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558Y1 -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558Y1
KR0139558Y1 KR2019960035260U KR19960035260U KR0139558Y1 KR 0139558 Y1 KR0139558 Y1 KR 0139558Y1 KR 2019960035260 U KR2019960035260 U KR 2019960035260U KR 19960035260 U KR19960035260 U KR 19960035260U KR 0139558 Y1 KR0139558 Y1 KR 0139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resent
compartment
car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2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932U (ko
Inventor
나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52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55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1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에 관한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뒷좌석 승차인에게 승차의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뒷좌석에 승차한 승차인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후방의 콤파트먼트의 하부는 힌지로 축설하고, 상부는 트렁크내부방향으로 링크에 의해 조립되게 하여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한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콤파트먼트의 상부방향으로 위치한 리어판넬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뒤좌석을 뒤로 젖힐 수 있음을 특징으로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어서 승차인에게 편리한 자세로 제공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백(seat back)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에 관한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는 제한된 실내공간을 갖으며, 계절과 기상조건 및 모든 주행조건하에서도 실내는 언제나 승차인에게 쾌적한 상태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동차의 승차인에게 쾌적한 느낌을 주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이 진행되는 추세이다. 또한, 운전자가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이 진행되어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술개발동향에서, 운전자가 보다 편리한 자세로 운전에 임할 수 있도록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백은 어느정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즉, 레버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당기거나 밈으로서 앞으로 젖히거나 뒤로 젖히게 끔 구성되었다. 또한, 시트백의 상부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전자나 운전자 조수석의 시트백은 전후방으로 레버를 당기거나 밈으로서 시트백 전체가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느정도 제한적인 각도 조절이 가능하나, 뒷좌석의 시트백(10)은 앞으로 젖히거나 뒤로 젖히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시트백처럼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도조절이 불가능하며,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자동차 트렁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트렁크와 뒷좌석사이에 마련된 콤파트먼트를 형성하여 차체의 기본골격을 이루고 있고, 상기 콤파트먼트에 의해 충돌 또는 추돌시 뒷좌석에 착석한 승객이 받는 충격을 지지하게 구성되며, 더욱이 상기 콤파트먼트의 상부는 리어 패널(20)이 위치하여 여러 물품을 놓을 수 있게 되어있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장시간동안 승차하면, 뒷좌석의 승차인은 허리나 목부위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며, 이럴 때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뒷좌석 승차인에게 승차의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뒷좌석에 승차한 승차인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후방의 콤파트먼트의 하부는 힌지로 축설하고, 상부는 트렁크내부방향으로 링크에 의해 조립되게 하여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제한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콤파트먼트의 상부방향으로 위치한 리어판넬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뒤좌석을 뒤로 젖힐 수 있음을 특징으로한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뒷좌석의 시트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뒷좌석의 시트백을 정상상태로 젖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리어판넬에 형성된 주름부2:주름부
3:링크4:힌지축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의 구조를 살펴보면, 종래에는 자동차의 트렁크와 시트백사이에 콤파트먼트를 형성하여 기본적인 골격을 이루었으나, 본 고안은 시트백(10)과 트렁크(30)사이를 분리하는 콤파트먼트(2:compartment)에 하부는 힌지(4)를 양측면으로 향하도록 형성하여 축설하고, 상기 콤파트먼트(2)의 상부는 트렁크의 양 프레임에 링크(3)를 핀으로 연결하여 제한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조립한다.
이때, 상기 시트백(10)의 후방위치 즉 상기 콤파트먼트(2)의 상부에 조립되는 리어판넬(20)에는 주름부(1)를 형성하여 시트백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이동시에 리어판넬(20)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따라서, 뒷좌석 승차인이 착석자세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시트백(10)을 뒤로 젖히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상의 시트백에 설치된 레버를 당기거나 밀면, 시트백(10)은 회전죽을 중심으로 뒤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백(10)과 트렁크(30)사이에 위치한 콤파트먼트(2)는 상기 시트백에 의해 힌지축(4)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하고, 또한 링크(3)의 로킹상태는 해제되어 링크에 의해 회전거리가 제한된채로 시트백의 공간이 마련되어 뒤로 젖히게 되는 것이다. 동시적으로, 상기 리어판넬(20)은 주름부(1)가 형성되어져서 주름이 형성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시 상기 시트백(10)을 전방으로 젖히고자 할 경우, 통상의 레버를 당기거나 밀면, 상기 시트백(1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고, 이때, 상기 리어판넬(20)의 주름은 펴지게 된다. 더욱이, 이때, 상기 콤파트먼트(2)는 힌지축(4)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시트백(10)은 제위치로 이동하여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어서 승차인에게 편리한 자세로 제공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시트백에 있어서,
    뒷좌석에 승차한 승차인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후방의 콤파트먼트(2)의 하부는 힌지(4)로 축설하고, 상부는 트렁크(30)내부방향으로 링크(3)에 의해 조립되게 하여 상기 힌지축(4)을 중심으로 제한적인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콤파트먼트(2)의 상부방향으로 위치한 리어판넬(20)에 주름부(1)를 형성하여 뒷좌석의 시트백(10)을 뒤로 젖힐 수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KR2019960035260U 1996-10-24 1996-10-24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KR0139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260U KR0139558Y1 (ko) 1996-10-24 1996-10-24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260U KR0139558Y1 (ko) 1996-10-24 1996-10-24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32U KR19980021932U (ko) 1998-07-15
KR0139558Y1 true KR0139558Y1 (ko) 1999-04-01

Family

ID=1947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260U KR0139558Y1 (ko) 1996-10-24 1996-10-24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5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932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895B2 (en) Seat configuration system for an automotive interior
US5542742A (en) Integrated infant seat for vehicles
KR20050103345A (ko)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KR0139558Y1 (ko)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JP3738102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
KR200171905Y1 (ko) 차량용 모니터 장착 구조물
GB2316607A (en) Folding seats for motor vehicles
KR0134828B1 (ko) 자동차용 시트 헤드 레스트
KR0138202Y1 (ko) 자동차용 시이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0192718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19980015113U (ko) 승합차용 접철시트
JP2532615Y2 (ja) 自動車用シート
JP3638163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
KR200145175Y1 (ko) 회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KR20034688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0162554B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JP3638186B2 (ja) 車両用後部座席
KR0135112Y1 (ko) 시트후방으로 접혀지는 헤드레스트의 구조
KR100793746B1 (ko) 철도차량용 무인 동차 운전 좌석
KR0128138Y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구조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20030004632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KR012436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KR19990041156A (ko)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헤드레스트 수납장치
KR20030006358A (ko) 자동차시트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