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076U -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076U
KR19980031076U KR2019960044223U KR19960044223U KR19980031076U KR 19980031076 U KR19980031076 U KR 19980031076U KR 2019960044223 U KR2019960044223 U KR 2019960044223U KR 19960044223 U KR19960044223 U KR 19960044223U KR 19980031076 U KR19980031076 U KR 199800310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rmrest
groove
storage chamber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076U/ko
Publication of KR199800310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07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4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6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2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유아를 시트에 착석시키고 난후 팔을 올려놓게 되는 팔걸이가 없어 편안한 탑승감을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시트백(10)과 시트쿠션(20)으로 된 자동차 시트(S)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10)에는 상면 일측으로 삽지홈(42)이 형성된 제 1 팔걸이(30)가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ㄱ 자형의 제1 수납실(12)과 상기 삽지홈(42)에 착탈되도록 삽지돌부(32)가 형성된 제 2팔걸이(40)가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직선형의 제2 수납실(14)을 형성하되 제 1팔걸이(30)의 이면에는 괘정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쿠션(20)에는 선단으로 상기 괘정홈(34)에 착탈되게 괘지공(54)이 형성된 괘지부(52)가 돌출된 요부걸이(50)의 제3 수납실(22)을 형성하여 된 것으로, 시트에 어린이가 아닌 다른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게 될 뿐더러 별도의 안전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백과 시트쿠션에 형성된 제1,2,3 수납실에 제1,2 팔걸이와 요부걸이를 설치 보관함으로써, 별도의 안전벨트나 유아용 좌석 등을 구비하지 않고도 충돌이나 급정거에 의한 인체 상해를 방지함에 따라, 원가 절감에 의한 금전상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는 운전자 및 승객들의 편안한 탑승감을 위해 다수개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데, 그 시트는 승객 한사람 한사람 몸의 편안한 자세를 위한 세퍼레이트 시트와 여러명의 승객들이 한꺼번에 착석할 수 있는 벤치 시트로 구분된다. 상기 세퍼레이트 시트는 주로 승용차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설치되며 벤치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 후방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중 상기 세퍼레이트 시트를 구성함에 있어, 종래 기술의 시트는 승객의 착석시 히프가 접촉되도록 언더바디와 수평으로 된 시트쿠션과, 그 시트쿠션의 후단에 직각으로 세워져 승객의 등이 접촉되는 시트백과, 그 시트백의 상단에 돌출 설치되어 승객의 머리를 기댈 수 있게 된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시트에는 차량의 주행시 전복되거나 충돌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렇게 된 종래의 기술 구성에서 운전자나 승객은 차내에 설치된 시트에 탑승하고 난 다음, 그 시트에 장착된 안전벨트를 착용한 후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이러한 안전벨트에 의해 주행도중 추돌 등이 발생했을 경우 승객은 시트에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치명적인 인체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안전벨트는 통상적으로 성인의 체형에 맞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체형이 작은 유아에게는 잘 맞지 않아 보호 기능을 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유아용 시트를 마련하여 유아를 승차시키기전 그 유아용 시트를 기존의 시트에 장착후 사용토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금전상 부담이 있을뿐더러 설치 작업이 번거로웠고, 또한 유아를 시트에 착석시키고 난후 팔을 올려놓게 되는 팔걸이가 없어 편안한 탑승감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급정거나 충돌 발생시 시트에 착석한 어린이가 튕겨져 나가 인체 상해의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별도의 안전 벨트를 구비할 필요없이 시트백과 시트쿠션에 설치된 제1,2 팔걸이와 요부걸이를 사용토록 함으로써, 안전 벨트나 유아용 좌석 등을 구비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함에 따라 금전상 부담이 가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시트백과 시트쿠션으로 된 자동차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에는 상면 일측으로 삽지홈이 형성된 제1 팔걸이가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ㄱ 자형의 제1 수납실과 상기 삽지홈에 착탈되도록 삽지돌부가 형성된 제2 팔걸이가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직선형의 제2 수납실을 형성하되 제 1팔걸이의 이면에는 괘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쿠션에는 선단으로 상기 괘정홈에 착탈되게 괘지공이 형성된 괘지부가 돌출된 요부걸이의 제3 수납실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시트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에서 A의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b)는 도 1에서 B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S : 시트
10 : 시트백12,14,22 : 제1,2,3 수납실
20 : 시트쿠션24 : 걸림돌기
30,40 : 제1,2 팔걸이32 : 삽지돌부
34 : 괘정홈42 : 삽지홈
50 : 요부걸이52 : 괘지부
54 : 괘지공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서 자동차 시트(S)의 시트백(10)에는 제1,2 팔걸이(30)(40)가, 시트쿠션(20)에는 요부걸이(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시트백(10)에는 상면 일측으로 삽지홈(42)이 형성된 제 1 팔걸이(30)가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ㄱ 자형의 제1 수납실(12)과 상기 삽지홈(42)에 착탈되도록 삽지돌부(32)가 형성된 제2 팔걸이(40)가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직선형의 제2 수납실(14)을 형성하되 제1 팔걸이(30)의 이면에는 괘정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시트쿠션(20)에는 선단으로 상기 괘정홈(34)에 착탈되게 괘지공(54)이 형성된 괘지부(52)가 돌출된 요부걸이(50)의 제3 수납실(22)을 형성한다.
상기 제3 수납실(22)에는 요부걸이(50)의 괘지공(54)이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돌기(24)를 돌출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자세히 설명한다.
즉, 자동차 시트(S)에 어린이가 탑승했을 경우 시트백(10)의 제1,2 수납실(12)(14)에서 제1,2 팔걸이(30)(40)를 꺼낸 다음, 이들을 서로 결합하는 한편, 제1 팔걸이(30)에는 시트쿠션(20)에 설치된 요부걸이(50)를 고정시킴으로써, 어린이가 시트(S)에 착석했을 경우 제1,2 팔걸이(30)(40)와 요부걸이(50)로 보호하게 됨에 따라 급정차나 충돌 발생시 그 충격에 의해 어린이가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게 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게 되어 안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 고안이다. 결과적으로 별도로 다른 안전 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금전상 부담을 크게 줄여 줄 수 있는 고안이다.
이러한 제1,2 팔걸이(30)(40)와 요부걸이(50)의 설치 상태를 자세히 살펴볼 때 우선적으로 시트백(10)에는 ㄱ 자형의 제1 수납실(12)과 직선형의 제2 수납실(14)을 형성한 다음 그 제1 수납실(12)에는 제1 팔걸이(30)를 회전 가능하게 축설하는 한편, 제2 수납실(14)에는 제2 팔걸이(40)를 회전 가능하게 축설하게 된다. 이어, 시트쿠션(20)에는 제3 수납실(22)을 형성하여 요부걸이(50)의 일단이 고정되면서 그 자체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2 팔걸이(30)(40)와 요부걸이(50)의 사용 상태를 보게 되면, 먼저 어린이가 시트(S)에 착석하고 난 후 그 시트백(10)의 제1,2 수납실(12)(14)로부터 제1,2 팔걸이(30)(40)를 회전시켜 꺼내게 된다. 이어, 그 제1 팔걸이(30)의 선단으로 돌출 형성된 삽지돌부(32)를 제2 팔걸이(40)에 형성된 삽지홈(42)으로 끼워 고정하게 되면, 제1,2 팔걸이(12)(14)는 시트쿠션(20)과 평행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3 수납실(22)로부터 요부걸이(50)를 꺼내 그 일단에 형성된 괘지부(52)를 상기 제1 팔걸이(30)의 이면으로 형성된 괘정홈(34)에 끼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어린이의 몸은 전체적으로 제1,2 팔걸이(30)(40)와 요부걸이(50)에 의해 감싸진 형태로 된다. 이에 따라 충돌이 방생하여 그 충돌에 의해 어린이의 몸이 시트(S)로 부터 튕겨져 나가는 것을 제1,2 팔걸이(30)(40)와 요부걸이(50)에 의해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어린이가 탑승하지 않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 먼저 요부걸이(50)의 괘지부(52)를 제1 팔걸이(30)에 형성된 괘정홈(34)로부터 탈거하게 된다. 이어, 앞서와 같이 꺼내진 제1,2 팔걸이(30)(40)를 제1,2 수납실(12)(14)에 넣어 보관하는 동시에, 요부걸이(50)를 제3 수납실(22)에 넣어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요부걸이(50)의 괘지부(52)에 형성된 괘지공(54)은 제3 수납실(22)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24)로 끼워져 걸리게 한다. 이 상태가 될 때 시트백(10)과 시트쿠션(20)의 표면으로는 돌출된 것이 없어 어린이가 아닌 다른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에 따르면, 시트백으로 형성된 제1,2 수납실에는 회전 가능한 제1,2 팔걸이의 일단을 각각 축설하면서 시트쿠션으로 형성된 제3 수납실에는 요부걸이의 일단을 축설함으로써, 어린이가 시트에 탑승했을 경우에는 제1,2 팔걸이와 요부걸이를 꺼내 서로 연결 접속시켜 급정거나 충돌 발생시 그 충돌력에 의해 시트로부터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 어린이의 미탑승시 꺼내진 제1,2 팔걸이와 요부걸이를 제1,2,3 수납실에 넣어 보관함에 따라, 그 시트에 어린이가 아닌 다른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게 될 뿐더러 별도의 안전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원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 고안이다.

Claims (2)

  1. 시트백(10)과 시트쿠션(20)으로 된 자동차 시트(S)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10)에는 상면 일측으로 삽지홈(42)이 형성된 제 1 팔걸이(30)가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ㄱ 자형의 제1 수납실(12)과 상기 삽지홈(42)에 착탈되도록 삽지돌부(32)가 형성된 제 2팔걸이(40)가 축설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 직선형의 제2 수납실(14)을 형성하되 제1 팔걸이(30)의 이면에는 괘정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쿠션(20)에는 선단으로 상기 괘정홈(34)에 착탈되게 괘지공(54)이 형성된 괘지부(52)가 돌출된 요부걸이(50)의 제3 수납실(22)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납실(22)에는 요부걸이(50)의 괘지공(54)이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돌기(24)를 돌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KR2019960044223U 1996-11-30 1996-11-30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KR199800310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223U KR19980031076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223U KR19980031076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076U true KR19980031076U (ko) 1998-08-17

Family

ID=5398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223U KR19980031076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07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175B1 (ko) * 2009-12-31 2012-04-19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175B1 (ko) * 2009-12-31 2012-04-19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178B1 (ko) 자동차용어린이안전좌석
US4779930A (en) Infant head support for use with infant retaining devices
EP0021628B1 (en) Restraint device for use with a vehicle seat
KR900000804B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좌석의 쿠션구조
GB241561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US4076307A (en) Safety chair for a child for use in motor vehicles
KR19980031076U (ko)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어린이 보호구조
KR0175127B1 (ko) 자동차 시트의 유아용 시트벨트
KR100499779B1 (ko) 자동차의 안전 시트
JP3928242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0128703Y1 (ko) 유야용 아암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012436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KR19990024739U (ko)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KR0125267Y1 (ko) 차량용 어린이 보호장치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JP2639997B2 (ja) センターアームレストによる安全装置
KR0138702Y1 (ko) 유아 보호 시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KR19980018813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24381U (ko) 어린이 보호장치가 장착된 리어시트
JP2000343990A (ja) 自動車用座席装置
KR19980074403A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9990028161U (ko) 리어 시트의 아암레스트를 이용한 유아용 시트
JPH093030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構造
KR19980031709U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