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721B1 - 감광체유닛,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감광체유닛,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721B1
KR100338721B1 KR1019990045808A KR19990045808A KR100338721B1 KR 100338721 B1 KR100338721 B1 KR 100338721B1 KR 1019990045808 A KR1019990045808 A KR 1019990045808A KR 19990045808 A KR19990045808 A KR 19990045808A KR 100338721 B1 KR100338721 B1 KR 100338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developing
seal
photosensitive membe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230A (ko
Inventor
히로시호소카와
테츠오야마나카
케네츠오사나이
케니치로나가이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57756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387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00029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using seals, e.g. to prevent scattering of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 등에 의해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사용시에 테이프를 벗기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상케이스(13)의 블레이드 부착면(44)에 블레이드홀더(42)와 블레이드(17)및 보강판(43)을 적층(積層)상태로 설치하고, 적어도 블레이드홀더(42)의 윗가장자리 및 아래가장자리를 따라서 현상케이스(13)의 외벽(41)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제고시키는 시일부재(57,59)를 구비한다.이것에 의하여 현상케이스(13)에 이상(異常)충격이 작용하여 현상롤러(15)와 블레이드(17)가 진동한다 하더라도, 현상케이스(13)내의 토너가 블레이드홀더(42)의 뒷쪽을 경유하여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사용시에 테이프를 벗기는 번거로움을 해소할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감광체유닛,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IMPROVED DEVELOPING DEVICE,PHOTOCONDUCTOR UNIT,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PREVENT TONER LEAKAGE}
본 발명은 감광체유닛,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靜電潛像)을 현상하는 현상장치로서, 토너가 수납되는 현상케이스에 감광체로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그 현상롤러의 표면에 접촉하는 블레이드를 갖춘 현상장치가 있다.
이러한 경우, 블레이드는 현상롤러에 부착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하고, 또 한 성분의 토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에 블레이드를 압접(壓接)하고, 양자의 사이를 토너가 통과할 때에 토너를 마찰에 의해 대전시키고 있다. 또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지만, 이러한 금속판의 블레이드는 현상케이스에 고정되어 휘어진 상태로 현상롤러에 압접해 있다. 이런 경우, 블레이드는 강성이 낮기 때문에 강성이 높은 블레이드홀더와 보강판의 사이에서 끼워 진 상태로 그것들의 적층물을 현상케이스에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장치는 사용시에는 문제없지만 유통과정에서 떨어뜨린다든지 하면 현상롤러 및 블레이드가 진동하여 블레이드 안측과 현상케이스의 블레이드 부착면과의 사이에 토너가 새어 들어가 외부로 새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현상케이스의 개구부를 테이프로써 봉하고, 사용 시에 테이프를 벗기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테이프로써 현상케이스의 개구부를 봉하는 방법은 사용시에 테이프를 벗기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블레이드를 강성이 높은 블레이드홀더와 겹쳐서 현상케이스에 설치할 경우에도 긴 블레이드홀더에 맞추어서 면적이 넓은 블레이드 부착면을 현상케이스에 형성하려고 하면, 블레이드 부착면의 면 정밀도를 높이는 일은 극히 어려운 것이다. 이로 인하여, 블레이드홀더가 블레이드와 함께 긴쪽 방향으로 활모양으로 굽어진다. 또 이로 인하여, 블레이드와 현상롤러와의 접촉부분의 선이 현상롤러의 축 선에 대하여 굽어지기 때문에 현상롤러에 대한 블레이드의 접촉압력이 불균일하게 되어 형성하는 화상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래서, 현상케이스의 양끝 부근에 블레이드 부착면을 돌출시켜 형성하고, 이 블레이드 부착면에 의해 블레이드홀더의 양끝 부근을 블레이드와 함께 떠받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양끝의 블레이드의 부착면의 사이가 되는 중앙부에 있어서 블레이드홀더와 현상케이스와의 사이의 기밀성이 손상되어 토너가 쉽게 새게 된다.
나아가, 현상롤러상의 토너 부착량을 블레이드에 의해 규제하는 현상장치에서는, 현상롤러는 그 롤러부가 현상케이스에 형성된 토너출구에 배치되고, 롤러부의 양끝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분이 현상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블레이드는 토너출구의 윗가장자리와 현상롤러의 상부 외주면과의 사이를 막도록 아래가장자리가 현상롤러의 롤러부에 접촉되어 있다. 또한 현상롤러의 바깥둘레와 토너출구 사이의 틈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케이스의 토너출구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 끝부분에는 현상롤러의 롤러부의 양 끝 바깥둘레에 맞붙어지는 사이드시일이 설치되고, 현상케이스에 형성되어 토너출구의 아래가장자리로부터 감광체를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평탄면에는 현상롤러의 롤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출구시일이 구비되어 있다.
이 출구시일은 현상롤러를 구동시킬 때의 부하를 작게 하기 위해, 일부가 현상케이스의 평탄면에 떠받쳐져 이 평탄면으로부터 토너출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자유끝부분이 자체의 탄성에 의해 현상롤러의 바깥둘레에 압접되도록 쿠션성이 적은 얇은 플라스틱 시이트로써 형성되고, 양면접착테이프에 의해 평탄면에 접착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출구시일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현상롤러에 접촉하는 것으로, 평탄면에 접착되는 부분은 현상롤러에 접하여 있지 않으므로 특히 양 끝부분이 벗겨지기 쉽다. 이로 인하여, 출구시일의 아래측으로 침입한 토너가 양끝쪽으로 새어 들어가 현상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벽의 내면과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새는 일이 있다.
또한, 현상롤러의 바깥둘레와 토너출구와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현상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출구시일의 자유끝부분측을 현상롤러의 하부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고, 현상케이스의 토너 출구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끝부분에 갖춘 사이드시일로써 현상롤러의 롤러부의 양끝 바깥둘레를 지지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같이 탄성을 가지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된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조립상태에서는 블레이드를 현상롤러에 의해 탄성적으로 휘게 하고, 그 반력으로 블레이드를 현상롤러에 압접시키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 현상롤러의 축 중심은 현상케이스의 축받이에 의해 결정되지만, 이 때에 현상롤러의 압력으로 금속판의 블레이드를 휘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양측에 배치한 사이드시일의 내측 간격보다도 블레이드의 길이를 짧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블레이드의 양끝부분과 토너 출구의 양 내측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기 쉽게 되어 토너가 새는 원인으로 된다. 반대로, 사이드시일의 내측 간격보다도 블레이드의 길이를 길게 하면 현상롤러의 압력에 의해 블레이드가 사이드시일에 맞붙어서 그 이상 휘어지게 할 수 없게 되므로 휨 동작에 자유도가 없어지게 된다. 이것은 블레이드의 변형,및 현상롤러의 롤러부와 사이드시일과의 사이의 밀봉불량의 원인이 된다.
더 나아가, 현상케이스에 내부의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기(攪拌器)와, 현상롤러와, 현상롤러에 대하여 토너를 보급하는 보급롤러를 구비한 현상장치가 있다. 이러한 현상장치는 외부에서 동력을 교반기나 보급롤러 등의 회전체에 전달하기 위하여 이러한 회전체의 회전축은 현상케이스의 측벽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된 끝부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교반기나 보급롤러 등의 회전축 둘레의 밀봉이 불충분하면 현상장치를 떨어뜨렸을 때의 충격 등에 의해 토너가 회전축의 둘레로부터 외부로 쉽게 새어 나온다. 그래서, 금속제의 고리 모양의 축받이의 내주부분에 고무제의 립을 구비한 시일부재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 회전축 둘레의 밀봉효과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일부재는 값이 비싸기 때문에 현상장치의 제품단가가 높아진다.
또한,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감광체와 이 감광체의 외주면에 잔류한 배출토너를 회수하는 배출토너회수부를 일체화시킨 감광체유닛과, 현상케이스에 현상롤러 등을 갖춘 현상장치를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조립한 것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감광체유닛의 일례를 도 19 및 도 2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감광체유닛의 종단측면도이다. 이 감광체유닛(200)에는 감광체(9)가 회전자유롭게 보호지지되고 감광체(9)의 외주면에 잔류한 배출토너를 회수하는 배출토너 회수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도20은, 감광체(9)를 떼어 낸 상태의 감광체유닛(200)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배출토너 회수부(101)에는 감광체(9)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회수구(102)가 형성되어 있고, 이 회수구(102)는 감광체(9)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나오는 가늘고 긴 장방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수구(102)의 긴쪽방향의 양측의가장자리에는 테플론펠트 등으로써 형성된 사이드시일(103)이 붙여져 있다. 사이드시일(103)은 감광체(9)의 양끝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되어 있다.
회수구(102)의 긴쪽방향을 따른 한쪽의 가장자리에는 감광체(9)의 외주면에 잔류한 배출토너를 긁어 떨어뜨리는 장방형 모양의 블레이드(104)가 고정되어 있다. 회수구(102)의 긴쪽방향을 따른 다른 한쪽의 가장자리에는 장방형 모양의 입구시일(105)이 붙여져 있다.입구시일(105)은 블레이드(104)에 의해 긁혀 떨어진 배출토너가 회수구(102)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감광체(9)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되어 있다. 또한, 입구시일(105)의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은 사이드시일(103)에 압접되어 있다.
이러한 감광체유닛(200)에 있어서, 감광체(9)가 도 19에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지고, 이 감광체(9)의 외주면에 잠상형성부(미도시)에 의한 노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이 현상롤러(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토너로써 현상화되고, 현상화된 토너상이 전사위치에 있어서 전사 용지(도시 생략)에 전사된다.전사 용지로 전사할 때에 토너의 일부는 전사 용지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체(9)의 외주면에 잔류하여 배출토너로 된다. 이 배출토너는 블레이드(104)에 의해 감광체(9)의 외주면으로부터 긁혀 떨어져 토너회수부(101)에 회수된다. 배출토너의 회수시에 있어서, 입구시일(105)이 감광체(9)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함으로써 회수구(102)로부터 토너가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입구시일(105)의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이 사이드시일(103)에 압접됨으로써 입구시일(105)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감광체(9)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킴에 의해 이 감광체(9)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고 있는 입구시일(105)에 대하여 감광체(9)의 회전방향에 따른 견인력이 작용한다. 이 힘은 입구시일(105)의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에 이 입구시일(105)을 벗기는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여 입구시일(105)의 양 끝부분이 중앙측으로 모여지게 되는 위치어긋남을 발생시키고, 입구시일(105)에 있어서의 감광체(9)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고 있는 부분에 플래핑(flapping)이 발생한다. 이러한 플래핑이 발생함으로써 입구시일(105)과 감광체(9)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틈이 생겨 이 틈으로부터 배출토너가 새어 나온다.
또한, 입구시일(105)이 중앙측으로 모이도록 당김을 받음에 의해 겹쳐져 있는 입구시일(105)과 사이드시일(103)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면 그 틈으로 배출토너가 새어 들고, 새어 들어간 배출토너가 입구시일(105)의 옆 끝부분으로부터 새어 나온다.
이와 같이, 현상장치나 감광체유닛을 취급할 시에 토너가 새어 주위를 더럽히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청구항1 내지 청구항4의 발명은, 현상케이스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시에 밀봉용 테이프를 벗기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5 내지 청구항8의 발명은, 현상롤러에 대하여 블레이드를 직선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낙하 등에 의하여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시에 테이프를 벗기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9 내지 청구항13의 발명은, 현상케이스의 출구시일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4 내지 청구항17의 발명은, 현상롤러 및 블레이드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8 내지 청구항23의 발명은, 현상케이스내에 설치된 교반기나 보급롤러 등의 회전축이 현상케이스의 측벽을 삽입 통과한 곳에 있어서, 회전축 둘레로부터 현상장치 밖으로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을 값 싸고 간편한 구조로써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혹은 회전축 둘레로부터 현상케이스 외부로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경우라도 새어 나온 토너가 주위로 튀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24 내지 청구항27의 발명은, 감광체의 외주면에 잔류한 배출토너를 배출토너 회수부에 회수할 때, 회수하는 배출토너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의 개략구조를 도시한 종
단측면도.
도 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Y-Y선부분에서 바라본 종단정면도.
도 5는 현상케이스에 대한 블레이드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일부의 수평단면도.
도 6은 현상롤러 및 블레이드를 떼어 낸 상태의 현상케이스의 정면도.
도 7은 블레이드홀더와 시일부재와의 관계를 정면으로부터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블레이드 및 시일부재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현상케이스
의 끝부분에서 자른 일부의 종단측면도, (b)는 중앙부에서 자른 일부의
종단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종단측면    도.
도10은 현상케이스에 대한 출구시일 및 코너시일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11은 현상케이스에 출구시일 및 코너시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의 분해사    시도.
도12는 블레이드와 사이드시일과의 관계를 도시한 현상케이스의 일부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는 현상장치에 있어서의 교반기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종단정면도.
도 15는 현상장치에 있어서의 보급롤러의 설치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종단정면
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광체유닛을 도시한 종단측면도.
도 17은 감광체를 떼어 낸 상태의 감광체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입구시일에 형성한 보강부분의 형상과 붙임 위치를 도시한 감광체유닛의
저면도.
도 19는 종래 기술의 감광체유닛을 도시한 종단측면도.
도 20은 감광체를 떼어 낸 상태의 종래 기술의 감광체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프로세스 카트리지 8 감광체케이스
9 감광체 11 현상장치
12 전사부 13 현상케이스
13a 지지벽 케이스벽 13b 지지벽
13e 토너수납부 14 ,16 회전체
14a, 16a 회전축 15 현상롤러 회전체
17 블레이드 18 잠상형성부
25 정착부 34 롤러부
35 축부분 41 외벽
42 블레이드홀더 43 보강판
44 블레이드 부착면 45 오목면
46 나사구멍 53 위치결정구멍
55 설치구멍 56 완충재
57 시일부재 59 시일부재
61 토너 출구 62 평탄면
63 출구시일(Exit Seal) 64 사이드시일(Side Seal)
65 코너시일 (Corner Seal) 66 클립
69 폭이 넓은 부분 70 폭이 좁은 부분
71 단부(段部) 80 끼워맞춤구멍
81 축받이 82 축받이시일
84 기어 85 D 컷부(D cut)
86 챔퍼(Chamfer) 89 기어
90 걸림톱 91 삽통구멍(揷通口)
93 외측시일 100 감광체유닛
101 배출토너회수부 102 회수구
103 사이드시일(Side Seal) 104 블레이드
105 입구시일(Inlet Seal) 106 보강부
107 프레스시일(Press Seal) 107a 고정부
107b 누출방지부 C 접촉부
S 전사 용지
청구항 1의 현상장치는 현상장치에 감광체와 마주하는 현상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갖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감광체와 마주하는 외벽에는 블레이드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부착면에는 블레이드홀더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블레이드와, 보강판과의 3자가 적층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와 상기 보강판과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이 탄성적으로 만곡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적어도 상기 브레이드홀더의 상기 현상롤러측에 있어서의 긴쪽방향의 측면 가장자리 및 그 반대측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외벽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주는 시일부재가 설치되어 있다.그리고,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긴쪽방향의 길이보다 긴 치수로 형성되고, 양 끝이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양 끝 모서리를 따라서 구부러진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현상케이스에 이상충격이 작용함으로써 현상롤러와 블레이드가 진동하여도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블레이드홀더의 안측을 경유하여 외부로 새는 일이 없다.그리고, 블레이드홀더의 긴쪽방향의 양끝과 현상케이스의 양 내측면과의 사이가 밀봉되어진다.
청구항 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케이스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현상장치를 장착한 구성이다.
따라서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4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사 용지상의 전사화상을 정착하는 정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5의 현상장치는 현상케이스에 감광체와 마주하는 현상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갖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감광체와 마주하는 외벽에는 양끝 부근에 배치된 블레이드 부착면과, 중앙부에 배열되어 상기 블레이드 부착면보다 조금 들어간 오목면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부착면에는 블레이드홀더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블레이드와, 보강판과의 3자가 적층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와 상기 보강판과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이 탄성적으로 만곡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며,적어도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상기 현상롤러측에 있어서의 긴쪽방향의 옆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뒷면과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외벽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 시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중앙부와 상기 오목면과의 사이에는 완충재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홀더의 양끝 부근을 블레이드 부착면에 접하게 함으로써 블레이드홀더, 블레이드 및 보강판을 그 긴쪽방향으로 만곡시키지 않고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블레이드의 뒷면과 현상케이스의 외벽과의 사이에는 시일부재가 구비되고, 현상케이스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오목면과 블레이드홀더와의 사이에는 완충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현상케이스에 이상 충격이 작용함으로써 현상롤러와 블레이드가 진동하여도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블레이드홀더의 뒷쪽을 경유하여 외부로 새는 일이 없다.
청구항 6의 현상장치는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재는 토너의 입자보다 밀도가 작고 상기 블레이드의 변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도(硬度)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현상롤러에 주는 부하를 작게 한 상태로 블레이드의 뒷면과 시일부재와의 사이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케이스에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의 현상장치를 장착한 구성이다.
따라서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8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7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사 용지상의 전사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9의 현상장치는 감광체와 마주하는 토너 출구 및 상기 토너 출구의 아래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감광체를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평탄면이 형성된 현상케이스와, 상기 현상케이스가 양측에 갖춘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부분과 상기 토너 출구에 배치된 롤러부를 가지는 현상롤러와, 상기 토너 출구의 윗가장자리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의 상부 외주면과의 사이를 막도록 아래가장자리가 상기 롤러부에 접촉된 블레이드와, 상기 평탄면에 지지되어 상기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자유끝부분쪽이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박편형의 출구시일과, 상기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끝 가장자리와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지지벽이 교차하는 코너를 밀봉하는 코너시일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현상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벽과 출구시일의 양끝 가장자리와의 사이를 코너시일에 의해 밀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10의 현상케이스는 감광체와 마주하는 토너 출구 및 상기 토너 출구의 아래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감광체를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평탄면이 형성된 현상케이스와, 상기 현상케이스가 양측에 갖춘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부분과 상기 토너 출구에 배치된 롤러부를 가지는 현상롤러와, 상기 토너 출구의 윗가장자리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의 상부 외주면과의 사이를 막도록 아래가장자리가 상기 롤러부에 접촉된 블레이드와, 상기 평탄면에 지지되어 상기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자유끝부분쪽이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박편형의 출구시일과, 상기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끝과 상기 평탄면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클립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출구시일의 양끝부분이 클립에 의해 평탄면에 눌려진다.
청구항 11의 현상장치는 감광체와 마주하는 토너 출구 및 상기 토너 출구의 아래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감광체를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평탄면이 형성된 현상케이스와, 상기 현상케이스가 양측에 갖춘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부분과 상기 토너 출구에 배치된 롤러부를 가지는 현상롤러와, 상기 토너 출구의 윗가장자리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의 상부 외주면과의 사이를 막도록 아래가장자리가 상기 롤러부에 접촉된 블레이드와, 상기 평탄면에 지지되어 상기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자유끝부분쪽이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박편형의 출구시일과, 상기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끝 가장자리와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지지벽이 교차하는 코너를 밀봉하는 코너시일과, 상기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끝과 상기 평탄면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클립을 구비한다.
따라서 출구시일의 양끝부분과 코너시일은 클립에 의해 동시에 평탄면에 눌려진다.
청구항1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케이스에 청구항 9 , 10또는 청구항 11의 현상장치를 장착한 구성이다.
따라서 출구시일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13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1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사 용지상의 전사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출구시일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14의 현상장치는 감광체와 마주하는 토너 출구가 형성된 현상케이스와, 상기 현상케이스가 양측에 갖춘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부분과 상기 토너 출구에 배치된 롤러부를 가지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에 있어서의 긴쪽방향의 양끝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토너 출구의 양끝부분에 설치된 사이드시일과, 탄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얇은 판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토너 출구의 윗가장자리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의 상부 외주면과의 사이를 막도록 아래가장자리가 상기 롤러부에 접촉된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긴쪽방향의 양끝부분이 상기 사이드시일에 마주하는 길이로 정해진 폭이 넓은 부분과, 상기 토너 출구의 양측에 갖추어진 상기 사이드시일의 사이에서 상기 현상롤러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길이로 정해지고 상기 폭이 넓은 부분의 아래쪽에 연속하여 배치된 폭이 좁은 부분을 가지고, 상기 폭이 넓은 부분과 상기 폭이 좁은 부분과의 경계가 되는 단부는 상기 롤러부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부보다도 상측에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는 현상롤러의 압력에 의해 휘어진다. 이 때에 폭이 넓은 부분은 토너 출구를 사이드시일의 영역에까지 이르도록 막는다. 폭이 좁은 부분은 폭이 넓은 부분이 사이드시일에 접촉한 후에도 현상롤러의 압력으로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구부러지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현상장치는 청구항14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좁은 부분의 길이는 상기 폭이 넓은 부분이 사이드시일에 맞붙은 후에도 현상롤러의 압력에 의해 상기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구부러질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사이드시일의 내측 간격보다도 긴 치수로 정해지고 있다.
따라서 토너 출구의 양 내측면과 블레이드의 양 끝면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일이 없다.
청구항16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케이스에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의 현상장치를 장착한 구성이다.
따라서 현상롤러 및 블레이드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17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16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사 용지상의 전사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현상롤러 및 블레이드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18의 발명은 내부에 토너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수납부내에 회전체가 회전자유롭게 수납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이 케이스벽을 삽입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벽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의 끝부분에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걸림톱이 기어에 형성된 삽통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이 기어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통구멍을 폐지하는 외측시일을 상기 기어의 외측면에 붙였다.
따라서 회전축이 현상장치의 케이스벽을 삽입 통과한 곳에 있어서 회전축 둘레로부터 현상장치 밖으로 토너가 누출되고, 그 토너가 기어의 삽통구멍으로 새어 들어가도 삽통구으로 새어 들어간 토너는 외측시일에 의해 밀봉되어 삽통구로부터 주위로 튀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기어의 외측면에 외측시일을 붙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비용이 싸다.
청구항 19의 발명은 내부에 토너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수납부내에 회전체가 회전자유롭게 수납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이 케이스벽을 삽입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벽의 외측에 돌출된 상기 회전축의 끝부분에 기어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벽에 끼워맞춤구멍을 형성하고, 이 끼워맞춤구멍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를 끼워 맞추고, 상기 끼워맞춤구멍에 상기 축받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상기 토너수납부에 마주하는 상기 축받이의 한 끝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 통과되는 발포폴리우레탄으로 된 도넛 모양의 축받이시일을 고정하고, 상기 축받이시일의 외경치수를 상기 끼워맞춤구멍의 내경 치수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 크게 형성했다.
따라서 한 끝에 축받이시일을 고정한 축받이를 현상장치의 케이스벽에 형성한 끼워맞춤구멍에 끼워 맞추었을 때, 토너수납부내에 위치하는 축받이시일의 외주부가 끼워맞춤구멍의 내주면과 축받이의 외주면과의 사이를 밀봉하여, 끼워맞춤구멍의내주면과 축받이의 외주면과의 사이로 토너가 새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며, 끼워맞춤구멍의 내주면과 축받이의 외주면과의 사이로부터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발포폴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은 높은 압축성을 가지며, 축받이시일의 외경치수는 끼워맞춤구멍의 내경치수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만큼 크게 형성하기 때문에 축받이의 한 끝에 고정한 축받이시일을 끼워맞춤구멍에 통과시킬 때, 축받이시일은 끼워맞춤구멍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는 외경치수로 쉽게 압축되어 한 끝에 축받이시일을 고정한 축받이를 끼워맞춤구멍에 끼워 맞추는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축받이의 한 끝에 발포폴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을 고정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비용이 싸다.
청구항 20의 발명은 내부에 토너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수납부내에 회전체가 회전자유롭게 수납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이 케이스벽을 삽입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벽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의 끝부분에 기어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벽에 끼워맞춤구멍을 형성하고 이 끼워맞춤구멍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를 끼워 맞추고, 상기 끼워맞춤구멍에 상기 축받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상기 토너수납부에 마주하는 상기 축받이의 한 끝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 통과되는 발포폴리우레탄으로 된 도넛 모양의 축받이시일을 고정하고, 상기 축받이시일의 내경 치수를 상기 축받이의 내경 치수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 작게 형성하였다.
따라서 회전체의 회전축을 축받이시일과 축받이에 끼워 통과시켰을 때 축받이시일의 내주부가 회전축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축받이의 내주면과 회전축의 외주면과의사이로 토너가 새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축받이의 내주면과 회전축의 외주면과의 사이로부터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발포폴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은 높은 압축성을 가지며, 축받이시일의 내경치수를 축받이의 내경치수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만큼 작게 형성하기 때문에 축받이시일에 회전축을 끼워 통과시킬 때에 축받이시일은 회전축을 삽입통과시킬 수 있는 내경치수에 쉽게 압축되어 회전축을 축받이시일과 축받이에 삽입통과시키는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축받이의 한 끝에 발포폴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을 고정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비용이 싸다.
청구항 21의 발명은 청구항 20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와의 끼워맞춤부분에 D컷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의 상기 D컷부가 형성된 부분과 상기 D컷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과의 사이에 챔퍼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회전축을 축받이시일에 끼워 통과시켰을 때 D컷부가 형성된 부분과 D컷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과의 사이에 있어서, 챔퍼가 축받이시일의 내주부에 맞붙고, 축받이시일의 내주부가 반경방향으로 차차 압축된다. 이 때문에 회전축에 있어서의 D컷부가 형성된 부분과 D컷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과의 사이에 급격한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그 단차부가 축받이시일의 내주부분에 회전축의 삽입통과 방향을 따라서 맞붙어 축받이시일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22의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를 회전자유롭게 수납한 감광체유닛과, 청구항18내지 청구항21의 어느 한 현상장치를 일체로 구비한다.
따라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는 청구항 18의 현상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회전축의 둘레로부터 현상장치 밖으로 토너가 새어 나와도, 그 토너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바깥둘레에 튀기는 것이 방지되며, 이러한 토너 튀김방지는 값 싸고 간편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는 청구항 19 내지 21의 어느 한 현상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회전축의 둘레로부터 현상장치 밖으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와 같은 토너 누출방지는 값 싸고 간편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23의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2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감광체의 외주면을 노광시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부와, 상기 현상장치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 현상화된 상기 감광체위의 토너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상기 전사 용지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갖는다.
따라서 이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청구항 2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함으로써, 현상장치로부터 토너가 누출되거나 누출된 토너가 튀기는 것을 값 싸고 간편한 구조에 의해 방지하며, 화상형성장치의 내부가 토너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24의 발명은 감광체를 회전자유롭게 보호지지하고, 이 감광체의 외주면에 잔류한 배출토너를 회수하는 배출토너 회수부가 형성된 감광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이 감광체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상기 배출토너 회수부의 회수구와, 상기 회수구의 긴쪽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의 끝부분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는 사이드시일과, 상기 회수구의 긴쪽방향을 따른 한쪽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의 외주면에 잔류한 배출토너를 긁어 떨어뜨리는 장방형 모양의 블레이드와, 상기 회수구의 긴쪽방향을 따른 다른 한쪽의 가장자리에 붙여져 상기 감광체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되는 장방형 모양의 입구시일을 가지며, 상기 입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 끝에 그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달아 붙임 면적을 넓게 한 보강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감광체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이 감광체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고 있는 입구시일에 대하여 감광체의 회전방향을 따른 견인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이 입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에는 보강부가 형성되어 붙임 면적이 넓어졌기 때문에 감광체의 회전에 동반하는 견인력이 입구시일에 작용하여도, 입구시일의 양 끝쪽은 중앙으로 모여지는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붙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입구시일에 있어서의 감광체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고 있는 부분에 플래핑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입구시일과 감광체의 외주면과의 미끄럼 접합부분으로부터 배출토너가 누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25의 발명은 청구항 24의 감광체유닛에 있어서 상기 입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은 상기 사이드시일의 위에 외측 끝면을 맞추어서 겹쳐져 있으며, 상기 입구시일의 끝부분 위에 붙여진 고정부분과, 상기 사이드시일과 상기 입구시일과의 외측 끝면에 맞붙는 위치에 붙여진 누출방지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형의 프레스시일(Press seal)을 구비한다.
따라서, 사이드시일과 입구시일이 겹쳐진 곳으로 배출토너가 새어 들어가도 그 배출토너는 프레스시일의 누출방지부에 의해 입구시일의 끝부분쪽으로 누출하는 것이 방지되고, 입구시일의 끝부분쪽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청구항 26의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롤러를 회전자유롭게 보호지지하는 현상장치와, 청구항 24 또는 청구항 25의 감광체유닛을 일체로 구비한다.
따라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는 청구항24 또는 청구항 25의 감광체유닛을 사용함으로써 배출토너 회수부에 회수되는 배출토너의 누출이 방지된다.
청구항27의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26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감광체의 외주면을 노광시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부와, 상기 현상롤러에 의해 토너를 공급받아 현상화된 상기 감광체위의 토너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상기 전사 용지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가진다.
따라서, 이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청구항 26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함으로써 감광체유닛의 배출토너 회수부에 회수되는 배출토너의 누출이 방지되고, 화상형성장치의 내부가 새어 나온 배출토너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어진 화상형성장치P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1)은 장치본체이다. 이 장치본체 (1)의 상부에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판독장치 (2)가 장착되고, 내부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가 구비되어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3)의 아래쪽에는 전사 용지 S를 안내하는 용지반송로 (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상판독장치 (2)는 원고화상을 판독하는 판독부(5)와, 이 판독부 (5)에 공급하는 원고를 얹어놓는 원고트레이 (6)를 구비하고, 이 원고트레이(6)는 지점축 (7)을 중심으로 수평위치 A로 부터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기립위치 B까지에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또한 원고트레이 (6)는 미도시한 스톱퍼에 의해 수평위치A와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기립위치 B에서 안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3)는 케이스 모양으로 형성된 감광체케이스(8)에 감광체(9)를 회전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대전브러시 롤러(10)와 현상장치(11)를 감광체(9)의 주위에 배치하여 설치함으로써 형성되어 진다. 감광체(9)의 아래쪽 바깥둘레부분에 마주하는 전사부(12)는 장치본체(1)측에 구비되어 있다. 현상장치 (11)는 감광체케이스(8)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진 현상케이스(13)와, 이 현상케이스(13)의 내부(토너수납부13e)에 수납된 현상제를 휘저어섞는 회전자유롭게 된 교반기(14)와, 감광체(9)에 접촉하는 현상롤러(15)와, 이 현상롤러(15)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롤러(16)와, 현상롤러(15)에 접촉된 블레이드(17)를 구비한다.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3)의 상부에는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변조된 레이저광을 감광체(9)의 대전(帶電)부분에 주사(走査)함으로써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부 (1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 (1)의 한쪽에는 상기 화상판독장치(2)에 의해 판독된 원고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사 용지S를 비스듬히 얹어놓은 상태로 받쳐주는 트레이 (19)가 구비되고, 이 트레이 (19)의 아래쪽에는 회전구동되어지는 급지롤러 (20)와, 한방향으로 힘이 더하여져 트레이 (19)상의 전사 용지S 를 급지롤러 (20)에 압접시키는 누름판 (21)과, 각각 급지롤러 (20)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전사 용지S가 겹쳐져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패드 (22) 및 분리롤러 (23)가 구비되어 있다.
급지롤러 (20), 분리패드(22), 분리롤러(23)는 상기 용지반송로 (4)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용지반송로 (4)에는 급지롤러 (20)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는 하부통로(bottom path) (24)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용지반송로 (4)의 하류측에는 전사 용지S상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 (25)가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장치본체 (1)에는 정착부 (25)의 위쪽과 상기 원고트레이 (6)와의 사이에 배치된 용지스태커 (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용지스태커 (26)는 원고트레이 (6)를 기립위치B에 회전운동시켰을 때, 그 원고트레이 (6)의 아래쪽 연장면위에 위치하여 전사 용지S를 받쳐주는 받침판 (27)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트레이 (19)와는 반대측인 장치 본체 (1)의 측면부근에는 정착부 (25)로부터 배출되는 전사 용지S를 수평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구 (28)와, 정착부 (25)로 부터 배출되는 전사 용지 S를 반전(反轉)시켜 용지스태커 (26)로 이끌어주는 반전배출로 (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전배출로 (29)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쌍을 이루는 배출롤러 (30)가 배치되고, 또한 반전배출로 (29)와 배출구 (28)와의 분기점에는 전사 용지S의 배출방향을 바꾸는 전환톱(claw) (31)이 회전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 화상판독동작과 인쇄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경우에는 도1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원고트레이 (6)를 수평위치A에 유지하여 원고를 판독부 (5)에 공급한다. 공급된 원고는 판독부 (5)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어 트레이 (19)의 상부에 기대어 세워 놓은 상태로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판독된 화상은 외부로 송신(팩시밀리의 송신모드로서의 사용형태)되며, 혹은 트레이 (19)로 부터 전사 용지S를 공급하여 이 전사 용지S에 판독화상을 인쇄(복사기로서의 사용형태)할수 있다. 혹은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화상을 전사 용지S에 인쇄(팩시밀리의수신모드로서의 사용형태)할수 있다.
인쇄의 경우는, 도1에 있어서의 감광체(9)는 시계바늘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과정에서 그 표면이 대전브러시 롤러(10)에 의해 대전되고, 원고의 판독화상 또는 외부에서 수신한 화상에 근거하여 잠상형성부(18)에 의해 감광체(9)의 대전부분에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은 현상장치(11)에 의해 현상된다. 이 현상화상은 급지롤러(20)에 의해 트레이(19)로부터 공급된 전사 용지 S에 전사된다. 화상이 전사된 전사 용지 S는 정착부(25)를 통과할 때에 정착되고 전환톱(31)의 방향에 따라서 배출구(28) 또는 용지스태커(26)로 배출된다.
다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3)의 구조, 특히 현상장치(11)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감광체케이스(8)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를 장치 본체 (1)(도 1참조)에 대하여 붙이고 뗄 때에 쥐어 잡는 손잡이 (32)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프로세스 카트리지 (3)를 장치 본체 (1)로부터 떼어 냈을 때에 감광체(9)의 아랫면을 덮고, 프로세스 카트리지(3)를 장치 본체 (1)에 설치했을 때에 감광체(9)의 아랫면을 개방하는 셔터 (33)가 구비되어 있다. 현상케이스(13)는 감광체케이스(8)의 양측 외벽 (8a, 8b) 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8b는 도 4에만 도시한다.
다음에 현상장치 (11)의 내부구조를 도 3 및 도 4에 도시한다. 도 3은 현상장치의 종단측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Y-Y선부분에서 자른 종단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롤러 (15)는 토너를 마찰에 의하여 대전시키기 위해 외주부가 고무 등 마찰 계수가 낮은 탄성재에 의해 형성된 롤러부(34)와, 이롤러부(34)의 중심을 관통하는 금속제의 축부분(35)을 구비한다. 감광체케이스(8)의 외벽 (8a, 8b)의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케이스(13)는 외벽 (8a, 8b)의 내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지지벽 (13a, 13b)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지지벽 (13a)에는 구멍을 뚫음에 의해 축부분(35)의 한끝을 회전자유롭게 형성하는 축받이(36)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지지벽(13b)에는 부시(bush)를 장착함으로 하여 축받이 (37)가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 (36)로부터 돌출되는 축부분(35)의 한끝에는 모터(미도시)에 구동되어지는 합성수지제의 톱니바퀴(38)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케이스(13)는 토너수납실(39)의 윗면 개구면(開口面)에 접착된 뚜껑(40)을 가지고, 감광체(9)측의 외벽(41)에는 강성이 높은 블레이드홀더(42)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금속판(스테인리스)에 의해 형성된 블레이드(17)와, 보강판(43)이 적층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블레이드(17)는 상부 절반이 블레이드홀더(42)와 보강판(43)에 의해 끼워지지만 하부 절반이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현상롤러(15)에 압접되어 있다.
도 5는 현상케이스(13)에 대한 블레이드(17)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일부의 수평단면도이며, 이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외벽(41)의 양끝 부근에는 블레이드부착면(44)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블레이드부착면(44)보다 조금 들어간 오목면 (45)이 형성되고, 블레이드부착면(44)에는 나사구멍(46)과 축모양의 위치 결정용의 돌기(47)가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홀더(42)에는 현상케이스(13)의 뚜껑 (40)에 마주하는 굴곡편(48)과, 현상케이스(13)의 한쪽 지지벽 (13b)에 형성된 구멍 (미도시) 을 통과할 수 있는 돌출편(50)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판(43)의 윗가장자리에는 블레이드홀더(42)의 굴곡편(48)에 접촉하는 굴곡편(51)이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17)는 현상롤러(15)와의 접촉부가 가장자리가 되지 않도록 [く]형으로 굴곡하는 굴곡편(52)을 아래가장자리에 가진다. 그리고 블레이드홀더(42)와 블레이드(17)와 보강판(43)의 양측에는 돌기(47)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는 위치결정구멍(53)과, 나사구멍(46)에 틀어 맞추어져 있는 설치나사(54)를 통과시키기 위한 설치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17)의 위치결정구멍(53)은 양끝 부근의 그 어느 것에 따라서 모양이 다르다. 한쪽 끝부근의 위치결정구(53)는 위치 결정용 돌기 (47)의 외경과 일치한 내경을 갖는 원형모양이지만, 다른 한쪽 끝부근의 위치결정구멍(53)은 돌기(47)의 외경과 일치한 폭으로 정해져 현상롤러(15)의 축방향을 따르는 긴 형상의 구멍이다. 이로 인하여, 블레이드(17)의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에 설치구멍(55)은 원형이여도 좋고 긴 형상이여도 좋다. 위치결정구멍(53)과 설치구멍(55)의 치수 형태에 관해서는 블레이드홀더(42) 및 보강판(43)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
그런데, 현상케이스 (13)의 외벽(41)에 형성한 블레이드 부착면(44)을 블레이드(17)의 길이에 맞추어 전면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것은 플라스틱 성형상에서 극히 어려운 일이다. 그 때문에 외벽(41)의 양 끝부근으로 제한한 작은 면적에 블레이드 부착면(44)을 형성하고, 중간부에 한계단 낮은 오목면(45)을 형성하고 있다. 오목면(45)과 블레이드홀더(42)의 사이에 틈이 벌어지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양자의 사이에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탄성을 가지는 얇은 시이트 (56)를사이에 끼우고 있다. 또한, 블레이드 부착면(44)과 오목면(45)의 면은 외벽(41)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성형시에 패어 들어가지 않도록 리브 (44a,45a)가 모여서 형성되고 있다.(도 5, 6참조)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케이스(13)의 외벽(41)에는 시일부재(57)가 붙여져 있다. 이 시일부재 (57)의 양측에는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현상롤러(15)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접촉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7에 도시한 바와같이, 블레이드홀더(42)의 굴곡편(48)에는 외벽(41) 및 뚜껑(40)의 아랫면에 접촉하는 시일부재(59)가 붙여져 있다. 이 시일부재(59)는 돌출편(50)을 제외한 블레이드홀더(42)의 전체길이보다 길고, 양끝에는 구부러짐에 의해 현상케이스(13)의 지지벽(13a, 13b)(도 4, 6 참조)과의 사이를 봉하는 굴곡부(60)가 형성되어 있다.
도8은 블레이드(17) 및 시일부재(57, 59)의 지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현상케이스(13)의 끝부분(블레이드부착면 44)에서 자른 일부의 종단측면도, (b)는 현상케이스(13)의 중앙부(오목면45)에서 자른 일부의 종단측면도이다.이 도면들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한쪽의 시일부재 (57)는 블레이드홀더(42)의 현상롤러(15)측에 있어서의 긴쪽방향의 옆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어 블레이드(17)의 만곡가능한 부분(블레이드홀더42와 보강판 43에 의해 끼워지지 않는 부분)의 안쪽 면과 현상케이스(13)의 외벽(41)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다른 한쪽 시일부재 (59)는 상기 한쪽 시일부재(57)와는 반대측에 있어서의 블레이드홀더(42)의 옆 가장자리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현상시 현상케이스(13)내의 토너는 현상롤러 (15)와 공급롤러 (16)와의 사이에서 마찰에 의해 대전되고,또한 현상롤러 (15)와 블레이드 (17)와의 사이에서 마찰에 의해 대전된다. 현상롤러 (15)는 도 1, 도 3, 도 8에 있어서 역시계바늘방향으로 회전하고 블레이드 (17)의 아래를 빠져 나가는 양의 토너가 현상롤러 (15)에 부착된다. 이 현상롤러 (15)에 공급된 토너에 의해 감광체 (9)상의 정전잠상이 현상된다.
그런데 프로세스 카트리지(3)로서의 조립체를 취급할 경우, 혹은 현상장치 (11)로서의 조립체를 취급할 경우에, 낙하 등에 의해 현상케이스 (13)에 이상 충격이 작용함에 따라 현상롤러 (15)와 블레이드 (17)가 진동하는 일이 있지만, 블레이드홀더 (42)의 아래가장자리를 따라서 블레이드 (17)와 외벽 (41)과의 사이를 봉하는 시일부재 (57)가 구비되고, 블레이드홀더 (42)의 윗가장자리를 따라서 현상케이스 (13)의 외벽 (41) 및 뚜껑 (40)의 아랫면 사이를 봉하는 시일부재 (59)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현상케이스 (13)내의 토너가 블레이드홀더 (42) 및 블레이드 (17)의 안측을 빠져서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에 의한 블레이드홀더 (42), 블레이드 (17) 및 보강판(43)을 사용한 경우, 그 각자의 전체 길이를 현상케이스 (13)의 지지벽 (13a,13b)의 간격보다도 길게 하면 조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조상의 허용공차에 의해 블레이드홀더 (42), 블레이드 (17) 및 보강판(43)의 양끝과 지지벽 (13a,13b)과의 사이에는 틈새가 벌어지는 일이 있다. 그러나, 시일부재 (59)는 블레이드홀더(42)의 긴쪽방향의 길이보다 긴 치수로 형성되고, 양끝이 블레이드홀더(42)의 양끝 변을 따라서 구부러진 상태로 지지되고, 블레이드홀더(42), 블레이드 (17) 및 보강판 (43)의 긴쪽방향의 양끝과 현상케이스 (13)의 지지벽 (13a, 13b)의 내측면과의 사이를 굴곡부 (60)로 봉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홀더(42)의 양 끝부근을 블레이드 부착면(44)에 맞붙게 하지만 현상케이스(13)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오목면(45)과 블레이드 홀더와의 사이에는 시이트 (5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현상케이스(13)가 낙하 등의 충격을 받아도 시일부재 (57)가 부분적으로 블레이드홀더 (42)와 오목면 (45)과의 사이에 박히는 일 없이 오목면 (45)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홀더(42)의 양 끝부근을 블레이드 부착면(44)에 맞붙게 함으로써 블레이드홀더(42), 블레이드 (17) 및 보강판 (43)을 그 긴쪽방향으로 만곡시키지 않고 지지할 수 있다.이로 인하여, 블레이드 (17)를 직선상으로 현상롤러(15)에 접촉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시일부재 (57)를 토너의 입자보다 밀도가 작고 블레이드 (17)의 변형에 영향주지 않는 경도의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현상롤러 (15)에 주는 부하를 작게 한 상태에서 블레이드 (17)의 뒷면과 시일부재(57) 사이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시일부재 (57)는 발포우레탄계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시일부재(57)의 경도를 30Kgf이하 (JIS K 6400의 6.3(A법)에 의한다), 밀도를 0.07g/㎤/이하 (발포율로 14배이상) 통기성을 5cc/㎠/sec이하 (JIS K 6400의 13.1(A법)에 의한다)로 정하여 낙하 실험을 한 결과, 블레이드의 안측으로부터 토너가 새지 않았다. 또 블레이드(17)가 시일부재(57)의 압력에 의해 변형하는 영향은 없었다. 이 변형에 의한 영향의 정도는 현상롤러(15)상의 토너 부착량을 측정한 결과에 의해 확인하였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현상롤러(15)의 주위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일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케이스 (13)에는 현상롤러(15)의 롤러부(34)가 배치되어 있는 토너 출구(61)와, 이 토너 출구(61)의 아래가장자리로부터 감광체(9)를 향하여 연장하는 평탄면(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면(62)에는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 출구시일(63)이 접착 등 수단에 의해 붙여져 있다. 이 출구시일(63)의 평탄면(62)의 끝으로부터 떨어진 자유끝부분측(토너출구 61측)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현상롤러(15)의 롤러부(34)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토너출구(61)의 양측에는 현상롤러(15)의 롤러부(34)의 양끝 외주면에 접촉하는 사이드시일(64)이 붙여져 있다. 출구시일(63)의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은 사이드시일(64)의 위에 겹쳐져 있다.
또한, 한쪽에만 도시하지만, 출구시일(63)의 긴쪽방향에 았어서의 양끝 가장자리와 현상케이스(13)의 지지벽(13a,13b)이 교차하는 코너를 밀봉하는 코너시일(65)과,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클립(66)이 구비되어 있다. 클립(66)은 평탄면(62)의 아랫면에 맞붙어지는 접합편(67)과 코너시일(65)을 위에서부터 탄성적으로 누르는 프레스편(68)을 가진다. 평탄면(62)과 출구시일(63)의 양끝부분과코너시일(65)은 클립(66)의 접합편(67)과 프레스편(68)으로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로서는, 지지벽(13a,13b)은 평탄면(62)의 선단까지 연장되지 않는 형상이므로, 출구시일(63) 위에 놓이는 코너시일(65)과 클립(66)의 프레스편(68)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벽(13a,13b)의 내면(13c)과 이 내면(13c)과 직교하는 끝면(13d)에 접촉하는 L자형의 모양으로 형성되고, 코너시일(65)은 L형의 두 변이 상방으로 걷어 올려져 내면(13c)과 끝면(13d)에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도 8 , 도 9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블레이드(17)는 현상롤러(15)의 롤러부(34)에 가압되어 블레이드홀더(42)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부분이 탄성적으로 현상케이스(13)의 안측으로 굽어지고, く자형으로 굴곡된 굴곡부(52)가 롤러부(34)에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도 12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현상롤러(15)의 롤러부(34)와 블레이드(17)와의 접촉부C의 위치는 블레이드(17)의 아래가장자리보다 조금 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블레이드(17)에는 긴쪽방향의 양끝부분이 사이드시일(64)에 마주하는 폭이 넓은 부분(69)과,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폭이 좁은 부분(70)과, 양자의 경계가 되는 단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부(71)는 롤러부(34)에 대한 블레이드(17)의 접촉부C 보다도 상측(현상롤러(15)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단부(71)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폭이 좁은 부분(70)은 폭이 넓은 부분(69)이 사이드시일(64)에 맞붙은 후에도 현상롤러(15)의 압력에 의해 토너 출구(61)의 안쪽을 향하여 굽어 질 수 있을 정도의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즉 폭이 좁은 부분(70) 의 길이 L 2는 사이드시일(64)의 내측 간격 L 1보다 △L만큼 긴 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폭이 좁은 부분(70)은 △L /2되는 폭(0.1~0.5mm)만큼 사이드시일(64)의 위에 겹쳐지지만, 이 정도의 겹친 폭이라면 블레이드(17)의 폭이 좁은 부분(70)이 현상롤러(15)의 압력에 의해 사이드시일(64)의 내측의 가장자리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서 굽어지게 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블레이드(17)를 롤러부(34)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접촉시킬 수 있고 동시에 단부(71)보다 아래쪽의 폭이 좁은 부분(70)의 굽힘 작용에 의해 롤러부(34)의 양끝을 정확히 사이드시일(64)에 접촉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출구시일(63)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끝 가장자리와 현상케이스(13)의 지지벽(13a,13b)과가 교차하는 코너를 코너시일(65)에 의해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출구시일(63)의 양끝부분과 코너시일(65)을 클립(66)에 의해 동시에 평탄면(62)에 눌러 놓을 수 있다. 이 때 코너시일(65)은 클립(66)에 의해 압축되어 구멍이 막혀 지기 때문에 토너가 새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블레이드(17)에는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이 사이드시일(64)에 마주하는 폭이 넓은 부분(6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토너 출구(61)의 양 옆으로 토너가 둘러 싸이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폭이 좁은 부분(70)은 현상롤러(15)에 눌려도 사이드시일(64)에 맞붙어서 휨 작용이 손상받는 일이 없다. 따라서 현상롤러(15)의 롤러부(34)의 외주면을 사이드시일(64)에 정확히 접촉시킬 수 있다. 게다가 폭이 좁은 부분(70)의 길이L 2가 사이드시일(64)의 간격L 1보다도 조금 길므로 블레이드(17)의 양 옆으로 토너가 둘러 싸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롤러(15)의 주위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를 도13 내지 도 15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는 교반기(14)와 보급롤러(16)의 한 끝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양자의 한 끝을 현상케이스(13)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부분의 시일구조에 관한 것이다.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장치(11)가 구비한 케이스벽, 즉 현상케이스(13)의 지지벽 (13a)에는 끼워맞춤구멍(80)이 형성되고, 이 끼워맞춤구멍(80)에는 축받이(81)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축받이(81)를 끼워맞춤구멍(80)에 끼워 맞추었을 때에 토너수납부(13e)측의 축받이(81)의 한 끝에는 도넛 모양으로 형성된 발포폴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82)이 접착 고정되어 있다.보급롤러(16)의 회전축(16a)은 축받이시일(82)과 축받이(81)에 삽입 통과되어 현상케이스(1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현상케이스(13)의 외측으로 돌출한 회전축(16a)의 끝부분에는 동력전달기구(83)(도 13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어(84)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축받이시일(82)의 외경 치수'a'와 끼워맞춤구멍(80)의 내경 치수'b' 를 비교하면 축받이시일(82)의 외경 치수'a'가 끼워맞춤구멍(80)의 내경 치수'b'보다 반경방향으로0.2~1.0mm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a-b)/2=0.2~1.0mm이다. 또한, 축받이시일(82)의 내경 치수'd'와 축받이(81)의 내경 치수'c' 를 비교하면 축받이시일(82)의 내경 치수'd'와 축받이(81)의 내경 치수'c'보다 반경방향으로0.2~1.0mm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d-c)/2=-0.2~-1.0mm이다.
회전축(16a)의 선단쪽에는 끼워 맞추어진 기어(84)의 회전을 멈춰 세우기 위한 D컷부(85)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6a)에 있어서의D컷부(85)가 형성된 부분과 D컷부(85)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과의 사이에는 챔퍼(8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케이스(13)의 지지벽(13a)에는 삽통구멍(87)이 형성되고, 이 삽통구멍(87)에는 교반기(14)의 회전축(14a)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회전축(14a)에 있어서의 토너수납부(13e)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도넛 모양의 내측시일(88)이 끼워 맞추어져 있고, 내측시일(88)의 측면은 지지벽(13a)의 내측면에 맞붙어져 있다.
현상케이스(13)의 외측으로 돌출한 회전축(14a)의 끝부분에는 동력전달기구(83)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어(89)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회전축(14a)으로부터 기어(89)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것은 회전축(14a)의 끝부분에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걸림톱(90)을 기어(89)에 형성된 삽통구멍(91)에 삽입 통과시키고 걸림톱(90)의 선단부를 기어(89)에 형성된 단차부분(92)에 걸리게 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걸림톱(90)이 걸려진 기어(89)의 외측면에는 삽통구멍(91)을 폐지하는 외측 시일(93)이 붙여져 있다. 또한, 현상케이스 (13)의 지지벽(13a)에는 토너를 보급하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지마개(94)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다.
도 13에 있어서 (100)은 감광체유닛이다. 이 감광체유닛(100)은 감광체케이스(8)와 감광체(9)와 대전브러시롤러(10)와 셔터(33)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여 조립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감광체유닛(100)과 현상장치(11)를 연결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3)가 조립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3)는 장치본체(1)(도 1참조)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현상장치(11)의 조립시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멍(80)에 축받이(81)를 끼워 맞추는 것은 한 끝에 축받이시일(82)을 접착 고정시킨 축받이(81)를 지지벽(13a)의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춤구멍(80)에 밀어넣음으로써 행해진다. 축받이시일(82)의 외경 치수'a'는 끼워맞춤구멍(80)의 내경 치수'b'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만큼 크게 형성하는데, 이 축받이시일(82)은 발포폴리우레탄으로써 형성되어 높은 압축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축받이(81)를 지지벽(13a)의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춤구(80)에 삽입시킬 때 축받이시일(82)은 끼워맞춤구멍(80)을 통과시킬 수 있는 외경치수로 쉽게 압축되어 축받이(81)를 끼워맞춤구멍(80)에 끼워 맞추는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끼워맞춤구멍(80)을 통과한 축받이시일(82)은 원래의 외경치수로 복귀하고, 축받이시일(82)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멍(80)의 내경치수보다 넓어진 부분은 지지벽(13a)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멍(80)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 맞붙는다.
따라서 축받이시일(82)을 설치함으로써 끼워맞춤구멍(80)의 내주면과 축받이(81)의 외주면과의 사이로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되며 끼워맞춤구멍(80)의 내주면과 축받이(81)의 외주면과의 사이로부터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발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82)은 비용이 싸므로 이 축받이시일(82)을 사용함으로써 값 싸고 간편한 구조의 토너 밀봉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축받이시일((82)의 내경 치수'd'는 축받이(81)의 내경 치수'c'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만큼 작게 형성하는데 발포폴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82)은 높은 압축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현상장치(11)의 조립시에 있어서 보급롤러(16)의 회전축(16a)을 축받이시일(82)에 끼워 통과시킬 때에 축받이시일(82)은 회전축(16a)을 삽입 가능한 내경 치수로 쉽게 압축되어 회전축(16a)을 축받이시일(82)과 축받이(81)에 삽입시키는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6a)에는 D컷부(85)가 형성된 부분과 D컷부(85)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과의 사이에 챔퍼(86)의 형성에 의해 급격한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회전축(16a)을 축받이시일(82)에 삽입시켰을 때 챔퍼(86)가 축받이시일(82)의 내주부에 맞붙음에 따라 축받이시일(82)의 내주부가 반경방향으로 차차 압축된다. 그리고 회전축(16a)에 형성된 단차부분이 축받이시일(82)의 내주부에 회전축(16a)을 삽입하는 방향을 따라서 맞붙어 축받이시일(82)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 현상장치(11)의 조립시에 있어서, 교반기(14)의 회전축(14a)을 지지벽(13a)에 형성한 삽통구멍(87)에 삽입통과하여 걸림톱(90)을 현상케이스(13)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현상케이스(13)의 외측으로 돌출한 걸림톱(90)을 기어(89)의 삽통구멍(91)에 삽통시켜 걸림톱(90)을 기어(89)의 단차부분(92)에 건다. 더 나아가 이 기어(89) 외측면에 삽통구멍(91)을 폐지하는 외측시일(93)을 붙였다.
따라서 삽통구(87)의 내주면과 회전축(14a)의 외주면과의 사이로부터 현상장치(11)의 밖으로 토너가 새어 나왔을 때, 그 토너는 걸림톱(90)의 둘레를 통하여 기어(89)의 삽통구멍(91)으로 새어 들어간다. 그리고 삽통구멍(91)으로 새어 들어간 토너는 외측시일(93)에 의해 밀봉되어 이 삽통구(91)로부터 주위로 튀기는 것이 방지되고, 현상장치(11)의 주위가 튀겨 나온 토너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게다가 튐 방지를 기어(89)의 외측면에 외측시일(93)을 붙이는 극히 간단하고 값 싼 구조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16 내지 도 1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상기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감광체유닛(100)은 감광체케이스(8)와 감광체(9)와 대전브러시롤러(10)와 셔터(33)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여 조립함으로써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감광체유닛(100)과 현상장치(11)를 연결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3)가 조립된다. 이 프로세서 카트리지(3)는 장치본체(1)(도 1참조)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감광체유닛(100)내에 배출토너를 회수할 때에 있어서의 그 배출토너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즉 감광체케이스(8)에는 배출토너회수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토너회수부(101)의 감광체(9)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이 감광체(9)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가늘고 긴 회수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회수구(102)의 긴쪽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테플론 펠트 등으로 형성된 사이드시일(103)이 붙여져 있고, 이 사이드시일(103)에는 감광체(9)의 끝부분 외주면이 미끄럼 접합되어 있다. 회수구(102)의 긴쪽방향을 따른 한쪽 가장자리에는 감광체(9)의 외주면에 잔류한 배출토너를 긁어 떨어 뜨리는 장방형 모양의 블레이드(104)가 고정되어 있다. 회수구(102)의 긴쪽방향을 따른 다른 한쪽 가장자리에는 감광체(9)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되어 있는 장방형 모양의 입구시일(105)이 붙여져 있다.
입구시일(105)의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에는 회수구(102) 가장자리로의 붙임면적을 넓게 하여 입구시일(105)을 쉽게 벗겨지지 않게 하는 보강부분(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부분(106)은 입구시일(105)의 긴쪽방향과 직교(直交)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장방형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입구시일(105)의 긴쪽방향의 끝부분은 사이드시일(103)의 위에 양측 끝면을 맞추어서 겹쳐져 있다. 그리고 입구시일(105)의 긴쪽방향의 양 끝쪽에는 발포폴리우레탄 등으로 형성된 프레스시일(107)이 붙여져 있다. 이 프레스시일(107)은 고정부분(107a)과 누출방지부(107b)에 의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분(107a)은 입구시일(105)의 긴쪽방향의 끝부분에 있어서의 회수구(102)의 가장자리에 붙여져 있는 부분의 위에 붙여져 있고 누출방지부(107b)는 사이드시일(103)과 입구시일(105)과의 외측 끝면에 맞붙여 회수구(102)의 가장자리에 붙여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화상형성시에는 감광체(9)가 도 16에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지고 이 감광체(9)의 외주면에 잔류한 배출토너는 블레이드(104)에 의해 긁혀 떨어지며 긁혀 떨어진 배출토너는 회수구(102)로부터 배출토너 회수부(101)내로 회수된다. 이 때에 이 입구시일(105)은 감광체(9)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여 있고 감광체(9)로부터 입구시일(105)에 대하여 감광체(9)의 회전방향을 따른 견인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이 입구시일(105)의 긴쪽방향의 양끝부분에는 보강부분(106)이 형성되어 붙임면적이 넓게 되어 있고 회수구(102)의 가장자리에 단단히 붙여져 있으므로, 감광체(9)의 회전에 동반하는 견인력이 입구시일(105)에 작용하여도 입구시일(105)의 양 끝부분이 벗겨진 상태로 되어 중앙으로 모이게 하는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입구시일(105)에 있어서의 감광체(9)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고 있는 부분에는 플래핑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입구시일(105)과 감광체(9)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배출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 입구시일(105)의 긴쪽방향의 양 끝쪽에는 프레스시일(107)이 붙여져 있고 이 프레스시일(107)의 누출방지부(107b)는 사이드시일(103)과 입구시일(105)과의 외측 끝면에 맞붙여서 회수구(102)의 가장자리에 붙어져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시일(103)과 입구시일(105)이 겹쳐진 곳으로 배출토너가 새어 들어가도 그 배출토너는 프레스시일(107)의 누출방지부(107b)에 의해 입구시일(105)의 끝부분측으로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입구시일(105)의 끝부분측으로부터 배출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이 정확히 방지된다.
청구항 1의 현상장치는, 현상케이스에 감광체와 마주하는 현상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갖춘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감광체와 마주하는 외벽에는 블레이드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부착면에는 블레이드홀더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블레이드와, 보강판과의 3자가 적층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와 상기 보강판과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이 탄성적으로 만곡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적어도 상기 브레이드홀더의 상기 현상롤러측에 있어서의 긴쪽방향의 옆 가장자리 및 그 반대측의 옆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외벽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 시일부재가 붙여져 있으므로 현상케이스에 이상충격이 작용함으로써 현상롤러와 블레이드가 진동한다 하여도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블레이드홀더의 뒷쪽을 경유하여 외부로 새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시일부재는상기 블레이드의 긴쪽방향의 길이보다 긴 치수로 형성되며 양끝이 상기 블레이드의 양끝의 모서리를 따라서 구부러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의 긴쪽방향의 양끝과 현상케이스의 양 내측면과의 사이를 확실하게 봉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케이스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현상장치를 장착하므로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3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사 용지상의 전사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현상장치는, 현상케이스에 감광체와 마주하는 현상롤러를 회전가능하게 갖춘 화상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감광체와 마주하는 외벽에는 양끝 부근에 배치된 블레이드 부착면과 중앙부에 배열되어 상기 블레이드 부착면보다 조금 들어간 오목면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부착면에는 블레이드홀더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블레이드와, 보강판과의 3자가 적층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와 상기 보강판과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이 탄성적으로 만곡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적어도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상기 현상롤러측에 있어서의 긴쪽방향의 옆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뒷면과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외벽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 시일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중앙부와 상기 오목면과의 사이에는 완충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 홀더의 양끝부근을 블레이드 부착면에 맞붙게 함으로써 블레이드 홀더, 블레이드 및 보강판을 그 긴쪽방향으로 만곡시킴이 없이 지지하고, 현상롤러에 블레이드를 직선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또 블레이드의 뒷면과 현상케이스의 외벽과의 사이에는 시일부재가 설치되고, 현상케이스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오목면과 블레이드 홀더와의 사이에는 완충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현상케이스에 이상충격이 작용함으로써 현상롤러와 블레이드가 진동한다 하여도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블레이드홀더의 뒷쪽을 경유하여 외부로 새는 일이 없다.
청구항 6 의 현상장치는,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토너의 입자보다 밀도가 작고 상기 블레이드의 변형에 영향주지 않는 경도(硬度)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현상롤러에 주는 부하를 작게 한 상태에서 블레이드의 뒷면과 시일부재와의 사이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7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케이스에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의 현상장치를 장착하였으므로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7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사 용지상의 전사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현상케이스내의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현상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현상롤러에 자유끝부분쪽이 접촉되는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끝 가장자리와 현상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된 현상롤러의 축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벽이 교차하는 코너를 밀봉하는 코너시일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출구시일의 양 끝부근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코너시일에 의해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현상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현상롤러에 자유끝부분쪽이 접촉하는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끝과 출구시일을 지지하는 평탄면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클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현상케이스의 평탄면으로부터 출구시일의 양끝부분이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출구시일의 양끝 부근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현상장치는, 현상롤러에 자유끝부분쪽이 접촉하는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끝 가장자리와 현상케이스의 양측에 형성된 현상롤러의 축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벽이 교차하는 코너를 밀봉하는 코너시일을 구비하고,또한 출구시일을 지지하기 위해 현상케이스에 형성된 평탄면과 출구시일의 양끝부분과 코너시일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클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출구시일의 양끝 가장자리와 현상케이스의 지지벽과의 사이를 밀봉하는 코너시일과 출구시일의 양끝부분을 클립에 의해 동시에 평탄면에 누를 수 있고, 이 때에 코너시일이 압축되어 구멍이 막히기 때문에 토너가 새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2 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청구항 9 , 10 또는 11의 현상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현상케이스에 있어서의 출구시일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3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1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현상케이스에 있어서의 출구시일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4의 현상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토너 출구가 형성된 현상케이스와 상기 토너 출구에 배치된 롤러부를 가지는 현상롤러와 상기 토너 출구의 양끝부분에 갖추어진 사이드시일과 탄성을 가지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아래 가장자리가 상기 롤러부에 접촉된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이 블레이드는 긴쪽방향의 양끝부분이 상기 사이드시일에 마주하는 길이로 정해진 폭이 넓은 부와, 상기 사이드시일의 사이에서 상기 현상롤러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길이로 정해지고 상기 폭이 넓은 부의 아래쪽에 연속하여 배치된 폭이 좁은 부를 가지고, 상기 폭이 넓은 부분과 상기 폭이 좁은 부분과의 경계가 되는 단부(段部)는 상기 롤러부에 대하는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부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는 현상롤러의 압력에 의해 휘어지는데 폭이 넓은 부분으로써 토너 출구를 사이드시일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막을 수 있다. 또 폭이 좁은 부는 폭이 넓은 부분이 사이드시일에 접촉한 후에도 현상롤러의 압력으로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현상롤러의 롤러부의 양끝 외주부를 사이드시일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상롤러 및 블레이드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5의 현상장치는 청구항14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좁은 부분의 길이는 상기 폭이 넓은 부분이 사이드시일에 접한 후에도 현상롤러의 압력에 의해 상기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구부러질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사이드시일의 내측의 간격보다도 긴 치수로 구성되고 있으므로 토너 출구의 양 내측면과의 사이에 틈이 생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현상롤러 및 블레이드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16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의 현상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현상롤러 및 블레이드의 양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7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16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현상롤러 및 블레이드의 양 끝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18의 발명의 현상장치에 의하면, 토너수납부내에 수납된 회전체의 회전축을 현상장치의 케이스벽에 끼워 통과시키고, 케이스벽의 외측으로 돌출한 회전축의 끝부분에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걸림톱을 기어에 형성한 삽통구에 끼워 통과시켜 이 기어에 탄성적으로 걸고, 기어의 삽통구멍을 폐지하는 외측시일을 기어의 외측면에붙였으므로 회전축 둘레로부터 현상장치 밖으로 누출한 토너가 기어의 삽통구에 새어 들어가도 이 삽통구멍의 외측을 외측시일로 밀봉함으로써 기어의 삽통구멍에 새어 들어간 토너가 주위로 튀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기어의 외측면에 외측시일을 붙이는 간단하고 비용 싼 구조로써 토너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9의 발명의 현상장치에 의하면 토너수납부내에 수납된 회전체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가 끼워 맞추어져 있는 끼워맞춤구멍을 현상장치의 케이스벽에 형성하고 끼워맞춤구멍에 축받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토너수납부에 마주하는 축받이의 한 끝에 회전축이 삽입 통과되는 발포폴리우레탄으로 된 도넛모양의 축받이시일을 고정하고, 이 축받이시일의 외경 치수를 끼워맞춤구멍의 내경 치수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만큼 크게 형성하였으므로 한 끝에 축받이시일을 고정한 축받이를 끼워맞춤구멍에 끼워 맞추었을 때 토너수납부내에 위치하는 축받이시일의 외주부가 끼워맞춤구멍의 내주면과 축받이의 외주면과의 사이를 밀봉하여 끼워맞춤구멍의 내주면과 축받이의 외주면과의 사이로 토너가 새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여 이 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발포폴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은 높은 압축성을 가지며, 동시에 축받이시일 외경치수는 끼워맞춤구멍의 내경치수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만큼 크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축받이의 한 끝에 고정한 축받이시일을 끼워맞춤구멍에 통과시킬 때, 축받이시일은 끼워맞춤구멍을 통과시킬 수 있는 외경치수에 쉽게 압축되어 한 끝에 축받이시일을 고정한 축받이를 끼워맞춤구멍에 끼워 맞추는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축받이의 한 끝에 발포폴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을 고정시킨 비용 싸고간단한 구조로써 토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0의 발명의 현상장치에 의하면 토너수납부내에 수납된 회전체의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가 끼워 맞추어진 끼워맞춤구멍을 현상장치의 케이스벽에 형성하고 끼워맞춤구멍에 축받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상기 토너수납부에 마주하는 축받이의 한 끝에 회전축이 삽입 통과되는 발포폴리우레탄으로 된 도넛 모양의 축받이시일을 고정하고 이 축받이시일의 내경 치수를 상기 축받이의 내경 치수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만큼 작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축받이시일과 축받이에 회전축을 삽입 통과시켰을 때 축받이시일의 내주부가 회전축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축받이의 내주면과 회전축의 외주면과의 사이로 토너가 새어 들어가는 것이 차단되어 이 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 발포폴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은 높은 압축성을 가지고, 동시에 축받이시일의 내경 치수를 축받이의 내경치수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만큼 작게 형성하였으므로 축받이시일에 회전축을 끼워 통과시킬 때에 축받이시일은 회전축을 끼워 통과시킬 수 있는 내경 치수에 쉽게 압축되어 회전축을 축받이시일과 축받이에 삽입 통과시키는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축받이의 한 끝에 발포폴리우레탄제의 축받이시일을 고정시킨 비용 싸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토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1의 발명의 현상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20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회전축에 있어서의 기어와의 끼워맞춤부에 D컷부를 형성하고 회전축에 있어서의 D컷부가 형성된 부분과 D컷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과의 사이에 챔퍼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회전축에 있어서의 D컷부가 형성된 부분과 D컷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과의 사이에급격한 단차부분이 형성되지 않고 회전축을 축받이시일에 삽입 통과시킬 때에 그러한 단차부분이 축받이시일의 내주부에 회전축의 삽입방향을 따라서 맞붙어 축받이시일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22의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하면, 감광체를 회전자유롭게 수납한 감광체유닛과 청구항1 내지 청구항4의 어느 한 현상장치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도 현상장치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둘레로부터 현상장치 밖으로 토너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현상장치에 있어서의 회전축의 둘레로부터 현상장치 밖으로 토너가 새어 나와 그 토너가 기어에 형성된 끼워맞춤구멍에 새어 들어갔을 때, 그 끼워맞춤구로부터 토너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23의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2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현상장치로부터 토너가 새어 나오거나 새어 나온 토너가 사방으로 튀기는 것을 비용 싼 구조로써 방지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의 내부가 현상장치로부터 새어 나온 토너에 의해 더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24의 발명의 감광체유닛에 의하면, 상기 배출토너회수부의 회수구의 긴쪽방향의 가장자리에 붙여진 장방형 모양의 입구시일에 있어서 상기 입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 끝에 그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달아 부착 면적을 넓히는 보강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감광체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고 있는 입구시일에 대하여 감광체의 회전방향을 따른 견인력이 작용하여도 입구시일은 양 끝부분이 중앙으로 모이게 되는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붙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이 때문에 입구시일에 있어서의 감광체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고 있는 부분에 플래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입구시일과 감광체의 외주면과의 미끄럼 접합부분으로부터 배출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5의 발명의 감광체유닛에 의하면, 청구항 24의 감광체유닛에 있어서 입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은 사이드시일의 위에 외측 끝면을 맞추어서 겹쳐져 있으며 입구시일의 끝부분 위에 붙여진 고정부와, 사이드시일과 입구시일과의 외측 끝면에 맞붙는 위치에 붙여진 누출방지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형의 프레스시일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사이드시일과 입구시일이 겹쳐진 곳으로 배출토너가 새어 들어가도 그 배출토너가 입구시일의 끝부분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누출방지부에 의해 차단할 수 있어 입구시일의 끝부분쪽으로부터 배출토너가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26의 발명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롤러를 회전자유롭게 보호지지하는 현상장치와 청구항 24 또는 청구항 25의 감광체유닛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는 배출토너회수부에 회수하는 배출토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27의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청구항 26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내에 설치되어 있는 감광체유닛의 배출토너회수부에 회수되는 배출토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의 내부가 새어 나온 배출토너에 의해 더러워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7)

  1. 현상케이스에 감광체와 마주하는 현상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감광체와 마주하는 외벽에는 블레이드 부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부착면에는 블레이드홀더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블레이드와, 보강판과의 3자가 적층상태로 부착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와 상기 보강판에 의해 끼워진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이 탄성적으로 만곡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적어도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상기 현상롤러측에 있어서의 긴쪽방향의 옆 가장자리 및 그 반대측의 옆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외벽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 시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긴쪽방향의 길이보다 긴 치수로 형성되고, 양 끝이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양 끝 모서리를 따라서 구부러진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 삭제
  3. 감광체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케이스에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현상장치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3항 기재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사 용지상의 전사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현상케이스에 감광체와 마주하는 현상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화상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감광체와 마주하는 외벽에는 양끝 부근에 배치된 블레이드 부착면과 중앙부에 배열되어 상기 블레이드 부착면보다 조금 들어간 오목면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 부착면에는 블레이드홀더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 블레이드와, 보강판과의 3자가 적층상태로 부착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홀더와 상기 보강판과에 의해 끼워진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이 탄성적으로 만곡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적어도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상기 현상롤러측에 있어서의 긴쪽방향의 옆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뒷면과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외벽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높이는 시일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홀더의 중앙부와 상기 오목면과의 사이에는 완충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재는 상기 토너의 입자보다 밀도가 작고, 상기 블레이드의 변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도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7. 감광체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케이스에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의 현상장치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7항 기재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사 용지상의 전사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감광체와 마주하는 토너 출구 및 상기 토너 출구의 아래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감광체를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평탄면이 형성된 현상케이스와,
    상기 현상케이스가 양측에 구비된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부분과 상기 토너 출구에 배치된 롤러부를 가지는 현상롤러와,
    상기 토너 출구의 윗가장자리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의 상부 외주면과의 사이를 막도록 아래가장자리가 상기 롤러부에 접촉된 블레이드와,
    상기 평탄면에 지지되어 상기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자유끝부분쪽이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박편형의 출구시일과,
    상기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끝 가장자리와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지지벽이 교차하는 코너를 밀봉하는 코너시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0. 감광체와 마주하는 토너 출구 및 상기 토너 출구의 아래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감광체를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평탄면이 형성된 현상케이스와,
    상기 현상케이스가 양측에 구비한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부분과 상기 토너 출구에 배치된 롤러부를 가지는 현상롤러와,
    상기 토너 출구의 윗가장자리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의 상부 외주면과의 사이를 막도록 아래가장자리가 상기 롤러부에 접촉된 블레이드와,
    상기 평탄면에 지지되어 상기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자유끝부분쪽이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박편형의 출구시일과,
    상기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끝과 상기 평탄면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1. 감광체와 마주하는 토너 출구 및 상기 토너 출구의 아래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감광체를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평탄면이 형성된 현상케이스와,
    상기 현상케이스가 양측에 구비한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부분과 상기 토너 출구에 배치된 롤러부를 가지는 현상롤러와,
    상기 토너 출구의 윗가장자리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의 상부 외주면과의 사이를 막도록 아래가장자리가 상기 롤러부에 접촉된 블레이드와,
    상기 평탄면에 지지되어 상기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오는 자유끝부분쪽이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에 탄성적으로 접촉된 박편형의 출구시일과,
    상기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에 있어서의 양끝 가장자리와 상기 현상케이스의 상기 지지벽이 교차하는 코너를 밀봉하는 코너시일과,
    상기 출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끝과 상기 평탄면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2. 감광체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케이스에 청구항 9, 10또는 청구항 11의 현상장치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청구항 12기재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사 용지상의 전사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감광체와 마주하는 토너 출구가 형성된 현상케이스와,
    상기 현상케이스가 양측에 구비한 지지벽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축부분과 상기 토너 출구에 배치된 롤러부를 가지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에 있어서의 긴쪽방향의 양끝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토너 출구의 양 끝부분에 설치된 사이드시일과,
    탄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얇은 판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토너 출구의 윗가장자리와 상기 현상롤러의 상기 롤러부의 상부 외주면과의 사이를 막도록 아래가장자리가 상기 롤러부에 접촉된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이 상기 사이드시일에 마주하는 길이로 정해진 폭이 넓은 부분과, 상기 토너 출구의 양측에 갖추어진 상기 사이드시일의 사이에서 상기 현상롤러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길이로 정해지고 상기 폭이 넓은 부분의 아래쪽에 연속하여 배치된 폭이 좁은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폭이 넓은 부분과 상기 폭이 좁은 부분과의 경계가 되는 단부(段部)는 상기 롤러부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부보다도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좁은 부분의 길이는 이 폭이 넓은 부분이 사이드시일에 맞붙은 후에도 현상롤러의 압력에 의해 상기 토너 출구의 안쪽을 향하여 구부러질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사이드시일의 내측의 간격보다도 긴 치수로 정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6. 감광체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감광체케이스에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의 현상장치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청구항 16기재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의해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사 용지상의 전사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내부에 토너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수납부내에 회전체가 회전자유롭게 수납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이 케이스벽을 삽입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벽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회전축의 끝부분에 형성된 가요성을 갖는 걸림톱이 기어에 형성된 삽통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이 기어에 탄성적으로 걸려지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통구멍을 폐지하는 외측시일을 상기 기어의 외측면에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9. 내부에 토너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수납부내에 회전체가 회전자유롭게 수납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이 케이스벽을 삽입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벽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회전축의 끝부분에 기어가 끼워 맞추어 지는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벽에 끼워맞춤구멍을 형성하고, 이 끼워맞춤구멍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를 끼워 맞추고, 상기 끼워맞춤구멍에 상기 축받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상기 토너수납부에 마주하는 상기 축받이의 한끝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 통과되는 발포폴리우레탄으로 된 도넛 모양의 축받이시일을 고정하고, 상기 축받이시일의 외경치수를 상기 끼워맞춤구멍의 내경 치수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0. 내부에 토너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수납부내에 회전체가 회전자유롭게 수납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이 케이스벽을 삽입 통과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벽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회전축의 끝부분에 기어가 끼워 맞추어 지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벽에 끼워맞춤구멍을 형성하고, 이 끼워맞춤구멍에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받이를 끼워 맞추며, 상기 끼워맞춤구멍에 상기 축받이를 끼워 맞추었을 때에 상기 토너수납부에 마주하는 상기 축받이의 한끝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 통과되는 발포폴리우레탄으로 된 도넛모양의 축받이시일을 고정하고, 상기 축받이시일의 내경치수를 상기 축받이의 내경치수보다 반경방향으로 0.2~1.0mm만큼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와의 끼워맞춤부분에 D컷부를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에 있어서의 상기 D컷부가 형성된 부분과 상기 D컷부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과의 사이에 챔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22. 감광체를 회전자유롭게 수납한 감광체유닛과, 청구항18 내지 청구항21의 어느 한 현상장치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제22항 기재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감광체의 외주면을 노광시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부와,
    상기 현상장치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 현상화된 상기 감광체위의 토너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상기 전사 용지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4. 감광체를 회전자유롭게 보호지지하고, 이 감광체의 외주면에 잔류한 배출토너를 회수하는 배출토너 회수부가 형성된 감광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이 감광체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상기 배출토너 회수부의 회수구와, 상기 회수구의 긴쪽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의 끝부분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되는 사이드시일과 상기 회수구의 긴쪽방향을 따른 한쪽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체의 외주면에 잔류한 배출토너를 긁어 떨어뜨리는 장방형 모양의 블레이드와, 상기 회수구의 긴쪽방향을 따른 다른 한쪽의 가장자리에 붙여져 상기 감광체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합하는 장방형 모양의 입구시일을 구비하는데,
    상기 입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 끝에 그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달아 붙임 면적을 넓게 한 보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시일의 긴쪽방향의 양 끝부분은 상기 사이드시일의 위에 외측 끝면을 맞추어서 겹쳐져 있으며, 상기 입구시일의 끝부분 위에 붙여진 고정부와, 상기 사이드시일과 상기 입구시일과의 외측 끝면에 맞붙는 위치에 붙여진 누출방지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형의 프레스시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체유닛.
  26. 현상롤러를 회전자유롭게 보호지지하는 현상장치와, 청구항 24 또는 청구항 25의 감광체유닛을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7. 제26항 기재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상기 감광체의 외주면을 노광시켜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잠상형성부와, 상기 현상롤러에 의해 토너를 공급받아 현상화된 상기 감광체위의 토너상을 전사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장치와,
    상기 전사 용지에 전사된 토너상을 정착시키는 정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90045808A 1998-10-22 1999-10-21 감광체유닛,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KR100338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01327 1998-10-22
JP10-301326 1998-10-22
JP30132698 1998-10-22
JP30132798 1998-10-22
JP30132998 1998-10-22
JP10-301329 1998-10-22
JP10-303848 1998-10-26
JP30384898 1998-10-26
JP30845498 1998-10-29
JP10-308456 1998-10-29
JP30845698 1998-10-29
JP10-308454 1998-10-29
JP36744098 1998-12-24
JP36743998 1998-12-24
JP10-367440 1998-12-24
JP10-367439 1998-12-24
JP18468799A JP3825939B2 (ja) 1998-10-22 1999-06-30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11-184687 199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230A KR20000029230A (ko) 2000-05-25
KR100338721B1 true KR100338721B1 (ko) 2002-05-30

Family

ID=2757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808A KR100338721B1 (ko) 1998-10-22 1999-10-21 감광체유닛,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12343B1 (ko)
JP (1) JP3825939B2 (ko)
KR (1) KR100338721B1 (ko)
CN (1) CN112981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9279B1 (en) * 1999-08-23 2003-10-08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assembling a developing device
JP3126967B1 (ja) * 1999-10-29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3283500B2 (ja) * 2000-06-28 2002-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2207338A (ja) 2001-01-10 2002-07-26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の色ずれ検出方法,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042127B2 (ja) 2001-01-10 2008-02-06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6487383B2 (en) 2001-04-12 2002-11-26 Lexmark International, Inc. Dynamic end-seal for toner development unit
JP4342742B2 (ja) 2001-04-16 2009-10-1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該トナー補給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375918B2 (ja) 2001-04-26 2009-12-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553195B2 (en) 2001-09-27 2003-04-22 Kurt Matthew Korfhage Dynamic end seal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7136600B2 (en) * 2002-02-28 2006-11-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ntroller driving image carriers
JP3997817B2 (ja) * 2002-04-02 2007-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12549A (ja) * 2002-06-03 2004-01-15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の色ずれ検出方法、その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7212767B2 (en) * 2002-08-09 2007-05-01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removably mounted thereto
JP2004109631A (ja) * 2002-09-19 2004-04-0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04683B2 (ja) * 2002-09-24 2004-12-22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タンデムドラム式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に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139031A (ja) * 2002-09-24 2004-05-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補給用トナー収容器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EP1431837B1 (en) * 2002-12-20 2014-12-03 Ricoh Company, Ltd. A 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stallable process cartridges
JP4695335B2 (ja) * 2003-02-28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383898B2 (ja) *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03095B1 (ko) * 2003-10-18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 카트리지
KR100520932B1 (ko) * 2003-11-24 2005-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토너층 규제 블레이드 및 이를 채용한현상유닛
JP2005221825A (ja) * 2004-02-06 2005-08-18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トナー容器、トナー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4656561B2 (ja) * 2004-03-05 2011-03-2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トナー補給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292802B2 (en) * 2004-07-29 2007-11-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of developing apparatus
JP2006039429A (ja) * 2004-07-29 2006-02-09 Brother Ind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JP4496111B2 (ja) 2005-03-14 2010-07-07 株式会社リコー 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623807B2 (en) * 2005-12-15 2009-11-24 Lexmark International, Inc. Dynamic seal for component surfaces
JP2009058814A (ja) * 2007-08-31 2009-03-19 Kyocera Mita Corp 現像装置
US8099012B2 (en) 2007-12-18 2012-01-17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eloper roll lip seal
US8116657B2 (en) 2007-12-18 2012-02-14 Lexmark International, Inc. Upper seal for inhibiting doctor blade toner leakage
JP4968222B2 (ja) * 2007-12-28 2012-07-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ブレード組立体
JP5097683B2 (ja) * 2008-11-14 2012-12-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Oa用ブレード
KR101545841B1 (ko) * 2008-12-01 2015-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
JP4666070B2 (ja) * 2008-12-24 2011-04-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EP2273318A3 (en) * 2009-07-08 2016-08-31 Ricoh Company, Ltd. Develop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92007B2 (ja) * 2009-10-29 2014-01-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回収物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5573613B2 (ja) * 2010-11-09 2014-08-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04751B2 (ja) * 2011-01-11 201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644725B2 (en) 2011-05-18 2014-02-04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le stiffness seal for imaging component surfaces
JP5456142B2 (ja) * 2011-11-09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MX368873B (es) * 2011-11-25 2019-10-21 Ricoh Co Ltd Recipiente para polvo y aparato formador de imagen.
US9020405B2 (en) * 2012-01-12 2015-04-28 Lexmark International, Inc. Bias member for the doctor blade of the developer unit in an imaging Device
JP5919849B2 (ja) * 2012-01-31 2016-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5948977B2 (ja) 2012-03-06 2016-07-0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962379B2 (ja) * 2012-09-21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557681B2 (en) 2012-12-26 2017-01-3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170233B2 (en) 2013-04-23 2015-10-27 Ricoh Company, Ltd. Magnetic permeability detector,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oscillation signal frequency calculation method therefor
JP6131800B2 (ja) * 2013-09-20 2017-05-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584138B2 (ja) 2014-06-17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9523940B2 (en) 2014-12-15 2016-12-20 Ricoh Company, Ltd. Powder detector,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der detec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4436B2 (ja) 1991-02-06 2000-07-1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DE4446997B4 (de) 1993-12-28 2005-11-24 Ricoh Co., Ltd. Entwicklungsvorrichtung für eine Bilderzeugungseinrichtung
JPH0815990A (ja) 1994-04-28 1996-01-19 Ricoh Co Ltd 現像装置
US5625438A (en) 1994-05-12 1997-04-29 Ricoh Company, Ltd. Toner, and devices for electrostatically depositing a uniform application thereof
US5689782A (en) 1994-06-08 1997-11-18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apparatus for electronic photographic recording equipment, having two developer transfer rollers
JPH0882999A (ja) 1994-09-09 1996-03-2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882998A (ja) 1994-09-09 1996-03-26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08146747A (ja) 1994-11-23 1996-06-07 Ricoh Co Ltd 現像装置
JP3501428B2 (ja) 1994-12-16 2004-03-0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搬送ローラ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8179618A (ja) 1994-12-21 1996-07-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472054B2 (ja) * 1996-12-27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磁気シール取り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12343B1 (en) 2001-04-03
CN1252544A (zh) 2000-05-10
CN1129816C (zh) 2003-12-03
JP3825939B2 (ja) 2006-09-27
KR20000029230A (ko) 2000-05-25
JP2000242077A (ja) 200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721B1 (ko) 감광체유닛, 현상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
US7349657B2 (en) Developer feeding member,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feeding member mounting method
JP3445202B2 (ja) トナー補給容器
JP3450741B2 (ja) トナー補給容器
US8326185B2 (en) Developing device having stirring portion with a sweeping edge to carry developer
US5455665A (en) Cleaning apparatus with a member to prevent peeling of a guide member, and 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1430365B1 (en) Dynamic end-seal for toner development unit
US20040001727A1 (en) Developer seal member and developing apparatus using the seal
JP3245512B2 (ja) 画像形成装置
US5404216A (en) Clean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cleaning device
US6044237A (en) Developing apparatus
US20010048824A1 (en) Seal structure
JP411390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3994109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0102784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3285181B2 (ja) 廃トナー回収装置、廃トナー回収部を具えたトナーコンテナ及び該コンテナ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410814B2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74997B2 (ja) 回転体のサイドシール構造
JP2005352512A5 (ko)
JP3011601B2 (ja) クリーニングローラ用軸受及びこれを含むクリーニング装置
JP321988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29332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160163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4208521B2 (ja) 現像剤補給容器
JP2023097317A (ja) ドラ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