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358A -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358A
KR20030006358A KR1020010042071A KR20010042071A KR20030006358A KR 20030006358 A KR20030006358 A KR 20030006358A KR 1020010042071 A KR1020010042071 A KR 1020010042071A KR 20010042071 A KR20010042071 A KR 20010042071A KR 20030006358 A KR20030006358 A KR 20030006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seatback
seat
panel
back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6358A/ko
Publication of KR2003000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3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3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60N2/83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rear seat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시트(10)의 시트백(11) 내부 외측으로 설치되어, 시트백(11)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시트백 프레임(20)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의 전면부로 형성되며, 몸체 하측부로는 요추지지부(31)가 구비되며, 몸체 상부로는 설치홀(32)이 형성되는 시트백 판넬(30)과;
상기 시트백 판넬(30)의 양측 및 저면부에서 시트백 프레임(20)과 연계시켜 시트백 판넬(30)을 고정시키며, 탑승자의 착좌시 하중에 대하여 요추부를 완충 및 지지하는 고정스프링(40)과;
상기 시트백(11)의 상부에 형성되며, 몸체 내측에서 하부로는 연장되게 구비되는 폴부재(51)가 시트백 판넬(30)의 설치홀(32)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50)와;
상기 헤드레스트(50)가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상부로 이동되어 탑습객의 두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시트백 판넬(30)과 시트백 프레임(20)의 상부 대응되는 위치에는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이 형성되므로, 본 발명인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는 시트백(11)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시트백 판넬(30) 측면부로는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이 형성되므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탑승객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면서 요추부가 일차적으로 시트백 판넬(30)을 가압하고, 이때,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이 가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시트백 판넬(30)과 연계 설치된 헤드레스트(50)가 상단부로 위치이동 되면서, 뒤로 젖혀지는 탑승객의 두부를 지지하게 되어 목부분의 상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Vehicle safety seat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시트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백판넬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측면부에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백판넬의 상부로 헤드레스트를 연계장착하여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헤드레스트가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객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 및 그 일측의 보조석은 콘솔박스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된 시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시트는 탑승자의 지지가 적절하여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흡수하고 피로를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안락함을 감안하여 설계된다.
그리고 차량 전체에 대하여 중량 및 원가가 비교적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경량화 및 경제적인 구조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시트에 좌착했을 때 최종적으로 안정된 자세를 갖도록 하는 정적착좌감과, 시트의 진동특성에 따른 승차원의 감각 즉, 동적착좌감 및 차량의 선회시나 와인딩로드를 주행할 때 시트가 승차원을 확실하게 보존하는 성능인 홀드성등이 시트의 설계 요건으로써 필요하게 된다.
운전석과 보조석에 위치되는 시트의 구조는 크게 시트쿠숀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로 구분된다.
그리고, 시트쿠숀과 시트백의 내부는 시트후레임에 시트스프링을 설치하고 그 위에 다시 트림커버어셈블리를 걸어 붙인구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한편, 시트의 내부에는 시트프레임에 고정된 람버서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람버서포트는 장시간 주행시의 피로경감을 목적으로 하여 승차원의 요추지지력을 가변으로 하는 기구이다.
종래, 람버서포트는 탄력이 없는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대략 호형상으로 탑승자의 대략 요추를 받쳐지게 하는 위치에 시트프레임에 고정되고, 시트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조절레버의 위치 선택에 따라 그 위치가 정상 상태로부터 일정 높이로 요추를 향해 돌출되는 것이 가능한 2단 가변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람버서포트를 자동차시트에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스트 프레임상에 별도의 브라켓트를 구비한 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과 클립부재를 형성한 후 끼워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또한, 자동차 시트중 시트백 상부에는 탑승객의 두부를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크게 록킹장치가 있는 구조와 없는 구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헤드레스트에 록킹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방식은 헤드레스트를 상부 방향으로 조절시에는 록킹의 해제없이도 가능하도록 노치가 아래 방향으로 향해 있고, 하부방향으로 조절시에는 록 해제 노브를 눌러야만 하강될 수 있도록 노추기 일직선으로 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 헤드레스트의 락킹구조가 없는 타입은 헤드레스트를 상부, 하부 방향으로 조절시에는 록해제 없이도 가능하도록 노치가 상부,하부 방향으로 향해 있어 조절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자동차의 시트중 람버서포트의 구성을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요추부 지지를 위하여 시트 측면에 위치한 람버서포트 레버 또는 다이얼을 이용하여 람버서포트 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지지하는 구조는 그 구성이 비교적 복잡하여, 작업성이 저하되고, 고가의 구성품들로 이루어져 있어 시트의 전체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차량의 종류 및 차량 등급에 따라서는 시트에 람버서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사양과 없는 사양으로 구분되고 있어, 람버서포트가 없는 구성의 차량에서는 탑승객의 요추부를 적절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람버서포트가 있는 차량의 경우에도 탑승자가 레버 또는 다이얼을 조절하여 람버서포트 플레이트 간격을 조절해야 하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자동차 시트의 경우 차량의 후방에서 충돌이 발생될 경우에는 두부가 헤드레스트에 지지되어 있으나, 헤드레스트 높이가 낮아 목이 뒤로 젖혀지면서척추관련의 커다란 상해를 입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 헤드레스트 조절장치가 구비된 차량에 있어서도 승객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에도 후방충돌시 커다란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시트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백판넬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측면부에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백판넬의 상부로 헤드레스트를 연계장착하여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헤드레스트가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객의 목부분 상해치를 감소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람버서포트 기능이 없어도 요추부 지지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 시트의 람버서포트 기능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시트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 시트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 시트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시트11 - 시트백
20 - 시트백 프레임30 - 시트백 판넬
31 - 요추지지부32 - 설치홀
33 - 중공부40 - 고정스프링
50 - 헤드레스트51 - 폴부재
60 -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1 - 고정브라켓트
62 - 회동홀63 - 연동브라켓트
64 - 끼움홀65 - 힌지축
70 - 리턴스프링80 - 부쉬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시트(10)의 시트백(11) 내부 외측으로 설치되어, 시트백(11)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시트백 프레임(20)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의 전면부로 형성되며, 몸체 하측부로는요추지지부(31)가 구비되며, 몸체 상부로는 설치홀(32)이 형성되는 시트백 판넬(30)과;
상기 시트백 판넬(30)의 양측 및 저면부에서 시트백 프레임(20)과 연계시켜 시트백 판넬(30)을 고정시키며, 탑승자의 착좌시 하중에 대하여 요추부를 완충 및 지지하는 고정스프링(40)과;
상기 시트백(11)의 상부에 형성되며, 몸체 내측에서 하부로는 연장되게 구비되는 폴부재(51)가 시트백 판넬(30)의 설치홀(32)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50)와;
상기 헤드레스트(50)가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상부로 이동되어 탑습객의 두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시트백 판넬(30)과 시트백 프레임(20)의 상부 대응되는 위치에는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는 시트백(11)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시트백 판넬(30) 측면부로는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이 형성되므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탑승객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면서 요추부가 일차적으로 시트백 판넬(30)을 가압하고, 이때,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이 가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시트백 판넬(30)과 연계 설치된 헤드레스트(50)가 상단부로 위치이동 되면서, 뒤로 젖혀지는 탑승객의 두부를 지지하게 되어 목부분의 상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시트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 시트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7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 시트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의 구성을 요부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백(11)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시트백 판넬(30)의 측면부에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을 형성하여,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시트백 판넬(30)의 회전과 동시에 헤드레스트(50)가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객의 두부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시트백 판넬(30)은 자동차시트(10)의 시트백(11) 내부 외측으로 설치되어, 시트백(11)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시트백 프레임(20) 전면부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 판넬(30)은 몸체 하측부로 요추지지부(31)가 구비되며, 몸체 상부로는 설치홀(3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시트백 판넬(30)의 몸체 하측부로 형성되는 요추지지부(31)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중 사출로 제작되어, 앞부분은 연질부로 형성하고, 뒷부분은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요추지지부(31)에는 필수적으로 중공부(33)를 형성하여 요추부의 하중이 가해질때 변형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탑승자의 착좌 후 후방충돌시, 상기 시트백 판넬(30)의 요추부로 충격이 1차적으로 집중되는 관계로, 중공부(33)에서 상기 충격을 완화시켜 탑승객의 요추부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백 판넬은 시트백 프레임(20)에 고정스프링(40)에 의해 장착되어 탑승자의 착좌시 하중에 대하여 요추부를 완충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는 즉, 탑승객이 시트에 착좌했을 때, 시트백(11)의 하단부에 요추부가 자리하게 되고, 이때, 승객의 체형에 따라 하중 분포가 상이하게 되므로, 체형이 큰사람은 많은 면적에 큰하중분포가 형성되고, 체형이 적은 사람은 그와 반대되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상기 시트백 판넬(30)과 고정스프링(40)은 종래 자동차 시트의 람버서포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트백 판넬(30)의 상부에는 몸체 내측에서 하부로는 연장되게 구비되는 폴부재(51)가 시트백 판넬(30)의 설치홀(32)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50)는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에 의해 시트백 판넬(30)과 연계 작동되면서, 탑승객의 두부가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발생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50)를 연계작동시키는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은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20)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되며, 몸체에는 회동홀(62)이 구비는 고정브라켓트(61)와, 상기 고정브라켓트(61)의 전면으로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시트백 판넬(30)의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고, 몸체에는 끼움홀(64)이 형성되는 연동브라켓트(63)와, 상기 연동브라켓트(63)의 끼움홀(64)과 고정브라켓트(61)의 회동홀(62)에 설치되어, 시트백 판넬(3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힌지축(6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후방충돌시 승객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면서 시트백 판넬(30)에 하중이 가하게 된다.
이때, 가장먼저 하중이 부하되는 부위가 요추부이고, 이 하중은 시트백(11) 상단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힌지축(65)을 중심으로 시트백 판넬(30)이 지점회동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때, 시트백 판넬(30) 상단부에 설정되어 있는 끼움홀(64)설치되어 있던 헤드레스트(50)의 폴부재(51)가 시트백 판넬(30)과 연계 작동되면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뒤로 젖혀지는 승객의 두부를 지지하게 되어 목부분 상해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때, 헤드레스트(50)의 폴 노치는 록킹장치가 없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중요하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트(61)의 설치홀(32)과 연동브라켓트(63)의 끼움홀(64)에는 시트백 판넬(30)의 원할한 회전을 위하여 부쉬(80)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동브라켓트(63)의 일측부에는 탑승객의 하중 가압에 의해 후측으로 회전되었던 시트백 판넬(30)의 원할한 복귀를 위하여 리턴스프링(70)을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는 차량의 후방충돌시 탑승객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두부의 손상을 충돌발생과 함께 시트백 판넬(30)이 회전하면서 헤드레스트(50)를 상단부로 이동시켜 탑승객의 두부손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며, 첫째, 차량의 후방충돌시 탑승객의 하중부하에 의해 시트백 판넬이 회전되면서, 헤드레스트를 상단부로 이동시켜 탑승객의 두부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 자동차 시트에 적용되는 람버서포트 기능을 시트백 판넬이 대체하여 요추부의 지지가 가능하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종래에 비하여 요추부를 지지하는 구성이 간단하여 부품 및 공정을 축소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시트(10)의 시트백(11) 내부 외측으로 설치되어, 시트백(11)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시트백 프레임(20)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20)의 전면부로 형성되며, 몸체 하측부로는 요추지지부(31)가 구비되며, 몸체 상부로는 설치홀(32)이 형성되는 시트백 판넬(30)과;
    상기 시트백 판넬(30)의 양측 및 저면부에서 시트백 프레임(20)과 연계시켜 시트백 판넬(30)을 고정시키며, 탑승자의 착좌시 하중에 대하여 요추부를 완충 및 지지하는 고정스프링(40)과;
    상기 시트백(11)의 상부에 형성되며, 몸체 내측에서 하부로는 연장되게 구비되는 폴부재(51)가 시트백 판넬(30)의 설치홀(32)에 장착되는 헤드레스트(50)와;
    상기 헤드레스트(50)가 자동차의 후방충돌시 상부로 이동되어 탑습객의 두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시트백 판넬(30)과 시트백 프레임(20)의 상부 대응되는 위치에는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판넬 회전수단(60)은 시트백 프레임(20)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되며, 몸체에는 회동홀(62)이 구비는 고정브라켓트(61)와, 상기 고정브라켓트(61)의 전면으로 근접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시트백 판넬(30)의 상부 양측으로 형성되고, 몸체에는 끼움홀(64)이 형성되는 연동브라켓트(63)와, 상기 연동브라켓트(63)의 끼움홀(64)과 고정브라켓트(61)의 회동홀(62)에 설치되어, 시트백 판넬(30)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힌지축(6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3.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브라켓트(63)의 일측부에는 탑승객의 하중 가압에 의해 후측으로 회전되었던 시트백 판넬(30)의 원할한 복귀를 위하여 리턴스프링(70)을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KR1020010042071A 2001-07-12 2001-07-12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KR20030006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071A KR20030006358A (ko) 2001-07-12 2001-07-12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071A KR20030006358A (ko) 2001-07-12 2001-07-12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358A true KR20030006358A (ko) 2003-01-23

Family

ID=2771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071A KR20030006358A (ko) 2001-07-12 2001-07-12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63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553A (ko) * 2012-05-07 2015-02-23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요추 지지부를 구비한 차량 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768A (ja) * 1999-01-14 2000-07-25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シ―トバック
JP2000236985A (ja) * 1999-02-18 2000-09-05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20010046311A (ko) * 1999-11-11 2001-06-15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KR20020046503A (ko) * 2000-12-14 2002-06-21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768A (ja) * 1999-01-14 2000-07-25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シ―トバック
JP2000236985A (ja) * 1999-02-18 2000-09-05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20010046311A (ko) * 1999-11-11 2001-06-15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KR20020046503A (ko) * 2000-12-14 2002-06-21 이계안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8553A (ko) * 2012-05-07 2015-02-23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요추 지지부를 구비한 차량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75469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7152928B2 (en) Head restrain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assembly
US6769737B2 (en) Apparatus for locking a recliner of a front seat in an automobile
KR20030006358A (ko)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JP2002315648A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20090668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3117121B2 (ja) 車両用シート
JP3522602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2001039194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3569171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0120326Y1 (ko) 차량용 시이트의 머리받침대 구조
KR100334288B1 (ko) 승합차용 시트
KR100506026B1 (ko)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
JPH0236753Y2 (ko)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0139558Y1 (ko)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KR100288300B1 (ko) 자동차용 회전시트의 변형 방지구조
KR200326840Y1 (ko) 자동차 시트용 머리받침대
KR100358946B1 (ko) 자동차의 기능성 시트
KR19980048118U (ko) 자동차용 시트
KR20090114099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9980041785U (ko) 자동차용 시트의 머리 받침대구조
KR20000016967U (ko) 자동차시트의 람버서포트 결착장치
KR19980029191A (ko) 자동차 시트(Seat)의 헤드레스트(Head Rest)구조
KR20060067227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