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366Y1 -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366Y1
KR0124366Y1 KR2019950043616U KR19950043616U KR0124366Y1 KR 0124366 Y1 KR0124366 Y1 KR 0124366Y1 KR 2019950043616 U KR2019950043616 U KR 2019950043616U KR 19950043616 U KR19950043616 U KR 19950043616U KR 0124366 Y1 KR0124366 Y1 KR 0124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eat
seat cushion
incision
edge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3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488U (ko
Inventor
김재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3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366Y1/ko
Publication of KR970031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6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리어 시트쿠션(2)을 수평방향으로 소정위치까지 절개한 절개부(3)가 형성되어, 이 절개부(3)를 리어 시트백(4)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3)의 절개면(3a) 가장자리에 리어 시트쿠션(2)의 고정을 위한 하부체결수단(5)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절개부(3)의 상부면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리어 시트쿠션(2) 가장자리에는 상부체결수단(6)이 구비되어 이를 매개로 절개부(3)가 접힌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됨으로써, 차체바닥으로부터 리어 시트쿠션까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A structure for folding rear seat cushion for an automobile)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 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 시트 2 : 리어 시트쿠션
3 : 절개부 3a : 절개면
4 : 시트백 5 : 하부체결수단
6 : 상부체결수단 7 : 쿠션하부프레임
본 고안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시트쿠션을 길이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차체바닥으로부터 리어 시트쿠션까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리어 시투쿠션 접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 시트를 구성하는 리어 시트쿠션은 차체바닥으로부터 쿠션까지의 높이와 프론트 시트백의 높이는 어른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제작되어 있는 바, 어린이가 리어 시트에 앉았을 경우 프론트 시트나 도어에 의해 차창밖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리어 시트로 부터 일어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고, 운전자에게는 상기와 같이 자리에서 어린이가 일어나는 것을 제지하려는데 주의가 분산되어 안전한 운행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시트(101)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헤드레스트(102)를 전방 혹은 후방으로 굽혀 어린이의 시계를 확보해 주도록 되어 있으나, 프론트시트(101)에 탑승객이 앉아 있을 경우 프론트 시트(101) 높이나 헤드레스트(102)를 조절하기가 어려울 뿐더러 프론트시트(101)에 앉아 있는 탑승객에 의해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조절장치가 없을 경우나, 조절장치가 있더라도 사용하기에 힘든 경우 리어 시트에 이동가능한 방석을 깔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방석을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방석위에 앉아 있는 어린이들이 움직일 때 방석이 이동되어 어린이들이 넘어질 위험성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어 시트쿠션을 길이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차체바닥으로부터 리어쿠션까지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리어 시트쿠션을 수평방향으로 소정위치까지 절개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이 절개부를 리어 시트백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의 절개면 가장자리에 리어 시트쿠션의 고정을 위한 하부체결수단이 각각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절개부의 상부면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리어 시트쿠션 가장자리에는 상부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이를 매개로 절개부가 접힌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를 리어 시트백쪽으로 접어 상기 상부체결수단을 체결하게 되면 절개부의 높이 만큼 리어 시트쿠션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차량의 리어 시트(1)를 구성하는 리어 시트쿠션(2)을 수평방향으로 소정위치까지 절개한 절개부(3)가 형성되어, 이 절개부(3)를 리어 시트백(4)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3)가 리어 시트백(4)쪽으로 접혀 있을 때나 접혀 있지 않고 있을 때 절개부(3)가 너덜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개부(3)의 절개면(3a) 가장자리에 리어 시트쿠션(2)의 고정을 위한 하부체결수단(5)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절개부(3)의 상부면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리어 시트쿠션(2) 가장자리에는 상부체결수단(6)이 구비되어 이를 매개로 절개부(3)가 접힌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체결수단(6,5)은 지퍼와 같은 것을 사용하므로써 체결력을 강화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리어 시트쿠션 접이 구조에 의해 시트쿠션(2) 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리어 시트쿠션(2) 높이를 높게 하려면 우선 상기 하부체결수단(5)을 풀어 상기 절개부(3)가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3)를 리어 시트백(4)쪽으로 접어, 상기 상부체결수단(6)을 체결하면 절개부(3)의 두께만큼 리어 시트쿠션(2)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3)와 리어 시트쿠션(2) 사이에 일정 높이의 방석을 넣어 체결하면 상기 리어 시트쿠션(2)의 높이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3)를 탑재하고 있던 쿠션하부프레임(7)이 절개부(3)가 접혀짐에 따라 상기 쿠션하부프레임(7)이 외부로 노출되어 발판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개부(3)가 리어 시트쿠션(2)쪽으로 접어진 상태에서, 높이조정의 필요성이 없어진 경우 상기 절개부(3)를 원상복귀시켜 상기 하부체결수단(5)을 체결하면 본래의 리어 시트쿠션(2)의 높이와 같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에 의하면, 어린이들이 리어 시트에 탑승할 경우 상기 절개부를 리어 시트백쪽으로 접어 리어 시트쿠션 높이를 조정하여 차창밖을 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게 되어, 어린이들이 자리에서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가 뒤에 있는 어린이를 쉽게 볼 수가 있고, 어린이가 자리에서 일어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하는데 주의가 분산되지 않아 안전운행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리어 시트쿠션(2)을 수평방향으로 소정위치까지 절개한 절개부(3)가 형성되어, 이 절개부(3)를 리어 시트백(4)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절개부(3)의 절개면(3a) 가장자리에 리어 시트쿠션(2)의 고정을 위한 하부체결수단(5)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절개부(3)의 상부면 가장자리와 이에 대응되는 리어 시트쿠션(2) 가장자리에는 상부체결수단(6)이 구비되어 이를 매개로 절개부(3)가 접힌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KR2019950043616U 1995-12-19 1995-12-19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KR0124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616U KR0124366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3616U KR0124366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488U KR970031488U (ko) 1997-07-24
KR0124366Y1 true KR0124366Y1 (ko) 1998-09-15

Family

ID=1943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3616U KR0124366Y1 (ko) 1995-12-19 1995-12-19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3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488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934A (en) Child seat attachment system
US6199945B1 (en) Vehicle seat for reversible occupant travel
KR960033882A (ko) 일체형 부스터 좌석 및 호환 모듈을 갖는 차량용 좌석
JP2001057920A (ja) コンバーチブルヘッドレスト
KR012436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EP1689609A1 (en) Vehicle child seat assembly
US20240166095A1 (en) Child restraint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JP3211980B2 (ja) 子供用シート付き自動車用シート
KR200142106Y1 (ko) 시트쿠션 위치 조정장치
KR0175127B1 (ko) 자동차 시트의 유아용 시트벨트
KR0117357Y1 (ko) 유아보호용 자동차 시트
JPS6136030A (ja) 自動車用シ−ト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930006396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Head Rest) 이동장치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0125519Y1 (ko) 뒷좌석의 탑승자 보호장치
KR0120326Y1 (ko) 차량용 시이트의 머리받침대 구조
KR19990050312A (ko)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
JP2639997B2 (ja) センターアームレストによる安全装置
KR19990049571A (ko) 자동차용 래치식 조수석 백시트 접힘장치
KR20030004632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KR19990041156A (ko) 자동차의 프론트시트 헤드레스트 수납장치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KR19980047111U (ko) 자동차의 뒷좌석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