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530B1 -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 Google Patents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530B1
KR0175530B1 KR1019960058877A KR19960058877A KR0175530B1 KR 0175530 B1 KR0175530 B1 KR 0175530B1 KR 1019960058877 A KR1019960058877 A KR 1019960058877A KR 19960058877 A KR19960058877 A KR 19960058877A KR 0175530 B1 KR0175530 B1 KR 0175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sion
stopper
slider
headrest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772A (ko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5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53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76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reaction to emergency situations, e.g. cr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의 추돌과 같은 안전 사고시 탑승객의 신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돌출하는 수단을 헤드 레스트에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헤드 레스트가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불편함을 주었던 것을 해소하기 위한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헤드 레스트(1) 몸체를 지지하고 있는 두 개의 슬라이더(3)와, 회동축(51)을 내장한 솔레노이드 구동부(5)와, 원호형으로 부분 절개한 가이드 라인(71)이 형성된 통공의 가이드 봉(7)과, 바형상의 스토퍼(8)를 상기 회동축(51)에 법선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 봉(7) 내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더(3)에 탄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9)으로 이루어져 추돌 사고와 같은 기타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두부를 충분히 지지할 만한 헤드 레스트가 존재하는 관계로 예상치 못한 부상의 염려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보다 나은 자동차 주행 환경을 추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본 발명은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차량의 추돌과 같은 안전 사고시 탑승객의 신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돌출하는 수단을 헤드 레스트에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헤드 레스트가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불편함을 주었던 것을 해소하기 위한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이트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머리를 편안한 자세로 위치시킬 수 있는 헤드 레스트가 구비되는데 이 헤드 레스트는 보통 사용자의 체형(신장)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시이트의 등판을 뉘어 좌판과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차내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헤드 레스트를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자동차 시이트의 사시도와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완충 효과를 갖는 헤드 레스트(100)의 하부 양측으로 지지봉(101)을 구비하되 상기 지지봉(101)으로 걸림홈(104)이 형성된다. 또한 시이트의 상단에는 지지봉(101)이 걸림홈(104)에 걸려지게 압지구(102)가 스프링(103)에 의하여 탄지되어 있으며 이 압지구(102)는 지지대(105)의 내부에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자동차 헤드 레스트는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시이트의 상단에 위치된 지지대(105)의 압지구(102)를 눌러 상기 지지대(105)의 걸림홈(104)에서 이탈시킨 상태에서 헤드 레스트를 원하는 높이로 상승시킨 뒤 압지구(102)의 누름을 해제하면 압지구(102)가 지지대(105)의 걸림홈(10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따른 헤드 레스트는 단순히 탑승자의 머리를 기댈만한 부재를 제공한다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헤드 레스트만으로는 안전 사고시 차량의 충격으로부터 승객의 신체를 보호한다는 기능 측면의 요건을 충족시키기에는 부적당하였다. 특히나 뒷 좌석에 구비되는 헤드 레스트의 구조는 별도로 헤드 레스트가 마련되지 않고 대개 시이트 백의 연장 선상에서 약간 돌출 형성된 형태로 시이트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한 차량의 추돌 사고시에는 탑승자의 부상 정도가 더욱 더 심하다 할 수 있겠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의 추돌과 같은 안전 사고시 탑승객의 신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돌출하는 수단을 헤드 레스트에 구비함으로써, 추돌 사고와 같은 기타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두부를 충분히 지지할 만한 헤드 레스트가 존재하는 관계로 예상치 못한 부상의 염려 문제를 해소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이트 백 상단면에 체결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와, 헤드 레스트 몸체를 지지하고 있는 두 개의 슬라이더와, 일측에서 전·후 회동하는 봉형의 회동축을 내장한 솔레노이드 구동부와, 원호형으로 부분 절개한 가이드 라인이 형성된 통공의 가이드 봉과, 양 끝단에 걸림돌기를 가지고 있는 바형상의 스토퍼를 상기 회동축에 법선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더의 소정 부위에 걸림돌기가 체결되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봉 내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더에 탄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달성되며 특히 상기 스토퍼가 일정 범위내에서 절곡될 수 있도록 중앙에 벤딩부를 구비하며, 스토퍼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두 곳에서 스토퍼를 교차 고정하는 지지대를 시이트 백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끝단 둘레면에 원형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가이드 봉내에서 슬라이더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자동차 시이트의 사시도와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레스트의 분해 사시도
도 3 (가)(나)는 본 발명인 헤드 레스트의 작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레스트의 결합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 레스트 3 : 슬라이더
5 : 솔레노이드 구동부 6 : 지 지 대
7 : 가이드 봉 8 : 스 토 퍼
9 : 스 프 링 31 : 걸 림 홈
32 : 걸 림 턱 51 : 회 동 축
71 : 가이드 라인 81 : 걸림돌기
82 : 벤 딩 부 a,b : 방 향
B : 시이트 백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레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크게 헤드 레스트(1) 몸체를 지지하고 있는 두 개의 슬라이더(3)와, 회동축(51)을 내장한 솔레노이드 구동부(5)와, 원호형으로 부분 절개한 가이드 라인(71)이 형성된 통공의 가이드 봉(7)과, 바형상의 스토퍼(8)를 상기 회동축(51)에 법선 연결하며, 상기 가이드 봉(7) 내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더(3)에 탄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9)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인 헤드 레스트의 작용 상태도를 나타낸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이트 백(B) 상단면에 체결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와, 헤드 레스트(1) 몸체를 지지하고 있는 두 개의 슬라이더(3)와, 일측에서 전·후 회동하는 봉형의 회동축(51)을 내장한 솔레노이드 구동부(5)와, 원호형으로 부분 절개한 가이드 라인(71)이 형성된 통공의 가이드 봉(7)과, 양 끝단에 걸림돌기(81)를 가지고 있는 바형상의 스토퍼(8)를 상기 회동축(51)에 법선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더(3)의 소정 부위에 걸림돌기(81)가 체결되는 걸림홈(31)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봉(7) 내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더(3)에 탄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9)과, 상기 스토퍼(8)가 일정 범위내에서 절곡될 수 있도록 중앙에 벤딩부(82)를 구비하며, 스토퍼(8)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두 곳에서 스토퍼(8)를 교차 고정하는 지지대(6)를 시이트 백(B) 내부에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더(3)의 끝단 둘레면에 원형의 걸림턱(32)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과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3 (가)에서와 같이 평상시에는 스토퍼(8)가 일직선을 이루고 있어 슬라이더(3)면의 걸림홈(31)에 걸림 돌기(81)가 체결되어 있다가 차량의 충돌과 같은 안전 사고시에는 센서가 특정한 전기적 신호을 솔레노이드 구동부(5)에 송출하게 된다.
전기적 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 구동부(5)는 전자기장을 형성하여 도 3 (나)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마련된 회동축(51)을 a 방향으로 유동시키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스토퍼(8)의 벤딩부(82)가 절곡되어 걸림 돌기(81)가 걸림홈(31)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즉 충돌 신호에 따라 걸림 돌기(81)가 해제되면 가이드 봉(7) 내부의 스프링(9)의 탄발력을 슬라이더(3)가 받아 가이드 라인(71)을 따라 상부로 올려지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걸림턱(32)이 가이드 봉(7) 내부에서 끝단에 걸림으로써 슬라이더(3)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걸림 돌기(81)의 해제 후 회동축(51)은 b 방향으로 다시 움직여 최초 상태인 스토퍼(8)가 일직선이 된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센서가 충돌 신호를 감지하여 헤드 레스트가 돌출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들은 탑승자가 인지할 수 없을 정도의 짧은 시간적 간격으로 수행되어 승객의 보호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의 추돌과 같은 안전 사고시 탑승객의 신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돌출하는 수단을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에 구비함으로써, 추돌 사고와 같은 기타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에 탑승하는 승객의 두부를 충분히 지지할 만한 헤드 레스트가 존재하는 관계로 예상치 못한 부상의 염려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보다 나은 자동차 주행 환경을 추구할 수 있다.

Claims (4)

  1. 시이트 백(B) 상단면에 체결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에 있어서, 헤드 레스트(1) 몸체를 지지하고 있는 두 개의 슬라이더(3)와, 일측에서 전·후 회동하는 봉형의 회동축(51)을 내장한 솔레노이드 구동부(5)와, 원호형으로 부분 절개한 가이드 라인(71)이 형성된 통공의 가이드 봉(7)과, 양 끝단에 걸림돌기(81)를 가지고 있는 바형상의 스토퍼(8)를 상기 회동축(51)에 법선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더(3)의 소정 부위에 걸림돌기(81)가 체결되는 걸림홈(31)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봉(7) 내부에 위치하여 슬라이더(3)에 탄발력을 부여하는 스프링(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8)가 일정 범위내에서 절곡될 수 있도록 중앙에 벤딩부(8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8)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두 곳에서 스토퍼(8)를 교차 고정하는 지지대(6)를 시이트 백(B) 내부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의 끝단 둘레면에 원형의 걸림턱(32)을 형성하여 가이드 봉(7)내에서 슬라이더(3)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KR1019960058877A 1996-11-28 1996-11-28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KR0175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877A KR0175530B1 (ko) 1996-11-28 1996-11-28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877A KR0175530B1 (ko) 1996-11-28 1996-11-28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772A KR19980039772A (ko) 1998-08-17
KR0175530B1 true KR0175530B1 (ko) 1999-05-01

Family

ID=19484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877A KR0175530B1 (ko) 1996-11-28 1996-11-28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96B1 (ko) 2006-10-31 2008-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고장 정보 처리 방법
KR100849282B1 (ko) * 2007-04-26 2008-07-29 최순봉 차량용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772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874B1 (en) Variable energy-absorbing steering column
US6213548B1 (en) Head restraint apparatus
CA2152526A1 (en) Retractable pop-up head rest usable with a vehicle passenger seat
US3812312A (en) Impact velocity sensor switch with linearly movable controller
KR0175530B1 (ko)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KR0159477B1 (ko) 헤드레스트의 목 보호장치
EP1692006B1 (en) A vehicle seat
KR20014306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151422Y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 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521940B1 (ko) 자동차 시트 강성보강장치
KR20010046311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
KR200207612Y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0217988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충격 완화장치
KR0136143Y1 (ko) 충돌시 돌출되는 자동차 센터 헤드 레스트
KR10042272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
KR100254790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용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
KR19990027502U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KR19990034621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19980046830U (ko) 자동차용 시트의 측면 보호장치
WO2023104847A1 (en) A tiltable head restraint
KR970005896Y1 (ko) 자동차 의자의 머리받이 안전장치
KR200141640Y1 (ko) 자동차 시트
KR20033614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19980019656U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안전장치
KR19980034863A (ko) 운전자 보호용 헤드 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