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709U -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709U
KR19980031709U KR2019960044872U KR19960044872U KR19980031709U KR 19980031709 U KR19980031709 U KR 19980031709U KR 2019960044872 U KR2019960044872 U KR 2019960044872U KR 19960044872 U KR19960044872 U KR 19960044872U KR 19980031709 U KR19980031709 U KR 199800317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belt
occupant
bel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709U/ko
Publication of KR199800317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70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60R2022/1831Belt guides comprising a slotted plate sliding in its plane, e.g. inside circular guide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신체에 알맞게 시트 백을 조절시 탑승자의 몸을 안전벨트가 충분히 잡아주도록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지지장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30)를 잡아주는 지지고리(50)와, 지지고리(50)가 끼워지는 체결홈(14a)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백(14)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의 신체에 알맞게 시트 백을 조절시 탑승자의 몸을 안전벨트가 충분히 잡아주도록 장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플로어(floor)에는 운전자 및 승객이 앉을 수 있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된다. 통상, 자동차의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별개로 구성된 분리식을 사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좌, 우측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을 참고하여 프론트 시트의 구성을 설명하면, 프론트 시트(10)는 탑승자의 앉는 부위인 시트쿠션(12)과 등받이 부분인 시트백(14)과 머리를 받쳐주는 부분인 헤드레스트(16)로 구분된다. 시트백(14)의 측면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백(14)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1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충돌 사고시에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부상 입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30)가 설치되어 있다. 안전벨트의 끝단에는 차체(20)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고리(22)를 지나 프론트 시트(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버클(40)에 로킹가능하도록 텅플레이트(32)가 장착되어 있다.
다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종래에는 시트백(14)을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뒤로 젖혔을 경우 안전벨트(30)와 시트백(14)이 따로 설치되어 움직이기 때문에 시트백(14)만 뒤로 젖여져 탑승자의 몸을 충분히 잡아 줄 수가 없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자동차용 안전벨트는 탑승자가 착용시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고리를 지나 버클에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후 시트백을 뒤로 젖히면 안전벨트가 탑승자의 몸으로부터 떨어져 충돌시 안전벨트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트백을 뒤로 젖히더라도 안전벨트가 탑승자의 몸에 충분히 밀착될 수 있도록 시트백의 상면에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론트 시트12: 시트쿠션
14: 시트백16: 헤드레스트
18: 각도조절장치22: 가이드고리
30: 안전벨트32: 텅플레이트
40: 바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를 잡아주는 고리와, 고리가 끼워지는 체결홈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착상태를 보인 측면도
먼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프론트 시트의 구성을 설명하면, 프론트 시트(10)는 탑승자의 앉는 부위인 시트쿠션(12)과 등받이 부분인 시트백(14)과 머리를 받쳐주는 부분인 헤드레스트(16)로 구분된다. 시트백(14)의 측면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백(14)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1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충돌 사고시에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부상 입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30)가 설치되어 있다. 안전벨트(30)의 끝단에는 차체(20)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고리(22)를 지나 프론트 시트(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버클(40)에 로킹가능하도록 텅플레이트(32)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프론트 시트에 있어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백(14)을 뒤로 젖혔을 때에는 안전벨트(30)가 탑승자의 몸에 충분히 밀착될 수 있도록 안전벨트(30)를 잡아주는 본 고안의 지지고리(50)가 장착되어 있으며, 시트백(14)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4a)에 결합된다. 지지고리(50)의 형상은 안전벨트(30)가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는 형상을 지닌다.
지지고리(50)의 형상은 상기와 같이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상을 갖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지지고리(50)를 시트백(14)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4a)에 결합시킨 후 지지고리(5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해 안전벨트(30)를 끼워 결합시키면 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프론트 시트에서는 안전벨트(30)가 시트백(14)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고리(5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안전벨트(30)는 시트백(14)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백(14)을 뒤로 젖혔을 때에도 안전벨트(30)가 탑승자의 몸에 충분히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는 시트백의 상면에 안전벨트를 잡아주는 지지고리를 설치하여 항상 안전벨트가 시트백과 함께 이동하도록 하므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백을 뒤로 젖혔을 때에도 안전벨트가 탑승자의 몸에 충분히 밀착되어 자동차가 충돌시 안전벨트가 탑승자의 몸을 확실하게 잡아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안전벨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30)를 잡아주는 지지고리(50)와, 지지고리(50)가 끼워지는 체결홈(14a)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백(14)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지지장치.
KR2019960044872U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KR199800317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872U KR19980031709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872U KR19980031709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09U true KR19980031709U (ko) 1998-08-17

Family

ID=5398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872U KR19980031709U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70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934A (en) Child seat attachment system
KR100304178B1 (ko) 자동차용어린이안전좌석
EP0963306B1 (en) Mounting For Child Restraint System In Vehicle
EP1406784B2 (en) System for attaching a child's seat and an adjusting device
JP3380192B2 (ja) 自動車用シート
US5599060A (en) Child's booster seat for vehicles
JP2001057920A (ja) コンバーチブルヘッドレスト
KR19980031709U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지지장치
JP3928242B2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EP1689609A1 (en) Vehicle child seat assembly
KR0175127B1 (ko) 자동차 시트의 유아용 시트벨트
KR100267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리프팅장치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0136144Y1 (ko) 자동차 뒷 좌석 센터 헤드 레스트 취부 구조
KR012436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KR100373260B1 (ko) 자동차의 유아착석용 리어시트
KR0137521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쿠션
KR19980051135U (ko) 차량의 시트
KR19980048118U (ko) 자동차용 시트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19980018813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29807U (ko) 충돌시 돌출되는 자동차 및 뒷 좌석 헤드 레스트
KR19990024739U (ko)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KR19980029689U (ko) 자동차용 시트
KR19980051160U (ko) 유아용 시트 벨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