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168B1 - 인쇄기기의급지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기의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168B1
KR100343168B1 KR1019980044193A KR19980044193A KR100343168B1 KR 100343168 B1 KR100343168 B1 KR 100343168B1 KR 1019980044193 A KR1019980044193 A KR 1019980044193A KR 19980044193 A KR19980044193 A KR 19980044193A KR 100343168 B1 KR100343168 B1 KR 100343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ssette
guide plate
standard
rac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6593A (ko
Inventor
강일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4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168B1/ko
Priority to US09/420,782 priority patent/US6254085B1/en
Priority to JP29819999A priority patent/JP3212296B2/ja
Publication of KR20000026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6Bottom with means for changing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4Details of surface
    • B65H2405/141Reliefs, projections
    • B65H2405/1412Ribs extending in parallel to feeding/delivery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는, 용지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카세트에 수납된 용지의 규격을 판별하는 규격감지수단으로서, 카세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 가이드플레이트가 연결되어서 그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는 링크부재와, 카세트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링크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링크부재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랙부재와, 랙부재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용지 규격에 해당되는 복수의 마크가 형성된 회전판과, 회전판의 마크를 감지하여 용지의 규격을 인식하는 센서부와 회전판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센서부에 마련된 위치가이드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카세트가 인쇄기기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수납된 용지 규격을 알 수 있으므로, 인쇄할 화상의 크기와 용지 규격이 맞지 않음에 따른 인쇄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기기의 급지장치{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인쇄기기에 용지를 공급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급되는 용지의 규격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된 인쇄기기의 급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프린터와 같은 인쇄기기에는, 인쇄기기 본체 내부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급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기기 본체(1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 다수매의 용지가 수납되는 카세트(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이 카세트(20)의 내부에는, 수납된 용지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그 카세트(20) 내부에 수납가능한 용지의 규격을 규제하는 가이드플레이트(2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는 사용할 용지의 규격에 따라 그 용지가 안착되는 공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예컨대 A4규격의 용지를 사용하다가 A3규격의 용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 가이드플레이트(21)를 A3 용지의 규격에 맞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용지를 적재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급지장치에 있어서는, 카세트(20)를 인쇄기기 본체(10)로부터 빼내어 확인해보지 않는 한, 어떤 규격의 용지가 수납되어 있는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의 크기와 용지 규격과의 차이에 의한 인쇄에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즉, 만일 A3 규격의 화상을 프린트하고자 하는데 상기 카세트(20) 내에는 A4용지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프린트가 완료된 후에야 카세트(20)내에 잘못된 규격의 용지가 수납되어 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화상의 반쪽은 인쇄가 되지 않게 되어, 결국 용지의 낭비만 발생하게 되고, 또한 인쇄되지 않은 반쪽의 화상이 인쇄기기 내의 소정부위에 찍혀버려 오염을 발생시키므로, 다음에 깨끗한 인쇄를 위해서는 이를 다시 클리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카세트를 인쇄기기 본체로부터 빼내지 않고도 그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용지의 규격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급지장치 중 회전판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인쇄기기 본체200...카세트
201...레일210...가이드플레이트
220...링크부재230...랙부재
240...회전판241...돌기
242...가이드홀300...센서부
301...위치가이드핀310...센서보드
400...콘트롤러S1,S2,S3,S4...센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급지장치는, 용지를 수납하여 인쇄기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수납가능한 용지의 규격을 가변적으로 규제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그로부터 상기 카세트에 수납되는 용지의 규격을 판별하는 규격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규격감지수단이, 상기 카세트에 마련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연결되어서 그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카세트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랙부재와, 상기 랙부재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용지 규격에 해당되는 복수의 마크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마크를 감지하여 용지의 규격을 인식하는 센서부 및, 상기 회전판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에 마련된 위치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랙부재 중 상기 랙부재측으로 치우쳐져 배치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거리보다 그에 연동되는상기 랙부재의 이동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지장치는, 용지를 수납하여 인쇄기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카세트(200)와, 이 카세트(200)에 형성된 레일(201)을 따라 이동하면서 카세트(200)에 수납될 수 있는 용지의 규격을 규제하는 가이드플레이트(210)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그로부터 상기 카세트(200)에 수납되는 용지의 규격을 판별하는 규격감지수단을 구비한다.
이 규격감지수단은, 상기 카세트(200)에 마련된 힌지축(223)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링크부재(220)와, 이 링크부재(220)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되는 랙부재(230)와, 상기 랙부재(230)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판(240) 및, 이 회전판(240)에 마련된 마크를 인식하여 용지규격을 감지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링크부재(220)의 양단부에는 제1,2장공(221)(222)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장공(221)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상기 제2장공(222)에는 상기 랙부재(230)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이동되면 상기 링크부재(220)가 회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랙부재(230)가 연동되어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23)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 쪽보다는 상기 랙부재(230) 쪽으로 치우쳐져서 위치되어 있는데,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이동되는 거리에 비해 상기 랙부재(230)가 이동되는 거리가 작아지게 된다. 이는 랙부재(230)의 이동을 위해 카세트(200) 내에 필요한 점유공간을 줄이는데 유효한 구조이다. 즉, 용지규격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랙부재(230)의 이동거리를, 실제 용지규격을 규제하는 가이드플레이트(210)의 변위량보다 작게함으로써 규격감지을 위해 필요한 점유공간을 줄인 것이다.
한편 상기 랙부재(230)에는 카세트(200) 일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판(240)이 치합되어 있다. 이 회전판(240)에는 각 용지의 규격을 가리키는 마크로서 복수의 돌기(24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241)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240)의 제1원주(C1)와 제2원주(C2)를 따라 정해진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판(240)이 회전되면 그 회전판(240)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C)상에 배열되는 돌기(241)들의 조합이 달라지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상태는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4개의 돌기(241)가 수평선(C)상에 배열되는 것이고, 이를 반시계방향으로 약 60°회전시키면 도 4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1,3번째 위치에만 돌기(241)가 수평선(C)상에 배열된다. 이와 같은 돌기(241) 배열에 의한 경우의 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경우마다에 용지규격을 대응시키고, 이것을 센서부(300)에서 감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쇄기기 본체(100) 안에는 도 2와 같이 4개의 온/오프센서(S1,S2,S3,S4)가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센서보드(3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온/오프센서(S1,S2,S3,S4)들이 배치된 위치는 상기 회전판(240)의 수평선(C)과 같은 높이가 되며, 상기 회전판(240)과 센서보드(310)는 상기돌기(241)와 온/오프센서(S1,S2,S3,S4)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온/오프센서(S1,S2,S3,S4) 위에는 판스프링(320)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돌기(241)가 판스프링(320)을 누름에 따라 온/오프센서(S1,S2,S3,S4)가 간접적으로 눌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는 카세트(200)가 인쇄기기 본체(100)에 장착될 때 상기 돌기(241)가 온/오프센서(S1,S2,S3,S4)를 직접 터치하게 할 경우 심한 충격으로 온/오프센서(S1,S2,S3,S4)가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구조이다. 하기의 표 1은 각 온/오프센서(S1,S2,S3,S4)들이 눌려지는 경우의 수에 맞춰서 용지규격을 대응시킨 예를 나타낸 것이다.
번호 용지규격명 랙부재 이동량(mm) 회전판 회전각도(°) 온/오프센서 켜짐상태
1 LEGER 0(기준위치) 0(기준위치) S1,S2,S3,S4
2 A3 6.0 22.9 S2,S3,S4
3 B4 34.0 129.9 S1,S3,S4
4 LGL 38.0 145.1 S3,S4
5 FOL 51.0 194.8 S1,S2,S3
6 A4(R) 67.5 257.8 S2,S4
7 LTR(R) 76.5 292.2 S1
8 LTR 108.0 412.5 S3
9 A4 111.0 424.0 S1,S3
10 EXE 124.0 473.6 S4
단, 여기서는 상기 링크부재(220)의 힌지축(223)이 가이드플레이트(210)측과 랙부재(230)측의 길이비가 2:1인 위치에 마련된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회전판(240)의 회전방향은 도 3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즉,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이동거리에 비해 랙부재(230)의 이동거리가 반인 경우를 예로 하여 측정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S1,S2,S3,S4 4개의 센서가 모두 켜질 때에는 "LEGER"규격의 용지가 수납되어 있다는 의미가 되고, S1과 S3센서만 켜져 있을 때에는 "A4"규격의 용지가 수납되어 있다는 의미가 된다.
한편, 도면의 참조부호 301은 카세트(200)가 인쇄기기 본체(100)에 결합될 때 상기 회전판(240)에 형성된 가이드홀(242)에 끼워짐으로써 센서 터치를 위한 정확한 위치를 가이드하는 위치가이드핀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예컨대 A4규격의 용지를 수납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 카세트(200)를 인쇄기기 본체(100)로부터 빼낸 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위치를 그 규격에 맞도록 조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220)에 연결된 랙부재(230)도 상기 표 1의 제9경우와 같이 기준위치로부터 111mm를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회전판(240)도 기준위치로부터 424°(360°+ 64°)를 회전하여서 전술한 도 4의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용지를 적재한 후 카세트(200)를 인쇄기기 본체(100) 안으로 밀어넣으면,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와 세 번째 위치에 정렬된 돌기(241)가 상기 판스프링(320)을 누르면서 S1과 S3 온/오프센서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S1,S3센서가 작동되면, 인쇄기기 본체(100) 내에 장착된 콘트롤러(400)에서는 전술한 표 1에서 설정된 바와 같이 카세트(200) 안에 A4용지가 장착된 것을 인식하게 되고, 이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예컨대 인쇄기기 본체(100)에 설치된 LCD 모니터(미도시)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마찬가지로 A3, B4등의 용지를 사용할 경우에도, 가이드플레이트(210)를 용지 규격에 맞게 조절한 후 카세트(200)를 인쇄기기 본체(100)에 결합시키면, 위치조정된 상기 돌기(241)가 S1,S2,S3,S4 센서를 선택적으로 눌러서 작동시킴으로써각 용지 규격에 해당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할 용지 규격에 따라 가이드플레이트를 조정한 후 카세트를 결합시키면, 그 규격을 가리키는 신호가 발생되어, 현재 카세트에 수납되어 있는 용지 규격을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기의 급지장치는, 카세트가 인쇄기기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수납된 용지 규격을 알 수 있으므로, 인쇄할 화상의 크기와 용지 규격이 맞지 않음에 따른 인쇄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용지를 수납하여 인쇄기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카세트와, 상기 카세트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 수납가능한 용지의 규격을 가변적으로 규제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그로부터 상기 카세트에 수납되는 용지의 규격을 판별하는 규격감지수단을 포함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규격감지수단은,
    상기 카세트에 마련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연결되어서 그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카세트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랙부재와,
    상기 랙부재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용지 규격에 해당되는 복수의 마크가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마크를 감지하여 용지의 규격을 인식하는 센서부 및,
    상기 회전판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부에 마련된 위치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랙부재 중 상기 랙부재측으로 치우쳐져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이동거리보다 그에 연동되는 상기 랙부재의 이동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회전판상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돌기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작동되는 복수의 온/오프센서를 포함하여서,
    상기 복수의 온/오프센서가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의 수를 조합하여 용지 규격을 판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1019980044193A 1998-10-21 1998-10-21 인쇄기기의급지장치 KR100343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193A KR100343168B1 (ko) 1998-10-21 1998-10-21 인쇄기기의급지장치
US09/420,782 US6254085B1 (en) 1998-10-21 1999-10-19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ing device
JP29819999A JP3212296B2 (ja) 1998-10-21 1999-10-20 印刷機器の給紙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193A KR100343168B1 (ko) 1998-10-21 1998-10-21 인쇄기기의급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593A KR20000026593A (ko) 2000-05-15
KR100343168B1 true KR100343168B1 (ko) 2002-09-18

Family

ID=1955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193A KR100343168B1 (ko) 1998-10-21 1998-10-21 인쇄기기의급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54085B1 (ko)
JP (1) JP3212296B2 (ko)
KR (1) KR100343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995B1 (ko) * 2000-12-29 2003-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의 용지 사이즈 인식장치
KR100485804B1 (ko) * 2003-01-03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기기의 용지 규격 감지장치
JP4185460B2 (ja) * 2003-03-31 2008-11-26 株式会社リコー 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773114B2 (ja) * 2003-06-19 2006-05-10 船井電機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111841B2 (en) * 2003-12-22 2006-09-26 Xerox Corporation Mechanism for adapting cassette guide movement for size detection
JP4294572B2 (ja) * 2004-03-05 2009-07-15 株式会社リコー 給紙カセット、記録媒体サイズ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55670B1 (ko) * 2004-08-18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의 용지규격 표시장치
JP4414860B2 (ja) * 2004-10-21 2010-02-10 株式会社リコー 給紙トレイ、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176253A (ja) * 2004-12-21 2006-07-06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727386B1 (ko) * 2005-04-07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305978B1 (ko) * 2006-12-28 2013-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592784B2 (ja) * 2008-06-02 2010-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給紙装置
US8123213B2 (en) * 2008-11-12 2012-02-28 Xerox Corporation Sheet size detection device
KR20100080714A (ko) * 2009-01-02 2010-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8289563B2 (en) * 2009-01-13 2012-10-1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production of larger books utilizing hinged media
TWI386358B (zh) * 2009-11-27 2013-02-21 Primax Electronics Ltd 紙張尺寸感測裝置
CN102190160A (zh) * 2010-03-03 2011-09-21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
JP5810671B2 (ja) * 2011-06-27 2015-11-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60066B2 (ja) * 2012-03-19 2015-01-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07692B2 (ja) * 2012-09-13 2016-10-12 株式会社リコー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806749B2 (en) * 2013-12-30 2017-10-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ray mechanism
JP6272035B2 (ja) * 2014-01-09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51366B2 (ja) * 2014-05-16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06898B2 (ja) * 2014-07-08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4309325A (zh) * 2014-10-27 2015-01-28 常州纳捷机电科技有限公司 打印机压纸辅助装备
JP2016193781A (ja) * 2015-03-31 2016-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580259B1 (en) * 2016-04-22 2017-02-28 Lexmark International, Inc. Removable media tray having a rack and pinion media length sensing mechanism operable by a rear restraint
US9533842B1 (en) * 2016-05-31 2017-01-03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s for sensing sheet restraint position
JP7305376B2 (ja) * 2019-03-06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77282B2 (ja) * 2019-06-24 2023-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147459A (ja) * 2021-03-23 2022-10-0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用紙長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27A (ja) 1990-05-10 1992-01-21 Canon Inc シート給送積載装置
JPH0632489A (ja) 1992-07-13 1994-02-08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のユニバーサル給紙カセット
JPH0632466A (ja) * 1992-07-16 1994-02-08 Ricoh Co Ltd 給紙装置
KR0140628B1 (ko) * 1994-06-24 1998-07-15 김광호 급지카세트
JP2923207B2 (ja) * 1994-07-22 1999-07-2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用紙サイズ検出機構
JP3669604B2 (ja) * 1996-04-17 2005-07-13 東北リコー株式会社 孔版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54085B1 (en) 2001-07-03
JP2000159350A (ja) 2000-06-13
JP3212296B2 (ja) 2001-09-25
KR20000026593A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168B1 (ko) 인쇄기기의급지장치
US7731183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with paper size detectors
US8205875B2 (en) Functional unit positio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4697803A (en) Sheet member feeding cassette
US7618037B2 (en) Paper feed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device and paper feeding method thereof
KR0140628B1 (ko) 급지카세트
EP2583925B1 (en) Image forming device
US20040047663A1 (en) Sheet size detec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614752B2 (ja) シート載置装置
JP2000118729A (ja) ユニバーサル給紙トレイの用紙サイズ検出方法と装置
KR20000040180A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100219665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JPH07251951A (ja) 用紙サイズ検知装置付カセット
JP2001171893A (ja) 画像形成装置
KR200158759Y1 (ko) 인쇄기기의 용지 공급장치
JP3599817B2 (ja) 給紙装置
KR20000047464A (ko) 공판인쇄기의 원지판별장치 및 원지판별방법과 마스터 롤
KR100219664B1 (ko) 인쇄기기의 급지카세트
KR100555670B1 (ko) 화상형성기의 용지규격 표시장치
KR100338753B1 (ko) 인쇄기기의급지카세트
JP2002274658A (ja)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0184572B1 (ko) 용지 적재함의 용지 잔량 표시장치
KR100247968B1 (ko) 급지장치
JPH06127704A (ja) 給紙カセットの用紙サイズ表示装置
JPH05139547A (ja) オプシヨン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