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612Y1 - 헤드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612Y1
KR200207612Y1 KR2019960049246U KR19960049246U KR200207612Y1 KR 200207612 Y1 KR200207612 Y1 KR 200207612Y1 KR 2019960049246 U KR2019960049246 U KR 2019960049246U KR 19960049246 U KR19960049246 U KR 19960049246U KR 200207612 Y1 KR200207612 Y1 KR 200207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occupant
body support
nec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248U (ko
Inventor
전재홍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9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61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6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612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탑승자의 후두부를 항상 밀착 지지함과 동시에 후방 충돌시에 그 지지상태를 순간적으로 고정하여 탑승자의 목부위 부상을 방지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본체와,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하단부에서 전방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탑승자의 목부위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와, 시트의 등받이 상단 내부에 구비되어 후방 충돌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위치 고정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색인어]
차량, 시트, 헤드레스트 본체, 본체 지지휠, 본체 지지바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탑승자의 후두부와 목부위를 항상 밀착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현재의 밀착 지지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1)에는 탑승자가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헤드레스트(2)는 탑승자의 후두부를 받쳐주어 안락감을 주고, 차량 후방 충돌시 후두부 및 목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2)는 고정식과 이동식의 2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동식의 경우에는 푸시풀타입과 자동전동타입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헤드레스트 장치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시트(1)에 정상적으로 착석하였을 때 헤드레스트(2)와 탑승자의 후두부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간격은 탑승자의 체형이나 자세에 따라 달리 형성되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헤드레스트(2)의 높이 등을 조절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 대부분의 헤드레스트(2)는 그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좁고 조절하는 작업도 번거로워 탑승자의 후두부와 헤드레스트(2) 사이에는 탑승자가 머리를 뒤로 완전히 기대지 않는 한 항상 간격이 있게 된다.
따라서, 예상치 못한 차량 후방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간격으로 인해 탑승자의 후두부가 헤드레스트(2)에 부딪히면서 목부위 등에 심각한 부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탑승자의 후두부를 항상 밀착 지지함과 동시에 후방 충돌시에 그 지지상태를 순간적으로 고정하여 탑승자의 목부위 부상을 방지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본체와,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하단부에서 전방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탑승자의 목부위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와, 시트의 등받이 상단 내부에 구비되어 후방 충돌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위치 고정 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위치 고정 유니트는 시트의 등받이 상단 내에 하단이 힌지로 고정되고 상단이 헤드레스트 본체를 지지해주는 본체 지지바와, 상기 본체 지지부의 랙 바와 연동되면서 본체 지지부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리턴 스프링을 갖는 본체 지지휠과, 차량 후방 충돌시 상기 본체 지지휠을 고정시켜서 본체 지지바의 후방 밀림을 잡아 주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지지휠의 후방 밀림을 잡아주는 수단은 상기 본체 지지휠의 고정치(齒)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본체 지지휠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가능한 래치와, 차량 후방 충돌시 상기 래치의 하단과 연동되어 래치의 쐐기가 본체 지지휠의 고정치에 물리도록 하는 핀 및 이것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핀을 밀어주는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도는 차량의 헤드레스트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의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의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레스트 본체 11 : 본체 지지바
12 : 목 지지부 13 : 위치 고정 유니트
14a,14b : 힌지 15 : 랙 바
16 : 본체 지지휠 17 : 리턴 스프링
18 : 고정치 19 : 래치
20 : 하우징 21 : 핀
22 : 볼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1)의 등받이 상단에는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0)는 탑승자의 체형이나 자세에 따라 상하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본체(10)는 후술하는 본체 지지바(11)에 의해 전방으로 탄력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0)의 하단부에는 전방 하측으로 길게 연장형성되어 탑승자의 목 뒤부분을 지지하는 두툼한 목 지지부(12)가 구비된다.
상기 목 지지부(12)는 탑승자의 목 뒷부분과 시트(1) 사이에 생기는 빈 공간을 메워 탑승자에게 안락감을 주는 동시에 후두부 및 목관절을 동시에 보호하게 된다.
또한, 시트(1)의 등받이 상단 내부에는 후방 충돌시에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0)의 위치를 순간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위치 고정 유니트(13)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 고정 유니트(13)에는 시트(1)의 등받이 상단 내부에 하단이 힌지(14a)로 고정되는 동시에 그 중간에서 한쪽으로 연장되는 랙 바(15)를 갖는 본체 지지바(1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체 지지바(11)의 상단은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 헤드레스트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1)의 등받이 상단 내부에는 상기 본체 지지바(11)의 랙바(15)와 치합 연동되는 본체 지지휠(16)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체 지지휠(16)은 리턴 스프링(17)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이때의 리턴 스프링(17)은 상기 본체 지지바(11)가 헤드레스트 본체(10)를 전방으로 탄력지지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지지휠(16)과 연동되면서 차량의 후방 충돌시 본체 지지휠(16)의 회전을 구속하여 헤드레스트 본체(10)의 후방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 지지휠(16)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고정치(18) 사이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차량의 후방 충돌시 본체 지지휠(16)의 회전을 방지하는 래치(19)가 구비된다.
이때의 래치(19)는 그 중간이 힌지(14b)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하게 되며, 상단은 쐐기형태로 되어 있어서 본체 지지휠(16)의 고정치(18)에 용이하게 물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래치(19)의 하단 앞쪽으로는 하우징(20)이 수평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뒷쪽으로는 상기 래치(19)의 하단과 접촉 가능한 핀(21)이 구비되는 동시에 앞쪽으로는 볼(22)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후방 충돌시 그 관성력에 의해 볼(22)이 뒷쪽으로 움직이면서 핀(21)을 밀어주게 되면 이 핀(21)의 미는 힘에 의해 래치(19)가 회전되어 상기 본체 지지휠(16)의 고정치(18)에 물릴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헤드레스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헤드레스트 장치의 정상적인 사용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에는 본체 지지휠(16)이 리턴 스프링(17)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도면상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되고, 이와 동시에 랙 바(15)를 통해 치합 연동가능한 본체 지지바(11)도 힌지(14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므로, 따라서 헤드레스트 본체(10)가 탑승자의 후두부쪽으로 탄력 지지되면서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여 주게 된다.
특히, 상기 목 지지부(12)는 탑승자의 목을 지지하여 주어 탑승자에게 안락감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 본체(10)가 전방으로 탄력 지지되면서 탑승자의 후두부와 헤드레스트 본체(10)의 사이에 간격이 없게 된다.
제4도는 헤드레스트 장치의 록킹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차량의 후방 충돌시 관성력에 의해 볼(22)이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핀(21)을 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핀(21)이 래치(19)의 하단을 밀게 되므로, 래치(19)는 힌지(14b)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본체 지지휠(16)의 고정치(18)에 맞물리게 되므로, 본체 지지휠(16)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본체 지지휠(16)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면 본체 지지바(11)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본체(10) 전체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후방 충돌시 헤드레스트 본체(10)의 위치가 순간적으로 고정되어 뒷쪽으로 밀려나지 않게 되므로, 탑승자의 목관절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 후방 충돌시의 충격이 소멸되면 볼(22) 및 핀(21)의 위치 회복과 함께 위치 고정 유니트(13)에 가해졌던 록킹 상태가 해제되므로, 헤드레스트 본체(10)는 제3도와 같은 상태로 재차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탑승자의 후두부와 목부위를 항상 밀착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현재의 밀착 지지상태를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후방 충돌시 탑승자의 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탑승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본체(10)와,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0)의 하단부에서 전방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탑승자의 목부위를 밀착 지지하는 목 지지부(12)와, 시트 등받이의 상단 내부에 구비되어 차량 후방 충돌시 상기 헤드레스트 본체(10)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는 위치 고정 유니트(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유니트(13)는 시트 등받이의 상단 내부에 하단이 힌지(14a)로 고정되고 상단이 헤드레스트 본체(10)를 지지하는 본체 지지바(11)와, 상기 본체 지지바(11)의 랙 바(15)와 연동되고 리턴 스프링(17)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본체 지지바(1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본체 지지휠(16)과, 차량 후방 충돌시 상기 본체 지지휠(16)을 고정시켜서 본체 지지바(11) 및 헤드레스트 본체(10) 전체가 뒷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지지휠(16)을 고정시켜주는 수단은 본체 지지휠(16)의 고정치(18)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면서 본체 지지휠(16)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래치(19)와, 상기 래치(19)의 하단부에 근접 배치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차량 후방 충돌시의 관성에 의해 뒷쪽으로 움직이는 볼(22) 및 이 볼(22)에 의해 밀려나면서 상기 래치(19)의 하단을 밀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핀(21)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장치.
KR2019960049246U 1996-12-14 1996-12-14 헤드레스트 장치 KR200207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246U KR200207612Y1 (ko) 1996-12-14 1996-12-14 헤드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246U KR200207612Y1 (ko) 1996-12-14 1996-12-14 헤드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248U KR19980036248U (ko) 1998-09-15
KR200207612Y1 true KR200207612Y1 (ko) 2001-01-15

Family

ID=5399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246U KR200207612Y1 (ko) 1996-12-14 1996-12-14 헤드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0791B2 (en) * 2019-01-22 2022-09-13 Lear Corporation Seat cushion design manufactu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0791B2 (en) * 2019-01-22 2022-09-13 Lear Corporation Seat cushion design manufactu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248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178B1 (ko) 자동차용어린이안전좌석
EP0995631B1 (en) Seatback for automobile
JP2660115B2 (ja) 幼児用座席を受ける起立可能な中央部品を具備する自動車用座席ユニット
US5743554A (en) Airbag arrangement
KR200207612Y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058490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014306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2001058533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0175530B1 (ko)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KR100454124B1 (ko) 경추보호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0175127B1 (ko) 자동차 시트의 유아용 시트벨트
KR100499779B1 (ko) 자동차의 안전 시트
KR100254790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용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
KR100551844B1 (ko) 리트랙터와 웨빙을 이용한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KR200141645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릴리저
KR100401587B1 (ko) 자동차 시트의 회전가능한 헤드레스트
KR0130281Y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0184141B1 (ko) 시트 안전 시스템
KR19980060258A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리프팅장치
KR100373260B1 (ko) 자동차의 유아착석용 리어시트
KR0132479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18813U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60058251A (ko) 상해 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틸팅 헤드레스트
KR19980051160U (ko) 유아용 시트 벨트 고정장치
KR19990024739U (ko) 아동보호형 자동차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