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739U -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 Google Patents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739U
KR19990024739U KR2019970037218U KR19970037218U KR19990024739U KR 19990024739 U KR19990024739 U KR 19990024739U KR 2019970037218 U KR2019970037218 U KR 2019970037218U KR 19970037218 U KR19970037218 U KR 19970037218U KR 19990024739 U KR19990024739 U KR 199900247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pad
child
cushion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739U/ko
Publication of KR19990024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739U/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쿠션패드를 시트 내측에 수납시켜 두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쿠션패드를 전방으로 젖혀서 아동을 시트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차량 추돌 및 충돌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아동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유아 보조시트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인 이점을 도모할 수 있는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의 추돌 및 충돌로부터 승차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그 중간부에 수납 공간부가 형성된 시트백과, 시트백의 수납 공간부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시트백 내측에 힌지 결합되며 전방으로 젖혀서 승차자를 시트에 고정하는 쿠션패드와, 쿠션패드를 시트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쿠션패드를 시트 내측에 수납시켜 두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쿠션패드를 전방으로 젖혀서 아동을 시트에 고정함으로써 차량 추돌 및 충돌로부터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생활에서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승차자의 생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행 안전성과 같은 차량의 기술적인 사항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운전자 및 승객이 앉을 수 있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시트가 설치된다.
통상, 차량의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별개로 구성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시트는 좌, 우측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전술한 자동차 시트는 승차자가 앉게 되는 시트쿠션과, 승차자의 등과 머리를 지지하는 시트백 및 헤드 레스트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추돌 및 충돌사고 발생시 승차자가 전방으로 튕겨나가 전면 윈도우나 대쉬보드에 부딪혀 부상당하거나 목숨을 잃어버리게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 에어백이나 승차자의 신체를 시트에 고정하는 안전밸트등이 설치되어 있다.
특히 승차자중 아동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지지점이 낮은 아동용 밸트 또는 유아용 보조시트를 별도로 장착하는 경우가 있다.
도 1 은 종래 아동용 보조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 아동용 보조시트(10)는 통상 시트쿠션(12)과 시트백(14)이 일체로 되고, 아동을 보조시트(10)에 않혔을 때, 아동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안전밸트(16)가 시트백(14)으로부터 시트쿠션(12)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아동용 보조시트(10)는 자동차의 리어시트(20) 일측에 놓여지고, 시트밸트(22)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된다.
한편 아동용 시트(10)에 앉혀진 아동은 안전밸트(16)와 시트밸트(22)에 의해 충격이나 진동 및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종래 아동용 시트는 구성이 복작할 뿐만 아니라 아동의 활동에 매우 큰 불편함을 주게 되며, 장시간 운행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술한 불편함이 더 커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자동차 시트에는 추돌 및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가 별도로 장착되어 있지 않으며, 아동용 보조시트를 별도로 장착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쿠션패드를 시트 내측에 수납시켜 두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쿠션패드를 전방으로 젖혀서 아동을 시트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차량 추돌 및 충돌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아동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유아 보조시트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인 이점을 도모할 수 있는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차량의 추돌 및 충돌로부터 승차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그 중간부에 수납 공간부가 형성된 시트백과, 시트백의 수납 공간부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시트백 내측에 힌지 결합되며 전방으로 젖혀져서 승차자를 시트에 고정하는 쿠션패드와, 쿠션패드를 시트쿠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고정수단은 쿠션패드의 상측단부 외측에는 록킹고리가 형성되고, 시트쿠션의 하측에는 록킹핀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에 있다.
도 1 은 종래 아동용 보조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시트쿠션 104:시트백
110:시트 112:수납공간부
120:쿠션패드 132:록킹고리
134:록킹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그 중간부에 수납 공간부(112)가 형성된 시트(110)와, 시트(110)의 수납 공간부(112)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시트(110) 내측에 힌지(122) 결합되며 전방으로 젖혀져서 승차자를 시트(110)에 고정하는 쿠션패드(120)와, 쿠션패드(120)를 시트(1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0)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고정수단(130)으로서, 쿠션패드(120)의 상측단부 외측에는 록킹고리(132)가 형성되어 있고, 시트(110)의 하측에는 록킹핀(1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트(110)는 시트쿠션(102)과 시트백(104)으로 이루어지는 바, 시트백(104)의 내측 중간부에는 수납 공간부(112)가 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수납 공간부(112) 내측에는 쿠션패드(120)가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쿠션패드(120)는 수납 공간부(112)에 수납됨과 동시에 시트백(104)의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수납 공간부(112)의 시트백(104) 일측에 힌지(122) 결합되어 있다.
즉, 쿠션패드(120)의 하측 양측이 수납 공간부(112)의 시트백(104)에 힌지(122)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122)를 중심으로 시트백(104) 전방으로 젖혀지면서 아동을 시트(110)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쿠션패드(120)는 대략 역 "U" 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승차자, 즉 아동의 체형에 알맞게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쿠션패드(120)의 외측은 아동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재질로 구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쿠션패드(120)와 시트(110)에는 쿠션패드(12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130)이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고정수단(130)을 설명하면, 쿠션패드(120)의 상단부 중간에 록킹고리(1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쿠션(102)의 중간에는 쿠션패드(120)의 록킹고리(132)가 결합되는 록킹핀(134)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승차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시트쿠션(102) 중간에 설치된 록킹핀(134)은 시트쿠션(104)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트쿠션(102) 내측에 함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록킹핀(134)에 결합되는 록킹고리(132)의 구성을 다시 살펴보면, 록킹고리(132)는 쿠션패드(120)의 상단부 중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쿠션패드(120)가 수납공간부(112)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 록킹고리(132)는 시트(110)에 앉는 승차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시트백(104)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패드(1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전술한 쿠션패드(120)는 시트백(104)의 수납공간부내에 억지끼움된 상태에서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쿠션패드(1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쿠션패드(120)를 전방으로 젖혀서 시트쿠션(102)의 중간에 설치된 록킹핀(134)에 걸림 유지시켜 쿠션패드(120)를 고정함으로써 승차자, 즉 아동을 시트(110)에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트(110)에 아동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운행중 아동을 보호하기 위하여 쿠션패드(12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선 쿠션패드(120)를 소정의 힘으로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당기는 힘에 의해 시트백(104)에 설치된 쿠션패드(120)가 힌지(122)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쿠션패드(120)가 전방으로 회동됨에 따라서 쿠션패드(120)의 하측면이 시트(110)에 앉아 있는 아동의 어깨부분을 하방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쿠션패드(120)의 중간에 설치된 록킹고리(132)를 시트쿠션(102)의 중간에 함몰되어 설치된 록킹핀(134)에 걸림 유지시킴에 따라 쿠션패드(1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트쿠션(102)의 중간에 함몰되어 설치된 록킹핀(134)에 쿠션패드(120)의 록킹고리(132)를 끼워서 록킹고리(132)로부터 록킹핀(134)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쿠션패드(120)를 접어서 시트백(104)의 내측에 형성된 수납공간부(112)내에 수납시켜 둘 경우에는, 우선 시트쿠션(102)에 설치된 록킹핀(134)에 쿠션패드(120)의 록킹고리(132)가 결합되어 있는 바, 록킹고리(132)를 시트(110) 후방측으로 밀은 상태에서 다시 상방으로 살짝 들어 올려서 록킹핀(134)과 록킹고리(132)의 록킹을 해제한다.
록킹핀(134)과 록킹고리(132)의 록킹을 해제한 후에는 쿠션패드(12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쿠션패드(120)를 시트백(104)의 수납공간부(112)내로 수납시켜 보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쿠션패드의 상측 중간부에는 록킹레버를 설치하고 록킹레버와 대응되는 시트백 및 수납 공간부에는 록킹홈을 형성하여 록킹레버를 록킹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여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쿠션패드를 시트백 수납시켜 둔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쿠션패드를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아동보호용 시트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과 편리함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아동의 움직임을 전혀 제약하지 않기 때문에 아동의 활동이 매우 자유로워짐은 물론 아동을 차량 추돌 및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유아 보조시트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경제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의 추돌 및 충돌로부터 승차자를 보호하는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그 중간부에 수납 공간부(112)가 형성된 시트백(104)과;
    상기 시트백(104)의 수납 공간부(112)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백(104) 내측에 힌지(122) 결합되며 전방으로 젖혀져서 승차자를 상기 시트쿠션(102)에 고정하는 쿠션패드(120)와;
    상기 쿠션패드(120)를 상기 시트쿠션(102)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130)은 쿠션패드(120)의 상측단부 외측에는 록킹고리(132)가 형성되고, 시트쿠션(102)의 중간에는 록킹핀(134)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보호용 자동차 시트.
KR2019970037218U 1997-12-13 1997-12-13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KR199900247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218U KR19990024739U (ko) 1997-12-13 1997-12-13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218U KR19990024739U (ko) 1997-12-13 1997-12-13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739U true KR19990024739U (ko) 1999-07-05

Family

ID=6969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218U KR19990024739U (ko) 1997-12-13 1997-12-13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73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1850A (en) Child's automobile safety seat
US5468047A (en) Child safety seat
GB241561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KR19990024739U (ko)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KR100499779B1 (ko) 자동차의 안전 시트
JPH10166917A (ja) 自動車用シート
KR0173591B1 (ko) 자동차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이 설치되는 리어 시트의 암 레스트
KR0128703Y1 (ko) 유야용 아암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3011857B2 (ja) ビルトイン式チャイルドシート構造
KR0175127B1 (ko) 자동차 시트의 유아용 시트벨트
KR200141645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릴리저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19980031076U (ko)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20030004632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KR0136144Y1 (ko) 자동차 뒷 좌석 센터 헤드 레스트 취부 구조
KR0138731Y1 (ko) 자동차용 시트
KR19980013323U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9980074403A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9980031709U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KR19980029807U (ko) 충돌시 돌출되는 자동차 및 뒷 좌석 헤드 레스트
KR20000003314U (ko) 유아 보호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
KR19980037896U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