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362B1 -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 - Google Patents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362B1
KR100389362B1 KR10-2000-0000774A KR20000000774A KR100389362B1 KR 100389362 B1 KR100389362 B1 KR 100389362B1 KR 20000000774 A KR20000000774 A KR 20000000774A KR 100389362 B1 KR100389362 B1 KR 100389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ed
carbon atoms
alkyl group
fresh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721A (ko
Inventor
김경성
안병우
이성달
권정현
최정훈
정봉진
김승호
Original Assignee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362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1Removable or disappearing walls for hangars or other hall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에 점착제로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SPA), 잔탄검, 소듐알지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담수직파 및 종묘에 적용시에도 지속적으로 약효가 발현되고 약해를 경감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는 1 내지 75중량%의 농약활성성분, 2 내지 5중량%의 점착제, 1 내지 20 중량%의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의 결합제, 0.5 내지 13중량%의 통상적으로 종자처리수화제에 사용되는 기타 부재 및 잔량으로서의 증량제를 혼합하여 분쇄한 후 재혼합하여 이루어진 제형이다.
따라서,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의 형태로 종자에 피복 처리함에 따라 각종 수도재배방식에 있어서 종자소독과 살충효과, 종자소독과 살균효과, 종자소독과 살균 및 살충효과를 종자소독 과정에서 동시에 달성하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처리량이 소량으로 환경친화적이며, 약해 위험이 없는 농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Seed treating water-dispersible agricultural chemicals for paddy}
본 발명은 수도용 종자처리수화제의 처방을 개선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용 종자처리수화제에 점착제로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SPA), 잔탄검, 소듐알지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담수직파 및 중묘에 적용시에도 지속적으로 약효가 발현되고 약해를 경감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업의 생력화 및 환경오염이 적고 효과가 우수한 농약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농약 제조업계에서도 제형 및 제조처방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그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개발된 일부 본답 처리용 농약 입제는 사용량이 3kg/10a인 기존의 저농도 입제에 비하여 1kg/10a 정도의 고농도 입제를 제공하여 살포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으나 작업자가 직접 논안으로 들어가 수작업으로 살포하여야 하므로 광범위의 지역에 대한 고른 살포가 어렵고, 특히 고른 살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농작물의 약해의 위험성이 더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입제의 고농도화에 따라 살포시 분진에 의한 작업자의 중독 위험성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밖에 본답 처리용 액상수화제나 수면전개제 등은 물대기와 동시에 실시해야 하는 사용상의 제한점으로 인하여 역시 사용에 불편한 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병해충 방제작업은 초기에 발생하는 초기 저온성 해충, 특히 벼물바구미를 방제하기 위해 카보푸란 입제 등을 논안에 들어가 직접 살포하고, 잎도열병 방제를 위해 도열병용 약제의 희석액이나 입제 등을 살포하는 등 3 내지 4번의 농약 살포를 위해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었다.
이러한 사용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자소독 후 볍씨에 종자처리수화제를 침종, 분의 처리하여 살균, 살충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담수직파의 경우 논물에 의해 3일 이내에 빠르게 용출되어 대상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자에 간단히 피복처리함으로서 종자병인 키다리병과 깨씨무늬병, 본답에서 초기 잎도열병 등, 초기 저온성 병해충인 벼잎벌레, 벼물바구미, 벼잎굴파리 등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담수직파 및 중묘에 처리할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약효를 발현할 수 있는 수도용 종자처리수화제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제로서 SPA, 잔탄검, 소듐알지네이트를 이용하여 농약활성성분을 종자에 균일하게 피복시킴으로서 파종후 볍씨표면에 피복되어 있는 농약활성성분이 건답상태에서는 2 내지 3개월, 논물속에서도 2주이상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약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수도용 종자처리수화제 처방을 개발하는데 있다.
또한, 종자처리수화제의 종자 피복과정에서 종자소독과 살균효과, 종자소독과 살충효과, 종자소독과 살균 및 살충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노동력 절감형, 환경친화형 제제처방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는 1 내지 75중량%의 농약활성성분, 2 내지 5중량%의 점착제, 1 내지 20중량%의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의 결합제, 0.5 내지 13중량%의 통상적으로 종자처리수화제에 사용되는 기타 부재 및 잔량으로서의 증량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농약활성성분은 수용성 농약활성성분, 난용성 농약활성성분 및 비수용성 농약활성성분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농약활성성분으로는 아족시스트로빈, 카프로파미드, 사이프로코나졸, 후루디옥소닐, 옥사딕실, 프로베나졸, 치푸루자마이드, 치람, 트리사이클라졸, AC382042 등의 살균제, 아세타미프리드, 피프로닐, 이미다클로프리드, 메치오카브 등의 살충제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종자처리수화제의 제조방법은 고체상 또는 분말상의 농약활성성분들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고, 계면활성제, 점착제 및 기타 부재를 투입하여 혼합한 후 미분상으로 분쇄하여 재혼합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는 1 내지 75 중량%의 농약활성성분, 2 내지 5중량%의 점착제, 1 내지 20중량%의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의 결합제, 0.5 내지 13중량%의 통상적으로 종자처리수화제에 사용되는 기타 부재 및 잔량으로서의 증량제를 혼합하여 분쇄한 후 균일한 조성을 갖도록 재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농약활성성분은 실제 약효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살균제는 살균효과를, 살충제는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며, 이들은 이미 상용적으로 제공되는 것들로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들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농약활성성분은 수용성 농약활성성분, 난수용성 농약활성성분 및 비수용성 농약활성성분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농약활성성분 자체의 제형이나 용해도 등 물리적/화학적 성질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농약활성성분으로는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 methyl(E)-2-{-2-[6- (2-cyanophenoxy)pyrimidin-4-yloxy]phenyl}-3-methoxyacrylate), 카프로파미드(Carpropamid ; 2,2-dichloro-N-[1-(4-chlorophenyl)ethyl]-1-ethyl-3-ethyl cyclopropanecarboxamide), 사이프로코나졸(Cyproconazole ; 2-(4-chloro phenyl)-3-cyclopropyl-1-(1H-1,2,4-trizole-1-yl)butan-2-ol), 후루디옥소닐(Fludioxonil ; 4-(2,2-difluoro-1,3-benzodioxol-4-yl)pyrrole-3-carbo nitrile), 옥사딕실(Oxadixyl ; 2-methoxy-N-(2-oxo-1,3-oxazolidin-3-yl)aceto- 2,6'-xylidide), 프로베나졸(Probenazole ; 3-allyloxy-1,2-benz[Z]isothiazole- 1,1-dioxide), 치푸루자마이드(Thifluzamide ; 2',6'-dibromo-2-dimethyl-4'- trifluoromethoxy-4-trifluoromethyl-1,3-thiazole-5-carboxanilide), 치람(Thiram ; bis(dimethylthiocarmoyl)disulfide), 트리사이클라졸(Tricyclazole ; 5-methyl-1,2,4-triazole-[3.4-b][1,3]benzothiazole), AC382042 (N-(1-cyano- 1,2-dimethylpropyl)-2-(2,4-dichlorophenoxy)propionamide(R,S)-and(R,R)-and(S,R)-and(S,S)-) 등의 살균제 및 아세타미프리드(Acetamiprid ; (E)-N'-((6- chloro-3-pyridyl)methyl)-N-cyano-N'-acetamidine), 피프로닐(Fipronil ; (±)- 5-amino-1-(2,6-dichloro-α,α,α-trifluoro-p-toly)-4-trifluoromethyl-sulfinylpyrazol-3-carbonitrile), 이미다클로프리드(Imidacloprid ; 1-(6-chloro-3- pyridylmethyl)-N-nitroimidazolidin-2-ylideneamine), 메치오카브(Methiocarb ; 4-methylthio-3,5-xylylmethylcarbamate)등의 살충제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지 예시적으로 열거한 것들로서, 이들을 포함한 통상의 농약활성성분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농약활성성분이 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농약활성성분의 사용량이 너무 적어 충분한 농약의 약효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농약활성성분이 75 중량% 이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개개 농약활성성분의 양이 너무 많아 파종후 농작물에 약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종자에 피복처리한 후 상기 농약활성성분의 방출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담수조건 및 육묘상에서 생육기간이 장기화되더라도 지속적인 약효발현과 약해경감을 위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SPA, 잔탄검, 소듐알지네이트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계면활성이 큰 물질로서 분자중에 친수성 및 친유성 분자단을 가진 양 친매성 물질로서, 세정력, 분산력, 유화력, 가용화력, 습윤력, 살균력, 기포력 및 침투력 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는 물질이며, 본 발명에 따른 종자처리수화제로 처리된 종자의 농약활성성분이 효과적으로 약효를 발현하도록 수화, 분산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알킬(C8~12)벤젠설포네이트, 알킬(C3~6)나프탈렌설포네이트, 디알킬(C3~6)나프탈렌설포네이트, 디알킬(C8~12)설포석시네이트, 리그닌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마린축합물, 알킬(C8~12)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마린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12)페닐설포네이트와 같은 설포네이트의 소듐염 또는 칼슘염, 알킬(C8~12)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12)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12)페닐설페이트와 같은 설페이트의 소듐염 또는 칼슘염, 폴리옥시알킬렌숙시네이트와 같은 숙시네이트의 소듐염 또는 칼슘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12)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12)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C8~12)페닐폴리머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열거한 것들로서, 이들 이외의 다른 계면활성제들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은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1 중량%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계면활성제에 의한 농약활성성분의 분산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가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계면활성제가 미셀구조를 형성하여 농약활성성분들이 충분히 물에 분산 또는 용해되지 못하여 약효를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타 부재로서는 원제 및 조성물에 따라 통상적으로 종자처리수화제에 사용되는 물질로서 결합제, 색소, 소포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상기 농약활성성분을 포함하여 색소, 소포제, 증량제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종자에 피복처리한 후에는 종자의 방출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용성 전분, 덱스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아라비아검,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0 내지 10 중량% 이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수도용 종자처리제를 종자에 처리한 후 무처리 종자와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모노아조, 디아조, 프탈로시아닌계통의 색소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0 내지 5 중량% 이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종자처리수화제를 처리한 종자의 파종시 일어날 수 있는 거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실리콘오일계 소포제가 0 내지 5 중량% 이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량제는 상기 계면활성제와 함께 사용되어 상기 계면활성제를 흡착, 분상화하고 이 계면활성제, 소포제 및 색소들과 함께 종자처리수화제의 미립자 표면을 이루는 물질로 기능하며, 파이로필라이트, 화이트카본, 탈크, 벤토나이트 등이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종자처리수화제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농약활성성분으로서 카프로파미드 40 중량%, 이미다클로프리드 21 중량%, 후루디옥소닐 2 중량%,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데실페닐폴리머 1 중량%,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설포네이트 8 중량%, 소듐디옥틸설포석시네이트 2 중량%, 점착제로서 잔탄검 3 중량%, 결합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 중량%, 디아조계 색소 2 중량%, 잔량으로서 Pyrophillite를 혼합하여 5 ㎛로 분쇄한 후, 다시 혼합기에서 재혼합하여 균일한 조성을 갖도록 하였다.
실시예 2
농약활성성분으로서 카프로파미드 40 중량%, 이미다클로프리드 21 중량%, 후루디옥소닐 2 중량%, 계면활성제로서 소듐디이소부틸나프탈렌설포네이트 3.5 중량%, 소듐나프탈렌설포네이트 1.5 중량%, 칼슘리그노설페이트 5 중량%, 점착제로서 소듐알지네이트 3 중량%, 결합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 중량%, 디아조계 색소 2 중량%, 증량제로서 화이트카본 3 중량% 및 잔량으로서 Pyrophillite를 혼합하여 5 ㎛로 분쇄한 후, 다시 혼합기에서 재혼합하여 균일한 조성을 갖도록 하였다.
실시예 3
농약활성성분으로서 카프로파미드 30 중량%, 이미다클로프리드 21 중량%, 후루디옥소닐 2 중량%, 계면활성제로서 소듐디이소부틸나프탈렌설포네이트 5 중량%, 칼슘리그노설페이트 5 중량%, 점착제로서 SPA 3.0 중량%, 결합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 중량%, 디아조계 색소 2 중량%, 소포제로서 실리콘오일 1.5 중량%, 잔량으로서의 증량제로서 화이트카본을 혼합하여 5 ㎛로 분쇄한 후, 다시 혼합기에서 재혼합하여 균일한 조성을 갖도록 하였다.
비교예 1
농약활성성분으로서 카프로파미드 40 중량%, 이미다클로프리드 21 중량%, 후루디옥소닐 2 중량%, 계면활성제로서 소듐디이소부틸나프탈렌설포네이트 3.5 중량%, 소듐나프탈렌설포네이트 1.5 중량%, 칼슘리그노설페이트 5 중량%, 결합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3 중량%, 폴리비닐알코올 1.6 중량%, 디아조계 색소 2 중량%, 증량제로서 화이트카본 3 중량% 및 잔량으로서 Pyrophillite를 혼합하여 5 ㎛로 분쇄한 후, 다시 혼합기에서 재혼합하여 균일한 조성을 갖도록하여 제조한 종자처리수화제를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카프로파미드 40% 수화제, 이미다클로프리드 21% 수화제, 후루디옥소닐 2% 수화제를 각각 제조하고 각 수화제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후, 종자에 단독침지 또는 분의처리하여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벼 잎도열병에 대한 방제효과
상기 실시예와 같이 처방을 개선한 종자처리수화제를 처리한 종자와 비교예의 약제를 처리한 종자를 약효평가에 충분할 정도로 발병시킨 후 방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시험구에 대해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시비를 하였으며, 타 병해충에 대해서는 상품화된 농약을 사용하여 동등한 조건하에서 평가하였다.
방제효과의 판단은 파종 후 75일 후 시험구당 100주의 병반면적율을 달관조사하여 무처리 대비하여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1벼 잎도열병에 대한 방제효과
구분 약량 벼 잎도열병에 대한 방제효과(%)
이앙재배 담수직파 건답직파
실시예1 10g/kg seed 91.0 72.2 88.1
실시예2 10g/kg seed 90.4 69.6 81.5
실시예3 10g/kg seed 96.4 75.0 91.3
비교예1 10g/kg seed 89.6 63.1 76.9
비교예2 10g/kg seed 75.4 58.4 66.2
상기 표 1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자처리수화제를 볍씨에 처리함으로서 벼 도열병에 대해 기존의 종자처리수화제 및 기존 수화제의 종자 분의처리시 보다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점착제를 첨가함에 따라 이앙재배, 건답직파, 담수직파 등 각종 수도 재배방식에 적합한 종자처리수화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벼 문고병에 대한 방제효과
상기 실시예와 같이 처방을 개선한 종자처리수화제를 처리한 종자와 비교예의 약제를 처리한 종자를 약효평가에 충분할 정도로 발병시킨 후 방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시험구에 대해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시비를 하였으며, 타 병해충에 대해서는 상품화된 농약을 사용하여 동등한 조건하에서 평가하였다.
약제처리전후에 있어서 약효검정에 영향을 줄 만한 기상상황은 없었으며 파종 후 140일 후 시험구당 100주의 병반면적율을 달관조사하여 무처리 대비하여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2벼 문고병에 대한 방제효과
구분 약량 벼 문고병에 대한 방제효과(%)
이앙재배 담수직파 건답직파
실시예1 10g/kg seed 85.0 76.3 82.4
실시예2 10g/kg seed 86.8 73.0 81.0
실시예3 10g/kg seed 88.8 79.0 85.0
비교예1 10g/kg seed 87.6 60.3 81.2
비교예2 10g/kg seed 66.8 53.9 64.8
상기 표 2에 나타난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자처리수화제를 볍씨에 처리함으로서 벼 문고병에 대해 기존의 종자처리수화제 및 기존 수화제의 분의처리시 보다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점착제의 첨가에 의해 각종 수도 재배방식에 적합한 종자처리수화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벼물바구미에 대한 방제효과
상기 실시예와 같이 처방을 개선한 종자처리수화제를 처리한 종자와 비교예의 약제를 처리한 종자를 벼물바구미 성충에 의해 무처리 달관 피해엽율이 90%가 되도록 자연 발생시켜 방제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시험구에 대해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시비를 하였으며, 타 병해충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품화된 농약을 통상의 약제처리방법에 의해 처리하여 동등한 조건으로 평가하였다.
약제처리전후에 있어서 약효검정에 영향을 줄 만한 기상상황은 없었으며 파종 후 40일 후 시험구당 120주의 피해정도를 달관조사하여 무처리 대비하여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3벼물바구미에 대한 방제효과
구분 약량 벼물바구미에 대한 방제효과(%)
이앙재배 담수직파 건답직파
실시예1 10g/kg seed 89.7 78.5 90.1
실시예2 10g/kg seed 91.2 84.7 88.4
실시예3 10g/kg seed 91.4 86.4 91.6
비교예1 10g/kg seed 90.6 72.2 88.5
비교예2 10g/kg seed 70.1 54.9 61.6
상기 표 3의 결과와 같이 벼물바구미에 대해 종자처리수화제에 점착제를 첨가함으로써 기존의 종자처리수화제 및 기존 약제의 분의처리시보다 우수한 방제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SPA, 잔탄검, 소듐알지네이트에 의해 담수직파, 건답직파에서도 사용 가능한 종자처리수화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약해확인시험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조한 종자처리수화제를 처리한 종자와 비교예와 같이 처리한 종자 및 무처리 종자에 대해 육묘상에서 발아율 및 벼의 생육상태를 조사하였다.
표 4종자처리수화제의 약해시험결과
구분 처리량(g/Kg seed) 발아율(%) 초장(cm)
5DAS 12DAS 15DAS
실시예1 10 75.2 4.9 11.7 13.4
실시예2 10 73.6 5.0 11.8 13.7
실시예3 10 83.7 5.1 12.0 14.0
비교예1 10 71.6 4.5 10.4 12.4
비교예2 10 63.3 3.1 6.2 8.7
무처리 - 82.7 5.9 12.4 14.2
상기 표 4의 결과와 같이 각 실시예에서 초기의 벼 생장이 다소 늦어지는 점은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현상은 사라지고 무처리와 마찬가지로 생육이 양호하여 실용상 약해 문제는 없었다. 반면 비교예와 같이 처리한 종자에 있어서는 발아율 및 벼의 생육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형간 사용약량 및 처리시간 비교시험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한 종자처리수화제를 처리한 종자와 무처리 종자의 희석제, 입제에 의한 처리약량 및 처리시 소요시간을 비교하였다.
표 5제형별 사용약량 및 처리시간
상기 표 5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자처리수화제는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입제에 비해 사용약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선발된 점착제를 이용한 종자처리수화제를 처리함으로써 이앙재배, 담수직파 및 건답직파에서도 종자속으로 침투이행 하였던 농약활성성분이 서서히 방출되어 목적하는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약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자처리수화제는 통상의 수화제 제조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생산에 따른 설비의 변경이나 추가 등이 필요 없어 경제적이며, 침종된 종자에 수화제를 처리함으로서 분진의 비산에 의한 농약중독의 위험이 없고, 생력화가 가능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자처리수화제는 사용약량의 감소, 주위 비표적생물에 대한 약해 위험의 해소 등을 가능케 하여 환경친화적인 농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내지 75중량%의 농약활성성분, 2 내지 5중량%의 점착제, 1 내지 20중량%의 계면활성제, 1 내지 10중량%의 결합제, 0.5 내지 13중량%의 통상적으로 종자처리수화제에 사용되는 기타 부재 및 잔량으로서의 증량제로 이루어지는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잔탄검 및 소듐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종자처리수화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2의 알킬벤젠설포네이트, 알킬기의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알킬기의 탄소수 3 내지 6의 디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2의 디알킬설포석시네이트, 리그닌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마린 축합물,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2의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마린 축합물,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2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설포네이트의 소듐염 또는 칼슘염,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2의 알킬설페이트,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2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설페이트,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2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설페이트의 소듐염 또는 칼슘염, 폴리옥시알킬렌숙시네이트의 소듐염 또는 칼슘염,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2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2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및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2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
삭제
KR10-2000-0000774A 2000-01-08 2000-01-08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 KR100389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774A KR100389362B1 (ko) 2000-01-08 2000-01-08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774A KR100389362B1 (ko) 2000-01-08 2000-01-08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721A KR20010068721A (ko) 2001-07-23
KR100389362B1 true KR100389362B1 (ko) 2003-06-25

Family

ID=1963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774A KR100389362B1 (ko) 2000-01-08 2000-01-08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3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721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2124B2 (ja) 表面に対する改善された長期効果を有する殺虫剤製剤
KR20060062673A (ko) 신규 수도용 매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689145A (zh) 一种含有砜吡草唑和酰胺类除草剂的除草组合物
CN105532698B (zh) 含有四氯虫酰胺与苯甲酰脲类杀虫剂的组合物及其应用
CN106508917B (zh) 一种缓释性杀菌杀虫剂及其应用
CN103461333A (zh) 一种含氟虫双酰胺和甲氧虫酰肼的农药杀虫组合物
KR100389362B1 (ko) 수도 담수직파용 종자처리수화제
CN1675996B (zh) 水稻作物的杀真菌组合物和水稻作物的病害防治方法
JPH08217604A (ja) 農薬活性成分の固着性組成物
JP2980959B2 (ja) 水田除草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US20070167492A1 (en) Molluscicidal agents
CN105981721B (zh) 一种防治土传或种传病害的杀菌组合物
JPS63107901A (ja) 湛水下水田の除草剤組成物
JP5034023B2 (ja) 芝病害防除組成物
JP2007176920A (ja) 混合粒状農薬組成物
CN109769825A (zh) 一种多杀霉素复合杀虫组合物
CN104621173B (zh) 一种含甲磺酰菌唑的农药组合物及制剂
CN109169688A (zh) 一种含杀虫环与甲氨基阿维菌素苯甲酸盐的杀虫组合物及其用途
JP3821973B2 (ja) 農薬粒状水和剤およびその使用方法
TWI640249B (zh) 農化組合物及其使用方法
JP5019570B2 (ja) 芝病害防除組成物
KR100488179B1 (ko) 살진균제조성물
JP2008179625A (ja) 農薬粒状組成物および農薬混合製剤
JPS6372610A (ja) 農業用殺虫殺菌組成物
JP2005097169A (ja) 芝用病害防除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