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418B1 -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 Google Patents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418B1
KR100337418B1 KR1019960700702A KR19960700702A KR100337418B1 KR 100337418 B1 KR100337418 B1 KR 100337418B1 KR 1019960700702 A KR1019960700702 A KR 1019960700702A KR 19960700702 A KR19960700702 A KR 19960700702A KR 100337418 B1 KR100337418 B1 KR 100337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luidine
pyridyl
weight
wat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3513A (ko
Inventor
도끼야 기무라
다께시 신도
가즈따까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703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3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진균 활성 성분으로서의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 계면활성제 그리고 캐리어를 포함하고, 1% 수현탁액이 약산성인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플루아진암은 농업용 혹은 원예용 살진균제의 활성 배합성분이며, 그것을 물로 희석하여 분무할 수 있는 제조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습윤성(濕潤性) 분말이나 농축 현탁액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습윤성 분말과 같은 분말 제조품은 무게를 달 때나 이용 형태로 준비할 때 분진이 날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농축 현탁액과 같은 액체 제조품은 사용후의 오염된 병의 처리상의 문제점이 있다. 그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처리의 하나로서, 습윤성 분말을 과립화하려는 시도가 최근 몇 해 사이에 있어왔다.
그러나, 플루아진암을 함유하는 습윤성 분말의 과립화를 시도하는 경우, 물에서의 분산성 및 현탁성이 감소되며, 그 결과의 제품은 색이 변하게 된다. 물에서의 분산성 또는 현탁성이 감소되면, 균일하게 살포하기가 어려운 경향이 있으며, 분무 노즐이 막히게 되기 쉽다. 그 결과로서, 살진균 활성은 낮게 되거나 균일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고, 그와 같은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실질적으로 색이 변하는 변화와 함께, 살진균 활성 성분 혹은 그것의 보조약제들에 어떤 화학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때로는 그 상업적 가치가 낮게 되는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품은 때로는 살충 상품으로 용인되기가 정말 어려운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 (이하 플루아진암 (fluazinam) 이라 칭함) 이라는 살진균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살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에서의 분산성 및 현탁성의 감소 없이 변색 (變色) 을 억제시킨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루아진암을 활성 배합성분으로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로서 물에서의 분산성 및 현탁성의 감소 없이 변색을 억제시킨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각종 성분들을 함유하는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들을 제조하여 내구 (耐久) 시험 후의 물에서의 분산성 및 현탁성을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 그들은 뜻밖에도 수분산성 과립의 산성도와 물에서의 분산성 및 현탁성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더욱이,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을 물에 현탁시킬 때, 그것이 약산성(acescence) 이도록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을 조정함으로써 그제품의 변색이 억제될 수가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들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살진균 활성 성분으로서의 플루아진암, 계면활성제 그리고 캐리어(carrier)를 함유하고, 1 % 수(水)현탁액이 약산성인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을 제공한다.
상기 수분산성 과립의 살진균 활성 성분은 플루아진암만을 함유하는 것이거나, 혹은 플루아진암 이외에도, 물에서의 분산성 및 현탁성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배합성분에는, 예를 들면, 1-(2-시아노-2-메톡시이미노아세틸)-3-에틸우레아 (이하 시목사닐 (cymoxanil) 이라 칭함),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이하 클로로탈로닐 (chlorothalonil) 이라 칭함), 디메틸 4,4'-(o-페닐렌)비스(3-티오알로파네이트)(이하 티오파네이트-메틸 (thiophanate-methyl) 이라 칭함), 4-[3-(4-클로로페닐)-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오일]모르폴린 (이하 디메토모르프 (dimethomorph)라 부름), (RS)-3-(3,5-디클로로페닐)-5-메틸-5-비닐-1,3-옥사졸리딘-2,4-디온 (이하 빈클로졸린 (vinclozolin) 이라 칭함), 3-(3,5-디클로로페닐)-N-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카르복사미드 (이하 이프로디온 (iprodione) 이라 칭함), N-(3,5-디클로로페닐)-1,2-디메틸시클로프로판-1,2-디카르복시미드 (이하 프로시미돈 (procymidone) 이라 칭함), 3'-이소프로폭시-o-톨루아닐리드 (이하 메프로닐이라 칭함), α,α,α-트리플루오로-3'-이소프로폭시-o-톨루아닐리드 (이하 플루톨아닐(flutolanil) 이라 칭함), 메틸 (E)-메톡시이미노-[α-(o-톨릴옥시)-o-톨릴]아세테이트, 메틸 (E)-2-{2-[6-(2-시아노페녹시)피리미딘-4-일옥시]페닐}-3-메톡시아크릴레이트, (E)-2-메톡시이미노-N-메틸-2-(2-페녹시페닐)아세트아미드, N-(4,6-디메틸피리미딘-2-일)아닐린 (이하 피리메트아닐 (pyrimethanil) 이라 칭함) 또는 2-아닐리노-4-메틸-6-(1-프로피닐)피리미딘 (이하 메파니피림 (mepanipyrim) 이라 칭함)등이 될 수 있다. 그것들 중에서도, 시목사닐, 클로로탈로닐, 티오파네이트-메틸 또는 디메토모르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에는 (1) 살진균 활성성분으로서 플루아진암만을 함유한 것, 그리고 (2) 살진균 활성 성분으로서 플루아진암과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을 함유한 것 등이 있다.
상기의 계면활성제로서는, 여러 가지 형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非)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에 유용한 계면활성제로서는 다음의 예들이 주어질 수 있겠지만, 유용한 계면활성제는 그와 같은 특정한 예들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C12-C18알킬술포네이트
·C8-C12알킬페닐술포네이트
·모노-또는 디-C8-C12알킬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C12-C18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C8-C12알킬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중합체 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모노- , 디- 또는 트리-스티릴 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C12-C18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C8-C12알킬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모노- , 디- 또는 트리-스티릴 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디- C6-C8알킬술포숙시네이트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모노- 또는 디- C1-C4알킬나프탈렌 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리그닌 술포네이트
·폴리아크릴산의 염(鹽)
·카르복실기들이 있는 공중합체의 알칼리 금속염.
상기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은 염 혹은 산(酸)의 형태로 사용될 수가 있다. 염으로서는, 나트륨염이나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들, 칼슘염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들, 암모늄염들, 또는 아민염들이 언급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C12-C18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C8-C12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테르 모노- , 디- 또는 트리-스티릴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C12-C18지방산 에스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코올)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더욱이, 본 발명의 수분산성 과립은 1% 수현탁액이 약산성을 띨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로 제조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나 양쪽성 계면활성제조차도 그것이 상기의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이면서 기능은 손상시키는 것이 아니라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의 캐리어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 분말이나 수용성 분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 분말로서는, 예를 들면, 규조토, 탈크, 점토, 벤토나이트,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수용성 분말로서는, 유당 (乳糖), 과당 (果糖) 또는 포도당 등의 사카라이드, 또는 염, 예를 들면, 염산이나 질산 등과 같은 무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혹은 암모늄염, 황산, 인산이나 붕산 등과 같은 무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부분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혹은 부분 암모늄염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부분 알칼리 금속염 또는 부분 암모늄염에는, 예를 들면, 소듐 히드로겐술페이트, 소듐 모노히드로겐포스페이트, 소듐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또는 암모늄 히드로겐술페이트 등이 있다.
상기 각 성분들의 적합한 배합 비율은 일반적으로 규정될 수가 없으며, 그 이유는 그 특성들은 배합물 성분 및 배합 방법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통상, 살진균 활성 성분은 20 중량% 내지 94 중량% 이고, 계면활성제는 2 중량% 내지 30 중량% 이며, 캐리어는 1 중량% 내지 78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과립은 1% 수현탁액 (수분산성 과립의 증류수 현탁액)이 약산성을 띨 수 있도록 제조된 조성물이다. 약산성은 pH 5.0 내지 pH 6.8 이 좋다. 상기 1% 수현탁액의 pH 가 5.0 미만이면, 비록 변색은 전혀 관찰되지 않을지라도, 물에서의 분산성 및 현탁성은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 pH 가 6.8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록 분산성 및 변색성의 저하는 전혀 관찰되지 않을지라도, 변색은 관찰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살진균 활성 성분, 계면활성제 그리고 캐리어를 혼합하더라도 그 1% 수현탁액이 약산성이 아닐 경우, 원하는 약산성을 얻기 위하여 pH 조절제를 따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로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시트르산, 말론산, 말레산, 푸마르산, 숙신산, 말산 또는 타르타르산 등의 유기 카르복실산이나, 혹은 황산, 인산 또는 붕산 등의 비휘발성 무기산이 사용될 수 있다.
pH 조절제의 추가 혼합 비율은 수분산성 과립의 0 중량% 내지 3 중량% 이다.
따라서, 1% 수현탁액의 원하는 약산성을 성취할 수 있는 방법은,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로서 하나 이상의 산성 음이온 계면활성제, 캐리어 또는 pH 조절제로서 하나 이상의 산성 무기 분말 또는 산성 수용성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과립의 제조를 위해 살진균 활성 성분을 습식-분쇄 (濕式粉碎) 시키는 경우, 디메틸 폴리실록산과 같은 발포억제제를 혼입 (混入)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산성 과립은 압출성형 과립화, 분무건조 과립화, 유동층 과립화, 회전연마(tumbling) 과립화 또는 교반 과립화 등의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가 있다. 그렇지만, 압출성형 과립화, 분무건조 과립화 또는 유동층 과립화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압출성형 과립화에서는, 예를 들면, 80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의 플루아진암과 소량의 캐리어를 혼합·분쇄하여 분쇄 혼합물을 얻거나, 혹은 2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의 플루아진암,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계면활성제, 0 중량부 내지 0.2 중량부의 발포억제제와 19 중량부 내지 79 중량부의 물을 혼합, 그리고 나서 습식-제분하여 슬러리를 얻는다. 이 분쇄 혼합물 또는 슬러리에, 계면활성제와 캐리어, 그리고, 필요하다면, pH 조절제를 첨가한다. 혼합물을 혼합하고, 거기에 물을 가하고, 혼합물을 반죽하며 그 다음에는 압출성형기로 과립화한 다음, 건조시킨다. 여기서, 각 성분들의 양은 플루아진암이 20 중량% 내지 94 중량%, 계면활성제가 2 중량% 내지 30 중량%, pH 조절제는 3 중량% 이하, 발포억제제는 0.2 중량% 이하 그리고 캐리어는 1 중량% 내지 78 중량% 인 정도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의 분쇄 혼합물 또는 상기의 슬러리에,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과 상기 지정된 양의 계면활성제, 캐리어 그리고, 필요하다면, pH 조절제를 혼합하고, 거기에 물을 첨가한다. 혼합물을 반죽하며, 그리고 나서 압출성형기로 과립화한 다음, 건조시킨다. 상기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은 플루아진암과 혼합·분쇄시켜 상기 분쇄 혼합물을 얻을 수 있으며, 혹은 플루아진암과 혼합·습식-제분시켜 상기 슬러리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플루아진암 및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의 총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20 중량% 내지 94 중량% 이다.
분무건조 과립화 또는 유동층 과립화에서는, 예를 들면, 2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의 플루아진암,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계면활성제, 0 중량부 내지 0.2 중량부의 발포억제제와 19 중량부 내지 79 중량부의 물을 혼합, 그리고 나서 습식-제분하여 슬러리를 얻는다. 이 슬러리에, 캐리어 그리고, 필요하다면,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및 물을 첨가한 다음, 혼합시켜 준다. 혼합물은 분무건조기나 유동층 제립기(製粒機), 혹은 그 둘이 통합된 장치 (이를 테면 유동층 분무건조기) 로 과립화시키고, 그리고 나서 건조시킨다. 여기서, 각 성분들의 양은 플루아진암이 20 중량% 내지 94 중량%, 계면활성제가 2 중량% 내지 30 중량%, pH 조절제는 3 중량% 이하, 발포억제제는 0.2 중량% 이하, 그리고 캐리어는 1 중량% 에서 78 중량% 인 정도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1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의 플루아진암, 10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의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계면활성제, 0 중량부 내지 0.2 중량부의 발포억제제와 19 중량부 내지 79 중량부의 물을 혼합하여, 그리고 나서 습식-제분하여 슬러리를 얻는다. 그 슬러리에, 캐리어 그리고, 필요하다면,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및 물을 첨가하고, 그리고 나서 혼합시킨다. 혼합물은 분무건조기나 유동층 제립기, 혹은 그 둘이 통합된 장치(이를 테면 유동층 분무건조기) 로 과립화시키고, 그리고 나서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또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은 습식-제분 후에 첨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플루아진암 및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의 총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20 중량% 내지 94 중량% 이다.
이제,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더욱 더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그와 같은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이해하여 둘 필요가 있다.
실시예 1
96 중량부의 플루아진암과 4 중량부의 미세 실리카를 분사 제분기 (jet mill) 로 분쇄시켰다. 이 분쇄 혼합물의 85 중량부와 다음의 성분들 (1) 내지 (5)를 혼합하였다 :
(1)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Soprophor 4D384,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2 중량부
(2) 메틸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Supragil MNS/90,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3) 카르복실기들이 있는 공중합체의 나트륨염과 폴리옥시에틸렌디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의 혼합물 (Geropon SC211,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4) 소듐 술페이트 ㆍㆍㆍㆍ 4.5 중량부
(5) 시트르산 ㆍㆍㆍㆍ 0.5 중량부
그 다음에는, 거기에 물을 첨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압출성형기 (스크린 : 직경 0.8 mm) 로 반죽·과립화한 다음 건조시켜 수분산성 과립을 얻었다.
실시예 2
96 중량부의 플루아진암과 4 중량부의 미세 실리카를 분사 제분기로 분쇄시켰다. 상기 분쇄 혼합물의 85 중량부와 다음의 성분들 (1) 내지 (4) 를 혼합하였다:
(1)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 에테르 포스페이트
(Soprophor 3D33,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2 중량부
(2) 메틸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Supragil MNS/90,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3) 카르복실기들이 있는 공중합체의 나트륨염과 폴리옥시에틸렌 디스티릴페닐에테르 술페이트의 혼합물 (Geropon SC211,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4) 소듐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디히드레이트 ㆍㆍㆍㆍ 5 중량부
그 다음에는, 거기에 물을 첨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압출성형기 (스크린 : 직경 0.8 mm) 로 반죽·과립화하였으며, 그 다음에 건조시켜 수분산성 과립을 얻었다.
실시예 3
(1) 플루아진암 ㆍㆍㆍㆍ 72 중량부
(2)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Soprophor 4D384,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1.5 중량부
(3) 디메틸 폴리실록산 ㆍㆍㆍㆍ 0.1 중량부
(4) 물 ㆍㆍㆍㆍ 26.4 중량부
상기의 성분들 (1) 내지 (4) 를 비드(beads) 분쇄기로 혼합·제분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그리고 나서, 이 슬러리의 85 중량부와 다음의 성분들 (5) 내지 (8)을 혼합하였다 :
(5) 메틸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Supragil MNS/90,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6 중량부
(6) 카르복실기들이 있는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Geropon T/36,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3 중량부
(7) 소듐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디히드레이트 ㆍㆍㆍㆍ 10 중량부
(8) 소듐 술페이트 ㆍㆍㆍㆍ 5 중량부
그 다음에는, 거기에 물을 첨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압출성형기 (스크린 : 직경 0.8 mm) 로 반죽·과립화하였으며, 그 다음에 건조시켜 수분산성 과립을 얻었다.
실시예 4
96 중량부의 플루아진암과 4 중량부의 미세 실리카를 분사 제분기로 분쇄시켰다. 상기 분쇄 혼합물의 63 중량부와 다음의 성분들 (1) 내지 (5) 를 혼합하였다 :
(1) 시목사닐 ㆍㆍㆍㆍ 19 중량부
(2) 폴리옥시에틸렌 트리스티릴 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Soprophor 4D384,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2 중량부
(3) 메틸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Supragil MNS/90,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4) 카르복실기들이 있는 공중합체의 나트륨염과 폴리옥시에틸렌 디스티릴페닐에테르 술페이트의 혼합물 (Geropon SC211,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2 중량부
(5) 소듐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디히드레이트 ㆍㆍㆍㆍ 8 중량부
그 다음에는, 거기에 물을 첨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압출성형기 (스크린 : 직경 0.8 mm) 로 반죽·과립화하였으며, 그 다음에 건조시켜 수분산성 과립을 얻었다.
실시예 5
96 중량부의 플루아진암과 4 중량부의 미세 실리카를 분사 제분기로 분쇄시켰다. 상기 분쇄 혼합물의 30 중량부와 다음의 성분들 (1) 내지 (6) 을 혼합하였다:
(1) 티오파네이트-메틸 ㆍㆍㆍㆍ 50 중량부
(2)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Soprophor 4D384,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2 중량부
(3) 메틸나프탈렌 술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Supragil MNS/90,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4) 카르복실기들이 있는 공중합체의 나트륨염과 폴리옥시에틸렌 디스티릴페닐에테르 술페이트의 혼합물 (Geropon SC211,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5) 포타슘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ㆍㆍㆍㆍ 4 중량부
(6) 소듐 술페이트 ㆍㆍㆍㆍ 6 중량부
그 다음에는, 거기에 물을 첨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압출성형기 (스크린 : 직경 0.8 mm) 로 반죽·과립화하였으며, 그 다음에 건조시켜 수분산성 과립을 얻었다.
실시예 6
96 중량부의 플루아진암과 4 중량부의 미세 실리카를 분사 제분기로 분쇄시켰다. 상기 분쇄 혼합물의 40 중량부와 다음의 성분들 (1) 내지 (6) 을 혼합하였다:
(1) 디메토모르프 ㆍㆍㆍㆍ 40 중량부
(2)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Soprophor 4D384,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2 중량부
(3) 메틸나프탈렌 술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Supragil MNS/90,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4) 카르복실기들이 있는 공중합체의 나트륨염과 폴리옥시에틸렌디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의 혼합물 (Geropon SC211,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5) 포타슘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ㆍㆍㆍㆍ 5.4 중량부
(6) 소듐 술페이트 ㆍㆍㆍㆍ 4.6 중량부
그 다음에는, 거기에 물을 첨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압출성형기 (스크린 : 직경 0.8 mm) 로 반죽·과립화하였으며, 그 다음에 건조시켜 수분산성 과립을 얻었다.
실시예 7
(1) 플루아진암 ㆍㆍㆍㆍ 60 중량부
(2)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Soprophor 4D384,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1.5 중량부
(3) 디메틸 폴리실록산 ㆍㆍㆍㆍ 0.1 중량부
(4) 물 ㆍㆍㆍㆍ 38.4 중량부
상기의 성분들 (1) 내지 (4) 를 비드 분쇄기로 혼합·제분하여 슬러리를 얻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슬러리의 67 중량부와 다음의 성분들 (5) 내지 (8) 을 혼합하였다 :
(5) 메틸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Supragil MNS/90,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3.5 중량부
(6) 카르복실기들이 있는 공중합체의 나트륨염 (Geropon T/36,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1.5 중량부
(7) 소듐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디히드레이트 ㆍㆍㆍㆍ 3.8 중량부
(8) 물 ㆍㆍㆍㆍ 24.2 중량부
그 다음에는, 그 혼합물을 유동층 분무건조기로 과립화하였고, 그 다음에 건조시켜 수분산성 과립을 얻었다.
각 배합 제조물들에 대해, 내구 시험 전·후의 물에서의 분산성 및 현탁성 그리고 변색이 시험되었다.
내구 시험은 각 배합 제조물들을 유리병들에 넣음으로써 수행되었으며, 항온(恒溫) 오븐에서 2 주 동안 54℃ 로 그 유리병들을 밀봉·보관하였다.
pH : 100 ㎖ 의 증류수에 배합 제조물 1 g 을 분산시킨 다음, 유리 전극 pH 미터를 써서 pH 를 측정하였다.
물에서의 분산성 : 100 ㎖ 실린더에, 100 ㎖ 의 표준수(標準水) (농업용 약제에 대한 일본의 공인된 시험법 : Na+와 K+를 CaCO3의 농도까지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53.6 ppm 을 포함하고 있는 표준 경수(硬水) 를 도입하였고, 거기에 배합 제조물 0.5 g 을 첨가하였다. 1 분이 지난 후, 실린더를 거꾸로 하였고, 과립들이 붕해될 때까지 실린더를 거꾸로 한 횟수 (X) 를 세었다.
물에서의 현탁성 : 100 ㎖ 실린더에, 상기의 표준수 100 ㎖ 를 도입하였고, 거기에 배합 제조물 0.5 g 을 첨가하였다. 1 분이 지난 후, 실린더를 1 분당 30 차례 거꾸로 하였다. 그에 의해 얻어진 현탁액은 눈금이 있는 100 ㎖ 원추(圓錐)형의 원심관에 옮겨 넣고 15 분간 가만히 그대로 두었으며, 그리하여 침강 체적 (Y ㎖) 이 측정되었다.
색 : 눈(眼)으로 평가함.
그 결과들은 표 1 에 나타나 있다.
비교예 1
96 중량부의 플루아진암과 4 중량부의 미세 실리카를 분사 제분기로 분쇄시켰다. 상기 분쇄 혼합물의 85 중량부와 다음의 성분들 (1) 내지 (4) 를 혼합하였다:
(1)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Soprophor 4D384,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2 중량부
(2) 메틸나프탈렌술포네이트, 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Supragil MNS/90,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3) 카르복실기들이 있는 공중합체의 나트륨염과 폴리옥시에틸렌디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의 혼합물 (Geropon SC211,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4) 소듐 술페이트 ㆍㆍㆍㆍ 5 중량부
그 다음에는, 거기에 물을 첨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압출성형기 (스크린 : 직경 0.8 mm) 로 반죽·과립화하였으며, 그 다음에 건조시켜서 수분산성 과립을 얻었다.
비교예 2
96 중량부의 플루아진암과 4 중량부의 미세 실리카를 분사 제분기로 분쇄시켰다. 상기 분쇄 혼합물의 85 중량부와 다음의 성분들 (1) 내지 (5) 를 혼합하였다:
(1)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
(Soprophor 4D384,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2 중량부
(2) 메틸나프탈렌술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의 나트륨염
(Supragil MNS/90,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3) 카르복실기들이 있는 공중합체의 나트륨염과 폴리옥시에틸렌디스티릴페닐 에테르 술페이트의 혼합물 (Geropon SC211, 롱-쁠랑 제품) ㆍㆍㆍㆍ 4 중량부
(4) 소듐 술페이트 ㆍㆍㆍㆍ 3 중량부
(5) 시트르산 ㆍㆍㆍㆍ 2 중량부
그 다음에는, 거기에 물을 첨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압출성형기 (스크린 : 직경 0.8 mm) 로 반죽·과립화하였으며, 그 다음에 건조시켜서 수분산성 과립을 얻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에서의 분산성 및 현탁성의 감소 없이 물에 우수하게 분산되고 최종 제품은 안정화된 색을 갖는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과립을 얻을 수가 있다. 그리하여 얻어진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은 분진이 날리는 문제점과 예를 들어, 습윤성 분말이나 농축 현탁액에 고유하게 사용되는 오염된 병의 처리와 같은 문제점이 없다.

Claims (10)

  1. 살진균 활성 성분으로서의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 계면활성제 및 캐리어(carrier)가 포함된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으로서, 이의 1% 수(水)현탁액이 약산성인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약산성도가 pH 5.0 내지 pH 6.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3. 제 1 항에 있어서, 살진균 활성 성분은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 단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4. 제 1 항에 있어서, 살진균 활성 성분은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과 또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은 1-(2-시아노-2-메톡시이미노아세틸)-3-에틸우레아,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디메틸 4,4'-(o-페닐렌)비스(3-티오알로파네이트), 4-[3-(4-클로로페닐)-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로일]모르폴린, (RS)-3-(3,5-디클로로페닐)-5-메틸-5-비닐-1,3-옥사졸리딘-2,4-디온, 3-(3,5-디클로로페닐)-N-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카르복사미드, N-(3,5-디클로로페닐)-1,2-디메틸시클로프로판-1,2-디카르복시미드, 3'-이소프로폭시-o-톨루아닐리드, α,α,α-트리플루오로-3'-이소프로폭시-o-톨루아닐리드, 메틸-(E)-메톡시이미노 [α-(o-톨릴옥시)-o-톨릴]아세테이트, 메틸 (E)-2-{2-[6-(2-시아노페녹시)피리미딘-4-일옥시]페닐}-3-메톡시아크릴레이트, (E)-2-메톡시이미노-N-메틸-2-(2-페녹시페닐)아세트아미드, N-(4,6-디메틸피리미딘-2-일)아닐린 또는 2-아닐리노-4-메틸-6-(1-프로피닐)피리미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은 1-(2-시아노-2-메톡시이미노아세틸)-3-에틸우레아,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디메틸 4,4'-(o-페닐렌)비스(3-티오알로파네이트) 또는 4-[3-(4-클로로페닐)-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로일]모르폴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7.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과립의 1 % 수현탁액의 약산성도가 계면활성제나 캐리어에 의해서, 또는 pH 조절제의 첨가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8. 제 1 항에 있어서,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 또는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트리플루오로-2,6-디니트로-p-톨루이딘과 또 하나의 살진균 활성 배합성분 20 중량% 내지 94 중량%, 계면활성제 2 중량% 내지 30 중량%, 캐리어 1 중량% 내지 78 중량%, pH 조절제 0 중량% 내지 3 중량% 그리고 발포억제제 0 중량% 내지 0.2 중량% 로 구성되어 있는 조성을 가지며, 1% 수현탁액의 약산성도가 pH 5.0 내지 pH 6.8 이도록 조정되고, 과립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9. 제 1 항에 있어서, 압출성형 과립화, 분무건조 과립화 또는 유동층 과립화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10. 제 1 항에서 정의된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을 물에 현탁시키고, 1% 수현탁액이 약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피리딜톨루이딘계 살진균 수현탁액.
KR1019960700702A 1993-08-11 1994-08-10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KR100337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056393 1993-08-11
JP93-220563 1993-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3513A KR960703513A (ko) 1996-08-31
KR100337418B1 true KR100337418B1 (ko) 2004-12-23

Family

ID=16752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0702A KR100337418B1 (ko) 1993-08-11 1994-08-10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5723141A (ko)
EP (1) EP0712278B1 (ko)
KR (1) KR100337418B1 (ko)
CN (1) CN1075348C (ko)
AT (1) ATE201957T1 (ko)
AU (1) AU676597B2 (ko)
BR (1) BR9407248A (ko)
CA (1) CA2168039C (ko)
CO (1) CO4340718A1 (ko)
DE (1) DE69427477T2 (ko)
DK (1) DK0712278T3 (ko)
ES (1) ES2159565T3 (ko)
GR (1) GR3036489T3 (ko)
HU (1) HU213943B (ko)
IL (1) IL110505A (ko)
NZ (1) NZ269845A (ko)
PL (1) PL186338B1 (ko)
PT (1) PT712278E (ko)
SG (1) SG43267A1 (ko)
TW (1) TW276982B (ko)
WO (1) WO1995004460A1 (ko)
ZA (1) ZA9458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M926794A0 (en) * 1994-11-04 1994-12-01 Daratech Pty Ltd Herbicidal formulations
BR9715000A (pt) * 1996-09-25 2001-09-18 Aquatrol Corp Processos para preparação de veìculos para pesticida que dispersam espontaneamente em água e uso destes
JP4712143B2 (ja) * 1998-05-13 2011-06-29 ワイス・ホールディングズ・コーポレイション 殺菌・殺カビ性混合物
GB9920281D0 (en) * 1999-08-26 1999-10-27 Collag Ltd Novel compositions of biologically active agents and their use
KR100424860B1 (ko) * 2000-01-28 2004-03-27 한국화학연구원 디메쏘모르프의 엽면 흡수증진제
ES2365592T3 (es) * 2005-09-29 2011-10-07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posiciones funguicidas.
WO2007105377A2 (en) * 2006-03-02 2007-09-20 Ishihara Sangyo Kaisha, Ltd. Solid herbicidal composition
NL1036979C2 (en) * 2008-05-28 2013-07-23 Sumitomo Chemical Co Water dispersible granule.
WO2014133181A1 (ja) * 2013-02-28 2014-09-04 住友化学株式会社 水性懸濁状農薬組成物
WO2014133178A1 (ja) 2013-02-28 2014-09-04 住友化学株式会社 顆粒水和剤
CN107006482A (zh) * 2017-04-14 2017-08-04 广东中迅农科股份有限公司 一种含氟啶胺、哒螨灵的组合物
CN110498922A (zh) * 2019-08-31 2019-11-26 贵州大学 一种n-(4-苯胺基苯基)甲基丙烯酸甲酯与乙二胺共聚大分子抗氧剂及其应用
CN114642208B (zh) * 2020-12-21 2023-07-21 山东潍坊润丰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氟啶胺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7804A (ja) * 1982-08-05 1984-02-14 Ishihara Sangyo Kaisha Ltd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JPS60197606A (ja) * 1984-03-19 1985-10-07 Ishihara Sangyo Kaisha Ltd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JPH0613442B2 (ja) * 1985-06-25 1994-02-23 石原産業株式会社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JPH02174706A (ja) * 1989-10-27 1990-07-06 Ishihara Sangyo Kaisha Ltd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JPH02160703A (ja) * 1989-10-27 1990-06-20 Ishihara Sangyo Kaisha Ltd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JPH05255014A (ja) * 1992-03-13 1993-10-05 Ishihara Sangyo Kaisha Ltd 農園芸用殺菌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350294A (en) 1995-02-28
DE69427477D1 (de) 2001-07-19
HUT73355A (en) 1996-07-29
PL186338B1 (pl) 2003-12-31
CN1128937A (zh) 1996-08-14
ES2159565T3 (es) 2001-10-16
PL312956A1 (en) 1996-05-27
CO4340718A1 (es) 1996-07-30
DK0712278T3 (da) 2001-09-03
ZA945835B (en) 1995-03-09
CA2168039C (en) 2002-06-25
BR9407248A (pt) 1996-09-24
HU213943B (en) 1997-11-28
KR960703513A (ko) 1996-08-31
IL110505A (en) 1999-05-09
SG43267A1 (en) 1997-10-17
PT712278E (pt) 2001-11-30
AU676597B2 (en) 1997-03-13
TW276982B (ko) 1996-06-01
HU9600292D0 (en) 1996-04-29
US5723141A (en) 1998-03-03
CA2168039A1 (en) 1995-02-16
CN1075348C (zh) 2001-11-28
DE69427477T2 (de) 2002-03-28
IL110505A0 (en) 1994-10-21
GR3036489T3 (en) 2001-11-30
ATE201957T1 (de) 2001-06-15
EP0712278A1 (en) 1996-05-22
WO1995004460A1 (en) 1995-02-16
EP0712278B1 (en) 2001-06-13
NZ269845A (en)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418B1 (ko) N-피리딜톨루이딘계 수분산성 살진균제 과립
SK2332003A3 (en)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herbicide formulation
US8163674B2 (en) Agricultural chemical composition in granular form
KR101302235B1 (ko) 과립형 살충 조성물
KR20050094454A (ko) 농원예용 과립 수화제
JP3384882B2 (ja) N−ピリジルトルイジン系殺菌剤粒状水和剤
JP4217846B2 (ja) 保存安定性の良好な粒状水和剤
US6723682B2 (en) Water dispersible granules
JP2005112792A (ja) 農薬組成物
JPH07149602A (ja) フェニルベンズアミドをベースとする殺菌剤組み合わせ
EP1407665B1 (en) Granulated wettable powder
KR0149743B1 (ko) 농약 수성현탁 농축액 및 이의 제조방법
JP4421309B2 (ja) 農園芸用顆粒水和剤
EP0604906A1 (en) Water dispersible granular herbicidal compositions
JPWO2008069123A1 (ja) 農薬粒状組成物
PL103739B1 (pl) Selektywny srodek fungicydowy
JPH1112116A (ja) 水性懸濁状農薬組成物
JPS63227505A (ja) 残効性の改良された殺虫組成物
KR20050036966A (ko) 과립상 농약 조성물
JPH07157404A (ja) 農園芸用殺菌組成物
JPH0656602A (ja) 水田用油性懸濁除草剤
KR100389362B1 (ko)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
JPH06305919A (ja) ピラクロホス含有殺虫性水和剤
JP2008031083A (ja) 水分散性微生物農薬固形製剤
SK107593A3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water-soluble veterinary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