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070B1 - 차량용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070B1
KR100310070B1 KR1019980041574A KR19980041574A KR100310070B1 KR 100310070 B1 KR100310070 B1 KR 100310070B1 KR 1019980041574 A KR1019980041574 A KR 1019980041574A KR 19980041574 A KR19980041574 A KR 19980041574A KR 100310070 B1 KR100310070 B1 KR 10031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aling groove
leg
groov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820A (ko
Inventor
마사타카 쵸우지
타카시 소네
Original Assignee
고지마 류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류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고지마 류조
Publication of KR1999003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21S43/51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50Waterproof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광원(14)을 둘러싸도록 램프 본체의 경사진 전방 개구부의 둘레에 밀봉 홈(sealing groove)이 형성되며, 전방 렌즈의 밀봉 레그(sealing leg)가 밀봉재를 매개로 밀봉 홈과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는 밀봉 홈의 기부의 단면 형상이 밀봉 레그 삽입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경사진 기부에는 밀봉 레그가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밀봉 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횡방향 돌기가 마련되어 있다. 밀봉 레그를 강제로 밀어넣으면, 그 밀봉 레그는 횡방향 돌기와 접촉되어 예정 범위를 초과하여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밀봉 레그와 접촉하는 각각의 횡방향 립이 밀봉 레그의 삽입 방향과 교차함에 따라, 밀봉 레그가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미끄러질 가능성은 전혀없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VEHICLE LAMP}
본 발명은 전방 렌즈의 밀봉 다리부가 밀봉 물질을 매개로 해서 램프 본체의 밀봉 홈과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도 7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종래 기술의 차량용 램프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차량용 램프는 전구(3)가 장착된 반사경(2)을 내장하도록 용기 형상의 램프 본체(1)의 전방에 전방 렌즈(4)가 합체되는 헤드 램프를 포함한다. 램프 본체(1)의 전방 개방부에 형성된 밀봉 홈(5)에는 밀봉 물질(8)을 매개로 하여 전방 렌즈(4)의 둘레 엣지에 형성된 밀봉 다리부(7)가 결합된다. 밀봉 물질(8)은 밀봉 홈(5)의 내측을 밀봉하며, 이에 따라 전방 렌즈(4)와 램프 본체(1) 사이에는 방수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전방 렌즈(4)에는 밀봉 다리부(7)의 외측에 형성되는 플랜지(7a)가 마련된다. 밀봉 홈(5)에 밀봉 다리부(7)를 삽입하는 범위는 플랜지부(7a)가 밀봉 홈(5)의 외측벽(5a)의 전방 엣지에 맞닿을 때 한정된다.
최근에는, 램프 본체(1)의 전방 개방부가 뒤쪽으로 크게 경사지거나 전방 렌즈(4)가 차량의 측면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경사져서 램프의 외형이 차체(9)의유선(streamline)과 조화를 이루며, 그에 의해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신규함을 추구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술한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는, 밀봉 홈(5)의 깊이가 홈의 폭 방향으로 일정하도록 밀봉 홈(5)의 저면(5b)도 램프 본체(1)의 경사진 전방 개방부와 유사하게 경사져 있다. 밀봉 홈(5)과 결합될 때 밀봉 홈(5)의 저면(5b)은 밀봉 다리부(7)가 삽입되는 방향(P1)에 수직을 이루는 평면(F1)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홈(5)에 삽입될 때 밀봉 다리부(7)가 밀봉 홈(5)에 대해 비교적 강하게 압박되면 밀봉 홈(5)의 외측벽(5a)은 강제로 확장되며, 밀봉 다리부(7)는 밀봉 다리부(7)가 밀봉 홈(5)의 저면(5b)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그에 따라, 밀봉 다리부(7)가 경사진 저면(5b)에 대해 압박되면, 밀봉 다리부(7)는 경사진 저면(5b)을 따라 가해지는 압박력의 분력에 기인하여 경사진 저면(5b)을 따라 밀봉 홈(5)의 폭 방향(도 9에서 P'1으로 표시)으로 미끄러지게 된다(도 9의 이점 쇄선 참조).
그 결과, 치우침(unconformity)이 발생되며, 그로 인하여 밀봉 물질(8)이 밀봉 홈(5)의 밖으로 빠져나가서 더러워지고, 밀봉 물질(8) 층의 두께가 밀봉 홈(5)의 단면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되기 때문에 밀봉 성능이 감소되며, 배광(配光)이 전방 렌즈(4)의 배광 제어 스텝(light distribution control step)을 매개로 행해지는 헤드 램프에서 소정의 적절한 배광을 얻기 어렵게되는 등의 결과가 야기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밀봉 다리부가 밀봉 홈과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는 그러한 차량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헤드 램프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헤드 램프의 수평 단면도.
도 4는 정면 렌즈가 없는 헤드 램프의 정면도.
도 5는 밀봉 홈에 있는 횡방향 리브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밀봉 다리부를 밀봉 홈에 삽입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의 차량용 헤드 램프의 단면도.
도 8은 밀봉 다리부를 밀봉 홈에 삽입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밀봉 다리부가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램프 본체
12: 반사경
20: 밀봉 홈
20b: 밀봉 홈의 저면
28: 횡방향 리브(횡방향 돌기)
30: 전방 렌즈
32: 밀봉 다리부
34: 플랜지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광원을 수용하는 램프 본체의 경사진 전방 개방부의 둘레에 밀봉 홈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전방 렌즈의 밀봉 다리부는 밀봉 물질을 매개로 해서 밀봉 홈과 일체로 결합되고, 밀봉 홈의 저면의 단면 형상은 밀봉 다리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상기 경사진 저면에는 밀봉 다리부가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봉 다리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하고, 밀봉 홈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리브가 마련된다.
차체에서 램프에 이르는 영역에서의 공기 저항은 램프 본체의 전방 개방부와 전방 렌즈를 자체의 경사와 조화를 이루게 이루게 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밀봉 홈의 깊이, 즉 밀봉 홈에 있는 밀봉 물질의 깊이는 밀봉 홈의 저면의 단면 형상을 램프 본체의 경사진 전방 개방부와 평행하게 형성함으로써 밀봉 홈을 따라 균일하게 되므로, 밀봉 다리부와 밀봉 홈 사이의 밀봉 성능은 밀봉 홈을 따라 균일해 질 수 있다.
또한, 밀봉 다리부가 밀봉 홈에 강제로 삽입되는 경우, 밀봉 다리부는 밀봉 홈의 저면에 마련된 횡방향 리브와 접촉하여, 밀봉 다리부가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밀봉 다리부와 접촉된 횡방향 리브는 밀봉 다리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하고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므로, 심지어는 밀봉 다리부가 횡방향 리브에 대해 압박될 경우에도 횡방향 리브가 연장하는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분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밀봉 다리부가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미끄러질 가능성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밀봉 다리부의 전방 엣지 면은 밀봉 다리부가 밀봉 홈과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밀봉 홈의 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밀봉 다리부의 전방 엣지 면과 밀봉 홈의 저면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므로, 밀봉 물질 층의 두께는 밀봉 홈의 단면 방향으로 균일하게 되며, 그에 따라 밀봉 홈의 단면 방향으로의 밀봉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횡방향 리브는 램프 본체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마련되며, 그에 의하여 램프 본체를 유지하는 밀봉 다리부의 양 측부가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는 밀봉 다리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또한 포함하며, 이 플랜지를 밀봉 홈의 외측벽의 전방 엣지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밀봉 다리부가 삽입되는 범위를 설정된다.
밀봉 다리부의 측부에 있는 플랜지부가 밀봉 홈의 외측벽의 전방 엣지와 접촉되어 밀봉 홈에 삽입되는 밀봉 다리부의 삽입량이 설정되므로, 밀봉 홈에 삽입된 밀봉 다리부는 밀봉 홈의 저면에 있는 리브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며, 그에 따라 밀봉 다리부는 필요 이상으로 많이 삽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각 리브는 그 능선(ridge line)이 밀봉 홈의 개방부를 향하는 삼각뿔 형태이다. 밀봉 다리부와 밀봉 홈 사이에 유지되는 밀봉 물질의 층은 극히 얇지만, 밀봉 물질 층의 얇은 영역은 밀봉 홈과 수직을 이루는 삼각뿔 형태의 각각의 횡방향 리브의 능선에 해당하는 영역에만 대응하며, 이에 따라 밀봉 홈에서의 밀봉 성능은 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헤드 램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취한 헤드 램프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헤드 램프의 횡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정면 렌즈가 없는 상태의 헤드 램프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밀봉 홈에 있는 횡방향 리브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밀봉 다리부를 밀봉 홈에 삽입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참조 부호10은 컵-형상의 합성수지제 램프 본체를 지시하며, 그 내부에 전구(14)가 삽입 및 장착되어 있는 반사경(12)은 하나의 볼 조인트(A)와, 2개의 조정 나사(B, C)를 주 구성 요소로 하는 조정 기구에 의해 수직 및 수평하게 경사질 수 있도록 지지된다. 달리 말하면, 램프의 광축(光軸, L)은 조정 나사(B, C)의 선회 운동에 의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사경(12)에 고정된 전구(14)의 앞에는 차광부(13, shade)가 배치되어 배광 형성용으로 이용된다. 또한, 수평한 경사 샤프트(tilting shaft, Lx)와 수직한 경사 샤프트(Ly)가 마련되어 있다. 램프 본체(10)의 후방 개방부에는 고무 덮개(11)가 장착되어, 램프 본체(10)의 후방은 방수처리 된다.
램프 본체(10)의 전방 개방부의 둘레에는 밀봉 홈(20)이 마련되는 반면에, 전방 렌즈(30)의 후방측 둘레부에는 밀봉 다리부(32)가 형성되며, 밀봉 다리부(32)를 밀봉 물질(26)을 매개로 하여 밀봉 홈(20)과 결합시킴으로써 전방 렌즈(30)는 램프 본체(10)와 합체된다. 이에 따라, 이들 구성 부품은 방수 처리된 헤드 램프로 합체된다. 참조 부호31은 전방 렌즈(30)의 후방에 형성된 배광 제어 스텝(light distribution control step)을 지시한다.
밀봉 다리부(32)의 외측에는 플랜지부(34)가 마련되며, 밀봉 다리부(32)가 삽입되는 양은 상기 플랜지부(34)를 밀봉 홈(20)의 외측벽(20a)에 있는 전방 엣지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설정된다. 또한, 플랜지부(34)와 밀봉 홈(20) 사이에는 클립(36)이 장착되어, 소정의 압축력이 밀봉 다리부(32)와 밀봉 홈(20) 사이의 밀봉 물질(26)에 작용하여 밀봉 다리부(32)가 밀봉 홈(20)에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은 방지된다.
램프 본체(10)의 전방 개방부와 전방 렌즈(30)는 차체(40)의 형상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방 및 우측(운전자가 볼 때 우측)으로 크게 경사지고, 헤드 램프에서 차체(40)에 이르는 영역은 연속적인 곡면을 형성하는데. 이는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
램프 본체(10)의 전방 개방부를 따라 형성된 밀봉 홈(20)의 저면(20b)은 램프 본체(10)의 전방 개방부가 형성하는 평면(F2)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 결과 밀봉 홈(20)의 두께는 밀봉 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플랜지부(34)가 밀봉 다리부(32)의 바닥에 형성됨에 따라, 밀봉 다리부(32)의 길이는 전방 렌즈(30)의 둘레 엣지를 따른 방향으로 또한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다리부(32)가 밀봉 홈(20)에 결합할 때, 밀봉 다리부(32)의 전방 엣지 면(32a)은 밀봉 홈(20)의 저면(20b)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밀봉 홈(20)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밀봉 압력도 또한 균일해진다.
또한, 밀봉 홈(20)은 광축(L)에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된다. 밀봉 다리부(32)가 밀봉 홈(20)과 합체될 때, 밀봉 다리부(32)는 광축(L)에 평행한 방향(P2)으로 삽입된다. 램프 본체(10)의 전방 개방부와 평행한 밀봉 홈(20)의 저면(20b)은 밀봉 다리부가 삽입되는 방향(P2)에 수직한 평면(F3)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플랜지부(34)는 밀봉 다리부(32)가 밀봉 홈(20)에 강제 삽입되는 경우에 밀봉 홈(20)의 외측벽을 외측을 향하여 밀어낸다. 결과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밀봉 다리부의 전방 단부가 밀봉 홈의 저면을 따라 폭 방향으로 미끄러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나, 밀봉 다리부가 필요 이상으로 삽입될 때 밀봉 다리부(32)의 전방 단부와 접촉되는 횡방향 리브(28; )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라 밀봉 홈(20)의 저면(20b)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밀봉 다리부(32)가 필요 이상으로 밀봉 홈(20)에 삽입되는 것과 홈의 폭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홈(20)의 저면(20b)에는 밀봉 홈의 길이 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마련된 횡방향 리브(28)가 마련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횡방향 리브(28)는 밀봉 홈(20)의 저면(20b)에 마련된 삼각뿔 형태의 돌기이며, 각각의 횡방향 리브(28)의 전방부에 있는 능선(28a)은 밀봉 다리부(32)가 삽입되는 방향(P2)에 수직한 평면(F3)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밀봉 홈(20)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밀봉 다리부(32)의 전방 단부는 횡방향 리브(28)와 접촉되며, 밀봉 홈(20)의 외측벽(20a)이 변형될 정도로 밀봉 다리부(32)가 강제될지라도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밀봉 다리부(32)는 소정의 삽입 양을 초과할 정도로 밀봉 홈(20)에 삽입되지는 않는다.
또한, 밀봉 다리부(32)의 전방 단부가 접촉되는 각 횡방향 리브(28)의 전방 단부에 있는 능선(28a)은 밀봉 다리부(32)가 삽입되는 방향(P2)에 수직한 평면(F3)에 평행한 평면에 배치되며, 밀봉 홈(20)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전방 렌즈(30)의 전체 밀봉 다리부(32)는 동일 간격을 두고 있는 4위치에서 횡방향 리브(28)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폭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의 분력(도 6에 참조 부호 P'2로 도시)은 밀봉 다리부(32)가 강제될 때에도 거의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밀봉 다리부(32)는 능선(28a)을 따라 절대 미끄러지지 않으며〔밀봉 홈(20)의 폭 방향으로〕, 밀봉 홈(20)의 폭 방향으로 항상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밀봉 홈(2)과 밀봉 다리부(32) 사이의 밀봉 물질의 층은 밀봉홈(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균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밀봉 홈(20)을 따른 밀봉 성능이 일정하게 된다.
횡방향 리브(28)의 형성 위치에 있는 밀봉 물질의 층은 횡방향 리브(28)가 밀봉 다리부(32)의 전방 엣지 면(32a)에 인접하게 유지됨에 따라 극도로 얇아지지만, 얇은 밀봉 물질의 층은 횡방향 리브(28)의 능선(28a)과 마주하는 영역으로만 한정되며, 밀봉 다리부(32)와 밀봉 홈(20) 사이의 밀봉 성능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전방 렌즈(30)가 램프 본체(10)의 전방 개방부와 일체로 합체된 상태로 밀봉 다리부(32)의 전방 단부와 각 횡방향 리브(28) 사이에는 매우 작은 간격이 존재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물질의 층은 밀봉 다리부의 전방 엣지 면(32a)과 횡방향 리브(28)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나, 밀봉 다리부(32)는 횡방향 리브(28)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횡방향 리브(28)는 상하 좌우로 있는 밀봉 홈의 저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램프 본체(10)의 전방 개방부를 유지하는 상하 좌우로 있는 밀봉 홈의 저면의 단면 형상이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밀봉 다리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컨대 밀봉 홈의 좌우 저면의 단면 형상은 경사지지 않고 밀봉 홈의 상하 저면의 단면 형상만이 경사진 경우, 횡방향 리브(28)는 단지 상하로 있는 밀봉 홈에만 형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횡방향 리브(28)는 단지 경사진 밀봉 홈의 단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광원으로서 전구가 장착된 반사경(12)이 경사지게 지지되는 이동 가능한 형태의 반사경을 구비하는 헤드 램프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광원으로서의 전구가 램프 하우징에 의하여 경사지게 지지되도록 반사경이 램프 본체에 합체되어 있는 이동 가능한 형태의 램프 유닛을 구성하는 전방 렌즈에 램프 본체를 결합하는데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예로서 전방 렌즈를 헤드 램프가 있는 램프 본체와 결합시키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방 렌즈를 다른 차량용 램프의 램프 본체와 결합시키는데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밀봉 홈에 삽입된 밀봉 다리부는, 밀봉 홈의 저면에 형성되고 밀봉 다리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횡방향 리브와 접촉하여 필요 이상으로 압박되더라도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으며,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적절한 위치에 항상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밀봉 물질을 밀어내고, 밀봉 성능을 악화시키고 배광 기능을 방해하는 것 등을 포함한 치우침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 다리부와 밀봉 홈 사이의 밀봉 물질 층의 두께가 밀봉 홈의 횡방향으로 균일하기 때문에 밀봉 홈에서의 밀봉 성능은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 본체의 개방부를 그 사이에서 유지하는 밀봉 다리부의 양측이 횡방향 리브에 지지되므로, 밀봉 다리부는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적절한 위치에 확실히 배치된다.
또한, 밀봉 다리부는 밀봉 다리부의 측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밀봉 홈의 외측벽을 결합시킴에 의하여, 그리고 위치 설정 목적을 위한 횡방향 리브와 밀봉 다리부를 접촉시킴에 의하여 밀봉 홈의 적절한 위치에 확실하게 배치되므로, 밀봉 물질을 밀봉 홈의 밖으로 밀어내고, 밀봉 성능을 악화시키고, 배광을 방해하는 것 등을 포함한 종래 기술에 수반되는 문제점은 확실히 제거된다.
또한, 밀봉 물질의 층은 각각의 횡방향 리브가 형성된 위치에서는 얇아지지만, 밀봉 물질 층의 얇은 영역은 횡방향 리브가 형성된 영역과 밀봉 홈과 수직을 이루는 일직선을 따른 영역으로 한정되며, 이에 따라 횡방향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밀봉 성능은 악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횡방향 리브가 없을 때에 야기되는 밀봉 성능과 동일한 밀봉 성능을 확실히 달성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광원을 내장하도록 경사진 전방 개방부가 마련되며, 경사진 전방 개방부의 둘레에 밀봉 홈이 형성되어 있는 램프 본체와,
    상기 램프 본체의 전방 개방부에 결합되며, 저면의 단면 형상이 밀봉 다리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밀봉 홈과 일체로 결합되는 밀봉 다리부를 포함하는 전방 렌즈와,
    상기 밀봉 홈에 가해지는 밀봉 물질과,
    밀봉 다리부가 삽입되는 방향과 수직하고, 밀봉 홈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경사진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밀봉 다리부가 밀봉 홈의 폭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횡방향 리브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다리부는 밀봉 홈의 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전방 엣지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리브는 램프 본체를 그것의 사이에 두고 대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밀봉 다리부의 외측부에는 플랜지가 또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각 횡방향 리브는 능선이 밀봉 홈의 개방부를 향하는 삼각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KR1019980041574A 1997-10-03 1998-10-02 차량용램프 KR100310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70956 1997-10-03
JP27095697A JP3208364B2 (ja) 1997-10-03 1997-10-03 車両用灯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820A KR19990036820A (ko) 1999-05-25
KR100310070B1 true KR100310070B1 (ko) 2002-02-19

Family

ID=1749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574A KR100310070B1 (ko) 1997-10-03 1998-10-02 차량용램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61953A (ko)
JP (1) JP3208364B2 (ko)
KR (1) KR100310070B1 (ko)
CN (1) CN1105259C (ko)
DE (1) DE1984544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9898A (ja) * 2002-12-16 2004-07-15 Honda Motor Co Ltd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
US7301265B2 (en) * 2003-05-22 2007-11-27 Seiko Epson Corporation Light source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source unit, and projector
JP5410873B2 (ja) * 2009-07-28 2014-02-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KR101103597B1 (ko) 2010-06-10 2012-01-10 주식회사 제이에스조명 가로등 램프 헤드용 수밀패킹
JP2012204313A (ja) * 2011-03-28 2012-10-22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のレンズカバー
JP2016015219A (ja) * 2014-07-01 2016-0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R3043447A1 (fr) * 2015-11-05 2017-05-12 Valeo Vision Liaison boitier-glace de projecteur avec nervures de retenue de la colle
CN109927621A (zh) * 2017-11-15 2019-06-25 布朗沃森国际私人有限公司 用于车辆的灯总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35309A (en) * 1966-05-31 Burnbaum Jack Illuminating ornament having a lens member
US4931912A (en) * 1988-04-18 1990-06-05 Koito Manufacturing Co., Ltd. Square headlamp for automobile
DE4227888C1 (de) * 1992-08-22 1993-12-02 Hella Kg Hueck & Co Befestigung der Abdeckscheibe am Gehäuse von Kraftfahrzeugscheinwerfern
JP2662488B2 (ja) * 1992-12-04 1997-10-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灯具における前面レンズ脚部とシール溝間のシール構造
JP2828584B2 (ja) * 1993-12-27 1998-11-2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JPH0817207A (ja) * 1994-06-30 1996-01-19 Koito Mfg Co Ltd ソケットカバー
US5497299A (en) * 1994-12-12 1996-03-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dlamp assembly with hook-in bulb shield
JP3028742B2 (ja) * 1995-01-20 2000-04-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H0935505A (ja) * 1995-07-18 1997-02-07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45443A1 (de) 1999-04-08
US6161953A (en) 2000-12-19
DE19845443B4 (de) 2006-07-27
KR19990036820A (ko) 1999-05-25
JPH11105619A (ja) 1999-04-20
CN1105259C (zh) 2003-04-09
CN1220367A (zh) 1999-06-23
JP3208364B2 (ja) 200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070B1 (ko) 차량용램프
JP3957963B2 (ja) 車輌用灯具
JP3136469B2 (ja) 車輌用灯具
JPH028324Y2 (ko)
JP3109025B2 (ja) 車輌用灯具
JPH0313924Y2 (ko)
US6000824A (en) Vehicular marker lamp
JP3308471B2 (ja) 車輌用灯具
JPH0999787A (ja) エンドキャップ
JP2562655Y2 (ja) 車両用装置
JP2001110209A (ja) 車両用灯具とその製造方法
JPH11288608A (ja) 車両用装置
JP3218915B2 (ja) 車両用灯具
JPH1083704A (ja) 車輌用灯具
JPH083927Y2 (ja) 自動車用灯具
JPH0135370Y2 (ko)
JP3257343B2 (ja) 車両用灯具
JP3094201B2 (ja) 車輌用灯具
JP2517595Y2 (ja) 車両用灯具のレンズ取付構造
JP2537338Y2 (ja) 車輌用灯具
JP3070403B2 (ja) 車両用灯具
JPH08138412A (ja) 車両用灯具
JPH0113282Y2 (ko)
JP3412414B2 (ja) 車両用装置におけるハウジングとレンズとの固着方法
JPH0817206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