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4124B1 - 가스 그릴 - Google Patents

가스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4124B1
KR100354124B1 KR1020000051013A KR20000051013A KR100354124B1 KR 100354124 B1 KR100354124 B1 KR 100354124B1 KR 1020000051013 A KR1020000051013 A KR 1020000051013A KR 20000051013 A KR20000051013 A KR 20000051013A KR 100354124 B1 KR100354124 B1 KR 100354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flame
heat
opening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136A (ko
Inventor
네자사노리마사
하나부사아키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1006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4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4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가스그릴내의 하측(下火)버너(12)에서 화염의 열기(F)를 멀리 전달하기 위해서는 화염의 열기(F)를 일단 하방으로 눌러내리지 않으면 않되나, 국물받이 접시(42)가 과열된다.
화염의 열기(F)와 국물받이 접시(42)와의 사이에 외기를 유도하는 단열층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기류(LA)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가스 그릴{A gas grill}
본 발명은, 그릴실의 좌우에 하측버너를 구비한 가스그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가스그릴로서, 예를 들어 그릴실의 좌우양측벽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긴 한쌍의 파이프형의 하측버너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릴실의 좌우외벽판에 하측버너의 상방에서 그릴실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상부개구를 구비하고, 조리물에서 떨어지는 국물등을 받는 국물받이 접시위에 입설된 석쇠가 국물받이 접시와 함께 그릴실의 전방에서 출입이 자유자재한 가스그릴에 있어서, 상기 하측버너의 불꽃구멍의 상방으로 상부개구를 통해 그릴실내로 흡인된 외기를 불꽃구멍의 불꽃열기에 대해 상방에서 작용시켜 해당 화염의 열기를 그릴실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로 유도하는 가이드판을 설치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일본 특허 제10-169988호 공보참조). 화염의 열기는 고온이기 때문에 불꽃구멍에서 멀어짐에 따라 상승하게 한다. 그러므로 하측버너에 가까운 좌우양측에 놓여진 조리물에는 하측버너의 불꽃열기가 작용하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놓여진 조리물에는 화염의 열기가 전달되지 않아 구워지지 않은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릴실내로 흡인된 외기를 화염의 열기에 대해 상방에서 작용시키고, 볼꽃의열기가 일어나는것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화염의 열기를 그릴실내의 좌우방향의 중앙부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화염열기의 도달위치를 적어도 좌우위치와 중앙부위치로 분산시켜, 화염열기의 도달위치가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일본 특허 제10-38228호 공보참조).
상기 종래의 가스곤로에서는 화염의 열기를 중앙부까지 도달시킬 경우에 화염구멍을 경사지게 하방으로 향하게 형성하고, 해당 화염구멍에서 분산된 화염의 열기는 일단 하방으로 내려간 후 중앙부를 향해 상승한다. 그러나, 화염의 열기가 내려가면 화염의 열기와 국물받이 접시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해당 화염의 열기에 의해 국물받이 접시가 과열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국물받이 접시가 과열되면 국물받이 접시내의 물이 증발하기 쉽게 되고, 국물받이 접시내에 물이 없는 상태로 사용하면 국물받이 접시가 과열될 위험이 생긴다.
여기서 본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측버너의 화염의 열기를 좌우방향의 중앙부까지 도달시켜도 국물받이 접시가 과열되지 않는 가스그릴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그릴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가이드판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상부 대개구근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상부 소개구근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석쇠에 대한 불꽃열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상부 대개구근방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 가스그릴
2 외통
3 내통
5 상부 가이드판
6 하부 가이드판
12 하측버너
22 하부개구
23 상부 대개구
24 상부 소개구
42 국물받이 접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그릴실의 좌우 양측벽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긴 한쌍의 파이프형의 하측버너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릴실의 좌우 외벽판에 하측버너의 하방에서 그릴실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하부개구를 구비하고, 국물받이 접시 위에 입설된 석쇠가 국물받이 접시와 동시에 그릴실의 전방으로 출입이 자유자재한 가스그릴에 있어서, 상기 하부개구에서 흡인된 외기를 국물받이 접시의 상면으로 유도하여, 하측버너 화염의 열기에 대한 단열층을 형성하고, 해당 화염의 열기에 의한 국물받이 접시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측버너의 화염의 열기는 국물받이 접시의 근처에 전달되기 때문에 국물받이 접시는 해당 화염열기에 의해 과열되기 쉽다. 상기 냉각수단에 의해 외기를 국물받이 접시의 상면으로 유도하면, 국물받이 접시의 상면은 찬 외기로 덥힌다. 이 때문에 외기에 의해 상기 단열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국물받이 접시의 과열이 방지되고, 더욱이 외기의 흐름에 의해 국물받이 접시를 냉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그릴실의 좌우 외벽판에 하측버너의 상방에서 그릴실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상부개구와, 해당 상부개구를 통해 그릴실내로 흡인된 외기를 화염구멍의 화염의 열기에 대해 상방에서 작용시키는 상부가이드판을 형성하고, 상부개구를 개구면적이 다른 대·소개구를 교대로 병설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개구면적이 큰 개구를 형성한 위치에 상기 냉각수단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개구면적이 큰 상부개구를 형성한 부분의 화염의 열기가 하측버너에서 멀리까지 전달되고, 개구면적이 적은 부분에서는 화염의 열기가 멀리까지 전달되지 않으므로 석쇠위의 조리물을 얼룩없이 가열할 수 있다. 즉, 화염의 열기를 멀리까지 전달되게 하기 위해서는 화염의 열기를 일단 국물받이 접시에 가깝게해야 하므로, 개구면적이 큰개구를 형성한 위치에 상기 냉각수단을 형성하는것에 의해 국물받이 접시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 석쇠 위의 조리물을 더욱 균일하게 과열하기 위해서는 좌우에서의 화염열기의 분포가 서로 반대로 되도록 하면 좋고, 이 경우에는 좌우에 설치된 냉각수단의 배열이 서로 반대로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을 참조하면, (1)은 가스테이블 곤로(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가스그릴이고, 전방으로 개구하고, 가스테이블 곤로의 본체에 고정된 외통(2)과, 외통(2)의 전방에 삽입된 내통(3)으로 그릴실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릴실의 전면개구는 전후로 이동이 자유자재한 문(4)에 의해 개폐된다. 해당 문(4)에는 석쇠(41)를 탑재하고, 해당 석쇠(41)위의 조리물에서 떨어지는 국물등을 받는 국물받이 접시(42)가 연결되어 있고, 문(4)을 앞으로 당겨 그릴실을 개구하면 석쇠(42)와 동시에 국물받이 접시(42)가 그릴실내에서 인출된다.
도 2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외통(2)은 본체(2A)에 간막이판(2B)을 끼워 상판(天板 : 2C)을 일체로 용접하고 있다. 본체(2A)의 양측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하측 개구(22)가 개설되어 있다. 해당 하측 개구(22)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상부 대개구(23)과 상부 소개구(24)가 교대로 병설되어 있다. 단, 좌측 측벽에는 앞쪽에서부터 상부 소개구(24)와 상부 대개구(23)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개설되어 있는 것에 반해, 우측 측벽에는 앞쪽에서부터 상부 대개구(23)와 상부 소개구가 가 개설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 측벽을 비교하면 한쪽의 상부 대개구(23)와 다른쪽 상부 소개구(24)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측버너(12)가 상부 대개구(23) 혹은 상부 소개구(24)와 하부개구(22)와의 사이에취부되어 있다. 또, 상부 대개구(23) 및 상부 소개구(24)의 상부에는 커버형(庇狀)의 상부 가이드판(5)이 용접되어 있고, 하부개구(22)의 하방에는 하부 가이드판(6)이 용접되어 있다. 또, 하부 가이드판(6)은 상부 대개구(23)에 대응하는 부분에 입벽부(61a)에 이어 도풍판(61)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벽부(61a)에는 입벽부(61a)의 대략 폭전체에 달하는 슬릿형(slit)의 도풍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도풍판(61)과 도풍구멍(62)에 냉각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부개구(22)로 흡입된 대부분의 외기는 도풍구멍(62)을 통해 도풍판(61)의 하방으로 순회하여 그대로 국물받이 접시(42)로 전달되는 기류(LA)가 된다. 한편 상부 대개구(23)로 흡입된 다량의 외기는 가이드부(51)에 의해 경사지게 하방으로 가이드되고, 하측 버너(12)의 화염열기(F)를 상방에서 눌러내려, 화염구멍에서 먼 쪽에 위치하는 석쇠(41)의 좌우방향의 중앙부를 가열하는 기류(UA)가 된다. 기류(LA)는 화염의 열기(F)를 하방으로 끌어당김과 동시에 국물받이 접시(42)에 대해 단열층의 역할을 하고, 화염의 열기(F)에 의해 국물받이 접시(42)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욱이 국물받이 접시(42)를 적극적으로 냉각하는 기능들 갖는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소개구(24)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입벽부(61a)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하부개구(22)로 흡입된 외기는 하부 가이드판(6)에 의해 경사지게 상방으로 가이드된 화염의 열기(F)를 하방으로부터 유도하는 기류(LA')가 된다. 또, 상부소개구(24)로 흡입된 소량의 외기는 화염의 열기(F)의 상부를 따라 전달되어 화염의 열기(F)가 화염구멍의 근방에 위치하는 석쇠(41)의 좌우의 가장자리부를 가열하는 기류(UA')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대개구(23)와 상부소개구(24)의 개설위치는 좌우에서 반대로 되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염의 열기(F)는 석쇠(41) 전면에 균일하게 분포하게 되어, 석쇠(41)위의 생선이 고르지 않게 구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부개구(22)로 흡입된 외기를 입벽부(61a)로 막아 도풍구멍(62)으로 유도하고, 더욱이 도풍판(61)으로 외기를 기울여 하방으로 유도하나,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 정류판(6)의 선단 중에 상부 대개구(23)의 폭에 대응되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堰部)(6a)를 형성함과 동시에 도풍구멍(62)의 내측에 도풍판(63)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외기를 도풍구멍(62)에서 하부 가이드판(6)의 하방으로 순회하고, 더욱이 도풍판(63)에서 국물받이 접시(42)로 상방에서 불어오는 기류(LA)를 발생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부 가이드판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석쇠에서 국물받이 접시에 떨어진 국물등에 의해 국물받이 접시내의 물이나 기름이 튀어도 하측버너에 튀는물이나 기름이 닿지 않아, 하측버너의 화염구멍이 막히는 일이 없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릴의 하측버너에서의 화염의 열기를 멀리까지 보낼 때 화염의 열기와 국물받이 접시사이에 외기를 도입하므로 국물받이 접시가 화염의 열기에 의해 과열되지 않으며, 또, 그 외기로 국물받이 접시를 냉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그릴실의 좌우 양측벽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긴 한쌍의 파이프형의 하측버너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릴실의 좌우 외벽판에 하측버너의 하방에서 그릴실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하부개구를 구비하고, 국물받이 접시위에 입설된 석쇠가 국물받이 접시와 동시에 그릴실의 전방에서 출입이 자유자재한 가스그릴에 있어서, 상기 하부개구에서 흡인된 외기를 국물받이 접시의 상면으로 유도하여, 하측버너 화염의 열기에 대한 단열층을 형성하고, 해당 화염의 열기에 의한 국물받이 접시의 과열을 방지하는 냉각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그릴.
  2. 제1항에 있어서, 그릴실의 좌우 외벽판에 하측버너의 상방에서 그릴실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상부개구와 해당 상부개구를 통해 그릴실내로 흡인된 외기를 화염구멍으로부터의 화염의 열기에 대해 상방에서 작용시키는 상부 가이드판을 형성하고, 상부개구를 개구면적이 서로 다른 대·소개구를 교대로 병설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개구면적이 큰 개구를 형성한 위치에서 상기 냉각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그릴
  3. 제2항에 있어서, 좌우에 설치된 냉각수단의 배열이 서로 반대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그릴
KR1020000051013A 1999-09-20 2000-08-31 가스 그릴 KR100354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549499A JP3545272B2 (ja) 1999-09-20 1999-09-20 ガスグリル
JP1999-265494 1999-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136A KR20010067136A (ko) 2001-07-12
KR100354124B1 true KR100354124B1 (ko) 2002-09-28

Family

ID=17417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013A KR100354124B1 (ko) 1999-09-20 2000-08-31 가스 그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45272B2 (ko)
KR (1) KR100354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7385B2 (ja) * 2006-08-30 2011-04-27 リンナイ株式会社 グリル
JP4929258B2 (ja) * 2008-09-12 2012-05-09 リンナイ株式会社 グリル
JP5312115B2 (ja) * 2009-03-16 2013-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EP4017030A1 (en) 2020-12-18 2022-06-22 CADskills Device for coupling a bone conduction vib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45272B2 (ja) 2004-07-21
KR20010067136A (ko) 2001-07-12
JP2001087142A (ja) 2001-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7980A (en) Gas cooking appliance
US8813739B2 (en) Burner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CA2628165C (en) Cooling and combustion airflow supply system for a gas range
US20080149092A1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KR100354124B1 (ko) 가스 그릴
EP1680995A1 (en) Cooking apparatus
KR101878048B1 (ko) 쿡탑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00217707A5 (ko)
KR100323465B1 (ko) 그릴장치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100378394B1 (ko) 그릴
KR200422400Y1 (ko) 전기 오븐의 냉각 구조
JP2001324153A (ja) トッププレート温度上昇防止構造
KR20050100243A (ko) 전자레인지용 히터커버
JP2020094736A (ja) 加熱調理器
KR100565246B1 (ko) 가정용 전기 쿡탑
CN217013641U (zh) 烹饪隔热结构及烹饪装置
JP3545310B2 (ja) グリル
CN212089292U (zh) 烹饪器具
KR100267947B1 (ko) 가스곤로
JP4030380B2 (ja) グリル
JP2004065392A (ja) グリル
KR101847645B1 (ko) 튀김기 유닛 및 공기 유동 시스템
KR100368464B1 (ko) 오븐 기능을 갖는 가스조리기의 백가드
KR950002592Y1 (ko) 구이기의 열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