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966A - 과립상 농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과립상 농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966A
KR20050036966A KR1020057002181A KR20057002181A KR20050036966A KR 20050036966 A KR20050036966 A KR 20050036966A KR 1020057002181 A KR1020057002181 A KR 1020057002181A KR 20057002181 A KR20057002181 A KR 20057002181A KR 20050036966 A KR20050036966 A KR 20050036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esticide composition
parts
comparative examp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8128B1 (ko
Inventor
히로시 다이리키
세이조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12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5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groups, e.g. carboxylic acid amid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 활성 성분, 술폰화도 2.0 이상의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알킬렌아릴페닐에테르의 술페이트염 또는 포스페이트염을 함유하는 과립상 농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물에 대한 분산성이 좋아,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제조 직후의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립상 농약 조성물{AGRICULTURAL CHEMICAL COMPOSITION IN GRANULAR FORM}
본 발명은 물에 대한 분산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과립상 농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플루페나미드와 EBI 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립상 농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약제제 중에서 물로 희석하여 살포하는 제제로는, 유제, 수화제, 플로어블(flowable)제 등이 있다. 이 중 유제는 담체로서 유기용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독성, 자극성, 인화성, 악취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 수화제는 미분상의 제제이기 때문에 계량이 불편하고, 살포액 조제시에 미분이 날아올라 (가루날림이라 함) 작업자의 안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어, 이들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 플로어블제는 현탁상의 제제이기 때문에, 수화제의 계량 불편 및 먼지날림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한 제제이기는 하지만, 점성이 있는 액상 제제이기 때문에 용기에서 잘 꺼낼 수 없고, 소량의 제제가 용기에 남기 때문에 용기의 폐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어, 이들이 문제점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의 해소를 위해, 특히 최근, 수화제를 과립상화 (과립상 수화제)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수화제를 과립상화함으로써 수화제의 가루날림과 계량 곤란성은 개선된다.
그러나, 가루날림이라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입제의 결합제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입자의 경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 수중에서의 붕괴성 저하에 의한 효력부족 등의 원인이 된다. 한편, 수화제와 동일한 정도의 수중 붕괴성을 부여시키고자 하면, 입자의 경도가 낮아져 분화(粉化)되기 쉽다는 문제가 생긴다. 그 때문에, 제제 중에 미분상물이 많아져 살포시의 살포자에 의한 미분상물의 흡인 및 살포지역 외로 비산되기 쉬워, 결과적으로 종래의 수화제와 동일한 문제점이 생긴다. 일반적인 입자제 결합제를 사용하는 것을 여러 가지 검토하였지만, 과립상화된 수화제에 그 결합제를 사용하는 것으로는 분화성의 개선 및 양호한 수중 붕괴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화제의 과립상화가 많이 검토되어, 다음과 같은 과립상 수화제가 알려져 있다. 즉, 농약 활성 성분에 전분 및 황산암모늄 등의 수용성 무기염을 함유하는 과립상 농약 수화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1649호), 식물보호제와 특정한 고체습윤제 및/또는 암모늄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양호한 현탁물을 형성하는 수분산성 과립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93702호), 수용성 농약 활성 성분, 젖당 및 계면활성제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수용성 농약 과립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92803호) 및 농약 활성 성분 및 규조토를 함유하고,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신규조성물을 압출 조립법에 의해 제조하여 이루어지는 과립상 수화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28102호) 등이다.
또한 전분의 가수분해물을 사용한 고형제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즉, 전분 가수 분해물과, 해초 추출물, 식물성 종자 점질물, 식물성 과실 점질물, 식물성 수지양(樣) 점질물, 미생물 산성 점질물,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단백질,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수용성 합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 물질의 수분산액을 드럼드라이어로 건조시킨 분말에, 농약 활성 성분과 계면활성제를 흡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상의 농약 조성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36402호) 및 융점이 70℃ 이하인 농약 활성 성분과 계면활성제와 덱스트린 및/또는 젖당과 물을 필수성분으로 하는, 수성 유탁액의 분무건조물을 함유하는 농약 고형 유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47103호) 이다.
리그닌술폰산나트륨을 배합한 과립상 농약 조성물로는, 리그닌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축합물 등과 알킬나프탈렌술폰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 등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산성 입상 농약 조성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43402호), 5-에틸-5,8-디히드로-8-옥소-1,3-디옥솔로〔4,5-g〕퀴놀린-7-카르복시산(옥솔린산) 과, 소수성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이루어지는 N-프로필-N-〔2-(2,4,6-트리클로로페녹시)에틸〕이미다졸-1-카르복시아미드(프로클로라즈) 가, 술폰화도 2.5 이하의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물 속에 분산, 유화되어 이루어지는 농약 조성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7810호), 1종 이상의 농약 활성 성분과, 고순도 부분 탈술폰리그닌술폰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제 또는 입상 수화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4702호) 및 농약 활성 성분, 리그닌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및 수용성 무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상 수화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9506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폴리옥시알킬렌아릴페닐에테르의 술페이트염 또는 포스페이트염과 술폰화도가 높은 리그닌술폰산나트륨을 동시에 배합한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무런 개시도 되어 있지 않았다.
종래의 과립상 농약 조성물은, 수중붕괴성은 좋지만 분화되기 쉬운 것이거나 또는 분화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수중붕괴성이 낮은 것으로,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특히, 수중붕괴성이 낮은 과립상 농약 조성물은, 수화성, 분산성이 나빠 충분히 교반하더라도 완전한 분산액이 얻어지지 않거나 침강량이 많아 수화제로서의 성질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으며, 경시 변화에 따라서 수화성, 분산성이 더욱 나빠지고 침강량도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분화되기 어렵고, 약액 조제시에 농약 조성물을 수중에 투입하면 바로 수화, 분산되고, 침강이 느리며, 경시 변화에 따라 이들 물성의 열화가 보이지 않는 과립상 농약 조성물, 특히 시플루페나미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농약 활성 성분, 술폰화도 2.0 이상의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아릴페닐에테르의 술페이트염 또는 포스페이트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특히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시플루페나미드 및 트리플루미졸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술폰화도가 낮은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는 극성기인 술폰산 잔기가 적기 때문에 물에 용해되는 속도가 느리고, 고체입자에 흡착되는 능력이 떨어지고, 분산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술폰화도가 높은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는 물에 대한 용해속도가 빠르고, 술폰산기가 고체 표면에 강하게 흡착되기 때문에 고체를 분산시키는 능력이 매우 높은 것이다. 이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알킬렌아릴페닐에테르의 술페이트염 및 포스페이트염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분산성이 좋은 농약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술폰화도 2.0 이상의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란, 리그닌 1유닛의 분자량을 1000 으로 하였을 때, 1유닛 속에 있는 술폰산기의 개수가 평균 2.0 이상, 통상 2∼6 인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를 의미하고, 그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리그닌술폰산의 칼륨염, 나트륨염 등의 알칼리금속염, 칼슘염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Westvaco사 제조 POLYFON T (술폰화도 2.0), POLYFON F (술폰화도 4.0), REAX80C (술폰화도 2.0), REAX82 (술폰화도 2.0), REAX83A (술폰화도 2.1), REAX88B (술폰화도 3.8), REAX100M (술폰화도 4.7), REAX45DA (술폰화도 3.8), REAX45DTC (술폰화도 3.8), PC-825 (술폰화도 4.6), PC-876A (술폰화도 2.4)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배합되며, 그 배합량은 농약 활성 성분을 분산할 수 있는 양,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본 발명 조성물 중 1∼15중량%, 바람직하게는 2∼10중량% 정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아릴페닐에테르의 술페이트염 및 포스페이트염으로는, 폴리옥시알킬렌기 부분이 중합도 2∼50, 바람직하게는 중합도 4∼30 인 폴리옥시에틸렌기, 폴리옥시프로필렌기, 폴리옥시부틸렌기 등이며, 아릴기 부분이 페닐기, 나프틸기, 스티릴기 등의 탄소수 6∼40 의 아릴기인 모노-, 디- 또는 트리치환체를 들 수 있고, 염으로는 칼륨, 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염,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암모늄염, 모노-, 디-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염 등의 알칸올아민염인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옥시알킬렌아릴페닐에테르의 술페이트염 및 포스페이트염은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배합되며, 그 배합량은 농약 활성 성분을 분산할 수 있는 양,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본 발명 조성물 중 0.01∼15중량%, 바람직하게는 0.5∼10중량% 정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립 수화제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농약 활성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살균제로는, 트리플루미졸, 테부코나졸, 펜프로피딘, 브로무코나졸, 시프로코나졸, 디페노코나졸, 펜부코나졸,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헥사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비테르타놀, 이미벤코나졸, 디니코나졸, 펜프로피모르프, 트리데모르프, 에폭시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프로클로라즈, 메트코나졸, 아족시스트로빈, 이소프로티올란, 이프로디온, 이미녹타딘알베실산염, 옥솔리닉산, 캡탄, 크레속심메틸, 디에토펜카브, 스트렙토마이신, 석회황합제, 다조메트, 티우람, 티오파네이트메틸, 트리아진, 피로퀼론, 플루아지남, 플루술파미드, 프로시미돈, 프로베나졸, 프로모카브, 포세틸, 베노밀, 펜시쿠론, 만코제브, 메파니비림 등을 들 수 있다.
살충제로는, 아세타미프리드, 아세페이트, 이미다클로프리드, 에틸티오메톤, 에톡사졸, 에토펜프록스, 에마멕틴벤조산염, 클로르피크린, 클로르페나피르, 산화펜부타주석, 스피노사드, 시클로프로트린, 브롬화메틸, 타르타르산모란텔;다이아지논, 트랄로메트린, 비펜트린, 피프로닐, 펜프로파트린, 플루페녹수란, 헥시티아족스, 벤푸라카브, 밀베멕틴, 메토밀, D-D, DDVP, DMTP, MEP 등을 들 수 있다.
제초제로는, 아이옥시닐, 염소산염,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아민염, 글루포시네이트, 트리플루랄린, 비알라포스, 프리틸라클로르, 펜디메타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농약 활성 성분의 제제 중에 대한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는 제제 전체량의 0.01∼90중량%, 바람직하게는 0.1∼60중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2종의 계면활성제 외에 다른 계면활성제, 점결제, 담체를 첨가할 수 있다.
배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가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음 것을 배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알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페닐에테르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아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식물유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아릴술폰산나트륨, 알킬아릴술폰산칼슘, 알킬아릴술폰산암모늄 등의 알킬아릴술폰산염,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나프탈렌술폰산염의 포름알데히드 중축합물, 폴리카르복시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제4급 암모늄염, 알킬아민염, 알킬피리디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베타인, 아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배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효과, 경제성에서 제제 중에 0.1∼3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배합할 수 있는 점결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전분, 덱스트린,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전분, 풀루란, 알긴산나트륨, 알긴산암모늄,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구아 검, 로커스트 빈 검, 아라비아 검, 잔탄 검, 젤라틴, 카세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ㆍ프로필렌블록 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라게넌 등이다.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점결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효과, 경제성에서 제제 중에 0.1∼4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배합할 수 있는 담체로는 무기 담체일 수도 있고 유기 담체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무기 담체로는, 클레이, 벤토나이트, 탤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탄산나트륨, 지클라이트, 견운모(sericite), 산성백토, 규석, 규조토, 경석, 제올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염화칼륨, 우레아, 화이트카본, 황산암모늄, 황산나트륨, 펄라이트, 황산마그네슘 등, 유기 담체로는,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무기 담체 또는 유기 담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물론 무기 담체와 유기 담체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농약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에 더하여 추가로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부 곰팡이방지제, 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농약 활성 성분의 안정화제로서 산화방지제, 자외선방지제, 결정석출방지제 등을 각각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단, 이렇게 예시한 보조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배합할 수 있는 용제로는, 아디프산이소부틸, 아디프산디올레일, 아디프산디이소데실, 프탈산디에틸헥실, 프탈산디데실, 트리멜리트산2-에틸헥실, 트리멜리트산트리이소데실 등의 다염기산 알코올에스테르, 2-에틸헥산산세틸, 야자지방산세틸, 라우르산메틸, 미리스틴산메틸, 올레산메틸, 올레산옥틸 등의 지방산알코올에스테르,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등의 다가알코올지방산에스테르, 옥틸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등의 고급알코올, 1,2-디메틸-4-에틸벤젠, 메틸나프탈렌, 1-페닐-1-자일릴에탄, 1-자일릴-1,3-디페닐부탄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농약 조성물의 조제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다음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약 활성 성분을 계면활성제, 점결제 및 담체와, 필요하다면 방부 곰팡이방지제, 농약 활성 성분의 안정화제 등의 보조제와 혼합하여 공기분쇄기 등의 분쇄기로 분쇄함으로써 분상 농약 조성물이 얻어진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분상 농약 조성물에 물을 첨가하여 혼련후, 압출 조립기로 조립한 후 건조시켜 정립(整粒)하면 된다. 또한, 물을 첨가하면서 전동 조립기로 조립하여 건조, 정립해도 된다. 그리고, 물 첨가 전의 수화성 농약 조성물을 물에 분산시켜 분무 조립기로 조립해도 되고, 또 분체 혼합물을 유동시키면서 점결제 용액 또는 농약 활성 성분 등을 스프레이하여 조립하는 유동층 조립기로립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과립상 농약 조성물의 입경은 종래의 과립상 제제와 같은 정도이고, 구체적으로는 0.1∼2㎜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분상, 과립상 및 물 현탁상인 것으로 할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서 부라고 하는 것은 모두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시플루페나미드 3.7부, 트리플루미졸 16.6부,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0.35부, 무수황산나트륨 0.15부, 우레아 1부, 염화칼륨 10부, 클레이 61.2부, 술폰화도 4.7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 (Westvaco사 제조;REAX100M) 5.25부, 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9)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 1.75부를 혼합하고, 공기분쇄기 (상품명:울막스;닛소엔지니어링사 제조) 로 분쇄한 것에 물 25부를 가하여 혼련하고, 0.7㎜ 의 스크린을 사용하여 압출 조립하여 40℃ 에서 24시간 건조시키고 0.59∼0.84㎜ 의 체에 남은 부분을 분리 채취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의 클레이 61.2부를 60.2부로, 리그닌술폰산나트륨 5.25부를 6부로,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 1.75부를 2부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 의 클레이 61.2부를 59.2부로, 리그닌술폰산나트륨 5.25부를 6.75부로,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 1.75부를 2.25부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 의 클레이 61.2부를 58.2부로, 리그닌술폰산나트륨 5.25부를 7.5부로,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 1.75부를 2.5부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4 의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을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술폰화도 4.7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을 술폰화도 4.0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 (Westvaco사 제조;POLYFON-F) 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2 의 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9)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을 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14)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2 의 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9)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을 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7)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2 의 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9)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을 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4)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2 의 시플루페나미드를 클레이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2 의 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9)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을 폴리옥시에틸렌(중합도 14)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칼륨염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술폰화도 4.7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을 술폰화도 2.0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 (Westvaco사 제조;POLYFON-T) 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의 클레이 61.2부를 54.2부로, 술폰화도 4.7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 5.25부를 술폰화도 0.5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 (Westvaco사 제조;POLYFON-H) 14부로 바꾸고,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을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으로 바꾸고,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 1.75부를 0부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 의 염화칼륨을 염화나트륨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3
비교예 1 의 술폰화도 0.5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을 술폰화도 1.7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 (Westvaco사 제조;REAX910) 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4
비교예 3 의 염화칼륨 10부를 염화칼륨 5부와 소성규조토 5부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2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 6부와 폴리옥시에틸렌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 2부를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 (로디아닛카사 제조;Geropon T-36) 8부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6
비교예 5 의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을 실시예 1 의 술폰화도 4.7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7
비교예 5 의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을 실시예 6 의 술폰화도 4.0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8
비교예 5 의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을 비교예 3 의 술폰화도 1.7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9
비교예 5 의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을 술폰화도 1.2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 (Westvaco사 제조;POLYFON-O) 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0
비교예 5 의 폴리카르복시산나트륨을 비교예 1 의 술폰화도 0.5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1
실시예 2 의 술폰화도 4.7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을 비교예 1 의 술폰화도 0.5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2
실시예 2 의 술폰화도 4.7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을 술폰화도 1.2 의 리그닌술폰산나트륨 (Westvaco사 제조;POLYFON-O) 으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3
비교예 12 의 시플루페나미드를 클레이로 바꾸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작을 하여 과립상 농약 조성물을 얻었다.
시험예 1 희석물성의 측정
100㎖ 의 물을 넣으면 수면에서 바닥까지의 거리가 약 180㎜ 이고 공간용적이 30㎖ 가 되는 시험관에 100㎖ 의 증류수를 넣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제제한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 100㎎ 을 가만히 투입하여 ① 자기붕괴성, ② 수중붕괴전도횟수, ③ 침강량을 하기의 방법 및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① 자기붕괴성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을 증류수에 가만히 투입하여 조성물이 바닥에 가라앉기까지의 붕괴상태를 관찰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불량 여부를 판정하였다.
◎:조성물이 바닥에 닿기 전까지 거의 붕괴됨
:조성물이 수면에서 약 90㎜ 가라앉았을 때부터 붕괴가 시작됨
△:조성물이 수면에서 약 90㎜ 가라앉을 때까지는 붕괴가 시작되지 않았지만, 바닥에 닿기 전까지는 붕괴가 시작됨
×:조성물이 바닥에 닿기 전까지 전혀 붕괴되지 않음
② 수중붕괴전도횟수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을 증류수에 가만히 투입하여 30초 후에 시험관을 2초에 1회의 비율로 전도시키고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를 반복하여, 조성물이 완전히 붕괴되기까지의 전도횟수를 측정하였다.
③ 침강량
수중붕괴전도횟수의 측정 후에 다시 시험관을 2초에 1회의 비율로 전도시키고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를 30회 반복하여, 30분 후에 침강량 (㎖) 을 측정하였다.
제조 직후 54℃*14일
자기붕괴성 수중붕괴전도횟수 침강량(30분) 자기붕괴성 수중붕괴전도횟수 침강량(30분)
실시예 1 2 0.01 4 0.01
실시예 2 2 0.01 4 0.01
실시예 3 2 0.01 4 <0.01
실시예 4 3 0.01 5 <0.01
실시예 5 4 0.01 5 <0.01
실시예 6 3 <0.01 3 <0.01
실시예 7 3 <0.01 3 <0.01
실시예 8 3 <0.01 3 <0.01
실시예 9 3 <0.01 3 <0.01
실시예 10 2 0.01 3 0.01
실시예 11 2 0.01 5 0.01
실시예 12 2 0.01 3 0.01
비교예 1 1∼2 0.01 17 0.3
비교예 2 1 0.01 4 0.3
비교예 3 × 10 0.01 × 11 0.2
비교예 4 5 0.03 × 12 0.2
비교예 5 × 8 0.03 × 15 0.2
비교예 6 × 4 0.01 × 18 0.04
비교예 7 × 3 0.01 × >30 0.15
비교예 8 2 0.02 × 20 0.2
비교예 9 2 0.08 × >30 0.3
비교예 10 × 3 0.01 × >30 0.15
비교예 11 × 2 0.04 × 8 0.3
비교예 12 3 <0.01 × 5 0.25
비교예 13 3 0.01 × 10 0.3
이상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약액 조제시의 수화성이나 분산성이 좋고, 침강량이 적으며, 약액의 조제가 용이하며, 또한 희석물성에 경시변화가 적어 살포액이 균일하게 작물에 부착되어, 안정적인 생물 제어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5)

  1. 농약 활성 성분, 술폰화도 2.0 이상의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아릴페닐에테르의 술페이트염 또는 포스페이트염을 함유하는 과립상 농약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그닌술폰산계 계면활성제를 1∼15중량%, 상기 폴리옥시알킬렌아릴페닐에테르의 술페이트염 또는 포스페이트염을 0.01∼15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 활성 성분이 (Z)-N-[α-(시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2,3-디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2-페닐아세트아미드 (일반명:시플루페나미드) 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약 활성 성분이 트리플루미졸, 테부코나졸, 펜프로피딘, 브로무코나졸, 시프로코나졸, 디페노코나졸, 펜부코나졸, 플루실라졸, 플루트리아폴, 헥사코나졸, 프로피코나졸,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비테르타놀, 이미벤코나졸, 디니코나졸, 펜프로피모르프, 트리데모르프, 에폭시코나졸, 플루퀸코나졸, 프로클로라즈, 메트코나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농약 활성 성분인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시플루페나미드 및 트리플루미졸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057002181A 2002-08-07 2003-08-06 과립상 농약 조성물 KR100638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2181A KR100638128B1 (ko) 2002-08-07 2003-08-06 과립상 농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9632 2002-08-07
KR1020057002181A KR100638128B1 (ko) 2002-08-07 2003-08-06 과립상 농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966A true KR20050036966A (ko) 2005-04-20
KR100638128B1 KR100638128B1 (ko) 2006-10-24

Family

ID=3723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181A KR100638128B1 (ko) 2002-08-07 2003-08-06 과립상 농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1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9452A1 (en) * 2008-04-25 2011-01-05 Nippon Soda Co., Ltd. Granular pestic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372943B1 (ko) * 2012-06-26 2014-03-12 주식회사경농 무기염을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고상 농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9452A1 (en) * 2008-04-25 2011-01-05 Nippon Soda Co., Ltd. Granular pestic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2269452A4 (en) * 2008-04-25 2013-10-23 Nippon Soda Co GRANULAR PESTICID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72943B1 (ko) * 2012-06-26 2014-03-12 주식회사경농 무기염을 포함하는 유화가능한 고상 농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128B1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0414B2 (ja) 顆粒状農薬組成物
EP0633722B1 (en) Water dispersible granules of liquid pesticides
KR20020008389A (ko) 농약 제제
JP4018148B2 (ja) 耐雨性を改良した農薬組成物
JP3069665B2 (ja) 農業用粒状水和剤組成物
KR100831028B1 (ko) 입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U2013276240A1 (en) A herbicidal composition and process thereof
WO2004036994A1 (ja) 水和性顆粒剤よりなる農園芸用粒状組成物
JPH06219903A (ja) 農業用粒状水和剤組成物
JP2005112792A (ja) 農薬組成物
KR100638128B1 (ko) 과립상 농약 조성물
JP2003286105A (ja) 顆粒状水和剤
KR100204383B1 (ko) 분산가능한 프로파닐 과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S6358801B2 (ko)
JP3598228B2 (ja) 粒状農薬水和剤
JP5207262B2 (ja) 顆粒状水和剤
JPH08277201A (ja) 改良された農薬製剤
JP4950399B2 (ja) 固形農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H10218704A (ja) 改良された農薬粒状水和剤
ES2282781T3 (es) Particula pesticida.
JP2009184969A (ja) 農薬粒剤
JPH1112116A (ja) 水性懸濁状農薬組成物
CN116981361A (zh) 稳定的农用化学品组合物
JP2004168784A (ja) 湛水下水田用農薬固形製剤の使用方法
JP2003292403A (ja) 顆粒状水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