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5233B1 -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 - Google Patents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233B1
KR100305233B1 KR1019960048269A KR19960048269A KR100305233B1 KR 100305233 B1 KR100305233 B1 KR 100305233B1 KR 1019960048269 A KR1019960048269 A KR 1019960048269A KR 19960048269 A KR19960048269 A KR 19960048269A KR 100305233 B1 KR100305233 B1 KR 100305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polarizing film
liquid crystal
equation
transpar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374A (ko
Inventor
지까라 무라따
신이찌 다까하시
유끼노리 사꾸모또
Original Assignee
호소이 쇼지로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6183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0523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호소이 쇼지로,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호소이 쇼지로
Publication of KR97002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2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by surface treatment, e.g. by ir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광의 투영을 방지하는 우수한 눈부심방지 특성을 갖는 그리고반짝거림 등이 없는 선명하고 해상도가 높은 화상 표시에 적합한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는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이 조면화되고, 그 조면화된 면의 표면 거칠기(JIS B0601)가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80 Ra ≤ Sm ≤ 1000 Ra
[수학식 2]
Sm ≤ 50
[수학식 3]
0.03 ≤ Ra ≤ 0.30
[여기서 Sm은 표면의 요철의 평균 간격(㎛)이고, Ra는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를 의미함]. 또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상기 눈부심방지 재료를 제1보호재로 하며, 그 제1보호재의 비조면화 면에 편광 기판을 끼우고 제2보호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에 있어서는, 투명 기판의 조면화된 면의 HAZE 값(JIS K7105)이 1~2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투명 기판은 투명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
제1도는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를 사용한 편광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제3도는 눈부심방지 재료를 사용한 편광 필름을 갖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제4도는 눈부심방지 재료를 사용한 편광 필름을 갖춘 다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에 있어서, 그 조면화 면의 표면 거칠기의 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6도는 화상 콘트라스트의 측정 장치의 배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눈부심방지 재료 11 : 투명 기판
12 : 조면화 면 20 : 조면화 면이 있는 편광 필름
21 : 제1보호재 22 : 조면화 면
23 : 눈부심방지 재료 24 : 편광 기판
25 : 제2보호재 30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31 : 액정 판넬 32 : 배면 광원
33, 34 : 유리 기판 34′, 35′ : 투명 전극면
35 : 네마틱 액정 36 : 조면화 면이 없는 편광 필름
40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41 : 액정 판넬
42 : 배면 광원 43, 44 : 유리 기판
45 : 네마틱 액정 46, 47 : 조면화 면이 없는 편광 필름
60 : 광원 61 : 액정 판넬
62 : 측광기
본 발명은 LCD나 CRT 등의 화상 디스플레이에 사용되어 화상부의 눈부심방지에 적합한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LCD나 CRT로 대표되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이것을 ″디스플레이"라 함)는 텔레비전 화면이나 컴퓨터 단말화면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고 눈부신 발전을 달리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개발은 당초에는 칼라화가 키워드였지만, 최근에는 하이 비전화가 키워드의 하나가 되어 화상의 고해상도 및 고화질화, 또한 전력 절감화 등에 노력을 기울여왔다. 인간-기계 중간기(man-machine interphase)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이와 같은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금후 멀티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한층 더 보급되리라 예상되고, 특히 휴대 전화, PHS, 기타 각종 휴대 단말용으로서의 보급이 현저히 확대되리라 예상된다.
휴대 단말용 디스플레이로서는 경량 또는 컴팩트이고, 또한 범용성 등을 갖고 있는 LCD가 시장을 독점하리라고 생각된다. 이들 휴대 단말은 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옥외에서 양호한 화상표시를 실현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이에 입사된 태양광 등의 외부광의 반사를 가능한 한 완전히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최근에 이 분야에서의 붐도 일고, 디스플레이에의 태양광이나 형광등 등의 외부광의 투영을 방지하는 것, 즉 디스플레이 화면의 눈부심방지에 대한 요구가 강해졌다.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이러한 종류의 눈부심방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윤을 없앤 유리처럼 빛을 산란 또는 확산시켜 상을 흐리게는 수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져 왔다. 통상, 빛을 산란 또는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빛의 입사광면을 조면화(粗面化) 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 이 조면화 처리는 샌드블라스트법이나 엠보스법 등에 의해 기판 표면을 직접 조면화하는 방법, 기판 표면에 충전재를 함유시킨 코팅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및 기판 표면에 소위 ″해도(sea-and-islands)″구조에 의한 다공 표면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등이 채용되어 왔다.
디스플레이의 화상의 고해상도는 주로 화상 도트의 고밀도화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이지만, 화상 도트가 고밀도화함에 따라 조면화 면의 표면의 요철의 높이나 간격도 더욱 치밀화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반짝거림 등이 없는 선명한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이 요철의 불규칙은 적은 것이 요구되고, 또한 양호한 눈부심방지성을 얻기 위해서는 요철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눈부심방지 재료의 조면화 면은 그 요철이 불연속적이고, 또한 요철의 높이나 간격도 크게 형성되어 상기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상기 실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태양광이나 형광등 등의 외부광의 투영을 방지함에 따라 우수한 눈부심방지 특성을 발휘하고, 또한 반짝거림 등이 없는 선명한 화상 및 고해상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특히 완전-칼라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눈부심방지 재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눈부심방지 재료를 사용한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는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을 조면화하여 이루어진 눈부심방지 재료에 있어서 그 조면화한 면의 표면거칠기가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80 Ra ≤ Sm ≤ 1000 Ra
[수학식 2]
Sm ≤ 50
[수학식 3]
0.03 ≤ Ra ≤ 0.30
[여기서 Sm은 표면의 요철의 평균 간격(㎛)이고, Ra는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를 의미함].
또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제1보호재의 단면을 조면화한 면의 표면거칠기가 상기 수학식 1 내지 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눈부심방지 재료의비조면화 면에 편광 기판을 끼우고 제2보호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에 있어서는 투명 기판 또는 제1보호재의 HAZE 값이 1~2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투명 기판 및 제1 또는 제2보호재는 투명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거칠기는 JIS B0601에 규정된 값에 의한 것이고, 또한 상기 HAZE 값은 JIS K7105에 규정한 값에 의한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에 사용되는 투명 기판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투명한 필름,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투명 기판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술폰, 셀로판,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각종 중합체 수지 필름 그리고 실리카 유리, 소다 유리 등의 유리 물질의 판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투명 기판은 투명성이 높은 것이 양호하지만, 광선 투과율(JIS C-6714) 로서는 80% 이상인 것,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것이 좋다. 또한 그 투명 기판을 소형 경량의 액정 디스플레이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명 기판은 필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 기판의 두께는 경량화의 관점에서 얇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그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1μ~5mm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에 있어서는, 상기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을 조면화한 면의 표면 거칠기가 JIS B0601에 규정되어 있는 Sm 및 Ra에 대해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조면화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학식 1]
80 Ra ≤ Sm ≤ 1000 Ra
[수학식 2]
Sm ≤ 50
[수학식 3]
0.03 ≤ Ra ≤ 0.30
상기 수학식에서 Sm은 투명 기판의 조면화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조면화 표면의 요철의 평균 간격을 미크론(㎛) 단위로 나타낸 값을 나타내고, Ra는 그 표면 중심선의 평균 거칠기를 미크론(㎛) 단위로 나타낸 값을 나타낸다. Ra에 대해서는 0.03 ≤ Ra ≤ 0.20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학식 1 내지 3에 있어서 Sm > 1000 Ra 및 Sm < 80 Ra의 영역에 있어서는 눈부심방지 효과가 불충분하고, 또한 Sm > 50의 영역에 있어서도 눈부심방지 효과가 불충분하다. 또한, Ra > 0.30의 영역에서는 화상의 반짝거림이 강하고 화상 콘트라스트도 나빠지며, 한편, Ra < 0.03의 영역에서는 눈부심방지 효과가 불충분하다.
본 발명의 상기 눈부심방지 재료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의 조면화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면화 면은 상기 수학식 1 내지 3의 어느 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영역, 즉 제5도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영역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의 JIS K7105에 의한 HAZE 값은 1~2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 값이 1 미만에서는 눈부심방지성이 불량해지고, 한편 25를 넘어 커지면 화상 콘트라스트가 감소되어 가시도가 나빠지게 되며 디스플레이로서의 기능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말하는 HAZE 값이란 투명 물질의 흐릿한 정도를 표현하는 매개변수이며, 적분구식 광선투과율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확산투과율(Hd%)과 전체광선투과율(Ht%)을 측정함으로써 하기 수학식에 의해 계산될 수가 있다.
HAZE 값 = Hd/Ht × 100
본 발명에 있어,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을 조면화하는 방법으로서는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을 에칭처리하는 방법, 수지에 충전재를 필요에 따라 물이나 유기용제와 함께 분산시킨 도료 또는 잉크를 에어닥터 코팅, 블레이드 코팅, 나이프 코팅, 리버스 코팅, 트랜스퍼롤 코팅, 그라비아롤 코팅, 키스 코팅, 캐스트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슬랏오리피스 코팅, 캘린더 코팅, 전착 코팅, 딥 코팅, 다이 코팅 등의 코팅이나 플렉소 인쇄 등의 볼록판 인쇄, 다이렉트그라비아 인쇄, 업세트그라비아 인쇄 등의 오목판 인쇄, 업세트 인쇄 등의 평판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공판 인쇄 등의 인쇄를 행함에 따라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 위에 단층 또는 다층으로 나누어 설치하는 방법, 수지나 충전재단체 또는 이 혼합물로 이루어진 분체를 정전분체 코팅이나 분체전착 코팅에 의해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에 설치한 방법, 유기 또는 무기의 충전재를 수지와 함께 열과 압력을 가함에 따라 용융하고, 이 용융물을 압출성형이나 사출성형 등에 의해 필름화하여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면화 방법에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부타디엔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에틸렌, 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AS 수지, BS 수지, AB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세트산비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프로필렌·염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수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페닐렌옥시드 수지, 폴리페닐렌술피드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트리플루오로에틸렌 수지, 폴리불소화 비닐리덴등의 불소 수지, 에틸렌 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니트로 셀룰로오스 등의 섬유소계 수지, 이오노머 수지, 로진-유도체 수지 등의 유기용제 가용성 수지계, 젤라틴, 글루,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 메틸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녹말, 아라비아 고무, 사카로오스 옥타아세테이트, 알긴산 암모늄, 알긴산 소다,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아민,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스티렌 술폰산, 폴리아크릴산, 폴리아미드, 이소부틸렌·무수말레산 공중합체 등의 수용성 수지계 및 상기 유기용제 가용성 수지계의 에멀젼계 등의 열가소성 수지, 천연 고무, 이소부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아크릴 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히드린 고무, 우레탄 고무, 다황화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및 이들 고무류끼리의 배합품, 또는 고무류와 유기물 또는 무기물과의 배합품 등의 고무류, 불포화폴리에스테르류, 크실렌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멜라민 수지, 푸란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에스테르·아미노 수지, 알키드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아크릴계, 에폭시계, 비닐에테르계, 폴리엔 티올계 등으로 이루어진 자외선(UV) 경화성 수지나 전자선(EB)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명성이 높은 정도가 바람직하고, 투명 기판과 마찬가지로 광선투과율(JIS C-6714)로서는 80% 이상의 것,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조면화 방법에 사용되는 충전재로서는 실리카, 탄산칼슘,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클레이, 탈크, 이산화티타늄 등의 무기계 백색 안료,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비드 등 유기계의 투명 또는 백색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충전재에는 필요에 따라 도료, 잉크의 코팅 적성 또는 인쇄 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증점제, 레벨링제, 경화제 등의 첨가제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편광 필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편광 기판의 적어도 단면에 상기 눈부심방지 재료, 즉 조면화 면을 갖고 있는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1보호재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광 기판으로서는 투명 필름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편광 기판으로는 상기 재료를 연신시켜 얻을 수 있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색성 소자로서 옥소 또는 염료를 흡착시킨 폴리비닐알콜을 일축 연신시켜 얻어진 폴리비닐알콜(PVA)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상기 필름상의 편광 기판의 단면에 상기 조면화 면을 갖는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진 제1보호재를 설치하고, 다른 면에 제2보호재를 설치한 적층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PVA 필름을 일축 방향으로 3~4배 정도 연신하여 고차의 옥소 이온 중에 연신한 PVA 필름을 함침시킴에 따라 얻어진 편광 기판의 양측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제1 및 제2보호재를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얻어진 PVA 필름은 강도 등이 부족하기 때문에 찢어지기 쉽고, 습도 변화에 대해서 수축률이 크다는 결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편광 기판의 양측에 보호재가 적층된다. 이 제1 및 제2보호재로서는 투명한 고분자 화합물의 필름, 예컨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등이 사용되지만, 이들 필름에는 특히 붕산 등의 겔화제를 사용하기도 하고, 열처리나 포르말화를 함으로써 필름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투명 기판으로 이루어진 눈부심방지 재료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고, 그 눈부심방지 재료의 단면은 상기 조면화 면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눈부심방지 재료(10)는 투명 기판(11)의 단면상에 조면화 면(12)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2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고, 편광 기판(24)의 단면에 조면화 면(22)을 갖는 제1보호재(21), 즉 눈부심방지 재료(23)가, 한편 다른 면에 제2보호재(25)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난 편광 필름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을 사용함에 따라 눈부심방지성을 개선한 액정 디스플레이(3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30)는 상면의 액정 판넬(31)과 하면의 도광판 장치(EL) 또는 판넬 등의 배면광원(32)을 적층해서 형성되었다. 액정 판넬(31)에는 예컨대 트위스티 네마틱(TN) 액정 셀 등이 사용가능하다.
이 TN 액정 셀은 소망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이 부착된 2장의 유리 기판(33) 및 (34)의 투명 전극면(33′) 및 (34′) 위에 폴리이미드의 용액을 도포해서 배향막을 형성하고, 이것을 러빙 조작에 의해 배향시켜 그 이후에 이 유리 기판간에 네마틱 액정(35)을 주입하여 유리 기판 주변부를 에폭시 수지 등으로 봉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네마틱 액정은 배향막의 작용에 의하여 90℃ 비틀어 배향시킨다. 이 TN 액정 셀의 2장의 유리 기판의 배면광원의 반대측에는 제2도에 나타나는 조면화 면을 갖는 편광 필름(20)을, 또한 그것의 배면광원측에는 조면화 면이 없는 편광 필름(36)을, 각각 편광각이 서로 90℃ 비틀어지게 붙임으로써 액정 판넬(31)이 형성된다.
상기 TN 액정 판넬의 투명 전극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면 신호가 인가된 전극간에는 전계가 발생한다. 이때 액정 분자가 갖고 있는 전자적 이방성에 의해 액정 분자의 장축이 전계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액정 분자에 의한 빛의 선광성을 잃게 되고, 그 결과 액정 판넬에는 빛이 투과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화상의 표시는 이때의 빛 투과의 차이에 근거하는 콘트라스트에 의해 시각 정보로서 인식된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30)에 있어서는 액정 판넬(31)에 투과시켜 액정 판넬(31)의 빛이 투과하는 부분과 투과하지 않는 부분에 콘트라스트를 갖게 함으로써 화상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10)를 사용한 다른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액정 판넬(41)은 2장의 유리 기판(43), (44) 및 그 사이에 끼어있는 네마틱 액정(45)과 유리 기판의 외측에 위치하는 조면화 면을 갖고 있지 않는 상부의 편광 필름(46), 조면화 면을 갖고 있지 않는 하부의 편광 필름(47) 및 그 상부의 편광 필름 위에 적층된 눈부심방지 필름(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40)는 액정 판넬(41)과 그것의 하면에 위치하는 배면광원(42)을 적층해서 형성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의 조면화 면의 표면 거칠기의 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의 조면화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조면화 면은 상기 수학식 1 내지 3의 어느 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영역에 있고, 그림 중의 사선에 나타나는 영역에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부″는 모두 ″중량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1]
1 도트의 직경이 20㎛이고, 서로 이웃하는 도트와 도트의 중심간의 간격이 30㎛인 그물눈 패턴을 형성한 PS 판과 UK 잉크(제품명: 박리 OP 니스 UP-2, T&K TOKA사 제품)를 사용하여 UV 업세트 인쇄법으로 막 두께 80㎛, 투과율 92%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투명 기판의 단면상에 인쇄함으로써 Ra:0.10㎛, Sm:35㎛, HAZE:8.9의 조면화 면을 갖는 눈부심방지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2]
막 두께 80㎛, 투과율 92%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투명 기판의 단면상을 하기의 감광성 수지 및 에칭액을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에칭법을 사용하여 조면화 처리함으로써, Ra:0.08㎛, Sm:40㎛, HAZE:6.3의 조면화 면을 갖는 눈부심방지 재료를 얻었다:
감광성 수지 : 제품명 BR-370, 아사히전화사 제조
에칭액 : 메틸에틸케톤
[실시예 3]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디스퍼에 의해 30분간 교반함에 따라 얻어진 도료를 막 두께 80㎛, 투과율 92%로 이루어진 투명 기판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의 단면상에 리버스 코팅 방식으로 도포하여, 125℃에서 2분간 건조시키고, 건조 후의 도포량이 4g/㎡, Ra:0.18㎛, Sm:25㎛, HAZE:23.5의 조면화 면을 갖는 눈부심방지 재료를 얻었다.
실리콘-변성 알키드멜라민 수지 95부
[제품명 AVE 33S(고형분 50% 용액), 니혼가공도료사 제품]
실리카 안료 5부
(상품명 실릴시아 #435, 후지실릴시아화학사 제품)
부틸셀로솔브 205부
[실시예 4]
실시예 3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를 막 두께 50㎛, 투과율 8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으로 이루어진 투명 기판으로 대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해서 눈부심방지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3의 실리카 안료의 함유량을 10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해서 Ra:0.22㎛, Sm:15㎛, HAZE:57의 조면화 면을 갖는 눈부심방지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2]
막 두께 80㎛, 투과율 92%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의 단면을 엠보스 가공함에 따라 Ra:0.50㎛, Sm:50㎛, HAZE:30의 조면화 면을 갖는 눈부심방지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3]
막 두께 80㎛, 투과율 92%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를 그대로 비교용의 눈부심방지 재료로 했다.
실시예 1~3,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눈부심 방지 재료(10)를 제2도에 나타낸 구성의 편광 필름(20)의 제1보호재에 적용해서 편광 필름을 제작했다. 이어서 그 편광 필름(20)을 제3도에 나타낸 액정 판넬(31)에 붙임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30)를 얻었다. 또한 실시예 4에서 얻어진 눈부심방지 재료(10)에 대해서는 조면화 처리를 하지 않는 편광 필름에 PET 측면이 접합면이 되도록 점착제를 끼어서 접합시킨 적층체를 제작하고, 상기 적층체를 제4도에 나타난 액정 판넬(41)에 붙여 액정 디스플레이(40)를 얻었다.
또한 이들 각 액정 디스플레이(30) 및 (40)의 화상 사이즈는 예컨대 10.4인치로 하고, 해상도는 예컨대 640도트×180도토로 하여 화상 콘트라스트, 화상 반짝거림, 눈부심방지성의 각 항목에 대해서 평가를 했다.
화상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는 JIS C7072 1988에 있어서의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의 콘트라스트비(CR) 측정방법에 준거해서 평가했다. 화상 콘트라스트의 평가를 행하는 데에 맞추어서 채용한 광원(60)-액정판넬(61)-측광기(62)의 위치관계의 개략을 제6도에 나타낸다. 이 측정에는 광원(60)과 액정 판넬(61)과의 사이를 1cm, 액정 판넬(61)과 측광기와의 사이를 50cm, 측광기의 개구각을 5도로 설정했다. 또한 광원에는 5W의 EL을 사용하고, 측광기에는 미놀타카메라사 제조의 LS-100을 사용하였다. 화상 콘트라스트의 평가기준으로서는 CR이 4 이상의 경우를 ◎, 3 이상~4 미만의 경우를 0, 2 이상~3 미만의 경우를 △, 2 미만을 ×로 했다.
화상 반짝거림(모아레상 간섭고(moire-image fringe))에 대해서는 액정 디스플레이(30)를 Windows, Version 3.1의 페인트 브러시의 오프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시켜 이 흑백표시에 있어서의 화상 반짝거림의 유무에 대해서 임의의 100명이 자각판정함에 따라 평가하는 방법을 찾았다. 이 평가기준으로서는 반짝거림을 느낀 사람이 30명 미만의 경우를 0, 30명 이상~70명 미만의 경우를 △, 70명 이상의 경우를 ×로 했다.
눈부심방지성에 대해서는 40W의 형광등 아래에서 액정 디스플레이를 검정표시상태로 하고,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수직으로 50cm 떨어져서 본 경우의 자기 상(얼굴)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비춰지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그 유무를 화상 반짝거림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100명이 자각 판정함에 따라 평가하는 것으로 했다. 이 비춰지는 것을 느끼지 못한 사람이 70명 이상의 경우를 0, 30명 이상~70명 미만의 경우를 △, 30명 미만의 경우를 ×로 했다. 이상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눈부심방지 재료는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의 표면거칠기(JIS B0601)를 상기 수학식 1~3을 만족시키는 범위내에 있도록 조면화 처리해서 형성함에 따라 양호한 눈부심방지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CRT이나 LCD 등의 화상표시체에 사용한 경우에 반짝거림이 없이 선명하고 높은 해상도의 화상 콘트라스트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이 눈부심방지 재료를 사용한 편광 필름은 양호한 눈부심방지성을 갖고 있으며, 반짝거림이 없고 우수한 화상 콘트라스트를 갖기 때문에 액정 판넬 등의 화상표시체로서 유용한 것이다.

Claims (6)

  1. 투명 기판의 단면 또는 양면을 조면화하여 이루어진 눈부심방지 재료에 있어서, 상기 조면된한 면의 표면 거칠기가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방지 재료:
    [수학식 1]
    80 Ra ≤ Sm ≤ 1000 Ra
    [수학식 2]
    Sm ≤ 50
    [수학식 3]
    0.03 ≤ Ra ≤ 0.30
    [여기서 Sm은 표면의 요철의 평균 간격(㎛)이고, Ra는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를 의미함].
  2. 제1항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조면화된 면의 HAZE 값이 1~25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방지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투명 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방지 재료.
  4. 표면 거칠기가 하기 수학식 1 내지 3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단면이 조면화된 눈부심 방지 재료(제1보호재)의 비조면화 면에 편광 기판을 끼우고 제2보호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수학식 1]
    80 Ra ≤ Sm ≤ 1000 Ra
    [수학식 2]
    Sm ≤ 50
    [수학식 3]
    0.03 ≤ Ra ≤ 0.30
    [여기서 Sm은 표면의 요철의 평균 간격(㎛)이고, Ra는 표면의 중심선 평균 거칠기(㎛)를 의미함].
  5. 제4항에 있어서, 제1보호재의 HAZE 값이 1~25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보호재가 투명 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KR1019960048269A 1995-10-27 1996-10-25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 KR100305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996095A JP3206713B2 (ja) 1995-10-27 1995-10-27 防眩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偏光フィルム
JP95-279960 1995-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374A KR970022374A (ko) 1997-05-28
KR100305233B1 true KR100305233B1 (ko) 2001-11-22

Family

ID=1761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269A KR100305233B1 (ko) 1995-10-27 1996-10-25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86819A (ko)
JP (1) JP3206713B2 (ko)
KR (1) KR100305233B1 (ko)
TW (1) TW4113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85275B (en) * 1996-08-29 2000-03-21 Toray Industries Aromatic polyamide-based resin molding, a process therefor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made from the molding
JP2967474B2 (ja) * 1997-03-27 1999-10-25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防眩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偏光フィルム
EP0989443A3 (en) * 1998-09-22 2004-03-31 Fuji Photo Film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same
TW200510790A (en) * 1999-04-15 2005-03-16 Konishiroku Photo I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JP2000314875A (ja) * 1999-04-28 2000-11-14 Sumitomo Chem Co Ltd 液晶表示装置
JP3515426B2 (ja) * 1999-05-28 2004-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35972B2 (ja) 1999-06-02 2006-10-18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007777B2 (ja) * 2000-05-21 2012-08-22 Tdk株式会社 透明導電積層体
JP4497782B2 (ja) * 2001-03-08 2010-07-07 日本製紙株式会社 ニュートンリングが防止されたタッチパネル及び該タッチパネル用透明電極
JP4681165B2 (ja) * 2001-07-17 2011-05-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6897916B2 (en) * 2001-09-11 2005-05-24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optical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20030107807A1 (en) * 2001-12-06 2003-06-12 Yuuji Saiki Optical memb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67822B1 (ko) 2002-02-15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AU2003208610A1 (en) * 2002-02-25 2003-09-09 Fuji Photo Film Co., Ltd. Antiglare and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2003262731A (ja) * 2002-03-12 2003-09-19 Sumitomo Chem Co Ltd ヨウ素系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I274662B (en) * 2002-03-29 2007-03-01 Toray Industries Laminated film, filter for display and display
JP4129976B2 (ja) * 2002-07-16 2008-08-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投影観察装置
JP2004177920A (ja) 2002-08-09 2004-06-24 Olympus Corp 投影観察装置
WO2004055848A1 (ja) * 2002-12-13 2004-07-01 Fujikura Ltd. シートスイッチ及びその操作シート
JP2006162922A (ja) * 2004-12-07 2006-06-2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07046275A1 (ja) * 2005-10-19 2007-04-26 Konica Minolta Opto, Inc.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5011877B2 (ja) * 2006-08-04 2012-08-29 凸版印刷株式会社 防眩性光拡散部材及び防眩性光拡散部材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
JPWO2008032848A1 (ja) * 2006-09-15 2010-01-28 Mgcフィルシート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
JP5377824B2 (ja) 2006-10-30 2013-12-25 日東電工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防眩シート、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1352100B1 (ko) * 2006-11-15 2014-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및 광학 필름의오염물 제거성 측정방법
EP2123442A4 (en) * 2006-12-19 2010-01-06 Zeon Corp OPTICAL FILM
JP4388966B2 (ja) * 2007-03-16 2009-12-24 富士通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
KR100912262B1 (ko) * 2007-08-28 2009-08-17 제일모직주식회사 균일한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광확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963674B1 (ko) * 2007-12-05 2010-06-15 제일모직주식회사 균일한 표면 거칠기 및 저 리타데이션 값을 가지는 광확산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09098941A1 (ja) * 2008-02-04 2009-08-13 Zeon Corporation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9192849A (ja) * 2008-02-15 2009-08-27 Nippon Zeon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9211061A (ja) * 2008-02-04 2009-09-17 Nippon Zeon Co Ltd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9237047A (ja) * 2008-03-26 2009-10-15 Fujifilm Corp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414324B2 (ja) * 2009-03-29 2014-02-12 株式会社日本触媒 防眩性積層体
JP6103335B2 (ja) * 2012-01-18 2017-03-2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ラス基板を用いた有機elデバイス
JP6404715B2 (ja) * 2012-06-21 2018-10-17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10409542B2 (en) * 2016-01-04 2019-09-10 Rex HUANG Forming a larger display using multiple smaller displays
JP6306675B1 (ja) * 2016-11-28 2018-04-04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9020718A (ja) * 2017-07-20 2019-02-0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シート
JP7268686B2 (ja) * 2018-10-11 2023-05-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樹脂シート、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用前面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並びに転写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2178A (en) * 1936-09-30 1938-06-28 Sheet Polarizer Company Inc Diffusing light polarizer
US4114983A (en) * 1977-02-18 1978-09-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meric optical element having antireflecting surface
JPS574001A (en) * 1980-06-10 1982-01-09 Sony Corp Nonreflective optical element
NL8302460A (nl) * 1983-07-11 1985-02-01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minderen van de reflectie van een doorzichtig beeldscherm en beeldscherm met verminderde reflectie.
JPS61209152A (ja) * 1985-03-14 1986-09-17 帝人株式会社 防眩性フイルム
JPH073482B2 (ja) * 1985-04-03 1995-01-1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透光性プラスチツクフイルタ−
EP0247599B1 (en) * 1986-05-29 1993-08-0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Anti-reflection plate for display device
JPS63298201A (ja) * 1987-05-29 1988-12-06 Asahi Chem Ind Co Ltd ノングレアシ−ト
JPS6419301A (en) * 1987-07-15 1989-01-23 Asahi Chemical Ind Surface plate for preventing reflection and its production
KR900702556A (ko) * 1988-08-08 1990-12-07 기시다 기요사꾸 브라운관용 패널
US4972117A (en) * 1989-01-17 1990-11-20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Sparkle suppression displays
US5122709A (en) * 1989-03-20 1992-06-16 Hitachi, Ltd. Antistatic cathode ray tube with lobe like projections and high gloss and hardness
JP3323614B2 (ja) * 1993-12-27 2002-09-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透明部材とその製造方法
KR100215330B1 (ko) * 1994-12-22 1999-08-16 기타지마 요시토시 복합 필름
US5602947A (en) * 1995-01-05 1997-02-11 Ceram Optee Industries, Inc. Anti-reflective mid-infrared optical fiber and micro optical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27312A (ja) 1997-05-16
JP3206713B2 (ja) 2001-09-10
US5886819A (en) 1999-03-23
TW411320B (en) 2000-11-11
KR970022374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5233B1 (ko) 눈부심방지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
US7354163B2 (en) Antiglare fil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6074741A (en) Antiglare material and polarizing film using the same
KR101356903B1 (ko) 광학 필름
US20050170158A1 (en)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film, touch panel having this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film, and production method for this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film
KR980010513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196117A (ja)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KR20080003317A (ko) 방현성 광학 적층체
KR100508221B1 (ko) 광학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267818A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KR20040104598A (ko) 광확산성 시트, 광학소자 및 화상 표시장치
JPH11287902A (ja) 反射防止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KR100775850B1 (ko)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JPH11281818A (ja)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EP1118903B1 (en) Reflectio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148305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WO2004065845A1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8253904B2 (en) Antiglare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ransmission type LCD
US7081941B2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and colored resin substrate
JP3091103B2 (ja) 半透過半反射型偏光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52921B2 (ja) 反射防止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KR20000027862A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용 광확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H09290490A (ja) 防眩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偏光フィルム
JP2002107512A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JPH09258002A (ja) 防眩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偏光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