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141B1 - 시트 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트 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141B1
KR0184141B1 KR1019960060769A KR19960060769A KR0184141B1 KR 0184141 B1 KR0184141 B1 KR 0184141B1 KR 1019960060769 A KR1019960060769 A KR 1019960060769A KR 19960060769 A KR19960060769 A KR 19960060769A KR 0184141 B1 KR0184141 B1 KR 0184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racket
seatback
teeth
lock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466A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14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45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fro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시트백(12)과 시트쿠션(14)에 각각 고정되면서 중심축(20)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 1브라켓(16)과 제 2브라켓(18); 상기 중심축(20)에 고정되어 시트백(12)과 함계 일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원주방향 외면에는 다수의 톱니부(36)가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기어부재(22); 상기 제 2브라켓(18)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면서 일단부에는 상기 기어부재(22)의 두개의 톱니부(36)들의 사이에 계합될 수 있게 되는 록킹핀(32)이 형성되는 시트백 각도 조절용 레버(24); 및 상기 레버(24)가 작동되지 않았을 때 상기 록킹핀(32)을 상기 두개의 톱니부(36)들의 사이에 계합되는 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탄성부재(30);를 포함하여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시트백이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탑승자의 인체 상해값을 낮추는 데에 기여하며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시트 안전 시스템
본 발명은 시트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시트백이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탑승자의 인체 상해값을 낮추는 데에 기여하며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시트 안전 시스템(Safty System for Seat)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승용차의 시트에는 버킷 시트, 벤치 시트 및 리클라이닝 시트가 있고; 버킷 시트(bucket seat)는 승객 개개인의 몸을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를 말하며, 시트가 1인용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세퍼레이트 시트(separate seat)라고도 한다. 벤치 시트(bench seat)는 승용차의 뒷좌석에 사용되는 벤치 모양의 시트로서 버킷 시트와 대조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다. 리클라이닝 시트(reclining seat)는 시트백이 조정가능하도록 된 시트로서 적절한 운전을 할 수 있는 목적 외에, 휴식을 위해 시트를 눕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트 슬라이드(seat slide)는 운전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시트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를 말하고, 시트 슬라이드나 리클라이닝 기구 등을 총칭하여 시트 어저스터(seat adjustor)라고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시트의 구조에 있어서는,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어 탑승자의 신체가 시트백으로 일차적으로 쏠리게 될 때 탑승자의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탑승자의 신체가 이차적으로 다시 앞쪽으로 쏠리게 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이차 충돌되므로써, 탑승자의 인체 상해값이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시트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시트백이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탑승자의 인체 상해값을 낮추는 데에 기여하며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시트 안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 시스템의 작동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차량의 추돌이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 시스템에 의해 시트백이 뒤로 꺾여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시트 안전 시스템 12: 시트백
14: 시트쿠션16: 제 1브라켓
18: 제 2브라켓20: 중심축
22: 기어부재24: 조절레버
26: 힌지축28: 스파이럴 스프링
30: 스프링32: 록킹핀
34: 커버36: 톱니부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시트 안전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시스템은, 시트백과 시트쿠션에 각각 고정되면서 중심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 1브라켓과 제 2브라켓;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어 시트백과 함계 일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원주방향 외면에는 다수의 톱니부가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기어부재; 상기 제 2브라켓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면서 일단부에는 상기 기어부재의 두개의 톱니부들의 사이에 계합될 수 있게 되는 록킹핀이 형성되는 시트백 각도 조절용 레버; 및 상기 레버가 작동되지 않았을 때 상기 록킹핀을 상기 두개의 톱니부들의 사이에 계합되는 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록킹핀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시트백 각도조절용 레버의 상기 일단부에 강성적으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시트백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시트백과 일체적으로 회전되는 톱니부가 상기 록킹핀을 파단시키면서 시트백이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되므로, 탑승자의 신체가 전방으로 쏠리는 일이 없게 되어, 탑승자의 인체 상해값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되고,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 시스템의 작동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3에는 차량의 추돌이 발생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 시스템에 의해 시트백이 뒤로 꺾여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 시스템(10)은 제 1브라켓(16) 및 제 2브라켓(18)을 포함한다. 제 1브라켓(16)과 제 2브라켓(18)은 시트백(12)과 시트쿠션(14)에 각각 고정되고, 중심축(20)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중심축(20)은 시트백(12)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되며, 중심축(20)의 단부의 원주방향 외면에는 기어부재(22)가 고정되어 중심축(20)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어부재(22)의 외면에는 다수의 톱니부(36)가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브라켓(18)에는 시트백 각도 조절용 레버(24)의 중간부분이 힌지축(26)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시트백 각도 조절용 레버(24)의 자유단부에는 플래스틱 재질의 록킹핀(32)이 강성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록킹핀(32)은 상기 기어부재(22)의 두개의 톱니부(36)들의 사이에 계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심축(20)의 원주방향 외면에는 스파이럴 스프링(28)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스파이럴 스프링(28)의 다른단부는 상기 제 2브라켓(18)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 각도조절용 레버(24)의 힌지축(26)의 외면에는 스프링(30)이 권취되고, 스프링(30)의 일단부는 상기 시트백 각도조절용 레버(24)의 일면에 형성되는 소공에 끼워지며, 스프링(30)의 다른단부는 상기 제 2브라켓(18)에 형성되는 소공에 끼워진다. 도면부호 34는 상기 제 1브라켓(16)과 제 2브라켓(18)의 외면을 덮기 위한 커버를 나타낸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안전 시스템의 작동을 상술하기로 한다:
시트백 각도조절용 레버(24)의 단부에 고정되는 록킹핀(32)이 상기 기어부재(22)의 두개의 톱니부(36)들의 사이에 계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트백 각도 조절용 레버(24)를 누르면, 록킹핀(32)이 상기 두개의 톱니부(36)들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시트백(12)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각도조절이 이루어진 후에 레버(24)를 놓으면, 록킹핀(32)이 스프링(30)의 압압력에 의해 다시 다른 두개의 톱니부(36)들의 사이에 계합되면서 시트백(12)은 조절된 위치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평상시에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트백(12)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탑승자의 신체부위가 시트백(12)을 미는 힘에 의해 두개의 톱니부(36)들 중의 하나가 상기 시트백 각도절용 레버(24)의 단부에 고정되는 록킹핀(32)을 파단시키게 되고, 록킹핀(32)이 파단됨에 따라 시트백(12)은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돌이 발생되어 탑승자의 신체부위가 시트백(12)에 일차적으로 쏠리게 되면, 시트백(12)이 후방으로 꺾여지면서 탑승자의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어 탑승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대해 이차충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시트백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시트백과 일체적으로 회전되는 톱니부가 상기 록킹핀을 파단시키면서 시트백이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되므로, 탑승자의 신체가 전방으로 쏠리는 일이 없게 되어, 탑승자의 인체 상해값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되며,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2)

  1. 시트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시트백(12)과 시트쿠션(14)에 각각 고정되면서 중심축(20)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 1브라켓(16)과 제 2브라켓(18);
    상기 중심축(20)에 고정되어 시트백(12)과 함계 일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원주방향 외면에는 다수의 톱니부(36)가 서로 격설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기어부재(22);
    상기 제 2브라켓(18)에 선회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면서 일단부에는 상기 기어부재(22)의 두개의 톱니부(36)들의 사이에 계합될 수 있게 되는 록킹핀(32)이 형성되는 시트백 각도조절용 레버(24); 및 상기 레버(24)가 작동되지 않았을 때 상기 록킹핀(32)을 상기 두개의 톱니부(36)들의 사이에 계합되는 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탄성부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안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32)이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시트백 각도조절용 레버(24)의 상기 일단부에 강성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안전 시스템.
KR1019960060769A 1996-11-30 1996-11-30 시트 안전 시스템 KR0184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769A KR0184141B1 (ko) 1996-11-30 1996-11-30 시트 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769A KR0184141B1 (ko) 1996-11-30 1996-11-30 시트 안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66A KR19980041466A (ko) 1998-08-17
KR0184141B1 true KR0184141B1 (ko) 1999-04-01

Family

ID=1948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769A KR0184141B1 (ko) 1996-11-30 1996-11-30 시트 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1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66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511B1 (en) Seat and headrest arrangement for a vehicle
US4674792A (en) Position adjustable see-through headrest
US6082817A (en) Motor vehicle seat
US20050168020A1 (en) Dynamic flip-up headrest
EP0852545B1 (en) Neck rest
JP3619855B2 (ja) 自動車のサブマリン防止用パネル構造
US5842744A (en) Dual position locking mechanism
EP0868329B1 (en) Arrangement for safety-belt
KR0184141B1 (ko) 시트 안전 시스템
JP2914947B2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333285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JP651373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31807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950012262B1 (ko) 전후이동 및 절곡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237317Y1 (ko) 자동차용시트백의고정구조
JP3799823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0134828B1 (ko) 자동차용 시트 헤드 레스트
KR100786894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장치
KR100401587B1 (ko) 자동차 시트의 회전가능한 헤드레스트
JP2773609B2 (ja) シ−ト装置
KR20030004632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가변 장치
KR200207612Y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0127980Y1 (ko) 차량용 시트의 일체식 헤드레스트 구조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