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788B1 - 차량의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의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788B1
KR100295788B1 KR1019940012675A KR19940012675A KR100295788B1 KR 100295788 B1 KR100295788 B1 KR 100295788B1 KR 1019940012675 A KR1019940012675 A KR 1019940012675A KR 19940012675 A KR19940012675 A KR 19940012675A KR 100295788 B1 KR100295788 B1 KR 100295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upport
support bracket
vehicle
instru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507A (ko
Inventor
이와사키요스케
요시무라토시테루
오쯔카마사시
하야시키요시
미요시케이스케
오가와토시아키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573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545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50599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65088A/ja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이. 미러, 마츠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임스 이. 미러
Publication of KR95000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incorporating devices for preventing ingress of the steering column into the passengers space in case of accident

Abstract

스티어링장치 지지구조체는, 상기 차량의 전단부충돌시에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기 차체의 고정적인 측면 요소에 고정되고 또 차폭 방향으로 뻗은 지지부재와, 스티어링컬럼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지지하는 스티어링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또 그에 고정되는 지지브래킷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브래킷장치는, 전단부 충돌시에, 후방에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차체부분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고, 차체부분에 후방변형이 발생한 때에 차체부분은 지지브래킷장치로부터 분리되게 되어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제1도는 종래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개략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스티어링지지부재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조립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부분단면 개략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요부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요부의 부분단면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요부의 종단면도.
제9도는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후측지지브래킷 조립체의 확대분해사시도.
제10도는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전측지지브래킷 조립체의 확대분해사시도.
제11도는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전측지지브래킷 조립체의 변형예의 확대분해사시도.
제12도는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전측지지브래킷 조립체의 다른 변형예의 확대분해사시도.
제13도는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후측지지브래킷 조립체의 변형예의 확대 분해사시도.
제14도는 제7도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의 조립을 표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차량 (S) : 스티어링장치
(1) : 스티어링휠 (2) : 스티어링샤프트
(3) : 스티어링컬럼 (8) : 지지브래킷부재
(9) : 스티어링지지부재 (10) : 계기판지지부재
(11) : 후측지지브래킷 조립체 (12) : 전측 지지브래킷 조립체
(13) : 전측 연결부재 (14) : 후측 연결부재
(20) : 제 1연결부재 (21) : 제 2연결부재
(38),(39) : 스테이아암 (41) : 개구부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장치, 예를들면 랙.피니온식의 스티어링장치에 있어서는, 스티어링휠에 의해 발생된 희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이것을 타이로드등을 개재해서 휠에 전달하여 휠을 희전시키도록 하는 스티어링기어박스를 가지고 있다. 스티어링휠의 회전운동의 전달은 스티어링샤프트 및, 필요하다면, 릴레이로드 또는 중간샤프트에 의해 기억박스에 연결된다. 이 스티어링샤프트는 일반적으로 차체의 부품에 의해 지지되는 중공의 스티어링컬럼내에 그에 의해 회전하도록 유지되어 있어, 스티어링휠이 운전자를 적절히 향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스티어링컬럼은 그 하단부 또는 전단부에서 구조강성이 비교적 작은 대시패널등의 차체의 고정부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에서, 예를 들면, 높은 구조강성을 가진 차체의 전측필더등의 측면부재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뻗고 또 사이드부재에 고정되는 중공의 강관을 포함하는 지지부재에 의해 직접지지 된다. 이러한 종류의 스티어링장치지지구조체는 전단부 충돌시에 스티어링컬럼의 전방부가 뒤로 밀리게 됨에 따라서 스티어링컬럼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스티어링휠이 운전자를 향해서 위쪽 및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장치지지구조체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 3-0567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공보에 기재된 스티어링장치지지구조체는 스티어링휠이 설치되는 장소의 위치변화를 아래위로 발생시키는 외부진동충격에 대해 불충분한 구조강성을 가진다.
다른 형식의 스티어링장치지지구조체는, 스티어링컬럼과, 엔진부분과 승객부분이 분리되고 또 계기판을 지지하는 대시모오드의 바로 뒤에 배치되는 중공의 강관등의 단단하고, 고정적인 지지부재 또는 구조체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이 단단한 지지부재를 이하 계기판지지부재 또는 단순히 구조체라 부른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지지구조체에 의하면, 제 1또는 1차 선단부 충돌의 경우에, 엔진부분 내부에 놓인 엔진 및 파우어트레인등의 여러 가지 장치가 뒤로 밀리게되며, 때때로 대시모오드 및 계기판을 밀게 된다. 이와 같은 대시모오드 및 계기판의 후방에의 위치이동은, 계기판지지부재에 고정된, 스티어링휠을 가진 스티어링컬럼을 뒤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은 1차선단부충돌은 소위 2차 충돌을 수반하며, 선단부충돌의 발생직후의 이 2차 충돌에 있어서 운전자는 충격으로 인해 앞으로 튕겨 나가 운전자앞에 있는 계기와 부딪치게 된다. 스티어링휠이 1차 선단부충돌시에 뒤로 밀리게 되면, 운전자는 2차 충돌시에 스티어링휠과 강하게 부딪쳐서 부상을 입거나 신체가 상하게 된다.
이러한 2차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축형식의 스티어링샤프트장치가,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제 3-27899호 및 제 3-56455호 등에 기재되어 있으며, 그중의 몇몇은 상품화되어 있다. 이러한 수축가능한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는 기계적 연결부재 : 즉 차체의 변형하기 어려운 요소에 고정된 지지브래킷(용어"변형하기 어려운 요소"는 선단부 충돌로 인해 변형하기 매우 어려운 차체의 요소 또는 부품을 의미한다)과 계기판지지부재를 함께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제 1연결부재와, 스티어링컬럼과 지지브래킷을 함께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제 2연결부재를 구비한다.
제 1연결부재는, 지지브래킷과 계기판지지부재 사이에 상대적 후방이동이 발생할 때에 지지부재를 계기판지지부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연결부재는, 스티어링컬럼과 지지브래킷 사이에 상대적 전방이동이 발생할때에 스티어링컬럼을 지지브래킷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축가능한 구조체를 장착한 전형적인 스티어링장치에 의해, 1차선단부충돌로 인해 계기판 지지부재가 뒤로 밀리게 될 때, 계기판지지부재와 지지브래킷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끊어져서 스티어링샤프트, 즉 스티어링휠이 뒤로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2차 충돌시에 운전자가 앞으로 튕겨나와 스티어링휠과 부딪치게 되면, 스티어링컬럼은 운전자에 의해 앞으로 밀려나와 지지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결과, 운전자에 의해 앞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스티어링컬럼의 이 전방이동은 충격에너지의 흡수를 증대시켜 운전자에게 상당한 효과를 준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스티어링장치지지구조체에 의해, 선단부충돌의 발생시에 외부충격이 대시모오드를 개재해서 계기판지지부재에 다소 비스듬하게 위로 가해지면, 제 1연결부재는 지지브래킷과 계기판지지부재와의 기계적연결을 분리하는 데에는 거의 효과가 없다. 이 경우에, 지지브래킷은 계기판지지부재를 수반해서 뒤로 멀리게 되며, 따라서 스티어링컬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뒤로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을 스티어링컬럼쪽에서 보면, 스티어링컬럼은 지지브래킷에 대해 상대적으로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제 2연결부재는 1차선단부 충돌시에 스티어링컬럼과 지지브래킷과의 기계적 연결을 해제한다. 실제로 1차 선단부충돌시에 제 1연결부재에 의해 기계적 연결이 해제되면, 스티어링컬럼 및/또는 스티어링휠은 적정위치에 안정되게 유지되지 않아, 운전자에 대한 보충적 제한장치로서의 에어백의 비효과적인 동작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선단부충돌의 경우에, 상당히 강한 외부충격이 기어박스등의 스티어링장치의 최선부에 가해지면, 스티어링사프트는 뒤로 밀리게 되어, 스티어링휠과 운전자가 간섭하게 된다.
또한, 이들 스티어링장치를 높은 작업효율로 차량에 조립할 수 있다는 것은 오늘날 아주 중요한 것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스티어링장치의 번거로운 설치의 이해를 증대시키는 간단한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서, 제 1도 내지 제 3도를 참조한다.
제 1도에 의하면, 스티어링컬럼(51a)과 이 스티어링컬럼(51a)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티어링샤프트(51b)와 스티어링휠(51c)을 구비하는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5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그 하부 또는 앞쪽부분에서 그리고 상부 또는 뒤쪽부분에서 브래킷(52)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51)는, 한편으로는, 브래킷(52)을 전측필더(도시생략)등의 차체의 단단한 측면부재 사이에 횡방향으로 뻗은 단단한 지지빔(53)상에 장착함으로써, 또 다른 한편으로는, 브래킷(52)의 전반부를 차체의 고정적이고 단단한 요소중의 하나인 카울패널(54)에 볼팅하거나 고정함으로써 차체에 조립된다. 브래킷(52)이 미리 부착된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51)가 차체내의 적당한 위치에 놓여지면,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51)는 브래킷(52)과 차체의 구조요소와의 간섭없이 차체내에 놓는 것이 어렵다. 특히,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51)를 차체내에 조립하기 전에, 브래킷(52)이 우선 단단한 지지빔(53)상에 장착되고, 그후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51)가 브래킷(52)에 고정된다.
우선 계기판(55)을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51)에 조립한 후, 즉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서 브래킷(52) 및 지지빔(53)에 가조립한 후, 전체조립체는 차체내부에 놓여진다. 전체조립체의 배치시에, 지지빔(5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한쌍의 스테이아암(56)이 링크핀(57)과, 스테이아암(56),(58)의 각쌍에 형성된 슬롯형의 개구부(59)사이의 결합에 의해 플로어패널(도시생략)로부터 위쪽으로 뻗는 한쌍의 카운터 스테이아암(58)에 연결된다. 이 일시적 설치의 완료후에, 지지빔(53)을 포함하는 전체 가조립스티어링 샤프트조립체(51)는 링크핀(67)에 관하여 위로 회전되며, 제 2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예비위치로부터 점선으로 표시된 끼워 맞춤위치로 위치가 변경된다. 가조립된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51)의 위치변경시에, 참조기호α로 표시된 선을 따라서의 브래킷(52)의 이동은 브래킷(52)을 그 전단부에서 카울패널(54)과 간섭하게 하여,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51)의 설치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단부충돌시에 스티어링샤프트지지브래킷이 차체의 변형하기 어려운 요소로부터 분리되지 못하였을 때에도 스티어링샤프트, 즉 스티어링휠을 적당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고, 또 스티어링샤프트의 후방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단부충돌시에 스티어링샤프트를 적당한 위치에 지지할 수 있고, 또 스티어링샤프트의 지지가 손상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의 설치를 차체의 부품과의 간섭없이 그리고 높은 작업효율로 달성할 수 있는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스티어링휠을 가진 스티어링샤프트와 스티어링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공의 스티어링컬럼을 구비하는 차량의 조립체 또는 수축가능한 스티어링장치를 지지하는 지지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수축가능 스티어링장치지지구조체는, 차량의 전단부충돌시에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차체의 고정적인 측면 요소에 대향단부에서 고정되고, 차폭방향으로 뻗는 지지부재와, 스티어링지지부재에 고정되고 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브래킷부재를 포함한다. 지지브래킷부재는 제 1연결장치에 의해 차체일부 또는 차체요소, 예를 들면 선단부충돌시에 뒤쪽으로 변형할 수 있는, 차체 일부 또는 차체요소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차체일부의 후방변형시에 차체일부가 지지브래킷 부재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또한, 스티어링컬럼의 전방부는 제 2연결장치에 의해 지지브래킷에 고정되고 스티어링컬럼의 후방부는 지지브래킷과 해제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제 2연결장치는 스티어링컬럼을 지지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스티어링휠이 뒤로부터 앞까지 길이 방향으로 충격을 받을 때 수축한다.
특히, 제 1연결장치는 계기판지지부재와 지지브래킷부재 사이에 배치된 분리가능한 상호연결기구를 포함하며, 이 상호연결기구는 계기판지지부재와 지지브래킷부재 사이의 상대적 위치변위시에 계기판 지지부재를 지지브래킷부재로부터 분리한다.
스티어링장치가 수축형식이 아니라면, 스티어링장치지지구조체는 선단부충돌시에 지지브래킷장치를 뒤쪽으로 변형할 수 있는 차체의 일부에 해제가능하게 연결하고 또 차체일부의 후방변형시에 차체일부를 지지브래킷 장치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장치는 계기판지지부재와 지지브래킷장치 사이에 배치된 분리할 수 있는 상호연결장치를 포함하며, 계기판지지부재와 지지브래킷부재 사이에 상대적 위치변위시에 계기판지지부재를 지지브래킷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스티어링지지부재에 고정되고 또 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브래킷장치는,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각각 지지하는 전측 및 후측지지조립체와, 선단부충돌시에 지지브래킷장치를 뒤쪽으로 변형할 수 있는 차체일부에 해제가능하게 연결하고 도 차체일부의 후방변형시에 차체일부를 지지브래킷장치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티어링장치의 차체에의 조립은, 우선 전측 지지조립체를 스티어링컬럼의 전방부에 일시적으로 고정하고 후측지지조립체를 스티어링지지부재에 부착함으로써 행해진다. 그후, 연결장치는 차체일부에 고정된다. 스티어링장치의 차체에의 도입에 이어서, 전측 지지조립체는 링크장치에 고정되고, 스티어링지지부재는 다음에 차체의 고정적인 측면요소에 고정된다. 최종적으로, 전측지지조립체와 후측지지조립체를 함께 상호연결한 후, 스티어링컬럼의 후방부는 후측 지지조립체에 고정된다.
또한, 스티어링지지부재 스테이아암과 플로어스테이아암은 상기 스티어링지지부재의 대향단부와 차체의 플로어부의 대향측에 각각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이들 스테이아암은 스티어링지지부재의 차체의 고정적인 측면요소에의 고정전에 요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스티어링장치의 위쪽으로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여, 스티어링지지부재를 고정적인 측면 요소 사이에 놓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장치지지구조체에 의하여, 선단부충돌시에 변형하기 어려운, 전측필더등의 고정적인 측면요소에 의해 그 대향단부에 단단하게 지지되는 스티어링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브래킷장치의 전측 및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에 의해 그 전방부 및 후방부에서 지지되며, 선단부충돌시에 뒤쪽으로 변형할 수 있는 계기판지지부재등의 차체일부 또는 요소와 스티어링지지부재에 각각 전방부 및 후방부에서 연결된다. 이 지지구조체는 선단부충돌로 초래되는 스티어링장치에 가해지는 강한 충격으로 인해 스티어링컬럼이 적정위치에 놓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스티어링컬럼의 전방부와 변형할 수 있는 차체일부 또는 요소와의 연결에 의해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는 통상의 주행시에 진동을 덜 받는다. 또한, 스티어링컬러의 전방부의 해제가능한 연결에 의해, 차체일부가 변형되고 스티어링컬럼에 대해 상대적인 변위를 일으킨다면, 스티어링컬럼은 전방부에서 차체일부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스티어링컬럼은 적정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 스티어링컬럼이 차체일부에 연결된 후, 후측 지지조립체를 가진 스티어링지지부재는 스티어링컬럼의 후방부에 고정되기 전에 적당한 위치에 놓이는 것은 스티어링 장치지지구조체의 차체에의 조립을 아주 용이하고 효율적이게 하며, 또한 지지브래킷장치와 차체와의 간섭없이 스티어링지지구조체를 차체에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과 관련해서 고려할 때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참조부호는 도면전체에 걸쳐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요소 또는 부품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상세히 참조하면,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장치 지지구조체를 표시하는 제 4도에 의하면, 차체의 앞부분(W)에 수축할 수 있는 스티어링장치(S)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티어링장치(S)는, 스티어링휠(1)이 동축으로 부착된 스티어링샤프트(2)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의 스티어링컬럼(3)은 그 내부에 스티어링샤프트(2)를 동축으로 수용하며 또 그것을 회전가능하게 유지한다. 스티어링장치(S)의 수축은 스티어링샤프트(2) 및 스티어링컬럼(3)에 일어난다.
특히, 스티어링컬럼(3)은 상부외부컬럼부(3a)와, 이 상부외부컬럼부(3a)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하부내부컬럼부(3b)로 이루어진다. 이들 상부외부 및 하부내부컬럼부(3a),(3b)는, 예를들면, 수지접착제등으로 중첩부(3c)에 고정되어 있어, 강한 축방향충격을 받았을 때 분리되어 중첩부(3c)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수축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스티어링샤프트(2)도 연결된 두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스티어링컬럼(3)의 수축에 뒤이어 축방향으로 수축하도록 되어 있다. 각종 수축기구가 공지되어 있으며, 어떤 공지된 형태의 수축기구도 스티어링장치(S)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티어링휠(1)을 통해서 운전자에 의해 행해지는 스티어링샤프트(2)의 회전은, 제 1유니버어설조인트를 통해서 스티어링샤프트(2)와 결합된 축(5) 또는 제 1릴레이로드에, 제 2유니버어설조인트(6)를 통해서 제 1릴레이샤프트(5)와 결합된 피니언샤프트(7) 또는 제 2릴레이샤프트, 및 스티어링기어박스(GB)에 전달된다. 운전자의 회전력을 증가시키고 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스티어링기어박스(GB)는 당업자에 공지된 형태로 해도 된다. 이 스티어링기어박스(GB)는 스티어링너클조립체 또는 유닛(도시생략)에 의해 각휠에 연결된 타이로드(GBa)를 직선운동시킨다. 스티어링휠(1)이 회전할 때 휠이 회전하고 스티어링장치(S)를 통해서 스티어링너클조립체 또는 유닛을 회전시킨다.
이 스티어링장치(S)는 예비적으로 조립되어 지지구조체에 의해 차체의 전방부에 일유닛으로서 끼워 맞춤된다.
제 4도와 관련해서 제 5도 및 제 6도를 참조하면, 차체의 전방부(W)는 대시보오트(WD)를 가지며, 이 대시보오드에 의해 차체는 두 부분, 즉 엔진부분(WE) 및 승객부분(WP)으로 분리된다. 계기판(도시생략)을 지지하는 계기판지지부재(10)는 뒤로부터 대시보오드(WD)에 부착된다. 이들 대시보오드(WD)와 계기판지지부재(10)가 차량의 전단부 충돌로 인해 뒤로 이동될 때, 이들은 뒤로 밀려서, 엔진부분(WE)내에 위치한 엔진과 파우어트레인등의 장치에 의해 변형된다. 다시말하면, 차체가, 예를들면, 전단부 충돌로 인해 발생된 외부충격을 받을 때 카울등의 계기판지지부재(10)는 차체의 변형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요소 중의 하나가 된다. 차체는 계기판지지부재(10)에 아주 가깝고 또 그 뒤에 위치한 강관등의 강체의 스티어링지지부재(9)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계기판지지부재는 횡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또한 좌우전측 필더 또는 좌우사이드프레임의 선단부와 같은 차체의 고정적이고 변형하지 않는 측면요소(도시생략)의 대향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형하지 않는 요소는 전달부충돌로 인한 외부충격에 의해 비교적 변형되기 어려운 차체의 일부이다. 또한, 대체로 직사각형 상자형태의 지지브래킷(64)은, 스티어링지지부재(9)에 용접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스티어링지지부재(9)에 의해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64)은 브래킷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대체로 L형태의 단일 후측 연결부재(65)와 횡방향으로 분리된 한쌍의 대체로 U형태의 전측연결부재(66)에 의해 계기판지지부재(10)에 연결된다. 또한, 지지브래킷(64)은 스티어링컬럼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단일 전측 연결부재(68)와 한쌍의 후측 연결부재(67)에 의해 스티어링컬러(3)을 지지한다. 전측 연결부재(68)는 수쌍의 볼트 및 너트(71)에 의해 지지브래킷(64)의 바닥벽(64a)의 전단부에 볼팅(bolted)된다. 마찬가지로, 후측 연결부재(67)는 수쌍의 볼트 및 너트(70)에 의해 지지브래킷(64)의 바닥벽(64a)의 후단부에 볼팅되거나 고정된다. 후측연결부재(65)는 수직벽부(65a)와 베이스벽부(65b)를 가진다. 후측 연결부재(65)의 수직전방부(65a)는 한쌍의 고정볼트(72a) 및 너트(72b)에 의해 계기판지지부재(10)의 후단부벽(62a)에 충분히 견고하게 볼팅되어, 지지브래킷(64)또는 후측 연결부재(65)자체가 앞으로부터 뒤로의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강한 충격을 받을 때라도 지지브래킷(64)이 계기판지지부재(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리어링크부재(65)의 베이스벽부(65b)에는 횡방향으로 분리된 한쌍의 슬롯(65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차체의 전방을 향해 개방된다. 베이스벽부(65b)는 슬롯(65c)을 통과하는 한쌍의 고정볼트(73a)와 너트(73b)에 의해 상부벽(64b)에 볼팅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볼트(73a) 및 너트(73b)는 다소 불충분하게 견고하게 고정되어, 계기판지지부재(10) 및/또는 후측연결부재(65)가 전방으로부터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강한 충격을 받을 때 후측 연결부재(65)가 볼트(73a)로부터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강한 충격으로 인해 지지브래킷(64)이 계기판지지부재(10)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한편, U형태의 전측 연결부재(66)의 각각은 지지브래킷(64)의 상부벽(64b) 및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66b)에 형성된 상부(66a)에 용접되거나, 고정되는 바닥부(도시생략)를 가지며, 또한 차체의 뒤를 향해서 개방된다. 전측 연결부재(66)의 상부(66b)는 슬롯(66b)을 통과하는 고정볼트(도시생략) 및 너트(도시생략)에 의해 계기판지지부재(10)에 볼팅된다. 고정볼트 및 너트는 다소 불충분하게 견고하게 고정되어, 계기판지지부재(10)가 프런트로부터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강한 충격을 받을 때 볼트 및 너트가 전측연결부재(66)의 슬롯(66b)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강한 충격으로 인해 계기판지지부재(10)가 지지브래킷(64)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따라서, 전측 및 후측 연결부재(65),(66)는, 계기판지지부재(10)가 예를들면 선단부의 충돌로 인해 강한 충격을 받을 때, 계기판지지부재(10)를 지지브래킷(64)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높은 구조강성을 가진 전측연결부재(68)는, 한편으로는, 스티어링컬럼(3)에 용접되거나 고정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볼트 및 너트(71)에 의해 지지브래킷(64)의 바닥벽(64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전측연결부재(68)와 지지브래킷(64)사이의 연결은, 스티어링컬럼(3)이 스티어링휠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을 때 또는 지지브래킷(64)이 계기판지지부재(10)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을때에는 적절히 유지되도록 충분히 단단하게 행해진다. 전측연결부재(68)의 지지브래킷(64)에의 강한 연결때문에, 차량(W)의 선당부충돌의 경우에, 스티어링장치(S)가 기어박스(GB)주위의 전방부에 앞으로부터 뒤로 향하는 강한 충격을 직접 받는다면, 그것은 제 1릴레이샤프트(5)를 용이하게 파괴 또는 휘게하며, 그에 의해, 스티어링샤프트(2), 즉 스티어링휠(1)이 뒤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지브래킷(64)은 스티어링샤프트(2)을 위한 튼튼한 지지부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하면, 선단부충돌의 경우에, 충격이 스티어링휠(1)을 통해서 운전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스티어링장치(S)에 대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제 1 릴레이샤프트(5), 즉 전방수축가능영역을 가진, 튼튼한 지지구조체에 의해 강화된 지지가 행해진다. 제 4도를 참조해서 튼튼한 지지구조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W)의 선단부충돌시에 기어박스(GB) 또는 기어박스(GB)주위의 부품에 길이방향(X4)으로 강한 충격에너지가 작용하면, 스티어링장치(S)는 전부 뒤쪽으로 밀리게 된다. 이 경우에 무엇보다도 먼저, 제 1유니버어설조인트(4)와 제 1릴레이샤프트(5)는 뒤쪽으로 가압되어 프런트링크부재(68)와 부딪친다. 전측연결부재(58)는 높은 구조강성을 가지고 있고 또 지지브래킷(6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은 제 1 유니버어설조인트(4)와 제 1릴레이샤프트(5)가 더 뒤로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릴레이샤프트(5)는 불충분하게 강하게 되어 있어, 그것이 제 1유니버어설조인트(4)를 통해서 프런트링크부재(68)와 강하게 부딪칠때에 컬럼버클링을 일으키기 쉽게 되므로, 제 4도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거의 확실하게 파괴되거나 휘어진다. 전측연결부재(68)의 파괴로 인해, 선단부충돌시에 기어박스(GB)에 작용되는 충격에너지는 그것이 스티어링샤프트(2)에 도달하기 전에 흡수된다. 이와 같이, 선단부충돌의 경우에 스티어링샤프트(2)가 뒤로밀리게 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플라스틱재료로 일체로 만들어진 후측연결부재(67)의 각각은 폐쇄된 슬롯형의 개구부(67b)가 형성된 베이스부(67a)와, 이 베이스부(67a)와 레벨차를 가지는 사이드플랜지부(67c)를 가진다. 후측연결부재(67)는, 폐쇄된 슬롯형의 개구부(67b)를 통과하는 고정볼트(70)에 의해 사이드플랜지부(67c)가 스티어링컬럼(3)에 고정되고, 스티어링컬럼(3)와 지지브래킷(14)사이의 베이스부(67a)가 축방향으로 지지브래킷(64)에 고정된 채 스티어링컬럼(3)과 지지브래킷(14)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에, 후측연결부재(67)는 고정볼트(70x에 의해 파단되도록 되어 있어, 스티어링컬럼(3)과 지지브래킷(64)중의 어느하나가 강한 충격을 받을 때에 스티어링컬럼(3)이 지지브래킷(6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후측연결부재(67)가 고정볼트(70)에 의해 파괴되도록 하기 위해서, 연결부재(67)는 지지브래킷(64)에 불충분하게 볼팅되어 있어, 둘사이에 상대적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컬럼연결수단은 중첩부(3c)의 반대쪽에서 스티어링컬럼(3)을 차지하고 이 스티어링컬럼(3)을 지지브래킷(64)에 연결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차량(W)의 선단부충돌시에 대시보오드(WA)는, 엔진부분(WE)내의 엔진 및 파우어트레인과 같은 각종장치의 후방이동에 뒤이어 X1의 길이방향으로 뒤로 밀리게 되어 계기판지지부재(10)를 제 4도의 선 X2로 표시한 바와 같이 뒤쪽 및 위쪽으로 가압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전방 및 후방연결부재(65),(66)로 구성된 브래킷연결수단은 계기판지지부재(10)와 지지브래킷(64)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므로, 계기판지지부재(10)가 더 뒤로 가압되더라도, 지지브래킷(64)은 뒤로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 머무른다. 따라서 스티어링컬럼(3)과 스티어링휠(1)양자는 이동하지 않아, 초기 충돌시에 운전자가 부딪치게 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를 타박상으로부터 확실히 보호되도록 한다. 다음, 초기충돌에 뒤이어, 운전자가 운전석으로부터 튕겨져서 운전자가 거의 확실하게 스티어링휠(1)과 부딪치는 제 2충돌이 일어난다. 제 2충돌의 경우에, 운전자는 비교적 강한 충격을 뒤로부터 앞으로의 길이방향으로 시티어링휠(1), 즉 스티어링샤프트(2) 및 스티어링컬럼(3)에 가한다. 스티어링휠(1)과의 부딪침은 리어링크부내(67)의 베이스부(67a)의 파손을 초래해서, 스티어링컬럼(3)과 지지브래킷(64)과의 연결을 해제한다. 그 결과, 스티어링샤프트(2)와 스티어링컬럼(3)은 운전자가 스티어링휠(1)을 더 압박함에 따라서 제 4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수축되기 때문에, 제 2충돌시에 운전자가 심한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 초기충돌시에, 최악의 경우에 지지브래킷(64)과 계기판지지부재(10)사이에 분리가 되지 않더라도, 스티어링컬럼(3), 즉 스티어링휠(1)은 지지브래킷(64)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에어백이 운전자에게 보충적인 제한장치로서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강한 충격이 앞부분, 예를 들면, 스티어링장치(S)의 기어박스(GB)에 선 X4로 표시한 레벨에서 길이방향으로 직접 가해지는, 차량(W)의 선단부충돌의 경우에, 제 1릴레이샤프트(5)는 확실히 파괴되어, 스티어링샤프트(2), 즉 스티어링휠(1)이 밀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또한 운전자를 스티어링휠(1)에 의한 부딪침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를 표시하는 제 7도 및 제 8도에 의하면, 차체(도시생략)전방부에는 스티어링장치(S)가 설치되어 있다. 스티어링장치(S)는 스티어링휠(1)이 스티어링샤프트(2)의 후단부에 동축으로 부착된 스티어링샤프트(2)와, 그 내부에 스티어링샤프트(2)를 동축으로 수용하고 또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중공의 스티어링컬럼(3)을 구비한다. 스티어링휠(1)의 회전은 스티어링샤프트(2)로부터, 제 1유니버어설조인트(4)를 개재해서 스티어링샤프트(2)에 결합된 제 1릴레이샤프트(5)에 그리고, 제 2유니버어설조인트(6)를 개재해서 제 1릴레이샤프트(5)에 결합된 제 2릴레이샤프트, 즉 피니언샤프트(7)에, 그리고 스티어링기어박스(8)에 전달된다. 운전자의 회전력을 증가시키고 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스티어링기어박스(8)는 당업자에 공지된 형태로 해도 된다. 이 스티어링기어박스(8)는 스티어링너클조립체 또는 유닛(도시생략)에 의해 각휠에 연결된 타이로드를 작선운동시킨다. 스티어링휠이 회전할 때 휠이 회전하고 스티어링장치(S)를 통해서 스티어링너클조립체 또는 유닛을 회전시킨다.
스티어링컬럼(3)은 지지브래킷수단(8)을 개재해서 스티어링지지부재(9)와 계기판지지부재(10)에 의해 지지된다. 예를 들면, 강체의 강관으로 만들어진 스티어링지지부재(9)는 계기판(도시생략)에 아주 가깝고 또 그 뒤에 위치하며, 또한 횡방향으로 뻗으며 또 그 대향단부에서 좌우전방필러의 단부 또는 좌우사이드프레임과 같은 차체(도시생략)의 고정적이고 변형이 없는 측면요소에 고정되어 있다. 카울과 같은 계기판지지부재(10)는 차체의 선단부충돌시에 발생되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외부충격으로 인해 변형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요소중의 하나이다.
제 9도에 의하면, 지지브래킷수단(8)은, 스티어링컬럼(3)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각각 지지하는 두 요소, 즉 전측 및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11)로 구성된다.
스티어링컬럼(3)은 틸트기구와, 후측 및 전측 지지브래킷조립체(11),(12)에 의해 지지되는 장소에 부착된 조정기구(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후측 지지브래킷조립체(11)는 앞으로부터 뒤로 스티어링지지부재(9)에 용접되거나 고정된 전측 및 후측 연결부재(13),(14)를 포함한다. 전측연결부재(13)는 대체로 직사각형상자 형태로 되어 있어, 볼트구멍(16)이 형성된 일체로 형성된 외주플랜지(13a)로 둘러싸여진 내부공간(13b)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후측연결부재(14)는 직사각형 상부벽(14a)과, U형태의 측면도랑이 형성되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부벽(14a)의 반대쪽을 따라서 형성된 U형태의 측면 보강플랜지(14b)를 구비하고 있다. 후측연결부재(13)는 도랑의 바닥에 고정된 복수개의 너트(17)를 구비하고 있다. 후측 지지브래킷조립체(11)는 또한 틸트기구와 함께 스티어링컬럼(3)의 후방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너트(17)에 볼트(15)를 고정함으로써 후측연결부재(14)에 볼팅되는 U형태의 끼워맞춤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제 10도에 의하면,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는, 계기판지지부재(10)에 볼팅되거나 고정되는 제 1연결부재(20)와,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에 의해 유지되는 스티어링컬럼(3)에 연결되는 제 2연결부재(21)를 구비하고 있다. 제 1연결부재(20)는 상부 및 바닥판부재(23),(24)를 가지는 대체로 직사각형 상자형태로 되어 있다. 상부판부재(23)는 연결볼트(22)에 의해 계기판 지지부재(10)에 연결되며, 바닥판부재(24)는, 한편으로는, 그전단부에서 상부판부재(23)에 용접되거나 고정되며, 또 한편으로는, 고정볼트(15)에 의해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의 후측연결부재(13)에 볼팅된다. 상부판부재(23)는, 직사각형개구부(25)가 형성된 상부벽(23a)과, 그일단과 아주 가까운곳에서 직사각형개구부(25)로 개구하는 긴슬롯형태의 볼트구멍(26a)과, 횡방향으로 분리되는 그 타단과 아주 가까운곳에 한쌍의 긴 개방단부볼트구멍(26b)을 가지고 있다. 상부판부재(23)는 또한 좌우측벽(23b)을 가지고 있다. 연결볼트(22)는 이들 슬롯형태의 볼트구멍(26a),(26b)을 통해서 삽입되고 또 고정되어, 제 1연결부재(20)의 상부판부재(23)를 계기판 지지부재(10)에 불충분하게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계기판지지부재(10)와 전측지지브래킷 조립체(12)사이의 상대적 이동의 경우에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가 계기판지지부재(10)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있다. 바닥판부재(24)는 상부판부재(23)의 상부벽(23a)에 용접된 베이스벽(24b)과, 이 베이스벽(24b)의 일단으로부터 앞쪽 및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뻗는 전방벽(24a)과, 이 베이스벽(24b)의 타단으로부터 뒤쪽 및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뻗는 경사부벽(24c)과, 이 경사벽(24c)의 일단으로부터 뒤쪽 및 위쪽으로 비스듬히 뻗는 대체로 U형태의 후벽부(24d)를 가진다. 바닥판부재(24)는 전벽부(24a) 및 후벽부(24d)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고정볼트(27)와, 후벽부(24d)에 고정된 너트(29)를 구비하고 있다. 제 2연결부재(21)는 대체로 V형태의 상벽부(21a)와, 이 상벽부(21a)로부터 대략90。각도로 아래쪽으로 뻗는 측벽부(21b)를 가진다. 상벽부(21a)에는, 그 일단을 따라서 한쌍의 개방단부슬롯형태의 볼트구멍(30a)과, 그 타단의 아주 가까이에 한쌍의 볼트구멍(30b)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21b)은 틸트기구의 전단추지지부재(31)를 따라서 연장되며 또 그에 피벗되어 있다. 이 피벗연결에 의해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는 스티어링컬럼(3)를 계기판지지부재(10)에 연결한다.
차체에 대한 스티어링장치의 각종요소의 조립에 있어서, 지지브래킷수단(8)의 가조립은 차체밖에서 예비적으로 행해진다. 특히,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는 스티어링지지부재(9)에 용접되거나, 고정된다. 한편,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는 계기판지지부재(10)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 계기판지지부재(10)는 제 1연결부재(20)를 제 1도에서 화살표시로 표시한 바와같이 연결볼트(22)에 의해 동부재에 볼팅함으로써 비교적 낮은 구조강성을 갖는다. 그후, 화살표B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에 용접된 틸트기구지지부재(31)와, 그에 요동가능하게 연결된 제 2연결부재(21)에 미리 조립된 스티어링컬럼(3)은 차체 내부에 놓여진다. 다음, 제 1 및 제 2연결부재(20),(21)는 제 1연결부재(20)로부터 뻗는 고정볼트(27)와 너트(32)와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스티어링컬럼(3)의 전방부를 계기판 지지부재(10)에 연결하고 조립하게 된다.
스티어링지지부재 및 적절한 위치에 있는 플로어패널(도시생략)로부터 뻗는 지지체를 머무르게 하는 스테이아암(도시생략)에의 계기판의 가조립후, 이 가조립된 스티어링지지부재(9)는 차체의 내부로 인입되어 적절한 위치에 놓여진다. 다음, 스티어링지지부재(9)는 그 끼워맞춤위치로 조정되며, 전측필더등의 변형하지 않는 측면요소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 1도에서 화살표C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지지부재(9)에 견고하게 고정된 후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의 후측연결부재(13)는 고정볼트(15)와, 바닥판부재(24)의 후벽부(24d)에 고정된 너트(29)와의 결합에 의해 제 1연결부재(20)의 바닥판부재(24)에 연결된다. 따라서, 후측 및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12)는 함께 조립된다.
그후, 제 1도에서 화살표D로 표시한 바와같이, U형태의 끼워맞춤부재(18)는 고정볼트와, 후측연결부재(14)의 U형태의 측면보강 플랜지(14b)내에 형성된 도랑의 바닥에 고정된 너트와의 결합에 의해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에 볼팅되며, 스티어링컬럼(3)이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를 개재해서 스티어링지지부재(9)에 끼워맞춤된다. 한편, 화살표E및 F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릴레이샤프트(5)와 제1 및 제 2유니버어설조인트(4),(5)를 포함하는 릴레이샤프트조립체는 스티어링샤프트(2)와 제 2릴레이샤프트(7)사이에서 상호연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스티어링장치(S)는 전측 및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18)로 구성된 지지브래킷수단(8)에 의해 지지되며, 이리해서 차체내에 조립된다. 본실시예에 있어서, 릴레이샤프트조립체는 화살표A내지 F로 표시한 바와같이 스티어링장치(S)를 상기 알파벳순으로 조립하기전에 스티어링샤프트(2)와 제 2릴레이샤프트(7)사이에서 상호연결된다.
본발명의 스티어링지지구조체에 의해, 예를들면, 차량의 전단부충돌의 경우에, 엔진부분과 승객부분을 분리하는 대시보오드등은 큰충격으로 인해 뒤쪽으로 밀리게 된다. 이것이 스티어링샤프트(2)와, 스티어링컬럼(3)의 후방이동을 수반하게 되더라도, 스티어링컬럼(3)은, 구조적으로 강체이고, 그 대향단부에서 좌우 전측필더 또는 좌우 사이드프레임의 선단부등의 차체의 고정적이고 변형이 없는 측면요소에 지지브래킷수단(8)을 개재해서 고정된 스티어링지지부재(9)에 의해 앞쪽 및 뒤쪽으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그것은 위치 및 자세를 변경하지 않은채 유지된다. 실제로 계기판지지부재(10)가 큰 충격에 의해 뒤로 밀리게되면,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는 계기판지지부재(10)에 고정된 링크볼트(22)를 슬롯볼트구멍(26a),(26b)으로부터 빠져나가게 해서, 계기판지지부재(10)와 프런트지지브래킷조립체(12)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말해서, 예를들면, 선단부충돌로 인해 계기판지지부재(10)의 뒤쪽이동이 초래되더라도 스티어링컬럼(3), 즉 스티어링샤프트(2)는 계기판지지부재(10)에 의해 뒤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어, 지지브래킷수단(8)에 의해 여전히 위치가 변하지 않은채 유지되게 된다.
스티어링지지부재는 그 대향단부에서 상기 차량의 전단부충돌시에 변형하지 않는 차체의 고정적이고 강한 측면요소에 고정되고, 스티어링컬럼(3)은 상호 연결된 전측 및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11)를 가진 지지브래킷장치를 개재해서 스티어링지지부재(9)에 의해 앞쪽 및 뒤쪽부분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는 구조면에서 단순화되고, 또한 스티어링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하면, 선단부충돌로 인해 스티어링샤프트(2)와 경사각 및 운전자로부터 스티어링휠까지의 거리가 변화하기 않으므로, 에어백장치(스티어링휠(1)에서 보충적 제한장치로서 설정된다면)와 수축가능스티어링조립체는, 의도된대로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운전자가 2차충돌을 당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티어링컬럼이 지지브래킷부재의 단지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와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지지구조체는 지지브래킷장치(8)를 제작하기 용이하게 하며, 협소한 작업공간에서의 조립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지지브래킷장치(8)는 2개의 지지브래킷조립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둘사이에 구조적강성 및/ 또는 지지강성이 국부적으로 변화하기 쉽다. 즉, 후측지지조립체(11)와 스티어링지지부재(9)사이의 연결강성을 증가시켜서 전측지지조립체(12)를 경량화하는데 유리하다. 이것은 부재의 두께를 변경시킴으로써 실현된다. 그렇게 변경하더라도, 지지브래킷장치(8)는 제조하기 용이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에서의 조립효율을 향상시킨다.
제 11도에 의하면, 차체에의 스티어링장치(S)의 조립시에, 계기판지지부재(10)와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의 제 1연결부재(20)사이에 일시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일시적인 결합은 계기판지지부재(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그에 고정된,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한쌍의 L형태의 다리(32)와의 결합에 의해 실현된다. 다리(32)중의 하나는 제 1연결부재(20)의 상판부재(23)의 앞모서리와 결합되고, 다른 다리(23)는 슬롯형의 볼트구멍(26b)에 아주 근접해서 상판부재(23)에 형성된 개구부(33)의 뒤모서리와 결합된다. 제 1연결부재(20)는 상판부재(23)를 다리(32)에 접촉시킴으로써 계기판지지부재(10)와 일시적으로 결합된후, 손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 유지됨이 없이 연결볼트(22)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일시적인 결합은 전측지지브래킷(12)를 계기판지지부재(10)에 조립하기 아주쉽게 한다. 충돌시 계기판지지부재(1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충돌시의 하중에 의해 L형태의 다리(32)가 변형해서, 상판으로부터 벗어난다.
제 12도에 의하면, 차체에의 스티어링장치(S)의 조립시에, 계기판지지부재(10)와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의 제 1연결부재(20)사이에 일시적인 결합이 행해질 수 있다. 특히, 일시적인 결합은 길이방향으로 분리된 한쌍의 플라스틱수지세트스크류(34)의 결합에 의해 실현된다. 각 세트스크류(34)는 계기판지지부재(10)와 프런트지지브래킷조립체(12)사이의 상대적 이동으로 인해 용이하게 절단되게 되어 있다. 이들 세트스크류(34)는 제 1연결부재(20)의 상판부재(23)내에 형성된 구멍(33)을 개재해서 계기판지지부재(10)내로 결합된다. 제 1연결부재(20)가 세트스크류(34)와 계기판지지부재(10)와의 결합에 의해 계기판지지부재(10)와 일시적으로 결합된 후, 그것은 손으로 적절한 위치에 유지됨이 없이 연결볼트(22)에 의해 고정되 이러한 일시적인 결합은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를 계기판지지부재(10)에 조립하기 아주 쉽게 한다. 또한, 계기판지지부재(10)가 큰 충격으로 인해 뒤로 밀리게 될 때 예를 들면, 선단부의 충돌의 경우에, 세트스크류는 용이하게 전단되어, 계기판지지부재(10)에 고정된 연결볼트(22)를 제 1연결부재(20)의 상판부재(23)의 슬롯형의 볼트구멍(26a),(26b)으로부터 빠져나가게 한다. 그 결과,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는 계기판지지부재(10)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제 13도에 의하면,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는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위치조정수단은 고정볼트(15)의 의부직경보다 다소 큰 내부직경을 가진 후측연결부재(13)의 외주플랜지(13a)에 형성된 볼트구멍(35)으로 구성된다. 고정볼트는 볼트구멍(35)을 통과해서 고정되어,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를 스티어링지지부재(9)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전에,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는 모든 방향으로 이동되어, 볼트구멍(35)과 고정볼트(15)사이의 간극내의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되어 있다. 와서(36)는 외주플랜지(13a)와 고정볼트(15)의 볼트헤드사이에 놓여진다. 전측 및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11)사이의 상대적 길이방향위치는 슬롯형의 볼트구멍(26a),(26b)내의 연결볼트(22)의 이동을 사용해서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를 조정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전측연결부재(13)에는 연결볼트(22)에의 접근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제 1도에서 화살표C로 표시한 바와같이 고정볼트(15)에 의한 전측 및 후측지지브래킷의 상호연결시에 연결볼트(22)에 의해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의 제 1연결부재(20)를 계기판지지부재(10)에 일시적으로 조립한후,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의 길이방향위치는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를 앞뒤로 이동시킴으로써 후측지지브래킷(11)에 대해 조정되어, 슬롯형의 볼트구멍(26a),(26b)내의 연결볼트(22)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와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사이의 길이방향 상대적위치의 조정 전 또는 후에,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가 볼트구멍(35)과 고정볼트(15)사이의 간극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이동되고 적절한 위치로 조정되어, 스티어링컬럼(3), 즉 스티어링샤프트(2)와 스티어링휠(1)을 적절한 위치에 놓도록 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연결볼트(22)는 스티어링컬럼(3) 및 스티어링샤프트(2)를 적당한 위치에 지지하기 위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지지구조체에 의해, 조립은; 프런트지지브래킷조립체(12)를 차체의 고정부분인, 비교적 작은 구조강성을 가진 계기판지지부재(10)에 단단하게 고정하고 스티어링지지부재(9)를 차체에 도입하여 이 스티어링지지부재(9)를 전측필러등의 변형하지 않는 측면요소에 단단하게 고정하여; 후측 및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12)를 함께 상호 연결하고; 그리고 스티어링컬럼(3)의 후방부를 지지브래킷수단(8)의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에 연결하는 단계로 실행된다. 그 결과, 스티어링지지부재(9)는 지지브래킷수단(8)과 계기판지지부재(10)와의 간섭을 수반하지 않고 차체에 조립되므로, 용이한 조립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가 제 1 및 제 2연결부재(20),(21)로 구성되는 스티어링지지구조체에 의해, 제 1연결부재(20)가 계기판지지부재(10)에 미리 고정된 후, 그것은 스티어링컬럼(3)에 연결된 제 2연결부재(21)에 상호연결되어, 스티어링컬럼(3)을 계기판지지부재(10)에 의해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스티어링컬럼(3)과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와의 연결동작은 전측지지브래킷조립체(12)와, 스티어링지지부재(9)등의 차체의 변형하지 않는 요소와의 간섭없이 행해지므로, 용이한 조립작업을 행할 수 있다. 스티어링지지부재(9)로부터의 후축지지브래킷조립체(11)의 작은 전방돌출로 인해, 피벗핀(40)과, 각쌍의 스테이아암(38),(39)에 형성된 슬롯형의 개구부(41)사이의 결합을 통해서 플로어패널로부터 위쪽으로 뻗는 한쌍의 카운터스테이아암(34)에 피벗된 스티어링지지부재(9)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한쌍의 스테이아암(38)의 회전에 의해 스티어링지지부재(9)와 지지브래킷수단(8)과의 차체내부의 적절한 위치에의 배치시에, 후측지지브래킷조립체(11)의 이동은 제 14도에서 점선β로 표시한 바와 같이 작게 되어 있다. 이것은 스티어링지지부재(9)와 그 관련부품의 차체에의 조립을 지지브래킷수단(8)의 요소와, 계기판지지부재(10)등의 차체의 요소와의 간섭없이 실행할 수 있게 하므로, 용이한 조립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내에 드는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와 변형예가 당업자에게 가능하며,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와 변형예는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커버될 것이다.

Claims (22)

  1. 스티어링휠을 가진 스티어링샤프트와 이 스티어링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공의 스티어링컬럼을 포함하는 차량의 수축가능한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단부충돌시에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기 차체의 고정적인 측면요소에 대향단부에서 고정되고, 차폭방향으로 뻗는 스티어링지지부재와, 상기 스티어링지지부재에 고정되고 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브래킷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와, 차량의 전단부충돌시에 후방에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상기차체의 일부와를 해제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의 후방에의 변형시에는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를 분리하는 제 1연결장치와,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전방부를 상기 지지브래킷에 고정하는 한편,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후방부와 상기 지지브래킷을 해제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연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연결장치는, 상기 스티어링휠이 상기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충격을 받을 때에 상기 스티어링컬럼과 상기 지지브래킷과를 분리하고 수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수축가능한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는 상기 전방부와 상기 후방부사이에서 수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는 계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장치는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사이에 배치된 분리할 수 있는 상호연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할 수 있는 상호연결기구는,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사이의 적정위치로의 상대 변위시에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상호연결기구는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중의 어느하나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개방단부슬롯형의 개구부와,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중의 다른 것에 고정되고 또 상기 개방단부슬롯형의 개구부에서 슬라이드운동을 의해 배치되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상호연결기구는, 길이방향으로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또 대향하는 길이방향으로 개구하는 개방단부슬롯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그중의 하나는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중의 어느하나에 고정되며, 또 그중의 다른 것은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중의 다른 하나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의 각각에 고정되고 또 상기 계방단부슬롯형의 각 개구부에서 슬라이드운동을 위해 배치되는 한쌍의 결합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장치는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상기 전방부를 충분히 단단하게 고정해서, 상기 차량의 전단부충돌시에 상기 스티어링샤프트와 기어박스를 연결하는 릴레이로드를 파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장치는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와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상기 후방부사이에 배치되는 분리가능한 상호연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분리할 수 있는 상호연결기구는,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사이의 적정위치로의 상대변위시에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상호연결기구는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와 상기 스티어링컬럼중의 어느하나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개방단부 슬롯형의 개구부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와 상기 스티어링컬럼중에 다른 것에 고정되고 또 상기 개방단부슬롯형의 개구부에서 슬라이드운동을 위해 배치되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장치는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와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상기 후방부사이에 배치되는 분리가능한 상호 연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가능한 상호 연결기구는 상기 스티어링컬럼과 상기 지지브래킷부재를 함께 고정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단핀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와 상기 스티어링컬럼사이의 적정위치로의 상대변위시에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핀은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12. 스티어링샤프트와, 상기 스티어링샤프트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중공의 스티어링컬럼을 포함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단부충돌시에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기차체의 고정적인 측면요소에 대향단부에서 고정되고, 차폭방향으로 뻗는 스티어링지지부재와,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전방부 및 후방부를 지지하는 상기 스티어링지지부재에 고정되고 그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브래킷장치와, 상기 지지브래킷장치와, 차량의 전단부충돌시에 후방에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상기 차체의 일부를 해제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의 후방에의 변형시에는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와 상기 지지브래킷장치를 분리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 부재사이에 배치된 분리할 수 있는 상호연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할 수 있는 상호연결기구는,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사이의 적정위치로의 상대변위시에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상호연결기구는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중의 어느하나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개방단부슬롯형의 개구부와,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중의 다른것에 고정되고 또 상기 개방단부슬롯형의 개구부에서 슬라이드운동을 위해 배치되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장치는,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상기 전방부를 지지하는 전측지지조립체와, 상기스티어링컬럼의 상기 전방부를 지지하는 후측지지조립체와, 그리고 상기 전측지지조립체와 상기 후측지지조립체를 함께 상호 연결하는 상호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상호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지지조립체는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상기 전방부를 요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후측지지조립체는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상기 전방부를 지지해서 그것을 요동가능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에 상기 연결장치를 일시적으로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사이의 적정위치로의 상대변위가 일어날때에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연결장치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장치를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핀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계기판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브래킷부재사이의 적정위치로의 상대변위로 인해 파단되어, 상기 연결장치와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가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핀은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21. 중공의 스티어링컬럼과 이 스티어링컬럼에 수용되는 스티어링샤프트를 포함하는 스티어링장치를 차체에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장치는 지지구조체에 의해 지지되고, 이 지지구조체는, 상기 차량의 전단부충돌시에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기 차체의 고정적인 측면요소에 대향단부에서 고정되고, 차폭방향으로 뻗는 스티어링지지부재와, 상기 스티어링지지부재에 고정되고 그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지지하는 전측 및 후측지지조립체를 포함하는 지지브래킷장치와, 그리고 상기 지지브래킷장치와, 차량의 전단부충돌시에 후방에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와를 해제가능하게 연결하는 한편,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의 후방에의 변형시에는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와 상기 지지브래킷장치를 분리하는 연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전측지지조립체를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상기 전방부에 일시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후측지지조립체를 상기 스티어링지지부재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장치를 상기 차체의 상기 일부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스티어링장치를 상기 차체에 도입하는 단계와: 상기 전측지지조립체를 상기 연결장치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스티어링지지부재를 상기 차체의 상기 고정적인 측면요소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측지지조립체와 상기 후측지지조립체를 함께 상호연결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컬럼의 상기 후방부를 상기 후측지지조립체에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장치의 조립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긴 스테이아암을 상기 스티어링지지부재의 대향단부에, 그리고 카운터스테이아암을 상기 차체의 횡방향대향측에서 상기 차체의 플로어부에 미리 부착하고 상기 스티어링지지부재를 상기 차체의 상기 고정적인 측면요소에 고정하기 전에 상기 긴스테이암과 상기 카운터스테이아암을 요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장치의 조립방법.
KR1019940012675A 1993-06-07 1994-06-07 차량의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KR100295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573793A JP3154591B2 (ja) 1993-06-07 1993-06-07 車両の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支持構造
JP93-135737 1993-06-07
JP31505993A JPH07165088A (ja) 1993-12-15 1993-12-15 車両のステアリング支持装置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93-315059 1993-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507A KR950000507A (ko) 1995-01-03
KR100295788B1 true KR100295788B1 (ko) 2001-10-24

Family

ID=2646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675A KR100295788B1 (ko) 1993-06-07 1994-06-07 차량의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27411A (ko)
KR (1) KR100295788B1 (ko)
DE (1) DE441983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8235B1 (en) * 1999-09-17 2002-06-18 Delphi Technologies, Inc. End-of-travel impact management system
WO2001083284A1 (en) * 2000-05-02 2001-11-08 Douglas Autotech Corporation Steering column support assembly
TWI272000B (en) * 2004-09-10 2007-01-21 Coretronic Corp An orientation structure used in a display
KR20120006163A (ko) * 2010-07-12 2012-01-18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컬럼의 틸트 힌지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컬럼
US8702126B2 (en) * 2012-02-15 2014-04-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vice for secondary energy management in a steering column assembly
EP2896545A1 (en) * 2014-01-17 2015-07-22 Ford Motor Company Mounting structure for a steering column
US9283988B1 (en) 2015-01-30 2016-03-1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of decoupling vehicle steering systems
US9469329B1 (en) * 2015-05-04 2016-10-18 Honda Motor Co., Ltd. Instrument panel frame assembl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US10597082B2 (en) 2015-06-26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racket for improved impact loading performance
US10030810B2 (en) * 2015-09-16 2018-07-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in bracket and valve assembly employing the same
JP7294077B2 (ja) 2019-11-12 2023-06-20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1839C1 (de) * 1982-11-12 1984-03-0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Lenkungsanordnung für Kraftwagen
JPH0327899Y2 (ko) * 1984-09-06 1991-06-17
JPH0356455Y2 (ko) * 1984-09-07 1991-12-18
JPH03567A (ja) * 1989-05-30 1991-01-07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19833C2 (de) 2003-10-23
KR950000507A (ko) 1995-01-03
DE4419833A1 (de) 1994-12-08
US5427411A (en) 1995-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2216A (en) Power plant supporting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US5238286A (en) Instrument panel struc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US7258392B2 (en) Automotive vehicle front architecture with a partially rotatable structural link
KR100295788B1 (ko) 차량의스티어링샤프트지지구조체
EP1389575B1 (en) Vehicle front-end body structure
JP200713724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の支持構造
WO2000018633A1 (en) An arrangement which makes it possible to displace a cab of a vehicle
JP2002274423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EP1604869B1 (en) Bump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6265251B1 (ja)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KR100747282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지지구조
JP4127067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H0872729A (ja) 車両用操舵装置
JP3599887B2 (ja) 車両におけるリヤディファレンシャルの支持構造
JPH09263141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3380670B2 (ja) 自動車の衝突時の衝撃吸収構造
JPH0519267Y2 (ko)
JP2842107B2 (ja) 車両用バンパーの取付構造
KR102600370B1 (ko) 차량의 프론트 서브프레임 연결형 전방구조물
JP2503531Y2 (ja) 機関の取付構造
KR100559014B1 (ko) 자동차의 정면충돌시 엔진 하강 구조
KR19980016105A (ko) 스티어링 컬럼 장착용 콜랩서블 브라켓
JPH09263248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100296603B1 (ko) 크로스 멤버의 슬라이딩 취부구조
JP2001018811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の衝撃力吸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