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159B1 - 화면작성에디터 - Google Patents

화면작성에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159B1
KR100331159B1 KR1019997006551A KR19997006551A KR100331159B1 KR 100331159 B1 KR100331159 B1 KR 100331159B1 KR 1019997006551 A KR1019997006551 A KR 1019997006551A KR 19997006551 A KR19997006551 A KR 19997006551A KR 100331159 B1 KR100331159 B1 KR 10033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formation
switching
symbol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320A (ko
Inventor
우사미데쓰유키
아카쓰카나리히로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00070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31)에는 터치스위치(touch switch)(9)등 입력장치에서의 조작에 의해 표시화면을 전환시킬수 있는 표시장치(2)로 화면을 편집할 수 있고 표시제어를 할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화면작성자의 조작에 의해 화면천이편집부(screen shift editing unit)(32)가 화면천이차트도(screen shift chart)를 작성하며, 또 이 화면천이차트도에 의해 화면을 천이시키는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여 각 화면상에 전환화면(다음에 표시할 수 있는 화면)을 선택하는 터치스위치로 표시화면에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또, 화면천이편집부(32)에서는 이전에 작성한 화면정보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화면천이 챠트도를 작성한다.
더 나아가서, 화면천이 편집부(32)에서는 불필요한 화면을 삭제할 경우 또는 화면의 천이목표(targut screen for shifring)를 변경할 경우 이것에 관련되는 화면의 화면정보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수정한다.

Description

화면작성에디터{SCREEN EDITOR}
종래 화면을 전환하면서 표시하는 표시장치는, 예를들면 터치스위치, 마우스, 키보드등의 입력장치를 사용해서 표시제어를 하고 있다.
이같은 표시장치는, 전원투입시 또는 표시제어기동시에, 메뉴화면과 같은 초기화면을 표시하고, 다시 그 메뉴화면에서 다음에 표시하는 화면을 선택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이후는 표시된 화면마다에 입력장치에 의한 화면선택을 함으로써, 화면천이를 하고 있다.
이같은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다음에 표시하는 화면의 선택지(肢)가 여러 개 있는 경우에는 화면상에 여러 개의 터치스위치, 마우스에 의해 선택가능한 여러 개의 스위치 또는 여러 개의 키가 각각 다음의 표시화면에 대응한다.
즉, 10개의 선택지가 있으면 10종류의 입력을 가능케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또, 화면천이의 구성이 계층화되어 있는 경우는, 아래의 계층으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장치에 더해, 위층 계층으로 되돌아 가기 위한 입력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선택가능한 각 화면마다에 다음 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선택가능한 화면수분)을 작성하고, 대응하는 각 스위치 모두에 그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런 표시장치에서 다음의 화면으로 선택가능한 표시화면수가, 예를들면 100화면과 같이 대량이 되면 화면전환정보의 정보량도 증가하고 각 화면마다의 설정처리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또, 화면전환정보의 증가에 따라 화면천이의 관리가 번잡해진다.
또, 표시장치에서 불필요하게 된 화면을 삭제한 경우 및 화면의 천이를 변경한 경우등은, 관련된 모든 화면상에 설정한 화면전환정보를 수정할 필요가 있고, 예를들면 수정누락이나, 오수정의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 화면수가 적은 경우에도 화면의 천이상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계층구조를 표시하는 도형 또는 문서(다큐멘트류)를 작성할 필요가 있고, 또 상기와 같은 화면의 삭제나 천이선의 변경이 발생된 경우는, 이들 다큐멘트류도 동시에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이들 다큐멘트류의 작성처리 및 수정처리는, 상기 입력장치의 조작에 의해 표시장치의 화면을 천이시키면서 하는 작업이 되기 때문에, 다대한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면전환정보의 설정처리, 화면천이상태의 관리에 필요한 다큐멘트류의 작성처리 및 화면의 삭제시나 천이선의 변경시에 발생하는 다큐멘트류의 수정처리에 소비되는 시간을 삭감할 수 있고, 다시 표시장치의 화면천이 상태를 정확하게 관리가능한 화면작성에디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는 화면천이상태를 계층형식으로 표현하는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하고, 이 화면천이차트도에 따라 생성하는 각 화면의 화면전환정보를 자동설정하는 화면편집수단(후술하는 실시의 형태의 화면천이편집부(32)에 상당)과, 각 화면의 상세한 표시정보나 입력장치에 관한 부품정보를 작성하는 화면정보작성수단(후술하는 실시의 형태의 화면상세작성부(33)에 상당)을 구비하고, 이 화면편집수단은 다시 상기 화면전환정보, 표시정보, 부품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정보에 따라 표시장치의 화면편집 및 표시제어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입력장치인, 예를들면 터치스위치, 마우스, 키보드등에서의 조작에 의해 표시화면을 전환가능한 표시장치의 화면편집 및 표시제어를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화면작성자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화면편집수단이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하고, 다시 이 화면천이차트도에 따라 화면을 천이시키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고, 각 화면상에 전환화면(다음에 표시가능한 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자동설정한다.
이로써, 선택(천이)가능한 표시화면수의 증대에 따라 화면전환정보의 정보량이 증가한 경우에도 각 화면에 대한 정보설정을 화면편집수단이 자동적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처리시간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가 있다.
또, 화면천이차트도에 의해 계층구조의 파악이 용이해지고, 화면전환정보의 정보량이 증가한 경우에도 화면천이의 관리가 쉬워진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는 화면정보를 인쇄출력하는 인쇄처리수단(후술하는 실시의 형태의 인쇄처리부(35)에 상당)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화면의 천이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계층구조를 표시하는 화면천이차트도(다큐멘트류)를 작성하고, 그 후 인쇄처리수단에서 작성된 화면천이차트도를 인쇄한다.
이로써, 화면천이차트도의 작성처리시간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가 있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는 화면정보를 통신회선을 통해서 표시장치에 송신하는 통신처리수단(후술하는 실시의 형태의 통신처리부(36)에 상당)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화면전환정보등의 화면정보를 작성하고, 그후 작성된 화면정보를 통신회선등의 경로를 통해서 송신한다.
이로인해 각 화면에 대한 화면정보의 설정처리시간을 삭감할 수가 있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는 화면정보를 관리하는 화면정보관리수단(후술하는 실시의 형태의 데이터관리부(37)에 상당)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작성한 화면전환정보, 표시정보, 부품정보등을 포함하는 화면정보를 화면정보관리수단에서 기억하고 관리한다.
이로인해 정보의 검색, 표시화면의 변경 및 전환선의 변경등의 처리를 할 때때 쉽게 대응이 가능해진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 화면편집수단은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조건이나 부품정보를 표현가능한 화면심볼을 갖고, 이 화면심볼을 사용해서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화면편집수단이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할 때, 이들의 화면심볼 및 심볼간 접속도면을 사용해서 계층구조를 표현한다.
이로인해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조건이나 부품정보 및 형상이 규격통일화되고, 화면천이차트도의 작성작업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각종 조건 및 정보가 알기 쉽게 되기 때문에 계층구조의 관리도 쉬워진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 화면편집수단은 작성한 화면천이차트도의 기재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계층구조의 규정에 따라 생성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규정을 충족하고 있지 않는 기재인 경우, 그 뜻을 통지하는 처리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불필요하게 된 화면을 삭제한 경우 및 화면의 천이를 변경한 경우등에 화면천이차트도의 부정합을 자동적으로 판정하고, 부정합이 발생했을 때에 그 뜻을 통지한다.
이로써, 관련되는 모든 화면상에 설정한 화면전환정보의 수정처리가 쉬워지고, 수정누락이나 오수정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가 있으며, 또 화면천이차트도의 작성처리 및 수정처리의 처리시간을 삭감시킬 수가 있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 화면편집수단은 화면천이차트도 작성시에 이전에 작성이 끝난 화면이 다시 전환선 화면으로 지정된 경우 미리 정해진 계층구조의 규정에 위반되어 있지 않는 것을 확인 후, 자동적으로 그 화면 전환정보를 설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어느 화면의 전환선 화면이 이전에 작성이 끝난 화면과 같은 경우에 그 정보의 재설정이 화면천지차트도의 부정합이 생기지 않는 설정이면, 자동적으로 그 화면 전환정보를 설정한다.
이로인해 같은 화면전환정보를 다시 작성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가 있고, 다시 이전에 작성한 화면전화정보의 설정을 화면편집수단이 자동적으로 실시하므로, 처리시간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가 있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 화면편집수단은 이전에 작성된 화면정보로부터 화면전환정보를 추출하고, 그 정보에 따라 각 화면간의 관련을 갖게 함으로써, 화면천이차트도를 자동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화면작성자의 조작에 의한 화면천이차트도의 작성이 아니고, 이전부터 작성되어 있던 화면정보를 이용해서 화면편집수단이 자동적으로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한다.
이로써 화면천이차트도가 없었던 표시화면의 계층구조의 관리가 가능해진다.
다음의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 화면편집수단을 화면천이차트도가 변경된 경우, 변경부분 및 그 변경에 관한 부분을 자동적으로 화면정보에 반영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불필요하게 된 화면을 삭제한 경우 및 화면의 천이를 변경한 경우등에 이들에 관련되는 모든 화면의 화면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정한다.
이로써 관련하는 모든 화면상에 설정한 화면전환정보의 수정처리가 없어지고, 수정누락이나 오수정의 발생을 없게 할 수가 있고, 또 화면천이차트도의 수정처리의 처리시간을 보다 더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면의 편집 및 표시를 하는 화면작성에디터에 관해 특히 화면을 전환하면서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화면편집 및 표시제어를 하는 화면작성에디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의 위치결정을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2는 표시장치 및 제어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예를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화면전환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5는 터치스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의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도면.
도 7은 화면천이차트에 사용가능한 기호를 표시하는 도면.
도 8은 화면천이차트도의 제 1 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9는 화면전환정보의 자동설정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10은 제 8 도에 따라 편집 및 표시된 화면의 외형을 표시하는 도면.
도 11은 화면천리차트도의 제 2 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따라 편집 및 표시된 화면의 외형을 표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1에 따라 편집 및 표시된 화면의 외형을 표시하는 도면.
도 14는 화면천이차트도의 제 3 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15는 화면전환정보의 자동설정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6은 도 14의 제 4 도에 따라 편집 및 표시된 화면의 외형을 표시하는 도면.
도 17은 화면천이차트도의 제 4 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18은 화면전환에 조건을 설정한 경우의 터치스위치 설정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차트이고,
도 19는 도 17에 따라 편집 및 표시된 화면의 외형을 표시하는 도면.
도 20은 화면천이차트도 작성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21은 화면정보에디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22은 상세한 데이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도 23은 처리중의 번호와 전환선 화면번호의 관련을 갖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도면.
도 24는 화면천이차트도 변경시의 자동반영처리를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25는 판독한 관련부데이터의 일예를 표시하는 도면.
도 26은 화면정보데이터 및 상세 데이터의 구체적구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상술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은 화면의 표시제어 및 편집등을 실시하는 퍼스컴(1),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장치(2), 화면표시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제어위치(5)로 구성되고, 퍼스컴(1)과 표시장치(2)는 통신회선(3)을 통해서, 표시장치(2)와 제어장치(5)는 전송로(4)를 통해서 각각 접속되고, 퍼스컴(1)에 의한 제어 및 제어장치(5)로부터의 정보판독에 의해 표시장치(2)가 목적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도시하는 화면작성에디터(31)에 상당)는 이 시스템에서의 퍼스컴(1)내의 한 구성으로서 위치결정된다.
도 1에서 퍼스컴(1)상에서 동작하는 화면작성에디터(31)에서는 화면표시를 하기위한 제어데이터로서의 화면정보데이터를, 예를들면 RS 232C등의 통신회선(3)을 경유해서 표시장치(2)에 송신한다. 표시장치(2)에서는, 수신한 화면정보데이터를 실행하고, 또, 화면작성에디터(31)에 의해 설정된 수치, 메시지, 그래프, 스위치, 램프등의 화면표시를 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정보(이후 표시화면정보라 함)를 제어장치(5)로부터 판독함으로써, 도면의 표시를 한다.또, 도 1에 표시하는 시스템구성은 한 구체예이고, 예를들면 퍼스컴(1)내에 표시장치(2)의 기능을 갖도록 해도 되고, 또 퍼스컴(1)내에 표시장치(2) 및 제어장치(5)의 기능을 갖게하는 일체형의 구성을 취하도록 해도 된다.
퍼스컴(1)상에서 동작하는 화면작성에디터(31)는 화면을 전환하면서 표시하는 표시장치(2)의 화면편집 및 표시제어를 하고, 다시 화면의 전환에 따른 계층구조를 차트도형식으로 표현한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표시장치(2)는 도 2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CPU(6), 시스템프로그램(7), 표시디바이스(8), 터치스위치(9), RS 232C 인터페이스(10), 제어장치 접속인터페이스(11) 및 화면정보메모리(12)를 포함하고, 화면작성에디터(31)에 의해 작성된 화면정보데이터(표시화면정보, 화면전환정보를 포함)에 따라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들면, 퍼스컴(1)으로부터 송신된 화면정보데이터는 RS232C 인터페이스(10)를 통해서 화면정보메모리(12)에 저장된다.
여기서, CPU(6)는 시스템프로그램(7)을 실행함으로써, 화면정보메모리(12)로부터 화면정보데이터를 판독해서 그 데이터에 따라 표시디바이스(8)를 제어해서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CPU(6)는 전송로(4), 제어장치 인터페이스(11)를 경유해서 제어장치 (5)내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화면정보로서, 예를들면 비트정보인 신호정보(13) 및 워드정보인 데이터정보(14)를 판독하고 있다.
이와같이 해서 표시장치(2)의 표시디바이스(8)상에 표시된 화면을, 예를들면 도 3과 같이 표시할 수가 있다.
도 3에서 표시디바이스(8)에는 화면 1이 표시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터치스위치(9)가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스위치(9)에 접촉함으로써 표시디바이스(8)의 표시는 다음의 표시화면인 화면 2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도 3 의 화면 1이 화면 2로 천이하는 경우의 시스템프로그램(7)의 처리를 도 4에 표시하는 화면전환처리플로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CPU(6)는 터치스위치로의 접촉을 항상 감시한다.
이 감시는 제어장치(5)내의 데이터(14)의 화면전환데이터 메모리번지의 값을 정기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실시한다(도 4, S1).
그리고, 판독치가 현재 표시중의 화면(1)에 대응하는 값과 동일하면(S2, Yes), 그 화면에 대해 전환처리를 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예를들면 터치스위치(9)에 접촉이 있으면, CPU(6)는 터치스위치정보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환선 화면번호 24(도 5 참조)를, 즉 화면(2)에 대응하는 값을 데이터(14)의 화면전환데이터 메모리번지에 기록한다.
그 직후에 스텝 S1의 감시에 의해, COU(6)에 판독되는 데이터(14)의 값을 화면(2)에 대응하는 값이 되기 때문에(S2, No), CPU(6)는 표시중의 화면 1을 화면 2으로 전환하는 처리를 한다(S3).
이후는 다시 스텝 S1에 의해 감시를 하고, 데이터(14)의 화면전환데이터 메모리번지의 값이 재기록될 때마다 화면전환처리를 반복해서 실시한다.
또, 화면상의 터치스위치에 미리 설정되는 터치스위치정보는, 도 5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터치스위치 정보인 것을 표시하는 데이터타이프(21), 화면상의 각 부품의 일련번호를 표시하는 ID(22), 터치스위치의 표시좌표를 표시하는 믈리키정보(23) 상기 전환선 화면번호(24), 전환조건이 저장되어 있는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전환조건어드레스(25), 화면을 전환하는 조건을 표시하는 전환조건(26), 터치스위치의 표시도형을 표시하는 표시도형정보(27) 및 기타의 정보(28)로 구성되어 있고, 다시 설명이 필요한 것에 관해서는 이 후에 적당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화면작성에디터에 의한 화면천이차트도의 작성처리와,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편집 및 표시제어에 관한 처리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데이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퍼스널컴퓨터(1)의 오퍼레이션시스템(39)상에서, 기본 라이브러리(38)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본 발명의 화면작성에디터(31)는, 화면천이편집부(32), 화면상세작성부(33), 화면동작확인부(34), 인쇄처리부(35), 통신처리부(36), 데이터관리부(37)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화면작성데이터(31)을 구성하는 각부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의 절체에 따른 계층구조를 차트도 형식으로 표현한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하고, 또한 이 화면천이차트도에 의거하여, 화면을 천이시키기 위한 화면절체정보를 작성하고, 그 화면절체정보를 표시장치(2)에 자동설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화면상세작성부(33)는, 각 화면의 상세한 표시정보 및 각 화면의 터치스위치에 관한 부품정보를 포함한 표시화면정보를 작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화면동작확인부(34)는, 작성된 화면정보데이터의 동작확인을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인쇄처리부(35)는, 작성된 화면천이차트도 또는 기타의 정보를 인쇄하는 기능을 가진다.
통신처리부(36)는, 작성된 화면정보데이터를 표시장치(2)에 송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최후에, 데이터관리부(37)는, 작성된 화면정보데이터 및 화면천이차트도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도 7 은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시에 필요하게 되는 기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기호는,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조건이나 부품정보를 표현가능한 화면심볼이며,화면천이편집부(32)는, 이들의 화면심볼을 이용하여,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한다.
즉 이들의 화면심볼을 이용함으로써, 계층구조를 가진 화면천이차트도의 표면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화면심볼을 이용하여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함으로써,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조건 또는 부품정보, 및 형상이 규격통일되며, 화면천이차트도의 작성작성효율이 향상하는 효과가 얻어지며, 또한, 각종조건 및 정보가 알기쉽게 되기 때문에 계층구조의 관리도 용이하게 된다.
예컨데, 기호(41)은, 표시장치(2)의 전원투입시에, 최초에 표시되는 이니셜화면을 나타낸다.
기호(42)는, 터치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전환되는 전환선화면을 나타낸다.
기호(43)은,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조건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조건전환기호를 나타낸다.
또, 이 조건은, 앞에서 설명한 터치스위치정보(도 5 참조)의 전환조건 어드레스(25)로 지정되는 제어장치(5)(신호정보(13) 또는 데이터정보(14))에 저장되어 있으며, 여기서 판독된 조건이 기호(43)의 조건으로서, 전환조건(26)에 설정된다.
기호(44)는,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조건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무조건전환기호를 나타낸다.
기호(45)는, 전환조건(26)(정보신호(13)에서 읽어낸 조건)이 설정되여 있는 경우의 분기처리기호(이후, a접점기호라 함)를 나타낸다.
기호(46)은, 전환조건(26)(신호정보(13)에서 읽어낸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다른 한쪽의 분기처리기호(이후, b접점 기호라함)을 나타낸다.
기호(47)은, 전환조건(26)(데이터 정보(14)에서 판독된 조건)이 설정되여 있는 경우의 분기처리기호를 나타낸다.
또한, 기호의 괄호내에는 조건이 기재된다.
기호(48)는,전환조건(26)(데이터정보(14)에서 판독된 조건)에 범위가 있는 경우, 그 데이터치의 화면번호에 화면을 천이하는 간접화면기호를 나타낸다.
기호(49)는, 지정치 또는 데이터치의 범위조건성립시에 화면전환를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홀드화면기호를 나타낸다.
기호(50)은, 동일화면이 천이도중에서 2회이상 사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중복화면기호를 나타낸다.
기호(51)은, 이니셜 화면인 최상위계층에 되돌아가는 동작을 나타내는 최상위계층 점프기호를 나타낸다.
기호(52)는, 동일계층의 각 화면을 연결하는 동일계층연결기호를 표시하며, 동일계층간의 화면전환를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기호(53)은, 동일계층의 각 화면을 연결하는 동일게층연결기호를 표시하며, 동일계층간의 화면전환를 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 은, 상기의 기호를 이용하여 화면천이편집부(32)에서 작성된 제1의 화면천이차트도이다.
이 화면천이차트도는, 이니셜도면 a 를 5종류의 화면(화면 b , 화면 c , 화면 d, 화면 e, 화면 f 에 상당)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1예이며, 터치 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무조건으로 화면이 전환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이니셜화면인 기호(41)에 동일계층연결기호(52)를 접속하며, 다음에, 그 앞에 5개의 무조건 전환기호(44)를 접속하며, 최후에 각 기호(44)에 전환선화면인 기호(42)를 접속한다.
이때, 이니셜화면인 기호(41)및 전환전화면인 기호(42)에는, 각각 화면번호를 지정한다.(도시한 a,b,c, ......)또, 이 화면번호는, 다른 번호라도, 동일번호라도 좋다.
또 화면번호는, 그에 한하지 않고, 예컨데, 화면의 타이틀등과 같은 화면을 특정가능한 것이면, 다른 표현을 이용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데이터의 화면천이편집부(32)는, 상기의 화면천이차트도(도8)에 따라 화면전환정보를 생성하며,각 화면에 (도 8 의 a,b,c,d,e,f)마다, 그 화면전환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를 행한다.
도 9 는, 화면전환정보의 자동설정처리플로차트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화면천이편집부(32)는, 도 8 의 화면 a 에 상계층이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한다.(도 9 , S11), 여기서는 화면 a 가 최상위층의 화면이므로 설정처리를 하지 않으며(S11,No), 다음에 동일계층의 병렬전환인가 어떤가를 확인한다(S13). 여기서도 화면a 에는 병렬계층이 존재하지않으므로 설정처리를 하지 않으며(S13,No)다음에 하계층이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한다(S14). 화면 a 에는 하계층이 있으므로(S14,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a 에 화면 b 의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고, 화면 b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15,No) (S16). 그 다음 화면천이편집부(32)는, 모든 하계층화면(c,d,e,f)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완료될때까지, 그 처리를 반복하여, 화면 f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완료된 시점에서(S15,yes), 화면 a 의 화면전환정보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화면천이편집부(32)는, 도 8 의 화면 b 에 상계층이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한다(S11). 여기서는, 상계층에 화면 a 가 있으므로(S11,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b 에 화면 a 의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고, 화면 a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12).
그 다음, 화면천이편집부(32)는, 동일계층의 병렬전환이 있는가 어떤가의 확인(S11), 및 하계층이 있는가 어떤가의 확인(S14)을 하고, 화면 b 에는, 병렬계층이 존재하나 기호(52)에 의해 병렬전환이 금지되어 있고(S13,No), 또한 하계층이 존재않으므로(S14,No), 화면 b 의 화면전환정보 설정처리를 종료한다.
이후, 화면 c,d,e,f 에 대해서도,화면 b 와 동일한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전화면에 대한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를 종료한다.
도 10 은, 상기 도 8 의 화면천이차트도에 따라 실행된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에 의해, 편집,표시된 각 화면의 외형을 표시한다.
이들의 화면에서는, 내부에 작성된 터치스위치에 접촉함으로서, 그 화면에 천이할수가 있다.
또 각 화면의 터치패널의 배치위치, 터치스위치의 크기등의 정보는, 미리 설정하여 둘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는 기본적으로 상위의 계층으로부터 순서대로 하며, 병렬계층에 대해서는 임의로 한다.
도 11 은, 상기한 기호를 사용하여 작성된 제2의 화면천이차트도이다.
이 화면천이차트도는, 도 8 과 같이, 이니셜화면 a 를 5종류의 화면(화면 b,화면 c,화면 e,화면 f에 상당)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1예이며, 터치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무조건으로 화면이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과 다른 점은, 기호(52)대신에 기호(51)를 사용하고, 화면의 병렬전환를 실행하게한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이니셜화면인 기호(41)에 동일계층연결기호(53)를 접속하고, 다음에 그앞에 5개의 무조건 전환기호(44)를 접속하고, 최후에, 각 기호(44)에 전환전화면인 기호(42)를 접속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의 화면천이편집부(32)는, 상기 제2의 화면천이차트도(도11)에 따라서 화면전환정보를 생성하고, 각 화면(도 11 의 a,b,c,d,e,f)마다, 그의 화면전환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를 한다.
또한, 화면 a 의 설정처리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도 8 의 화면 a의 설정처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화면천이편집부(32)는, 도 11 의 화면 b 에 상계층이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한다(도9,S11), 여기서는 상계층에 화면 a 가 있으므로(S11,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b 에 화면 a 의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고, 화면 a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12).
다음, 화면천이편집부(32)는, 동일계층의 병렬전환이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다(S13). 화면 b 에는 병렬계층이 존재하고, 기호(53)에 의해 병렬전환이 허가되여 있으므로(S13,yes), 해당하는 각 화면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를 설정하는 처리에 이행한다(S17,No). 또한, 화면 a,b,c,d,e,f의 순으로 처리를 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화면 b 가 자화면번호이므로(S18,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자화면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를 설정하는가 어떤가를 확인하고(S19), 설정하는 판단을 했을 경우에(S19,yes), 화면 b에 화면 b 의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고, 화면 b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20), 그후, 다음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설정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S19,No), 설정처리를 하지않고, 다음의 처리로 이행한다.
다음에,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c 가 자화면번호가 아니므로(S18,No), 화면 c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고, 화면 c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21). 이후 화면 d,e,f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에 대하여도, 화면 b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와 동일하게 한다.
화면 b 의 병렬전환에 관한 설정처리종료후(S17,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b 에 하계층이 있는가 어떤가의 확인(S14)을 하나, 화면 b 에는 하계층이 존재하지 않으므로(S14,No), 화면 b 의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를 종료한다.
이후, 화면 c,d,e,f 에 대해서도, 화면 b 와 동일한 처리를 반복하여, 전화면에 대한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를 종료한다.
도 12 및 도 13 은, 상기 도 11 의 화면처리차트도에 따라서 이루어진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에 의해, 편집, 표시된 각 화면의 외형을 나타낸다.
또한, 도 12 는, 도 9 의 스텝 S19 의 처리에 있어서, 자화면터치스위치를 설정한 경우를 나타내며, 도 13 은, 자화면터치스위치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또, 도 10 과 동일의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는, 상기한 기호를 사용하여 작성된 제3의 화면천이차트도이다.
이 화면천이차트도는, 이니셜화면 a 를 5종류의 하계층화면(화면 b,화면 c,화면 d,화면 e,화면 f 에 상당)으로 전환하고, 그의 하게층화면을, 다시 하계층화면(화면 g,화면 h,화면 i,화면 j,화면 k 에 상당)으로 전환가능한 3계층구조의 1예이며, 터치스위치의 접촉에 의해 무조건으로 화면이 전환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이니셜화면 a 인 기호(11)에 동일계층연결기호(53)를 접속하고, 다음에 그 앞에 5개의 무조건전환기호(44)를 접속하며, 다음 각 기호(44)에 전환선화면 b,c,d,e,f 인 기호(42)를 각각 접속한다.
또한, 전환선화면 b 인 기호(42)에는 동일계층연결기호(52)를 접속하고, 다음에 그 앞에 3개의 무조건 전환기호(44)를 접속하며, 다음에, 각 기호(44)에 전환선화면 g,h,i 인 기호(42)를 각각 접속하고, 최후에, 각 기호(42)에 최상위계층점프기호(51)를 접속한다.
또, 전환선화면 c 인 기호(42)에는 동일계층연결기호(52)를 접속하고, 다음에, 그 앞에 2개의 무조건전환기호(44)를 접속하며, 최후에, 각 기호(44)에 전환선화면 j,k 인 기호(42,50)을 각각 접속한다.
또, 전환전화면 d 인 기호(42)에 무조건전환기호(44)를 접속하고, 최후에 그앞에 전환전화면 k 인 기호(50)를 접속한다.
또한, 화면 c 와 화면 d 는, 함께 동일한 화면 k로의 전환이 가능하므로, 전환선화면 k 와 기호(50)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이 화면천이차트도(도 14)는, 상계층화면으로의 화면전환와, 동일계층화면으로의 화면전환를 가능하게하는 도 11 의 화면 b,c,d 를, 또한 하계층화면으로의 화면전환도 될수 있게 기능추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의 화면천이편집부(32)는, 상기 제3의 화면천이차트도(도 14)에 따라서 화면전환정보를 생성하고, 각 화면(도 14 의 a,b,c,d,e,f,g,h,i,j,k)마다, 그 화면전환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를 한다.
도 15 는, 도 14 에 있는 화면전환정보의 자동설정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경우, 화면전환정보의 설정처리는, 최초에 최상위계층의 화면 a, 다음에 제2계층의 화면 b~f, 최후에 최하위계층의 화면 g~k 의 순으로 한다.
또한, 화면 a 의 설정처리에 대하여는, 앞에 설명한 도 8 의 화면 a 의 설정처리와 동일하므로, 화면 e,f 의 설정처리에 대하여는 앞에 설명한 도 11 의 화면 e,f 의 설정처리와 동일하므로, 각각 설명을 생략한다.
또, 화면 b,c,d 의 설정처리에 있어서, 상계층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 및 병렬계층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에 대하여는, 앞에 설명한 도 11 의 화면 b,c,d 의 설정처리와 동일하므로, 각각 설명을 생략한다.
또, 화면 a~f 의 설정처리에 있어서, 스텝 S31 에 의한 확인의 결과는, 모두 No 이다.
이후의 설명은, 아직 설명되어 있지 않은 부분만의 설명으로 한다.
화면 b 에 있어서, 상계층화면a 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 및 병렬계층화면 b~f 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종료된 후(S13,No).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b 에 하계층이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한다(S14).
화면 b 에는 하계층이 있으므로(S14,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b 에 화면 g 의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고, 화면 g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15,No)(S16), 그후 화면천이편집부(32)는, 모든 하계층화면(h,i)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완료될때까지, 그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화면 i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종료된 시점에서(S15,yes), 화면 b 의 화면전환정보설정을 종료한다.
또, 화면 C 에 있어서, 상계층화면 a 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 및 병렬계층화면 b~f 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종료후(S13,No)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C 에 하계층이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하다(S14).
화면 C 에는 하계층이 있으므로(S14,yes)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C 에 화면 j 의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고, 화면 j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15,NO)(S16).
그후 화면천이편집부(32)는, 하계층화면 k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완료할때까지 그 처리를 하고, 화면 k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완료된 시점에서(S15,yes), 화면 C 의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를 종료한다.
또, 화면 d 에 있어서, 상계층화면 a 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 및 병렬계층화면 b~f 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종료후(S13,No),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d 에 하계층이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하다(S14). 화면 d 에는 하계층이 있으므로(S14,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C 에서 작성한 화면 k 의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확인하고, 그의 정합성 첵크를 하며, 부정합이 발생하지 않는 설정이면, 화면 k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15,No)(S16), 그후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k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완료된 시점에서(S15,yes), 화면 d 의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를 종료한다.
다음,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g 가 최상위계층점프기호(51)을 사용하고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한다(S31). 여기서는 화면 g 에 최상위계층점프기호(51)가 접속되여 있으므로(S31,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a 의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고, 화면 g 에 화면 a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32).
다음에, 화면천이편집부(32)는, 도 14 의 화면 g 에 상계층이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하다(S11), 여기서는 상계층에 화면 b 가 있으므로(S11,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g 에 화면 b 의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전환를 작성하고, 화면 b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12).
그후, 화면천이편집부(32)는 동일계층의 병렬전환이 있는지 여부의 확인(S13), 및 하계층이 있는지 여부의 확인(S14)를 하나, 화면 g 에는 병렬계층이 존재하나 기호(52)에 의해 병렬전환이 금지되어 있고(S13,No)또, 하계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S14,No)화면 g 의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를 종료한다.
이후 화면 h,i 에 대하여도 화면 g 와 같은 처리를 한다.
다음에,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i 가 최상위계층점프기호(61)를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1). 여기에서는 화면 j 에 최상위계층 점프기호(51)이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S31,No), 화면천이편집부(32)는, 다음에 화면 j 에 상계층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 여기에서는 상계층에 화면 C 가 있기 때문에(S11 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j 에 화면 c 의 터치스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고, 화면 c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를 한다(S12). 그후 화면천이편집부(32)는 동일계층의 병렬전환이 있는지 여부의 확인(S13)및 하계층이 있는지 여부의 확인(S14)를 하나, 화면 j 에는, 병렬계층이 존재하지만 기호(52)에 의해 병렬전환이 금지되어 있고(S13, No)또, 하계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S14,No)화면 j 의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를 종료한다.
이후 화면 k 에 대하여도 화면 j 와 같은 처리를 하고 전화면에 대한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를 종료한다.
도 16 은, 상기 도 14의 화면천이차트도에 따라 시행된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에 의해, 편집, 표시된 각 화면의 외형을 표시한다.
도 16 에 있어서, 화면 b 에는 상계층으로의 전환 선화면 a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병렬계층으로의 전환 선화면 b∼f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하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g, h, i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가 설정되고, 화면 c 에는 상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a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병렬게층으로의 전환선화면 b∼f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하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j, k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가 설정되며, 화면 c 에는, 상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a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병렬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b∼f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하게층으로의 전환선화면 k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가 설정되고, 화면 e에는, 상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a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병렬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b ~ f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하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k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가 설정된다.
또 도 16 에 있어서, 화면 k 는 화면 c 와 화면 d 의 터치스위치에 의해 선택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화면 k 의 터치스위치에 의한 전환선화면도, 화면 c 와 d 의 2가지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화면 k 에 설정되는 터치스위치에는 상계층으로 되돌아 간다는 의미의 예컨대 「복귀」라는 터치스위치가 설정된다.
도면 g, h, i 에는 상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b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이니셜화면 a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가 설정된다.
도면 j 에는 상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c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가 설정된다.
또한, 도 10, 도 11, 도 12, 도 13 과 같은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도 14 의 화면천이차트도에 따라서 시행된 화면전환정보설정처리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룰체크가 시행된다.
예컨대, 기호(53)을 이용한 화면전환이외는, 계층을 넘은 화면전환이 허용되지 않는 룰로서 체크를 한다.
따라서, 이에 위반하는 화면전환정보가 설정된 경우는, 이 설정이 위반인 것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기호(52)가 사용되고 있는 계층에서는 병렬계층화면으로의 전환이 될 수 없게 된다.
도 17 은 상술한 기호를 사용하여 작성된 제 4 의 화면천이차트도이다.
이 화면천이차트도는 이니셜화면 a 를 5종류의 하계층화면(화면 b, 화면 c, 화면 d, 화면 e, 화면 f 에 상당)으로 전환하고, 그 하계층화면을 다시 하계층화면(화면 g, 화면 h, 화면 i, 화면 j, 화면 k 에 상당)으로 전환가능한 3 계층구조의 1예이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에 화면이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이니셜화면 a 인 기호(41)에 동일계층연결기호(53)를 접속하고 다음에, 그 앞에 5개의 무조건 전환기호(44)를 접속하며, 다음에, 각 기호(44)에 전환선화면 b, c, d, e, f 인 기호(42)를 각각 접속한다.
또, 전환선화면 b 인 기호(42)에는 동일계층연결기호(52)를 접속하고 다음에, 그 앞에 3개의 무조건 전환기호(44)를 접속하며, 다음에, 각 기호(44)에 전환선화면 g, h, i 인 기호(42)를 각각 접속하고 최후에 각 기호(42)에 최상위계층점프기호(51)을 접속한다.
또 전환선화면 c 인 기호(42)에는 동일계층연결기호(52)를 접속하고, 다음에, 그 앞에 2개의 무조건 전환기호(44)를 접속하며, 최후에, 각 기호(44)에 전환선화면 j, k 인 기호(42),(50)을 각각 접속한다.
또 전환선화면 d 인 기호(42)에는 무조건 전환기호(44)를 접속하고, 최후에 그 앞에 전환선화면 k 인 기호(50)를 접속한다.
또한, 화면 c 와 화면 d 는 함께 동일의 화면 k 로의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환선화면 k 는 기호(50)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또, 전환선화면 e 인 기호(42)에는 조건전환기호(43)을 접속하고, 다음에, 2분기의 동일게층연결기호(52)를 접속하며, 다음에, a 접점기호(45)와 b 접점기호(46)을 병렬로 접속하고, 다음에 기호(45),(46)의 각각에 전환선화면 l 인 기호(42)와 홀드화면 m 인 기호(49)를 각각 접속하여 최후에, 기호(42)에 최상위계층점프기호(51)을 접속한다. 이때, 조건전환신호(24)에는, 예컨대, 조건으로 되는 X1을 설정한다.
이 조건신호 X1은 제어장치(5)의 신호정보(13)로부터 판독된 비트데이터이고, ON상태와 OFF상태의 두종류의 의미를 갖는 신호이다.
이 때문에, a 접점기호(45)와 b 접점기호(46)에는 각각에 두종류에 조건의 어느 한쪽이 할당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는, b 접점기호(46)에는, 홀드화면기호(49)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는 화면전환을 시행되지 않는다.
또한, a 접점기호(45)와 b 접점기호(46)을 사용한 조건전환에서는, 각각에 접속되는 전환선화면이 함께 홀드화면기호(49)가 아닌 것을 확인한다.
함께 홀드화면기호(49)의 경우는, 전환선화면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전환선화면 f 인 기호(42)에는 조건전환기호(43)을 접속하고, 다음에 4분기의 동일계층연결기호(52)를 접속하며, 다음에 3개의 분기선에 조건전환기호(47)를 접속하고 나머지 1개의 분기선에 무조건 전환기호(44)를 접속하며, 최후에 3개의 기호(47)와 1개의 기호(44)의 각각에, 전환선화면 o 인 간접화면기호(48)와 전환선화면 p 인 기호(42)와 최상위계층점프기호(51)과 홀드화면기호(49)를 각각 접속한다.
이때 조건전환기호(26)에는 예컨대, 조건으로 되는 신호 Y1을 설정한다.
이 조건신호 Y1은 제어장치(5)의 데이터정보(14)에서 판독된 워드데이터이고 전환조건으로서, 어느 특정의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소정의 범위를 가지게 한 조건식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17 의 하나의 조건전환기호(47)에는 조건식 〔 Y1〕을 할당하고,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이 조건치에 따른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 조건치에 따라서 전환화면번호가 다르므로, 게층화 화면전환 체크처리상, 다시 하계층으로의 전환은 인정하지 않는다.
또, 간접화면기호(48)를 사용한 계층에서의 병렬화면전환을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단, 간접화면기호(48)로 전환되는 화면번호가 화면천이차트도상에 전환선화면의 기호(42)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계층의 배치는 인정하나, 병렬화면전환은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 간접화면기호(48)은 조건전환기호(47)에만 접속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체크가 필요하다.
또, 조건전환기호(47)에 설정된 조건중 어느 조건에도 속하지 않는 조건치는, 무조건 전환기호(44)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한다.
이 무조건 전환기호(44)는, 조건전환기호(43)의 아래에 1개만 지정할 수 있다.
이 화면천이차트도(도 14)는, 상계층화면으로의 화면전환과 동일계층화면으로의 화면전환과, 하계층화면으로의 화면전환을 무조건 가능하게 하는 도 14 를, 또,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화면전환이 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editor)의 화면천이편집부(32)는 상기 제 4 의 화면천이차트도(도 17)에 따라서 화면전환정보를 생성하고 각 화면(도 17의 a, b, c, d, e, f, g, h, i, j, k, l, m, o, p)마다에 그 화면전환정보를 설정하는 제어를 한다.
이 경우, 화면전환정보의 설정처리는, 최초에 최상위계층의 화면 a, 다음에 제 2 계층의 화면 b∼f, 최후에 최하위계층의 화면 g∼p 의 순서로 한다.
또한, 화면 a∼d 및 화면 g∼k 의 설정처리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도 8, 도 11 및 도 14 의 설정처리와 같기 때문에, 각각 설명을 생략한다.
또, 화면 e, f 의 설정처리에서, 상계층으로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 및 병렬계층으로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도 11 의 화면 e, f 의 설정처리와 같기 때문에 각각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의 설명은, 아직 설명하고 있지 않은 부분, 즉 도 14 만의 설명으로 한다.
또한 도 19는, 화면전환에 조건을 설정한 경우의 터치스위치 설정처리 플로차트를 표시한다.
또, 도 19는 도 15 의 스텝(S21)후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화면 e 에서, 상계층화면 a 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 및 병렬계층화면 b∼f 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종료된 후(도 15, S21),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e 에 조건전환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1).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S41,NO)이 설정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는, 전환조건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S41,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다음에, 신호정보(13)(신호X1)에 의한 전환인지 데이터정보(14)(신호Y1)에 의한 전환인지를 확인한다(S42).
화면 e 에는 신호X1이 전환정보로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S42,NO), 화면천이편집부(32)는, 다음에, a 접점기는(45)와 b 접점기호(46)이 함께 홀드화면기호 49 에 접속되어 있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3).
양쪽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S43,NO), 설정미스때문에 에러를 통지하고 (S44) 이 설정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는 b접점기호(48)만이 홀드화면기호(49)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S43,NO), 조건전환용의 터치스위치에, a 접점시의 전원조건과 조건마다의 전환선화면번호를 설정한다(S45).
또 b 접점시는 홀드지정이기 때문에, 전환선화면번호를 설정하지 않는다.
화면 f 에서, 상계층화면 a 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 및 병렬계층화면 b∼f 에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위치의 설정처리가 종료된 후(도 15,S21),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f 에 조건전환이 설정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S41).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S41,NO)이 설정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는, 전환조건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S41,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다음에, 신호정보(13)(신호X1)에 의한 전환조건인지, 데이터정보 (14) (신호Y1)에 의한 전환조건인지를 확인한다(S42). 화면 e 에는 신호Y1이 전환정보로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S42,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다음에, 기호(44)의 설정이 1개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6). 복수개소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S46,NO), 설정미스이므로 에러를 통지하고(S44)이 설정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는 1개소에만 기호(44)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S46,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조건전환용의 터치스위치에 모든 조건의 전환선화면번호를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7). 설정하고 있지 않으면(S47,NO), 조건전환용의 터치스위치에 전환선화면번호를 설정하고(S48), 모든 조건의 전환선화면번호를 설정후(S47,YES)이 설정처리를 종료한다.
도 19 는 상기 도 17 의 화면천이차트도에 따라서 시행된 화면전환정보 설정처리에 의해, 편집, 표시된 각 화면의 외형을 표시한다.
또한 도 16 과 같은 화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 에서, 화면 e 에는 상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a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병렬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b∼f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신호X1에 의한 화면 l 또는 화면 m 으로의 화면전환용의 터치스위치가 설정되고, 화면 f 에는 상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a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병렬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b∼f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신호Y1에 의한 화면전환용의 터치스위치가 설정되며, 화면 l 에는 상계층으로의 전환선화면 e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와, 이니셜화면 e 에 대응하는 터치스위치가 설정된다.
도 19 의 화면 e 에서, 화면 l 또는 m 으로의 전환은, 전환조건 X1에 의해 분기하므로, 1개의 화면전환용 터치스위치가 설정되는 것으로 된다.
또, 화면 f 상의 스위치도 같은 이유에 의해 1개 설정된다.
화면 l 에는 최상위계층으로 되돌아가는 설정이 있기 때문에, 우선, 화면 a 로의 스위치가 설정되고, 다음의 , 상위계층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화면 e 로의 터치스위치가 설정된다.
화면 m 은, 홀드화면기호(49)이므로, 실제의 화면번호는 가지고 있지 않다.
화면 o 는, 간접화면기호(48)이기 때문에, 전환조건 Y1의 값에 대응하는 화면번호가 전환선화면으로 된다.
화면 o, p 는 조건 Y1에 의해 화면을 천이하므로, 각각의 터치스위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화면작성에디터를 사용하여 화면천이차트도의 작성처리와,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편집 및 표시제어에 관한 처리를 함으로써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화면작성자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화면천이편집부(32)가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하고 또, 이 화면천이차트도에 따라 화면을 천이시키기 위한 화면전환정보를 작성하며, 각 화면상에 전환화면(다음에 표시가능한 화면)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스위치를 자동설정한다.
이에 따라, 선택(천이)가능한 표시화면수의 증대에 따라서 화면전환정보의 정보량이 증대한 경우에도, 각 화면에 대한 정보설정을 화면천이편집부(32)가 자동적으로 하기 때문에 처리시간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 화면천이차트도에 의해 계층구조의 파악이 용이하게 되고, 화면전환정보의 정보량이 증가한 경우에도, 화면천이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화면의 천이상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계층구조를 표시하는 화면천이차트도(문서류)를 작성하고, 그후 인쇄처리부(35)로 작성된 화면천이차트도를 인쇄한다.
이에 따라, 화면천이차트도의 작성처리시간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화면전환정보등의 화면정보데이터를 작성하고, 그후 작성된 화면정보데이터를 통신회선등의 경로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에 따라, 각 화면에 대한 정보의 설정처리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작성한 화면전환정보, 표시정보, 스위치정보등을 포함하는 화면정보데이터를 데이터관리부(37)로 기억하고 괸리한다.
이에 따라, 정보의 검색, 표시화면의 변경 및 전환선의 변경등의 처리를 할 때, 용이하게 대응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화면전환정보의 수정처리가 용이하게 되고, 수정누락이나 오수정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 화면천이차트도의 작성처리 및 수정처리의 처리시간을 삭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어느 화면의 전환선화면이 이전에 작성완료된 화면과 동일한 경우에 그 정보의 재설정이 화면천이차트도의 부정합(missmatching)이 발생하지 않는 설정이면, 자동적으로 그 화면전환정보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화면전환정보를 다시 작성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고 또, 이전에 작성한 화면전환정보의 설정을, 화면천이편집부(32)가 자동적으로 하기 때문에 처리시간을 대폭적으로 삭감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 의해, 기히 작성완료된 화면 정보데이터로부터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0 은 화면천이차트도의 작성처리플로이다.
이하, 이 플로차트에 따라 도면천이차트도의 작성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화면작성에디터에 있어서, 화면상세작성부(33) 또는 데이터관리부(37)는,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하려는 화면의 화면번호(예컨대, 상술한 화면 a, b, c …등)을 모두 지정한다.
지정된 모든 화면번호를 접수한 화면천이편집부(32)에서는, 미처리의 화면번호가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한다(도 20, S51).
여기에서의 판단처리에서는, 반드시 YES로 된다.
다음에, 화면천이편집부(32)는 지정된 모든 화면번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그 화면번호에 대응하는 화면의 화면정보데이터를 해석한다(S52).
이 해석처리는 부품단위로 시행된다.
예컨대, 각 화면의 화면정보데이터는 도 21 과 같이, 각 화면을 한결같이 결정하는 화면번호(61), 화면의 크기, 기능을 표시하는 화면종류(62), 화면내의 부품 (스위치, 램프, 그래프등)의 수(63) 및 각 부품의 위치, 속성등의 상세데이터(64)로 구성되고, 표시장치(2)의 화면정보메모리(12) 또는 화면작성에디터(31)의 데이터관리부(37)에 저장되어 있다.
또, 상세데이터(64)는, 화면내 부품의 수(63)의 개수분이 저장되고, 예컨대 도 22 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부품의 종류(스위치, 램프, 그래프등)를 표시하는 부품데이터타이프(71), 부품의 시리얼번호를 표시하는 부품 ID(72) 및 부품독자정보(73)로 구성되어 있다.
스텝 S52에 의한 해석의 결과, 화면천이편집부(32)는 대상부품이 스위치부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3). 스위치부품이 아니면(S53,NO) 다음의 부품의 해석처리도 이행한다.
한편, 스위치부품이면(S53,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그 스위치부품의 해석을 한다(S54). 이 해석처리는 도 5 에 표시하는 스위치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시행한다.
이때, 예컨대 전환선화면번호(24)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S55,NO), 다음의 부품의 해석처리로 이행하고, 설정되어 있으면(S55,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현재 해석중의 화면번호와, 전환선화면번호(24)를 관련지우는 처리를 한다(S56).
*현재 해석중의 화면번호와 전환선화면번호(24)를 관련지우는 처리는, 전환선화면번호(24)인 전환선화면번호(81)과 전환을 발생시키는 부품ID(82)를 보존함으로써 시행된다.
그후, 화면천이편집부(32)는, 현재 처리중의 화면에 다른 해석하여야 할 부품이 있는지 연부를 확인하고(S57), 해석하여야 할 부품이 있으면(S57,YES), 다음의 부품에 대하여도 같은 해석처리 및 관련부 처리를 하며, 해석하여야 할 부품이 없어진 시점에서(S57,NO) 이 화면에 관한 해석처리 및 관련부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앞서 화면상세작성부(33) 또는 데이터관리부(37)로 지정한 모든 화면에 대하여도, 상기와 같은 해석처리 및 관련부 처리를 한다.
이 단계에서 지정된 모든 화면과, 이들의 화면의 전환선화면이 관련지어지게 되고 화면천이차트도가 작성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화면작성에디터를 사용하여 기히 작성완료된 화면정보데이터로부터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화면작성자의 조작에 의한 화면천치차트도의 작성이 아니고 이전부터 작성되어 있던 화면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천이편집부(32)가 자동적으로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한다.
이에 따라, 화면천이차트도가 없었던 표시화면의 계층구조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 의해 화면천이차트도를 변경한 경우에, 변경부분 및 그 변경에 관한 부분을 자동적으로 화면정보데이터에 반영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4 는 화면천이차트도 변경시의 화면정보데이터 자동반영처리 플로차트이다.
이하, 이 플로차트에 따라 화면천이차트도 변경시의 화면정보데이터 자동반영처리를 설명한다.
도면작성에디터내에서는, 화면천이의 변경으로서, 예컨대, 화면번호 a 로부터 화면번호 b 로의 화면천이를 화면번호 a 로부터 화면번호 d 로의 화면천이로 변경한다(도 24, S61). 우선, 화면천이편집부(32)에서는, 화면 a 에 미확인의 부품이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한다(S62).
여기에서의 판단처리에서는, 최초는 반드시 YES로 된다.
화면천이편집부(32)는, 화면 a 에 설정된 전환선화면에 대응하는 스위치에 관한 관련부데이터를 ID 번호순으로 하나씩 판독한다(S63). 도 25 는 판독관련부데이터의 1예를 표시한다.
이 예에서는, 화면 a 가 화면 b 또는 화면 c 로 천이하는 것을 안다.
다음에 화면천이편집부(32)는 판독관련부데이터의 전환선화면이 변경전 화면번호 b 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4). 도 25 에 표시하는 10번째의 부품ID 를 갖는 스위치는 전환선화면번호가 b 이기 때문에(S64, YES), 화면천이편집부(32)는, 이 부품 ID 를 취득한다(S65). 그후, 화면천이편집부(32)는 도 26 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부품 ID 에 따라서 화면정보데이터내의 상세데이터로부터 이 스위치의 상세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상세데이터에 기억되어 있는 전환선화면번호 b 를 d 로 고쳐 쓴다(S66). 이상, 본 발명의 화면작성에디터를 사용하여 화면천이차트도 변경시의 자동반영처리를 함으로써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화면작성에디터에서는 불필요하게 된 화면을 삭제한 경우 및 화면의 천이를 변경한 경우등에 그들에 관련하는 모든 화면의 화면정보를 자동적으로 수정한다.
이에 따라, 관련하는 모든 화면상에 설정한 화면전환정보의 수정처리가 없어지고, 수정누락이나 오수정의 발생이 없도록 할 수 있으며 또, 화면천이차트도의 수정처리의 처리시간을 보다 삭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면작성에디터(editor)는 화면을 전환하면서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화면편집 및 표시제어를 행하는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으로 유용하며, 특히 절판화면이 계층화구조를 가져 전환화면수가 많은 표시장치의 제어에 적합하다.

Claims (9)

  1. 입력장치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표시화면을 전환하는 표시장치의 화면작성을 하는 화면작성에디터에 있어서, 화면천이상태(screen shift state)를 계층형식(hierarchical format)으로 표현하는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하고, 그 화면천이차트도에 따라 생성하는 각 화면의 화면전환정보를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화면편집수단과, 각 화면의 상세한 표시정보나 입력장치에 대한 부품정보를 작성하는 화면정보작성수단을 구비하며, 이 화면편집수단은 화면전환정보, 표시정보,부품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정보에 따라 표시장치의 화면편집 및 표시제어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작성에디터(screen editor).
  2. 제 1 항에 있어서,
    화면정보를 인쇄출력하는 인쇄처리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작성에디터.
  3. 제 1 항에 있어서,
    화면정보를, 통신회선을 통하여 표시장치에 송신하는 통신처리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작성에디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를 관리하는 화면정보 관리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작성에디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편집수단은, 화면을 전환시키는 조건과 부품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화면심볼(screen symbol)을 가지며, 그 화면심볼을 사용하여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작성에디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편집수단은 작성한 화면천이차트도의 기재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계층구조의 규정에 의해 생성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규정을 만족하지 않은 기재인 경우 그 뜻을 통지하는 처리를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작성에디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편집수단은 화면천이차트도를 작성할때 이전에 작성을 마친 화면이 다시 전환목표화면(target screen)으로 지정될 경우 미리 결정되어 있는 계층구조의 규정에 위반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한 후 자동적으로 그 화면전환정보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작성에디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편집수단은 이전에 작성한 화면정보에서 상기 화면전환정보를 추출하고, 그 정보에 따라 각 화면간의 연결(linking)을 함으로써, 화면차트도를 자동적으로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작성에디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편집수단은 화면천이차트도가 변경될 경우, 변경부분 및 그 변경에 대한 부분을 자동적으로 화면정보에 반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작성에디터.
KR1019997006551A 1997-11-20 1998-11-19 화면작성에디터 KR100331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952597 1997-11-20
JP1997-319525 1997-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320A KR20000070320A (ko) 2000-11-25
KR100331159B1 true KR100331159B1 (ko) 2002-04-01

Family

ID=181112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669A KR19990044748A (ko) 1997-11-20 1998-06-03 화면천이 편집기능부 화면작성에디터
KR1019997006551A KR100331159B1 (ko) 1997-11-20 1998-11-19 화면작성에디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669A KR19990044748A (ko) 1997-11-20 1998-06-03 화면천이 편집기능부 화면작성에디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07758B1 (ko)
JP (1) JP3776133B2 (ko)
KR (2) KR19990044748A (ko)
DE (2) DE19818819A1 (ko)
WO (1) WO19990274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4089B1 (en) * 1999-02-23 2005-02-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s for mapp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of applications
JP4395223B2 (ja) * 1999-09-24 2010-01-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1109620A (ja) 1999-10-06 2001-04-20 Hitachi Ltd 画面表示制御方法および画面遷移プログラムの生成方法
US6910208B1 (en) * 2000-04-25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placeable and extensible user interface for the installation of a suite of applications
US20040104946A1 (en) 2002-09-23 2004-06-03 Yufeng Li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ositioning of graphic objects
US8276095B2 (en) * 2004-02-20 2012-09-25 Advanced Intellectual Property Group,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navigating within a workspace of a computer application
JP4645287B2 (ja) * 2005-04-28 2011-03-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233530B2 (en) * 2008-10-28 2012-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 scene matching on return from virtual rendering in a consumer digital video recording device
US8566923B2 (en) 2011-02-01 2013-10-2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Enhanced organization and automatic navigation of display screens facilitating automation control
US20150339272A1 (en) 2013-01-08 2015-11-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oject-data creation apparatus
USD877174S1 (en) 2018-06-03 2020-03-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631A (ja) * 1989-11-28 1991-07-19 Meidensha Corp 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のデータ生成編集方式
JPH03189864A (ja) * 1989-12-20 1991-08-19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論理構造編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9568A (ja) * 1984-03-09 1985-09-2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JPS62186365A (ja) 1986-02-12 1987-08-14 Hitachi Ltd 画面作成方法
US5182796A (en) * 1988-03-23 1993-01-26 Fuji Xerox Co., Ltd. Multi-screen setting condition display system
US5086513A (en) * 1989-04-12 1992-02-04 General Electric Company Digital radio transceiver programmer with advanced user interface
US5289574A (en) * 1990-09-17 1994-02-22 Hewlett-Packard Company Multiple virtual screens on an "X windows" terminal
JPH0756628B2 (ja) * 1990-10-22 1995-06-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編集装置
JPH04181455A (ja) * 1990-11-16 1992-06-29 Hitachi Ltd 画面遷移仕様作成方法
JPH04280321A (ja) * 1991-03-08 1992-10-06 Nec Corp 補助画面設計装置
JPH05216641A (ja) * 1992-02-06 1993-08-27 Toshiba Corp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制御プログラム生成装置
JPH05233258A (ja) * 1992-02-25 1993-09-10 Yokogawa Electric Corp グラフィックエディタ開発支援システム
JPH05257670A (ja) 1992-03-12 1993-10-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面作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35684A (ja) * 1992-07-17 1994-02-10 Pfu Ltd 状態遷移定義方法
JPH06250895A (ja) * 1993-02-26 1994-09-09 Fujitsu Ltd 構造化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US5499334A (en) * 1993-03-01 1996-03-1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window configuration of inactive programs
JPH06282426A (ja) * 1993-03-25 1994-10-07 Toshiba Corp 対話型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
JPH06332686A (ja) * 1993-05-20 1994-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挙動記述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ソフトウェア評価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作成方法
JPH0793341A (ja) * 1993-09-27 199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書管理装置
JPH0798737A (ja) * 1993-09-29 1995-04-11 Hitachi Ltd 取引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およびその開発支援装置
US5712964A (en) * 1993-09-29 1998-01-27 Fujitsu Limited Computer graphics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based on a high-speed generation of a changed image
JPH07219754A (ja) * 1994-01-31 1995-08-18 Toshiba Corp 画面遷移図を用いた要求定義支援装置
US5564002A (en) * 1994-08-01 1996-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virtual desktop through window positioning
US5675752A (en) 1994-09-15 1997-10-07 Sony Corporation Interactive applications generator for an interactive presentation environment
JP3517301B2 (ja) * 1995-03-28 2004-04-12 富士通株式会社 仮想画面表示処理システム
US5617522A (en) 1995-04-03 1997-04-01 Honeywel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or customizing display screens and operator interfaces for process control and measurement instruments
JPH08278881A (ja) * 1995-04-06 1996-10-22 Toshiba Syst Technol Kk 対話処理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
JPH0916384A (ja) * 1995-06-30 1997-01-17 Toshiba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方法及び装置
JPH0962469A (ja) * 1995-08-30 1997-03-07 Toshiba Corp 画面設計装置
JP3314905B2 (ja) * 1995-09-19 2002-08-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面情報参照再生装置
EP1300850A3 (en) * 1997-09-17 2004-06-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optical disc for use a recording medium of a video data edit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ding medium storing an editing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7631A (ja) * 1989-11-28 1991-07-19 Meidensha Corp 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のデータ生成編集方式
JPH03189864A (ja) * 1989-12-20 1991-08-19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論理構造編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320A (ko) 2000-11-25
JP3776133B2 (ja) 2006-05-17
WO1999027438A1 (fr) 1999-06-03
US6407758B1 (en) 2002-06-18
DE19818819A1 (de) 1999-05-27
DE19881984T1 (de) 2000-01-27
KR19990044748A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1035B2 (ja) 階層型編集コマンド・メニュー表示方法
EP2338116B1 (en) Document-based workflows
US20060107207A1 (en)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0331159B1 (ko) 화면작성에디터
EP0612014B1 (en) Menu inquiry system
JP4870601B2 (ja) 画面データ生成装置、画像処理装置、画面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089944A (ja) 接続ガイドマ―カ表示方法およびシステム、記録媒体
US6987513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utilizing a plurality of node processing means for view/drawing including analysis, selection, display control, view generation and re-generation
JP2001356857A (ja) コマンドメニュー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3374294B2 (ja) 階層表示装置
JPH10260765A (ja) 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100317227B1 (ko) 지능망서비스생성을위한개방형서비스생성환경장치및제어방법
JP4414537B2 (ja) 画面データ作成方法、画面データ作成装置及び記録媒体
JPH04320551A (ja) ハイパーテキスト装置およびハイパーテキスト生成方法
JPH04294424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対話的画面制御装置
JPH10222356A (ja) アプリケーション作成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作成方法
JPH0954688A (ja) Gui設計支援方法
JPH02148118A (ja) 操作手順表示方式
JP2713924B2 (ja) 文書編集装置
JPH1185582A (ja) データ処理装置
JP2000340500A (ja) 露光装置ならびにパラメータセットの処理装置および編集方法
JP2000347840A (ja) ソースプログラム自動生成装置、ソースプログラム自動生成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20089067A (ko) 웹기반 아이티시스템 구축시 화면설계명세서 및 소스코드자동생성 방법
KR20010074232A (ko) 무선 콘텐츠/사이트 저작 방법 및 시스템
JP2000284827A (ja) プラント画面設計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