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8544B1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8544B1
KR100288544B1 KR1019990009369A KR19990009369A KR100288544B1 KR 100288544 B1 KR100288544 B1 KR 100288544B1 KR 1019990009369 A KR1019990009369 A KR 1019990009369A KR 19990009369 A KR19990009369 A KR 19990009369A KR 100288544 B1 KR100288544 B1 KR 10028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frame
seat
vehicle seat
mov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767A (ko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0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544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8Transversally moving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시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시트의 위치 변경에 관계없이 등받이 쿠션의 한 쪽 면을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시트(2)는 상기 바닥 패널에 고정되며 이분할되어진 바닥 쿠션(4)과, 이 바닥 쿠션(4)의 하부에 샤프트 프레임(10)을 설치하고 바닥 쿠션(4)의 가운데를 가로질러 각도 조절 가능한 이동 프레임(12)의 일단을 샤프트 프레임(10)에 힌지 고정시키며 이동 프레임(12)의 타단에는 이동 프레임(12)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헤더(1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구성된 연결수단(8)과, 헤더(16)에 고정되어지는 등받이 쿠션(6)이 구비되며, 특히 등받이 쿠션의 회전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등받이 쿠션의 180도 자세 변경이 좁은 공간에서도 조정이 용이한 특징 및 적은 부품으로도 종래와 동일한 시트의 조정이 가능하여 고장의 발생원인을 저감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도 위치 이동이 자유롭고 승객의 차석시 요추 및 등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에서 폭발성이 있는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동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켜서 휠(wheel)로 전달하여 지상에서 거리 변환을 추구하는 이동장치로써, 이동시에는 조향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은 그 쓰임새에 따라 승용차, 화물차, 그리고 승합차 등이 있다.
여기서, 승합차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시트 외에 다수의 시트가 배열되어 7~12정도의 인원을 탑승시킬 수 있으며, 승객의 탑승 편의를 위해 시트의 배열이 변경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특히, 레져용으로 개발되고 있는 최근 승합차의 추세에 맞게 장시간 여행에서 오는 피로를 절감시키기 위해 안락하면서도 조작이 용이한 시트들이 제공되고 있다.
일례로 당업계에서 채용되고 있는 회전시트는 바닥 쿠션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프레임 위에서 회전되어 시트의 방향을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반면에, 바닥 쿠션의 하부에 다량의 부품들이 배치됨으로써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고, 나아가 부품이 많음으로 인해 잦은 고장과 정비에 불편함을 가져오며, 또 원가상승과 무게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아울러, 시트의 회전시 주변부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넓은 설치공간을 고려하여 차량의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한정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시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시트의 위치 변경에 관계없이 등받이 쿠션의 한 쪽 면을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는 상기 바닥 패널에 고정되며 이분할되어진 바닥 쿠션과, 이 바닥 쿠션의 하부에 샤프트 프레임을 설치하고 바닥 쿠션의 가운데를 가로질러 각도 조절 가능한 이동 프레임의 일단을 샤프트 프레임에 힌지 고정시키며 이동 프레임의 타단에는 이동 프레임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헤더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구성된 연결수단과, 헤더에 고정되어지는 등받이 쿠션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샤프트 프레임에 스톱퍼를 설치하여 이동 프레임이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 쿠션은 이동 프레임을 중심으로 180도 정도 회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시트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이동 프레임이 바닥 쿠션을 가로지르게 하고 등받이 쿠션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시트 자세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이동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바닥 쿠션6 : 등받이 쿠션
8 : 연결수단10 : 샤프트 프레임
12 : 이동 프레임14 : 스톱퍼
16 : 헤더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시트의 이동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차량용 시트의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시트(2)는 차량 내부의 바닥 패널에 설치되는 바닥 쿠션(4)과, 이 바닥 쿠션(4)에 세워지는 등받이 쿠션(6)과, 바닥 쿠션(4)과 등받이 쿠션(6)을 연결시켜주는 연결수단(8)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닥 쿠션(4)은 2개의 몸체로 이분할되어서 승객의 착좌시 양쪽 다리에 독립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바닥 쿠션(4)의 하부에는 샤프트 프레임(10)이 고정 설치되고, 이 샤프트 프레임(10)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이동 프레임(12)이 설치되어 이분할된 바닥 쿠션(4)의 사이로 배치되어진다.
상기 이동 프레임(12)의 일단은 샤프트 프레임(10)에 힌지 고정되어져서 회전될 수 있으며 샤프트 프레임(10)에 스톱퍼(14)를 설치하여 이동 프레임(12)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 프레임(12)의 타단에는 이동 프레임(12)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헤더(16)가 설치되는데, 이 헤더(16)는 이동 프레임(12)을 중심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헤더(16)에는 등받이 쿠션(6)의 하부가 고정되어짐으로써 헤더(16)의 회전에 따라 등받이 쿠션(6)이 이동 프레임(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도 있고, 헤더(16)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등받이 쿠션(6)이 접혀져 바닥 쿠션(4)에 밀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차량용 시트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되어진다.
바닥 쿠션(4)에 등받이 쿠션(6)이 밀착된 상태에서, 우선 등받이 쿠션(6)을 젖혀서 바닥 쿠션(4)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세우고, 등받이 쿠션(6)이 이동 프레임(12)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되도록 하면서 이동 프레임(12)을 최초 위치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시킨다.
이어서, 이동 프레임(12)이 스톱퍼(14)에 의해 정지되면 등받이 쿠션(6)은 최초의 위치에서 반대되는 자세로 위치한다.
이렇게 작동되는 차량용 시트는 자세가 180도로 변경되더라도 승객은 항상 동일한 한 쪽의 등받이 쿠션에 기댈 수 있고, 승객의 다리를 받혀주는 바닥 쿠션도 이분할되어 양쪽 다리에 독립감을 부여함으로써 쾌적한 착좌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이분할된 바닥 쿠션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며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이동 프레임의 끝단에 등받이 쿠션이 회전과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등받이 쿠션의 180도 자세 변경시에도 좁은 공간에서 조정이 가능하였다.
또한, 적은 부품으로 종래와 동일한 시트의 조정이 가능하여 고장이 적게 발생하였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Claims (3)

  1. 차량의 내부 바닥 패널에 고정되어지는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패널에 고정되며 이분할되어진 바닥 쿠션(4)과, 이 바닥 쿠션(4)의 하부에 샤프트 프레임(10)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 쿠션(4)의 가운데를 가로질러 각도 조절 가능한 이동 프레임(12)의 일단을 샤프트 프레임(10)에 힌지 고정시키며 이동 프레임(12)의 타단에는 이동 프레임(12)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헤더(1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구성된 연결수단(8)과, 상기 헤더(16)에 고정되어지는 등받이 쿠션(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프레임(10)에 스톱퍼(14)를 설치하여 이동 프레임(12)이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쿠션(6)은 이동 프레임(12)을 중심으로 180도 정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KR1019990009369A 1999-03-19 1999-03-19 차량용 시트 KR10028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369A KR100288544B1 (ko) 1999-03-19 1999-03-19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369A KR100288544B1 (ko) 1999-03-19 1999-03-19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767A KR20000060767A (ko) 2000-10-16
KR100288544B1 true KR100288544B1 (ko) 2001-04-16

Family

ID=1957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369A KR100288544B1 (ko) 1999-03-19 1999-03-19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5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767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8460B1 (en) Seat cushion presenter device for folding seat
KR100288544B1 (ko) 차량용 시트
JP2965875B2 (ja) 車両用シート
JP2862853B2 (ja) 自動車用シート
JP3738102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
KR19980015113U (ko) 승합차용 접철시트
JP2624096B2 (ja) シート装置
JP6808861B1 (ja) 車両用シート
JP2854253B2 (ja) 車両用多目的シート
JP3268417B2 (ja) 自動車用シート及びこのシートを備えた乗用車
KR20240021384A (ko) 부품의 간소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킨 수평 유지형 암레스트 장치
KR0162554B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100472241B1 (ko) 자동차 뒷좌석의 기울기 조절 장치
JPH0729872Y2 (ja) シート装置
KR200196785Y1 (ko) 차량의 시트설치구조
KR0128698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KR20050034042A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의 시트백 각도조절 구조
KR0135112Y1 (ko) 시트후방으로 접혀지는 헤드레스트의 구조
KR0139558Y1 (ko)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KR19980039859A (ko) 화물칸 공간 확보용 리어 시트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JPH08132942A (ja) 車両用多目的シート
KR19990005107A (ko) 자동차의 시트
KR20030006358A (ko)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KR20040088231A (ko)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