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5743B1 - 그릴장치 - Google Patents

그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5743B1
KR100295743B1 KR1019990014196A KR19990014196A KR100295743B1 KR 100295743 B1 KR100295743 B1 KR 100295743B1 KR 1019990014196 A KR1019990014196 A KR 1019990014196A KR 19990014196 A KR19990014196 A KR 19990014196A KR 100295743 B1 KR100295743 B1 KR 100295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water
grill pan
opening
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950A (ko
Inventor
하마나카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1999008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7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그릴실의 문짝에는 그릴실 내부를 들여다보기 위한 글래스판이 취부되어 있고, 이 그릴문짝에 형성한 구멍을 통해 외부공기를 그릴실 내부로 흡인하여 글래스판을 냉각하게 되어 있지만, 배기 드래프트(draft)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인하기 때문에 다량의 외부공기를 흡인할 수 없어 글래스판이 충분히 냉각되지 않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릴팬(2) 내의 물을 상부 트레이(3)로 덮고, 물이 증발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그릴문짝에 인접한 그릴팬(2)의 앞쪽 단부에 형성한 구멍(33)을 통하여 글래스판으로 유도하여 글래스판을 냉각시킨다.

Description

그릴장치{grill device}
본 발명은 그릴실 내에 조리물을 올려놓는 석쇠의 하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주입되는 그릴팬과, 그릴팬 내의 수면을 덮는 상부 트레이를 구비함과 함께, 그릴실 전면의 입구를 개폐하는 그릴문짝에 그릴실 내부를 들여다보기 위한 글래스판을 취부한 그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실개평4-90807호 공보에, 그릴실 전면의 입구를 개폐하는 그릴문짝에 그릴실 내부를 들여다보기 위한 글래스판을 취부한 그릴장치로서, 글래스판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구멍을 그릴문짝에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하여 그릴실 내로 흡입한 외부공기를 글래스판을 따라 유동하게 하여 글래스판을 냉각시키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예를 들어, 일본 실개소56-105709호 공보에는, 그릴실 내에 조리물을 올려놓는 석쇠의 하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주입되는 그릴팬과, 그릴팬 내의 수면을 덮는 상부 트레이를 구비한 그릴장치로서, 그릴팬과 상부 트레이 사이의 공간에 주입된 물이 증발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적어도 그릴팬의 앞쪽단 테두리와 상부 트레이 사이의 좁은 슬릿형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방출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한 종래의 그릴실 내로 흡인된 외부공기로 글래스판을 냉각하는 것은, 그릴실로부터의 배기에 따른 부압에 의해 외부공기가 흡인되기 때문에, 외부공기는그다지 세게 흡인되지 않으며, 외부공기의 흡인속도가 느리면 글래스판에 도달하기 전에 그릴실 내의 열기와 혼합되어 냉각효과가 떨어진다. 더욱이, 글래스판에 대한 외부공기의 흐름이 빠를수록 글래스판과 외부공기 사이의 열전달계수가 커지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그릴장치에서는 외부공기의 유속이 느리기 때문에 열전달계수가 작아서 글래스판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없다.
또한, 그릴팬과 상부 트레이를 구비한 것에서는, 그릴팬 내부의 물이 증발하여 발생한 수증기가 그릴팬과 상부 트레이 사이의 작은 간극으로부터 방출되지만, 예를 들어, 조리중에 약간만 물을 보충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부 트레이를 그릴팬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그릴문짝에 취부된 글래스판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으며, 상부 트레이를 그릴팬에 취부한 상태에서도 간단히 그릴팬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그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그릴팬과 상부 트레이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그릴팬에 상부 트레이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상부 트레이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검지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상부 트레이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검지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Ⅴ-Ⅴ선 단면도.
<부호의 설명>
1. 그릴 2. 그릴팬
3. 상부 트레이 11.글래스판
12.그릴문짝 15.온도센서
21.센서접촉부 31.평탄부
33.개구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릴실 내에 조리물을 올려놓는 석쇠의 하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주입되는 그릴팬과, 그릴팬 내의 수면을 덮는 상부 트레이를 구비함과 함께, 그릴실 전면의 입구를 개폐하는 그릴문짝에 그릴실 내부를 들여다기 위한 글래스판을 취부한 그릴장치에 있어서, 그릴팬과 상부 트레이 사이의 물이 주입되는 공간으로 연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 내의 물이 증발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이 개구부를 통하여 글래스판으로 유도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릴팬 내의 물이 증발하여 발생하는 수증기가 그릴팬의 앞쪽단 테두리 근방에 형성한 개구부로부터 분출되며, 이 수증기를 글래스판으로 유도하여 글래스판을 냉각시킨다. 또, 그릴팬 내에 물을 주입할 때에는 상부 트레이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이 구멍을 통해 그릴팬 속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측벽을 경사지게 하여 수증기가 글래스판으로 향하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수증기를 글래스판으로 유도시킬 수 있다. 또, 그릴팬 내의 수면과 상부 트레이 사이에 간극이 없다면 물이 끓어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상부 트레이가 들어 올려진다. 물이 주입되었을 때 수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수증기가 빠져나가도록 상부 트레이 저부의 전후방향 전역에 걸쳐 증기유도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트레이의 들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개구부를 이 증기유도부로 연통시키면, 증기유도부로 유도된 수증기가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상부 트레이가 수증기에 의해 들리지 않게 된다. 더욱이, 그릴문짝의 글래스판은 그릴실의 좌우방향 중앙이 특히 고온이 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수증기를 글래스판의 좌우방향 중앙부분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 개구부를 그릴팬의 좌우방향 중앙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릴실 내의 저면에 온도센서를 상방을 향하게 배설하고, 그릴팬의 저면 일부를 융기시켜 그릴팬 내의 수면보다 높은 센서접촉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증기유도부를 수평의 평탄부로 형성하고, 이 평탄부를 센서접촉부의 내주면인 상면에 접촉시키면, 끓어오른 뜨거운 물이 평탄부에 튀고 있는 동안은 평탄부의 온도가 100℃로 유지되지만, 평탄부에 튀지 못할 정도로 물의 양이 줄면 평탄부의 온도가 일시에 상승하고, 그 온도변화를 온도센서에서 검지함으로써 그릴팬 내의 물이 소정량 이하로 감소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더욱이, 그릴실 내의 측면에 온도센서를 내측을 향하게 설치하고, 그릴팬 측벽의 일부에 있어서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센서접촉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증기유도부를 수평의 평탄부로 형성하고, 이 평탄부의 측면에서 상방으로 올라간 측벽부를 그릴팬 내벽면의 일부인 센서접촉부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조리도중에 그릴실에서 그릴팬을 일시적으로 꺼내더라도 버너로부터의 복사열이 온도센서에 직접 작용하지 않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1)은 조리대(CT)에 형성된 개구(W) 내에 설치된 가스곤로에 내장되어 있는 그릴이다. 이 그릴(1)은 내열성 글래스판(11)이 끼워진 그릴문짝 (12)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릴(1)의 내부에 형성된 그릴실(13)이 이 그릴문짝(12)에 의해 전방에서 개폐된다. 이 그릴문짝(12)을 도시된 상태로부터 앞쪽으로 당기면 석쇠(14)가 올려진 그릴팬(2)이 그릴문짝(12)과 함께 앞쪽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그릴실(13) 저면의 좌측 안쪽에는 상방으로 탄성지지된 온도센서(15)가 취부되어 있다. 이 온도센서(15)는 내부에 서미스터(thermistor)를 내장하고 있으며, 그릴팬(2)을 그릴실(13) 내에 격납한 상태에서 그릴팬(2) 저면의 소정위치에 접촉되어 이 그릴팬(2) 저면의 온도를 검지하는 것이다. 또, 이 그릴실(13) 내에는 좌우 양측벽에 1쌍의 하측 버너(16)가 취부되어 있으며, 천정면에는 적외선 방식의 상측 버너(17)가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버너(16) 및 상측 버너(17)로부터의 열기는 그릴실(13) 안쪽벽 상부에 형성된 배기덕트(18)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본 발명에서는, 그릴팬(2)에 상부 트레이(3)를 포개어 얹었다. 더욱이, (12a)는 그릴문짝(12)에 결합되어 있는 대략 수평형의 프레임이며, 이 프레임(12a) 위에 그릴팬이 올려져 그릴문짝(12)이 개폐됨에 따라 그릴실(13)에 출입한다. 단, 그릴팬(2)을 그릴문짝(12)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단독으로 그릴실(13)에 출입하게 해도 좋다.
도 2에 있어서, 그릴팬(2) 좌측 안쪽 귀퉁이에는, 종래의 그릴팬과 같이, 저면을 1단 높게 형성하여 센서접촉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릴문짝(12)을 밀어 그릴팬(2)을 그릴실(13) 내에 격납시키면, 온도센서(15)가 이 센서접촉부(21)의 저면에 접촉된다. 한편, 상부 트레이(3)는 그릴팬(2)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이 상부 트레이(3)의 저면에는 좌우방향 중앙에 냉각부로서 작용하는 중앙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중앙부보다 1단 높게 증기유도부인 평탄부(31)가 중앙부(32)의 좌우에 전후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부(32)는 도시된 것 처럼 반드시 수평일 필요는 없으며, 도시된 형상에서 다시 중앙으로 향하여 오목하게 들어가 있어도 무방하다. 상부 트레이(3)에는 전단테두리 중앙에 개구부(33)와, 후단테두리 중앙에 개구부(34)가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3) 및 개구부(34)는 중앙부(32)만이 아니라 좌우 평탄부(31)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33) 및 개구부(34)와 양 평탄부(31)와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또, 개구부(33)의 후측벽(33a)은 전방으로 경사져 있고, 개구부(34)의 전측벽(34a)은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상부 트레이(3)를 상방으로부터 그릴팬(2)에 포개어얹으면, 그릴팬(2)과 상부 트레이(3)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은 개구부(33)와 개구부(34)를 거쳐 외부로 연통된다. 따라서, 개구부(33) 및 개구부(34)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물을 주입하여 이 공간 내에 물을 충진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릴팬(2)에 상부 트레이(3)를 포개어 얹은 상태에서는, 전방에서 볼 때 좌측 평탄면(31 : 도 5는 후방에서 보았기 때문에 좌우가 반전되어 있다.)이 센서접촉부 (21)에 접촉되어 있어야 한다. 또, 물을 주입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32)에는 수면이 접해도 좋지만 중앙부(32)보다 1단 높은 평탄부(31)의 저면에는 수면이 접촉하지 않을 양만큼 주입한다. 하측 버너(16) 및 상측 버너(17)를 점화시켜 그릴조리를 시작하면, 그릴팬(2)과 상부 트레이(3)로 둘러싸인 공간 내의 물이 가열되어 수온이 상승하고, 소정시간 후에는 물이 끓어오른다. 이 때, 평탄부(31)는 물과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평탄부(31)의 저면과 수면과의 사이에 증기유도용 간극이 생긴다. 이 간극은 개구부(33) 및 개구부(34)에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끓어올라 발생한 수증기가 이 간극을 통하여 개구부(33) 및 개구부(34)로 배출되어, 그릴팬(2) 내부에서 끓어오른 뜨거운 물이 수증기에 밀려 분출되거나 상부 트레이(3)가 수증기의 압력으로 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개구부(33)의 후측벽(33a)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개구부(33)을 통해 배출되는 수증기는 전방을 향하여 배출되며, 석쇠(14)의 다리부 역할을 하는 측판(14a)에 형성된 개구부(14b)를 통과하여 그릴문짝(12)의 글래스판(11)에 이르게 되어 글래스판(11)을 냉각시킨다. 수증기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글래스판(11)을 냉각시킨 후 그릴실(13)의 비교적 상부를 통하여 배기덕트(18)로 유도되므로, 석쇠에 올려져 있는 생선 등의 조리물과 접촉하지 않는다. 또, 개구부(34)로부터 배출된 수증기는 그릴실(13) 안쪽으로 흐르지 않고 그대로 배기덕트(18)를 통하여 배출되어, 역시, 석쇠(14)에 올려져 있는 조리물과 접촉하지 않는다. 더욱이, 조리중에 그릴팬(2)에 물을 추가로 주입하는 경우에는, 그릴실(13)로부터 그릴팬(2)을 조금만 인출하여 개구부(33)에 물을 주입하면 된다. 그리고, 상부 트레이(3)의 전방에 개구부(33)을 형성하면, 후방의 개구부(34)는 꼭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 수증기를 글래스판(11)으로 유도하지 않을 경우 글래스판(11)의 온도가 200℃였던 것이, 수증기를 글래스판(11)으로 유도함으로써 165℃로 낮출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조리중에 글래스판(11)에 찬물이 튀더라도 글래스판(11)이 깨질 위험성이 적어지게 되었으며, 글래스판(11)을 보다 얇은 것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이, 센서접촉부(21) 위에 평탄부(31)가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접촉부분을 통하여 양자간에 열의 흐름이 발생한다. 소정 조건하에서, 평탄부(31)는 집열판의 기능을 하거나 혹은, 방열판으로서 작용한다. 도 6에 있어서, 그릴조리를 시작하면, 평탄부(31)는 하측 버너(16)의 불꽃에 쪼여지고 또, 상측 버너(17)로부터의 복사열을 받아 집열판으로서의 기능을 하여 온도가 급속히 상승한다. 그리고, 평탄부(31)에 집열된 열은 센서접촉부(21)로 전도되어 온도센서(15)의 검지온도가 급속히 상승한다(도 6의 a). 그릴조리를 시작하여 t1 시간이 경과하면, 그릴팬(2) 내의 물이 끓어오르기 시작한다. 그러면, 수면이 끓어올라 요동되거나 혹은, 비산되어 수면 바로 위에 위치하는 평탄부(31)의 저면에 끓는 물이 튄다. 이때, 물이 끓어오르더라도 끓는 물은 100℃이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끓기 시작함과 동시에, 평탄부(31)의 온도가 순간적으로 100℃까지 내려간다. 물이 계속 끓고 평탄부(31) 저면에 끓는 물이 계속해서 튀고 있는 상태에서는, 평탄부(31)는 방열판으로서의 기능을 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는 반대로, 센서접촉부(21)의 온도가 상승하려 해도 평탄부(31)로 열이 전도되어 센서접촉부(21)의 온도역시 100℃이상이 되지 않으므로, 온도센서(15)의 검지온도는 100℃로 일정한 상태가 된다(도 6b). 다시 시간이 경과하여, 그릴팬(2) 내의 물이 끓어올라 수증기로 되어 상기와 같이 계속하여 외부로 배출되면 수면이 서서히 내려가며, 조리를 시작한 후 t2 시간이 경과했을 때 끓는 물이 더이상 평탄부(31)의 저면에 튀기기 않게 된다. 이때는 그릴팬(2)에 아직 물이 남아 있는 상태이며 중앙부(32)의 하면에 여전히 끓는 물이 튀고 있기 때문에, 중앙부(32)의 온도는 100℃로 유지되므로 상부 트레이(3) 위에 떨어져 내려 중앙부(32)에 모여진 기름에서 연기가 나는 상태는 아니지만, 평탄부(31)는 다시 집열판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어 온도센서(15)의 검지온도가 100℃에서 급속하게 상승한다(도 6의 c).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는 온도센서(15)의 검지신호를 항상 감시하고 있으며, 검지온도가 소정온도(본 실시예에서는 150℃)에 도달한 시점에서 그릴팬(2) 내의 물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하고, 그 신호를 램프 등에 의해 알린다. 더욱이, 램프 등으로 알림과 동시에, 하측 버너(16) 및 상측 버너(17)로의 가스공급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차단하게 하고 있다.
도 7은 상부 트레이(3)를 포개어 얹지 않고 그릴팬(2)만으로 그릴조리를 행했을 경우의 온도센서(15)의 검지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센서접촉부(21)가그릴팬(2)의 저면보다 1단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릴팬(2) 내의 물이 증발하여 감소하면 다른 부분보다 먼저 수면 밖으로 노출되므로 아직 물이 남아있는 상태라 해도 온도가 상승하며, 검지온도가 소정온도(170℃ 정도)가 되면 물이 줄었음을 검지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비교함으로써, 상부 트레이(3)을 채용한 쪽이 보다 확실하게 물의 감소를 검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상부 트레이(3)를 채용함으로써 수증기가 조리물에 접촉하지 못하게 하여 조리물의 맛이 손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이 수증기로 그릴문짝(12)의 글래스판(11)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15)를 그릴실(13)의 저면에 취부하였다. 이 때, 온도센서(15)의 감열부분이 상방을 향하기 때문에, 조리중에 일시적으로 그릴팬(2)을 그릴실(13)에서 인출하면 버너로부터의 복사열이 온도센서(15)의 감열부에 작용하고, 그릴팬(2)을 인출한 상태가 계속되면 검지온도가 상승하여 물이 없는 상태로 오판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릴실(13)의 측면(13a)에 온도센서(15)를 횡방향으로 향하게 설치하고, 그릴팬(2) 측벽(2a)의 일부이며 수면보다 높은 위치를 센서접촉부(21)로 하여, 상부 트레이(3)의 측벽부(3a)를 센서접촉부(12)의 내주면인 그릴팬(2)의 내측벽면에 접촉시켜 구성함으로써, 조리중에 그릴팬(2)을 그릴실(13)에서 일시적으로 인출하더라도 버너(17)로부터의 복사열이 온도센서(15) 선단의 감열부에 직접 작용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측 버너(16)와 상측 버너(17)를 구비한 그릴실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반드시 양 버너를 구비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어느 한 쪽의 버너만을구비한 그릴실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부 트레이(3)의 평탄부(31)와 중앙부(32)에 단차를 주었지만, 반드시 단차를 줄 필요는 없으며, 중앙부(32)를 형성하지 않고 상부 트레이(3) 저면의 전체를 평탄부(31)로 해도 좋다. 또는, 중앙부(32)를 양 측의 평탄부(31)보다 높게 형성하고, 양측의 버너(16)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형성되는 화염의 흐름을 중앙부에서 상향되게 바꾸어, 화염이 중앙부분에서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릴팬 내의 물이 증발하여 발생한 수증기로 그릴문짝의 글래스판을 냉각할 수 있으며, 상부 트레이를 그릴팬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그릴팬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Claims (5)

  1. 그릴실 내에 조리물을 올려 놓는 석쇠의 하방에 설치되며 내부에 물이 주입되는 그릴팬과, 그릴팬 내의 수면을 덮는 상부 트레이를 구비함과 함께, 그릴실 전면의 입구를 개폐하는 그릴문짝에 그릴실 내부를 들여다보기 위한 글래스판을 취부한 그릴장치에 있어서, 그릴팬의 앞측 단부주변에 그릴팬과 상부 트레이로 둘러싸여 물이 주입되는 공간으로 연통되는 개구부을 형성하여, 이 공간 내의 물이 증발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이 개구부를 통하여 글래스판으로 유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수증기가 글래스판으로 향하여 유동하도록 상기 개구부 둘레의 측벽을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을 주입했을 때 상부 트레이와 수면 사이에 간극이 생겨 수증기가 빠져나가도록 상부 트레이 저부의 전후방향 전역에 걸쳐 증기유도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개구부를 그릴팬의 좌우방향 중앙부분에 형성하고, 이 개구부를 증기유도부에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그릴실 내의 저면에 온도센서를 상방을 향하게 설치하고, 그릴팬 저면의 일부를 융기시켜 그릴팬 내의 수면보다 높은 센서접촉부를 형성함과함께, 상기 증기유도부를 수평의 평탄부로 형성하고, 이 평탄부를 센서접촉부의 내주면인 상면에 접촉시켜,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로부터 그릴팬 내의 물이 소정량 이하로 감소한 것을 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그릴실 내의 측면에 온도센서를 내부를 향하게 설치하고, 그릴팬 측벽의 일부로서 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센서접촉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증기유도부를 수평의 평탄부로 형성하고, 이 평탄부의 측면에서 상방으로 올라간 측벽부를 그릴팬 내측벽면의 일부인 센서접촉부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온도센서의 검지온도로부터 그릴팬 내의 물이 소정량 이하로 감소한 것을 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릴장치.
KR1019990014196A 1998-05-08 1999-04-21 그릴장치 KR100295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126390 1998-05-08
JP12639098A JP3450181B2 (ja) 1998-05-08 1998-05-08 グリ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950A KR19990087950A (ko) 1999-12-27
KR100295743B1 true KR100295743B1 (ko) 2001-07-12

Family

ID=1493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196A KR100295743B1 (ko) 1998-05-08 1999-04-21 그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50181B2 (ko)
KR (1) KR1002957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707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증기 가열식 전자 렌지
JP4644030B2 (ja) * 2005-04-28 2011-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081857B2 (ja) * 2009-03-24 2012-11-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950A (ko) 1999-12-27
JP3450181B2 (ja) 2003-09-22
JPH11318719A (ja) 199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9615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US20110146653A1 (en) Cooking device
JP5044339B2 (ja) グリル付き加熱調理器
KR100295743B1 (ko) 그릴장치
KR100411738B1 (ko) 가열조리기
JP2003284648A (ja) 加熱調理器
JP5484257B2 (ja) 加熱調理器
JP3545201B2 (ja) グリル装置
JP3492519B2 (ja) グリル装置
JP3492520B2 (ja) グリル装置
KR100354124B1 (ko) 가스 그릴
JP2001324153A (ja) トッププレート温度上昇防止構造
JP2009180400A (ja) グリル付きガスこんろ
KR200312816Y1 (ko) 가스 오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구조
KR200490536Y1 (ko) 요리용 보조기구 및 보조기구가 활용된 이중냄비
JP2002257348A (ja) 加熱調理機器
JP3615990B2 (ja) グリル
JP2004065392A (ja) グリル
JP7169788B2 (ja) 加熱調理器
JP3492577B2 (ja) グリル
JPH0538695Y2 (ko)
JP3287813B2 (ja) ガスグリル
JP4474659B2 (ja) グリル付きこんろ
JP4030380B2 (ja) グリル
JPH11285446A (ja) グリルの異常温度上昇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