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4632A -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4632A
KR20030004632A KR1020010040204A KR20010040204A KR20030004632A KR 20030004632 A KR20030004632 A KR 20030004632A KR 1020010040204 A KR1020010040204 A KR 1020010040204A KR 20010040204 A KR20010040204 A KR 20010040204A KR 20030004632 A KR20030004632 A KR 20030004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gear
locking bar
moving mean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0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04632A/ko
Publication of KR20030004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6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4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지지바에 이동 수단을 장착하여 시트백에 내장하고,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 수단이 이동됨으로써, 그와 연계된 헤드레스트 또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 취향과 신체적인 조건 및 시트자세에 따라 적절한 헤드레스트 상태를 조절 할 수 있고, 더불어 지지바의 끝단에 설치된 기어를 작동시켜 상기 헤드레스트를 폴딩되도록 함으로써, 뒷좌석 승객의 시계 확보에 도움이 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Variable-device of headres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지지바에 이동 수단을 장착하여 시트백에 내장하고,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 수단이 이동됨으로써, 그와 연계된 헤드레스트 또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 취향과 신체적인 조건 및 시트자세에 따라 적절한 헤드레스트 상태를 조절 할 수 있고, 더불어 지지바의 끝단에 설치된 기어를 작동시켜 상기 헤드레스트를 폴딩되도록 함으로써, 뒷좌석 승객의 시계 확보에 도움이 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의 시트백 상단에는 운전자로 하여금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헤드레스트는 주행 중 급발진이나 급가속 또는 급제동이나 차량 충돌 사고시의 반작용에 따라 운전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머리를 편하게 받쳐주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는 시트백상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그 전후 경사각이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정도로 한정되므로 단순히 머리를 받쳐주기 위한 것에 불과하여 자동차의 장시간 주행시 운전자의 목부위 근육의 피로를 해소시켜 목을 보호할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하기엔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뒷좌석의 승객은 상기 헤드레스트에 시야가 가려 시계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종래의 헤드레스트를 탈거하여 따로이 보관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의 지지바에 이동 수단을 장착하여 시트백에 내장하고,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 수단이 이동됨으로써, 그와 연계된 헤드레스트 또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 취향과 신체적인 조건 및 시트자세에 따라 적절한 헤드레스트 상태를 조절 할 수 있고, 더불어 지지바의 끝단에 설치된 기어를 작동시켜 상기 헤드레스트를 폴딩되도록 함으로써, 뒷좌석 승객의 시계 확보에 도움이 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백20 : 이동 장치
21 : 기어축22 : 기어
23 : 록킹바24 : 복원 스프링
25 : 누름부26 : 랙기어
30 : 헤드레스트31 : 지지바
40 : 동력 전달 수단41 : 전원 공급 장치
42 : 스위치43 : 모터
44 : 모터축45 : 피니언 기어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는 시트백(10)의 상측 내부에는 동력 전달 수단(4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 수단(20)이 장착되는바, 상기 이동 수단(20)에는 헤드레스트(30)의 지지바(31)가 기어축(21)에 연결되어 앞뒤로 일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어축(21)에 축고정된 기어(22)에는 록킹바(23)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록킹바(23)의 선부에는 그 록킹바(23)가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에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킹바(23)의 후부에는 그 록킹바(23)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누름부(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수단(40)은 전원 공급 장치(41)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스위치(42)에 의해 모터(43)가 작동되는바, 상기 모터(43)의 모터축(44)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45)는 상기 이동 수단(20)의 하단에 설치된 랙기어(26)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그 이동 수단(20)이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백(10)의 후면은 포밍 처리되어 있어 일정 각도로 회전된 헤드레스트(30)가 잠길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뒷좌석 승객의 시계 확보를 위해 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 부호 10은 시트백을 나타낸다.
상기 시트백(10)의 상측 내부에는 동력 전달 수단(4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 수단(20)이 장착되어 있는바, 상기 이동 수단(20)에는 헤드레스트(30)의 지지바(31)가 기어축(21)에 연결되어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어축(21)에 축고정된 기어(22)에는 록킹바(23)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속하게 된다.
한편,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된 헤드레스트(30)는 포밍 처리된시트백(10) 후면에 잠기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킹바(23)의 선부에는 그 록킹바(23)가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에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록킹바(23)의 후부에는 그 록킹바(23)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누름부(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동력 전달 수단(40)은 전원 공급 장치(41)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스위치(42)에 의해 모터(43)가 작동되는바, 상기 모터(43)의 모터축(44)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45)는 상기 이동 수단(20)의 하단에 설치된 랙기어(26)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그 이동 수단(20)이 작동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헤드레스트(3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위치(42)를 조작하면 전원 공급 장치(41)의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43)가 작동되고, 모터축(44)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45)가 회전하여 그에 치합된 랙기어(26)도 회전하므로 이동 수단(20)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헤드레스트(30)가 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트백(10)의 후부에 설치된 누름부(25)를 눌러 기어(22)를 록킹하고 있는 록킹바(23)를 해제시키면 헤드레스트(30)가 록킹 해제되고, 그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30)를 후방으로 폴딩한 후, 다시 상기 누름부(25)를 놓으면 복원 스프링(24)에 의해 록킹바(23)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기어(22)를 록킹하게 되므로 헤드레스트(30)는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백(10)의 후면이 포밍 처리되어 상기 헤드레스트(30)가 잠기게 되므로 과대한 돌출을 방지하여 뒷좌석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는 먼저 헤드레스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사용자의 취향과 신체적인 조건 및 시트자세에 따라 적절한 헤드레스트 상태를 조절 할 수 있으며, 뒷좌석 승객의 시계 확보를 위해 헤드레스트를 탈거하여 별도 보관할 필요가 없이 폴딩하여 사용하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시트백(10)의 상측 내부에는 동력 전달 수단(4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이동 수단(20)이 장착되는바, 상기 이동 수단(20)에는 헤드레스트(30)의 지지바(31)가 기어축(21)에 연결되어 앞뒤로 일정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어축(21)에 축고정된 기어(22)에는 록킹바(23)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23)의 선부에는 그 록킹바(23)가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에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킹바(23)의 후부에는 그 록킹바(23)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누름부(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수단(40)은 전원 공급 장치(41)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스위치(42)에 의해 모터(43)가 작동되는바, 상기 모터(43)의 모터축(44)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45)는 상기 이동 수단(20)의 하단에 설치된 랙기어(26)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그 이동 수단(20)이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10)의 후면은 포밍 처리되어 있어 일정 각도로 회전된 헤드레스트(30)가 잠길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KR1020010040204A 2001-07-06 2001-07-06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KR20030004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204A KR20030004632A (ko) 2001-07-06 2001-07-06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204A KR20030004632A (ko) 2001-07-06 2001-07-06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632A true KR20030004632A (ko) 2003-01-15

Family

ID=2771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204A KR20030004632A (ko) 2001-07-06 2001-07-06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046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053B1 (ko) * 2005-06-22 2007-03-2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전·후진장치
KR101603446B1 (ko) * 2014-12-29 2016-03-15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컴포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46A (ja) * 1993-03-01 1994-09-13 Daihatsu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JPH06297989A (ja) * 1993-04-14 1994-10-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用椅子
KR970036783A (ko) * 1995-12-14 1997-07-22 김태구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위치조절장치(A device for adjusting a position a head rest of an automobile)
KR19990041156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헤드레스트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46A (ja) * 1993-03-01 1994-09-13 Daihatsu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JPH06297989A (ja) * 1993-04-14 1994-10-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用椅子
KR970036783A (ko) * 1995-12-14 1997-07-22 김태구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전후위치조절장치(A device for adjusting a position a head rest of an automobile)
KR19990041156A (ko) * 1997-11-21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헤드레스트 수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053B1 (ko) * 2005-06-22 2007-03-2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전·후진장치
KR101603446B1 (ko) * 2014-12-29 2016-03-15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컴포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3862A (ko) 자동차용 프론트시트의 리클라이너 잠금장치
KR20030004632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KR0134828B1 (ko) 자동차용 시트 헤드 레스트
KR0138202Y1 (ko) 자동차용 시이트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GB2407030A (en) Child seat located on rear face of passenger seat of vehicle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200143062Y1 (ko) 자동차용 백시트의 머리 받침 가변장치
KR100439910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100341901B1 (ko) 등받이시트의 각도조절용 리클라이닝 레버의 설치구조
KR012436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0139558Y1 (ko)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KR100410928B1 (ko)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헤드 레스트
JP3140263B2 (ja) 格納式ヘッドレスト構造
JP2524255B2 (ja) エアバッグ装着座席のシ―トバック固定装置
JPH11240414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0184141B1 (ko) 시트 안전 시스템
KR20030083147A (ko)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벨트의 버클
KR100325091B1 (ko) 헤드레스트 잠금장치
KR200192718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20040042388A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
KR19990024739U (ko)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KR20020095814A (ko) 자동차용 더블캠을 장착한 요추 지지장치
KR19990049571A (ko) 자동차용 래치식 조수석 백시트 접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