해 상하방향이 반전되도록 회전하는 육면체 형상의 회전프레임(171)과, 상기 회전프레임(171)의 각 모서리 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수직이동실린더(172)와, 상기 수직이동실린더(17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수직이동실린더(172)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프레임(17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171) 상에서 상하가 반전된 박스(21)와 종균용기(30)는 회전프레임(171)의 일측면에 장착된 수평이동실린더(174)에 의해 적재대(110)로 이송되는 것이 특징인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5. 삭제
KR1020180113338A 2018-09-21 2018-09-21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KR102139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38A KR102139419B1 (ko) 2018-09-21 2018-09-21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38A KR102139419B1 (ko) 2018-09-21 2018-09-21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088A KR20200034088A (ko) 2020-03-31
KR102139419B1 true KR102139419B1 (ko) 2020-07-29

Family

ID=70002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338A KR102139419B1 (ko) 2018-09-21 2018-09-21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4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4621A (ja) * 1988-12-07 1990-06-14 Komatsugawa Kakoki Kk きのこ種菌植菌方法および装置
WO1999009808A1 (fr) * 1997-08-22 1999-03-04 Nippon Seiki Co., Ltd. Appareil de lardage
KR101104795B1 (ko) * 2009-05-28 2012-01-12 황경자 자동화 버섯 재배 시스템의 균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088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482B1 (ko) 승강 식 버섯 종균 액 접종 기 및 이를 포함하는 버섯 종균 액 자동 정량분사 접종 장치
US20120110952A1 (en) Machine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iners of liquids, and loading device for said containers
KR101065466B1 (ko) 버섯재배용 수납박스 자동운반장치
US20010029999A1 (en) Machine for filling bottles with liquid
KR101068818B1 (ko) 버섯재배용 자동 회전식 작업장치
KR102139418B1 (ko)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방법
KR20140132964A (ko) 버섯 재배 포트병용 에어 탈병장치
CN101439771B (zh) 输液软包装袋自动理袋装盘系统
KR102139420B1 (ko) 고체종균접종장치
JP4739303B2 (ja) 液体種菌接種機
KR101104795B1 (ko) 자동화 버섯 재배 시스템의 균긁기
KR20100125020A (ko) 자동화 버섯 재배 시스템의 접종기
KR102139419B1 (ko) 고체종균접종용 전처리 장치
JP5054752B2 (ja) 液体種菌接種装置
KR101140668B1 (ko) 자동화 버섯 재배 시스템의 탈병기
JP4630320B2 (ja) 液体種菌接種機
KR101068820B1 (ko) 버섯종균 접종장치
JP2001037329A (ja) 容器の搬送装置
JP2002125461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US1151227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 plant product inside a fermentation tank
JP2002186354A (ja) 液状種菌接種装置
CN201343182Y (zh) 输液软包装袋自动理袋装盘机
CN207446778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筛选装置
KR20100020177A (ko) 반도체 제조용 화학약품 자동 주입 장치
WO1999009808A1 (fr) Appareil de lard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